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526B1 - 차량용 방풍유리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풍유리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526B1
KR930009526B1 KR1019870002376A KR870002376A KR930009526B1 KR 930009526 B1 KR930009526 B1 KR 930009526B1 KR 1019870002376 A KR1019870002376 A KR 1019870002376A KR 870002376 A KR870002376 A KR 870002376A KR 930009526 B1 KR930009526 B1 KR 93000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adhesive
conveying
glass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723A (ko
Inventor
마사노부 고마쯔
도시하루 사까모도
시게오 오까미즈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도 켕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도 켕이찌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방풍유리 장착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방풍유리 장착장치의 평면도.
제 2 도는 동장치의 반송장치부의 확대평면도.
제 3 도는 동장치의 접착제 도포상태판정회로의 시스템 블록도.
제 4 도는 동장치에 있어서의 방풍유리의 접착제 도포위치와 시각센서와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 5 도는 동장치에 있어서의 방풍유리 단면부와 시각센서에 의한 투영화상과의 관계를 표시한 설명도.
제 6 도는 동장치에 있어서의 방풍유리 단면부와 시각센서 출력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제 7 도는 동장치의 제 1 및 제 2 의 반송장치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정면도.
제 8 도는 동장치의 방풍유리장착 로보트의 단면도.
제 9 도는 동장치의 유리지지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제 10 도는 동장치의 유리지지대의 일부생략평면도.
제 11 도는 제 9 도의 Ⅶ-Ⅶ선 사시도.
제 12 도는 동장치의 위치결정장치의 평면도.
제 13 도는 상기 제 12 도의 Ⅸ-Ⅸ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방풍유리 4 : 제 1 반송장치
6 : 제 2 반송장치 12 : 자동차보디
28 : 접착제도포로보트 32 : 방풍유리장착로보트
34 : 방풍유리장착위치 75 : 시각센서
79 : 화상메모리 81 : CPU
83 : 비교회로 85 : 감산회로
86 : 비교판정회로 87 : 설정도포높이 기억수단
92 : 방풍유리 판별수단
본 발명은, 차량보디에 방풍유리를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방풍유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등의 차량보디에 방풍유리를 장착하는 장착장치는, 통상 병풍유리를 반송함과 동시에, 그 반송도중에서 필요한 전처리(프라이머가공등)를 실시하고, 그후 보디에 장착하도록한 반송장착라인으로서 구성된다.
그런데, 자동차등 차량의 방풍유리에는, 폴리우레탄 시일러등의 접착제에 의해 보디에 직접 접착하여 장착되는 접착식 방풍유리와 웨더스트립등의 시일고무를 개재해서 장착되는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의 2종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양방풍유리의 반송장착공정은 각각 다르게 되어 있다. 예를들면 접착식 방풍유리의 경우에는 상기 프라이머(접착보조제) 도포나 접착제 도포등의 전처리가 필요하게 되나,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전처리는 불필요하다.
이와같은 반송장착공정의 차이에 의해, 종래 상기 방풍유리의 반송장착라인은 별개 독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또, 상기와 같은 직접 접착에 의한 방풍유리의 장착방법을 채용했을 경우에 있어서, 당해 방풍유리의 둘레가장자리의 차량보디에 대한 접합면에는 일반적으로 접착제 도포기능을 갖춘 로보트등의 자동적인 접착제도포장치에 의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시일러등의 접착제가 소정의 높이로 도포되게 되어 있다(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60-92974 호공보참조).
그러나, 상기 반송장착라인을 상기한 바와같이 접착식과 시일고무식으로 별개로 구성하는 것은, 라인설치스페이스, 라이건설코스트, 라인가동, 라인보수등 여러가지의 면에서 비효율적이며, 본래 쌍방의 반송장착라인을 1개로 통합한 형식의 양용형의 방풍유리 반송장착라인을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은 접착제 도포장치에 의한 접착제의 도포는, 일반적으로 노즐로부터 상기 접합면에 대하여 접착제를 토출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도포시에 접착제중에 공기가 혼입할 염려가 있으며, 이 공기의 혼입에 의해서 접착제의 토출량이 변동하여, 결국 상기 방풍유리접합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도포높이(도포량)를 일정하지 않게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상기한 바와같은 공기의 혼입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접착제의 공급압의 변동이나 방풍유리와 도포노즐과의 상대적인 이동속도의 변동등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이와같이 접착제의 도포상태가 변동하면, 당해 방풍유리의 접합면의 접합강도가 불충분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접착제의 도포상태의 양부는 어떠한 수단으로 정확하게 검출하여, 그 양부를 정확하게 판정하고, 선별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방풍유리를 반송해서 차량보디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풍유리의 장착장치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해 차량보디에 장착되는 접착식방풍유리와 시일고무를 개재해서 차량보디에 장착되는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와의 쌍방을 반송가능한 제 1 의 방풍유리반송장치와, 이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에 부설되어 있고, 당해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에 의해서 반송되는 상기 접착식 방풍유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장치와, 이 접착제 도포장치에 의해서 도포된 접착제 도포상태의 양부를 판정하는 도포상태 판정수단과,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보다도 방풍유리 반송방향 하류쪽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에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에 의해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제 방풍유리를 상기 차량보디에 장착하는 방풍유리 자동장착장치와, 상기 제 1 의 방풍유리반송장치의 방풍유리 반송방향 하류쪽단부에 접속해서 설치되고, 이 제 1 의 방풍유리반송장치에 의해서 반송된 상기 시일고무식 방풍유리를 차량보디의 방풍유리 수동장착위치에 반송하는 제 2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와, 상기 도포상태 판정수단에 의해서 접착식 방풍유리의 접착제의 도포불량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에 의한 상기 자동장착장치에의 반송대신에 상기 제 2 의 방풍유리반송장치에 의한 상기 방풍유리수동장착위치에의 반송으로 전환하는 반송제어수단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수단에 의하면, 접착식과 시일고무식의 2종류의 방풍유리를 한계통의 반송장착라인으로하여 공통화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접착제의 도포상태의 양부까지도 판정하고, 이 파정결과에 의해 접착제의 도포상태가 양호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설정된 수동작업을 전제로한 시일고무식의 방풍유리장착위치에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당해 접착제 도포불량상태의 수정, 수동장착등을 임의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 제 1 도∼제 13 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방풍유리 장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장착장치는, 방풍유리(2)를 반송하는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이하, 단순히 제 1 반송장치라 함)(4)와 제 2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이하, 단순히 제 2 반송장치라 함)(6)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지며, 이 제 1 반송장치(4)에는 예비반송장치(8)에 의해서 접착식과 시일고무식 양쪽의 방풍유리(2)가 앞유리와 뒤유리의 한쌍의 상태로 함께 반입되게 되어 있다.
예비반송장치(8)는 장착장치본체의 1층부분에, 또 제 1 및 제 2 반송장치(4), (6)는 동본체의 2층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예비반송장치(8)로부터 상기 제 1 반송장치(4)에의 방풍유리(2)의 인계인수는 수직콘베이어(10)를 개재해서 행해진다. 또, 상기 2층부분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반송장치(4), (6)에 따라서, 방풍유리(2)가 장착되는 자동차보디(12)를 화살표시 A방향으로 피치이송하는 보디반송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예비반송장치(8)에 있어서는, 방풍유리(2)가 화살표시 B방향으로 반송되며, 이 예비반송장치(8)에 의한 반송과정에 있어서 접착식 방풍유리는 프라이머도포로보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프라이머가 도포되고, 또한 이 도포로보트보다도 유리반송방향 하류쪽의 소정위치에 있어서 적절히 작업자등의 조작(수동)에 의해서 시일고무식 방풍유리가 당해 예비반송장치(6)상에 끼어들어 공급된다.
예비반송장치(8)에 의하여 접착식 및 시일고무식 양쪽의 방풍유리(2)는 상기 수직콘베이어(10)의 하부에 먼저 반입되며, 그후 이 수직콘베이어(10)에 의해서 상기 위쪽의 2층위치까지 들어올려지고, 거기서부터 수직콘베이어(10)와 제 1 반송장치(4) 사이에 설치된 제 1 이송장치(14)에 의해서 다시 제 1 반송장치(4)상으로 이송된다.
제 1 반송장치(4)상에는, 형상보정위치(16), 위치결정위치(18), 접착제도포위치(20) 및 반전위치(22)가 각각 설정되어 있으며, 이 제 1 반송장치(4)는 상기 제 1 이송장치(14)에 의해서 이송된 상기 2종류의 양쪽방풍유리(2)를 이들 각위치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피치이송(간헐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반송장치(4)상에 이송된 방풍유리(2)중 접착식방풍유리는, 먼저 형상보정위치(16)에 있어서 이하의 설명하는 유리지지대(제 1 도에는 도시하지 않음)상에 흡인고정되어서, 정규형상으로 보정되고, 위치결정위치(18)에 있어서 위치결정장치(26)에 의해 도시한 X, Y(상하 및 수평이동), θ(회전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소정위치에 위치결정도며, 접착제도포위치(20)에 있어서 이 제 1 반송장치(4)에 따른 위치에 부설된 접착제도포로보트(28)에 의해 폴리우레탄시일러등의 접착제(73)(제 3 도 참조)가 도포되고, 다음의 잔전위치(22)에 있어서 반전장치(30)에 의해 상기 접착제 도표면이 아래쪽으로 되돌고 반전하게 되고, 그후, 이 반전위치의 근처, 즉 상기 접착제도포로보트(28)보다도 유리반송방향 하류쪽위치에 있어서 이 제 1 반송장치(4)에 부설된 방풍유리장착로보트(특허청구의 범위중의 장착장치에 해당한다)(32)에 의해, 당해 방풍유리장착로보트(32)의 곁을 피치이송되어 오는 자동차보디(12)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장착된다.
또, 상기 제 1 반송장치(4)상에 이송된 방풍유리(2)중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쪽은 상기 형상보정위치(16), 위치결정위치(18) 및 접착제도포위치(20)를 각각 그대로 통과해서 상기 반전위치(22)까지 피치이송되며, 반전위치(22)에서 반전되는 일없이 그대로의 상태로 제 2 반송장치(6)상에 송출된다.
상기 위치결정장치(26)의 부분에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착식방풍유리와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의 종별 및 형상을 판별하는 방풍유리판별수단(9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판별데이터가 후술하는 제어유니트(90)에 입력되며, 이 입력에 대응한 제어유니트(9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접착제도포로보트(28) 및 반전장치(30)가 작동한다. 상기 방풍유리판별수단(92)에 의한 종별 및 형상의 판별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위치결정위치(26)부의 후술하는 위치결정용로울러(454)∼(459)의 X, Y방향의 변위량을 예를들면 회전식펄스부호기로 각각 검출하므로서 행해진다.
제 2 반송장치(6)는, 상기 제 1 반송장치(4)의 방풍유리반송방향 하류쪽측단부, 즉 상기 반전위치(22)에 접속해서 설치되며, 제 1 반송장치(4)로부터 받아낸 시일고무를 자동차보디에의 방풍유리장착위치(34)에 반송한다. 이 제 2 반송장치(6)는,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바와같이 제 2 이송장치(36)를 개재해서 제 1 반송장치(4)에 접속된 제 2 반송장치본체(62)와, 이 본체(62)와 상기 방풍유리장착위치(34)를 연결하는 제 3 이송장치(64)로 이루어지며, 제 2 이송장치(62)는 제 1 반송장치의 반전위치(22)에 이송된 시일고무식방풍유리(2)를 제 2 반송장치(62)에 필요에 따라서 180°회전(화살표 D)시켜서 이송하고, 이송된 방풍유리(2)는 이 반송장치본체(62)에 의해서 화살표시 E방향으로 연속반송되며, 이어서 제 3 이송장치(64)에 의해서 유리장착위치(34)에 반송된다. 이와같이해서 유리장착위치(34)에 반송된 시일고무식 방풍유리는, 예를들면 장착치구(37)상에 놓여지며, 이 장착치구(37)를 사용해서 작업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자동차보디(12)에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의 설명은 접착제도포로보트(28)가 정상적인 경우, 즉 접착제의 도포상태가 양호한 경우의 본장착장치의 작동설명이지만, 상기 접착제도포로보트(28)가 고장 또는 좋지않는 상태등에 의해서 양호한 접착제의 도포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을때는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즉, 접착제도포로보트(28)에 의해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식 방풍유리는, 먼저 상기 방풍유리 판별수단(92)으로 그 종별이 판별된 시점에서 제 3 도에 도시한 접착제 도포상태 판정회로가 작동하므로서, 그 도포불량이 자동적으로 판정되고, 그 판정신호에 의해, 반송제어수단(88)을 구동(상세한 것은 후술)하여 상기한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전위치(22)에서 반전되는 일없이 제 2 의 이송장치(36), 제 2 의 반송장치(6)를 개재해서 상기 유리장착위치(34)까지 이송된다.
그리고, 이 방풍유리장착위치(34)에 반송된 접착식방풍유리는, 예를들면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와 마찬가지로 작업자에 의해서 접착제의 도포불량을 수정한 다음에 수동으로 자동차보디(12)에 장착된다.
상기 수직콘베이어(10), 제 1 이송장치(14), 제 1 반송장치(4), 위치결정장치(26), 접착제도포로보트(28), 반전장치(30), 방풍유리장착로보트(32), 제 2 이송장치(36) 및 제 2 반송장치(6), 즉 제 2 반송장치본체(62)와 제 3 이송장치(64)는, 상기한 작동이 적정하게 행해지도록 제어유니트(90)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 상기 제 1 반송장치(4)의 제어에는, 상기 유리지지대에 의한 유리의 흡인제어도 포함하며, 또 이 제어유니트(90)에 의해서 자동차보디의 반송장치(13)도 제어된다. 물론, 이들 각 장치의 제어는, 중앙제어장치에 의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실시해도 된다.
다음에, 상기 제 1 반송장치(4) 및 제 2 반송장치(6)에 있어서의 반송과정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2 도는, 제 1 및 제 2 반송장치(4), (6)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 제 7 도는 제 2 도에 도시한 제 1 및 제 2 반송장치(4), (6)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정면도, 제 8 도는 방풍유리장착로보트단체(單體)를 도시한 정면도, 제 9 도는 제 1 반송장치(4)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리지지대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에 도시한 유리지지대의 일부생략평면도, 제 11 도는 제 9 도의 Ⅶ-Ⅶ선 사이도(유리지지대의 기부(基部) 평면도), 제 12 도은 위치결정장치의 평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Ⅸ-Ⅸ선 단면도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접착식 및 시일고무식의 양쪽의 방풍유리(2)가 혼입상태로 상기 수직콘베이어(10)에 의해 들어올려져, 그것들은, 특히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이송장치(14)의 화살표시 F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흡착수단(14)에 의해서 제 1 반송장치(4)의 형상보정위치(16)에 위치하고 있는 유리지지대(42)상에 놓여진다.
제 1 반송장치(4)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레일(48)과, 이 가이들레일(48)에 따라서 이동하는 방풍유리지지용의 상기 유리지지대(42)로 구성되어 있다. 유리지지대(42)는 8대(가이드레일 상면부에 위치하고 있는 4대만 도시함) 설치되며, 그것들은 실린더 혹은 체인등의 간헐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화살표시 G로 표시한 바와같이 엔드레스형상으로 피치이송된다. 따라서, 각 유리지지대(42)는 순차적으로 상기 위치(16), (18), (20), (22)로 간헐적으로 이송되어서 그들의 각 위치에서 소정시간 정지하며, 그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형상보정, 위치결정, 접착제도포, 반전작업이 행해진다.
각 유리지지대(42)는, 특히 제 9 도 및 제 11 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로울러(421)를 개재해서 가이드레일(48)에 지지되고 있는 종공형상의 기부(422)와, 이 기부(422)의 중공부에 Y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로드(423)에 끼워 맞춰지고, 이 가이드로드(423)에 따라서 Y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중공형상의 Y방향슬라이드부(424)와, 이 Y방향슬라이드부의 중공부에 X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X방향슬라이드부(426)와, 이 X방향 슬라이드부의 중앙에 θ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회전축(427)과, 이 회전축(427)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팔레트부(428)를 구비하여서 구성되어 있다. 제 9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회전축(427)과 X방향슬라이드부(426)의 베어링부와의 사이에 접시스프링(429)이 설치되고, 이 접시스프링(429)에 의해, 회전축(427)을 개재해서 상기 팔레트부(428)가 위쪽으로 소정의 힘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기부(422)는 로울러(421)외에 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로울러(430)를 필요에 따라서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기부(422)에는,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제 11 도에는 생략), 팔레트부(428)를 클램프하는 클램프장치(431)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팔레트부(428)는, 상기한 바와같이 X방향슬라이드부(426)에 대하여 θ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이 X방향슬라이드부(426)는 Y방향슬라이드부(424)에 대하여 Y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며, 이 Y방향슬라이드부(424)는 기부(422)에 대하여 Y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므로, 결국 상기 팔레트부(428)는 기부(422)에 대하여, X, Y, θ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장치(431)는, 이 팔레트부(428)를 기부(422)에 클램프하는 것이며, 실린더(432)에 의해서 화살표시 H방향으로 이동하게되는 로드(433)와, 이로드(433)의 선단부에 형성된 렉부(434)와 맞물리는 피니언(435)와, 이 피니언(435)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맞춤하는 숫나사부(436)를 외면에 가진 클램프부재(437)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 클램프부재(437)는 팔레트부(428)의 아래쪽으로부터 이 팔레트부에 형성된 구멍(438)을 관통해서 위쪽으로 돌출하며, 이 돌출부분에 팔레트부(428)를 가압하는 가압판(439)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클램프장치(431)에 있어서 실린더(432)에 의해 로드(433)를 화살표시 H방향으로 움직이므로서 클램프부재(437)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클램프부재(437)를 하강시키면 팔레트부(428)을 가압판(439)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하고, 그 결과 이 팔레트부(428)를 가압판(439)가 기부(422)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422a)와의 사이에 끼워서 클램프할 수 있으며, 클램프부재(437)를 상승시키면 이 클램프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클램프장치(431)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X방향 양쪽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팔레트부(428)에는, 그 상면부에 유리의 정규형상에 따라서 설치된 유리접촉면을 가진 복수개의 위치결정기준부재(440), (441), (442)와 이 위치결정기준부재에 유리와 맞닿게하기 위한 유리흡인수단(443), (444)으로 이루어진 유리형상보정장치(445)가 설치되어 있다.
방풍유리(2)는, 이 팔레트부(428)상에 얹혀져서 상기한 접착제 도포위치(20)로 반송되며, 이 위치(20)에서 접착제도포로보트(28)에 의해 자동적으로 접착제의 도포가 행해진다. 이 경우, 접착제도포로보트(28)는 방풍유리(2)가 정규형상인 것을 전제로하여 적정한 접착제의 도포를 행하도록 티이칭되어 있으므로, 만약 방풍유리(2)가 정규형상에 대하여 불일치하게될 경우에는 도포막두께의 분균일등의 도포얼룩이 발생하기 전에 정규형상으로 보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형상보정장치(445)는 그를 위한 장치이다.
상기 제 1 이송장치(14)로부터 제 1 반송장치(4)로 이송된 방풍유리(2)는, 먼저 이 제 1 반송장치(4)의 형상보정위치(16)에 위치하고 있는 유리지지대상의 형상보정장치(445), 특히 그 위치결정기준부재(440)∼(442)상에 놓여지고, 이어서 상기 흡인수단(443), (444)에 의해서 흡인되어서 이 위치결정기준부재(440)∼(442)에 대하여 확실하게 맞닿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같이 위치결정기준부재(440)∼(442)의 유리접촉면이 유리의 정규형상에 따라서 배치되므로, 방풍유리(2)의 형상은 정류의 것으로 보정된다.
상기 위치결정기준부재는, 구체적으로는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유리의 평면부 하면에 맞닿는 평면부 기준부재(440), (441)와 유리의 측방만곡부 하면에 맞닿는 만곡부기준부재(442)로 구성되어 있다. 또, 평면부기준부재는 고정적으로 배치된 고정기준부재(440)과, 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기준부재(441)로 이루어지며, 양자(440), (441) 모두 스토퍼(446)과 스프링(447)에 의해서 정규위치에 유지되는 보울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기준부재(441)는, Y방향으로 연달아 설치된 가이드레일(448)상을 이동하는 이동바아(449)에 설치되며, 실린더(450)에 의해서 이 이동바아(449)를 이동시키므로서 Y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며, 예를들면 제 10 도중 2점쇄선으로 표시한(441a), (441b)등의 위치를 취한다. 또, 만곡부기준부재(442)는 핀부재로 이루어지며, 이 부재(442)는 모두 아암(451)에 설치되며, 또한 제 9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아암(451)을 개재해서 실린더(452)에 의해 화살표시 I방향으로 위치이동가능하고, 또 그 자체가 아암(451)에 대하여 화살표시 J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또 제 10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이드바아(453)에 따라서 아암(451)을 개재해서 Y방향에도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유리흡인수단은, 구체적으로 유리평면부의 하면쪽을 흡인하는 평면부 흡인수단(443)과 유리측면의 만곡부를 흡인하는 만곡부흡인수단(444)으로 구성되며, 모두 진공압에 의해서 유리를 흡인하는 흡반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평면부흡인수단(443)은 고정배치이지만, 만곡부흡인수단(444)은 상기 만곡부기준부재(442)와 마찬가지로 아암(451)에 설치되며, 따라서, 이 만곡부기준부재(442)와 마찬가지로, 화살표시 I, J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기준부재 및 흡인수단의 일부를 상기와 같이 가동구성으로한 것은, 본 방풍유리장착장치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형상의 방풍유리를 공통으로 취급하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각종 방풍유리형상에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유리지지대(42)상의 팔레트부(428)상에 방풍유리(2)를 흡인고정하고, 형상보정을 행하였으면, 다음에 이 유리지지대(42)를 위치결정위치(18)로 이동시켜, 여기서 방풍유리(2)를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한다.
즉, 방풍유리(2)는 다음의 접착제도포위치(20)에 있어서 접착제도포로보트(28)로 자동적으로 접착제의 도포가 행해지나, 이 경우 이 접착제도포로보트(28)는 방풍유리(2)가 이 접착제도포위치(20)에 있어서 정규위치에 있는 것을 전제로해서 접착제의 도포를 행하므로 만약 방풍유리(2)가 정규의 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방풍유리(2)의 적정장소(접합면)에의 접착제의 도포가 행해지지 않고, 도포 얼룩이 발생한다 따라서, 방풍유리(2)는 접착제가 도포될 때에는 반드시 정규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본 유리위치결정위치(18)에 있어서는 이를 위한 위치결정이 행해진다.
이 유리위치결정위치(18)에 있어서 위치결정되는 방풍유리의 소정위치는, 물론 유리지지대(42)가 다음의 접착제도포위치(20)로 이동하면 이 접착제 도포위치(20)에 있어서의 접착제 도포정규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위치이며, 이와같이 접착제도포위치(20)보다 앞의 유리반송장치(유리위치결정위치(18)에서 방풍유리(2)의 위치결정을 행하므로서, 방풍유리(2)의 반송시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게 된다. 왜냐하면, 유리의 위치결정에는 어느정도 시간이 걸리며, 만약 이 위치결정을 접착제 도포위치(20)에서 행할려고하면 이 접착제도포위치(20)에 있어서는 이 위치결정작업과 접착제도포작업이 양쪽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 접착제도포위치(20)에서의 유리의 정지시간이 길어지고, 그결과 상기 제 1 반송장치(4)에 있어서 방풍유리(2)의 반송속도가 전체적으로 매우 늦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방풍유리의 위치결정은, 상기한 유리지지대(42)와, 위치결정위치(18)에 있어서 이 유리지지대(42)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방풍유리위치결정장치(26)로 행해진다.
이 방풍유리위치결정장치(26)는 제 12 도,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방풍유리(2)의 X방향 외주면(2a)에 맞닿아서, 이 방풍유리(2)의 X방향위치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X방향방향 협지로울러(454), (455)와, Y방향 외주면(2b)에 맞닿아서 Y방향위치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Y방향협지로울러(456)∼(459)를 구비하며, 각 로울러(454)∼(459)는 모두 기부(460)를 개재해서 지지되고, 또한 이 기부(460)를 개재해서 실린더(461)에 의해 상하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X방향로울러(454), (455)는 X방항으로, Y방향로울러(456)∼(459)는 Y방향으로 각각 확대개방, 축소폐쇄 가능하게 되어 있다. X방향로울러(454), (455)의 확대개방, 축소폐쇄는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부(460)에 고정설치한 실린더(462)의 로드(463)의 신축에 의해서 행해진다. 즉, 이로드(463)의 제 13 도에서의 좌측이동에 의해 또 브래킷(464)를 개재해서 좌측로울러(454)가 좌측으로 이동하며, 그와 동시에 랙부(465a)를 가진 상부로드(465)가 좌측으로 신장이동하고, 또한 로드(465)가 피니언(456)를 좌측으로 회동시키고, 또한 피니언(466)을 개재해서 랙부(467a)를 가진 하부로드(467)가 우측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서 브래킷(468)을 개재해서 우측로울러(455)가 최종적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양로울러(454), (455)가 X방향으로 확대개방된다. 또, 상기 실린더(462)에 의해 로드(463)를 우측으로 수축이동시키면, 양로울러(454), (455)는 X방향으로 축소폐쇄된다. Y방향로울러(456)∼(459)의 Y방향 확대개방, 축소개폐는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부(460)에 고정설치된 실린더(469), (470)를 개재해서 즉 실린더(469)에 의해서 Y방향 좌측로울러(456), (457)를 화살표시 K방향으로, 실린더(470)에 의해서 우측로울러(458), (459)를 화살표시 L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므로서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방풍유리 위치결정장치(26)에 의한 방풍유리(2)의 위치 결정은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해진다. 먼저 처음에 각 로울러(454)∼(459)가 각각 X방향 및 Y방향으로 확대개방되고, 또한 실린더(461)에 의하여 위쪽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대한다. 다음에 상기 방풍유리 위치결정장치(26)의 아래쪽위치(위치결정위치(18)에 유리지지대(42)가 이동해온다. 이 유리지지대(42)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그 팔레트부(428)상의 유리형성보정장치(445)에 의해서 방풍유리(2)가 흡입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그 팔레트부(428)는 X, Y, θ방향으로 이동자재하므로, 방풍유리(2)도 X, Y, θ방향으로 이동자재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각 로울러(454)∼(459)를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방풍유리(2)의 위치까지 강하시켜, X방향로울러(454), (455)를 X방향으로 축소폐쇄하여 방풍유리(2)의 X방향외주면(2a)를 끼우므로서 X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며, 마찬가지로 Y방향로울러(456)∼(459)를 Y방향으로 축소폐쇄하여 방풍유리(2)의 Y방향 외주면(2b)을 끼우므로서 Y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또, 이와같이 X, Y양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므로서 동시에 θ방향의 위치결정도 행해진다. 이와같이해서 각 로울러(454)∼(459)를 축소폐쇄하여 방풍유리(2)를 소정위치로 이동시킨후, 상기한 클램프장치(431)로 팔레트부(428)를 상기 기부(422)에 대하여 고정하므로서 방풍유리(2)의 위치결정이 완료된다. 물론, 상기 각 로울러(454)∼(459)의 축소폐쇄위치는 방풍유리(2)를 상기한 소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로울러(454)∼(459) 이동시의 상기 피니언(466)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펄스부호기출력의 조합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같이 방풍유리(2)의 종별, 형상이 판정된다. 이 판정데이터는 제어유니트(90)에 입력되어, 당해 방풍유리(2)에 대응한 후 작업제어가 행해진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방풍유리(2)의 위치결정이 종료되면, 상기 각 로울러(454)∼(459)는 확대개방하여 위쪽으로 이동하고, 제어유니트(90)의 제어에 의해 계속해서 유리지지대(42)가 접착제도포위치(20)로 이동하여, 이 접착제도포위치(20)에서 접착제의 도포가 행해진다. 이 접착제의 도포는, 상기 접착제도포로보트(28)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상기 접착제도포위치(20)에서의 방풍유리(2)는, 이미 상기한 형상보정, 위치결정공정을 거쳤으므로 원칙적으로 정규형상, 정규위치에 있으며, 또 접착제도포로보트(28)도 방풍유리(2)가 일단 정규형상, 정규위치에 있는 것을 전제로해서 티이칭되어 있으므로, 접착제도포는 원칙적으로 적정, 원활신속하게 행해진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유리지지대(42)는 다음의 반전위치(22)로 이동하며, 이 반전위치(22)에 있어서 방풍유리(2)의 상기 형상보정장치(445)에 의한 흡인이 해제되고, 또한 반전장치(30)에 의해 방풍유리(2)의 반전이 행해진다. 반전장치(30)는, 특히 상기한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축(30a)을 중심으로하여 회동가능한 아암(30b)과, 이 아암(30b)의 선단부에 설치된 유리파지부(30c)를 구비하며, 이 유리파지부(30c)에 의해서 반전위치(22)에 위치하는 유리지지대(42)상의 유리를 파지하고, 다음에 아암(30b)을 축(30a)을 둘레에 위쪽으로 향해서 180°회전시키고, 그렇게 하므로서 지금까지 상면쪽이였던 상기 접착제도포면이 이번에는 하면이 되게 방풍유리(2)를 반전시킨다.
다음에, 이 반전장치(30)에 의해서 반전된 방풍유리(2)가 방풍유리장착로보트(32)에 의해서 자동차보디(12)에 자동적으로 장착된다. 이 방풍유리장착로보트(32)는, 1대로 앞과 뒤 양쪽의 방풍유리(2)의 장착을 행한다.
즉, 자동차보디(12)는 제 1 도에 도시한 반송장치(13)에 의해서 피치이송되며, 이 반송장치(13)상에 설치된 방풍유리장착위치(50)에 반송되어서 거기에서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앞유리와 뒤유리 양쪽의 장착이 행해진다.
상기 방풍유리장착로보트(32)는, 제 1 도, 제 2 도 및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부(32a)와 이 기부(32a)에 장착되어서 화살표시 m방향으로 상하동, 축 nl을 중심으로하는 화살표시 θ1방향의 회동 및 축 n2을 중심으로 하는 화살표시 θ2방향의 회동이 각각 가능한 아암부재(32b)와, 이 아암부재(32b)의 선단부에 장착되어서 축 n3을 중심으로 하는 화살표시 θ3방향의 회동, 축 34을 중심으로 하는 화살표시 θ4방향의 회동 및 축 35을 중심으로하는 화살표시 θ5방향의 회동이 각각 가능한 유리유지부(32c)로 이루어지며, 또한 이 방풍유리장착로보트(32) 전체는, 모우터(52)에 의한 이동기구 혹은 기타의 이동기구에 의해, 앞방풍유리장착위치(54)와 뒤방풍유리장착위치(55)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방풍유리의 장착은, 먼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방풍유리 공급위치(이 경우는 반전장치(30)에 의해서 반전된 상태에서 유지되어 있는 위치)(58)로부터 보다 먼 쪽의 유리장착위치(이 경우는 옆방풍유리 장착위치)(54)에 상기 병풍유리장착로보트(32)가 위치하여 장착을 행하는 방풍유리(이 경우는 앞유리)(2c)쪽부터 먼저 장착을 행하고, 그후 상기 병풍유리공급위치(58)에 보다 가까운 쪽의 유리장착위치(이 경우는 뒤방풍유리 장착위치)(56)에 상기 방풍유리장착로보트(32)가 위치하여 장착을 행하는 방풍유리(이 경우는 뒤유리)(2d)의 장착을 행한다.
이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방풍유리장착로보트(32)는, 먼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근접한 쪽의 방풍유리장착위치(56)에 위치하고, 아암부재(32b) 및 유리유지부(32c)를 적절하게 이동, 회동시켜서 방풍유리공급위치(58)에 공급되어 있는 접착제도포완료한 먼쪽편에 있는 방풍유리(앞유리)(2c)를 유지한 후 먼쪽편 방풍유리 장착위치(54)에 이동하고, 이 장착위치(54)에서 자동차보디(12)가 방풍유리장착위치(50)에 반입되는 것을 기다려, 이 자동차보디(12)가 반입되어서 상기 장착위치(50)에 정지하면 상기한 아암부재(32b) 및 유리유지부(32c)를 적절하게 이동, 회동시켜서 이 방풍유리(2c)의 장착을 행하며, 그 사이에 다음의 근접한 쪽의 방풍유리(뒤유리)(2d)에의 접착제의 도포, 반전이 행하여지고, 이 먼쪽편방풍유리(2c)의 장착이 종료되면, 본래의 근접쪽 방풍유리장착위치(56)에 복귀하여, 거기에서 또 상기 방풍유리공급장치(58)에 공급되어 있는 다음의 근접쪽 방풍유리(2d)를 유지하고, 상기 아암부재(32b) 및 유리지지부(32c)를 적절히 이동, 회동시켜서 당해 방풍유리(2d)의 장착을 행하고, 이 장착이 끝나면 자동차보디(12)가 화살표시 A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며, 그와 동시에 상기 방풍유리장착로보트(32)는 근접쪽 방풍유리장착위치(56)에 있어서 방풍유리공급위치(58)에 공급되어 있는 다음의 자동차보디용의 먼쪽편 방풍유리(2c)를 유지하고, 대응하는 먼쪽편 방풍유리장착위치(54)로 이동해서 다음의 자동차보디(12)가 방풍유리장착위치(50)에 오는 것을 기다리며, 이하 상기한 동작을 반복해서 먼쪽편 방풍유리(2c) 근접쪽 방풍유리(2d)의 장착을 각각 행한다.
이와같이, 방풍유리 장착로보트(32)를 먼쪽편 방풍유리 장착위치(54)와 근접쪽 방풍유리 장착위치(56)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자동차보디(12)를 피치이송하며, 먼쪽편 방풍유리장착위치(54)에서 당해 먼쪽편 방풍유리(2c)쪽부터 먼저 장착하도록 하면, 자동차보디(12)가 피치이송되는 공시간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방풍유리 장착로보트(32)에 방풍유리(2c)를 유지시켜서 먼쪽편 방풍유리 장착위치(54)로 이동시켜, 자동차보디(12)가 오는 것을 대기시킬 수 있으므로, 먼쪽편 방풍유리(2c)의 장착준비에 소비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방풍유리 장착시간을 그 만큼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한 설명은, 제 1 반송장치(4)에 반입된 방풍유리(2)가 접착실 방풍유리의 경우이며, 한편 반입된방풍유리(2)가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의 경우는, 접착식 방풍유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형상보정위치(16)에 위치하고 있는 유리지지대(42)상에 얹어 놓아 이 유리지지대(42)에 의해서 반전위치(22)까지 반송시키는 것이나, 그사이 각 위치(16), (18), (20), (22)에 있어서의 형상보정, 위치결정, 접착제도포, 반전을 행하지 않고 통과되어 반전위치까지 그대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 반전위치에서부터, 제 2 이송장치(36)에 의해서 제 2 반송장치(6)상에 이송된다. 상기 통과상태의 제어 및 반전장치(30)의 반전제어는, 상기 방풍유리 판별수단(92)과 제어유니트(90)의 출력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제 2 이송장치(36)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1 이송장치(14)와 마찬가지의 접착식 방풍유리 흡착수단(36a)을 가지며, 이 방풍유리 흡착수단(36a)은 화살표시 P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화살표시 D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상기 반전위치(22)에 있는 시일고무식 방풍유리(2)를 들어올려서, 그것을 180°회전시켜서 제 2 반송장치(6)상에 얹어 놓는다.
이 제 2 반송장치(6)상에 놓여진 시일고무식 방풍유리(2)는, 상기한 바와같이 이 장치(장치본체(62)와 제 3 이송장치(64)(6)에 의해서 방풍유리 장착위치(34)에 반송되며, 이 장착위치(34)에 준비된 방풍유리 장착치구(37)상에 놓여 흡착된다. 또한, 상기 제 3 이송장치(64)는 상기 제 1 이송장치(14)와 마찬가지로 구성을 가지며, 장치본체(62)로부터 방풍유리를 받아내어 방풍유리 장착치구(37)상에 놓는다.
이 방풍유리 장착위치(34)에 반송된 시일고무식 방풍유리(2)는, 상기한 바와같이 장착치구(37)를 개재해서 작업자에 의해서 손작업으로 자동차보디(12)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접착제도포로보트(28)에 의한 접착제의 도포상태가 양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에 대하여는 지금까지 처럼 반송장착이 행하여지나, 상기 접착식 방풍유리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이 해서 그 불량상태가 판정되며, 당해 접착제도포후 반전위치(22)에서 반전되지 않고,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와 마찬가지로 제 2 이송장치(36)에 의해서 제 2 반송장치(6)상에 이송되고, 이 제 2 반송장치(6)에 의해서 상기 방풍유리 장착위치(34)에 반송되어, 거기에서 먼저 접착제의 재도포등의 보수가 실시되고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와 마찬가지로 작업자에 의하여 손작업으로 자동차보디에 장착된다.
즉, 먼저 제 3 도는, 상기 차량용 방풍유리(2)의 자동차보디(12)에 대한 장착라인 도중의 접착제도포 공정부의 전기적인 시스템구성을 표시하며, 부호(28)는 상기한 접착제 도포로보트를 표시하고 있다. 이 접착제도포로보트(28)는, 상기한 바와같이 방풍유리(2) 이송을 위한 제 1 반송장치(4)의 접착제 도포위치(20)의 옆쪽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그 작업아암(70)의 선단부(하단부쪽)에는, 상기 접착제도포위치에 위치결정 정지된 방풍유리(2) 둘레가장자리부에 대하여, X, Y방향으로 임의로 진입 가능한 구동부재(7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동부재(71)에 대하여 당해 구동부재(71)를 상기 방풍유리(2)의 둘레가장자리부(제 4 도 a∼d)에 따라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72)와, 이 가이드부재(72)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71)가 상기 방풍유리(2)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안내되므로서, 상기 방풍유리(2)의 자동차보디(12)에 대한 접착라인 ℓ상에 대향하고, 이 접합라인 ℓ상에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량의 접착제(73)을 소정높이(Ho)로 도포해가는 접착제(예를들면 폴리우레탄시일러 도포노즐(74)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아암(70) 자체가 상기 방풍유리(2)의 둘레가장자리(a∼d)를 이동(1주)하므로서 전체둘레가장자리부(a∼d)에의 접착제(73)의 도포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부호(75)는 상기 접착제도포로보트(28)의 상기 작업아암(70)에 고정되고 상기 방풍유리(2)의 단면부를 볼수 있는 상태로 위치고정된 시각센서(이미지센서)이며, 이 시각센서(75)는, 그 광전면에 투영된 제 5 도의 화상에 대응한 애널로그신호(제 6 도 참조)를 1프레임마다 출력한다. 이 출력신호는 다음에 필터기능을 가진 애널로그 앰프(76)에서 소정레벨까지 증폭된 후에 클램프회로(77)에 입력되어서 그 직류성분이 재생되며, 또 A/D변환기(78)에 입력된다. A/D변환기(78)는, 상기 클램프회로(77)의 출력을 표본화 및 양자화(量子化)처리하므로서 화상처리에 적합한 1프레임 마다의 디자탈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1프레임마다의 디자탈신호를 순차, 다음 단계의 화상메모리(79)에 기록해간다. 화상메모리(79)는 메인메모리(80), 서브 메모리(82) 및 인터페이스회로(89)를 구비한 CPU(81)에 의해서 구성된 제어유니트(90)와 어드레스버스 B1 및 데이터버스 B2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일단화상메모리(79)에 기억된 상기 디자탈신호는 상기 CPU(81)로부터의 어드레스신호에 의해 다시 또 데이터버스 B2를 개재해서 제어유니트(90)의 상기 메인메모리(80)에 입력되어서 기억된다. 이 메인메모리(80)에 기억된 상기 디자탈신호는 상기 CPU(81)의 제어동작에 의해 순차 판독되어서, 상기 서브메모리(82)로부터의 상기 유리위치 기준신호와 함께 먼저 비교회로(83)에 입력된다.
비교회로(83)에서는, 먼저 상기 서브메모리(82)로부터 판독된 방풍유리(2)의 상기 각 둘레 가장자리부(a∼b)의 어느하나, 즉 현재 시각센서(75)가 보고있는 둘레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방풍유리(2)의 본래의 기준면위치(제 5 도 HL)에 대응한 기준위치 설정신호 S1를 기준으로하여 상기 시각센서(75)로 검출된 실제의 상기 기준면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신호 S2하고를 비교하여, 그 편차값을 검출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면의 설정 및 검출은, 설정 및 검출이 용이하고 시각센서(75)에 의한 검출작업이 개시되는 위치, 즉 상기 방풍유리(2)의 평탄면쪽 단부중앙(a1) 또는 (c1)부가 대표적으로 선정된다. 그 이유는, 상기 방풍유리(2)의 만곡쪽단부 둘레가장자리(b) 또는 (d)는, 프라이머처리 P에 의해서 단면부 배경이 접착제(73)와 일체가 된 검은 영역으로 되어버려 양자의 식별을 할 수 없게 된데 기인한다. 그리하여, 상기 비교회로(83)의 편차출력은, 다음 기준위치보정신호로서 기준위치 보정회로(84)에 입력된다.
기준위치 보정회로(84)는, 상기 서브메모리(82)로부터 직접 판독되는 상기 당해 방풍유리(2)에 대응해서 설정된 기준위치신호 S1를 상기 실제의 방풍유리 위치결정 상태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보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준위치신호 S1를 입력하고, 상기 비교회로(83)로부터의 편차입력에 따라서 당해 기준위치신호 S1를 가산 또는 감산하므로서, 실제로 위치결정된 방풍유리(2)의 기준위치(기준면높이)를 연산한다. 그리하여, 이 연산치가 최종적인 접착제도포높이의 계측(연산)을 행하기 위한 기준위치신호 S1'로서 다음의 감산회로(85)에 입력된다. 이와같이 기준위치의 보정을 행하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즉, 본 실시예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방풍유리 위치결정장치(26)가 채용되고 있으며, 당해 방풍유리(2)는 원칙적으로 접착제의 도포에 적합한 최적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런데, 이 방풍유리위치결정장치(26)에 의한 위치결정은, 어디까지나 접착제의 도포작업을 전제로한 것으로서 반드시 고정밀도의 것은 아니다. 이에 비하여 상기 접착제의 도포높이를 계측하는 경우에는 고정밀도의 기준위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위치의 보정에 의하여 어느정도의 오차(특히 높이방향의)가 예상되는 실제의 위치결정상태의 변동을 먼저 가장 검출하기 쉬운 부분에서 검출하고, 그 검출치에 의하여 설정치 그 자체를 교정하므로서 계측오차를 해소하고 있다.
감산회로(85)는 상기 메인메모리(80)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시각센서(75)로부터 디자탈신호 S3의 값(실측치 제 5 도 H)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보정회로(84)로부터의 기준위치신호 S1'의 값(H1)을 감산하여, 실제로 도포된 접착제(73)만의 높이 Ho를 산출한다. 이 감산회로(85)의 출력은, 다음에 비교판정회로(86)에 입력되며, 이 비교판정회로(86)에서 예를들면 외부메모리로 이루어지는 설정도포높이 기억수단(87)에 기억되어 있는 본래의 접착제의 목표도포높이 Ho에 대응한 데이터신호와 비교되고, 그 편차치에 의거해서 접착제 도포상태의 양부판정을 행하며, 불량의 경우에는 상기 방풍유리반전장치(3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반송제어수단(88)을 구동하여 상기 반전장치(30)의 반전동작을 금지시키고, 상기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접착식 방풍유리를 제 2 반송장치(6)에 의해서 상기 방풍유리장착위치(34)로 이송하며, 상기한 바와같이, 작업자에 의한 접착제의 재도포, 장착작업을 행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방풍유리를 반송하여 차량보디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풍유리의 장착장차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해 차량보디에 장착되는 접착식 방풍유리와 시이고무를 개재해서 차량보디에 장착되는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와의 양쪽을 반송가능한 제 1 의 방풍유리반송장치와, 이 제 1 도의 방풍유리반송장치에 부설되어 있고, 당해 제 1 의 방풍유리반송장치에 의하여 반송되는 상기 접착식 방풍유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장치와, 이 접착제 도포장치에 의하여 도포된 접착제 도포상태의 양부를 판정하는 도포상태 판정수단과, 상기 접착제도포장치보다도 방풍유리 반송방향 하류측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방풍유리반송장치에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접착제도포장치에 의해서 접착제가 포되된 접착제 방풍유리를 상기 차량보디에 장착하는 방풍유리 자동장착장치와, 상기 제 1 의 방풍유리반송장치의 방풍유리반송방향 하류쪽 단부에 접속해서 설치되고, 이 제 1 의 방풍유리반송장치에 의해서 반송된 상기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을 차량보디의 방풍유리수동장착위치에 반송하는 제 2 의 방풍유리반송장치와, 상기 도포상태판정수단에 의하여 접착식 방풍유리의 접착제의 도포불량이 판정되었을때에는 상기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에 의한 상기 자동장착장치에의 반송대신에 상기 제 2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에 의한 상기 자동장착장치에의 반송대신에 상기 제 2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에 의한 상기 방풍유리 수동장착위치에의 반송으로 전환하는 반송제어수단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식과 시일고무식의 2종류의 방풍유리을 1계통의 반송장착라인으로하여 공통화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접착제의 도포상태의 양부까지도 판정하고, 이 판정결과에 의해 접착제의 도포상태가 양호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수동작업을 전제로한 시일고무식의 방풍유리 장착위치에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당해 접착제도포 불량상태의 수정, 수동장착등을 임의로 행할 수 있게된다.

Claims (1)

  1. 방풍유리(2)를 반송하여 차량보디(12)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풍유리(2)의 장착장치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하여 차량보디(12)에 장착되는 접착식 방풍유리와 시일고무를 개재해서 차량보디(12)에 장착되는 시일고무식 방풍유리의 양쪽을 반송가능한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4)와, 이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4)에 부설되어 있고, 당해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4)에 의하여 반송되는 상기 접착식 방풍유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장치(28)와, 이 접착제도포장치(28)에 의하여 도포된 접착제도포상태의 양부를 판정하는 도포상태 판정수단(86)과, 상기 접착제도포장치(28)보다도 방풍유리 반송방향 하류쪽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4)에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접착제도포장치(28)에 의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식 방풍유리를 상기 차량보디(12)에 장착하는 방풍유리 자동장착장치(32)와, 상기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4)의 방풍유리 반송방향 하류쪽 단부에 접속해서 설치되고, 이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4)에 의해서 반송된 상기 시일고무식 방풍유리를 차량보디(12)의 방풍유리 수동장착위치(88)에 반송하는 제 2 의 방풍유리반송장치(6)와, 상기 도포상태판정수단(86)에 의하여 접착식 방풍유리의 접착제의 도포불량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1 의 방풍유리 반송장치(4)에 의한 자동장착장치(32)에의 반송대신에 상기 제 2 의 방풍유리반송장치(6)에 의한 상기 방풍유리 수동장착위치(34)에의 반송으로 전환하는 반송제어수단(88)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진 차량용 방풍유리 장착장치.
KR1019870002376A 1986-03-18 1987-03-17 차량용 방풍유리 장착장치 KR930009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615 1986-03-18
JP61-61615 1986-03-18
JP61061615A JPS62216877A (ja) 1986-03-18 1986-03-18 車両用ウインドガラス組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723A KR870008723A (ko) 1987-10-20
KR930009526B1 true KR930009526B1 (ko) 1993-10-06

Family

ID=1317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376A KR930009526B1 (ko) 1986-03-18 1987-03-17 차량용 방풍유리 장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216877A (ko)
KR (1) KR930009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955A (en) * 1988-08-31 1989-10-24 Mazda Motor Manufacturing (Us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nstallation in an automobile body of a glass window panel having overcured adhesive thereon
KR100380085B1 (ko) * 2000-12-30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글라스 부착장치 및 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8600B2 (ko) 1992-05-14
KR870008723A (ko) 1987-10-20
JPS62216877A (ja) 1987-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4973B2 (en)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roof module into a vehicle body
KR930009526B1 (ko) 차량용 방풍유리 장착장치
JPH11186199A (ja) インゴットマウント装置
CN111992441B (zh) 一种涂胶机
JP4058380B2 (ja) 位置決め装置
JPH08324468A (ja) シーラー塗布用ドア位置決め装置
CN210349983U (zh) 预处理装置
JPS62215806A (ja) 車両用ウインドガラスの接着剤塗布高さの計測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3749Y2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ガラスの接着剤塗布装置
CN111604672B (zh) 一种用于按键的全自动压装检测装置
JPS62101587A (ja) 自動車用ウインドガラスの取付装置
CN213409241U (zh) 一种涂胶设备
JPH06107253A (ja) 車両ウインドガラスの組付装置
JPS6381202A (ja) プライマ塗布不良検出方法
CN112747785A (zh) 预处理流水线
JPS6381201A (ja) プライマ塗布不良検出方法
JP3153665B2 (ja) ウインドガラス位置決め装置
KR910004516B1 (ko) 창유리 장착방법
JPS62103270A (ja) 自動車用ウインドガラスの取付装置
CN219634534U (zh) 一种车载中控屏3d盖板的擦拭覆膜一体机
CN217059190U (zh) 一种用于水泵电机的自动输送检测系统
CN213837795U (zh) 用于单元幕墙的自动装配玻璃装置及装配系统
JPH0651255B2 (ja) レンズ搬送装置
JPS63141879A (ja) ウインドガラス取付方法
JPH04283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