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793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793B1
KR100359793B1 KR1019950001017A KR19950001017A KR100359793B1 KR 100359793 B1 KR100359793 B1 KR 100359793B1 KR 1019950001017 A KR1019950001017 A KR 1019950001017A KR 19950001017 A KR19950001017 A KR 19950001017A KR 100359793 B1 KR100359793 B1 KR 10035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ad
fine pattern
crystal display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863A (ko
Inventor
박장우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0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793B1/ko
Publication of KR96002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러빙에 의한 표시부의 얼룩을 방지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판 패널의 표시 영역의 패드부와 구동 회로부의 패드부 사이의 영역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도트 형태의 복수개의 미세 패턴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러빙(rubbing)에 의한 표시부의 얼룩을 방지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장치는 크게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크게 액정 패널과 광원 그리고 구동회로부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은 크게 상하 투명 기판과 상하 투명 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 투명 기판에서는 공통 전극, 블랙 매트릭스 및 칼라 필터층이 형성된다.
상기 하측 투명 기판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들이 배열되고, 일정한 간격을 갖고 상기 각 게이트 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들이 배열되며, 상기 각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사이의 공간 영역이 화소 영역이 되고, 각 화소 영역에는 화소 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열된다. 즉,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에 소오스 전극이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에 화소 전극이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신호를 화소 전극에 인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정 패널의 각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는 상기구동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상기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각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끝단에는 각각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트가 형성되고, 또한 구동회로부에도 패드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액정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측 투명기판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을 형성한 다음 전면에 폴리이미드(polymide)계나 폴리아미드(polyamide))계의 물질로 된 배향막을 증착한다.
그리고 상기 증착된 배향막에 액정 분자를 규칙적으로 배향 시키기 위한 미세홈을 형성한다.
이러한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을 러빙(rubbing)에 의한 방법이다. 이는 폴리이미드계나 폴리아미드계의 물질로 된 배향막에 러빙을 행함으로써 규칙적인 미세홈(microgroove)들을 형성하고 이것을 통해 액정 분자들을 전체 배향막 표면에 규칙적으로 배향시키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러빙 공정은 회전하는 드럼에 부착된 러빙포로 액정 패널에 종착된 배향막을 일정한 방향으로 문질러서 일정한 방향이 직선홈을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기판의 단차로 인하여 단차가 높은 부분이 단차가 낮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홈이 깊게 형성되므로 균일한 배향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상기와 같은 러빙 작업시 러빙포가 배향막으로 진입하기 직전에,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의 주변부, 즉 액정 패널의 표시 영역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영역(1)의 패드부(2)와 구동회로 부의 패드부(3)가 접속되는 부분에서 상기 어레이영역(1)과 연결되는 패드부(2)의 각각의 금소패턴과 러빙포가 접촉되어 러빙포 털에 비정상적인 충격(길들여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구동회로부의 패드부(3)와 표시 영역(1)의 패드부(2)사이의 영역(A)과 표시영역(1)의 패드부(2)간의 단차로 인한 것으로 상기 구동회로부와 표시영역 사이의 영역(A)보다 단차가 높은 패드부(2)에 러빙포가 접촉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영역(A)을 정확하게 정의하면, 상기 구동회로부의 패드부(3)와 표시 영역의 패드부(2) 사이에서, 표시 영역의 제 1 패드군과 제 2 패드군 사이의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영역(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이 수직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 회소 영역에 박막 트렌지스터와 화소 전극이 배열된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패드부(2)는 각 게이터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형성된 패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소정부분이 비정상적인 충격에 의해 길들여진 러빙포가 배향면내로 진입하여 배향막을 문지르게 되면 충격에 의해 길들여지지 않은 정상적인 부분의 러빙포와는 다른 강도로 충격에 의해 길들여진 부분이 러빙포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향막을 문지르게 되고, 이에 다라 정상적인 부분과는 다른 러빙강도에 의해 정상부분보다 높은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 부분보다 높은 프리틸트각을 갖는 부분은 액정 표시장치의 점등 구동시 정상 부분보다 낮은 문턱 전압(Vth)특성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문턱 전압 구동시 정상 부위에 비해 빨리 점등되어 검게 보이게 되어 화면 표시 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차를 개선하여 러빙 공정시에 발생할 수 있는 표시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하판 패널의 표시 영역의 패드부와 구동 회로부의 패드부 사이의 영역에 미세 패턴이 형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빠른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하판 패널의 표시 영역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패드부(2)와 구동 회로부 패드부(3)사이의 영역 전면에 걸쳐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도트(dot)형태의 미세 패턴(5)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표시 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이 수직/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 화소 영역에는 화소 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부(2)는 상기 각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어 형성된다.그리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패드부(2)에 대향되는 부분에 상기 각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구동신호(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회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 회로부에도 패드부(3)가 형성된다.
상기 미세 패턴(5)들은 상기 표시영역 패드부(2) 형성 공정시 함께 형성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패드부(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패드부(2)와 구동회로부 패드부(3)와 그 주변 영역 간의 단차를 없애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세 패턴(5)은 단차를 없애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돗트 형태의 미세 패턴이 아니더라도 상기 패드부(2)와 같은 두께를 갖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금속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러빙 공정시 표시 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 에러이(1)쪽으로 러빙포가 진입할 때 표시 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패드부(2)와 구동 회로부(3) 사이의 영역에 단차가 없어짐으로 패드와 접촉되는 러빙포에 비정상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 구동시 표시부에 얼룩이 나타나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의 하판 패널의 평탄도를 고르게 함으로써 러빙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액정표시장치의 불량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제 1 도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하판 패널의 부분적인 개략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하판패널의 부분적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표시 영역 2. 표시 영역 패드부
3. 구동회로부 패드부 5. 미세패턴

Claims (10)

  1. 하판 패널의 표시 영역의 패드부와 구동 회로부의 패드부 사이의 영역에 미세 패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패턴은 상기 표시 영역의 패드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패턴은 상기 패드부와 동일한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패턴은 금속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패드부와 구동 회로부의 패드부 사이에 있어서, 표시 영역의 제 1 패드군과 제 2 패드군 사이의 영역에 미세 패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패턴은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개의 화소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각 화,소 전극에 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 및 각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패드부와 구동 회로부의 패드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되고 공통 전극이 형성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와 구동 회로부 패드부 사이에 미세 패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패턴은 금속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화소 전극, 복수개의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 라인 그리고 패드부를 구비한 제 1 기판위에 배향막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패턴은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950001017A 1995-01-21 1995-01-21 액정표시장치 KR100359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017A KR100359793B1 (ko) 1995-01-21 1995-01-21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017A KR100359793B1 (ko) 1995-01-21 1995-01-21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863A KR960029863A (ko) 1996-08-17
KR100359793B1 true KR100359793B1 (ko) 2003-01-10

Family

ID=3749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017A KR100359793B1 (ko) 1995-01-21 1995-01-21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270B1 (ko) * 2010-12-28 2018-0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625A (ko) * 1989-06-12 1991-01-31 아오이 죠이치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및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625A (ko) * 1989-06-12 1991-01-31 아오이 죠이치 액정표시용 집적회로 및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270B1 (ko) * 2010-12-28 2018-0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863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441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electrostatic protecting circuits
KR100251878B1 (ko) 액정 표시장치
KR200162435Y1 (ko) 슈퍼트위스트네마틱 액정 디스플레이
US6717648B2 (en) Defect correct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panel
KR100582598B1 (ko) 빛샘 현상을 방지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00045318A (ko) 고개구율 및 고투과율 액정표시장치
US740860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359793B1 (ko) 액정표시장치
US6630971B1 (en)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20047976A1 (en) In-plane switching LCD panel having different alignment layers
KR100710149B1 (ko) 액정표시소자
JP2001330832A (ja) 液晶表示装置
KR100640992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5883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98021B1 (ko) 수평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0687352B1 (ko) 스페이서 패턴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749482B1 (ko) 정전기 방지 구조를 가진 액정표시장치
JP3513826B2 (ja) 液晶表示素子
KR101197761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55699B1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
KR20230117555A (ko) 액정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960038459A (ko) 블로킹 패턴을 형성한 액정 표시장치
KR20030037826A (ko) 멀티도메인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H10186400A (ja) 液晶表示素子
JPH0720483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