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229B1 -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229B1
KR930010229B1 KR1019890700426A KR897000426A KR930010229B1 KR 930010229 B1 KR930010229 B1 KR 930010229B1 KR 1019890700426 A KR1019890700426 A KR 1019890700426A KR 897000426 A KR897000426 A KR 897000426A KR 930010229 B1 KR930010229 B1 KR 93001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conveyor belt
conveyor
loading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프리트 엑켈
Original Assignee
코플라 바우 개젤샤프트 퓌어 플라눙 운트 바우바트레웅 폰 인두스르티바우텐 엠베하
엑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플라 바우 개젤샤프트 퓌어 플라눙 운트 바우바트레웅 폰 인두스르티바우텐 엠베하, 엑켈 filed Critical 코플라 바우 개젤샤프트 퓌어 플라눙 운트 바우바트레웅 폰 인두스르티바우텐 엠베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지브에 있는 수직 콘베어와 공급 및 배출 콘베어 벨트를 갖는 선박에 싣고 내리는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제2도는 세 개의 콘베어 벨트로 구성되는 공급 및 배출 콘베어 벨트를 갖는 선박의 싣고 내리는 장치의 한 부분을 나타낸다.
제3도는 운반될 화물을 위한 지면상의 수용 및 운반 장치를 갖는 수직콘베의 확대 측면도를 나타낸다.
제4도는 두 개의 텔레스코프식으로 구성된 운반경로를 확대측면도를 나타낸다.
제5도는 후방 전달경로 구역내에 있는 팔레트를 들어올리는 장치를 확대 측면도로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자유단부에서 운반될 화합물을 위한 공급 및 배출통로와 함께 작용하는 수직의 콘베어를 갖고 또 하부단부에서 운반될 화물을 위해 받고 운반하는 장치를 갖는, 운반될 화물을 위한 공급통로 및 배출통로가 갖추어진 수직 슬루지브를 갖는 갠트리로 구성되는, 포장화물 특히 적하 팔레트의 싣고 내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DE-A1 290 875에는, 슬루지브에 지지된 콘베어의 운반측부의 운반부분내에 그 상부 자유단부가 있고, 안내로울러을 거쳐서 구동되는 무한 콘베어 벨트로 구성된 나선형 콘베어 부재를 갖는 수직 지지리그를 그 자유단부에 갖는 콘베어가 갖추어진 수직슬루지브와 갠트리로 구성되는 포장화물이나 다량의 화물을 갖는 선박의 싣고 내리기를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운반벨트는 브리지 플래트홈상에서 그앞에 장치되어 있고, 여기에서 나선형 콘베어가 그지지 구조체안에 지지되어 있으며, 두 번째의 나선형 콘베어는 지지구조체내에 있으며 그 종축 둘레에서는 회전할 수 있는지지 프레임을 설치되어 있고 그 외벽에는 지지 구조체의 내벽에 설치된 맞춤 프로필 부분과 맞는 나사형 프로필이 갖추어져 있으며, 또 그 지지구조체의 내벽은 콘베어의 스파이럴의 핏치의 프로필이 이에 따라 형상을 갖추고 있고 그 상부 콘베어는 그 상부의 휘어진 드럼의 앞에 설치된 이동 로울러가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의 이동 로울러는 운반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또 콘베어의 지지 프레임내에 지지되어 있다.
추가하여, 제 DE-A-26 22 399에는, 그 지면끝에서 운반될 화물을 위한 정지형 공급 및 배출 벨트와 연결되어 있고 또 그 상부 극단부에서 정지형지지 구조체 상에 지지되어 있고 이 구조체 내에서 수직축 둘레에 회전할 수 있으며 공급통로상으로 수직 콘베어 통로로부터 또는 그반대로 운반될 화물을 옮기기 위한 회전 테이블의 갖추어져 있는 수직 콘베어통로를 갖는 포장화물이 있는 선박의 싣기와 내리기를 위한 수직 콘베어가 공지되어 있으며, 회전 테이블은 통과하기 위해 그리고 스트리퍼와 함께 통과하도록 수직 콘베어통로를 위한 중앙 개방부가 갖추어져 있으며, 여기에서 수직 콘베어통로의 운전 또는 공급부내에서 회전테이블 위에 있는 지지 프레임에 있어서 벨트 콘베어는 수직 콘베어 통로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극단부에서, 수직축 중심부 둘레에서 추출회전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스트리퍼가 있고, 또 수직 콘베어통로에 대해 멀리 향하는 그 극단부의 양측부상에허 회전 테이블을 향해 연장되는 운반 통로가 갖추어져 있으며, 또 여기에서 운반될 화물의 정지형 공급이나 운반벨트의 부분내에서 또 다른 스트리퍼가 회전 테이블위에 수직 축 중심둘레에 추축운동되게 할 수 있다.
공지의 선박에 싣기와 내리기를 하는 장치는 둘다 갠트리에 힌지 연결된 한 측부상에서 올려지고 내려질 수 있는 그리고 그 자유단부에서 수직 콘베어를 갖는 수평 브리지 플래트홈과 지브를 갖는 이동 갠트리를 공통으로 가지며, 전체적인 장치는 수직콘베어가 지브의 모든 슬루 위치에서의 수직 위치를 갖는다. 이 수직콘베어는, 공급 또는 배출 콘베어 벨트상에 도착하는 화물이 수직콘베어에 전달되거나 화물이 내려질 때 공급이나 배출 콘베어 벨트에 수직 콘베어로부터 전달되도록 수직으로 변위하는 지브상에 장치되는 전달될 화물을 위한 공급 및 배출 벨트와 상호작용한다. 지브내에 설치되고 수직 콘베어와 상호작용하는 공급 및 배출 콘베어 벨트는 지브의 전체길이에 걸쳐 이 경우에 있어 연장되는 것이다. 갠트리 측부에는 화물을 공급 또는 전달하기 이해 공급 또는 배출 벨트에 다른 콘베어 벨트가 장치되어 있다. 그 외에 화물공급이나 배출 콘베어 벨트를 갖는 지브는 싣기와 내리기 설치부의 갠트리상에서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또 다른 콘베어 벨트는 공급이나 배출 콘베어 벨트와 또 후자에 설치된 공급콘베어 벨트사이의 틈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나, 다른 콘베어 벨트는 공급이나 배출 콘베어 벨트의 또는 동일한 부분에 장치된 공급벨트의 전달 평면에 놓여있지 않으나, 아래의 레벨에 위치된 평면에서 공급이나 배출 콘베어 벨트와 그 공급벨트의 평면에 반대로 되어 이 콘베어 벨트에 마주보는 상기 부분에 장치된 공급과, 배출 콘베어 벨트의 회전부에서 전달 로울러들이 있어서 화물이 콘베어 벨트의 엇갈려지는 설치에 의해 주어진 높이의 차이를 극복하도록 전달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싣기와 내리기 장치는 자루나 포장화물의 전달에만 적합하며 적재된 팔레트에는 적합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팔레트 적재의 이동을 피하기 위해 적재된 팔레트가 수평이나 수직평면에만 항상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각, 경우에 지브의 변위부의 내향 및 외향변위에 의하여 주어지는 변위경로의 길이에 대해 전달평면의 동시 적합화와 함께 지브의 모든 외향으로 변위된 위치에서 연속된 전환점을 갖는 운반평면에서 그 장치의 내향 및 외향 변위가능 지브에 있는 전개된 팔레트의 전달이 적재된 팔레트의 전달도중에 팔레트 적재가 변위되지 않게 되는 것과 함께 적재된 팔레트를 갖는 배에서 싣기와 내리기를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한다.
이 문제는 청구범위(1)에서 특징된 것으로 해결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장치로 적재된 팔레트와 함께 선박에 싣고 내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적재된 팔레트는 들어 올려주는 플래트홈이 마련되어 있고 또 화물을 받도록 수직으로 낮추어지는 수직 콘베어에 의해 선박에서 제거되거나 공급되며 또 지브의 공급이나 배출 콘베어 벨트로 수직콘베어에 전달되거나 수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적재 및 내리는 작업이 포함되는 가에 의존한다. 동시에 적재된 팔레트가 공급이나 배출 콘베어 벨트에 의해 실려진 후에, 팔레트들은 부두 지구상에 마련된 수직 콘베어로 항해 균일한 전달 경로상에 공급되며, 여기에서 콘베어 작업도중에 부두 지구상에 설치된 수직 콘베어로의 전달에 앞서서 적재된 팔레트들은 한 평면에 놓여있는 전달경로를 벗어나지 않으며, 상기의 경로를 세개의 콘베어 벨트로 되어 있으며 그중 하나의 콘베어 벨트는 선박이 위치되는 측부상의 지지프레임의 안팎의 변위운동에 합쳐지게 되고, 또 한편으로는 제2의 콘베어 벨트가 지브의 지지아암상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정지 설치된다. 변위되는 지지프레임의 안팎의 변위에 의해 생기는 정지형 지지프레임상의 콘베어 벨트에 대한 공간은 두 개의 콘베어 벨트 사이에서 변위되고 또 적어도 팔레트의 칫수에 해당하는 칫수를 갖는 제3의 콘베어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데, 콘베어 벨트가 팔레트의 기부의 다수에 해당하는 길이와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리하여 그 장치의 싣거나 내리는 양은 예를 들어 두 개의 조합된 팔레트가 변위가능한 콘베어 벨트에 공급될 때 또는 모든 콘베어 벨트가 예를 들어 나란히 위치된 두 개의 적재된 팔레트의 도시의 공급을 허용하는 폭을 가질때에 증대된다.
변위가능한 콘베어 벨트가 안팎으로 변위가능한 지지 프레임의 그리고 정지형의 지지프레임의 두 개의 콘베어 벨트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있는 속도는 정지형의지지 프레임에 대해 안팎으로 변위가능한 콘베이어벨트의 거리에 각각 의존하며, 이 거리는 지브상의 정지형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안팎으로 변위 가능한 지지 프레임의 변위의 길이에 의해 각 경우에 있어서 결정된다. 콘베어 벨트를 갖는 안팎으로 변위가능한 지지프레임은, 안팎으로 변위 가능한 콘베어 벨트와 정지형 콘베어 벨트사이의 틈이 없이 변위 가능한 콘베어 벨트가 장치되는 정지형지지 프레임내로 그만큼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래서 모든 콘베어 벨트는 같은 회전속도를 가지며 또한 회전 속도가 비교적 높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적재된 팔레트의 전방운동 때문에 발생하는 원심력 때문에 팔레트 로우드가 벗어나지 않는다. 콘베어 벨트를 갖는 안팎으로 변위되는 지지 프레임이 정지형 지지프레임 밖으로 이동하면 변위 가능한 콘베어 벨트의 이동 속도는 두 개의 콘베어 벨트들 사이의 틈의 길이에 따라 변하고 그리하여 이 경우에도 높은 작동속도가 얻어진다.
이러한 싣고 내리는 장치의 중요한 이점은 포장화물을 실온 팔레트 뿐만아니라 쌓여진 자루들을 실은 팔레트들을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데 있으여 그렇지 않고는 팔레트짐의 변위가 생길 수가 있으며, 그 이유는 적재된 팔레트의 싣고 내리는 것을 위하여 단지 수직 및 수평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그 장치의 지브에 있는 여러 가지 콘베어 벨트들 사이의 전위점이 연속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청구범위 종속항에서 그 특징이 나타나 있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에 나타낸 선박의 싣고 내리는 장치(10)는, 갠트리(20)의 후방부내의 극단부(130a)에서 부분(131)에서의 브리지 플래트 홈(21)에 또는 후자에 힌지 연결되고 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구동수단의 도움으로 수평 스위블 축(132) 둘레에서 수직으로 추축 운동 가능한 지지아암(130)으로 구성되는 일방적으로 올리고 내릴 수 있는 지브(30)를 갖는 수평브리지 플래트 홈(31)을 이동 갠트리(20)로 구성된다. 지지아암(130)의 하부(130b)에는 상자형태의 지지프레임(40)이 지지아암(130)에 잘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40)은, 지지아암(130)의 길이와 비교하여 떠 짧게 칫수가 정해진 길이를 갖게 된다. 추가하여, 지지프레임(40)은, 지지아암(130)의 뒷부분내에서, 즉 지지아암(130)의 힌지점(131)에 인접하여 갠트리(20)나 브리지 플래트 홈(21)상에 설치된다.
이 지지프레임(40)은 습기와 비같은 것에 대비하여 운반되는 화물을 보호하기위하여 측부 덮개를 갖는 모든 측부상에 갖추어지는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다. 지지아암(130)에 장치된 이 지지프레임(40)은 지지프레임(40)으로부터 화살표(X)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된, 또는 지지 프레임(40)으로 이동되는 상자 형상의 지지 프레임(50)을 수용하고 또 설치 및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지지프레임(40)은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안내 레일이나 서로 다르게 구성된 안내수단이 갖추어져 있고, 또한 한편 지지프레임(50)은 지지프레임(40)의 안내 레일상의 지지 프레임(50)의 변위를 주는 적합한 구조요소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프레임은 또한 습기와 비같은 것에 대하여 운반되는 화물을 보호하기 위해 측부 덮개부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프레임(50)의 변위는 전체적인 설치부(10)에 사용되는 모든 다른 구동수단과 마찬가지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도면부호(51)에서 나타낸 전동 구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안팎으로 변위는 지지프레임(50)의 안전한 안내를 해주기 위해 그 전방 극단부(130c)상의 지브(130)는 V자 형태의 등자의 형태로 구성된 그리고 지지프레임(50)의 외부 원주상의 둘레에 파지하고 있는 그리고 안내요소 예를 들어 안내 로울러 같은 것이 마련된 하향의 안내수단 설치지지부(135)가 갖추어져 있어서 화살표(X)의 방향으로 지지프레임(50)의 용이한 변위가 가능해진다.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프레임(50)은 그 자유전단부(52)상에서 지지프레임(50)의 하측부상에 도면부호(151)에서 힌지연결되고 또 수평 스위블 축(152)둘레에서 추축운동하는 로우드 판(151)을 갖는다. 이 로우드 판(151)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할 수직 콘베이어(6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선박의 싣고 내리는 장치의 지브(30)는 지지아암(130)과 후자에 잘 연결된 지지프레임(40)과 그리고 안팎으로 변위 가능한 지지프레임(50)으로 구성되므로, 지지아암(130)과 두 개의 지지프레임(40)(50)은 위치(A)(B)에 의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브(130)의 또는 지지아암(130)의 모든 수직 변위를 갖게 된다. 지지프레임(50)의 자유전단부(52)상에 마디로 연결된 수직 콘베어(60)가 지브(30)의 모든 슬루잉 위치에서 수직위치를 갖도록 하기 위해 수직 콘베어(60)은, 지지프레임(50)에 도면부호(151)에서 힌지 연결된 로우드판(150)에 의해서,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작용하는 지지프레임(50)에 마디로 연결되어 있다. 로우드판(150)과 지지프레임(50) 사이의 변화부분은 습기와 비등에 대해서 보호하기 위해 벨로우스(155)에 의해서 폐쇄되고, 이러한 벨로우스(155)는 지브(30)에 관하여 수직 콘베어(60)의 모든 각도 위치에 적합하게 된다. 수직 콘베어(60)를 수용하는 로우드판(150)은 지지프레임(40)(50)과 같이 보호하는 측부 덮개가 갖추어져 있다. 전체적인 장치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평행 안내수단의 도움으로 또는 유체압이나 공압 또는 달리 작동되는 액튜에이터 시린더에 의해 달성되는 지브(30)의 모든 슬루잉 위치와 함께 수직 콘베어(60)가 수직위치를 갖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수직 콘베어(60)가 지브(30)의 모든 슬루잉 위치에서 수직 위치를 갖도록, 스위블 축(152)의 추축운동에 의해서 로우드판(150)의 추출운동이 조정되도록 구동수단을 갖는 스위블 축(152)을 갖추게하는 가능성이 있게 되며, 이 경우에 로우드판(150)은 그 종축에 대하여 회전될 때 로우드 판(150)이 후자의 경우와 함께 추축 운동되도록 스위블 축(152)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르게 구성된 구동수단을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지브(30)의 올리고 내림은 케이블 태클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40)과 지지프레임(5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는 이후에 상세히 다루어질 콘베어 써플라이나 전밀 벨트(70)가 설치되어 있다.
선박의 싣고 내리는 장치(10)에 관한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콘베어(60)는 정방향 또는 장방형의 부분을 이루기 위해 서로 보완하는 그리고 가로 지주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예컨대 두 개의 종방향 부재로 구성된다. 네 개의 종방향부재에 관한 제1도에 있어서, 단지 두 개의 종방향 부재(167)(168)가 분간할 수 있도록 나타나 있다. 이러한 운반 프레임워크(160)도 운반될 화물의 보호를 위해 측부 덮개가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운반 프레임워크(160)는 운반 프레임워크(160)가 도면부호(500)로 나타낸 선박의 화물칸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화살표(X1)의 방향으로 수직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로우드 판(150)내에 유지 및 안내된다. 운반프레임 워크(160)의 전체길이는, 내려진 상태에서, 지면에 가깝게 위치한 또는 운반프레임워크(160)의 지면(160a)상의 단부가 적재 표면위나 선박의 하부에 놓는 방식으로 대략적으로 칫수가 정해진다. 운반 프레임워크(160)의 일한 수직 변위 때문에 선박의 각각의 화물량에 대한 그리고 그 홀수선에 대한 적합화가 가능한 것이다.
운반 프레임워크(160)의 수직 변위는, 전동력 구동이 되고 또한 사용될 구동수단이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제1도에 도면부호(161)로 나타낸 구동수단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이 구동수단(161)은, 운반프레임워크(160)의 변위운동이 화살표(X1)의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되게 하여 전기구동모터와 적합하게 구성된 태클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구동수단(161)은 로우드 판(150)내에 통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구동수단(161)에 의해 구동되고 로우드 판(150)상에 갖추어진 구동피니온이 맞게되는 랙 형상의 부재와 함께 바깥에서 운반프레임워크(160)를 만드는 네 개의 종방향부재(167)(168)을갖게 하는 가능성이 있게 된다. 그러나 다르게 구성된 구동수단이 여기에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운반 프레임워크(160)는 전달 플래트홈과 함께 그 내부 공간내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을 수용한다. 이러한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은 운반 프레임워크(160)내의 내부 공간내에 화살표(X2)의 방향으로 도면부호(164)로 나타낸 구동수단의 도움으로 변위되며, 이 구동수단(164)은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태클 라인으로 구성된다.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의 운반 플래트홈(163)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구동되는 콘베어 벨트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운반플래트홈(163)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콘베어 벨트(163a)(163b)에 의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콘베어 벨트의 각각은 편향 로울러에 의해 안내 및 구동되는 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콘베어 벨트(163a)(163b)의 회전방향은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수행되는 가에 따라서 변화된다. 콘베어 벨트 대신에 또는 두 개의 콘베어 벨트(163a)(163b) 대신에, 운반 플레트홈이 회전구동되는 운반로울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면가까이나 지면상의 단부(160a)에서, 운반 프레임워크(160)는 본래 공지된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제1도에 나타낸 하나 또는 몇 개의 콘베어 벨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피구동 로울러를 갖는 롤러 콘베어로 구성되는 운반될 화합물을 위한 수용하거나 전달하는 장치(165)를 가지며, 운반프레임워크(160)의 양측부상에서 하나의 운반경로(166)가 구성되는 방식으로 그리고 전달경로(166)의 레벨에까지 낮춰지는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상으로 로우딩된 팔레트가 전달됨에 의해 운반될 화합물을 위한 이러한 수용 및 전달장치(165)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우딩된 팔레트의 측부상의 공급을 위한 두 개의 운반경로(166)가 회전 피구동벨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리고 전달 플래트홈(163)이 회전 피구동벨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달경로(166)로부터 전달경로(166)상으로의 또는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의 전달 플래트홈(163)으로의 로우딩된 팔레트의 연속통과가 확실해진다. 전달 경로상으로 또는 전달경로(166)로부터의 로우딩된 팔레트의 운반이나 배출은 각각 화살표 Y와 Y1에 의해 제1도에 나타나 있다.
전달될 화물을 위한 공급이나 운반벨트(70)는 제1도와 2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전달벨트로써 구성된 세 개의 전달경로로 구성되며, 서로 다르게 구성된 전달 및 취급수단이 팔레트로우드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콘베어 벨트(170)는 안팎으로 변위가능한 지지프레임(50)의 내부 공간내에 장치되고 따라서 지지프레임(50)의 안팎의 이동운동에 관여하게 된다.
이 콘베어 벨트(170)는 편향로울러를 가로질러서 안내되는 무한 벨트로 구성되고 두 개의 편향로울러(171)(172)중의 하나가 구동된다. 적합한 구동수단이 도면 부호(175)에 나타나 있다. 콘베어 벨트(170)상의 상부의 작용 벨트부분은 도면부호(170a)로 나타나 있고 도 하부의 작용벨트 부분은 도면부호(170b)로 나타나 있다. 이 콘베어 벨트(170)는 지지프레임(50)의 길이에 대략 해당되는 길이를 갖고, 그리하여 지지프레임(50)이 정지상태의 지지프레임(40)내로의 부분과 함께 변위될 때 콘베어 벨트(170)는 지지프레임(40)에 있어서 해당되는 동일 칫수부분과 함께 위치된다. 콘베어 벨트(170)는, 들어올리는 플레트홈(162)이 콘베어 벨트(170)의 레벨로 변위될 때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의 전달 플래트홈(163)이 콘베어 벨트(170)의 상부의 작용벨트부분(170a)안에 위치되도록 지지프레임(50)의 자유전단부(52)에서 끝나고, 그리하여 들어올리는 플레트홈(162)의 전달 플래트홈(163)과 콘베어 벨트(170)사이의 연속 통과부가 확보된다.
콘베어 벨트(270)는 정지형의 지지프레임(40)안에 설치되고, 이 콘베어 벨트(270)는 지지프레임(40)의 기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다시 말하면 콘베어 벨트(270)의 길이는, 지지프레임(40)의 길이와 비교하여 볼 때, 지지프레임(40)으로 변위될 때 지지프레임(50)의 부분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만큼 짧아지도록 칫수가 정해져 있다. 안팎으로 변위되는 지지프레임(50)의 후단부(53)는 지지아암(103)에 고정된 정지상태의 지지프레임(40)에 있어서 정지상태의 콘베어 벨트(270)의 앞에서 공간을 형성하면서 끝나게 된다. 콘베어 벨트(370)는 콘베어 벨트(170)와 콘베어 벨트(270)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이 콘베어 벨트(370)는 단일개의 적재 팔레트의 수용되는 것이 가능한 칫수로 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면 이 콘베어 벨트(370)의 길이는 대략 팔레트의 길이나 폭에 해당된다. 만일 지지프레임(50)이 그 정지부분에 까지 지지프레임(40)에 삽입된다면, 콘베어 벨트(370)는 콘베어 벨트(170)의 단부상에 직접 연계되어 그 위로 콘베어 벤트(270)가 연계되고, 그리하여 운반될 화물에 대한 하나의 평면에 위치된 연속 전달경로가 얻어지게 된다. 반면에, 만일 지지프레임(50)이 지지프레임(40)밖으로 이동된다면, 그 공간은 콘베어 벨트(370)의 길이 보다 큰 두 개의 콘베어 벨트(170)(270) 사이에 생긴다. 이 공간을 거쳐서 화물의 연속 전달을 하기 위해서 콘베어 벨트(370)는 화살표(X3)의 방향으로 두 개의 콘베어 벨트(170)(270) 사이에서 변위된다. 콘베어 벨트(370) 자체는 두 개의 편향 로울러의 하나가 구동되는 편향롤러(371)(372)를 가로지르는 순환벨트로 구성된다. 적합하게 구조를 갖춘 구동수단이 도면부호(375)로 나타나 있다. 상부에서 움직이는 벨트튼 도면부호(370a)로 식별되고 콘베어 벨트(370)의 아래에서 움직이는 벨트부분은 도면부호(370b)로 식별된다. 이 콘베어 벨트(370)는 화살표(X3)의 방향으로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안내 레일 상에서 변위되는 슬라이드(378)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변위에 대하여, 구동수단(376)은 가역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그리하여 콘베어 벨트(370)를 갖는 슬라이드(378)는 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정지상태의 지지프레임(40)의 안에 설치된 콘베어 벨트(370)는, 두 개의 편향롤러중의 하나가 구동되는 편향롤러(271)(272)를 거쳐 움직이게 되는 순환벨트로 구성된다. 적합한 구동 수단은 도면부호(275)로 식별된다.
콘베어 벨트(270)의 상부 작동벨트는 도면부호(270a)로 나타나 있고 또 그 하부 작동벨트는 도면부호(270b)로 나타나 있다. 지면에 또는 그 가까이에 그리고 콘베어 벨트(370)에 마주보는 단부내에서, 지지프레임(50)은 콘베어 벨트(170)에 까지의 콘베어 벨트(370)의 내부 이동을 위해서 구성되어 있다. 콘베어 벨트(170)(270)(370)의 모든 설치는 그들의 상부 작동 벨트부분(170a)(270a)(370a)이 하나의 평면에 위치되며 또 연속통과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지지프레임(50)의 안팎의 변위는 위치(A1)(B1)에 의하여 제1도에 나타나 있다. 수직 콘베어(60)의 수직변위는 위치(A2)(B2)(B2)에 의해 나타난다.
정지상태의 지지프레임(40)에 있어서의 콘베어 벨트(270)를 위하여 그리고 변위되는 콘베어 벨트(370)를 위하여 프레임워크(160)와 함께 안팎으로 변위되는 콘베어 벨트(170)를 위한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를 위한 구동수단(164)(175)(275)(375)(376)은, 전달된 화물이 수직 콘베어(60)로부터 멀리 향하는 콘베어 벨트(170)의 단부에 이를때 변위가능한 콘베어 벨트(370)가 콘베어 벨트(170)상에서 데이크 오버 위치로 변위되도록 조절시스템(80)에서 구조를 갖게 된다. 콘베어 벨트를 가동시킬 때 전달될 화물은 콘베어 벨트(170)로부터 콘베어 벨트(370)위로 그리고 콘베어 벨트(170)상으로 이동된다. 만일 변위가능한 콘베어 벨트(370)가 두 개의 콘베어 벨트(170)(270) 사이에 설치되면, 콘베어 벨트(170)로부터 콘베어 벨트(370)으로의 그리고 후자로부터 콘베어 벨트(270)로 운반될 화물의 직접적 이동이 이루어진다. 만일, 반면에 콘베어 벨트(170)를 갖는 지지프레임(50)이 지지프레임(40)으로부터 밖으로 이동되었다면 콘베어 벨트(170)로부터 전달될 화물을 받고나서 콘베어 벨트(370)는 콘베어 벨트(270)의 수용부안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달된 화물은 콘베어 벨트(370)의 변위중에 콘베어 벨트(370)로부터 콘베어 벨트(370)로 운반되고, 그 변위도중에 콘베어 벨트(370) 자체상에 운반될 화물의 전달이 이루어져서는 안되기 때문에 벨트의 회전이 멈춰진다. 일단 콘베어 벨트(370)가 콘베어 벨트(170)로 또는 콘베어 벨트(270)로 이동하면, 전달시스템(370)의 벨트는 회전이 시작되어 콘베어 벨트(170)로부터 콘베어 벨트(370)로 전달될 화물의 수용이나 콘베어 벨트(370)로부터 콘베어 벨트(370)으로의 그리고 콘베어 벨트(270)으로의 화물의 운반이 이루어지고 콘베어 벨트(170)(270)(370)의 회전방향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 선박에 싣거나 내리는가에 따르게 된다.
모두 세 개의 콘베어 벨트(170)(270)(370)의 회전속도가 같게 되고, 또 한편 변위속도나 콘베어 벨트(370)의 이동 속도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그 거리에 의존하며, 다시 말해서 콘베어 벨트(170)와 콘베어 벨트(270)사이의 공간의 길이에 의존한다. 콘베어 벨트(170)와 콘베어 벨트(270) 사이의 거리가 무시할 정도로 작으면 콘베어 벨트(370)의 변위에 대해서는 큰 속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만일, 반면에, 콘베어 벨트(170)와 콘베어 벨트(270) 사이의 거리가 어느정도 크면 그 경우에는, 만약 싣고 내리는 작업을 잘 수행하기 위해 콘베어 벨트(370)는 커진 속도로 변위된다면 유리해지는 것이며, 그렇지만, 콘베어 벨트(370)의 이동속도는 팔레트상의 팔레트 화물의 변위가 방지되는 방식으로 계산되어야 한다. 콘베어 벨트(370)의 회전속도와 이동속도는 콘트롤 시스템(80)에 의해 조절되고, 또 콘베어 벨트(170)(270)(370)의 구동수단, 즉 각 경우에 있어 변위가능한 콘베어 벨트(370)에 대한 이동경로와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의 이동운동의 함수로서의 구동수단 그리하여 수직 콘베이어(60)의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를 거쳐서 그리고 부두지구에 위치되는 이동이나 수용지구로 전달될 화물의 수용이나 이동벨트를 거쳐서 운반될 화물에 대한 수용이나 이동장치로부터의 연속전달이 이루어진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직 지지프레임(260)은 운반 프레임 워크(160)와 일치되어 구성되는 지브(130)의 후방단부(130a)에 설치된다. 이 지지프레임(260)에 있어서, 전달 플래트홈(263)을 갖는 들어올리는 플래트홈(262)이 설치된다. 화살표(X4)의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플래트홈(262)의 수직변위는 콘트롤시스템(80)과 연결되어 있는 도면부호(264)로 나타낸 구동수단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지면부에서 지지프레임(260)은 수용이나 운반장치(165)와 일치되어 구성되는 전달될 화물을 위한 수용이나 운반장치를 갖는다. 지지 프레임(260)에 있어서 들어올리는 플래트홈의 이동운동은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과 콘베어 벨트(170)(270)(370)의 이동시이퀀스와 동시화 되며 그리하여 수용 및 운반장치(265)를 거쳐 운반되는 화물은 들어올리는 플래트홈(260)에 의해 콘베어 벨트(270)부분내로 전달된다. 올리는 플래트홈(260)에 의해 콘베어 벨트(270)부분내로 전달된다. 콘베어 벨트(270)로부터 전달된 화물은 화물의 전달을 위해 콘베어 벨트(270)로 이동되는 콘베어 벨트(370)로 운반된다. 그 후에 콘베어 벨트(370)는, 전달될 화물이 인수되고 또 수직 콘베어(6)의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으로 전달되는 콘베어 벨트(170)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한다.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은 콘베어 벨트(170)로부터 화물을 받고, 그 위에서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은 받거나 전달하는 장치(165)에 까지 이동하며 또 그 화물은 후자로부터 선박(500)의 화물칸으로 전달된다. 선박의 짐싣기는 가장 짧은시간내에 이러한 방식으로 가능한 것이다. 선박의 짐을 내리는 것도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 지지만, 콘베어 벨트의 회전방향과 콘베어 벨트(370)의 이동운동이 역으로 된다.
선박의 짐싣기와 내리는 장치(10)에 사용되는 수직 콘베어(60)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의 사용은 짐싣은 팔레트나 보다큰 패키지 화물들이 전달될 때 특히 유리한 것이다. 자루들과 같은 서로 다른 패키지 화물은 나선형 콘베어나 클램프형 벨트 콘베어에 의해 지브(30) 상에서 공급 및 배출 콘베어 벨트(7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프레임(40)으로의 지지프레임(50)의 각각의 이동 깊이에 근거하여 콘베어 벨트(370)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지지프레임(50)이 지지프레임(40)안으로 더 멀리 이동할수록 콘베어벨트(370)의 이동속도가 더 작아지며, 한편 두 개의 콘베어 벨트(170)(270) 사이의 공간이 더 커질 때 이동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제1도 및 2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콘베어 벨트(170)(270)사이의 갭을 메우기 위하여, 이들 두 개의 콘베어 벨트(170)(270) 사이의 갭이 함수로써 이들 두 개의 콘베어 벨트(170)(270) 사이에 변위가능한 콘베어 벨트(370)가 설치된다. 제4도의 실시예에 따라 이 갭은 변위가능한 콘베어 벨트(370)가 없이 메워질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콘베어 벨트(170)(270)의 두 개의 단부가 텔레스코프식으로 구조를 이루어 두 개의 콘베어 벨트(170)(270)는 그 길이에 관하여 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서로 멀리 떨어져서 회전전구동되는 두 개의 콘베어 벨트와 체인등으로 각 콘베어 벨트(170)(270)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 지지프레임에 있는 두 개의 콘베어 벨트 사이에 또 하나의 나란히 되어 있는 두 개의 콘베어 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프레임은 안팎으로 방향으로 수평 변위되어 두 개의 콘베어 벨트(170)(270)사이의 공간거리가 브리징된다. 또한, 텔레스코프식으로 콘베어 벨트(170)(270)의 하나만을 구성하도록 하는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마지막의 팔레트로드는 수직 콘베어나 포크리프트트럭에 의한 로딩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줄에 의하여 선박의 적재된 화물칸에 위치되며, 또 화물을 내리기 위해 제거가 가능하도록 팔레트 로드상에서 이 경우에 줄이 남아있게 되며, 그 다음에 이러한 자유공간내로 수직 콘베어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줄을 달기 위해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의 전달 플래트홈(163)의 그 하측부에서 팔레트 전달줄이 설치되는 들어올리는 수단(410)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들어올리는 수단은 케이블과 걸고리(제3도)를 갖는 걸고리나 케이블원치로 구성된다. 콘베어 벨트(170)상으로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을 변위시킴에 의해 수직 콘베어(60)의 상부로 이동되는 그리고 들어올리는 수단에 의해 올려지는 팔레트로드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의 전달 플래트홈(163)은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캔틸레버 빔에 의해 수직 콘베어(60)로부터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전달 슬라이드같은 것으로 구성되는 횡방향의 전달장치(420)가 마련되어 있다. 팔레트로드는 콘베어 벨트(170)위에서 변위되고 또 그 위에서 내려진다. 사용하지 않을 때 캔틸레버 빔은 전달플래트홈 아래에 또는 그 안으로 변위될 수 있다.
운반 프레임워크(160)의 지면상의 단부(160a)에 설치되는 전달될 화물의 수용 및 운방장치(165)는 운반 프레임워크(160)에 잘 연결되는 또는 화살표(X4)의 방향으로 안팎의 수평 변위되는 운반 프레임워크(160)의 양측부에 설치된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전달경로(166)나 두 개의 평행 전달경로(166)로 구성된다. 내향으로 변위된 상태에 있어서, 두 개의 전달경로(166)는 운반 프레임워크(160)에 위치되고 또 들어올리는 플래트홈(162)(제3도)의 전달 플래트홈 부분에 해당하는 공간을 점유한다. 전달경로의 안팎의 이동은, 전달경로(166)가 운반프레임워크(160)로 변위될 때 수직 콘베어(60)가 최소의 단부칫수를 갖고 그리하여 전체의 팔레트로드 화합물로부터 팔레트로드의 제거에 의해 생기는 나란히 설치된 몇 개의 팔레트로드의 자유공간내로 수직 콘베이어 내향으로 변위될 수도 있도록 팔레트 표면의 그것에 거의 해당되는 칫수를 갖게 되는 이점을 준다.
콘베어 경로(270)부분내에서, 팔레트를 들어올리는 수단(430)은 전달된 화물이 적재된 이러한 전달경로(270)상에 도달하는 팔레트를 올리고 내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들어올림은, 이들 터미널 팔레트(445)상에 팔레트가 놓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 공간내에 터미널 팔레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콘베어 경로(270)위의 공간을 제공하는 역학을 한다. 팔레트가 다른 형상을 갖고 또 손상될 수도 있어서 완전한 팔레트베이스는 얻을 수 없는 것이며, 구조에 있어서 판형상을 하고 있는 이른바 터미널 팔레트가 사용되고, 높이가 낮으며, 더욱이 포크리프트 트럭의 포크에 의해 포착하여 올리고 내려질 수 있도록 구조를 갖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터미널 팔레트상에 놓여진 로드를 갖는 팔레트는 그 로드가 위치되는 팔레트가 손상될 때에도 스택을 이루도록 완전히 쌓여지고 어셈블 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팔레트를 들어올리는 장치(43)는, 콘베어 통로상에 이르는 로딩된 팔레트아래에서 변위되고 또 포크리프트 트럭과 유압식으로 들어올리는 장치의 그것에 해당되는 포크로 구성되지만 달리 구조를 갖춘 들어올리는 수단이 적용예를 찾는 것이 가능해 진다.
특히 들어올리는 장치(430)의 전달경로(270)의 단부에 그리고 들어올리는 플래트홈(262)을 갖는 지지프레임(26)에 마주보는 단부에 설치된다. 터미널 팔레트의 제거는 개별적인 선택장치의 도움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매거진이나 공급 샤프트로부터 이루어진다. 터미널 팔레트의 제거에 이어서 공급샤프트에 있어서 터미널 팔레트의 전체의 스택이 위로 변위된다. 개별적인 터미널 팔레트의 제거는 유압으로 구동되는 횡방향 슬라이더에 의해 수행된다. 요구되지 않는 터미널 팔레트는 공급샤프트(제5도)로 다시 되돌려 진다.

Claims (18)

  1.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에 있어서, (1) 갠트리(20)와, (2) 상기 갠트리(20)상에 고정된 후방단부(130a)를 가지는 지지아암(1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갠트리(20)상에 고정되어서 수평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지브(30)와, (3) 고정 지지프레임(40)과, (4) 자유단부(52)를 갖추고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동 지지프레임(50)으로서, 상기 지지아암(130)의 저면(130b)에 단단히 고정된 상기 고정 지지프레임(40)에 의해서 안내되는 가동 지지프레임과(50)과, (5) 상기 가동 프레임(50)이 상기 고정 지지프레임(40)의 안팎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지지프레임(40)을 수평방향으로 신축자재롭게 이동시키는 제1구동수단(51)과, (6) 자유단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지브(30)상에 설치되어 있는 공급 및 배출 벨트수단(70)으로서, ① 상기 가동 지지프레임(50)상에 고정된 제1콘베이어 벨트(170) 및 구동수단, ② 상기 고정 지지프레임(40) 상에 고정된 제2콘베이어 벨트(270) 및 구동수단, ③ 상기 제1 및 제2콘베이어 벨트(170, 270)의 사이로 배열되어 있고 적어도 팔레트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추고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3콘베이어 벨트(370), 및 ④ 상기 제3콘베이어 벨트(37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구동수단(376)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제2 및 제3콘베이어 벨트(170,270,370)가 한쪽 평면에 각각 상부 구동벨트부(170a,270a,370a)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3콘베이어 벨트(370)가 상기 고정 지지프레임(40)내에 제공된 상기 제2콘베이어 벨트(270)로부터 상기 제1콘베이어 벨트(170)까지의 각각의 거리에 의해서 형성된 지역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콘베이어 벨트(170,270)의 사이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각각의 거리가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0)에 대한 상기 가동 지지프레임(50)의 변위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급 및 배출벨트수단(70)과, (7) 상기 공급 및 배출 벨트수단(70)의 상기 자유단부와 상기 가동 지지프레임(50)의 상기 자유단부(52)상에 지지되어 상기 공급 및 배출 벨트수단(70)과 상호 작동하는 수직 방향 콘베이어(60)로서, ① 상기 가동 지지프레임(50)의 상기 자유단부(52) 내에서 상기 가동 지지프레임(50)의 안쪽으로 이동가능한 운반프레임(160), ② 상기 운반프레임(16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161), ③ 상기 공급 및 배출 벨트수단(70)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가능한 운반 플래트홈(163)을 갖추고 있고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리프팅 플래트홈(162), 및 ④ 상기 리프팅 플래트홈(162)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구동수단(164)를 포함하고 있는 수직방향 콘베이어(60)와, (8) 상기 수직방향 콘베이어(60)의 하단부에 제공된 화물수납 및 운반기구(165)로서, 상기 운반프레임(160)이 하부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프팅 플래트홈(162)의 상기 운반 플래트홈(163)이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된 화물수납 및 운반기구(165)와, 그리고 (9) 상기 리프팅 플래트홈(162)의 상기 제3구동수단(164), 상기 제1콘베이어 벨트(170)의 상기 구동수단, 상기 제2콘베이어 벨트(270)의 상기 구동수단, 및 상기 제3콘베이어 벨트(370)의 상기 구동수단(376)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플래트홈(162)의 상기 운반프레임(160)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콘베이어 벨트(170)(270)(370)의 상기 지지프레임(40)(50)의 완전히 코팅된 프레임워크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프레임(50)의 상기 제1콘베이어 벨트(170)가 상기 리프팅 플래트홈(162)의 이동범위 안쪽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프레임(40)이 상기 지지아암(13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상기 지지아암(130)의 후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아암(130)이 상기 수직방향 콘베이어(60)와 마주하는 전단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전단부에는 상기 가동 지지프레임(50)의 안내 설치부(135)가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프레임(160)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가동 지지프레임(50)의 상기 자유단부상에 적재판(150)이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운반 프레임(16)이 상기 적재판(150)내에 고정되어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콘베이어(60)의 상기 운반프레임(150)이 상기 가동 지지프레임(50)의 상기 자유단부(52)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축(152)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130)의 상기 후방단부(130a)가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아암(130)의 상기 후방단부(130a)에는 수직방향 지지프레임(260)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60)내에는 운반플래트홈(263)를 갖춘 리프팅 플래트홈(262)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방향 지지프레임(260)의 지면단부에 운반되는 화물의 수납 및 운반기구(265)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플래트홈(162)(262)의 상기 운반 플래트홈(163)(263)이 적어도 하나의 콘베이어 벨트(166)(266)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콘베이어 벨트(166)(266)가 상기 제1, 제2 및 제3콘베이어 벨트(170)(270)(370)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콘베이어 구동수단을 제어하여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콘베이어 벨트(170)(270)(370)가 동일한 회전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콘베이어 벨트(370)의 이동속도가 상기 제1 및 제2콘베이어 벨트(170)(270)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콘베이어 벨트(370)의 이동속도가 상기 제1 및 제2콘베이어 벨트(170)(270)의 회전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콘베이어 벨트(370)의 회전이 그 이동중에 정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콘베이어 벨트(370)는 상기 고정 지지프레임(40)안으로 상기 가동 지지프레임(50)이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서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플래트홈(162)의 상기 운반플래트홈(163)이 팔레트 취급수단을 부착시키기 위한 리프팅기구(410)가 제공되는 하부면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플래트홈(162)의 상기 운반 플래트홈(163)이 상기 리프팅기구(410)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팔레트를 상기 제1콘베이어 벨트(170)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횡방향의 운반수단(420)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수납 및 운반기구(165)가 측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콘베이어 벨트(1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아랫쪽으로 상기 콘베이어 벨트(270)의 작동범위내에는, 팔레트 리프팅기구(430), 및 상기 콘베이어 벨트(270)와 운반되는 화물을 싣고 윗쪽으로 상승된 팔레트와의 사이에 제공된 공간안으로 최종의 팔레트(445)를 삽입시키는 수단(44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플래트홈(163)(263)이 각각 회전작동되는 롤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KR1019890700426A 1987-07-09 1988-07-07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KR930010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7109924A EP0298147B1 (de) 1987-07-09 1987-07-09 Vorrichtung zum Be- und Entladen, insbesondere von Schiffen mit Stückgut, insbesondere von beladenen Paletten
DE87109924.8 1987-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29B1 true KR930010229B1 (ko) 1993-10-15

Family

ID=81971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426A KR930010229B1 (ko) 1987-07-09 1988-07-07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KR1019890700426A KR890701460A (ko) 1987-07-09 1988-07-07 포장화물을 갖는 선박의 특히 적재된 팔레트를 싣고 내리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426A KR890701460A (ko) 1987-07-09 1988-07-07 포장화물을 갖는 선박의 특히 적재된 팔레트를 싣고 내리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298147B1 (ko)
JP (1) JPH0733179B2 (ko)
KR (2) KR930010229B1 (ko)
AT (1) ATE68158T1 (ko)
AU (1) AU2121088A (ko)
DE (1) DE3773672D1 (ko)
ES (1) ES2026489T3 (ko)
GR (1) GR3002929T3 (ko)
RU (1) RU2057701C1 (ko)
WO (1) WO19890005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93B1 (ko) * 2005-01-21 2013-11-08 카고텍 스웨덴 악티에볼라그 화물선에서의 화물 취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2254B (de) * 1988-04-18 1991-02-25 Hans Dipl Ing Dr Techn Jonke Krananlage mit einbahnigem foerdersystem fuer den stueckguttransport
SE463618B (sv) * 1989-05-12 1990-12-17 Krabbeskaers Verkstads Ab Anordning foer lastning av gods i ett antal behaallare
EP0407643A1 (de) * 1989-07-14 1991-01-16 COPLA FÖRDER-UND LAGERTECHNIK GESELLSCHAFT FÜR ANLAGENBAU mbH Vorrichtung zum Be- und Entladen, insbesondere von Schiffen mit Stückgut und/oder mit beladenen Paletten
ES2084542B1 (es) * 1993-03-26 1998-10-16 Taim Tfg Sa Sistema de mecanismo para carga y descarga automatica de palets en barcos.
KR100465769B1 (ko) * 2002-04-11 2005-01-13 조희남 지하수 정수 처리 장치
KR101254974B1 (ko) * 2011-01-31 2013-04-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화물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5950A (en) * 1922-05-05 1925-02-10 Arthur T Prescott Cargo-handling apparatus
DE1274505B (de) * 1965-07-27 1968-08-01 Rudolf Geisel Maschinenfabrik Vorrichtung zum Beladen von Grossraumtransportmitteln, insbesondere von Schiffen, mit Stueckgut
JPS5316328B2 (ko) * 1971-08-11 1978-05-31
JPS54113164A (en) * 1978-02-23 1979-09-04 Mitsui Miike Mach Co Ltd Transit conveyor system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transportation
JPS55160685A (en) * 1979-05-29 1980-12-13 Kayaba Ind Co Ltd Method of shipboard cargo work
JPS575116A (en) * 1980-06-11 1982-01-11 Hitachi Ltd Positioning mechanism and truck with positioning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93B1 (ko) * 2005-01-21 2013-11-08 카고텍 스웨덴 악티에볼라그 화물선에서의 화물 취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68158T1 (de) 1991-10-15
GR3002929T3 (en) 1993-01-25
WO1989000541A1 (en) 1989-01-26
EP0298147A1 (de) 1989-01-11
RU2057701C1 (ru) 1996-04-10
JPH03501114A (ja) 1991-03-14
EP0298147B1 (de) 1991-10-09
ES2026489T3 (es) 1992-05-01
JPH0733179B2 (ja) 1995-04-12
AU2121088A (en) 1989-02-13
DE3773672D1 (de) 1991-11-14
KR890701460A (ko) 198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711666A3 (ru) Конвей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грузов из судов
US4750429A (en) Transportation systems
KR100904514B1 (ko)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 및방법
EP0904248B1 (en) Hoisting frame and method for its use
EP1795467A2 (en) Container transfer system between ship and warehouse
US4897012A (en) Cargo handling system
JP7465364B2 (ja) 積み卸し装置、積み卸しシステム及び積み卸し方法
JP2790202B2 (ja) 船の荷積―荷下ろし用の貨物転送システムおよび貨物転送手段
CA2281092C (en) Transporter container-loading bridge
KR930010229B1 (ko)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US3924300A (en) Shuttel car mechanism for transferring loads between two stations
US6572319B1 (en) Modular cell elevator for containership
JPH04327430A (ja) 船への積込・積降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8528355A (ja) 貨物船舶における貨物取扱装置及びシステム
US5197843A (en)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unitary cargo onto and from ships
FI111157B (fi) Menetelmä ja sovitelma paperi-, kartonki- ja sellurullien lastaamiseksi kuljetusvälineeseen
KR100507988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US91149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ying packaged good and/or bulk goods
US3508668A (en) Load transferring apparatus
JPH10194461A (ja) 内航用コンテナ専用船の荷役設備
CN211365906U (zh) 一种垂直提升机送料输送装置
KR19980025011A (ko) 특히 선박용으로서, 단위 하중의 연속적인 적하 및 하역용 디바이스
KR20030006012A (ko) 순환식 스프레더를 구비한 갠트리 크레인
KR800002042Y1 (ko) 박용연속하역장치(舶用連續荷役裝置)
JP2552338B2 (ja) 荷役機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