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182B1 - 빵제조기 - Google Patents

빵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182B1
KR930004182B1 KR1019890013552A KR890013552A KR930004182B1 KR 930004182 B1 KR930004182 B1 KR 930004182B1 KR 1019890013552 A KR1019890013552 A KR 1019890013552A KR 890013552 A KR890013552 A KR 890013552A KR 930004182 B1 KR930004182 B1 KR 930004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king
bread
cake
contain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303A (ko
Inventor
치카시 사또
마사루 카와베
마사후미 이시카와
마사노리 마쯔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352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83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52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83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52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83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52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588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52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14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5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588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52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83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520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588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52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83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693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8644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빵제조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도시한 빵제조기의 블록도.
제2도는 동 플로우차아트.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한 빵제조기의 블록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동 제빵공정을 도시한 도면.
제4(c)도는 동 플로우차아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 빵제조기의 블록도.
제6도는 동 제빵공정 및 공정판별조건을 도시한 도면.
제6(e)도는 동 플로우차아트.
제7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도시한 빵제조기의 블록도.
제8(a)도 및 제8(b)도는 동 제빵공정을 도시한 도면.
제8(c)도는 동 플로우차아트.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도시한 빵제조기의 블록도.
제10도는 제빵 및 케이크의 공정을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를 도시한 빵제조기의 블록도.
제12도는 동 케이크 소성공정의 온도변화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를 도시한 빵제조기의 블록도.
제14도는 동 표시내용을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를 도시한 빵제조기의 블록도.
제16(a)도는 동 케이크소성공정의 온도변화도.
제16(b)도는 동 덧구이공정을 포함한 케이크소성공정의 온도변화도.
제17도는 동 플로우차아트.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를 도시한 빵제조기의 블록도.
제19도는 동 케이크 소성공정의 온도변화도.
제20도는 종래의 빵제조기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빵수단 2 : 용기온도검지수단
3 : 메뉴입력수단 3 : 선택수단
4 : 코오스입력수단 5 : 타이머입력수단
6 : 메뉴기억수단 7 : 코오스기억수단
8 : 타이머기억수단 9 : 코오스초기화수단
10 : 타이머초기화수단 11 : 스타아트수단
12 : 제어수단 13 : 표시수단
43 : 실온검지수단 44 : 제빵공정판정수단
45 : 기억수단 46 : 제빵공정기억수단
47 : 케이크소성공정기억수단(제빵소성공정기억수단)
48 : 케이크소성시간기억수단 49 : 용기검지수단
50 : 케이크덧구이수단 51 : 덧구이시간한정수단
본 발명은, 소맥분등의 빵재료를 투입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빵을 구어낼 수 있는 일반가정용의 빵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용기에 빵재료를 넣어서 운전을 개시하면 자동적으로 빵을 구어내는 빵제조기가 보급되어 있다. 또한, 식빵뿐만 아니라, 불란서빵이나 거죽이 부드러운 시판용 식빵등의 다양한 빵을 구울 수 있는 제빵기가 요망되고 있다.
종래의 제빵기에서는,이들 다양한 빵메뉴와, 빵을 최후까지 구어내거나, 빵반죽만들기를 위하여 제빵공정의 도중에서 제빵을 정지하거나 하는 빵의 제조방법인 코오스를 혼동해서, 사용자에 선택시키고 있었다.
이 종래의 빵제조기의 구성을 제20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21)은 빵재료를 수납하는 용기와 이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빵재료를 혼합해서 반죽하는 혼합반죽수단으로 이루어진 제빵수단, (22)는 상기 용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용기온도검지수단, (23)은 식빵, 불란서빵등의 빵의 메뉴마다 복수개의 상이한 제빵공정(빵을 최후까지 구어내거나, 빵반죽만들기 공정인 코오스)을 기억하는 기억수단 (24)는 식빵, 불란서빵등의 제빵메뉴와 그 제빵공정의 양쪽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25)는 타이머제빵을 행하기 위하여, 타이머시간을 입력하는 타이머입력수단, (26)은 제빵 혹은 타이머 제빵을 개시하는 스타아트수단, (27)은 상기 기억수단(23)과, 상기 용기온도검지수단(22)와, 상기 스타아트수단(26)과, 상기 타이머수단(25)의 출력을 받아서, 상기 제빵수단(21)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28)은 제어수단(27)의 출력을 받아서 제빵메뉴와, 제빵공정 및 제빵종료까지의 조리잔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29)는 용기온도 검지수단(22)의 출력을 받아서, 상기 기억수단(23)에 기억된 각메뉴의 복수개의 제빵공정중에서 그때의 실온에 가장 적합한 제빵공정을 판정하고, 상기 기억수단(23)에 출력하는 제빵공정판정수단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제빵기에 있어서는, 빵의 종류인 메뉴와, 빵의 제조방법인 코오스를 혼동해서 선택시키고 있으며, 또한, 각각의 빵메뉴와 코오스에 의해서 타이머를 사용하거나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복잡한 조작을 강요하는 것이었다.
또, 타이머제빵을 행하였을 경우, 제빵공정의 반죽, 재우기, 발효공정중, 재우기 공정을 연장하므로서, 타이머시간을 조절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사이에 빵반죽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그 결과 다음의 발효공정에서 빵반죽의 과발효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빵반죽의 온도를, 제빵에 있어서 중요한 주위온도의 상태의 대신으로 제빵공정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에 넣은 빵재료의 온도가 주위온도와 동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그때의 주위온도에 적합한 제빵공정을 선택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빵을 만든다고 하는 목적뿐이기 때문에, 조리공정도 미리 설정되어 있을 뿐으로, 그 결과, 빵과 함께 일반적으로 널리 먹고 있는 케이크를 굽는 일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빵의 종류인 메뉴와 빵의 제조방법인 코오스를 사용자에게 혼동시키는 일없이 입력할 수 있게 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2의 목적은, 메뉴, 코오스에 맞춘 타이머시간이 정확하게 선택되도록 하는데 있다.
제3의 목적은, 실온에 의해 제빵공정을 결정하여 실온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빵을 제조하는데 있다.
제4의 목적은, 실온이외의 용기온도도 가미해서 제빵공정을 결정하므로서 항상 안정된 빵제조를 행하는 데 있다.
제5의 목적은 장시간의 타이머에 의한 재우기공정중에 빵반죽의 온도가 상승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안정된 품질의 빵제조를 행하는데 있다.
제6도의 목적은 빵제조기를 사용해서 케이크구이를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제7a의 목적은, 어려운 온도설정과 시간설정을 필요로하지 않고, 케이크만들기를 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제8의 목적은, 빵메뉴일때와 케이크메뉴일때의 "용기없음"표시를 알기 쉽게 하는데 있다.
제9의 목적은, 케이크반죽이 설구워졌을때에도 적당한 정도의 소성상태까지 구어낼 수 있다.
제10의 목적은, 수회 케이크소성을 행하여도 빵제조기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및 제2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빵재료를 수납하는 용기와 이 용기를 가열하는 히이터로 이루어진 가열수단과 빵재료를 혼합반죽하기 위한 모우터와 날개등으로 구성된 혼합 반죽수단으로 이루어진 제빵수단이다. (2)는 상기 용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용기온도 검지수단으로서, 그 검지온도에 의해서 모우터나 히이터를 제어하는 것이다. (3)은 불란서빵이나 식빵등의 빵의 종류인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입력수단, (4)는 빵의 구어진 색을 바꾸거나, 구이완성직전에서 제빵을 정지하거나 하는 제빵의 코오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오스입력수단이다.
(5)는 타이머제빵을 행할때에 타이머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입력수단, (6)은 메뉴입력수단(3)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를 기억하는 메뉴기억수단, (7)은 코오스입력수단(4)에 의해서 선택된 코오스를 기억하는 코오스기억수단, (8)은 타이머입력수단(5)에 의해서 설정된 타이머시간을 기억하는 타이머기억수단이다.
(9)는 메뉴입력수단(3)에서, 메뉴가 새로히 선택되었을 때에, 코오스기억수단(7)에 기억되어 있는 코오스를 초기화하는 코오스초기화수단, (10)는 메뉴입력수단(3)에 의해서 메뉴가 새로히 선택되거나, 혹은 코오스입력수단(4)에 의해서 코오스가 새로히 선택되었을 때에, 타이머기억수단(8)에 기억되어 있는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타이머초기화수단, (11)은 제빵을 개시하기 위한 스타아트수단이다.
(12)는 제어수단으로서, 이 제어수단(12)는 메뉴기억수단(6)과, 코오스기억수단(7)과, 타이머기억수단(8)에 기억되어 있는 메뉴, 코오스, 타이머에 따른 제빵공정에서, 온도검지수단(2)에 입력에 의해서, 제빵수단(1)의 히이터나 모우터를 제어하는 것이다. (13)은 그 시점의 메뉴와 코오스와 조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방제조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아트이며, 이 플로우 차아트에 의거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스텝(31)에서 메뉴, 코오스, 타이머의 초기설정을 행한다. 메뉴, 코오스에서는, 각각 제1번째의 메뉴, 코오스가, 메뉴기억수단(6)과 코오스기억수단(7)에 기억된다.
스텝(32)에서는, 메뉴입력수단(3)에 의해서 메뉴가 입력되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만약 메뉴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스텝(33),(34),(35)에 나아간다. 이때 , 코오스, 또는 타이머가 초기설정이외의 것이면, 스텝(34)와 (35)에서 각각 초기화된다.
스텝(36)에서는, 코오스입력수단(4)에 의해서 코오스가 입력되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만약 코오스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스텝(37),(38)로 나아간다. 이때, 타이머가 초기설정이외의 것이면, 스텝(38)에서 초기화된다. 그리고 스텝(39),(40)에서는 타이머시간의 압력을 행하고 있다.
스텝(41)에서는, 스타아트수단(11)의 입력을 판단하고, 만약, 입력이 있으면, 스텝(42)에서 제빵을 행하고, 한편, 입력이 없으면 스텝(32)로 되돌아가서, 메뉴, 코오스, 타이머의 설정을 접수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먼저 코오스를 설정하고나서, 메뉴를 변경하면, 그 변경후의 메뉴에 맞추어진 코오스가 정확하게 선택되도록, 먼저 선택하고 있던 코오스가 초기화되는 것이다. 또 타이머시간에 있어서도, 메뉴, 코오스에 맞추어진 타이머시간이 정확하게 선택되도록, 메뉴, 코오스의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 먼저 설정하고 있던 타이머시간이 초기화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빵의 종류인 메뉴와, 빵의 제조방법인 코오스를 구별해서 입력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빵에 대응한 코오스가 입력되도록, 메뉴, 코오스, 타이머의 순서로 입력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생각하는 대로의 제빵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제3도 및 제4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서 그 설정을 생략한다. (3)는 메뉴, 코오스를 선택해서 입력하는 선택수단이다. (45)는 식빵, 불란서빵등의 메뉴마다 실온이 높을때, 혹은 낮을때에 대응한 복수개의 제빵공정을 기억하고 있는 기억수단이다. (44)는 제빵공정판정수단으로서, 이 제빵공정판정수단(44)는, 실온검지수단(43)의 출력을 받아서, 실온의 소정온도 ε이상이면, 제4(a)도에 도시한 발효시간이 짧은 제빵공정(고온프로세스)를 선택하고, 한편, 소정온도 ε미만이면, 제4(b)도에 도시한 발효시간이 긴 제빵공정(저온프로세스)를 선택하여, 기억수단(4)에 지시하는 것이다.
제4(c)도는 상기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제빵공정중에서 가장 그때의 제빵에 적합한 제빵공정을 결정할 때에는, 실온을 판정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빵재료의 온도 불일치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된 제빵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빵공정판정수단(44)가 실온검지수단(43)과 용기온도검지수단(2)와의 양쪽의 신호를 받도록 하고 있는 제3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빵공정판정수단(44)는, 실온검지수단(43)과, 용기온도검지수단(2)의 출력을 받아서, 실온이 소정온도 ε이상이고, 또한 용기온도가 소정온도 θ이상이면, 제6(a)도에 도시한 발효시간이 짧은 제빵공정(고온프로세스)를 선택하고, 또 실온이 ε미만이고, 또한 용기온도가 θ미만이면, 제6(c)도에 도시한 발효시간이 긴 제빵공정(저온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그리고, 실온이 ε이상이고, 또한 용기온도가 θ미만, 또는 실온이 ε미만이고 또한 용기온도가 θ이상일때에는, 제6(b)도에 도시한, 저온프로세스와 고온프로세스의 중간의 중온프로세스를 선택해, 기억수단(45)에 지시하는 것이다.
제6(e)는 상기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우차아트이다.
이 구성에서는, 실온과 용기온도, 즉 빵반죽온도의 양쪽을 판정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조건하에서도, 항상 안정된 제빵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제7도 및 제8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빵공정판정수단(44)가 타이머입력수단(5)의 출력을 받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빵공정판정수단(44)는, 상기 타이머입력수단(5)의 출력을 받아서, 타이머시간이 9시간 이상의 경우는, 제8(a)도에 도시한 발효시간이 짧은 제빵공정을 선택하고, 한편 9시간미만의 경우는, 제8(b)도에 도시한 발효공정이 긴 제빵공정을 선택하여, 기억수단(45)에 지시하는 것이다.
제8(c)도는 상기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우차아트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타이머를 설정할 때의 타이머시간에 의해서 제빵공정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의 타이머에 의한 재우기 공정중에 빵반죽의 온도가 상승하였다고해도 이 경우는, 발효공정이 짧기 때문에 과발효하는 일도 없고, 안정된 품질의 제빵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제9도 및 제10도에 의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빵공정기억수단(46)과 케이크소성(燒成)공정기억수단(47)을 가지고 있다.
제10(a)도,제10(b)도는 제빵공정과, 케이크소성공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빵에 있어서는 반죽공정, 발효공정을 거쳐서부터 소성공정으로 이행하고, 한편, 케이크에 있어서는, 반죽이나 발효를 행하지 않고, 소성공정만으로 되게, 제9도의 제어수단(12)에 의해서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제빵을 즐길 수 있는 동시에, 동일한 제빵기를 사용해서 케이크를 구어낼 수 있기 때문에, 케이크만들기에 필요한 오븐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또한 어려운 온도설정도 필요로하지 않고, 케이크만들기를 즐길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를 제11도 및 제12도에 의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5도의 실시예에 케이크소성시간기억수단(48)을 추가하고 있다. 이 케이크소성시간기억수단(48)은 선택수단(3)에 의해서 케이크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기억하고 있는 초기설정시간 30분을 케이크소성공정기억수단(4)에 출력하고, 한편, 타이머입력수단(5)에 의해서 케이크의 소성시간이 새로히 입력된 경우에는 그 시간을 기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초기설정시간 30분은, 제빵기에 있어서 소정량의 케이크를 구어내는데 최적한 시간이다. 그리고 제12도에 도시한 케이크소성공정도의 온도와 시간의 관계에 의해서, 케이크의 구어내기가 행하여지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어려운 온도설정과 시간설정도 필요로 하지 않고, 케이크 만들기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에를 제13도 및 제14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빵수단(1)중, 빵용기가 정확하게 빵제조기내의 수용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지하는 용기검지수단(49)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용기검지수단(49)에 의해서 검지된 내용은 표시수단(13)에 의해서 표시된다.
이 표시수단(13)은, 조리개시시, 혹은 조리중에 용기검지수단(49)에 의해서 용기가 빵제조기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지하면, 빵메뉴시에는, 제1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빵 케이스 없음"을 표시하고, 한편, 케이크메뉴시에는, 제1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없음"을 표시하며, 그리고 통상은, 조리메뉴와, 제빵공정과, 조리잔여시간을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빵메뉴시에는 "빵케이스 없음", 케이크메뉴시에는 "케이크 없음"이라는 표시가 나오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오사용을 해서 그와같은 표시가 나왔을 때에도, 쓸데없는 혼란을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를 제15도∼제17도에 의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5의 실시예에 케이크덧구이수단(50)을 설치하고 있다. 이 케이크덧구이수단(50)은 케이크를 한번 구운뒤, 충분히 불이 통하지 않아 설구어졌을때에, 온도검지수단(2)의 검지온도가 소정온도 θ2이상이면, 가열공정을 행하지 않고 소정온도 θ1에 있어서의 온도조절공정에서부터 재차 케이크의 소성을 개시하게 되는 것이다.
제16(a)도는 1단(step)의 케이크소성공정, 제16(b)도는 되풀이해서 케이크를 굽는 덧구이를 행하였을 경우의 케이크의 소성공정을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크를 굽는 경우, 제1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공정에서, 소정의 온도 θ1까지 단숨에 가열한 후, 온도조절공정에서 θ1을 유지하여, 케이크를 구어낸다.
그리고, 타이머입력수단(5)에 의해서 설정한 시간에서 케이크가 아직 충분히 구어져 있지 않는 경우에는, 선택수단(3)에 의해서, 한번더 케이크를 선택하여 스타아트수단(11)에 의해서 케이크의 소성을 개시한다. 이때, 제1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검지수단(2)의 출력이 소정의 θ2이상이면, 가열공정에서 온도를 올리는 것을 생략하고, 온도조절공정에서부터 케이크의 소성을 개시하여, 케이크를 충분히 구어내는 것이다.
제17도는 상기 제8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아트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한번 케이크를 구어냈는데도 불구하고, 케이크반죽이 설구어졌을때에도, 케이크소성에 최적한 온도로 온도조절하면서 적당한 정도의 소성상태까지 구어낼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제8의 실시예에 덧구이시간한정수단을 설치한 제9의 실시예를 제18도 및 제19도에 의해 설명한다. 덧구이시간한정수단(51)은 케이크소성종료시점에서부터 다음에 케이크의 소성을 개시할때까지의 사이의 소정온도 θ2이하가 되기 전에, 연속해서 케이크를 구웠을때, 그 케이크소정시간의 합계가 소정시간 T0을 넘지 않도록 하고, 만약 소정시간이 T0을 초과해서 소성시간을 설정하려해도 이것을 금지시키는 것이다.
제19도는 반복해서 케이크를 굽는 덧구이를 행하였을 경우의 케이크의 소성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케이크를 굽는 경우, 먼저 가열공정에서 θ1까지 가열한 후, 온도조절공정에서 θ1을 유지해서 케이크를 구어낸다. 시간 T1만큼 케이크를 소성해도 케이크가 구어져 있지 않는 경우, 계속해서 덧구이 제1회째를 행한다. 이 경우, 전회의 소성이 종료해서부터 다음에 개시할때까지의 사이에 온도검지수단(2)에 의한 검지온도가 θ2이상이라야 할 필요가 있다.
1회째의 소성이 종료한 후의 덧구리 1회째의 시간설정은, 덧구이시간한정수단(51)에 의해서 T0-T1이내로 한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덧구이 2회째때에도, 덧구이 2회째의 소성시간 T3은 T0-(T1+T2)이내라야 하는 것이 조건이다.
이와 같이, 시간 T0이내면, 케이크의 구이상태가 적당한 정도로 될때까지 몇번이라도 온도 T1에서의 온도 조절만으로의 소성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한번 케이크를 구어냈는데도 불구하고, 케이크반죽이 충분히 구어지지 않을 때에도, 케이크소성에 최적한 온도로 온도조절하면서 적당한 정도의 소성상태까지 구어낼 수 있는 동시에, 장시간 구우므로서, 제빵기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반복케이크를 구울때의 합계시간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빵제조기는, 빵의 종류인 메뉴를 입력하는 메뉴입력수단과, 빵의 제조방법인 코오스를 입력하는 코오스입력수단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메뉴와 코오스를 혼동해서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메뉴, 코오스, 타이머의 순으로 입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메뉴와 코오스에 맞추어진 타이머시간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 실온에 따라서 적절한 발효공정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제빵공정을 결정하기 때문에, 실온에 관계없이 안정된 빵제조를 행할 수 있다.
또, 실온 및 용기온도에 따라서 적절한 발효공정시간이 설정된 제빵공정을 결정하기 때문에, 항상 안정된 빵제조를 행할 수 있다.
또, 타이머시간에 따라서 적절한 발효공정시간이 설정된 제빵공정을 결정하기 때문에, 재우기공정중에 빵반죽기의 온도가 상승해도 안정된 품질의 빵제조를 행할 수 있다.
또, 메뉴입력수단에 의해 빵메뉴와 케이크소성공정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빵이외에 케이크의 구어내기도 할 수 있다.
또, 용기가 빵제조기내에 세트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빵메뉴설정시와 케이크 메뉴설정시에서 그 "용기없음"표시를 달리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알기 쉽게 "용기없음"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 재차 케이크소성을 스타아트시키는 케이크덧구이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크반죽이 설구워졌을 경우에도 적당한 정도의 구어내기가 가능하다.
또, 케이크덧구이수단에 의한 덧구이시간이 소정시간이상으로되면 케이크의 소성을 금지하는 덧구이시간 한정수단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덧구이에 의한 빵제조기의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빵재료를 수납하는 용기와 이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빵재료를 혼합 반죽하는 혼합반죽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빵수단과, 상기 용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용기온도검지수단과, 식빵, 불란서빵등의 빵종류인 메뉴를 입력하는 메뉴입력수단과, 빵반죽만들기에서부터 빵구이완성까지의 빵의 제조방법인 코오스를 입력하는 코오스입력수단과, 운전종료시간을 입력하는 타이머입력수단과, 상기 메뉴입력수단, 코오스입력수단, 타이머입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 및 상기 용기온도검지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제빵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빵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메뉴입력수단의 출력을 기억하는 메뉴기억수단과, 코오스입력수단의 출력을 기억하는 코오스기억수단과, 타이머입력수단의 출력을 기억하는 타이머기억수단과, 메뉴입력수단의 출력을 받아서 상기 코오스기억수단의 내용을 초기화하는 코오스초기화수단과, 메뉴입력수단과 코오스입력수단과의 출력을 받아서 상기 타이머기억수단의 내용을 초기화하는 타이머초기화수단을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상기 메뉴기억수단, 코오스 기억수단, 타이머기억수단의 출력 및 용기온도검지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제빵수단을 제어하는 빵제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실온검지수단의 출력을 받아서 발효공정시간을 다르게한 복수개의 제빵공정중을 결정하는 제빵공정판정수단을 설치한 빵제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실온검지수단과 용기온도검지수단과의 출력을 받아서 발효공정시간을 다르게한 제빵 공정중을 결정하는 제빵공정판정수단을 설치한 빵제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타이머입력수단의 타이머시간에 의해 제빵공정중의 발효공정시간을 결정하는 제빵공정판정수단을 설치한 빵제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메뉴입력수단에 의해, 식빵, 불란서빵등의 빵의 종류에 따른 복수개의 제빵공정과, 케이크를 구어내는 케이크소성공정을 선택하는 빵제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케이크소성공정의 시간을 미리 기억하는 케이크소성공정시간기억수단을 설치한 빵제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제빵기내에 수용되는 용기의 유무를 검지하는 용기검지수단과 이 용기검지수단의 출력을 받아서 용기의 수용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제빵공정이 선택되고 또한 용기없는 경우에 "빵케이스 없음"을 표시하고, 케이크소성공정이 선택되고 또한 용기없는 경우에 "케이스 없음"을 표시하는 빵제조기.
  9. 제7항에 있어서, 케이크를 구어내는 공정을 기억하는 케이크소성공정기억수단과, 케이크소성종료후, 용기온도검지수단의 출력에 의한 온도가 소정온도이상일때, 다시 계속해서 케이크의 소성을 행하면, 상기 케이크소성공정기억수단의 출력을 받아서 기억된 케이크소성공정중 온도조절공정에서부터 케이크의 소성을 개시하는 케이크덧구이수단을 구비한 빵제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케이크덧구이수단에 의한 케이크덧구이시간이 소정시간이상으로되면 케이크의 소성을 금지하는 덧구이시간한정수단을 설치한 빵제조기.
KR1019890013552A 1988-09-20 1989-09-20 빵제조기 KR930004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5204 1988-09-20
JP63235229A JP2621415B2 (ja) 1988-09-20 1988-09-20 自動製パン機
JP63-235205 1988-09-20
JP63235228A JP2558835B2 (ja) 1988-09-20 1988-09-20 製パン機
JP63235206A JP2548330B2 (ja) 1988-09-20 1988-09-20 製パン機
JP235206 1988-09-20
JP63235208A JP2558834B2 (ja) 1988-09-20 1988-09-20 製パン機
JP63-235207 1988-09-20
JP235203 1988-09-20
JP235208 1988-09-20
JP63-235206 1988-09-20
JP235201 1988-09-20
JP63-235228 1988-09-20
JP63-235201 1988-09-20
JP63235205A JP2548329B2 (ja) 1988-09-20 1988-09-20 製パン機
JP235228 1988-09-20
JP63235201A JP2548325B2 (ja) 1988-09-20 1988-09-20 製パン機
JP63-235203 1988-09-20
JP63235203A JP2548327B2 (ja) 1988-09-20 1988-09-20 製パン機
JP63235207A JP2558833B2 (ja) 1988-09-20 1988-09-20 製パン機
JP63-235208 1988-09-20
JP235207 1988-09-20
JP63235204A JP2548328B2 (ja) 1988-09-20 1988-09-20 製パン機
JP63-235229 1988-09-20
JP63-235204 1988-09-20
JP235229 1988-09-20
JP235205 1988-09-20
JP63-236932 1988-09-21
JP236932 1988-09-21
JP63236932A JP2568644B2 (ja) 1988-09-21 1988-09-21 製パン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303A KR900004303A (ko) 1990-04-12
KR930004182B1 true KR930004182B1 (ko) 1993-05-21

Family

ID=6766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552A KR930004182B1 (ko) 1988-09-20 1989-09-20 빵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320B1 (ko) * 2002-09-03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스터 겸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303A (ko) 199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020A (en) Automatic bread maker
KR900004809B1 (ko) 자동 제빵기
US5722314A (en) Automatic bread producing machine
US5934177A (en) Automatic bread maker
AU748060B2 (en) Automatic bread maker
KR930004182B1 (ko) 빵제조기
JP4667104B2 (ja) 自動製パン器
US5528979A (en) Bread baking device
JP2548327B2 (ja) 製パン機
US5860355A (en) Automatic bread maker
JP2558834B2 (ja) 製パン機
JP2568644B2 (ja) 製パン機
JP2558835B2 (ja) 製パン機
JP2650336B2 (ja) 製パン機
JP4383233B2 (ja) 自動製パン器
JP2548325B2 (ja) 製パン機
JP3422116B2 (ja) 自動製パン機
JP2548328B2 (ja) 製パン機
CA2184029C (en) Method for extending a dough rise period
KR0140107B1 (ko) 제빵기의 표시장치
US20070227365A1 (en) Dual Temperature Pizza Oven
JP2650335B2 (ja) 製パン機
JP2548330B2 (ja) 製パン機
JP3211603B2 (ja) 自動製パン機
JP2517016B2 (ja) 製パ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