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526B1 -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526B1
KR940000526B1 KR1019850007830A KR850007830A KR940000526B1 KR 940000526 B1 KR940000526 B1 KR 940000526B1 KR 1019850007830 A KR1019850007830 A KR 1019850007830A KR 850007830 A KR850007830 A KR 850007830A KR 940000526 B1 KR940000526 B1 KR 94000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usage
stand
loop
suppo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965A (ko
Inventor
미노루 가사이
다꾸오 오까
무네노리 다까망아리
치오지 시바따
미노루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후꾸또메 햄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지마 나오루
하이테크 가부시끼가이샤
미노루 나까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19368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4046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1742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74648A/ja
Application filed by 후꾸또메 햄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지마 나오루, 하이테크 가부시끼가이샤, 미노루 나까무라 filed Critical 후꾸또메 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5/00Apparatus for hanging-up meat or sausages
    • A22C15/001Specially adapted for hanging or conveying several sausages or strips of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1/00Sausage making ; Apparatus for handling or conveying sausage products during manufa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ain Conveyer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방법과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a도는 제1도 장치의 주요부를 종단면하에서 나타낸 원리도.
제2b도는 소세지등의 현가 부분을 제2a도의 화살표 b-b를 따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주요부의, 그 구동수단을 포함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4a도는 제2실시예 장치의 구성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
제4b도는 제4a도의 암체(arm)의 부분 측면도.
제4c도는 동 4a도의 암체의 변형을 나타낸도.
제5a도는 제2실시예 장치의 주요부를 종단면하에서 나타낸 원리도.
제5b도는 소세지등의 현가 부분만을 제5a도의 화살표 b-b를 따라 나타낸 도면.
제6a도는 제3실시예 장치의 주요부를 종단면 하에서 나타낸 원리도.
제6b도는 소세지등의 현가 부분만을 제6a도의 화살표 b-b를 따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제4실시예의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공급수단(벨트 콘베이어) 3 : 루프 형성수단(안내체)
31 : 수입부 32 : 방출부
33 : 도입부재 4 : 대(bar)
4A : 후부 4B : 전부
5 : 대 지지수단 5A : 제1지지부
5B : 제2지지부(수용구) 5B' : 스토퍼
51 : 걸림용 구멍부 6 : 이송수단
6A, 135A : 이송영역 61,61',131 : 주행체
62,62',137 : 암체 62'A : 대지지부(노치)
7 : 수용체(receptacle) 120 : 나선형체(helical body)
본 발명은 긴 케이싱에 충전된 식품, 예로서 소세지(이하 「소세지등」이라 한다.)의 제조 기술분야에 있어서 이용되며, 특히 소세지등을 열처리에 앞서 대에 루프상으로 현가하기 위한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세지등은, 예를들면 소세지의 경우, 대에 루프상으로 현가되어서 열처리공정으로 이송된다. 그때 소세지가 균일하게 열처리되고 고품질인 것으로 되기 위하여, 현가된 소세지의 각 루프는 소정 간격일것이 요구된다. 또한, 소세지 이외의 식품에서도, 상기 루프가 형성되어, 후처리에 대비하여 대기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소세지등을 루프상으로 형성하는 장치로서는, 종래 다음과 같은것이 알려져 있는데, 상술한 바와같이 소세지등을 대에 소정간격의 루프로 현가하는 점에서는 모두 문제점을 가지고있다.
첫째로, 일본 특공소 40-27509에 개시된 것에 있어서는, 소세지는 훈제봉(대)상에 직접 루프상으로 걸리므로, 다음의 2가지의 공지수단에 비하여 대에 갈아거는 작업이 생략되어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 대는 그 후부가 링크 루퍼의 원판의 구멍에 단지 삽입되어서 경사지게 수하되어 있는 상태로서, 소세지의 각 루프는 자중에 의해 대의 위를 아래로 미끄러져가므로 소정간격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대를 뺀 다음에 손작업에 의하여 소정간격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 작업에 대단히 많은 시간이 걸린다.
둘째로, 일본 특공소 41-5899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 장치로서는 링크상으로된 소세지가 방출되는 루퍼의 콘베이어관의 근방에, 등피치로 후크를 갖는 콘베이어 체인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후크에 소세지의 각 루프를 현가시키고 있다. 이와같은 소세지를 열처리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루프의 등피치가 흩뜨려지지 않도록 하여서 소세지를 대에 옮기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옮기는 작업이 소요됨은 물론, 그 작업중에 대에 의하여 제품을 손상하여서는 안되므로 세심한 주의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 뿐만 아니라, 옮길때 피치가 벗어나서, 대신 손작업으로 수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사태로 일어난다.
또한 셋째로 일본 특공소 59-50594에 나타낸 것으로는, 소세지는 나사상의 홈을 주위에 갖는 회전 안내축에 루프상으로 현가되어 순차로 송출된다. 이 장치에는 상기 안내축 상에 등피치로 각 루프가 현가되지만, 이를 대에 옮기지 않으면 안된다는 점에서, 그 특징 및 단점은 상기 둘째의 공지예와 같다.
이상과같이 종래의 수단에 있어서는, 소세지는 직접 대에 걸려있지 않아서, 소정간격의 루프로 형성된 소세지를 그 간격을 벗어나지 않도록 대에 고쳐 걸든지, 아니면 대에 직접 루프상으로 걸어도 루프가 소정간격이 아니기 때문에 다시 간격을 수정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작업 능률상 문제가 있으며, 그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소세지등을 대에 소정간격으로 현가하여, 이 대를 꺼낸 후 계속하여 열처리등의 후처리에 대비할 수 있는 소세지들의 자동 대걸이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원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그 방법과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소세지등의 자동 대결이방법에 대하여는, 소세지등을 대에 현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루프상으로 소세지등을 순차적으로 방출하며, 상기 루프내에 대의 후부가 위치하는 그러한 일정 위치에 대를 부착 분리 가능하게 처리하고, 이 대의 후부에 상기 소세지등을 감아걸고, 편가된 각 루프의 소세지등을 순차적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이 대의 전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것 으로써 구성된다.
다음에,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에 대하여는, 소세지등을 수입하는 수입부를 일단에 갖고 또한 이 소세지등을 대의 후부에 감아걸기 위하여 이 소세지등을 루프궤적을 그리게하면서 방출시키기위한 운동을 하는 방출부를 타단에 갖는 안내체로서 형성되는 루프 형성수단(3)과, 상기 대를 일정위치에서 부착·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 지지수단과, 대에 현가된 소세지등을 소정 간격으로 대의 후부로부터 전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대 지지수단은 상기 루프궤적 내에 대의 후부를 배치한 상태로 이 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것 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루프 형성수단(3)의 안내체는, 그 방출부가 소세지등이 루프궤적을 그리게하는 운동을 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Figure kpo00001
자상으로 만곡한 통형상체 또는 골조만에 의하여 이 통형상체와 같은 형을 이룬 틀체, 나아가서는 이들에 원주방향으로 휨을 수반하는 형상등을 들 수 있다. 또 공급수단으로부터 안내체로 원활히 소세지등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체의 수입부에 공급수단측으로부터 수입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비 회전의 도입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안내체의 방출부의 하방 위치에는 방출부를 향한 수용면(receiving surface)으로 소세지등을 받는 수용체를 재치하면, 안정한 루프형성이 얻어진다.
대 지지수단은 대의 후부와 전부를 각각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로 지지, 또는 후부만에 의하여 한편만 지지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이송수단이 대 지지수단을 겸한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이 한편 지지의 형태인 때에는, 대에 걸리는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루프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후술하는 이송수단과 동속도로 이동하는 보조 콘베이어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 이송수단에 의하여 대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대가 이송수단과 함께 이동함을 지지하기 위하여 스토퍼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상기 대의 후부축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는 안내체의 회전축 상에 위치하는 안내체의 일부에 설치할 수도 또는 이 안내체와는 별체로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대는 주위의 기구와의 관계에 의하여 또는 소세지의 현가를 항상 연결부분에서 행하여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송수단은 대에 현가된 소세지등의 루프를 소정 간격으로 대의 후부로부터 전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이송수단 자체가 전지하는 것과 전진하지 않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전진하는 것으로서는, 예를들면 대와 간격을 두고 이 대의 후부로부터 진부를 향하여 주행하는 이송영역을 갖는 주행체에 대에 현가된 수세지등의 루프와 소정 간격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암체를 장착한 형태가 있다. 주행체 자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들면 체인, 벨트, 로우프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주행체에 장착되어 있는 각 암체는 대에 루프상으로 현가되어 있는 소세지등의 각 루프 사이에 박혀 있으므로, 각 암체는 주행됨에 의해 각 루프를 소정간격으로 유지하면서 추진하도록 되어 있다. 암체는 상기와 같은 루프를 추진하기 위하여, 이 루프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으면 충분하지만, 루프를 확실하고도 안정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루프의 현가장소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서 루프에 접촉함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하여는 암체는 대에 접촉 또는 거의 접촉하기 까지 대에 근접하여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또 암체의 형성은 단순한 환봉상 이어도 되고 각봉이어도 무방하지만, 상기와같이 암체의 루프와의 접촉부분을 루프의 현가 장소에 가능한한 근접시키기 위하여는, 각봉 혹은 대를 수용하는 홈을 가지는 봉재·판재가 바람직하다.
이송수단의 암체는 대의 전부측에서 소세지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대로부터 이반하는 것이 좋다. 그러기 위하여는 주행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점차 대로부터 이반하는 방법, 그리고 급격히 이반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암체를 장착하고 있는 주행체를 점차 대로부터 이반하도록 설치하면 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암체를 주행체의 장착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캠등을 사용하여 소정위치에서 암체가 자중 또는 스프링함에 의하여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장착부에 대해서 암체가 그 길이방향으로 몰입하도록 하면된다.
이송수단이 전진하지 않는 경우로서는, 예를들면 대에 대하여 간격을 유지한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나선형체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나선반경이 대에 현가된 소세지등 까지의 거리를 확보하고 있으면, 상기 나선형체로서 각 루프를 대의 전부를 향하여 이송 하게된다. 또 나선형체의 반경을 대의 후부측에서 점차로 작게하면, 상술한 암체를 대로부터 이반시키는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이상과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세지등의 대걸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각 암체마다 소세지등을 대에 루프 걸이 하기위하여, 루프 형성수단의 안내체가 1회전하는 사이에 이송수단이 1간격 이동하도옥 안내체와 이송수단의 속도를 조정한다. 이 경우, 루프 걸이의 간격을 상기보다도 넓게하고자 할때에는, 이송단의 속도를 안내체의 회전속도에 대하여 정수배로 하면, 상기 루프의 간격은 당초의 간격보다 정수배 넓어진다.
다음에, 소세지등을 공급수단 측으로부터 루프 형성수단의 안내체의 수입부로 송입한다. 그렇게하면 소세지등은 안내체의 방출부로부터 루프를 그리면서 방출된다. 이 루프는 대의 후부를 두러싸고 있으므로, 소세지등은 대의 후부측에 루프상으로 현가된다. 한편, 이송수단은 상기 루프가 하나 형성될 사이에 1회 루프와 걸어 맞추어지므로, 상기 루프는 이송수단에 의하여 하나씩 대의 전부를 향하여 소정간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소세지등의 공급속도를 일정하게 해 놓으면 각 루프의 현가길이는 등길이로 된다. 그리하여 대에는 소세지등이 루프걸이 되어 소정간격으로 순차로 대의 전부측으로 이송되며, 대의 후부로부터 전부에 걸쳐 1지루(chain)의 소세지등이 소정간격으로 현가된다.
그리고, 대가 긴 경우 또는 간격이 작은 경우에, 1자루의 대에 복수자루의 소세지등을 동일한 방식으로 현가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소세지등의 현가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대는 작업자에 의하여 대 지지수단으로 부터 분리되어 열처리에 대비된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4도의 제5도는 제2실시예를, 제6도는 제3실시예, 그리고 제7도는 제4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루프상으로 현가하는 대상인 소세지등을 소세지로서 설명한다. 대상이 소세지 이외의 다른 식품이라도 전적으로 동일하다.
먼저,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장치는 제1도에서 전체가 통합되어서 도시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1은 장치의 기대(base)로서, 이 기대(1)의 우방에는 공급수단으로서 좌상방을 향하여 주행하는 벨트 콘베이어(2)가 경사지고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콘베이어(2)의 좌(상)단부에 인접하여서, 기대(1)로부터는 지지벽( 11)이 설치되고, 이 지지벽(11)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베어링(12)을 통하여 루프 형성수단(3)으로서 안내체가 회전 지지되어 있다.
안내체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3B)와, 이 통형상부(3B)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내경에 연통하여 소세지의 수입부(도시한 경우에서는 수입구(31))로 되는 구멍을 갖는 기부(3A)를 갖고 있다. 그리고 기부(3A)는 스프로켓부(3A')를 갖고있어, 후술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구동되고 있다. 상기 통형상부(3B)는 기부 (3A)의 축심 X에 대하여 각 α만큼 경사져 있다. 즉, 통형상부(3B)의 출구인 소세지의 방출부(도시한 겨우에는 방출구(32))는 X에 대하여 편심 위치에 있다. 따라서 상기 기부(3A)가 X 주위에서 회전구동을 받으면, 상기 방출구는 X 주위에 루프원을 그리게 된다.
벨트 콘베이어(2)로 운반되어오는 소세지를 상기 수입구(31)를 거쳐 통형상부 (3B)로 원활히 유도하기 위하여, 비회전의 도입부재(33)가 기부(3A)의 수입구(31)내에까지 진입해 왔다.
상기 통형상부(3B)의 외주의 한군데에는 대(4)의 후부를 지지하는 걸림용 구멍부(51)를 갖는 블록체가 X 축상에 고착되고, 지지수단(5)의 일방이 되는 제1지지부 (5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지지부(5A)는 상기 통형상부(3B)가 회전에 의하여 그리는 원주면상의 체적면으로 포위되는 공간내에 위치하며, 통형상부(3B)의 방출구(32 )는 대를 일정위치로 유지하면서 이 대(4)의 후부(4A)(우측)의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 지지수단(5)의 타방을 이루는 제2지지부(5B)는 기대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대의 전부(4B)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전부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5B')를 갖고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지지되는 대(4)의 측방에는, 제1도의 요부를 표시하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송수단(6)이 형성되어있다. 이 이송수단(6)은, 스프로켓군(63 a)(63b)…등에 설치된 체인의 주행체(61)와 이 주행체(61)로 부터 횡방향으로 인출하여 장착된 일군의 암체(62)로써 이루어지며, 대(4)에 대하여 간격을 유지하며 이 대 (4)의 후부(4A)로 부터 전부(4B)를 향하여 주행하는 이송영역(6A)을 갖고있다. 각 암체(62)는, 상기 이송영역(6A)에 있어서는 대(4)의 하면에 접하거나 근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그리고 인접하는 암체(62) 사이의 간격은 소정간격, 예를들면 도시한 경우에서는 등피치로 되어있다.
상기 이송수단(6)은, 상기 이송영역(6A)에 이어서 대(4)의 전부측에서, 암체 (62)가 대(4)로 부터 점차 이반하여 가는 부분(6B)을 갖고있다. 따라서 암체(62)는 대(4)의 범위로부터 벗어날때에, 대(4)에 현가되어 있는 소세지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상기 이송수단(6)은, 제3도에 나타낸바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고 있다. 즉 이송수단(6)의 주행체(61)를 장착한 스프로켓군중의 하나의 스프로켓(63a)을 고정하고 있는 축(64a)은 기어박스(75), 스프로켓(72)(74)과 체인(73)을 통하여 무단변속 모우터(71)에 의하여 구동되고 있다. 이 무단변속 모우터(71)는, 동시에 스프로켓(72'), 체인(76)을 통하여 안내체의 기부(3A)의 스프로켓부(3A')까지도 회전구동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로켓의 직경비를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1루프에 대한 암체의 주행피치수를 정할수가 있다.
한편 벨트 콘베이어(2)도 무단변속 모우터(21)에 의하여 스프로켓(21a)(21c)과 체인(21b)을 통하여 구동되고 있다. 안내체와 이송수단(6)을 동시에 구동하고 있는 무단 변속 모우터(71)에 대한 모우터(21)의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1루프의 소세지의 현가길이가 설정된다.
안내체의 방출구(32)의 하방 위치에는, 방출구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만곡한 수용면에 의하여 소세지를 받는 수용체(7)가 배치되어있다(제1도 참조).
또한 지지수단의 제1지지부(5A)와 제2지지부(5B)의 상방 위치에는, 이미 등피치로 루프걸이된 소세지를 현가한 대(4')를 일시적으로 저장해두는 후크 지주(8A) (8B)가 각각 상기 제1지지부(5A) 및 제2지지부(5B)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배후에는, 소세지의 현가에 대비하여 다수의 대를 대기시키는 대적재부(9)가 있다(제1도 참조).
이상과같은 본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벨트 콘베이어(2)로부터 안내체로 소세지를 송입하면서 주행체(61)와 안내체를 구동하면, 소세지는 대(4)의 후부(4A)의 둘레에 루프를 그리면서 안내체의 방출구(32)로 부터 방출된다. 하나의 루프를 그리면서 대의 후부에 현가된 소세지는 이후에 도달한 주행체(61)의 1자루의 암체(62)에 의하여 전진된다. 그리고 다음의 루프가 형성되었을 때에 다음의 암체가 도달한다. 이와같이 하여서 각 루프는 차례로 암체에 의하여 대의 전부를 향하여 등피치로 이행된다.
선두의 루프가 이송영역(6A)으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도달할때에 일련의 소세지의 루프걸이는 종료되고, 작업자는 대(4)를 들어올려 열처리에 대비하여 필요한 장치에 넣든가, 일시적으로 후크 지주(8A)(8B)에 저장해둔다. 그리고 1자루의 소세지에 대하여 루프걸이가 끝난 때에는, 장치를 정지하여 대를 들어올리거나 혹은 다른 소세지를 연속하여 현가할 경우에는 선행하는 상기 1자루의 소세지와의 간격을 상기 피치로 대기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제4도와 제6도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대가 주행체에 장착된 암체에 의하여 지지되어있는 점에 있어서 앞 실시예와 상위하다.
주행체(61')에 장착된 암체(62')는, 회전 가능하며, 그의 스프링등을 사용한 내부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하방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대의 후부의 앞 위치에서는 점차 휘며, 또한 상경사져서 암체(62')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캠(10)이 주행체를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이 캠은 대(4)의 후부로 부터 전부 위치까지는 대(4)를 따라서 거의 직선적으로 뻗어 있어서, 암체(62')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암체(62')는 대(4)의 전부 위치에서 캠(10)으로부터 분리되므로 급격히 하방으로 회전하여서 루프로 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대의 루프걸이 가능영역이 넓어져서 대의 유효 이용이 가능해진다.
암체(62')의 상면에는 대지지부가 되는 거의 V자형상의 노치(62'A)가 있으며, 이 노치에 의하여 대를 암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함과 동시에 지지하고 있다. 이와같은 V자형상의 노치에 의하여 대를 지지함은, 암체를 루프의 현가 장소에 극히 가까운 위치에서 루프에 접촉시킨다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 대의 전부 위치에는 이 대의 전단면에 접하여 대의 전진을 지지하는 스토퍼( 101)가 배열되어 있다.
대는 이리하여 일련의 암체(62')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실시예와 같이 지지수단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 대의 후부로 안내체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으므로, 이 후부의 위치는 자유도가 있으므로,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안내체의 회전축상 이외에도 배치할 수 있으며, 또 안내체의 회전궤적면으로 포위되는 원추공간의 전방에도 배치할 수 있다.
또 암체는 제4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경사암의 선단에 걸릴 돌출부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제6도에 나타낸 제3실시예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2개의 실시예에 비하여, 이송수단 자체는 전혀 이동하지 않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제6도에 있어서, 대(4)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축심(121)둘레에 두루감긴 나선형체(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나선형체(120)의 두루감긴 반경은 소세지의 루프에 걸리는데 충분한 길이로, 또 나선피치는 앞 실시예에 있어서의 암체의 피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나선형체(120)는 양단부에 상기 회전축심(121 )상에서 베어링(124)(125)에 의하여 지지되는 피지지부(122)(123)을 갖고 있으며, 전부측의 피지지부(122)는 스프로켓(126)에 고정되어서 회전구동을 받고있다. 또 대 (4)와 회전축(121)은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같은 나선형체(120)를 스프로켓(126)을 통하여 회전시키면, 이송수단으로서의 나선형체(120)는 전혀 전진 이동함이 없이 소세지만이 전방으로 이송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점은, 이송수단을 위한 공간이 적으며 또 그 기구도 극히 간단하게 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상기 나선형체(120)의 전단측을 선단이 감소된 외경이 되도록 두루감으면, 제1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암체의 이반부분(6B)과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는 상기처럼 선단부분이 감소하게 두루감은 대신에, 소세지의 대에 루프걸이가 끝난 시점에서, 상기 나선형체(120) 전체를 대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6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대의 일측만 나선형체를 형성하였으나, 2개의 나선형체를 대의 양측에 위치시켜서, 소세지를 양측으로 부터 같은 힘으로 이송시킬 수도 있다.
또 상기 나선형체를 축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하면, 피치를 임의로 선정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7도에 나타낸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주행체가 암체에 대하여 직간인 평면 상에서 주행하는 점, 대의 전부에 있어서 그리고 암체가 그 길이 방향에서 급격히 대로부터 이반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체인(131)은, 기어박스(133)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프로켓(132)에 두루감기어 있으며, 그 두루감긴면은 체인(131)에 장착된 블록(134)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된 암체(137)와 직각으로 되어 있다. 암체(137)의 선단측은, 대(4)의 하측에 접하고, 양단면은 스프링(136)에 의하여 캠(135)의 일측면에 탄성압축되어 접촉해 있다. 상기 캠(135)은 이송영역에 대(4)와 평행인 직선부분(135A)을 갖고, 대(4)의 전부근방에서 절단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또 상기 이송영역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은 점차 대방향으로 접근하는 테이퍼부분(135B)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 장치에 의하면, 이송영역으로 되는 상기 캠의 직선부분(135A)에 있어서는 암체(137)는 블록(134)에서 대방향으로 돌출하여 대(4)에 접하고, 이송영역의 종료, 즉 캠의 선단에 도달하면, 암체(137)는 캠으로부터 벗어나서 스프링(136)의 힘에 의하여 대로부터 반대측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이때 암체는 일정거리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암체는 캠의 데이퍼부(135B)에 의하여, 재차 돌출위치로 돌아와서, 상기 직선부분(135A)의 초기단으로 귀환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과 제2실시예에 대하여 이송수단을 위한 공간, 특히 바닥면적이 적게들 뿐 아니라, 암체의 대로 부터의 급격한 이반이 가능하게 되어, 제2실시예의 암체의 경우와 같이, 대의 유효한 이용이 가능해진다.
이상과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 측으로부터 보내지는 소세지등은 자동적으로 대에 소정간격으로 루프걸이 되므로, 소세지의 열처리에 대비한 대결이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 능률은 대단히 향상하게 된다.
또 충전기(stuffing machine)의 링크 형성 반송장치를 본 발명장치에 접속하면 , 소세지등의 충전으로부터 대걸이까지 완전히 자동화할 수 있다. 또 종래 충전기측에 능력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대걸이 장치가 손작업에 의한 공정이 많아서 그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였으므로, 전체로서 능률이 불량하였으나,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대걸이가 능률화 하므로 상기 충전기를 접속한다면 충전기는 충분히 그 능률을 발휘할 수 있게되어, 충전으로 부터 대걸이 까지의 전체의 작업능률이 대단히 향상된다.

Claims (13)

  1. 소세지등을 대(4)에 현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루프상으로 소세지등을 순차적으로 방출하며, 상기 루프 내에 대의 후부(4A)가 위치하는 그러한 일정위치에 대(4)를 부착·분리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대의 후부(4A)에 상기 소세지등을 감아걸고, 편가된 각 루프의 소세지등을 순차적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이 대의 전부(4B)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 방법.
  2. 소세지등을 수입하는 수입부(31)를 일단에 갖고 또한 이 소세지등을 대의 후부(4A)에 감아걸기 위하여 이 소세지등을 루프 궤적을 그리게 하면서 방출시키기 위한 운동을 하는 방출부(32)를 타단에 갖는 안내체로서 형성되는 루프 형성수단(3)과, 상기 대(4)를 일정위치에서 부착·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 지지수단(5)과, 대(4)에 현가된 소세지등을 소정간격으로 대의 후부(4A)로 부터 전부(4B)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이송수단(6)을 구비하고, 상기 대 지지수단(5)은 상기 루프 궤적내에 대의 후부(4A)를 배치한 상태로 이 대(4)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이송수단(6)은 대(4)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이 대의 후부(4A)로 부터 전부(4B)를 향하여 주행하는 이송영역(6A ; 135A)을 갖는 주행체(61 ; 61' ; 131)을 갖고, 이 주행체(61 ; 61' ; 131)에는 상기 대(4)에 현가된 소세지등과 소정 간격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암체(62 ; 62' ; 137)가 장착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이송수단은 대(4)에 대하여 간격을 유지한 축심(121)둘레로 회전하는 나선형체(1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등의 자동 대결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대 지지수단(5)은 대의 후부(4A)를 지지하기 위하여 안내체의 회전 축심(X)상에 설치된 제1지지부(5A)와, 대의 전부(4B)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5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지지부(5A)는 안내체의 일부에 형성된 걸림용 구멍부(51), 제2지지부(5B)는 대의 전부(4B)를 받는 수용구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대 지지수단은 이송수단(6)의 각 암체(62')에 설치되어서 대(4)를 암체(62')의 길이 방향에서 위치결정하며 지지하는 대 지지부(62'A)와 전부(4B)방향으로의 대(4)의 이행을 지지하는 스토퍼(101)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암체(62 ; 62' ; 137)는 적어도 이송수단(6)의 이송영역(6A ; 135A)에 있어서는 대(4)의 하측에 접촉하거나 또는 근방에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
  9. 제3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이송수단(6)은 대의 전부(4B)측에서 주행체(6)가 주행함에 따라서 암체(62)가 대(4)로 부터 점차 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
  10. 제3, 7 및 8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이송수단(6)의 암체(62')는 이송영역(6A)을 통과한 후 회전하며, 대의 후부(4A)측 위치로 귀환할때 까지 대의 아래측에 접한위치 혹은 그 근방에 복귀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소세지등을 수입부(31)로 도입 안내하는 비회전의 도입부재(33)가 루프 형성수단(3)의 안내체의 수입부(31)내까지 진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안내체의 방출부(32)의 하방 위치에는 방출부(32)를 향한 수용면으로 소세지등을 받는 수용체(7)가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이송수단(6)의 암체(62')는 대(4)를 받는 대 지지수단까지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 장치.
KR1019850007830A 1984-10-25 1985-10-23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방법과 그 장치 KR940000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193684U JPH0140467Y2 (ko) 1984-10-25 1984-10-25
JP?59-161936 1984-10-25
JP161936(U) 1984-10-25
JP117423 1985-05-30
JP?60-117423 1985-05-30
JP60117423A JPS61274648A (ja) 1985-05-30 1985-05-30 ソーセージ等の自動竿掛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965A KR860002965A (ko) 1986-05-19
KR940000526B1 true KR940000526B1 (ko) 1994-01-24

Family

ID=2645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830A KR940000526B1 (ko) 1984-10-25 1985-10-23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82385A (ko)
EP (1) EP0179528B1 (ko)
KR (1) KR940000526B1 (ko)
DE (1) DE357565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158B2 (ja) * 1985-10-18 1995-06-21 ハイテツク株式会社 ソーセージ等の竿への受渡し方法及びその装置
DE3837222A1 (de) * 1988-11-02 1990-05-03 Handtmann Albert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packungsgerechten gruppenweisen aneinanderruecken von wuersten
DE69029533T2 (de) * 1989-04-22 1997-07-24 Hitec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hängen umhüllter gefüllter Produkte
DE8912219U1 (ko) * 1989-10-13 1989-11-23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7950 Biberach, De
DE69225728T2 (de) * 1991-01-25 1999-03-11 Hitec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hängen einer Kette von zusammenhängenden Produkten
GB9307773D0 (en) * 1993-04-15 1993-06-02 Devr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usage links
DE29508293U1 (de) * 1995-05-18 1995-09-21 Handtmann Albert Maschf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Würsten
DE10033494C2 (de) * 2000-07-10 2003-06-26 Handtmann Albert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ageänderung von Wurstketten
ES2176118B1 (es) 2001-03-16 2004-01-16 Metalquimia Sa Maquina para ablandar piezas de materia carnica.
US6869353B2 (en) * 2001-11-16 2005-03-22 Hite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a sausage from a stick
US7249997B2 (en) * 2001-11-16 2007-07-31 Hite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a sausage from a stick
US7048622B2 (en) * 2002-02-04 2006-05-23 Conagra Foods, Inc. Automated laterally offset retractable food dislodgement or guiding mechanism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US6878053B2 (en) * 2002-03-07 2005-04-12 Conagra Foods, Inc. Automated loaders or winders and rel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7040975B2 (en) * 2002-03-07 2006-05-09 Conagra Foods, Inc. Automated supply, load and take-away system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for lengths of elongated product
US6786813B2 (en) * 2002-03-07 2004-09-07 Conagra Foods, Inc. Automated loading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ed to straddle load elongated product onto a receiving member
US6866573B2 (en) * 2002-04-08 2005-03-15 Conagra Foods, Inc. Automated support member positioning and removing system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6869352B2 (en) * 2002-06-13 2005-03-22 Conagra Foods, Inc. Repetitive high-density packing mechanisms for arranging suspended lengths of elongated items in a desired orien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DE10332329A1 (de) * 2003-07-16 2005-02-24 Poly-Clip System Gmbh & Co. Kg Transport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an Schlaufen hängenden Gegenständen
ES2274685B1 (es) * 2005-03-23 2008-01-16 Javier Rigart Cruz Maquina y procedimiento para etiquetar y descolgar piezas de embutido.
DE102006041829A1 (de) * 2006-09-06 2008-03-27 Poly-Clip System Gmbh & Co Kg Fertigungslinie zur Herstellung wurstförmiger Produkte
DE102006042544A1 (de) * 2006-09-11 2008-03-27 Poly-Clip System Gmbh & Co Kg Füllgelenkvorrichtung für ein fließfähiges Füllmedium
EP1985183B1 (de) * 2007-04-25 2009-06-17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Rauchstockzuführung und Verfahren zum lagegenauen Zuführen eines Rauchstocks
US7520802B1 (en) 2008-02-08 2009-04-21 Stork Townsend Inc. Conveyor system with moveable drop point
DE102011005201A1 (de) * 2011-03-07 2012-09-13 Vemag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Wurstketten zu einer Aufhängevorrichtung
JP6107707B2 (ja) * 2014-03-04 2017-04-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搬送装置
CN109042806B (zh) * 2018-09-29 2023-10-27 佛山市奥楷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香肠挂杆系统及其控制装置、控制方法
DE202019103013U1 (de) * 2019-05-28 2020-08-31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Ändern des Höhenniveaus von Wurstkett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5668A (en) * 1962-05-14 1963-12-31 Townsend Engineering Co Machine for encasing sausage and the like
US3204844A (en) * 1962-07-25 1965-09-07 Schmidt Walla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ieners
US3430831A (en) * 1967-07-13 1969-03-04 Hormel & Co Geo A Transfer device for a frank-o-matic system
DE2610315C3 (de) * 1976-03-12 1982-02-04 Albert Handtmann Gmbh & Co, 7950 Biberach Aufhängevorrichtung für Würste
US4233709A (en) * 1979-06-06 1980-11-18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Link cutter
DE3206956A1 (de) * 1981-03-05 1982-09-16 C. Hoegger & Cie. AG, 9202 Gossau Beschickungsmaschine und aufnahmeeinrichtung fuer portionierte wurstketten
DE3238023A1 (de) * 1982-10-13 1984-04-19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7950 Biberach Vorrichtung zur uebergabe von wurstschleifen auf einen rauchst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79528A1 (en) 1986-04-30
US4682385A (en) 1987-07-28
EP0179528B1 (en) 1990-01-31
KR860002965A (ko) 1986-05-19
DE3575659D1 (de) 199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526B1 (ko) 소세지등의 자동 대걸이방법과 그 장치
US48801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sausages to a bar
US4547931A (en) Apparatus for automatic delivery from a receiver of adjacently hanging loops of sausages
US5163864A (en) Apparatus for feeding sausage loops to a smoking rod
US4761854A (en) Suspension device for strings of sausage links
US7018283B2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ultry carcasses
US4494276A (en) Feeding machine and receiving device for apportioned sausage chains
JP2009501118A (ja) 軸回転するフックを備えるコンベア装置
US5183433A (en) Sausage encas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looper horn
CN210275709U (zh) 一种真空灌肠机
JPH0449380B2 (ko)
US51083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live fowl onto a conveyor
RU2543292C2 (ru) 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9122792A (zh) 一种香肠制品生产线
JPS5827342B2 (ja) チヨウシヤクブツタイノヒフクホウホウオヨビソウチ
US6234891B1 (en) Collating conveyor for sausage links
JPH0221781B2 (ko)
US3297131A (en) Parts feeder
JPH039661Y2 (ko)
EP15585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elivery of items to a reception area
US5499708A (en) Elongate member orienting ramp
JPH04252137A (ja) ウインナーソーセージの竿掛け装置及びその竿掛け方法
SU923348A3 (ru) Способ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подачи в рыборазделочные машины ры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подачи в рыборазделочные машины рыб
JPS62179333A (ja) ソ−セ−ジ自動竿掛け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958150B1 (ko) 이송대상물의 간격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