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402B1 - 차량용 시이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402B1
KR930011402B1 KR1019900015791A KR900015791A KR930011402B1 KR 930011402 B1 KR930011402 B1 KR 930011402B1 KR 1019900015791 A KR1019900015791 A KR 1019900015791A KR 900015791 A KR900015791 A KR 900015791A KR 930011402 B1 KR930011402 B1 KR 930011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andle
frame
shaf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080A (ko
Inventor
히로시 마쯔라
Original Assignee
후지기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따 이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기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따 이사무 filed Critical 후지기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independent front and/or rear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81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64Gear wheel driven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시이트
제 1도는 이 발명에 따른 시이트 승강용 핸들 및 시이트 승강장치가 설치된 차량용 시이트의 측면도.
제 2도는 제 1도에 나타낸 차량용 시이트의 평면도.
제 3도는 제 2도의 선 3-3에 따른 시이트쿠션 승강장치의 측면도.
제 4도는 제 2도의 선 4-4에 따른 측면도.
제 5도는 제 2도의 선 5-5에 따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 : 차량용 시이트 SC : 시이트 쿠션
SB : 시이트백 10A,10B : 승강용 핸들
20 : 시이트 승강장치 21 : 결합핀
22,22A,22B : 부착프레임 22a : 연장돌출부
24A,24B : 축 25A,25B : 피니언기어
26A.26B : 섹터기어 26a,26b,26c : 핀
27A,27B : 스프링 브레이크기구 28A,28B : 축핀
29,31,32,33,35,36 : 링크 30A,30B : 샤프트
34 : 링크부재 31a,33a,33b,35a,35b,36a :핀
40A,40B : 베이스 플레이트 40a : 구멍
50 : 하부레일 51 : 상부레일
60 : 사이트쿠션 프레임 61,62,63,64 : 브래킷
61a,62a,63a,64a : 구멍
이 발명은 시이트쿠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이트 승강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이트의 시이트 승강장치는, 시이트쿠션을 차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내에서 탑승자의 신장, 의자높이에 맞추어 가장 적합한 높이위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시이트승강장치를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시킨 것이다.
그런데, 차량용 시이트에는 시이트 승강장치를 구비한 것과, 구비하지 않은 것이 있으며, 각각 다른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같이 사양이 다른 경우에 각각 별개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은 품질관리가 복잡해지는 동시에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시이트 승강장치가 설치되어 있지않은 일반 차량용 시이트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시이트 승강장치를 유니트화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이트는, 시이트쿠션을 설치하기 위한 시이트프레임과 ;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와 ; 적어도 하나의 시이트 승강용 핸들과 ; 상기 시이트 승강용 핸들에 의하여 작동되어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시이트 프레임을 승강시키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이트 승강용 핸들과 유니트화되어 한 쌍의 상기 시이트 베이스 사이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된 시이트 승강장치(20)와로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강용 핸들은 시이트쿠션의 전방부를 조절가능하도록 상승 및 하강시키는 시이트 승강용 전방행들이며, 상기 시이트 승강장치는, 상기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나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시이트 승강용 전방핸들의 축을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 쌍의 부착프레임과, 상기 부착프레임들 사이에 상기 시이트 승강용 전방핸들과 동축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전방 피니언 기어와, 상기 부착 프레임들 사이에 상기 전방 피니언기어와 치차 맞춤하며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전방섹터기어와, 상기 부착 프레임의 외면에 상기시이트승강용 전방핸들과 동축으로 고정된 전방 스프링 브레이크기구와 상기 시이트 프레임의 전방부 아래쪽의 상기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상기 전방 섹터기어와 동축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전방샤프트와, 상기 전방 색터기어와 상기 전방 샤프트를 링크연결시키는 섹터기어 전방링크와, 상기 전방샤프트와 상기 시이트 프레임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시이트 승강용 전방핸들이 회동할때 상기 시이트 프레임의 전방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전방 샤프트 링크레버와로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이트는 상기 부착프레임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시이트쿠션의 후방부를 조절가능하도록 상승 및 하강시키는 시이트 승강용 후방핸들과, 상기 두 부착프레임들사이에 상기 시이트 승강용 후방핸들과 동축으로 자유롭게 지지된 후방 피니언기어와, 상기 두 부착프레임들 사이에 상기 후방 피니언기어와 치차맞춤하며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후방 섹터기어와, 상기 부착프레임의 외면에 상기 시이트 승강용 후방핸들과 동축으로 고정된 후방 스프링 브레이크기구와, 상기 시이트 프레임의 후방부 아래쪽의 상기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후방 샤프트와, 상기 후방섹터기어와 상기 후방샤프트를 링크연결시키는 섹터기어 후방링크와, 상기 후방샤프트와 상기 시이트 프레임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시이트 승강용 후방핸들이 회동할 때 상기 시이트 프레임의 후방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후방샤프트 링크레버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두피니언 기어와 상기 두 섹터기어를 내장하고 있는 상기 부착 프레임은 상기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나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두 스프링 브레이크기구와 상기 두 시이트 승강용 핸들은 상기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나의 상측과 외측에 배치된다.
이 발명의 차량용 시이트에 의하면 승강용 핸들과, 시이트 승강장치를 유니트화 한 후에 이 유니트화한 것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하거나 혹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사양이 다른 2종류의 차량용 시이트를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이 결과 사양이 달라도 공통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이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E)는 차량용 시이트로서, 승강용 핸들, 예를들면 2개의 승강용 핸들(10A),(10B)을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킴으로써 시이트쿠션(SC)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발명은, 특히 승강용 핸들(10A),(10B)과, 이 승강핸들용(10A),(10B)의 회동과 연동하여 시이트무션(SC)에 승강력을 부여하는 시이트 승강장치(20)를 유니트화하고, 이것을 베이스 플레이트들(40A와 40B)사이에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이 발명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이트 슬라이드장치로서 하부레일(50)은 차제의 플로어(도시생략)에 전후방향(제 1도에서 화살표 F-R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좌우한쌍이 고정되어 있고, 이 하부레일(50)에 상부레일(51)이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40A),(40B)는 좌우의 상부레일(51)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이 좌우의 베이스 플레이트(40A),(40B)의 내측에 사이트승강장치(20)를 개재하여 시이트쿠션(SC)이 고정된 시이트쿠션 프레임(60)(제 4도 및 제 5도 참조)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40A),(40B)에는 도시하지않은 리클라이닝장치를 개재하여 전후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져 움직일 수 있는 시이트백(SB)이 장착되어 있다.
시이트 승강장치(20)의 두 피니언기어(25A,25B)와 두 섹터기어(26A,26B)는 부착프레임들(22A,22B) 사이에 내장되어 있으며, 두 시이트 승강용 핸들 (10A,10B)의 두 축(24A,24B)은 부착프레임(22A,22B)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부착프레임(22b)의 외면에는 두 스프링 브레이크기구(27A,27B)가 시이트 승강용 핸들(10A,10B)과 동축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브레이크기구(27A 또는 27B)는 플랙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예컨대 그 외단은 부착 프레임(22B)과 연결되고 내단은 시이트 승강용 핸들 (10A 또는 10B)의 축(24A 또는 24B)의 원주외면과 자유롭게 접촉하고 있다. 시이트 승강용 핸들(10A 또는 10B)를 예컨대, 시이트 프레임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때,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내단은 축(24A 또는 24B)상에서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시이트 승강용 핸들 (10A 또는 10B)을 회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지렛대 원리에 따라 운전자의 체중에 의하여 감겨지는 방향으로[ 시이트 승강용 핸들 (10A 또는 10B)의 반시계방향으로] 축(24A 또는 24B)에 순간적으로 강한 토크가 걸리는 때에는, 스프링이 축(24A 또는 24B)에 의하여 감겨지기 때문에 스파이럴 스프링과 축(24A 또는 24B) 사이에 브레이크 힘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시이트 승강용 핸들 (10A 또는 10B)이 시이트 프레임(60)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축(24A 또는 24B)은 스파이럴 스프링과 접촉하여 감겨지는 방향으로 천천히 회동하기 때문에, 스파이럴 스프링은 축에 대하여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있게 되어 브레이크 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두 피니언기어(25A,25B)는 두 축(24A,24B)에 각각 고정되고 두 부착프레임(22A,22B) 사이에 시이트 승강용 핸들(10A,10B)과 동축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두 섹터기어(26A,26B)는 두축(28A,28B)에 각각 고정되고 두 설치프레임(22A,22B) 사이에 피니언기어(25A,25B) 와 각각 치차맞춤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부착프레임(22A)의 원주외면 에지부는 구부러져 있어 시이트쿠션(SC)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들 여러 기어를 부착프레임(22)으로 덮어 씌우고 있기 때문에, 기어커버가 필요없게 된다. 또한 두 부착프레임(22A,22B)의 하부는 상부레일(51)측으로 연장돌출되어 있고, 이 연장돌출부(22a)를 상부레일(51)의 측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부착프레임(22)의 횡방향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제 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축 핀(28A)에는 파이프 형상의 전방 연결샤프트(30A)의 일단이 끼워 맞춤되고, 타단은 다른쪽의 베이스플레이트(40B)의 구멍(40a)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로써 전방 연결샤프트(30A)는 부착프레임(22)과 다른쪽의 베이스 플레이트(40B)와의 사이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전방 연결 샤프트(30A)에 고정된 링크(31A)가 섹터기어(26A)에 매설된 핀(26b)에 연결되어 피버트 지지되어 있다.
제 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전방 연결 샤프트(30A)의 일끝단측에는 제 1전방 링크(31)의 일단이 고정붙임되어 있고, 이 링크(31)의 타단에 제 2전방 링크(29)의 일단이 핀(31a)으로써 연결되어 피버트 지지되어 있다. 제 2전방 링크(29)의 타단에 매설된 핀(26a)은 시이트 쿠션 프레임(60)의 부착프레임(22)측의 전방부에 고정된 브래킷(61)의 구멍(61a)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유사하게 제 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연결샤프트(30A)의 다른 끝단측에는 제 1전방 링크(31)와 동일피치인 제 3전방 링크(32)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이 제3전방 링크(32)의 타단에 제 2전방 링크(29)와 동일 피치인 제 4전방 링크(33)의 일단이 핀(33a)으로써 연결되어 피버트 지지되어 있다. 이 제 4전방 링크(33)의 타단에 매설된 연결핀(33b)은 시이트 쿠션프레임(60)의 전방부에 고정된 브래킷(62)의 구멍(62a)에 끼워넣어져 있다.
제 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후방샤프트(30B)의 일단은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40A)에 고정된 브래킷(41)의 구멍에 끼워 넣어져 있으며, 타단은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40B)의 구멍(40a)에 끼워 넣어져 있어 후방 샤프트(30B)는 두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들(40A,40B) 사이에 피버트 지지되어 있다.
제 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섹터기어(26A)에는 핀(26b)이 매설되고, 이 핀(26b)에 후방으로연장되는 후방 섹터기어 링크부재(34)의일단이 연결되어 피버트 지지되고, 제 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제 1후방링크(35)는 후방 샤프트(30B)에 고정된다.
이 제1 후방 링크(35)의 한쪽의 축 지지부에는 핀(35a)에 의해 링크부재(34)의 타단이 연결되어 피버트 지지되어 있고, 다른쪽의 축 지지부에 매설된 핀(35b)은 시이트 쿠션 프레임(60)의 후방부에 고정된 브레킷(63)의 구멍(63a)에 끼워 넣어져 있다.
제 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후방 연결샤프트(30B)의 타단측에는, 제 1후방링크(35)의 연결샤프트(30B)와 핀(35b)의 양축 중심간의 피치와 동일피치인 제 2후방 링크(36)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이 제 2후방 링크(36)의 타단에 매설된 연결핀(36a)은 시이트쿠션 프레임(60)의 후방부에 고정된 브래킷(64)의 구멍(64a)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하, 이상의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도 및 제 3도에서, 승강용 전방핸들(10A)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피니언기어(25A)가 동일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 피니언기어(25A)의 회동에 따라 전방섹터기어(2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전방 샤프트(30A)는 전방 섹터기어 링크(31A)에 의하여 섹터기어(26A)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방 샤프트(30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4개의 전방 링크(31,29,32 및 33)(제 4도 및 제 5도 참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시이트쿠션 프레임(60)을 상승시키어, 시이트쿠션(SC)의 전방부를 조절가능하도록 상승시키며, 시이트쿠션 프레임(60)에 가해지는 운전자의 체중이 전방 스프링 브레이크 기구(27A)에 의하여 받아들여 질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제 1도 및 제 3도에서 승강을 후방핸들(10B)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후방 피니언기어(25B)가 동일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 피니언기어(25B)의 회동에 따라 후방 섹터기어(26)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전방 섹터기어(26A)의 축(28A)과 동축인 전방 샤프트(30A)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4개의 전방링크(31,29,32 및 33)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시이트쿠션 프레임(60)을 하강시키어, 시이트쿠션(SC)의 전방부를 조절가능하도록 하강시킨다.
또한, 제 1도 및 제 3도에서,시이트 승강용 후방핸들(10B)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후방 섹터기어(26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후방 섹터기어 링크부재(34)가 제 3도에서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후방샤프트(30B)는 제 1후방 샤프트 링크(35)를 통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 2후방 샤프트 링크(36)와 상호 협동하여 시이트쿠션 프레임(60)을 상승시키어, 시이트쿠션(SC)의 후방부를 조절가능하도록 상승시키며, 시이트쿠션 프레임(60)에 가해지는 운전자의 체중이 후방 스프링 브레이크 기구(27B)에 의하여 받아들여질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 1도 및 제 3도에서 시이트 승강용 전방핸들(10B)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후방 섹터기어(26B)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후방 섹터기어 링크부재(34)는 제 3도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후방샤프트(30B)는 제 1후방 샤프트 링크(35)를 통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 2후방 샤프트 링크(36)와 상호 협동하여 시이트쿠션(SC)을 하강시키어, 시이트쿠션(SC)의 후방부를 조절가능하도록 하강시킨다.
이상의 설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두 승강용 핸들(10A,10B) 과 시이트쿠션 승강장치(20)의 기어부를 유니트화하여 두 부착프레임(22A,22B)내에 내장하고, 부가적으로 부착프레임(22)들을 시이트 베이스플레이트(40A)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이 부착프레임(22)을 베이스플레이트(40A)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사양이 다른 2종류의 차량용 시이트(E)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상이한 모델의 차량용 시이트에 대하여 공통의 베이스플레이트(40A)를 사용할 수 있어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코스트다운을 도모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시이트에 두 시이트 승강용 핸들(10A,10B)이 제공되어, 시이트 쿠션의 전방부 및 후방부 모두를 조절가능하도록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지만, 단 하나의 시이트 승강용 핸들 및 관련 부재들을 제공하여 단지 시이트쿠션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를 조절가능하도록 상승 및 하강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승강용 핸들과, 시이트쿠션 승강장치를 유니트화 한후에, 이 유니트화한 것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하거나 또는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사양이 다른 형태의 차량용 시이트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시이트 쿠션(Sc)을 설치하기 위한 시이트 프레임(60)과 ;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종사양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된 한쌍의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40A,40B)와 ; 적어도 하나의 시이트 승강핸들(10)과 ; 상기 시이트 승강용 핸들에 의하여 작동되어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시이트 프레임을 승강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시이트 승강용 핸들과 유니트화되어 한쌍의 상기 시이트 베이스플레이트(40A,40B) 사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된 시이트 승강장치(20) 와; 로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강용 핸들은 시이트 쿠션의 전방부를 조절가능하도록 상승 및 하강시키는 시트 승강용 전방핸들(10A)이며, 상기 시이트 승강장치는, 상기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나(40A)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시이트 승강용 전방핸들(10A)의 축(24A)을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쌍의 부착 프레임(22A,22B)과, 상기 부착 프레임들 사이에 상기 시이트 승강용 전방핸들과 동축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전방피니언기어(25A)와, 상기 부착 프레임들 사이에 상기 전방 피니언기어와 치차맞춤하며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전방 섹터기어(26A)와, 상기부착 프레임의 외면에 상기 시이트 승강용 전방핸들과 동축으로 고정된 전방 스프링 브레이크기구(27A)와, 상기 시이트 프레임의 전방부 아래쪽의 상기 시이트 베이스플레이트들(40A,40B) 사이에서 상기 전방 섹터기어와 동축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전방샤프트(30A)와, 상기 전방 섹터기어(26A)와 상기전방 샤프트(30A)를 링크 연결시키는 섹터기어 전방링크(31A)와, 상기 전방샤프트(30A)와 상기 시이트 프레임 960)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시이트 승강용 전방핸들이 회동할때 상기 시이트 프레임의 전방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전방샤프트 링크레버(31,29,32,33)와, 로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프레임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시이트 쿠션의 후방부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승 및 하강시키는 시이트 승강용 후방핸들(10B)과, 상기 두 부착프레임들 사이에 상기 시이트 승강용 후방핸들과 동축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후방 피니언기어(25B)와, 상기 두 부착프레임들 사이에 상기 후방 피니언기어와 치차맞춤하며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후방 섹터기어(26B)와, 상기 부착프레임의 외면에 상기 시이트 승강용 후방핸들과 동축으로고정된 후방 스프링 브레이크기구(27B)와, 상기 시이트 프레임의 후방부 아래쪽의 상기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들(40A,40B) 사이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후방 샤프트(30B)와, 상기 후방 섹터기어(20B)와 상기 후방 샤프트(30B)를 링크연결시키는 섹터기어후방링크(31B)와, 상기 전방 샤프트(30A)와 상기 시이트 프레임(60)사이에연결되어 상기 시이트 승강용 후방핸들이 회동할때 상기 시이트 프레임의 후방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후방샤프트 링크레버(35,36)와, 를 더 포함하고 있는 차량용 시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피니언기어(25A,25B)와 상기 두 섹터기어(26A,26B)를 내장하고 있는 상기 부착프레임은 상기 시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나(40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시이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두 스프링 브레이크기구(27A,27B)와 상기 두 시이트 승강용 핸들(10A,10B)은 상기 시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나(40A)의 상측과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시이트.
KR1019900015791A 1989-09-30 1990-10-05 차량용 시이트 KR930011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115177U JPH0735783Y2 (ja) 1989-09-30 1989-09-30 車両用シート
JP1-115177 1989-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080A KR910006080A (ko) 1991-04-27
KR930011402B1 true KR930011402B1 (ko) 1993-12-06

Family

ID=1465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791A KR930011402B1 (ko) 1989-09-30 1990-10-05 차량용 시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50870A (ko)
EP (1) EP0421301A3 (ko)
JP (1) JPH0735783Y2 (ko)
KR (1) KR930011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3059B (en) * 1995-07-06 1997-08-27 Fuji Kiko Kk Seat lifter for motor vehicles
DE102016112105A1 (de) * 2016-07-01 2018-01-04 Grammer Ag Federungsvorrichtung
DE102016112106B4 (de) 2016-07-01 2019-07-04 Grammer Ag Feder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0833U (ja) * 1982-04-22 1983-10-26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自動車シ−トハイトアジヤスタ−装置
JPS5958636U (ja) * 1982-10-12 1984-04-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座席の上下位置調整装置
JPS60121136A (ja) * 1983-11-30 1985-06-28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シ−ト
AU576251B2 (en) * 1984-08-31 1988-08-18 Tachikawa Spring Co. Ltd. A rotation adjusting apparatus
FR2578498B1 (fr) * 1985-03-07 1989-07-13 Cousin Cie Ets A & M Freres Dispositif permettant le reglage de l'assiette d'un siege de vehicule
JPS6277032U (ko) * 1985-11-05 1987-05-16
US4787594A (en) * 1986-03-03 1988-11-29 Fujikiko Kabushiki Kaisha Seat for motor vehicles
AU584471B2 (en) * 1986-11-04 1989-05-25 Tachi-S Co., Ltd. Height adjuster operation mechanism for an automotive seat
JPH0534440Y2 (ko) * 1988-02-29 1993-08-31
JPH0618836Y2 (ja) * 1988-09-29 1994-05-18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のシート
AU626902B2 (en) * 1989-08-03 1992-08-13 Tachi-S Co., Ltd.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utomotiv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5783Y2 (ja) 1995-08-16
EP0421301A3 (en) 1992-05-06
KR910006080A (ko) 1991-04-27
US5150870A (en) 1992-09-29
EP0421301A2 (en) 1991-04-10
JPH0353332U (ko) 199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3678A (en) Seat positioning mechanism
EP1892143B1 (en) Vehicle seat assembly
EP0238234B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for a vehicle seat
EP0729862B1 (en) Vehicular seat adjuster
US6646891B2 (en) Apparatus for adjusting a height of control boxes
US5199679A (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seat
KR930011402B1 (ko) 차량용 시이트
US4871137A (en) Seat lifting apparatus
US4986509A (en) Seat lifter
JP2683486B2 (ja) 座席支持装置
KR100297637B1 (ko) 시트높이조절장치
JPH0583414B2 (ko)
JPH0121012B2 (ko)
JPH0667700B2 (ja) 車輌のシート反転支持装置
JPH0425387Y2 (ko)
EP1780071B1 (en) Motor vehicle seat having a tilt and height adjustment device
JP2931452B2 (ja) パワー式ヘッドレスト構造
JPH0643177B2 (ja) 車両用シートの上下位置調整装置
JPH0655575B2 (ja) 車両用シ−ト
KR960002249B1 (ko) 차량용 시트 승강장치
JP2536174Y2 (ja) リフター装置の駆動機構
JPS60148725A (ja) シ−ト
JPS63170138A (ja) 自動車用シ−ト
JPH06156126A (ja) シートの上下調整装置
JPS58170636A (ja) シ−トリフ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