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292B1 - 통신제어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제어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292B1
KR930010292B1 KR1019900022881A KR900022881A KR930010292B1 KR 930010292 B1 KR930010292 B1 KR 930010292B1 KR 1019900022881 A KR1019900022881 A KR 1019900022881A KR 900022881 A KR900022881 A KR 900022881A KR 930010292 B1 KR930010292 B1 KR 930010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transmission
message
transmitting
contro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081A (ko
Inventor
임옥수
조주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0002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292B1/ko
Publication of KR92001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신제어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
제3도는 송신측 타임아웃에 의한 비정상 동작을 검출하는 흐름도.
제4도는 루우프백 시험에 의한 비정상 동작을 검출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보드(MPMA) 2 : 통신제어 보드
3 : 통신노드(INDA) 4 : 인터럽트 레지스터
5 : 메모리 액세스부(DMA) 6 : 송수신 버퍼
7 : 범용 듀얼 시리얼 통신 제어기 8 : 다기능 제어칩(MFP)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 제어보드의 장애 감지 및 복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전자 교환기 기능의 대부분은 프로세서간 메시지 통신을 통해 수행된다. 특히 프로세서간 통신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되므로 강력한 에러 복구 기능을 갖춘 프로토콜 처리기법, 프로세서간 동기화 기법등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한 기법들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각 보드(메인 보드, 통신 제어보드, 노드, 네트워크)들이 정상적일때 통용되는 기법이며 만일 통신제어보드내의 메시지 송수신을 담당하는 하드웨어 칩들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그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할 수 없으며 적절한 복구를 해주지 않는 한 프로세서간 메시지 통신은 차단될 수밖에 없다. 결국, 하드웨어적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탐지하고 빠른 시간내에 복구할 수 있는 적절한 진단 프로시져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전자 교환기의 통신제어보드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감지하여 간단하게 처리하면서도 빠르게 복구할 수 있는 통신제어 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보드(MPMA)와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제어 레지스터와 인터럽트 레지스터와, 메모리 액세스부와 다기능 제어칩과 송수신 버퍼와 범용듀얼 시리얼 통신 제어기(DUSCC)를 구비한 통신제어보드로 구성된 프로세서 유니트가 이중화되어 프로세서간 메시지 송수신시 통신제어 보드의 장애를 진단하고 복구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송신측 이상을 탐지하기 위해 송신측 칩을 동작시킬 때 타임아웃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송신측 타임아웃시 송신측 칩을 초기화시키고 재전송하는 제1단계, 통신제어보드상의 송수신 칩 오동작 여부를 탐지하기 위해 리얼타임클럭 이벤트마다 루우프백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단위타이머에 도달 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2단계; 루우프백 메시지 전송시도 카운트를 구간으로 나누어 검사하는 제3단계, 루우프백 메시지 수신후 카운터들을 초기화 시키는 제4단계로 구성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메인 보드(1), 통신제어보드(2), 노드(3)로 구성되는 이중화된 하드웨어 구성을 보여준다. 전전자 교환기에서 모든 제어계 프로세서들은 동작중(ACTIVE)혹은 대기중(STANDBY)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동작중인 상태의 메인 보드(1)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대기중인 메인보드가 메인 보드(1)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제어를 넘겨주며 이를 이중화에 의한 프로세서 절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메인 보드(1)와 통신제어보드(2)의 정합을 위해 인터럽트 레지스터(4)가 있으며 이를 통한 쌍방간의 이벤트 교환이 이루어진다. 프로세서 통신 제어 보드(2)내에는 프로세서간 메시지 송수신을 담당하는 메모리 액세스부(MDA; Direct Memory Access : 5). 범용 듀얼 시리얼 통신 제어기(DUSCC; Dual Universal Serial Communication Controller : 7), 송수신 버퍼(6)와 같은 칩들과 노드 경보 입력 및 리얼타임클럭을 산출하기 위한 다기능 제어(MFP; Multi Function Peripheral : 8)칩, 기타 제어 레지스터(9)등이 있다. 그리고, (3)은 통신노드를 나타낸다.
상기한 하드웨어 구성하에서 통신제어보드(2)의 장애 진단 절차는 통신 제어 보드(2)의 송신측 이상 확인과 수신측 전상 동작 확인으로 대별된다.
만일 노드(3)가 정상이면서 메시지 송수신이 차단될 경우 프로세서간 통신을 담당하는 하드웨어 칩들, 메모리 액세스부(이하, DMA라함)(5) 송수신 버퍼(6), 범용듀얼시리얼 통신제어기(이하, Duscc라함)(7)의 오동작을 의심할 수 있다. 이런 경우가 탐지될 경우 대부분 각 칩들의 레지스터들의 초기화 및 종수신버퍼(6)를 지워 줌으로써 자기 복구가 가능하다. 이러한 자기 진단 및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송신측 동작 타임 아웃 절차와 통신제어보드(2)와 노드(3)간에 주기적인 루우프백 시험이 요구된다.
제2도는 하드웨어 칩들이 메시지 송수신을 원활히 하는지를 시험하는 절차의 흐름도이다. 먼저, 송신단은 송신 대기 상태(30)에서 송신할 메시지들이 존재하면 매 메시지 전송시마다 칩이 동작할 때 일정 타임아웃을 구동시키는 전송 오류 탐지 절차를 수행하고 다시 송신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32).
한편, 송수신 채널의 정상동작유무는 리얼타임클럭 이벤트마다 특정 메시지(루우프백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탐지되는데, 수신대기 상태(32)에서 리얼타임클럭 이벤트가 생기면 루우프백메시지를 수신하고(34), 다시 수신 상태로 돌아가고 리얼타임클럭 이벤트를 대기 하다가(36) 이벤트가 생기면 루우프백 메시지 송신절차를 수행하고(37) 다시 리얼타임클럭 이벤트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38).
제3도는 송신측 동작 타임 아웃 기능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a)는 주 처리흐름도이고, (b)는 인터럽트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제3도의 (a)에 도시된 주 처리 수행과정을 살펴보면, 전송할 메시지가 존재하여 전송요구가 수신되면(40) 송신측은 DMA(5) 송신 채널의 이용 유무를 조사한다(41). 상기 조사(41) 결과 송신 채널이용이 가능하지 않으면 계속 이용가능 여부를 조사하고, 송신 채널이 이용 가능하면 송신 채널 점유중임을 설정하고(42) DMA(5) 및 DUSCC(7)를 구종(43)시키며 이때 전송 타임아웃을 위한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송신대기 상태(32)로 천이한다(44).
한편, 제3도의 (b)에 도시한 인터럽트 처리 수행을 살펴보면, 만일 DMA(5)나 DUSCC(7)가 오동작되면 인터럽트가 발생되는데, 이에 따라 송신측은 타임 아웃되고(45), 칩을 재시동시킨 후 재전송을 수행한다(46). 송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경우 다음 메시지 전송을 위한 송신 대기 상태(30)로 천이한다.
제4도는 수신측 이상을 감지하기 위해 루우프백 시험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루우프백 시험이란 송신된 메시지가 자신에게 반향되어 수신되는 가를 알아보는 시험으로 정의된다. 주기적인 루우프백 시험을 위해서는 특정 단위 타이머를 산출하기 위한 타이머 카운터와 루우프백 메시지 송출 카운터가 필요하다. 먼저, 루우프백 시험의 송신측은 리얼타임클럭 이벤트가 발생했을때 타이머가 단위 타이머에 도달 되었는지를 조사한다(52). 타이머 카운터가 단위 타이머가 아니면 타이머 카운터를 증가(54)시킨 후 매 리얼타임클럭마다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타이머 카운터가 단위 타이머가 되면 타이머를 초기화(55)시키고 메시지 송출 카운터를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조사한다(56). 송출 카운터 구간이 시험 구간 이내면 송출 카운터를 증가시키고(57) 루우프백 메시지를 송신한 후(58) 이벤트 대기 상태로 간다. 하드웨어 칩들의 오동작은 시험 구간이 경과한 후에 검출된다. 이때부터 자기 복구 단계로 들어간다. 송출 카운터 구간이 자기 복구 구간에 있으면 레지스터들(4,9), 송수신 버퍼(6)들을 재시동(59)시킨후 루우프백 메시지를 송출하고 이벤트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60). 만일 이들 작업에 의해 메시지 송수신이 이루어지면 자기 복구는 성공적으로 끝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송출 카운터가 자기 복구 구간을 초과한 후는 자기 복구 불능 상황이며, 이때는 메인 보드(MPMA; 1)에 인터럽트 채널을 통해 인터럽트를 발생함으로서 복구 불능상태의 보드에 대해 이중화 절체를 요구한다(61). 그런후에 임의의 대기상태로 천이한다.
한편, 수신측은 항상 루우프백 메시지 수신 대기 상태(35)에 있게된다. 루우프백 메시지가 도달되면(51)타이머 카운터와 송출 카운터를 초기화(52)시키고 루프 백 메시지 대기 상태(35)로 천이한다.
상기와 같은 처리절차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메시지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드웨어 오동작을 비교적 간단한 방법에 의해 탐지하고 그를 복구할 수 있고, 프로토콜에 의해 복구되지 않는 칩의 오동작을 감지해낼 수 있는 적용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메인보드(1)(MPMA)와 상기 메인보드(1)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제어레지스터(9)와 인터럽트 레지스터(4)와, 메모리 액세스부(5)와 다기능 제어칩(8)과 송수신 버퍼(6)와 범용듀얼 시리얼 통신제어기(7)(DUSCC)를 구비한 통신제어보드(2)로 구성된 프로세서 유니트가 이중화 되어 프로세서간 메시지 송수신시 통신제어 보드의 장애를 진단하고 복구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송신측 이상을 탐지하기 위해 송신측 칩을 동작시킬 때 타임아웃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송신측 타임아웃시 송신측 칩을 초기화시키고 재전송하는 제1단계; 통신제어보드(2)상의 송수신 칩 오동작 여부를 탐지하기 위해 리얼타임클럭 이벤트마다 루우프백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타이머에 도달 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2단계; 루우프백 메시지 전송시도 카운트를 구간으로 나누어 검사하는 제3단계; 루우프백 메시지 수신후 카운터들을 초기화 시키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구간 설정은 루우프백 시험구간, 칩 오동작 탐지구간, 자기 복구 불능 구간의 세 구간으로 분리하여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 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시험구간 검사는 송출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루우프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신제어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칩 오동작 탐지 구간 검사는 송수신측 칩 재시동시키고 루우프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 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자기 복구 불능 구간 검사는 메인보드(1)에 이중화 절체를 요구하고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 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방법.
KR1019900022881A 1990-12-31 1990-12-31 통신제어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 KR930010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81A KR930010292B1 (ko) 1990-12-31 1990-12-31 통신제어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81A KR930010292B1 (ko) 1990-12-31 1990-12-31 통신제어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081A KR920014081A (ko) 1992-07-30
KR930010292B1 true KR930010292B1 (ko) 1993-10-16

Family

ID=1930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881A KR930010292B1 (ko) 1990-12-31 1990-12-31 통신제어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2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081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04180A1 (en) Software fault tolerance between nodes
KR930010292B1 (ko) 통신제어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
KR10021413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US7243257B2 (en) Computer system for preventing inter-node fault propagation
KR930007469B1 (ko) 프로세서 정합 운용시 장애진단 및 복구방법
JP2827713B2 (ja) 二重化装置
JPH01217666A (ja)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の障害検出方式
JP2004326405A (ja) ウオッチドッグタイマ回路の状態監視方式
JP3414646B2 (ja) ファイバーチャネルスイッチ
KR20000032681A (ko) 프로세서간 통신 메시지를 이용한 상태관리방법
KR940007156B1 (ko) 통신 네트워크상에서의 프로세서 동기화 기법
JPS6010940A (ja) デ−タ伝送装置
KR950011477B1 (ko) 전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망에 접속된 신호버스 정합보드 에서의 메시지 수신 방법
JPS6314542B2 (ko)
JP2606160B2 (ja) パリティチェック回路の故障検出方式
JP2000242617A (ja) マルチプロセッサ通信機構の故障処理方法
JP3427361B2 (ja) 二重化切替制御方式
JP283406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751643B1 (ko) 이동 통신 가입자 처리 장치의 비정상 동작을 감시하는방법
JPS5833747A (ja) 自動通信回路切替制御装置
JPS62105243A (ja) システム障害の復旧装置
JPH10143393A (ja) 診断処理装置
JPH0454747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H05233578A (ja) 障害装置の縮退方式
JPH06188917A (ja) 故障情報収集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