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113B1 -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113B1
KR940000113B1 KR1019860000172A KR860000172A KR940000113B1 KR 940000113 B1 KR940000113 B1 KR 940000113B1 KR 1019860000172 A KR1019860000172 A KR 1019860000172A KR 860000172 A KR860000172 A KR 860000172A KR 940000113 B1 KR940000113 B1 KR 94000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metal salts
alkaline earth
organic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857A (ko
Inventor
달만 헤르만
쉐이퍼 베르너
가브리쉬 볼프강
헨셀 하르트무트
Original Assignee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베틀라우퍼, 게르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598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400001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베틀라우퍼, 게르만 filed Critical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6000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개선된 치수(dimensional) 안정성, 내마모성, 연신도(drawability) 및 슬립(slip)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2축 또는 다른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에를 들어 2축 배향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우수한 인장 강도, 내인렬성, 탄성투명계수, 내약품성 및 내열성을 갖는다. 이들 특성으로 인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비디오, 오디오 및 컴퓨터 필름 지지체 뿐만 아니라 포장 및 전자복사 제품을 포함하는 여러 용도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여러가지 용도의 특정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요건의 하나는 필름 표면상에서의 충분히 낮은 마찰계수이다. 필름표면이 거칠수록, 권취 동작(winding behavior)이 향상됨으로써 생성율이 향상된다. 낮은 마찰계수 및 우수한 기계적 특성외에, 자기 테이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균일한 표면조도(roughness), 우수한 내마모성, 및 치수 안정성을 추가로 가져야 한다.
이들 요건은 필름을 제조하는 동안 공정 파라미터 또는 중합체 배합을 조절함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저기테이프 기재 필름에 요구되는 이들 요건중의 하나를 만족시키기 위해 표면 지형(topography)을 조절하는 것은 두가지 방법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폴리에스테르에 무기입자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입자는 탄산 칼슘, 이산화규소, 고령토, 황상비륨, 및 이산화티탄중에서 선택한다.
두번째 방법은 폴리에스테르를 합성하는 동안 폴리에스테르 촉매잔사 및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침전을 조절하여 “내부입자”를 생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무기입자를 사용하면 입자로부터 매트릭스가 인렬되는 곳에서 연신 공정동안 기공이 형성되기 쉽다. 필름을 더 가공할때, 예를들어 피복하는 동안, 표면부근을 덮고 있는 중합체 부분이 느슨해지고 마모될 수가 있다. 이러한 마모에 의해 야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볼-균일성은 필름을 자기테이프 용으로 사용하는데 부적합하게 할 수 있다.
더우기, 무기입자의 다소 광범위한 입자크기분포 뿐만아니라 어려운 제조공정에도 불구하고 응집체를 형성하는 경향도 필름의 질에 악 형향을 준다.
한정된 크기의 소위 “내부 입자”(촉매 침전물)의 생성은 공정-기술적인 관점에서 보아 극히 어려운 것이다.
필름의 표면지형을 개선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입자와 중합체간의 점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미합중국 특허 제 4,320,207호에는 폴리에스테르에 무기입자대신, 작용그룹 및 좁은 입자크기분포를 갖는 초미분된 입자, 가교결합된 유기입자, 경화된 유기입자, 소구체 형태(독일연방공화국 공개공보 제 33 13 923호 참조)의 가교결합된 유기 구형입자를 함유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매트릭스에 더욱 잘 결합되도록 하기위한 좁은 입자크기분포 분만 아니라 작용기를 갖는 가교결합된 구형입자를 함유하는 필름은 한정된 표면 조도를 가지므로 우수한 전자(electro-magnetic) 특성을 갖는다.
더우기, 상기 필름은 우수한 슬립특성 및 탁월한 투명도를 갖기 때문에, 특히 제조공정동안 공정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이들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필름은 포장재료용 기재필름 뿐만 아니라 사진 필름, 자기테이프 등과 같은 특수용도에 아주 적합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필름이 불충분한 마모행동 뿐만아니라 불만족스러운 치수 안정성을 가지므로 여러 최종용도에 대하여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 P 34 34 838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치수안정성 및 내마모성이 핵형성제의 첨가에 의해 개선되는 것으로 이미 재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형태의 필름은 최적의 슬립특성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특성 뿐만아니라 탁월한 내마모성, 개선된 치수 안정성 및 연신도를 나타내는, 매우 균일한 표면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피름을 제조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스테르에 공유결합되고 폴레에스테르 전체에 걸쳐서 거의 균일하게 분산된 가교결합된 유기입자[여기서, 입자의 입자크기분포는 0.01 내지 5.0㎛이다(여기서, 중량 평균입자 지름과 수평균 입자지름의 비율(guotient)은 1.1 이하이다)] 0.005 내지 5.0중량%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폴리에스테르(여기서, 화학적으로 변형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에스테르 왁스의 알칼리금속염, 에스테르 왁스의 알칼리토금속염, 부분적으로 검화된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금속염, 부분적으로 검화된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토금속염,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알칼리금속염과의 이온 공중합체, 나트륨 올리에이트와 같은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페놀술폰산의 알칼리금속염, 알칼리토금속 탄산염, 및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중에서 선택된 핵 형성제 0.1 내지 10.0%를 추가로 함유한다)로 이루어진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내마모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i)(1)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입자크기분포가 0.01 내지 5.0㎛이고 중량 평균 입자지름과 수평균 입자지름의 비율이 1.1이하인 가교결합된 유기 입자 0.005 내지 5.0중량%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용융 열가소성 중합테를 (2)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금속염,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토금속염, 부분적으로 검화된 에스텔르왁스의 알칼리토금속염, 부분적으로 검화된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금속염,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알칼리 금속염과의 이온 공중합체, 페놀술폰산의 알칼리금속염,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및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중에서 선택된 핵형성제 0.01 내지 10.0%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시키고 : (ii) 슬로트 다이(slot die)를 통하여 상기 혼합물을 압출시켜 시트유사 압출물을 형성시킨 다음 : (iii) 냉각롤러(chill roller)에 의해 상기 압출몰을 냉각시킴으로써 캐스트 시트(cast sheet)를 형성시키고 : (iv) 언급된 캐스트 시트를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배향시켜 배향된 필름을 형성시킨 후 ; (v) 상기 배향된 필름을 150 내지 240℃의 온도에서 열-고정(heat-setting)시킴을 특징으로하여 내마모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 요약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라에스테르 필름은 0.01 내지 5.0㎛의 좁은 입자크기분포를 갖는 유기, 바람직하게는 경화되거나 가교결합된, 입자 0.005 내지 5.0중량%를 함유할 뿐만아니라 필름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중량%의 핵형성제를 함유한다.
폴리에스테르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상이한 폴리에스테르들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중합체와의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블랜드도 본 발명에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물질로서 간주된다.
폴리에스테르는 예를들어 아연, 칼슘, 마그네슘, 리튬, 또는 게르마늄염의 촉매 효과를 갖는 에스테르 교환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대신 직접 네스테르화 공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스티르의 예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P-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2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클리콜과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또는 2,6-나프탈렌 디카복실산으로부터의 일-또는 중축합물이 있다.
또한, 코폴리에스테르는 성분으로서, 아디프산, 세박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5-술포-이소프탈레이트의 나트륨염, 트리-멜리트산과 같은 다작용가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은, 예를들어 폴리에틸레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술폰이소프탈산과 같은 술폰산 유도체의 알칼리금속염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에 첨가되거나 혼합될 수 있는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 그 자체가 검화될 수 있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이오노머,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술폰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있다.
필름중에 함유된 경화된 유기 입자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가교결합된 유기 입자는 성분으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말레산 디알킬 에스테르와 같은 불포화된 디카복실산의 에스테르, 스티렌과 같은 불포화된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된 니트릴, 불포화된 카복실산과 같은 작용 단량체,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히드록실-함유 단량체,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폭사이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불포화된 술폰산 등과 같은 불포화된 비이온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결합 성분의 예로는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비닐 벤젠 등이 있다.
작용 그룹은 가지며 폴리에스테르 메트릭스와 가교결합된 입자간에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입자중에서 중합되는 성분으로는 히드록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아트릴산, 및 메타크릴산이 포함된다.
입자가 경화되고 가교결합되는 정도는 특히 경화 및 가교결합 성분의 조성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다.
특히 필름과 같은 형성 제품의 제조시 또는 스크랩(scrap) 필름의 재생 이용시에, 유기입자는 중합테 합성 동안 용해 및 용융되지 않으며, 중합체의 융용동안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은 중요한 사실이다.
유기 입자는 유화중합 또는 현탁 중합과 같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유기 입자는 중합체 제조동안 수성 또는 글리콜 분산액의 형태로 또는 농축물의 형태로 중합체 매트릭스에 첨가할 수 있다. 중합체를 합성하는 동안 유기입자를 첨가함으로써 특히 매트릭스내에서의 결합력 뿐만아니라 중합체 자체내에서의 분산성이 향상된다.
유기입자는 좁은 입자크기 분푸와 함께 0.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3.0㎛의 지름을 갖는다. 입자지름의 중량평균(DW)와 입자지름의 수평균(Dn)의 비는 1.1미만이 바람직할 것이다. Dw와 Dn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하기 문헌[U. E. Woods, J. S. Dodge, I. M. Krieger, P. Pierce, Journal of Paint Technology, Vol, 40. No. 527. P. 545(1968)]을 참조하면 된다.
경우에 따라, 균일한 크기의 유기입자 또는 크기가 매우 비슷한 입자의 혼합물만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은,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3중량%의 양으로 상기 유기입자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핵 형성제는 유기 또는 무기핵 형성제일 수 있다. 유기 핵 형성제는 에스테르왁스 또는 부분적으로 검화된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 예를들면 몬탄산,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알칼리금속염과의 이온 공중합체,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예를들면, 나트륨 올레이트), 페놀술폰산으로 부터의 알칼리금속염, 벤조에이트 또는 스테아레이트로부터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 및 솔비톨 유도체일 수 있다.
무기 핵 형성제는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및 이산화티탄 및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산화물, 탈크 및 실리케이트, 및 질화붕소이다.
몬탄산은 주로 23 내지 26개의 탄소원자 쇄길이를 갖는 지방족 모노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산 혼합물이다. 적합한 몬탄 왁스염은 양이온으로서, 주기율표의 제1 내지 제3주족 금속, 바람직하게는 리튬, 나트륨, 칼륨, 베릴륨, 망간, 칼슘 및 알루미늄을 함유한다. 몬탄산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0.1 내지 1당량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9당량의 수산화나트륨과의 몬탄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염을 부분적으로 검화된 몬탄 왁스염으로서 사용한다.
적합한 몬탄 왁스 에스테르 염은 몬탄산을 알킬렌기중에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2가 알코올 0.9당량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당량으로 부분 에스테르화 시킨 다음 필요로하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로 중화시켜 수득한다. 특히 적합한 디올은, 예를들면,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및 1,4-부탄디올이다.
몬탄산을 기본으로 한 핵형성제 및 이를 필름에 사용되는 일본국 특허공고 제81/139,551호에 기술되어 있다(참고 : Chem. Abstracts 96 : 53440g). 언급된 첨가제를 사용하여 제저된 필름의 투명도 및 마찰계수는 이 문헌에 있다.
하지만, 놀라웁게도, 본 발명자는 경화되거나 가교결합된 유기입자 및 핵형성제를 첨가하고 폴리-에스테르 재료를 사용하여, 특히 우수한 내마모성 뿐만아니라 개선된 치수 안정성 및 연신도를 가지며, 동시에 탁월한 투명도를 갖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의 핵형성제를 폴리에스테르 물질을 제조동안 또는 후에 폴리에스테르 물질에 첨가할 수 있다. 실제로, 최적의 치수 안정성 및 내마모성을 얻기 위해서는 핵형성제를 매스터 뱃치(master batch)의 형태로 첨가하거나 핵 형성제를 건조된 입상체(granulate)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핵형성제 이외에, 본 발명의 필름은, 콜로이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는 불활성 무기 입자, 잔류 촉매 입자 등과 같이 슬립 및 글라이드(glide) 특성을 최적화하는 작용제, 뿐만아니라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열안정화제, 염료 등과 같은 기타 통상적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핵형성제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물질을 용융시키고, 캐스트 필름으로 압출시킨 다음 냉각물상에서 급냉시키기는 압출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그런 다음 이 필름은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내지 16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의 연신비로써 종 방향(mochine dierction. MD) 및/또는 횡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으로 연신시킨 다음, 150℃ 내지 240℃의 온도에서 열 고정시킨다. MD 및 TD 연신 단계의 수 및 순서는 예정되어 있지 않지만, 필름의 요구조건에 따라 정한다. 개별적인 MD 및 TD 연신 과정은 1 이상의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MD 및 TD 연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연신공정에서 생성된 필름운 한쪽 방향으로만 강도를 갖거나(1축 연신), 양쪽 방향으로 균등한 기계적 특성을 갖거나(균등 연신 필름) TD 및/또는 MD방향으로 특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인장 또는 초인장 필름).
또한, 필름은 둘이상의 층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다른 핵형성 또는 배합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재료를 동시압출 또는 적층에 의해 다중층 필름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 또한, 다른 핵형성 및/또는 배합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재료를 동일한 방법으로 핵형성안된 폴리에스테르 재료와 결합시킬 수 있다. 여러 핵형성재 및 첨가제의 장점은 이러한 층을 갖는 구조의 결과로서 필름의 개개적용 분야에 특별하게 적용될 수 있다.동시에 압출된 필름의 형태는 대칭적이거나 비대칭적일 수 있다. 상술된 공정을 사용함에 있어서, 핵형성체를 첨가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용융물을 냉각롤상에서 냉각시킬 때 이결정 형성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음은 특히 놀라운 것이다 캐스트필름이 후속연신공정을 거칠 수 있도록, 캐스트필름의 밀도는 1.34g/㎤미만이다. 더우기, 미결정의 형성을 위한 핵 또는 핵형성제에 의한 악영향이 필름 연신동안 관찰되지 않는다. 이들핵은 필름의 수축 경향을 강하게 감소키시는 열 고정 공정단계까지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개개의 연신 단계에 있어서, 밀도, 연신 및 미결정 크기 및/또는 수 사이에 명백한 상호관계가 있다. 이 상호관계는 핵형성제를 필름에 첨가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놀라웁게도,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악화되지 않는다. 필름의 개선된 내마모성, 치수 안정성 및 연신도이외에,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은 핵형성제의 첨가로 인해 더 고온에서 폴리에스테르 입상체를 건조시킬 때에, 폴리에스테르 입자의 점착경향이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의 결과로서, 이 단계에서 압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사용하면, 더 빠른 제조속도를 유지하면서도 동일한 잘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서 채산성이 개선된다.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필름을 추가 피복하여 표면특성 및 표면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피복물은 특히 가교결합가능하거나, 경화기능 하거나 또는 이미 경화되거나 가교결합된 물질 및/또는 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판, 열-경화성 아크릴산 유도체, 폴리실록산,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중합체에 첨가할 수 있는 물질이 있다.
분산액 또는 용액은, 피복된 피복물의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몬탄산 나트륨, 지방산 에스테르, 실란 또는 실록산 커플링시약과 같은 유기 첨가제 뿐만아니라 콜로이드성 이산화실리콘 및 이산화티탄 입자와 같은 무가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피복은 연신단계를 사이에 또는 연신후에 인-라인(in-line)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되며 좋은 입자크기분포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기재와 함께 미세하게 분산된 가교결합된 중합체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사용한다. 입자들은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동안 중합체내에 분산시켜 첨가한다. 필름의 마모 행동은, 일정한 장력[1N]을 갖는 폭 12.5mm의 필름밴드를 먼저 고무 클리닝 롤[Cleaning roll]을 거쳐 연신시킨 다음, 카세트로부터의 고정 편향핀 상기 연기시키고, 계속하여 측정롤로서 작용하는 두개의 고무롤로 가로질러 최종적으로 감는 측정 단위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고무룰상에 잔류하는 마모된 물질의 양은 1 내지 5의 등급으로 평가하거나 “매우 우수” 내지 “열등”으로 평가한다.
실시예 I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0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5중량부 및 디비닐 벤젠 2.5중량부를 함유하며,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평균 입자지름이 0.65㎛인 가교결합된 유기입자 1000ppm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에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몬탄산 나트륨 0.4중량%를 첨가한다. 혼합물을 용융시키고, 슬로트 다이를 사용하여 필름으로 형성시킨 다음 고-광택 롤[high-gloss-polished roll]상에서 급냉시켜 무정형 필름을 형성시킨다. 그 다음, 캐스트 필름을 단계적 공정으로 2축 연신시키고, 표면 연신 비율 λ가 1.3이 되게 한다. 그 다음, 2축 연신된, 두께가 거의 14.4㎛인 필름을 195℃에서 열 고정시킨다.
비교 실시예 I
몬탄산 나트륨을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I에서의 같이 단계적으로 2축 연신된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I과 비교실시예 I에서 제조된 필름들의 수축, 연신, 내마모성 및 헤이즈(haze)를 포함하는 여러 특성을 평가한다. 그 결과가 표 I에 나타나 있다.
[표 1]
실시예 II
실시예 I에서와 같이, 54℃의 표면온도를 갖는 고-광택 롤상에서 필름을 형성시킨다. 그 다음, 무정형 캐스트 필름을 MD 방향으로 λ=4.7의 표면 연신비율로 117℃에서, 그리고 λ=3.6의 TD 연신 비율로 95℃에서 단계적 공정으로 연신시킨다음, 195℃에서 열 고정시킨다.
비교실시예 II
몬탄산 나트륨을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II에서와 같이, 단계적으로 2축 연신된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II와 비교실시예 II에서 제조된 필름을 수측, 내마모성, 헤이즈, 및 동마찰(kinetic frction)계수를 포함하는 여러 특성에 대하여 평가한다. 그 결과가 표 II에 나타나 있다.
[표 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DIN 53375에 다르는 동마찰계수

Claims (21)

  1. 조성물의 통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스테르에 공유 결합되고 폴리에스테르 전체에 걸쳐서 거의 균일하게 분산된 가교결합된 유기 입자 [여기서, 입자의 입자크기분포는 0.01 내지 5.0㎛이다(여기서, 중량 평균 입자 지름과 수평균 입자지름의 비율은 1.1이하이다)] 0.005 내지 5.0중량%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폴리에스테르(여기서 화학적으로 변형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금속염,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 토금속염, 부분적으로 검화된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 금속염, 부분적으로 검화된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 토금속염,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알칼리 금속염과의 이온 공중합체, 페놀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및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중에서 선택된 핵형성제 0.01 내지 10.0%를 추가로 함유한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내마모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2 내지 3.0㎛의 입자크기 분포를 갖는 가교결합된 유기입자 0.02 내지 3.0중량%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변형시키며, 핵형성제가 몬탄산 나트륨 및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알칼리 금속염과의 공중합체중에서 선택되는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유기 입자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애서 선택된 수지를 기분으로 하는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유기 입자가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유기입자를 가교결합제로서 디비닐벤젠을 사용하여 가교결합시켜 제조하는 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유기입자를 가교결합제로서 디알릴 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가교결합시켜 제조한 필름.
  7. 제5항에 있어서, 유기입자를 헤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성분하나이상을 사용하여 제조한 필름.
  8. 제6항에 있어서, 유기입자를 헤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성분하나이상을 부터 제조한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필름을 탄소수 2 내지 10의 글리콜과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의 단독-또는 공중축합체로부터 제조한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티르 필름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제조한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유기입자를 유화 중합 또는 현탁 중합에 의해 제조한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가 상이한 폴리에스테르 둘 이상을 포함하는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및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상이한 역가소성 중합체 하나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탄산 칼슘, 이산화규소, 고령토, 황산 바륨, 및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무기입자 하나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필름층 하나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층이 제1층과 상이한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필름.
  17. 제15항에 있어서, 층들을 동시에 압출한 필름.
  18. 제1항에 있어서, 필름 하나이상의 주 표면상에 추가의 가교결합가능한 피복층 하나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19.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입자크기분포가 0.01 내지 5.0㎛이고 중량평균입자지름과 수평균입자지름의 비율이 1.1이하인 가교결합된 유기입자 0.005 내지 5.0중량%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용융열가소성 중합체를,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금속염,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 토금속염, 부분적으로 검화된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 토금속염, 부분적으로 검화된 에스테르왁스의 알칼리 금속염,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알칼리 금속염과의 이온 공중합체, 나트륨 올레이트와 같은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페놀술폰산의 알칼리금속염,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및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핵형성제 0.01 내지 10.0%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시키고 ; 슬로트 다이(slot die)를 통하여 상기 혼합물을 압출시켜 시트유사 압출물을 형성시킨 다음 ; 냉각 롤러(chill roller)에 의해 상기 압출물을 냉각시킴으로써 캐스트 시트(cast sheet)를 형성시키고 ; 상기 캐스트 시트를 하나이상의 방향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배향된 필름을 형성시킨 후 ; 상기 배향된 필름을 150°내지 240℃의 온도에서 열-고정(heet-setting)시킴을 특징으로하여 내마모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캐스트 시트를 별개의 두 단계로 2축 배향시키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캐스트 시트를 단일의 동시 연신단계로 2축 배향시키는 방법.
KR1019860000172A 1985-01-15 1986-01-14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940000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501018.5 1985-01-15
DE19853501018 DE3501018A1 (de) 1985-01-15 1985-01-15 Polyesterfol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857A KR860005857A (ko) 1986-08-13
KR940000113B1 true KR940000113B1 (ko) 1994-01-05

Family

ID=625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172A KR940000113B1 (ko) 1985-01-15 1986-01-14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01640A (ko)
EP (1) EP0188198B1 (ko)
JP (1) JPH0696647B2 (ko)
KR (1) KR940000113B1 (ko)
DE (2) DE3501018A1 (ko)
IN (1) IN1665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1017A1 (de) * 1985-01-15 1986-07-17 Hoechst Ag, 6230 Frankfurt Orientierte kunststoffolie
JPH0747649B2 (ja) * 1987-11-10 1995-05-24 帝人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643257B2 (ja) * 1988-03-16 1997-08-20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JPH01319127A (ja) * 1988-06-20 1989-12-25 Toray Ind Inc 磁気記録媒体
AU638239B2 (en) * 1989-03-23 1993-06-24 Nippon Shokubai Co., Ltd. Crosslinked spherical fine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oating composition and 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said crosslinked spherical fine particles; and article containing them in the form of laminar composite
JPH0778133B2 (ja) * 1989-12-14 1995-08-23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639539B2 (ja) * 1989-12-22 1994-05-25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4994312A (en) * 1989-12-27 1991-02-19 Eastman Kodak Company Shaped articles from orientable polymers and polymer microbeads
US5143765A (en) * 1989-12-27 1992-09-01 Eastman Kodak Company Shaped articles from orientable polymers and polymer microbeads
US5141685A (en) * 1989-12-27 1992-08-25 Eastman Kodak Company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orientable polymers and polymer microbeads
US5223383A (en) * 1989-12-27 1993-06-29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elements containing reflective or diffusely transmissive supports
US5102943A (en) * 1990-12-04 1992-04-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formed articles with improved ease of cutting and resistance to sticking
US5384354A (en) * 1992-01-16 1995-01-24 Teijin Limited Polyester film for lamination onto metal sheet for processing of said sheet, and use thereof
US5474854A (en) * 1992-11-11 1995-12-12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composition and film made therefrom
US5405921A (en) * 1993-02-03 1995-04-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and heat stability
CA2127636C (en) * 1993-07-21 2009-10-20 Cheng-Kung Liu Plasticizers for fibers used to form surgical devices
US6005019A (en) * 1993-07-21 1999-12-21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Plasticizers for fibers used to form surgical devices
US6037063A (en) * 1993-09-07 2000-03-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 barrier, coextruded compositions useful in the manufacture of clear, heat-stable articl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KR100188038B1 (ko) * 1993-09-14 1999-06-01 장용균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US6579611B1 (en) * 1998-12-01 2003-06-17 Toyo Kohan Co., Ltd. Resin film for producing decorative laminate and decorative laminate containing the resin film
US6686031B2 (en) 2000-02-23 2004-02-03 Fuji Photo Film Co., Ltd. Hard coat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US6660397B2 (en) 2002-02-21 2003-12-09 Toray Plastics (America), Inc. Thermoplastic sheet with scratch resistant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893722B2 (en) * 2002-04-29 2005-05-17 Exxonmobil Oil Corporation Cationic, amino-functional, adhesion-promoting polymer for curable inks and other plastic film coatings, and plastic film comprising such polymer
US7195818B2 (en) 2002-05-01 2007-03-27 Exxonmobil Oil Corporation Sealable multi-layer opaque film
US20040105994A1 (en) * 2002-12-03 2004-06-03 Pang-Chia Lu Thermoplastic film structures with a low melting point outer layer
US20050186415A1 (en) 2003-11-21 2005-08-25 Mccormick Chris E. Protective laminate for windshields
US20060046005A1 (en) * 2004-08-24 2006-03-02 Mcgee Dennis E Coating for polymeric labels
DE102010019010A1 (de) 2010-05-03 2011-11-0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sphärischen Partikeln und Titandioxid-Partikeln
DE102010026328A1 (de) 2010-07-07 2012-01-12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matte Polyesterfolie mit hoher Rauheit
JP5697461B2 (ja) * 2011-01-17 2015-04-08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感光性樹脂構造体
US9834713B2 (en) 2016-02-23 2017-1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iented thermally conductive dielectric film
JP6721269B2 (ja) * 2016-04-20 2020-07-08 興人フィルム&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アミド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4261A (en) * 1974-01-17 1978-08-01 Chemische Werke Huls, Ag Low pilling polyester fiber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GB1541014A (en) * 1975-02-18 1979-02-21 Flecto Coatings Ltd Stable aqueous polymer emulsions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US4172859A (en) * 1975-05-23 1979-10-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DE2614980C2 (de) * 1976-04-07 1987-05-27 Chemische Werke Hüls AG, 4370 Mar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ättigten, hochmolekularen Polyestern
US4125700A (en) * 1977-03-22 1978-11-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eparation of methyl methacrylate polymer powders for use in plastisols
JPS6035267B2 (ja) * 1978-01-09 1985-08-13 東レ株式会社 表面の改質された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4320207A (en) * 1979-01-25 1982-03-16 Diafoil Company Limited Polyester film containing fine powder of crosslinked polymer
DE2927576A1 (de) * 1979-07-07 1981-01-15 Bayer Ag Hochschlagzaehes polybutylenterephthalat
JPS5638321A (en) * 1979-09-07 1981-04-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Polyester copolymer for molding use
DE3067582D1 (en) * 1979-12-06 1984-05-24 Ici Plc Polymerisation process for preparation of non-aqueous dispersions of microparticles and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aid microparticles
JPS56139551A (en) * 1980-04-03 1981-10-31 Teijin Ltd Transparent, easily slipp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DE3039115A1 (de) * 1980-10-16 1982-05-13 Bayer Ag, 5090 Leverkusen Thermoplastische polyester-formmassen mit verbesserter zaehigkeit
DE3039114A1 (de) * 1980-10-16 1982-05-13 Bayer Ag, 5090 Leverkusen Thermoplastische polyester-formmassen mit verbesserter zaehigkeit
DE3117052A1 (de) * 1981-04-29 1982-11-18 Bayer Ag, 5090 Leverkusen "alterungsbestaendige, verarbeitungsstabile mischungen hoher zaehigkeit auf basis thermoplastischer polyester"
US4401792A (en) * 1982-03-16 1983-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increasing the rate of crystallization of polyesters
JPS595216A (ja) * 1982-06-30 1984-01-12 Fujitsu Ltd 光フアイバコネクタ
US4511527A (en) * 1982-12-16 1985-04-16 Celanese Corporation Alkali metal salts of cross-linked polymeric microgels as nucleating agents f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compositions and method for molding
DE3313923A1 (de) * 1983-04-16 1984-10-18 Hoechst Ag, 6230 Frankfurt Polyesterrohstoff, daraus hergestellte formkoerper, vorzugsweise eine folie, sowie verwendung der formkoerper
US4483949A (en) * 1983-08-22 1984-11-20 Ethyl Corporati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blends
DE3434838A1 (de) * 1984-09-22 1986-04-03 Hoechst Ag, 6230 Frankfurt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dimensionsstabilitaet und abriebfestigk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857A (ko) 1986-08-13
DE3501018A1 (de) 1986-07-17
EP0188198B1 (de) 1992-06-17
JPS61174254A (ja) 1986-08-05
IN166566B (ko) 1990-06-09
EP0188198A2 (de) 1986-07-23
US4801640A (en) 1989-01-31
EP0188198A3 (en) 1989-01-04
JPH0696647B2 (ja) 1994-11-30
DE3685659D1 (de) 199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113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4746703A (en) Oriented plastic film having specific surface topography
US5032458A (en) Polyester film
US571886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ester base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US5055337A (en) Polyester film
KR100598008B1 (ko)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EP0765912B1 (en) Polyester composition and films produced therefrom
US6506818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for film
JPH07329141A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301241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フイルム
JPH07246689A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351821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209263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3206222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3244233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JP3075932B2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120651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4198328A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2638240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CA2084684A1 (en) Polyest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789924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7557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8165412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6145487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JPH0516224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