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378B1 -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및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및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378B1
KR930005378B1 KR1019900008575A KR900008575A KR930005378B1 KR 930005378 B1 KR930005378 B1 KR 930005378B1 KR 1019900008575 A KR1019900008575 A KR 1019900008575A KR 900008575 A KR900008575 A KR 900008575A KR 930005378 B1 KR930005378 B1 KR 930005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ixel
crystal display
displa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625A (ko
Inventor
에이이치 무네츠구
기요시 히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0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및 액정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설명도.
제2도는 제1도중 액정표시기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중 액정표시용 집적회로의 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설명도.
제4도는 제1도중 액정표시용 집적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설명도.
제5도는 제4도의 액정표시용 집적회로의 동작예를 나타낸 타이밍도.
제6도는 종래의 도트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설명도.
제7도는 제6도중 액정표시기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제8도는 종래에 제안되었던 도트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트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기 111,112: 액정표시용 LSI
121,12 : TAB 필름 P1∼Pn-1,P2∼Pn: 배선
221∼22n-1: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된 제1의 전극단자군
222∼22n: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된 제2의 전극단자군
30 : 표시데이터용 RAM부 31 : 어드레스디코더
32 : 어드레스카운터 33 : 인터페이스회로
34 : 제어회로 35 : 랫치회로부
36 : 화소구동회로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도트매트릭스액정표시기의 표시구동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부터 입력된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에 대하여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에서의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군 중에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된 표시용 데이터 또는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된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제6도는 종래의 도트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제6도에서 참조부호 60은 표시화소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된 도트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기, 611, 612는 각각 액정표시용 LSI칩이다. 또 참조부호 621, 622는 TAB(Tape Automated Bonding) 필름으로, 여기에는 액정표시용 LSI칩(611, 612)이 TAB기술에 의해 탑재됨과 동시에 소정의 배선이 설치된다. 또 63은 액정표시기(60)의 시분할구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액정구동회로로서, 그 출력단자와 액정표시기(60)의 전극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액정표시용 LSI(611, 612)는 외부에서 공급된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를 일단 기억한후, 이를 각각 화소구 동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액정표시용 LSI칩(611, 612)은 액정표시기(60)의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예컨대 24개의 화소에 대하여 각각 대응되게 전반의 12개 화소의 화소구동신호 및 12개 화소의 화소구동신호를 병렬로 화소구동용 출력단자군으로 출력한다. 또 TAB필름(621)(622)은 액정표시기(60)의 한쪽으로 나란히 배열되는데, 이 TAB필름(621)(622)에는 액정표시용 LSI칩(611)(612)의 화소구동용 출력단자군과 액정표시기(60)에 각기 대응된 적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선(P1∼P12)(P13∼P24)이 형성됨과 동시에 액정표시기제어용 단자(PC)가 형성된다.
제7도는 상기 종래예인 액정표시기(60)를 나타낸 것으로, 이 액정표시기(60)는 대향하는 면에서 화소(도트) 표시용인 투명한 전극군이 피착형성된 한 쌍의 투명기판(유리 등)과, 이 한 쌍의 투명기판 사이에 봉입된 액정층 및,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의 외면측으로 설치된 광편향판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투명기판의 폭방향 중앙부분이 표시부(70)로 되고, 상기 투명전극의 연장부분이 배선부(71) 및 전극단자부(72 : 721∼72n)로 된다. 또 표시부(70)에서는 기판의 긴쪽 방향으로 m개(예컨대 5개)의 공통전극용 투명전극이 형성됨과 동시에 기판의 폭방향으로 n개의 세그먼트전극용 투명전극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기판쪽 방향의 한쪽 측단부에만 전극 단자(721∼72n)를 형성한 액정표시기(60)에 있어서는 배선피치가 좁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게됨과 동시에 배선접속의 신뢰성이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트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제8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80은 전극단자부(82)가 기판폭 방향의 양측 단자부로 분산되어 형성되고 투명전극의 배선부분의 피치가 넓게 된 액정표시기이다. 또, 참조부호 831, 832는 액정표시용 LSI(841, 842)가 탑재된 TAB필름으로, 이는 액정표시기(80)의 양 측단부로 분리배치됨과 더불어 넓은 피치로 소요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에서 공급된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가 데이터절환회로(85)로 입력되는데, 이 데이터절환회로(85)는 도시되지 않은 CPU(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절환제어됨으로써 상기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는 액정표시용 LSI(841)의 표시용 데이터 및 액정표시용 LSI(842)의 표시용 데이터로 분리되어 액정표시용 LSI(841, 842)로 공급된다. 이 액정표시용 LSI(841, 842)는 데이터절환회로(85)로부터 각각 공급된 표시용 데이터를 일단 기억하고, 이들 각각 화소구동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의 고속화에 발맞추어 액정표시용 LSI(841)의 표시용 데이터 및 액정표시용 LSI(842)의 표시용 데이터가 고속으로 분리되도록 데이터절환회로(85)를 CPU로 절환제어하게 되면, CPU의 처리능력에 부담이 심해져서 표시의 고속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트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기의 양측 단자로부터 각각 화소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종래의 액정표시용 LSI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를 일단 기억하고, 이를 각각 화소구동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용 데이터를 2개의 액정표시용 LSI에 대응시켜 분리하도록 데이터절환회로를 CPU로 절환제어할 필요가 있고, 또 표시의 고속화에 따라서 고속으로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CPU의 처리능력의 부담이 심해져서 표시고속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액정표시용 LSI를 사용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도 표시고속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도트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기에 대하여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리된 화소 구동신호를 별개로 공급할 경우에, 상기 표시용 데이터입력으로 상기 복수개의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고속으로 선택처리할 수 있고, 표시용 데이터의 그룹분배를 위하여 CPU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절환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으로써, 표시고속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되며, 더욱이 상기 액정표시기 및 그것을 실장하기 위한 필름 등의 배선피치를 넓게 하여 제조비용의 절감 및 배선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액정표시용 집적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액정표시용 집적회로를 사용한 고속표시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용 집적회로는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군의 각 화소에 대응해서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구동신호를 출력단자군으로 병렬출력하도록 된 액정표시용 집적회로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된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군 중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된 표시용 데이터 또는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된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수/우수 데이터선택수단과, 이 기수/우수 데이터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시용 데이터를 화소구동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화소구동신호출력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군 중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제1전극단자군과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제2전극단자군이 양 측단부로 분리되어 형성된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와, 외부에서 입력된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된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함과 동시에 이를 화소구동신호로 변환시켜 출력단자군으로 병렬로 출력하고, 상기 제1전극단자군에 인가된 제1액정표시용 집적회로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입력에 대하여 상기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된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함과 동시에 이를 화소구동신호로 변환시켜 출력단자군으로 병렬출력하여 이들을 상기 제2전극단자군으로 인자하는 제2액정표시용 집적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작용]
상기한 구성으로 된 액정표시용 집적회로에 의하면, 표시용 데이터입력에 대하여, 내부적으로 필요한 표시용 데이터만을 고속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고(불필요한 표시용 데이터는 포기해 버린다). 표시용 데이터입력에 대하여 미리 데이터 절환처리를 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표시의 고속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액정표시용 집적회로를 예컨대 TAB필름상에 실장하여 도트매트릭스 액정표시기와 접속하는 경우, 액정표시기의 투명기판폭 방향의 양쪽 측단부로 기수번째용 전극단자군과 우수번째용 전극단자군을 분리배열하게 되면 이 기수번째용 전극단자군과 우수번째용 전극단자군의 각각에 대응하는 화소구동신호군을 별개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액정표시용 집적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복수개의 액정표시용 집적회로에는 외부로부터 동일한 표시용 데이터가 공통으로 입력되고, 각각의 내부에서 필요한 표시용 데이터만을 고속으로 선택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표시용 데이터입력을 복수개의 액정표시용 집적회로에 각각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로 분리하기 위해 CPU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절환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으로써 표시의 고속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기의 투명기판폭 방향의 양쪽 측단부로 기수번째용 전극단자군과, 우수번째용 전극단자군을 분리하여 배열하게 되면, 상기 TAB필름상의 배선피치를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배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정표시기의 투명기판위의 투명전극배선을 거의 최단거리에서 직선형태로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액정표시기에서 상기 투명전극배선부의 점유면적을 작게하여 액정표시부를 크게함으로써 표시내용을 보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투명전극배선의 배열간격은 물론 전극단자배열간격을 화소배열간격과 같은 정도로 크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가 용이해져서 액정표시장치를 염가로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도트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제1도에서 참조부호 10은 표시화소가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된 도트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기이고, 111, 112는 각각 액정표시용 LSI이다. 또 참조부호 121, 122는 TAB필름으로서, 액정 표시용 LSI(111, 112)가 TAB기술에 의해 탑재됨과 동시에 필요한 배선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TAB필름(121, 122)은 액정표시기(10)의 양 측단부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2도는 액정표시기(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 액정표시기(10)는 대향된 면으로 화소(도트)표시용 투명전극군이 피착형성된 한쌍의 투명기판(유리 등)과, 이 한쌍의 투명기판 사이에 봉입된 액정층 및,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의 외면측으로 설치된 광편향판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투명기판의 폭방향 중앙부가 표시부(20)로 되어 있고, 이 투명전극의 기판양측단 방향으로의 연장부분이 각각 배선부 및 전극단자부(22)로 되어 있다.
표시부(20)에서는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m개(예컨대 5개)의 공통전극을 투명전극이 형성됨과 더불어 기판폭 방향으로 n개 세그먼트전극용 투명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전극단자(22∼22n)가 기판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분산되어 형성되고,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화소군 중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제1의 전극단자군(221∼22n-1)과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제2의 전극단자군(222∼22n)이 양 측단부로 분리형성되어 있다. 또, 제1도에서 참조부호 13은 액정표시기(10)의 시분할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액정구동회로로, 그 출력단자와 액정표시기(10)의 전극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액정표시용 LSI(111, 112)는 외부에서 공급된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군 중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된 표시용 데이터 또는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된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수/우수 데이터선택수단과, 이 기수/우수 데이터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시용 데이터를 화소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화소구동신호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제1의 액정표시용 LSI(111)는 외부에서 입력된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된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함과 동시에 이를 화소구동신호로 변환시켜 출력단자군으로 병렬출력하고, 또 제2의 액정표시용 LSI(112)도 마찬가지로 상기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입력에 대하여 상기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함과 동시에 이를 화소구동신호로 변환시켜 출력단자군으로 병렬출력한다.
TAB필름(121) 위에는 제1도의 액정표시용 LSI(111)에서 출력되는 화소구동신호를 제1의 전극단자군(221∼22n-1)으로 인가하기 위한 배선(P1∼Pn-1)이 형성됨과 더불어 액정표시기제어용 단자(PC)가 형성되어 있다.
또, TAB필름(122)상에는 제2의 액정표시기용 LSI(112)로부터 출력되는 화소구동신호를 제2의 전극단자군(222∼22n)으로 인가하기 위한 배선(P2∼Pn)이 형성됨과 더불어, 액정표시제어용 단자(P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동일한 표시용 데이터가 공통으로 입력되고, 각각 내부에서 필요한 표시용 데이터만을 고속으로 선택(불필요한 표시용 데이터는 포기해 버린다)하는 것이 가능한 2개의 액정표시용 LSI(111, 112)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표시용 데이터입력을 2개의 액정표시용 LSI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로 분리하기 위하여 데이터절환회로(제8도의 85)를 설치하고 이를 CPU로 처리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표시의 고속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2개의 액정표시용 LSI(111, 112)를 TAB필름(121, 122) 상에 실장하여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10)와 접속하는 경우, 액정 표시기(10)의 투명기판 폭방향의 양쪽 측단부에 기수번째용 전극단자군(221∼22n-1)과 우수번째용 전극단자군(222∼22n)을 분리하여 배열하고, 이 기수번째용 전극단자군(221∼22n-1)과 우수번째용 전극단자군(222∼22n)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구동신호군을 따로따로 출력할 수 있게 되므로 TAB필름(121, 122) 상의 배선피치를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그 배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액정표시기(10)의 투명기판 위의 투명전극배선(21)을 거의 최단거리에서 직선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되므로, 액정표시기(10)에서의 투명전극배선부(21)의 점유면적을 작게 하여 표시부(20)를 크게 함으로써 표시내용을 보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투명전극배선의 배열간극은 물론 전극단자 배열간격을 화소배열간격과 동일한 정도로 크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가 용이해져서 액정표시장치를 염가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액정표시용 LSI(111, 112)를 실현하는 구성은 많은 실시예가 고려되지만, 이하 표시데이터용 RAM(랜덤·억세스·메모리)부를 갖춘 액정표시용 LSI의 경우와 표시데이터용 시프트레지스터부를 갖춘 액정표시용 LSI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표시데이터용 RAM부를 갖는 액정표시용 LSI 블록의 일례에 대하여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서 참조부호 30은 액정표시데이터의 기록·독출이 수행되는 표시데이터용 RAM부이고, 31은 상기 RAM부(30)의 어드레스선택을 수행하는 어드레스디코더이며, 32는 어드레스디코더(31)로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하는 어드레스카운터, 33은 외부 CPU(센트럴·프로세싱·유니트)로부터 인가된 어드레스데이터 및 기록데이터를 취하여 어드레스카운터(32)의 입력 및 RAM부(30)의 기록입력으로서 인가하는 인터페이스회로, 34는 인터페이스회로(33) 및 어드레스카운터(32)에 대하여 표시데이터의 선택제어를 수행하는 제어회로부이다.
또, 상기 제어회로부(34)는 상기 표시용 데이터입력 중 상기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 또는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 또는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인터페이스회로(33)를 제어함과 더불어, 이 인터페이스회로(33)에 의해 선택된 표시용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록어드레스를 출력하도록 어드레스카운터(3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각 구성에 의해 표시용 데이터 입력에 대응하는 기수/우수 데이터선택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수/우수 데이터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시용 데이터를 화소구동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화소구동신호 출력수단으로서 RAM부(30)로부터 독출된 표시데이터를 래치하는 랫치회로부(35)와, 이 랫치회로부(35)의 랫치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해야 할 화소배열의 각 화소를 표시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화소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화소구동회로부(36)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복수개의 화소구동신호는 각각 대응하는 화소구동출력패드를 거쳐서 복수개의 화소구동출력단자로 출력되게 된다.
다음, 표시데이터용 시프트레지스터부를 갖춘 액정표시용 LSI블록의 일례에 대하여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서 참조부호 40은 표시데이터가 기록되는 표시데이터용 시프트레지스터부이고, 41은 데이터를 시프트하기 위한 시프트클럭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이며, 42는 시프트레지스터부(40)로부터 표시데이터를 랫치하는 랫치회로부, 43은 랫치회로부(42)의 랫치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해야 할 화소배열의 각 화소를 표시구동하도록 복수개의 화소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화소구동회로부이다.
또, 상기 복수개의 화소구동신호는 각각 대응하는 화소구동출력 패드를 거쳐 복수개의 화소구동출력단자로 출력되고, 상기 시프트레지스터부(40)는 SCP(시프트·클럭·펄스)의 하강엣지(falling edge)에서 데이터를 시프트하며, 랫치회로부(42)는 LP(랫치·펄스)의 하강엣지에서 시프트레지스터부(40)로부터의 데이터를 랫치하게 된다.
이 경우,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회로부(41)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SCP로부터 SCP 우수(SCP우) 및 SCP기수(SCP기)가 출력되도록 하고, 이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시프트레지스터부(40)로 공급하게 되면 용이하게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와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의 시분할 구동용 전극단자에 인가하기 위한 시분할 구동신호가 액정구동용 LSI와는 다른 액정구동회로로부터 발생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 회로기능을 본 발명의 액정구동용 LSI에 내장시켜도 좋다.
또, 본 발명이 액정표시용 집적회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TAB필름에 실장된 디바이스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어회로와 동일한 기능을 갖춘 집적회로 전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액정표시기 이외의 도트매트릭스방식 표시기를 표시구동할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용 집적회로에 의하면, 도트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기에 복수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진 화소구동신호를 따로따로 공급할 경우에 표시용 데이터입력으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고속으로 선택처리할 수 있게 되므로, 표시용 데이터의 그룹분배를 위한 데이터절환회로를 설치하고 이를 CPU로 처리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표시의 고속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상기 액정표시기 및 이것을 실장하기 위한 TAB필름 등의 배선피치를 넓게 하여 제조비용의 절감 및 배선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표시용 집적회로를 복수개 사용하고, 이 복수개의 액정표시용 집적회로에는 외부로부터 동일한 표시용 데이터가 공통으로 입력되고 각각의 내부에서 필요한 표시용 데이터만을 고속으로 선택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입력을 복수개의 액정표시용 집적 회로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로 분리하기 위한 데이터절환회로 및 CPU에 의한 처리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표시의 고속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10)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군의 각 화소에 대응하여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 구동신호를 출력단자군으로 병렬출력하는 액정표시용 집적회로에 있어서, 외부로에서 입력되는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군 중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 또는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수/우수 데이터선택수단(30∼34)과, 상기 기수/우수 데이터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시용 데이터를 화소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화소구동신호출력수단(35, 36)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우수 데이터선택수단은 외부에서 입력된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의 기록·독출이 수행되는 랜덤·억세스·메모리(30)와, 이 랜덤·억세스·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어드레스디코더(31), 이 어드레스디코더(31)로 어드레스신호를 입력하는 어드레스카운터(32), 외부에서 인가된 어드레스데이터 및 기록데이터를 취하여 상기 어드레스카운터(32)의 입력 및 상기 랜덤·억세스·메모리의 기록입력으로서 인가하는 인터페이스회로(33)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입력 중 상기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 또는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회로(33)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인터페이스회로(31)에 의해 선택된 표시용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록어드레스를 출력하도록 상기 어드레스카운터(32)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34)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소구동신호출력수단은 상기 랜덤·억세스·메모리(30)로부터 독출된 상기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랫치하는 랫치회로부(35)와, 이 랫치회로부(35)의 랫치데이터를 화소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단자군으로 출력하는 화소구동회로(36)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3.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군 중의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제1의 전극단자군과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제2의 전극단자군이 양 측단부로 분리형성된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10)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입력에 대하여 상기 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함과 더불어, 이를 화소신호로 변환시켜 출력단자군으로 병렬로 출력하여, 상기 제1의 전극단자군으로 인가하는 제1액정표시용 집적회로(111) 및 상기 도트매트릭스방식 액정표시기용의 표시용 데이터입력에 대하여 상기 우수번째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함과 더불어, 이를 화소구동신호로 변환시켜 출력단자군으로 병렬로 출력하여, 상기 제2의 전극단자군으로 인가하는 제2의 액정표시용 집적회로(11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900008575A 1989-06-12 1990-06-12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및 액정표시장치 KR930005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8991A JP2755689B2 (ja) 1989-06-12 1989-06-12 液晶表示用集積回路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89-148991 1989-06-12
JP1-148991 1989-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625A KR910001625A (ko) 1991-01-31
KR930005378B1 true KR930005378B1 (ko) 1993-06-19

Family

ID=15465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575A KR930005378B1 (ko) 1989-06-12 1990-06-12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및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41304A (ko)
EP (1) EP0402850B1 (ko)
JP (1) JP2755689B2 (ko)
KR (1) KR930005378B1 (ko)
DE (1) DE6901610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4663A1 (fr) * 1991-03-29 1992-10-02 Thomson Lcd Ecran matriciel a definition amelioree et procede d'adressage d'un tel ecran.
US5444458A (en) * 1993-02-22 1995-08-22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data write control device
JPH06324644A (ja) * 1993-05-13 1994-11-25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CN1044292C (zh) * 1993-05-13 1999-07-21 卡西欧计算机公司 显示器驱动设备
TW247359B (en) 1993-08-30 1995-05-11 Hitachi Seisakusyo Kk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river
US5742271A (en) * 1993-11-11 1998-04-21 Seiko Epson Corporaiton Matrix type display device,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such a display device
JPH08106272A (ja) * 1994-10-03 1996-04-2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駆動回路
KR100359793B1 (ko) * 1995-01-21 2003-01-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5874931A (en) * 1996-06-28 1999-02-2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Microcontroller with dual port ram for LCD display and sharing of slave ports
JP3256475B2 (ja) * 1997-10-16 2002-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ラグ・ジャック式光電共用伝送装置
US6825836B1 (en) 1998-05-16 2004-11-30 Thomson Licensing S.A. Bus arrangement for a driver of a matrix display
TW564388B (en) * 1999-05-11 2003-12-01 Toshiba Corp Method of driving flat-panel display device
US6985128B1 (en) * 2000-07-31 2006-01-10 Son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20050280623A1 (en) * 2000-12-18 2005-12-22 Renesas Technology Corp. Display control device and mobile electronic apparatus
JP4132654B2 (ja) * 2000-12-18 2008-08-13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表示制御装置および携帯用電子機器
JP2002189452A (ja) * 2000-12-19 2002-07-05 Seiko Epson Corp 半導体集積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251A (en) * 1977-03-10 1989-02-14 Imo Delaval Inc. Electrode structures and electrooptic light gate systems
JPS5849987A (ja) * 1981-09-19 1983-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駆動方式
JPH07118794B2 (ja) * 1983-03-16 1995-12-18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表示装置
JPS60192575U (ja) * 1984-05-30 1985-12-20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液晶テレビ
JPS6186796A (ja) * 1984-12-07 1986-05-02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ラ−マトリツクスパネル表示装置の駆動回路
US4837566A (en) * 1985-07-12 1989-06-06 The Cherry Corporation Drive circuit for operating electroluminescent display with enhanced contrast
WO1987002537A1 (en) * 1985-10-16 1987-04-23 Sanyo Electric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E3641556A1 (de) * 1985-12-09 1987-06-11 Sharp Kk Steuerschaltung fuer eine fluessigkristallanzeige
FR2608300B1 (fr) * 1986-12-16 1989-03-31 Thomson Csf Systeme de visualisation sur ecran plat matriciel avec affichage protege des donnees primordiales pour l'exploitation
DE3884442T2 (de) * 1987-04-15 1994-02-17 Sharp Kk Flüssigkristallanzeigegerät.
EP0291252A3 (en) * 1987-05-12 1989-08-02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video display and video display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16102T2 (de) 1995-06-22
EP0402850A3 (en) 1991-10-23
JP2755689B2 (ja) 1998-05-20
JPH0313989A (ja) 1991-01-22
EP0402850A2 (en) 1990-12-19
DE69016102D1 (de) 1995-03-02
EP0402850B1 (en) 1995-01-18
US5241304A (en) 1993-08-31
KR910001625A (ko) 199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378B1 (ko)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및 액정표시장치
US692486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portable telephone using the same
KR101365055B1 (ko) 표시 장치
EP1962270A1 (en) Display device with polarity inversion driving
US20020075204A1 (en) Plurality of column electrode driving circuit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6707440B2 (en) Semiconductor device
EP0466376B1 (en) Driver circuit package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0847812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패널
KR100293982B1 (ko) 액정패널
JP4526415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ガラス基板
JPS6352121A (ja) 電気光学装置
KR100789139B1 (ko) 온 글라스 싱글칩 액정표시장치
KR100831114B1 (ko) 액정 표시 장치
JPH09258249A (ja) 半導体集積回路
JPH08313925A (ja) 半導体集積回路
JP3118345B2 (ja) 液晶表示装置
US5260698A (en) Integrated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0474056B1 (ko) 회로기판 및 평면표시장치
KR20190134989A (ko) 표시 장치
JP2713887B2 (ja) 液晶表示装置
KR19990024712A (ko) 액정표시장치 하판 글래스의 배선구조
KR100228283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
JP2683169B2 (ja) 半導体装置
KR0147132B1 (ko) 액정표시장치의 탭실장구조
JP2001195040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