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701520A -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701520A
KR930701520A KR1019920703115A KR920703115A KR930701520A KR 930701520 A KR930701520 A KR 930701520A KR 1019920703115 A KR1019920703115 A KR 1019920703115A KR 920703115 A KR920703115 A KR 920703115A KR 930701520 A KR930701520 A KR 930701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film
polymer particles
polyester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키무라
토모지 사에키
마사루 수즈키
히데히토 미나미자와
이와오 오카자키
코오이치 아베
미노루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마에타 카쯔노스케
토오레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00265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63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1806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657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3444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658680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에타 카쯔노스케, 토오레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에타 카쯔노스케
Publication of KR93070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152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변형시의 강도와, 비표면적과 지름과의 적을 특정한 유기고분자입자를 함유하고 그 함유입자를 필름형태에 특정한 방향으로 변형시킴과 아울러 필름표면에 바람직한 미소돌기를 헝성한 폴리에스테르필름이다.
바람직한 표면형태 특히 자기기록 매개체용 필름으로서 바람직한 표면형태가 얻어지며 주행성 내마모성 전자 변환특성의 밸런스에 우수한 필름이 얻어진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입자 강도(S10)의 측정방법을 표시하는 개략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부하력과 입자의 변현량을 도시한 것을 나타낸다. 제3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용융 비저항을 측정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Claims (17)

  1. 입자를 10%반형시켰을 때의 강도(S10)가 10kgf/㎟보다 크고 1Okgf/㎟이하이며 비표면적 S(㎡/g)와 중량 평균지름 DW(㎛)의 적이 5이상 60이하인 유기고분자입자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필름이고 필름속에 있어서의 그 입자의 필름의 길이방향의 입자지름과 두께방향의 입자지름의 비가 1:1이상 필름의 표면조도파라미터 Rt/Ra가 4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유기고분자입자의 중량평균지름(DW)과 수평균지름(Dn)의 비가 1: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유기고분자입자가 가교고분자입자이고 그 입자에 있어서 가교성분이 2-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한 가교고분자입자에 있어서 비가교성분이 중합체로 되었을때의 글라스 전이 온도가 50℃이하인 모노머가 1종류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3항에 있어서, 전기한 가교고분자입자가 비가교성분으로서 탄소수 4이상의 알킬기를 보유하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탄소수 4이상의 알킬기를 보유하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10중량%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평균입자지름이 0.001-5㎛인 무기입자를 적어도 1종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전기한 무기입자가 산화규소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리튬 및 칼슘의 적어도 1종과 인을 구성성분의 일부로 하는 석출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이 2축배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전기한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돌기의 높이분포의 상대표준편차가 1.0이하, 돌기수가 5000개/㎟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돌기의 필름 길이방향의 돌기선단 곡률반경(β1)과 필름의 폭방향의 돌기 선단 곡률반경(β2)과의 비(β1/β2)가 1.1-3.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위 어느 1항에 있어서 전기한 폴리에스테르필름이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고 그 적층필름에 전기한 유기고분자입자를 함유하는 필름층이 적어도 1층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전기한 유기고분자입자를 함유하는 필름층이 전기한 적층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축의 최외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전기한 유기고분자입자를 함유하는 필름층이 전기한 적층필름의 양면측의 최외층으로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1항에 내지 제14항중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전기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전기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면 혹은 양면에 코우팅층을 설치한 필름이 자기기록매체인 베이스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입자률 10% 변형시켰을 때의 강도(S10)가 0kgf/㎟보다 크고 10kgf/㎟ 이하의 유기고분자입자를 물슬러리 및/또는 비등점 200℃이하의 유기화합물 슬러리의 형태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첨가하고, 그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압출한 후 필름속에 함유되는 전기한 입자의 비표면적 S(㎡/g)와 중량평균지름 DW(㎛)의 적이 5이상 60이하 필름의 길이방향의 입자지름과 두께방향의 입자지름의 비가 1.1이상이 되도록 연신하여 필름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7.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703115A 1991-04-06 1992-04-06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930701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00265 1991-04-06
JP3100265A JP2706387B2 (ja) 1991-04-06 1991-04-06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27180691A JP3065740B2 (ja) 1991-09-25 1991-09-25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
JP91-271806 1991-09-25
JP91-273444 1991-09-26
JP27344491A JP2658680B2 (ja) 1991-09-26 1991-09-26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
PCT/JP1992/000426 WO1992017530A1 (fr) 1991-04-06 1992-04-06 Film polyester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1520A true KR930701520A (ko) 1993-06-12

Family

ID=2730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3115A KR930701520A (ko) 1991-04-06 1992-04-06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546184A1 (ko)
KR (1) KR930701520A (ko)
CA (1) CA2084684A1 (ko)
WO (1) WO1992017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3840A1 (en) * 1992-08-12 1994-02-13 Iwao Okazaki Biaxially oriented film
DE4320593A1 (de) * 1993-06-22 1995-01-05 Akzo Nobel Nv Multifilament-Garn aus Polyäthylennaphthala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TW412567B (en) * 1995-07-27 2000-11-21 Toray Industries Polyester composition and its fil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3923A1 (de) * 1983-04-16 1984-10-18 Hoechst Ag, 6230 Frankfurt Polyesterrohstoff, daraus hergestellte formkoerper, vorzugsweise eine folie, sowie verwendung der formkoerper
EP0372423A3 (en) * 1988-12-07 1991-10-30 Diafoil Hoechst Co., Ltd Polyester composition
JPH03143929A (ja) * 1989-10-30 1991-06-19 Dia Hoiru Kk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661919B2 (ja) * 1990-02-23 1994-08-17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7604B2 (ja) * 1990-02-23 1995-01-30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815054B2 (ja) * 1991-04-06 1998-10-27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2898133B2 (ja) * 1991-07-26 1999-05-31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3009522B2 (ja) * 1991-07-29 2000-02-14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84684A1 (en) 1992-10-07
EP0546184A4 (ko) 1995-02-01
EP0546184A1 (en) 1993-06-16
WO1992017530A1 (fr) 199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779B1 (ko) 금속박막 자기기록 매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6107599A (ja) 光ディスク
WO2003099556A1 (fr) Film detachable
KR920012213A (ko)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WO1998002308A1 (fr) Film polyester antistatique et stratifie a film antistatique
KR860007168A (ko) 피복된 광섬유 및 그 피복방법
KR940005723A (ko) 적층 필름
KR880003289A (ko)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930701520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920003488B1 (ko) 자기기록 매체
KR980004414A (ko)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하는 자기 기록 매체
CA1199771A (en) Slide member
EP0522507B1 (en) High-density magnetic recording medium
KR930001157A (ko) 광학 테이프
KR960015886B1 (ko)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920016501A (ko)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JP2656621B2 (ja) 光磁気ディスク
JPH0848794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920018726A (ko) 디지탈 기록 매체
KR940006084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JPS62282918A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950001631A (ko) 자기 기록 매체
JPS6232048A (ja) 金属薄膜磁気テープ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0157177B1 (ko) 자기기록 매체용 기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950009554A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