KR940001966B1 - 팩시밀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966B1
KR940001966B1 KR1019910018745A KR910018745A KR940001966B1 KR 940001966 B1 KR940001966 B1 KR 940001966B1 KR 1019910018745 A KR1019910018745 A KR 1019910018745A KR 910018745 A KR910018745 A KR 910018745A KR 940001966 B1 KR940001966 B1 KR 940001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ary gear
drive
gear
image sens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337A (ko
Inventor
정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1001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966B1/ko
Publication of KR93000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 구동장치
제1a도, 제1b도는 종래 팩시밀리의 기록부 및 독취부를 보인 사시도.
제2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팩시밀리 구동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제2도는 전체 사시도.
제3도는 요부 분해사시도.
제4a도는 송신 구동의 초기화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4b도는 송신 구동의 원고독취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5a도는 수신구동시의 롤 기록지 되감기 구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5b도는 수신구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6a도는 복사모드시 롤 기록지 되감기 및 뒤틈 제거 구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6b도는 복사구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테핑 모터 2 : 구동기어
3, 3a : 중간기어 4 : 중간기어
5 : 유성기어 5' : 축
6 : 유성기어 7 : 중간기어
8 : 중간기어 9 : 타이밍 벨트 풀리
10 : 베벨기어 10a : 기어
11 : 베벨기어 11a : 기어
12 : 중간기어 13 : 유성기어 브래키트
13a : 돌출부 14 : 유성기어 브래키트
14a : 돌출부 14b : 장공
15 : 레버 15a, 15b : 홈
15c : 돌출편 15d : 연결부
16 : 레버 16a, 16b : 홈
16c : 돌출편 17 : 스토퍼
18 : 스테핑모터 브래키트 19 : 장공
20 : 스토퍼 21 : 이미지 센서
24 : 기록지 25 : TPH 롤러
26 : TPH 28 : 유리
29 : 원고 30 : 타이밍벨트
31 : 가이드 로드 32 : 솔레노이드
33 : 스프링 34 : 스프링
35 : 스프링홈 36 : 스프링홈
37 : 동력중계수단 38 : 이미지센서 좌우 이동기구
본 발명은 팩시밀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등 제본된 원고를 독취하도록 이미지 센서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데 따른 구동 뿐만 아니라 수신, 송신 및 복사등의 기능을 한개의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사용하여 가능하도록 한 팩시밀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팩시밀리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IS(Contact Image Sensor)(21')와 급지롤러(22)사이로 낱장의 원고(23)를 이송시키는 원고급지방식으로 이송과 동시에 읽어들여 송수신 및 복사가 가능한 팩시밀리 구동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즉 종래 제본된 원고자 아닌 낱장으로 된 원고(23)를 보내는 팩시밀리의 구성은 제1a도와 같이 원고(23)를 읽어들이는 독취부와 제1b도와 같이 롤 기록지(24)에 인쇄하는 기록부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롤 기록지(24)를 급지시키는 플래턴 롤(25), 기록지에 인자시키는 TPH(Thermal Print Head)(26), 원고를 급지시키는 원고 급지롤러(22), 원고를 읽어들이는 센서인 CIS(21'), 독취부와 기록부를 각각 구동시키는 구동 기어열(gear train)(27), (27'), 기어열(27), (27')을 구동시키는 2개의 스테핑 모터(1), (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제1b도에서 송신 또는 복사할 낱장으로 된 원고(23)를 급지롤러(22)와 CIS(21')사이로 넣고 원고 급지롤러(22)를 기어열(27')을 통해 구동시키면 원고(23)가 CIS(21')위를 지나가는 동안 CIS(21')에 의해 읽혀지게 되어 송신인 경우 모뎀을 통하여 송신 가능하게 된다. 복사(copy)하는 경우는 CIS(21')에 의해 읽혀져서 기록부의 TPH(26)로 신호처리된다. 이때 롤 기록지(24)는 스테핑모터(1)와 기어열(27)에 의해 이송되어 TPH(26)에 의해 인자된다. 수신만하는 경우에는 전송되어온 데이타를 TPH(26)에 인가하여 스테핑모터(1)와 기어열(27)에 의해 이송되는 롤 기록지(24)에 인쇄하여 기록지(24)를 배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팩시밀리 구동장치는 가정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노트나 메모 수첩등 제본된 원고를 보낼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왜냐하면 급지롤러(22)와 CIS(21')사이에는 적당히 가압(약 1.2kgf)되어 있어서 구조상 제본된 원고의 급지 및 이송이 불가능하고 낱장으로 된 원고만을 급지 및 이송하여 독취가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한편 독취부와 기록부를 구동시키는 장치도 구동원으로 2개의 스테핑모터(1), (1')와 기어열(27), (27')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가인 스테핑모터(1), (1')에 의한 원가 부담 뿐만 아니라 공간도 많이 차지하게 되어 팩시밀리의 콤팩트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이미지센서인 CIS가 동기벨트(timing belt)에 의해 좌우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고를 독취하므로 낱장으로된 원고 뿐만 아니라 책, 노트 등 제본된 원고를 독취하여 송수신 및 복사 가능한 구조의 팩시밀리 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한개의 스테핑모터만을 사용하여 원고독취 센서인 이미지 센서를 구동시킬 뿐 아니라 TPH롤러를 구동시켜 주어야 하며, 이때의 구동동작은 송신시의 초기화구동, 송신구동, 후진구동, 수신시의 되감기 구동, 수신 구동, 복사시의 되감기 및 초기화구동, 복사구동 및 후진구동등 총 8가지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6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제3도는 요부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핑모터(1)의 동력에 의해 기록부(W)와 독취부(R)를 겸하여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독취부(R)는 원고대 유리(28)의 양측변부에 한쌍의 가이드 로드(31)가 고정되고, 원고 독취용 센서인 이미지 센서(21)가 가이드 로드(31)를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유리(28)의 일측부 양쪽에는 이미지 센서 이동기구(38)로서 타이밍벨트 풀리(9)가 각각 축착되고, 양측 타이밍벨트 풀리(9)에 타이밍벨트(30)가 감기어 있으며 타이밍벨트(30)의 일정부위에 상기 이미지 센서(21)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어, 타이밍벨트 풀리(9)의 회전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21)가 이동하면서 책등 제본된 원고(29)를 독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록부(W)는 기록지에 직접 인자해주는 TPH(Thermal Print Head)(26)와 TPH 롤러(25)가 상하로 설치되어 그들 사이로 롤 기록지(24)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TPH 롤러(25)의 축(25')단부에 기어(12)가 고정되어 있어 그에 입력되는 회전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테핑 모터(1)의 구동력을 타이밍벨트 풀리(9)와 TPH구동기어(12)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기록부(W)와 독취부(R)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중계수단(37)은 베이스플레이트인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위에 설치되어 있는데,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의 일측 모터 고정부(18a)에는 스테핑모터(1)가 고정되어 그의 축(1a)에 고정된 구동기어(2)가 통공(18b)상측으로 돌출되고, 중간부에 고정된 축(8')에는 상기 타이밍벨트풀리(9)가 일체로 형성된 중간기어(8)가 결합되며,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의 일측단(18c)에는 상기 TPH구동기어(12)와 맞물리는 전달기어(11a)가 일체로 형성된 베벨 기어(11)가 축(11')으로 축착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4a)를 갖는 유성기어 브래키트(14)와, 중간기어(4) 및 돌출부(13a)를 갖는 유성기어 브래키트(13)가 축(14')으로 축착되고, 레버(15)와 베벨기어(10) 및 레버(16)가 축(15')으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유성기어 브래키트(13)의 하면 선단부에는 유성기어(5)가 축(5')으로 축착되고, 축(5')의 하단부가 유성기어 브래키트(14)의 장공(14b)을 통하여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의 장공(19)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유성기어 브래키트(14)에는 중간기어(4)와 맞물리는 유성기어(6)가 축(6')으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2)와 중간기어(4)사이에는 중간기어(3), (3a)가 축(3'), (3")으로 서로 맞물리게 축착되어 상기 중간기어(4)에는 중간기어(3a) 및 유성기어(5), (6)가 항상 맞물려 있다.
상기 상하측의 레버(16), (15)중 상측의 레버(16)은 일측변에 홈(16a), (16)이 형성되고, 하면 일측에 돌출편(16c)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의 레버(15)는 일측변에 홈(15a), (15b)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변에 연결부(15d)가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는 돌출편(15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측의 레버(15), (16)의 후단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33), (34)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탄성체(33), (34)의 타단부는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의 스프링홈(35), (36)에 각각 걸려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측의 레버(15), (16)사이에 축착된 베벨기어(10)의 하측부분에는 상기 유성기어(5)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기어(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의 레버(15)의 연결부(15d)에는 솔레노이드(32)의 연결봉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21)에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 또는 완전 밀착형 이미지 센서 또는 고체촬상소자(CCD)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이미지 센서(21)는 타이밍벨트(3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독취하게 된다. 이때 이미지 센서(21)는 정지위치에서 곧바로 원고를 독취하는 것이 아니고 프린터와 같이 초기위치로 후진한 후 독취를 시작하게 된다. 그 이유는 이미지 센서(21)가 중간에서 정지해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제4a도에서는 이러한 초기화 구동을 위한 동작상태를 보이고 있다. 기어 트레인은 항상 제4a도와 같은 상태로 최종적으로 정지하며 이때에 스테핑모터(1)의 회전방향의 변경에 의해 중간기어(4)의 회전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유성기어(5)와 중간기어(7), (8)를 통해 타이밍벨트 풀리(9)로 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레버(15), (16)를 고정하고 있는 솔레노이드(32)에는 통전시키지 않으므로 레버(15), (16)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중간기어(4)에 항상 물려있는 또 하나의 유성기어(6)와 함께 결합되어 있는 유성기어 브래키트(14)는 구동초기에 중간기어(4)의 주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에 설치된 스토퍼(17)에 의해 유성기어 브래키트(14)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저지되고 또한 유성기어(5)를 결합한 브래키트(13)는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의 장공(19)에 의해 유성기어(5)의 축(5')하단부가 저지되어 더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때 TPH 롤러(25)에 연결된 기어(12)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베벨기어(10)는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따라서 TPH롤러(12)는 구동되지 않는다.
송신구동시에는 제4b도에 보인 바와 같이 스테핑모터(1)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중간기어(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초기화 구동의 동력전달경로와 마찬가지로 중간기어(4), 유성기어(5), 중간기어(7), (8), 타이밍벨트 풀리(9)순으로 동력이 전달되고, 이때 타이밍벨트 풀리(9)의 회전방향은 초기화 구동의 경우와 반대인 반시계 방향으로 되어 이미지 센서(21)가 독취하게 된다. 이때 중간기어(4)에 유성기어 브래키트(14)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나 레버(15)의 홈(15a)에 유성기어 브래키트(14)의 돌출부(14a)가 걸려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 경우에는 솔레노이드(32)는 동작하지 않는다.
후진 구동시의 과정은 제2도의 원고대 유리(28)에 놓여진 원고를 독취하는 이미지센서(21)가 독취를 완료한 다음에 정지위치로 후진하는 과정으로서 기본적으로는 초기화 구동의 경우와 동일하다.
롤 기록지 되감기 구동시는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위치에서 레버(15), (16)를 고정하고 있는 솔레노이드(32)에 통전시켜 레버(15), (16)를 이동시켜 유성기어 브래키트(13), (14)를 해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스테핑 모터(1)에 의해 중간기어(4)의 회전방향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유성기어(5)와 유성기어 브래키트(1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유성기어(5)는 베벨기어(10)에 맞물리게 된다. 이러는 동안 유성기어 브래키트(13)의 돌출부(13a)가 레버(16)의 홈(16a)을 벗어난 후 솔레노이드(32)의 통전을 멈추면 레버(16)는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에 설치된 스프링홈(35)에 고정된 스프링(33)에 의해 복원된다. 또 레버(15)의 연결부(15d)에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32)에 통전시키면 레버(15), (16)은 돌출편(15c), (16c)(제3도)이 서로 접촉하고 있어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한편 유성기어 브래키트(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 유성기어축(5')은 유성기어 브래키트(14)의 장공(14b)가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에 설치된 장공(19)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유성기어 브래키트(13)의 돌출부(13a)는 레버(16)의 홈(16b)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베벨기어(10)는 직각방향으로 동력을 전달 베벨기어(11), TPH롤러 기어(12)로 전달되어 TPH 롤러(25)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롤 기록지(24)를 TPH(26)의 인자부분까지 되감기하는 동작(수신하기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유성기어(5)는 기어(5)는 기어(10)와 무리한 가압을 피하기 위해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에 장공(19)에 제지된다. 이때 유성기어 브래키트(14)는 돌출부(14a)와 레버(15)의 홈(15a)과는 거리로 인하여 솔레노이드(32)에 통전을 멈추게 되면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에 형성된 홈(36)에 고정된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레버(15)의 홈(15a)에 걸리게 되어 정지한다.
이후 수신구동시에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핑모터(19)에 의해 중간기어(4)의 회전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동력전달은 롤 기록지(24)의 되감기 구동과 마찬가지로 중간기어(4), 유성기어(5), 베벨기어(10), 베벨기어(11) 및 TPH롤러(12)로 전달되게 되며 회전방향은 반대로 된다.
이때에 유성기어 브래키트(14)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에 만든 스토퍼(17)에 의해 저지되며 유성기어 브래키트(13)도 레버(16)의 홈(16b)에 돌출부(13a)가 걸림으로써 반시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불가하다.
복사의 경우 롤 기록지 되감기 및 초기화 구동은 우선 솔레노이드(32)의 통전에 의해 솔레노이드(32)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15)와 (16)을 후퇴시키면 유성기어 브래키트(13), (14)는 구속에서 해제된다. 이러한 동작과정은 수신동작 구동과는 달리 유성기어 브래키트(13), (14)의 돌출부(13a), (14a)가 이를 구속하고 있는 레버(15), (16)의 홈(15a), (16a)에서 완전히 해제될때까지 솔레노이드(32)를 통전시켜 준다. 그리고 나서 통전을 멈추면 탄성체(33), (34)에 의해 레버(15), (16)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즉 스테핑모터(1)에 의해 중간기어(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6(a)도에 보인 바와 같은 위치로 중간기어(4)에 물린 유성기어(5), (6)의 공전으로 인해 이와 결합되어 있는 유성기어 브래키트(13), (1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이미지센서(21) 구동은 중간기어(4), 유성기어(6), 중간기어(8), 타이밍 벨트풀리(9)로 동력이 초기화 구동을 하게 된다. TPH 구동은 중간기어(4), 유성기어(5), 베벨기어(10), 베벨기어(11) 및 TPH롤러기어(12)로 동력이 전달되어 롤 기록지(24)의 되감기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유성기어 브래키트(13)는 유성기어(5)를 고정한 축(5')이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의 장공(19)에 의해 고정되며 유성기어 브래키트(14)도 스토퍼(20)에 의해 고정된다.
복사구동은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핑모터(1)에 의해 중간기어(4)의 회전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유성기어 브래키트(13), (14)는 레버(15), (16)의 홈(15b), (16b)에 구속되어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후진구동시는 원고독취를 끝낸 이미지센서(21)를 정지위치로 환원시키는 것으로, 솔레노이드(32)의 작동에 의해 레버(15), (16)를 해제시키면서 중간기어(4)의 회전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기본적인 동작은 제4a도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팩시밀리 독취구성과는 달리 이미지 센서인 CIS가 동기 벨트(timing belt)에 의해 좌우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고를 독취하므로 낱장으로된 원고뿐만 아니라 책, 노트등 제본된 원고를 독취하여 송, 수신 및 복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더욱이 하나의 스테핑모터를 이용하여 원고독취센서인 이미지 센서를 구동시킬 뿐 아니라 기록부인 TPH 롤러를 구동시키고 이때 구동동작은 총 8 가지 동작모드(송신시의 초기화구동, 송신구동, 진구동, 수신시의 되감기구동, 수신구동, 복사시의 되감기 및 초기화구동, 복사구동 및 후진구동)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특히 가정에서 책이나 노트등을 송, 수신 및 복사할 수 있는 팩시밀리나 가정용 복사기, 개인용 복사기등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낱장 또는 제본된 원고(29)가 재치되는 원고대 유리(28)위를 이미지 센서(21)가 이미지 센서 좌우이동기구(38)에 의하여 좌우직선 이동하면서 원고내용을 독취하는 독취부(R)와, TPH(26)와 TPH 롤러(25)사이로 롤 기록지(24)를 이송시키면서 기록하는 기록부(W)와, 하나의 스테핑 모터(1)와, 상기 독취부(R)와 기록부(W)를 스테핑모터(1)의 구동력으로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중계수단(37)을 구비하여, 송신, 수신 및 복사를 겸하여 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21)는 원고대 유리(28)의 양측면에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봉(31)을 타고 좌우이동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 좌우이동기구(38)는 이미지센서(21)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타이밍 벨트(30)와, 그 타이밍 벨트(30)가 권회되는 한쌍의 타이밍벨트 풀리(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중계수단(37)은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의 중간부 고정축(14')에 축착되어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유성기어 브래키트(13), (14)와 그들 사이에서 축착되는 중간기어(4)와, 유성기어 브래키트(13), (14)에 각각 축착되어 중간기어(4)에 맞물리는 유성기어(5), (6)와, 모터축(1')에 고정된 구동기어(2), 구동기어(2)와 중간기어(4)사이에 설치되는 중간기어(3), (3a)와, 고정축(15')에 축착되어 상기 유성기어 브래키트(13), (14)의 동작을 제어하는 레버(15), (16)와, 그들 사이에 축착되고 상기 유성기어(5)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베벨기어(10)와, 베벨기어(10)의 동력을 TPH구동기어(12)에 전달하는 베벨기어(11)와, 타이밍벨트 풀리(9)와 일체로 형성된 기어(9a)와, 그와 맞물리게 축착되어 상기 유성기어(5), (6)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중간기어(7)와, 상기 레버(16), (15)를 일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체(33), (34)와, 상기 레버(15)의 연결부(15d)에 작동봉이 연결되어 레버(15), (16)를 회전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32)로 구성되어 송신시의 초기화 구동, 송신구동, 후진구동, 수신시의 되감기구동, 수신구동, 복사시의 되감기 및 초기화구동, 복사구동 및 후진구동을 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21)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21)는 고체촬상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구동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 브래키트(13)에 고정된 유성기어축(5')의 하단부가 유성기어 브래키트(14)의 장공(14b)을 통해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의 장공(19)에 삽입되어 유성기어 브래키트(13)가 장공(19)의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구동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모터 브래키트(18)에 한쌍의 스토퍼(17), (20)를 형성하여 유성기어 브래키트(14)가 스토퍼(17), (20)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구동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의 레버(16)는 유성기어 브래키트(13)의 돌출부(13a)가 걸리는 홈(16a), (16b)이 일측변에 형성되고 하면에는 돌출편(16c)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구동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의 레버(15)는 유성기어 브래키트(14)의 돌출부(14a)가 걸리는 홈(15a), (15b)이 일측변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돌출편(15c)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구동장치.
KR1019910018745A 1991-10-24 1991-10-24 팩시밀리 구동장치 KR940001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745A KR940001966B1 (ko) 1991-10-24 1991-10-24 팩시밀리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745A KR940001966B1 (ko) 1991-10-24 1991-10-24 팩시밀리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337A KR930009337A (ko) 1993-05-22
KR940001966B1 true KR940001966B1 (ko) 1994-03-12

Family

ID=1932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745A KR940001966B1 (ko) 1991-10-24 1991-10-24 팩시밀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9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337A (ko) 199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0314B2 (ja) 給紙装置
JP267771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用紙搬送機構
JPH0789638B2 (ja) ファクシミリの紙送り装置
US5862446A (en) Drive switching mechanism for use in image input apparatus
KR920020921A (ko) 기록지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
US6392763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940001966B1 (ko) 팩시밀리 구동장치
GB2257660A (en) Throat opening mechanism in facsimile machine
JP2908065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141289B2 (ja) 複写機のリリース機構
JP2563693B2 (ja) 情報通信装置
JPH0617804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紙送り機構
JP3368667B2 (ja) 原稿給紙装置
JP3750266B2 (ja) 原稿繰出装置
JP4449563B2 (ja) 画像形成装置
JP3139630B2 (ja) 画像入出力装置
KR950009595B1 (ko) 팩시밀리장치
KR100421030B1 (ko)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JP3690523B2 (ja) 両面読取装置
JP306448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3300038A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H1179465A (ja) 給紙装置および給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930010021B1 (ko) 팩시밀리의 송수신 구동장치
JPH0540021Y2 (ko)
JPH0275548A (ja) 送受信兼用ファクシミリ装置の送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