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011A - 특히 선박용으로서, 단위 하중의 연속적인 적하 및 하역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특히 선박용으로서, 단위 하중의 연속적인 적하 및 하역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011A
KR19980025011A KR1019970049009A KR19970049009A KR19980025011A KR 19980025011 A KR19980025011 A KR 19980025011A KR 1019970049009 A KR1019970049009 A KR 1019970049009A KR 19970049009 A KR19970049009 A KR 19970049009A KR 19980025011 A KR19980025011 A KR 19980025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vertical conveyor
belt
conveyor
ga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르겐 아렌트
호르스트 스텍켈
Original Assignee
벤들러; 욘
크루프 푀르더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들러; 욘, 크루프 푀르더테크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벤들러; 욘
Publication of KR1998002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1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단위 하중(13)을 연속적으로 적하 및 하역 하기 위한 디바이스, 특히 선박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회전부(3)이 설치된 갠트리(2) 수단에 의하여 선박(1)에 평행하게 작동할 수 있는 수직 컨베이어(6)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직 컨베이어(6)은 상승, 하강 및 슬루될 수 있는 붐에 결합되어 있고, 갠트리(2)의 회전부(3)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붐 컨베이어 벨트(5)에 맞추어져 있다. 수직 컨베이어(6)은 플랫폼(8)이 설치되어 있어서, 운반 체인과 같이 수직으로 가이드된 운반 요소(7)에 고정된 단위 하중(9)을 받는다. 상기 디바이스는 하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수직 컨베이어(6)은 마운팅(10)을 통하여 붐(4)에 고정된다.
- 마운팅(10)은 두 개의 피벗 포인트(11.1), (1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마운팅(10)은 제 1 피벗 포인트(11.1)이 붐(4)에 고정되고, 제 2 피벗 포인트(11.2)가 평행 가이드 바(12)에 고정된다. 상기 두 개의 피벗 포인트(11.1), (11.2)은 평행사변형의 두 개의 꼭지점을 형성하고, 두 개의 추가적인 피벗 포인트(11.3), (11.4)으로 형성되는 다른 두 개의 꼭지점은 붐(4) 및 평행 가이드 바(12)를 갠트리(2)의 회전부(3)에 결합을 구성한다;
- 갠트리(2)의 회전부(3) 상에 구비된 두 개의 피벗 포인트 중 하나는 붐(4)의 축에 대한 상승 및 하강을 구성한다.

Description

특히 선박용으로서, 단위 하중의 연속적인 적하 및 하역용 디바이스
본 발명은 특히 선박용에 있어서, 쌕(sack), 카르톤(carton) 등과 같은 단위 하중(unit load)을 연속적으로 적하(loading) 및 하역(unloading) 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부(rotary part)를 구비하는 갠트리(gantry) 수단에 의해서 선박에 평행하게 작동될 수 있는 수직 컨베이어(vertical conveyor)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 컨베이어는 상승, 하강 및 슬루(slew)될 수 있는 붐(boom)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붐은 갠트리의 회전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붐 컨베이어 벨트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컨베이어는 운반 체인(carrying chain)과 같은 운반 요소를 수직으로 가이드하도록 고정된 단위 하중을 받는 플랫폼(platform)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타입의 공지된 디바이스에 있어서, 수직 컨베이어는 일반적으로 나선형 컨베이어(spiral conveyor)(DE 2622 399 C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매우 높은 정도의 구조적인 비용을 필요로 한다. 상기 나선형 구조로 인한 또 하나의 단점은 컨베이어의 운송 면이 운반되어야 할 비교적 많은 수의 단위 하중을 받을 수 있어야 하므로 디바이스는 상당한 안정성을 가지고 설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수직 컨베이어가 나선형 컨베이어로 구성되지는 않았으나 단위 하중을 받기 위한 운반 요소를 수직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고정된 플랫폼을 구비하는 디바이스(DE 42 43 013 C1)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상기 경우에 디바이스는 매우 크고 값비싼 볼 베어링 슬루잉 림(ball bearing slewing rim)이 수직 컨베이어의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있다.
게다가 디바이스는 커다란 굴곡형 컨베이어(curved conveyor)가 설치되어 있어서 단위 하중의 운송을 어렵게 한다. 매우 큰 질량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붐의 팁(tip)에 고정되기 때문에 붐은 그에 따라 복잡하고 고비용적 구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 하중을 적하 및 하역하는데 있어서 공지의 디바이스보다 실질적으로 간단한 구조의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것 및 좀 더 절감된 비용으로 디바이스를 생산하는데 있다.
상기 타입의 디바이스로 달성되는 일군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수직 컨베이어는 마운팅(mounting)을 통하여 붐(4)에 고정된다;
- 마운팅은 두개의 피벗 포인트(pivot point)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피벗 포인트는 붐에 고정되고 제 2 피벗 포인트는 평행 가이드 바(parallel bar)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피벗 포인트는 평행사변형의 두 개의 꼭지점을 형성하고 다른 두 개의 피벗 포인트로 구성되는 평행사변형의 다른 두 개의 꼭지점은 붐 및 평행 가이드 바를 갠트리의 회전부에 결합을 구성한다;
- 갠트리의 회전부 상에 구비된 두 개의 피벗 포인트 중 하나는 붐의 올리기 및 내리기 축을 구성한다.
상기 디바이스의 붐에 수직 컨베이어를 고정시킨 형태는 수직 컨베이어가 정확하게 수직으로 일정하게 서 있을 수 있게 한다.
더우기 종래의 나선형 컨베이어 대신에 수직으로 가이드된 운반요소 및 거기에 고정된 플랫폼을 구비한 수직 컨베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플랫폼 상에 위치하는 단위 하중의 수가 종래의 나선형 컨베이어의 경우보다 실질적으로 작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컨베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은 나선형 컨베이어에 가해지는 하중보다 실질적으로 작으며,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컨베이어의 나비가 단지 나선형 컨베이어의 외경의 반 정도에 해당하는 길이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더 작은 윈드 서피스(wind surface)가 되며,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가 극도로 가볍게 설계되는 결과 상당한 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을 전개시켜 보면, 수직 컨베이어의 마운팅에 대한 결합은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두 개의 스위블 베어링(swivel bearing)에 의해서 형성되며, 그 축은 수직 컨베이어의 슬루잉 축(slewing axis)을 형성한다.
수직 컨베이어 및 마운팅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블 베어링은 붐에 대하여 수직 컨베이어가 그 중심에서 좌우로 각각 90°씩 회전 운동(slewing movement)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드라이브(rotary drive)는 슬루잉 축 주위로 수직 컨베이어를 슬루잉 하게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그러나, 슬루잉 운동은 실린더 수단에 의해서도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더욱 전개시켜 보면, 단위 하중은 텔레스코픽 벨트(telescopic belt)를 통하여 수직 컨베이어에 공급되며, 상기 텔레스코픽 벨트(회전 드라이브 수단에 의하여 축 주위를 슬루 가능함)는 수직 컨베이어에 관절 접함(articulate)되어 있어서, 중심 위치에서 각각 90°씩의 좌우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운송 텅(transfer tongue), 공급 벨트 및 단일-사이클 벨트가 텔레스코픽 벨트 및 수직 컨베이어 사이에서 구비된다.
수직 컨베이어 및 텔레스코픽 벨트 모두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결과로서 ±90°의 슬루잉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텔레스코픽 벨트는 붐에 대하여 ±180°로 슬루될 수 있기 때문에, 텔레스코픽 벨트는 선박의 정박점 모두에 도달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작고 협소한 창구(hatch)로 진입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그렇지 않았으면 필요했을 볼 베어링 슬루잉 림을 구비한 플랫폼이 생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비교적 가볍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개선된 점은 수직 컨베이어에서 붐 컨베이어 벨트로 단위 하중을 운송하는 것이 단일-사이클 벨트(single-cycle belt), 운송 텅 및 공급 벨트(feed belt) 수단에 의해서 수행된다는 것이다.
단위 하중의 운송은 보통 선창 다리(quay bridge)를 통해서 발생한다. 그러나, 선창의 바닥면 상에 위치하는 선창 측면 컨베이어로부터 단위 하중을 전달 및 제거하기 위하여, 그렇지 않았으면 보통으로 사용되었을 기울어진 컨베이어(inclined conveyor)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선창 상에 배치된 선창 측면 벨트(quayside belt) 다음에 위치하도록 추가적인 수직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거기에서 단위 하중을 선창 측면 벨트로부터 그의 저(低) 영역 내부로 이동시키며, 단위 하중을 그 상부 영역에서 붐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운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디바이스에서는 단일-사이클 벨트, 운송 텅 및 공급 벨트가 구비되어 추가적인 수직 컨베이어로부터 붐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단위 하중을 이송시킬 수 있게 한다. 선창 측면 벨트로부터 추가적인 수직 컨베이어 상으로 단위 하중을 운송시키는 것은 마찬가지로 단일-사이클 벨트, 운송 텅 및 공급 벨트 수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조에 따르면, 운송 텅 및 공급 벨트는 축 주위를 슬루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그 결과 디바이스는 가장 간단한 방법(특정 요소를 축 주위로 180°까지 각각의 운송 방향으로 슬루잉함)으로 적하 동작에서 하역 동작까지 그리고 그 역의 동작으로 바꿀 수 있다.
선박의 적하 및 하역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간단하게 즉, 선박의 타입 및 수면 높이에 무관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트레인, 트럭 기타 운반 수단에서 상품을 적하 및 하역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을 기초로 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다수의 붐 및 수직 컨베이어의 위치가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수직 컨베이어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디바이스의 붐에 연결점 및 단위 하중 공급용 텔레스코프 벨트를 구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디바이스를 실제적으로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구성 요소가 상이한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다.
도 1은 선박(1)의 하역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갠트리(2)를 구비하여 선박(1)에 평행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부(3) 및 붐(4)를 그 위에 배치하여 상승, 하강 및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붐 컨베이어 벨트(5)를 구비한다.
수직 컨베이어(6)은 붐(4)의 팁에 결합된다.
수직으로 가이드된 운반 요소(7)을 구비하고 있는 수직 컨베이어(6)은 플랫폼(8)이 단위 하중(9)를 받기 위해 특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마운팅(10)을 통하여 붐(4)에 고정되어 있다. 마운팅(10)은 두개의 피벗 포인트(11.1) 및 (11.2)를 구비한다. 마운팅(10)은 제 1 피벗 포인트(11.1)에서 붐(4)에 고정되고 제 2 피벗 포인트(11.2)에서 평행 가이드 바(12)에 고정된다. 두 개의 피벗 포인트(11.1) 및 (11.2)는 평행사변형의 두 개의 꼭지점을 구성하고, 다른 두 개의 꼭지점은 두 개의 추가적 피벗 포인트(11.3) 및 (11.4)에 의해서 구성되어 붐(4) 및 평행 가이드 바(12)를 갠트리(2)의 회전부(3)에 결합을 구성한다. 피벗 포인트(11.3)은 붐(4)를 갠트리(2)의 회전부(3)에 결합을 형성함과 동시에 붐(4)의 상승 및 하강 축을 형성한다.
도 2에 따르면, 두 개의 스위블 베어링(13.1) 및 (13.2)가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어 있어서, 그 축이 수직 컨베이어(6)의 슬루잉 축(14)를 형성하며, 수직 컨베이어(6)을 마운팅(10)에 결합시킨다. 회전 드라이브(15)는 수직 컨베이어(6)을 슬루잉 축(14) 주위로 슬루시키기 위하여 구비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 하중(9)는 텔레스코픽 벨트(16) 수단에 의하여 수직 컨베이어(6)에 공급된다. 단위 하중(9)는 텔레스코픽 벨트(16) 상에 놓이거나 수작업으로 제거되며, 상기 경우에 굴규칙한 적하가 또한 발생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벨트(16)은 수직 컨베이어(6)에 관절 접합되고 회전 드라이브(17) 수단에 의해서 축(18) 주위를 슬루될 수 있다. 운송 텅(19), 공급 벨트(20) 및 단일-사이클 벨트(21)은 텔레스코픽 벨트(16) 및 수직 컨베이어(6) 사이에 구비된다. 단일-사이클 벨트(21)은 운송되어야 할 단위 하중의 단지 한 개만을 받을 수 있는 짧은 컨베이어 벨트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 하중(9)는 수직 컨베이어(6)에서 붐 컨베이어 벨트(5)까지 추가적인 단일-사이클 벨트(21'), 추가적인 운송 텅(19') 및 추가적인 공급 벨트(20')를 통하여 운송된다.
추가적인 수직 컨베이어(6)는 선창 측면 벨트(24) 옆에 구비되어 있어서 선창(22)의 기저면 상에 배치되는 선창 측면 벨트(24)로부터 단위 하중을 운송하거나 또는 제거하게 되는데, 이는 통상적인 방법인 선창(22)(도 1)상에 배치된 선창 브리지(23)을 통하여 단위 하중을 운송하는 방법을 대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보다 더 낮은 영역에서 수직 컨베이어(6)는 선창 측면 벨트(24)에 결합되고, 그보다 더 높은 영역에서 수직 컨베이어(6)는 붐 컨베이어 벨트(5)에 결합된다. 수직 컨베이어(6)의 붐 컨베이어 벨트(5)로의 결합은 단일-사이클 벨트(21), 운송 텅(19) 및 공급 벨트(20)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는 축(25) 주위를 슬루할 수 있도록 배치된 운송 텅(19), (19'), (19) 및 공급 벨트(20), (20'), (20)를 도시한다.
상기 경우 두 가지 요소는 도 3의 하역시의 상태 및 도 4의 적하시의 상태를 도시한다.
종래의 나선형 컨베이어 대신에 수직으로 가이드된 운반 요소 및 거기에 고정된 플랫폼을 수직 컨베이어에 사용함으로써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플랫폼 상에 위치하는 단위 하중의 수가 종래의 나선형 컨베이어의 경우보다 실질적으로 작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컨베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은 나선형 컨베이어에 가해지는 하중보다 실질적으로 작으며,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컨베이어의 나비가 단지 나선형 컨베이어의 외경의 반 정도에 해당하는 길이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더 작은 윈드 서피스(wind surface)가 되며,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가 극도로 가볍게 설계되는 결과 상당한 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8)

  1. 쌕, 카르톤 등과 같은 단위 하중을 연속적으로 적하 및 하역하기 위한 디바이스, 특히 선박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회전부가 설치된 갠트리 수단에 의하여 선박에 평행하게 작동할 수 있는 수직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직 컨베이어는 상승, 하강 및 슬루될 수 있는 붐에 결합되어 있고, 갠트리의 회전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붐 컨베이어 벨트에 맞추어져 있는 디바이스로서, 수직 컨베이어는 운반 체인과 같이 수직으로 가이드된 운반 요소에 고정된 단위 하중을 받기 위한 플랫폼을 구비할 때에, 상기 디바이스는
    1.1 수직 컨베이어(6)이 마운팅(10)을 통하여 붐(4)에 고정됨;
    1.2 마운팅(10)은 두 개의 피벗 포인트(11.1), (1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피벗 포인트(11.1)은 붐(4)에 고정되고 제 2 피벗 포인트(11.2)은 평행 가이드 바(12)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피벗 포인트(11.1), (11.2)은 평행사변형의 두 개의 꼭지점을 구성하고, 두 개의 추가적인 피벗 포인트(11.3), (11.4)으로 구성되는 다른 두 개의 꼭지점은 붐(4) 및 평행 가이드 바(12)를 갠트리(2)의 회전부(3)에 결합을 구성함;
    1.3 갠트리(2)의 회전부(3) 상에 구비된 두 개의 피벗 포인트 중 하나가 붐(4)의 상승 및 하강 축(11.3)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 컨베이어(6)의 마운팅(10)에 대한 결합이 하나 위에 또 다른 하나가 위치하는 두 개의 스위블 베어링(13.1), (13.2)에 의해서 형성되며, 그 축은 수직 컨베이어(6)의 슬루잉 축(1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 드라이브(15)는 수직 컨베이어(6)을 슬루잉 축(14) 주위로 슬루잉 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단위 하중(9)는 수직 컨베이어(6)에 관절 결합된 텔레스코픽 벨트(16)(회전 드라이브(17) 수단에 의해서 축(18) 주위를 슬루 가능함)를 통하여 수직 컨베이어(6)에 공급되고, 운송 텅(19), 공급 벨트(20) 및 단일-사이클 벨트(21)이 텔레스코픽 벨트(16) 및 수직 컨베이어(6)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 제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컨베이어(6)에서 붐 컨베이어 벨트(5)로 단위 하중(9)를 운송하는 것이 단일-사이클 벨트(21'), 운송 텅(19') 및 공급 벨트(20') 수단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창(22) 상에 배치된 선창 측면 벨트(24) 다음에 배치되고, 단위 하중을 선창 측면 벨트(24)로부터 더 낮은 영역으로 운송하며 단위 하중을 붐 컨베이어 벨트(5) 상의 더 높은 영역으로 운송하는 추가적인 수직 컨베이어(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단일-사이클 벨트(21), 운송 텅(19) 및 공급 벨트(20)는 단위 하중을 추가적인 수직 컨베이어(6)에서 붐 컨베이어 벨트(5) 상으로 운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25) 주위를 슬루하도록 배치된 운송 텅(19, 19, 19) 및 공급 벨트(20, 20', 20)를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19970049009A 1996-09-26 1997-09-26 특히 선박용으로서, 단위 하중의 연속적인 적하 및 하역용 디바이스 KR19980025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9535.6 1996-09-26
DE19639535A DE19639535C2 (de) 1996-09-26 1996-09-26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Be- und Entladen, insbesondere von Schiffen, mit Stückg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11A true KR19980025011A (ko) 1998-07-06

Family

ID=780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009A KR19980025011A (ko) 1996-09-26 1997-09-26 특히 선박용으로서, 단위 하중의 연속적인 적하 및 하역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32831B1 (ko)
KR (1) KR19980025011A (ko)
CN (1) CN1182706A (ko)
DE (2) DE19639535C2 (ko)
ID (1) ID183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4415A1 (de) * 2004-11-11 2006-05-18 ThyssenKrupp Fördertechnik GmbH Vorrichtung zur Offshore-Schiffsbeladung oder -Entladung
CN104355056B (zh) * 2014-11-14 2016-09-14 长沙理工大学 一种龙门架式输送机
DE102018113542B4 (de) * 2018-06-06 2022-06-02 MBA Instruments GmbH Vorrichtung zum Entladen von Stückgut aus einem Laderaum eines Schiffes
EP3771667A1 (de) 2019-07-29 2021-02-03 Bühler AG Beladevorrichtung und pylon für eine belade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74505B (de) * 1965-07-27 1968-08-01 Rudolf Geisel Maschinenfabrik Vorrichtung zum Beladen von Grossraumtransportmitteln, insbesondere von Schiffen, mit Stueckgut
DE1914706A1 (de) * 1969-03-22 1970-10-08 Orenstein & Koppel Ag Senkrechtfoerderer
DE2622399C3 (de) * 1976-05-19 1980-04-03 Foerdertechnik Hamburg Harry Laessig, 2000 Hamburg Senkrechtförderer zum Be- oder Entladen, insbesondere von Schiffen mit Stückgütern
DE2813182C3 (de) * 1978-03-25 1983-06-16 Conrad Scholtz Ag, 2000 Hamburg Schüttgutentladeanlage für Schiffe
DE8424011U1 (de) * 1984-08-13 1985-08-01 Baas Anlagenbau GmbH, 2000 Wedel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Gebinden zu Schiffsentladeelevatoren mit verschwenkbarem Zuführförderer
NL8500103A (nl) * 1985-01-17 1986-08-18 Weimar Nv Transportinrichting.
AT392253B (de) * 1989-02-02 1991-02-25 Jonke Hans Dipl Ing Dr Techn Krananlage mit stetigem foerdersystem fuer den stueckguttransport
FI93629C (fi) * 1989-09-28 1995-05-10 Kone Oy Laitteisto ja menetelmä kappaletavaran lastaamiseksi
DE4111740A1 (de) * 1991-04-06 1992-10-08 Knaup Maschfgmbh & Co Lademaschine fuer stueckgut mit drei in reihe angeordneten foerderbaendern
DE4243013C1 (de) * 1992-12-18 1994-03-24 Pwh Anlagen & Systeme Gmbh Senkrechtförderer zum Be- und Entladen von Stückgut, insbesondere Schiffsbe- und -entl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18325A (id) 1998-03-26
DE59708610D1 (de) 2002-12-05
EP0832831B1 (de) 2002-10-30
DE19639535C2 (de) 2001-08-16
DE19639535A1 (de) 1998-04-16
EP0832831A1 (de) 1998-04-01
CN1182706A (zh) 1998-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8893A (en) Materials handling machine
CA2281092C (en) Transporter container-loading bridge
KR20050057306A (ko)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 및방법
US4203512A (en) Helical conveyor
FI99225C (fi) Rahtikuorman siirtojärjestelmä ja kuorman siirtoelimet aluksen kuormaamiseksi ja purkamiseksi
US5613820A (en) Continuous-operation cargo-transfer equipment
US4828102A (en) Cargo conveyor system
US20040007552A1 (en) Mobile handling equipment for piece goods
KR920006689B1 (ko) 선박에서의 하역 및 선적용 운반장치
KR19980025011A (ko) 특히 선박용으로서, 단위 하중의 연속적인 적하 및 하역용 디바이스
AT392253B (de) Krananlage mit stetigem foerdersystem fuer den stueckguttransport
US4770589A (en) Cargo handling system
SE508126C2 (sv) Anordning för i- och urlastning av fartyg
KR930010229B1 (ko) 적재 팔레트를 갖춘 선박의 하역장치
US6021889A (en) Conveyor belt with deflection rollers
GB1587686A (en) Side port landing hoist system
FI82016C (fi) Vertikaltransportoer.
KR19980025010A (ko) 배치된 재료의 연속적인 하역용 디바이스
RU2041854C1 (ru) Кран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 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ой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штучных грузов
KR19990007549U (ko) 원료 트리퍼 벨트(tripper belt) 뒤집힘 방지장치
KR800002042Y1 (ko) 박용연속하역장치(舶用連續荷役裝置)
CA1309684C (en) Cargo conveyor system
JPH0734042Y2 (ja) 嵩物の陸揚・船積兼用機
KR20050001861A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회전 가능한 트롤리
GB2072132A (en) Bulk material handling convey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