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833B1 - 디지탈 비디오 화상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비디오 화상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33B1
KR940001833B1 KR1019910005850A KR910005850A KR940001833B1 KR 940001833 B1 KR940001833 B1 KR 940001833B1 KR 1019910005850 A KR1019910005850 A KR 1019910005850A KR 910005850 A KR910005850 A KR 910005850A KR 940001833 B1 KR940001833 B1 KR 94000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control signal
address
las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955A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5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833B1/ko
Publication of KR92002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비디오 화상 편집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중 펄스발생부의 상세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동작 타이밍도.
제4도는 메모리의 입력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영역의 2차원 표시도.
제5도는 제1도중 라스 어드레스카운터부의 라스카운터용 먹스와 연관된 상세도.
제6도는 제5도의 동작 타이밍도.
제7도는 제1도중 카스 어드레스카운터부의 카스어드레스용 먹스와 연관된 상세 블록도.
제8도는 제7도의 동작 타이밍도.
제9도는 필드선택용먹스의 출력데이타 포맷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상의 좌표 데이터 표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일 화면과 배경화면의 어드레스 지정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콤 2 : 라스 어드레스 카운터부
3 : 카스 어드레스 카운터부 4 : 라스 카운터용 먹스
5 : 카스 카운터용 먹스 6 : 제1필드메모리
7 : 제2필드메모리 8 : 필드선택용먹스
9 : D/A변환기 10 : 모니터
18, 19, 20, 21 : 제1, 2, 3, 4비교기
22, 23 : 플립플롭 104, 105, 106 : 게이트
11 : 제어신호 발생부 12 : 라스카운터
13 : 라스 프리셋터블 카운터 14 : 라스클럭발생기
15 : 카스카운터 16 : 카스 프리셋터블 카운터
17 : 카스클럭발생기 100, 101, 102, 103 : 버퍼
본 발명은 화상기록 장치중 화상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2이상의 화면을 편집할시 편집 윈도우를 통해 편집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편집 장치는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화상을 메모리에 기록한 뒤 이들을 한 장 또는 여러장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화상을 편집하고자 할 경우는 사실상 실현하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이로인해 화상편집에 있어 보다 다양하게 화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여 왔으며, 편집에 있어 효율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임의의 서로 다른 2이상의 화상을 편집함에 있어, 2이상의 화상중 소정의 화상의 일부분을 다른 화상의 일부로 첨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을 편집함에 있어 편집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 화면에서 이동될 화상의 영역을 지시하는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의 라스/카스 데이터와, 소정 배경화면에서 상기 이동될 화상이 채워질 배경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의 라스/카스 데이터를 생성 출력하며, 본 발명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콤(1)과; 상기 마이콤(1)으로 부터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의 라스 데이터의 래치를 위한 소정 제1제어신호(X)를 받아 그에 의해 상기 이동화면 윈도우에 대한 라스어드레스(ㄴ)를 카운트하여 생성출력하고, 상기 이동화면이 채워질 윈도우를 포함하는 배경화면의 라스어드레스(ㄱ)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라스카운터(2)와; 상기 마이콤(1)으로 부터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의 카스 데이터의 래치를 위한 소정 제2제어신호(Y)를 받아 그에 의해 상기 이동화면 윈도우에 대한 카스어드레스(ㄹ)를 카운트하고, 상기 이동화면이 채워질 윈도우를 포함하는 배경화면의 카스어드레스(ㄷ)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카스카운터(3)와; 상기 마이콤(1)으로 부터 배경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의 라스/카스 데이터(a, c)와 상기 라스 어드레스카운터(2)의 배경화면에 대한 라스어드레스(ㄱ) 및 상기 카스 어드레스카운터(3)의 배경화면에 대한 카스어드레스(ㄷ)를 받아, 상기 마이콤(1)으로 부터 공급된 배경화면 위치에 대한 라스 어드레스의 시작과 끝 지점의 데이터와 상기 라스 어드레스카운터(2)의 배경화면에 대한 라스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구간이 발생할시 그 처음과 끝 구간동안 액티브 상태를 갖는 상기 제1제어신호(X)를 생성 출력하고, 상기 배경화면의 카스어드레스값이 상기 마이콤(1)으로 부터 공급된 배경화면 위치에 대한 카스 어드레스의 시작과 끝 지점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구간이 발생할시 그 처음과 끝 구간동안 액티브 상태를 갖는 상기 제2제어신호(Y)를 생성 출력하며, 상기 제1제어신호(X)와 상기 제2제어신호(Y)를 논리합한 상태를 갖는 제3제어신호(A)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신호발생부(11)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11)의 제3제어신호(A)를 받고 그 상태에 따라 상기 라스카운터(2)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라스카운터용 먹스(4)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11)의 제3제어신호(A)를 받고 그 상태에 따라 상기 카스카운터(3)와 두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카스카운터용 먹스(5)와; 상기 라스카운터용 먹스(4)의 출력을 각각 라스어드레스로 받고 상기 카스카운터용 먹스(5)의 선택적인 출력을 각각 카스어드레스로 받아, 이들이 지정하는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제1, 2필드메모리(6, 7)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11)의 제3제어신호(A)를 받고 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2필드메모리(6, 7)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필드선택용 먹스(8)와; 상기 필드선택용 먹스(8)의 출력을 아나로그 상태로 변환하는 D/A변환기(9)와; 상기 D/A변환기(9)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발생부(11)는 마이콤(1)으로 부터 배경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라스데이타(a)를 일 입력단으로 받고 나머지 입력단으로는 라스카운터(2)의 라스어드레스(ㄱ)를 받아 이들 두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1비교기(18)와; 상기 마이콤(1)으로 부터 상기 배경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끝 데이터(c)를 일 입력단으로 받고 나머지 입력단으로는 상기 캐스카운터(2)의 라스어드레스(ㄱ)를 받아 이들 두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결과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2비교기(19)와; 상기 제1, 2비교기(18, 19)의 출력을 각각 받아 배타적으로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게이트(104)와; 상기 게이트(104)의 출력신호를 받아 그 상태에 따라 토글되는 제1제어신호(X)를 생성 출력하는 티-플립플롭(22)과; 상기 마이콤(1)으로 부터 상기 배경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카스데이타(e)를 받고 나머지 입력단으로는 상기 카스카운터(3)의 카스데이타(ㄴ)를 받아 이들 두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3비교기(20)와; 상기 마이콤(1)으로 부터 상기 배경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끝 카스데이타(g)를 받고 나머지 입력단으로는 상기 카스카운터(3)의 카스데이타를 받아 이들 두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4비교기(21)와; 상기 제3, 4비교기(20, 21)의 출력을 각각 받아 배타적으로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게이트(105)와; 상기 게이트(105)의 출력신호를 받고 그 상태에 따라 토글되는 제2제어신호(Y)를 생성 출력하는 티-플립플롭(23)과; 상기 티-플립플롭(22, 23)의 출력인 제1, 2제어신호(X, Y)를 논리합하여 제3제어신호(A)로 출력하는 게이트(10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라스카운터(2)는, 소정 라스클럭을 발생하는 라스클럭발생기(14)와; 상기 라스클럭발생기(14)의 출력을 클럭으로 받아 상기 배경화면의 라스어드레스(ㄱ)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라스카운터(12)와; 상기 라스클럭발생기(14)이 발생한 클럭을 받아 그에 동기하여 상기 마이콤(1)에서 공급되는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라스데이타를 래치하고 그값부터 카운트하여 상기 이동화면 윈도우에 대한 라스어드레스(ㄴ)를 생성 출력하는 라스 프리셋터블카운터(13)와; 상기 라스클럭발생기(14)가 발생한 클럭과 상기 제1제어신호(X)를 받아 상기 제1제어신호(X)의 반전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라스클럭발생기(14)가 발생한 클럭을 상기 라스 프리셋터블카운터(13)의 클럭단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버퍼(101)와; 상기 마이콤(1)에서 공급되는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 데이터를 상기 제1제어신호(X)의 제어를 받아 상기 라스 프리셋터블카운터(13)의 초기값로드단으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버퍼(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스카운터(3)는 소정 카스클럭을 발생하는 카스클럭발생기(17)와; 상기 카스클럭발생기(17)의 출력을 클럭으로 받아 상기 배경화면의 카스어드레스(ㄷ)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카스카운터(15)와; 상기 카스클럭발생기(17)이 발생한 클럭을 받아 그에 동기하여 상기 마이콤(1)에서 공급되는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카스데이타를 래치하고 그값부터 카운트하여 상기 이동화면 윈도우에 대한 카스어드레스(ㄹ)를 생성 출력하는 카스 프리셋터블카운터(16)와; 상기 카스클럭발생기(17)가 발생한 클럭과 상기 제2제어신호(Y)를 받아 상기 제2제어신호(Y)의 반전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카스클럭발생기(17)가 발생한 클럭을 상기 카스 프리셋터블카운터(16)의 클럭단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버퍼(103)와; 상기 마이콤(1)에서 공급되는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 데이터를 상기 제2제어신호(Y)의 제어를 받아 상기 카스프리셋터블카운터(16)의 초기값로드단으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버퍼(102)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된 요지는 예를들어 제1필드 메모리(6)와 제2필드메모리(7)가 있을 때 제1필드 메모리(6)내의 특정 부분 데이터를 제2필드메모리(7)의 특정 영역으로 옮기기 위한 것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2필드 메모리(6, 7)의 라스(RAS)와 카스(CAS) 어드레스를 변경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필드 메모리(6)의 윈도우 구간 및 제2필드 메모리(7)의 윈도우 구간을 마이콤(1)에서 좌표 데이터로서 인지하고 있고, 이 좌표 데이터와 항시 카운트하는 카운터의 출력을 비교하여 특정 제어신호(X.T.A)를 발생시킨 뒤 이 제어신호(X.Y.A)에 의해 각부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1, 제2필드 메모리(6, 7)의 어드레스 지정도 상기 제어신호(X.Y.A)에 의해 변화가 되므로 변화되는 대로 제1필드 메모리(6)의 화면과 제2필드 메모리의 화면의 편집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개념을 갖고 본 발명의 실제 동작을 살펴보면 첫째 제어신호 발생부를 살펴보면 그림 2를 보면 상세한 목적은 제2도에 도시하였다.
먼저 움직일 화면과 배경화면의 윈도우 좌표 데이터 즉, 필드메모리의 라스/카스 어드레스를 마이콤(1)에서는 제12a도, 제2b도에서와 같이 지정해주면, 제1비교기(18)의 A입력단에는 마이콤(1) 지정의 라스 시작점의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고 제1비교기(18)의 B입력단에는 라스어드레스 카운터부(2)에서 카운트된 라스어드레스(ㄱ) 내용이 입력된다.
따라서 제1비교기(18)는 A=B일 때 "H"인 상태로 되므로, A입력단에 예를 들어 "210"의 내용이 있고 B가 0에서 시작하여 255까지 카운트 내용이 입력되는데 이중 "210"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1비교기(18)는 "H"의 펄스가 출력된다. 이것을 제3도에서 ①로 표시된 펄스이다. 마찬가지로 제2비교기(19)에서도 입력단에는 마이콤(1) 지정의 배경끝 라스카운터 내용(ex : 250)이 입력되어 있고 B입력단에는 0-255까지의 데이터가 실려 있다가 250이 되면 제2비교기(19)의 비교기는 제1비교기(18)와 같이 A=B일 때 "H"의 펄스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펄스는 제3도중 ②로 표현시켰다.
상기 제3도에서 ①, ②를 게이트(104)를 통해 배타적으로 노아를 취하면 제3도의 ③과 같은 펄스가 발생하고 이 ③은 플립플롭(22)의 클럭으로 입력시키면 이의 엣지에서 반전되어 제3도의 ⓧ는 라스의 배경 시작점에서 "L"로 되다가 배경 끝점에서 "H"로 되는 펄스로 나타내진다.
마찬가지로 카스 어드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를 살펴보면, 제3비교기(20)의 입력단 A에는 마이콤(1)에서 지정한 배경 시작점의 카스 어드레스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고(ex : 210) 입력단 B에는 라스 어드레스 카운터부(2)에서 발생하는 0-255까지의 카스용 어드레스가 입력된다. 이때 B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카스입력 어드레스의 값이 210이 되고 제3비교기(20)는 "H"를 출력한다. 이것을 제3도의 ④로 나타냈고, 제4비교기(21)에서도 A입력단에는 카스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고 입력단에는 라스 어드레스가 카운터부(2)의 ①이 250이 될 때 즉 21의 A에 입력되어 있는 250과 같을 때 제4비교기(21)의 출력은 제3도의 ⑤와 같은 펄스로 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이 ④와 ⑤를 게이트(105)의 양 입력으로 취하면 게이트(105)의 출력은 제3도의 ⑥과 같은 파형이 되고 이 파형을 플립플롭(23)의 클럭으로 취하면 이의 엣지에서 반전되어 출력되는 제2제어신호(Y)와 같은 신호가 출력된다. 즉, 제2제어신호(Y)는 카스의 배경 시작점에서 "L"로 되다가 카스 배경 끝점에서 "H"로 되는 파형이 되는 것이다.
다음 이 제1제어신호(X)와 제2제어신호(Y)를 게이트(106)의 양 입력으로 취하면 제3도의 (A)와 같은 2차원적인 제3제어신호 파형이 출력된다. 즉, 제3제어신호(A)는 라스의 배경 시작, 끝의 L구간과 카스의 배경시작, 끝 구간의 "L"에서만이 "L"가 된다.
이상에서 배경 구간을 감지하는 펄스인 제1, 2, 3제어신호(A), (X), (Y)를 발생시키는 회로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에는 실제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회로에 대해 설명해 주겠다.
상세 블록은 제5도에 나타내었다. 라스카운터(12)에는 0에서 255까지 카운팅하는 카운터이고, 라스프리셋 더블카운터(13)는 특정 데이터부터 입력 클럭에 맞춰 증가하는 카운터이다.
따라서 라스 카운터(12)는 입력 클럭에 맞춰 0-255까지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라스 프리셋 더블 카운터(13)는 마이콤(1)에서 라스의 시작 데이터(움직일 화면의 윈도우의 라스 시작점 데이터)부터 카운팅한다. 예로서, "10"으로 하였다.
한편 라스카운터(12)는 클럭에 맞춰 D-255까지 발생하는데 반해 프리셋 더블 카운터(13)은 버퍼(100)에 의해 마이콤(1)의 출력을 받거나 안받거나 한다. 즉, 버퍼(100)는 제1제어신호(X)에 의해 제어되므로 제1제어신호(X)가 "L"인 구간 즉 리스배경 구간에서는 버퍼(100)이 턴오프되므로 라스 프리셋 더블 카운터(13)는 마이컴(1)의 입력으로부터 오픈된다.
다음 또 하나의 버퍼(101)는 상기 제1제어신호의 반전된 상태에 의해 제어되므로 제1제어신호(X)가 "L"인 구간에서 "온 되어 라스클럭발생기(14)의 라스용 클럭이 입력되어 라스프리셋 더블카운터(13)는 제1제어신호(X)의 "H"에서 마이콤(1) 입력 데이터(예 "10")을 로딩하지만 라스 클럭발생기(14)의 라스용 클럭이 들어오지 않으므로 카운팅을 하지 않다가 제1제어신호(X)의 "L"구간에서는 라스 클럭발생기(14)의 클럭이 라스프리셋 더블카운터(13)에 입력되므로 라스 프리셋 더블 카운터(13)는 10부터 증가 카운팅하게 된다.
이 관계를 제6도의 (ㄱ), (ㄴ)에 나타내었다. 즉, (ㄱ)은 라스카운터(12)의 출력으로 0-255까지의 카운트 내용이고, (ㄴ)은 라스프리셋더블 카운터(13)의 출력을 제2제어신호(X)의 제어에 의해 제2제어신호(X)의 "L"구간에서만 10부터 증가하다가 제2제어신호(X)가 "H"가 되므로 라스 프리셋 더블 카운터(13)의 입력은 마이콤(1)으로부터 10이 다시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제어신호(X)의 다음 펄스에서는 제1제어신호(X)의 다음 펄스에서는 제2제어신호(X)의 "L"구간에서 10부터 카운팅하게 된다.
다음 라스 카운터(12)와 라스 프리셋 더블 카운터(13)의 카운트 내용이 각각 라스 카운터용 먹스(4)에 입력되는데 라스 카운터용 먹스(4)의 A단자에는 라스 카운터(12)의 카운트 내용이 B단자에는 프리셋 더블 카운터(13)의 내용이 입력된다. 이때 라스 카운터용 먹스(14)는 선택신호 공급단자 8이 제3제어신호(A)에 의해 제어되므로 제3제어신호(A)가 "H"인 때는 라스 카운터(12)의 내용이 출력되고 "L"구간에서는 프리셋 더블 카운터(13)의 내용이 출력된다. 이 관계도 제6도의 (ㅁ)과 같은 출력이 출력된다. 카스 어드레스 발생도 상기 라스 어드레스 발생과 같다. 카스 카운터(15)는 0-255까지 발생하는 카운터이고, 카스프리셋 더블카운터(16)는 특정 데이터부터 카운팅하는 카운터이다. 카스프리셋 더블카운터(16)의 특정 입력 데이터는 상기 라스에서와 마찬가지로 움직일 화면의 카스 시작점 데이터를 10이라 가정하면, 이 카스프리셋 더블카운터(16)의 클럭 입력은 카스 클럭발생기(11)에서 오는데 버퍼(103)를 통한다. 그런데 이 버퍼(103)의 제어단자가 "ㄴ"에서 온 되게 하므로 제2제어신호(Y)를 통해 버퍼(103)를 제어하면 제2제어신호(Y)가 "L"일 때 즉 배경화면의 윈도우구간 동안 액티브하므로 카스 프리셋 더블 카운터(16)는 카운팅을 시작하게 된다. 즉 제2제어신호(Y)의 "L"구간에서 10부터 11, 12, 13,…로 증가하는 것이다.
또한 버퍼(102)는 마이콤(1)에서 지정한 10의 데이터를 카스 프리셋 더블 카운터(16)에 주는 것으로 제2제어신호(Y)가 "H"일 때 카스 프리셋 더블 카운터(16)의 입력 데이터가 "10"이 되고 제2제어신호 (Y)가 "L"일때는 입력 데이터가 오픈되므로 카스프리셋더블카운터(16)는 카스클럭발생기(17)의 클럭에 따라 증가하다가 제2제어신호 (Y)가 "H"로 되면 카스프리셋 더블카운터(16)의 입력 데이터는 다시 "10"으로 로딩되고 카스 클럭발생기(17)의 클럭이 끊기므로 카스프리셋 더블카운터(16)는 "10"으로만 세팅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카스 카운터용 먹스(5)는 A단자에 라스 카운터(15)의 출력이 공급되고 B단자에는 카스 프리셋 더블 카운터(16)의 공급될 때 제3제어신호(A)의 제어에 따라 먹싱하게 된다. 제3제어신호(A)가 "L"일 때 즉 카스 배경구간이 "L"일때는 카스 프리셋 더블 카운터(16)의 출력(ㄹ)이 카스 카운터용 먹스(5)에서 출력하고 제3제어신호(A)가 "H"일 때, 즉 카스 배경구간이 "H"일때는 카스 카운터(15)의 출력(ㄷ)이 카스 카운터용 먹스(5)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 이 관계는 제8도로 나타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도의 라스 어드레스 카운터부(2)에서 제어신호(A), (X), (Y)에 의해 배경구간 설정이 되고 이 배경구간 설정에 맞는 필드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해 라스 및 카스의 어드레스 변환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은 이 배경구간에 따라 변화하는 어드레스에 의해 실제 제1, 2필드 메모리(6, 7)의 동작을 살펴본다.
제1도에서 제1, 2필드 메모리(6, 7)에는 라스 카운터용 먹스(4)와 카스 카운터용 먹스(5)의 (ㅁ), (ㅂ)이 공급되도록되어 있다. 즉, 라스 카운터용 먹스(4)의 출력(ㅁ)은 제1, 2필드 메모리의 라스단에 공급되어 카스 카운터용 먹스(5)의 출력(ㅂ)은 제1, 제2필드 메모리의 카스단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두 필드 메모리(6, 7)는 같은 어드레스에 의해 똑같은 시간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실제 데이터를 독출한다.
물론 제1, 제2필드 메모리(6, 7)에는 배경의 화상 데이터가 있다. 상기 라스 카운터용 먹스의 출력(ㅁ)과 상기 카스 카운터용 먹스(5)의 출력(ㅂ)의 라스, 카스 어드레스에 의해 제1, 제2필드 메모리(6, 7)는 기저장된 데이터가 독출되는데 각각 ⓓ"와 ⓓ'이라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제1필드 메모리(6)의 출력 ⓓ와 제2필드 메모리(7)의 출력 ⓓ'는 필드 선택용 먹스(8)의 A와 B단에 각각 공급되는데, 이 필드 선택용 먹스(8)의 제어를 (A)에 의해 수행된다. 제3제어신호(A)가 액티브구간 이외 구간("H")에서는 ⓓ'데이타 즉, 제2필드 메모리(7)의 출력이 필드 선택용 먹스(8)에서 출력되는 것이다. 이의 타이밍 관계를 제7도에서 나타내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4도의 표시구간 (A)에서는 제1필드 메모리(6)의 저장 데이터가 출력되고 (A)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는 제2필드 메모리(7)의 저장 내용이 출력되므로 두 개의 화면을 편집해 놓은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참고로 그림 6에서는 움직일 화면인 제1필드 메모리(6)의 구간과 배경화면인 제2필드 메모리(7)의 구간 선정시 좌표 데이터를 나타냈고 제11도에서는 실제로 화면의 특정 구간을 제1필드 메모리(6)에서 제2필드 메모리(7)로 옮긴 것이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나타내보았다. 제1도에서 블록9를 필드 선택용 믹스(8)에서 출력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변환기이고, 블록 10은 변환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화상을 상호 일부분을 이동시켜 편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로인해 편집에 있어 종래에 비해 효율이 한층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화상편집 장치에 있어서, 소정 화면에서 이동될 화상의 영역을 지시하는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의 라스/카스 데이터와, 소정 배경화면에서 상기 이동될 화상이 채워질 배경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의 라스/카스 데이터를 생성 출력하며, 본 발명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콤(1)과;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의 라스 데이터의 래치를 위한 소정 제1제어신호(X)를 받아 그에 의해 상기 이동화면 윈도우에 대한 라스어드레스(ㄴ)를 카운트하여 생성출력하고, 상기 이동화면이 채워질 윈도우를 포함하는 배경화면의 라스어드레스(ㄱ)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라스카운터(2)와;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의 카스 데이터의 래치를 위한 소정 제2제어신호(Y)를 받아 그에 의해 상기 이동화면 윈도우에 대한 카스어드레스(ㄹ)를 카운트하고, 상기 이동화면이 채워질 윈도우를 포함하는 배경화면의 카스어드레스(ㄷ)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카스카운터(3)와;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배경 화면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의 라스/카스 데이터(a, c, e, g)와 상기 라스 어드레스카운터(2)의 배경화면에 대한 라스어드레스(ㄱ) 및 상기 카스 어드레스카운터(3)의 배경화면에 대한 카스어드레스(ㄷ)를 받아,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공급된 배경화면 위치에 대한 라스 어드레스의 시작과 끝 지점의 데이터와 상기 라스 어드레스카운터(2)의 배경화면에 대한 라스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구간이 발생할시 그 처음과 끝 구간동안 액티브 상태를 갖는 상기 제1제어신호(X)를 생성 출력하고, 상기 배경화면의 카스어드레스값이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공급된 배경화면 위치에 대한 카스어드레스의 시작과 끝지점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구간이 발생할시 그 처음과 끝 구간동안 액티브 상태를 갖는 상기 제2제어신호(Y)를 생성 출력하며, 상기 제1제어신호(X)와 상기 제2제어신호(Y)를 논리합한 상태를 갖는 제3제어신호(A)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신호발생부(11)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11)의 제3제어신호(A)를 받고 그 상태에 따라 상기 라스카운터(2)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라스카운터용 먹스(4)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11)의 제3제어신호(A)를 받고 그 상태에 따라 상기 카스카운터(3)의 두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카스카운터용 먹스(5)와; 상기 라스카운터용 먹스(4)의 출력을 각각 라스어드레스로 받고 상기 카스카운터용 먹스(5)의 선택적인 출력을 각각 카스어드레스로 받아, 이들이 지정하는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제1, 2필드 메모리(6, 7)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11)의 제3제어신호(A)를 받고 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2필드메모리(6, 7)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여 필드선택용 먹스(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화상편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신호 발생부(11)가 마이콤(1)으로부터 배경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라스데이타(a)를 일 입력단으로 받고 나머지 입력단으로는 라스카운터(2)의 라스어드레스(ㄱ)를 받아 이들 두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1비교기(18)와;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상기 배경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끝데이타(c)를 일 입력단으로 받고 나머지 입력단으로는 상기 라스카운터(2)의 라스어드레스(ㄱ)를 받아 이들 두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 신호를 생성출력하는 제2비교기(19)와; 상기 제1, 2비교기(18, 19)의 출력을 각각 받아 배타적으로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게이트(104)와; 상기 게이트(104)와; 상기 게이트(104)의 출력신호를 받아 그 상태에 따라 토글되는 제1제어신호(X)를 생성 출력하는 티-플립플롭(22)과;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상기 배경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카스데이타(e)를 받고 나머지 입력단으로는 상기 카스카운터(3)의 카스데이타(ㄴ)를 받아 이들 두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3비교기(20)와;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상기 배경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끝카스데이타(g)를 받고 나머지 입력단으로는 상기 카스카운터(3)의 카스데이타를 받아 이들 두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생성출력하는 제4비교기(21)와; 상기 제3, 4비교기(20, 21)의 출력을 각각 받아 배타적으로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게이트(105)와; 상기 게이트(105)의 출력신호를 받고 그 상태에 따라 토글되는 제2제어신호(Y)를 생성 출력하는 티-플립플롭(23)과; 상기 티-플립플롭(22, 23)의 출력인 제1, 2제어신호(X, Y)를 논리합하여 제3제어신호(A)로 출력하는 게이트(10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화상편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라스 클럭발생기(14)가 소정 라스클럭을 발생하는 라스클럭발생기(14)와; 상기 라스클럭발생기(14)의 출력을 클럭으로 받아 상기 배경화면의 라스어드레스(ㄱ)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라스카운터(12)와; 상기 라스클럭발생기(14)이 발생한 클럭을 받아 그에 동기하여 상기 마이콤(1)에서 공급되는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라스데이타를 래치하고 그 값부터 카운트하여 상기 이동화면 윈도우에 대한 라스어드레스(ㄴ)를 생성 출력하는 라스 프리셋터블카운터(13)와; 상기 라스클럭발생기(14)가 발생한 클럭과 상기 제1제어신호(X)를 받아 상기 제1제어신호(X)의 반전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라스클럭발생기(14)가 발생한 클럭을 상기 라스 프리셋터블카운터(13)의 클럭단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버퍼(101)와; 상기 마이콤(1)에서 공급되는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 데이터를 상기 제1제어신호(X)의 제어를 받아 상기 라스 프리셋터블카운터(13)의 초기값로드단으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버퍼(1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화상편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카스 카운터((3)가 소정 카스클럭을 발생하는 카스클럭발생기(17)와; 상기 카스클럭발생기(17)의 출력을 클럭으로 받아 상기 배경화면의 카스어드레스(ㄷ)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카스카운터(15)와; 상기 카스클럭발생기(17)이 발생한 클럭을 받아 그에 동기하여 상기 마이콤(1)에서 공급되는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카스데이타를 래치하고 그값부터 카운트하여 상기 이동화면 윈도우에 대한 카스어드레스(ㄹ)를 생성 출력하는 카스 프리셋터블카운터(16)과; 상기 카스클럭발생기(17)가 발생한 클럭과 상기 제2제어신호(Y)를 받아 상기 제2제어신호(Y)의 반전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카스클럭발생기(17)가 발생한 클럭을 상기 카스 프리셋터블카운터(16)의 클럭단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버퍼(103)와; 상기 마이콤(1)에서 공급되는 이동화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처음 및 끝 데이터를 상기 제2제어신호(Y)의 제어를 받아 상기 카스 프리셋터블카운터(16)의 초기값로드단으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버퍼(10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화상편집장치.
KR1019910005850A 1991-04-12 1991-04-12 디지탈 비디오 화상 편집장치 KR94000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5850A KR940001833B1 (ko) 1991-04-12 1991-04-12 디지탈 비디오 화상 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5850A KR940001833B1 (ko) 1991-04-12 1991-04-12 디지탈 비디오 화상 편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955A KR920020955A (ko) 1992-11-21
KR940001833B1 true KR940001833B1 (ko) 1994-03-09

Family

ID=1931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850A KR940001833B1 (ko) 1991-04-12 1991-04-12 디지탈 비디오 화상 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8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955A (ko) 199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5356A (ko) 전자카메라시스템에 있어서 재생시 화면편집장치
JPH07181909A (ja) ダブルスキャン回路
US4970501A (en) Method for writing data into an image repetition memory of a data display terminal
KR940001833B1 (ko) 디지탈 비디오 화상 편집장치
JP3369591B2 (ja) 文字表示装置
EP0420281B1 (en) Luminance interpolation type waveform display apparatus
JPS5824188A (ja) 表示領域指定装置
KR0166853B1 (ko) 디지탈 영상신호 처리용 메모리 시스템
JP3414935B2 (ja) 1ビット方式制御波形生成回路
JPS63131176A (ja) 画像表示装置
JP2995995B2 (ja) 波形記憶装置
KR100606055B1 (ko) 메모리 제어장치
KR920002518B1 (ko)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
JP2596196Y2 (ja) デジタルオシロスコ−プのロ−ル表示方式
KR930004490Y1 (ko) 모니터에 있어서의 동적화상과 정지화상의 전화회로
KR940006173B1 (ko) 클럭 변환 회로
JP2945804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3075425B2 (ja) デジタルオシロスコープ
JPS6129885A (ja) 表示メモリのアクセス信号発生装置
JPS6111803Y2 (ko)
JPH05236434A (ja) ビデオ走査周波数変換装置
JPS6322594B2 (ko)
JPH04143666A (ja) 信号表示装置
JPS6393281A (ja) マルチストロボ再生回路
JPH04695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