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130A - 차량 조종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조종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130A
KR930004130A KR1019920012926A KR920012926A KR930004130A KR 930004130 A KR930004130 A KR 930004130A KR 1019920012926 A KR1019920012926 A KR 1019920012926A KR 920012926 A KR920012926 A KR 920012926A KR 930004130 A KR930004130 A KR 930004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operated
detection signal
motor
control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에디
잭크스 뮐러
래미 호해너
마크 후래너
클라우드 배로우드
Original Assignee
에쓰 엠 에이 취 메나즈먼트 써비시스 아크티 엔게젤 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쓰 엠 에이 취 메나즈먼트 써비시스 아크티 엔게젤 샤프트 filed Critical 에쓰 엠 에이 취 메나즈먼트 써비시스 아크티 엔게젤 샤프트
Publication of KR930004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 B62D5/005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means for generating torque on steering wheel or input member, e.g. feedback
    • B62D5/006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means for generating torque on steering wheel or input member, e.g. feedback power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Air Bags (AREA)
  • Toys (AREA)
  • Handcart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 조종 제어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발명에 따른 조종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개략적 부분적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차량의 개략적 부분적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차량 조종 제어장치의 개략적 도면.

Claims (13)

  1. 차량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회동축(1a, 2a)에 관해 각적으로 움직이는 최소한 하나의 조종바퀴(1, 2)를 갖는 차량 조종을 제어한느 장치에서 장치는 차량을 조종하도록 차량 운전자가 손으로 작동하는 제어수단(11 ; 34 ; 34, 35)와 제어수단 위치에 회동축(1a, 2a)에 관해 바퀴(1, 2)의 각 위치를 슬레이브하는 제어수단(11 ; 34, 34, 35)와 바퀴(1, 2)에 연결도니 슬레이빙 수단을 구성 하고 제어수단(11 ; 34, 34, 35)가 제1평면에서 움직이는 최소한 하나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11 ; 34)의 위치에 바퀴(1, 2)의 각 위치를 슬레이브 하도록 배열되는 특징이 있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평면이 차량의 세로축에 수직이고 슬레이빙 수단이 바퀴(1, 2)로 하여금 언급한 평면에서 제1방향으로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11 ; 34)의 변위에 반응하여 제1방향으로 회동하게하고 언급한 평면에서 제2방향으로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11 ; 34)의 변위에 반응하여 제2방향으로 회동하게 배열되는 특징이 있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슬레이빙 수단이 제1과 제2방향 각각에서 바퀴(1, 2)의 회동에 반응하여 제1과 제2방향으로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를 유발하도록 배열되는 특징이 있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제어신호(U64)에 반응하여 제1모터(51)에 의해 평면내에서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를 유발하는 제1모터(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7)과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1모터(51), 제1제어신호(U64)의 값에 의존하는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이 방향과 진폭; -평면내에서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검출신호(U1)을 만들도록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제1위치 검출기(52); -제2제어신호(U66)에 반응하여 제2모터(7)에 의해 바퀴(1, 2)의 회동을 유발하도록 제2모터(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9)와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모터(7), 제2제어신호(U66)의 값에 의존하는 바퀴(1, 2)의 회동 방향과 진폭; -바퀴(1, 2)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제2검출신호(U3)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위치 검출기(55); -제1검출신호(U1)과 제2검출신호(U3) 사이의 차와 같은 값을 갖는 제2제어신호(U66)을 만들고 제1검출신호(U1)과 제2검출신호(U3) 사이의 차와 같은 값을 갖는 제어신호(U64)를 만드는 계산수단(61, 63, 64, 66)을 슬레이빙 수단이 구성하는 특징이 있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슬레이빙 수단이; -제1제어신호(U64)에 반응하여 제1모터(51)에 의해 평면내에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를 유발하는 제1모터(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7)과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1모터(51), 제1제어신호(U64)의 값에 의존하는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 방향과 진폭; -평면내에서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검출신호(U1)을 만들도록 손으로 작동하는 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제1위치 검출기(52); -제2제어신호(U66)에 반응하여 제2모터(7)에 의해 바퀴(1, 2)의 회동을 유발하도록 제2모터(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9)와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모터(7), 제2제어신호(U66)의 값에 의존하는 바퀴(1, 2)의 회동방향과, 진폭; -바퀴(1, 2)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제2검출신호(U3)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위치 검출기(55); -손으로 작동되는 제너스틱(34)에 가해진 힘을 나타내는 제3검출신호(U71)을 만들도록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연결된 제1감지기(71); -바퀴(1, 2)에 가해진 회동 토오크를 나타내는 제4의 검출신호(U73)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연결된 제2감지기(73); -제3검출신호(U71)과 제4검출신호(U73)의 제1검출신호(U1)과 제2검출신호(U3) 사이의 차이의 합과 같은 값을 갖는 제2제어 신호(U74)를 만들고 제1검출신호(U1)과 제2검출신호(U3) 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1제어신호(U64)를 만드는 계산수단(61, 63, 64, 66, 74)를 구성하는 특징이 있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슬레이빙 수단이; -제1제어신호(U64)에 반응하여 제1모터(51)에 의해 평면내에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를 유발하는 제1모터(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7)과 손으로 작동되는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1모터(51), 제1제어신호(U64)의 값에 의존하는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 방향과 진폭; -평면내에서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검출신호(U1)을 만들도록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제1위치 검출기(52); -제2제어신호(U66)에 반응하여 제2모터(7)에 의해 바퀴(1, 2)의 회동을 유발하도록 제2모터(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9)와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모터(7), 제2제어신호(U66)의 값에 의존하는 바퀴(1, 2)의 회동방향과 진폭; -바퀴(1, 2)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제2검출신호(U3)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위치 검출기(55);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가해진 힘을 나타내는 제3검출신호(U71)을 만들도록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연결된 제1감지기(71); -바퀴(1, 2)에 가해진 회동 토오크를 나타내는 제4의 검출신호(U73)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연결된 제2감지기(73); -제2검출신호(U3)와 제1검출신호(U1) 사이의 차와 같은 값을 갖는 제2제어신호 (U74)를 만들고 제4검출신호(U73)과 제3검출신호(U71)의 제1검출신호(U1)과 제2검출신호(U3) 사이의 차의 합과 같은 값을 갖는 제1제어신호(U64)를 만드는 계산 수단(61, 63, 64, 66, 74)를 구성하는 특징이 있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제1평면에 최소한 평행한 제2평면에서 움직이는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를 구성하고 제1과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 35)가 제1과 제2평면내의 제1과 제2방향으로 손으로 움직이게 하느 운전자의 반대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슬레이빙 수단이 제2방향으로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와 제2방향으로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에 반응하여 제2방향으로 바퀴(1, 2)의 회동을 유발하도록 배열되는 특징이 있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슬레이빙 수단이 다른방향이나 같은 진폭으로 다른 손으로 작동되는 다른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 35)의 변위를 유발하도록 제1과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 35)의 하나의 변위에 반응하는 수단을 구성하는 특징이 있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슬레이빙 수단이 제1방향으로 제2의 손으로 작동하는 제어스틱(35)와 제2방향으로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를 유발하도록 제2방향으로의 바퀴(1, 2)의 각 변위에 반응하고 제2방향으로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와 제1방향으로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를 유발하도록 제1방향으로의 바퀴(1, 2)의 각 변위에 반응하는 수단을 구성하는 특징이 있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슬레이빙 수단이; -제1제어신호(U64)에 반응하여 제1모터(51)에 의해 평면내에서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를 유발하는 제1머터(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7)과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기게적으로 연결된 제1모터(51), 제1제어신호(U64)의 값에 의존하는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 방향과 진폭; -평면내에서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검출신호(U1)을 만들도록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제1위치 검출기(52); -제2제어신호(U65)에 반응하여 제2모터(51)에 의해 제2평면으로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변위가 생기도록 제2모터(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8)과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모터(53), 제2제어신호(U65)의 값에 의존하는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변위 방향과 진폭; -제2평면에서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검출신호(U2)를 만들도록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위치 검출기(54); -제3제어신호(U66)에 반응하여 제2모터(U66)에 의해 바퀴(1, 2)의 회동을 유발하돌고 제3모터(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9)와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3모터(7), 제3제어 신호(U66)의 값에 의존하는 바퀴(1, 2)의 회동방향과 진폭; -바퀴(1, 2)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제3검출신호(3)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3위치 검출기(55); -한편으로 제2검출신호(U2)와 제3검출신호(U3)의 합과 다른 한편으로 제1검출신호(U1)의 두배 사이의 차이가 같은 값을 갖는 제1제어신호(U64); -한편으로 제1검출신호(U1)과 제3검출신호(U3)의 합과 다른 한편으로 제2검출신호(U2)의 두배 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2제어신호(U65); -한편으로 제1검출신호(U1)과 제2검출신호의 합과 다른 한편으로 제3검출신호(U3)의 두배 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3제어신호(U66)을 만드는 계산수단(61에서 66)을 구성하는 특징이 있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슬레이빙 수단이; -제1제어신호(U64)에 반응하여 제1모터(51)에 의해 평면내에서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를 유발하는 제1모터(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7)과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연결도니 제1모터(51), 제1제어신호(U64)의 값에 의존하는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 방향과 진폭; -평면내에서 손으로 작동이되는 제어스틱(3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검출신호(U1)을 만들도록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 스틱(34)에 기계적으로 제1위치 검출기(52); -제2제어신호(U56)에 반응하여 제2모터(51)에 의해 제2평면으로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변위가 생기도록 제2모터(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8)과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모터(53), 제2제어신호(U65)의 값에 의존하는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변위 방향과 진폭; -제2평면에서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위치를 나타내느 제2검출신호(U2)를 만들도록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우치 검출기(54); -제3제어신호(U66)에 반응하여 제3모터(U66)에 의해 바퀴(1, 2)의 회동을 유발하도록 제3모터(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9)와 바퀴(1, 2)에 기게적으로 연결된 제3모터(7), 제3제어신호(U66)의 값에 의존하는 바퀴(1, 2)의 회동방향과 진폭; -바퀴(1, 2)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제3검출신호(U3)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3우치 검출기(55);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가해진 힘을 나타내는 제4의 검출신호(U71)을 만들도록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연결된 제1감지기(71);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연결된 제2감지기(72); -바퀴(1, 2)에 가해진 회동토오크를 나타내는 제6의 검출신호(U73)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연결된 제3감지기(73); -한편으로 제2검출신호(U2)와 제3검출신호(U3)의 합과 다른 한편으로 제1검출신호(U1)의 두배 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1제어신호(U64); -한편으로 제1검출신호(U1)과 제3검출신호(U3)의 합과 다른 한편으로 제2검출신호(U2)의 두배 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2제어신호(U65); -한편으로 제1(U1), 제2(U2), 제4(U71), 제5(U72)와 제6(U73)검출신호의 합과 다른 한편으로 제3검출신호(U3)의 두배 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3제어신호(U66)을 만드는 계산수단(61에서 66)을 구성하는 특징이 있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슬레이빙 수단이; -제1제어신호(U64)에 반응하여 제1모터(51)에 의해 평면내에서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느 제어스틱(34)의 변위를 유발하는 제1모터(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7)과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1모터(51), 제1제어신호(U64)의 값에 의존하는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 방향과 진폭; -평면내에서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검출신호(U1)을 만들도록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제1위치 검출기(52); -제2제어신호(U65)에 반응하여 제2모터(51)에 의해 제2평면으로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변위가 생기도록 제2모터(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8)과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변위가 생기도록 제2모터(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8)과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모터(53), 제2제어신호(U65)의 값에 의존하는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변위 방향과 진폭; -제2평면에서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검출신호(U2)를 만들도록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위치 검출기(54); -제3제어신호(U66)에 반응하여 제3모터(U66)에 의해 바퀴(1, 2)의 회동을 유발하도록 제3모터(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9)와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도니 제3모터(7), 제3제어신호(U66)의 값에 의존하는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3위치 검출기(55);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가해진 힘을 나타내는 제4의 검출신호(U71)을 만들도록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연결도니 제1감지기(71);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가해진 힘을 나타내는 제5의 검출신호(U72)를 만들도록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연결된 제2감지기(72); -바퀴(1, 2)에 가해진 회동토오크를 나타내는 제6의 검출신호(U73)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연결된 제3감지기(73); -한편으로 제2(U2), 제3(U3), 제4(U71), 제5(U72)와 제6(U73)검출신호의 합과 다른 한편으로 제1검출신호(U1)의 두배 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1제어 신호(U64); -한편으로 제1검출신호(U1)과 제3검출신호(U3)의 합과 다른 한편으로 제2검출신호(U2)의 두배 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2제어신호(U65); -한편으로 제1(U1)과 제2(U2) 검출신호의 함과 다른 한편으로 제3검출신호(U3)의 두배 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3제어신호(U66)을 만드는 계산수단(61에서 66)을 구성한는 특징이 있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슬레이빙 수단이; -제1제어신호(U64)에 반응하여 제1모터(51)에 의해 평면내에서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를 유발하는 제1모터(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7)과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1모터(51), 제1제어신호(U64)의 값에 의존하는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변위 방향과 진폭; -평면내에서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검출신호(U1)을 만들도록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기계적으로 제1위치 검출기(52); -제2제신호(U65)에 반응하여 제2모터(51)에 의해 제2평면으로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변위가 생기도록 제2모터(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8)과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모터(53), 제2제어신호(U65)의 값에 의존하는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변위 방향과 진폭; -제2평면에서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검출신호(U2)를 만들도록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위치 검출기(54); -제3제어신호(U66)에 이해 바퀴(1, 2)의 회동을 유발하도록 제3모터(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단(69)와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3모터(7), 제3제어신호(U66)의 값에 의존하는 바퀴(1, 2)의 회동방향과 진폭; -바퀴(1, 2)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제3검출신호(U3)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3위치 검출기(55)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3위치 검출기(55);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가해진 힘을 나타내는 제4의 검출신호(U71)을 만들도록 제1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4)에 연결된 제1감지기(71); -제2의 손으로 작동하는 제어스틱(35)에 가해진 힘을 나타내는 제5의 검출신호(U72)를 만들도록 제2의 손으로 작동되는 제어스틱(35)에 연결된 제2감지기(72); -바퀴(1, 2)에 가해진 회동토오크를 나타내는 제6의 검출신호(U73)를 만들도록 바퀴(1, 2)에 연결된 제3감지기(73); -한편으로 제2검출신호(U2)와 제3검출신호(U3)의 합과 다른 한편으로 제1검출신호(U1)의 두배 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1제어신호(U64); -한편으로 제1(U1), 제3(U3), 제4(U71), 제5(U72)와 제6(U73) 검출신호의 합과 다른 한편으로 제2검출시호(U2)의 두배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2제어신호(U65); -한편으로 제1(U1)과 제2(U2) 검출신호의 합과 다른 한편으로 제3검출신호(U3)의 두배 사이의 차이와 같은 값을 갖는 제3제어신호(U66)을 만드는 계산수단(61에서 66)을 구성하는 특징이 있는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12926A 1991-08-02 1992-07-21 차량 조종 제어장치 KR930004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109986A FR2679858A1 (fr) 1991-08-02 1991-08-02 Dispositif de commande de direction d'un vehicule.
FR91-09986 1991-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130A true KR930004130A (ko) 1993-03-22

Family

ID=941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926A KR930004130A (ko) 1991-08-02 1992-07-21 차량 조종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0525817B1 (ko)
JP (1) JPH0624253A (ko)
KR (1) KR930004130A (ko)
CN (1) CN1069457A (ko)
AT (1) ATE129469T1 (ko)
AU (1) AU2075692A (ko)
BR (1) BR9202990A (ko)
CA (1) CA2074593A1 (ko)
CZ (1) CZ240092A3 (ko)
DE (1) DE69205641T2 (ko)
FR (1) FR2679858A1 (ko)
HU (1) HUT61936A (ko)
IL (1) IL102471A0 (ko)
PL (1) PL295482A1 (ko)
TW (1) TW209195B (ko)
ZA (1) ZA925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8717C1 (de) * 1995-12-23 1997-05-07 Daimler Benz Ag Bedienelementanordnung zur Steuerung der Längsbewegung und/oder der Querbewegung eines Kraftfahrzeuges
DE19621023C1 (de) * 1996-05-24 1997-09-18 Daimler Benz Ag Steuerhebelanordnung in Kraftfahrzeugen
DE19625496C2 (de) * 1996-06-26 1999-10-07 Daimler Chrysler Ag Bedienelementanordnung zur Steuerung wenigstens der Längsbewegung eines Kraftfahrzeuges
DE19713245C2 (de) * 1997-03-29 2001-02-15 Mercedes Benz Lenkungen Gmbh Kraftfahrzeug mit zumindest einem über wenigstens einen Bedienhebel in Form eines sogenannten Side-stick steuerbaren Teil
DE19739104C2 (de) * 1997-09-06 2000-12-21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Lenkvorrichtung mit Meßwertgeber
DE19820922A1 (de) * 1998-05-09 1999-11-1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eine Markierung aufweisenden Bildschirmanzeige in einem Fahrzeug
DE19839351C2 (de) * 1998-08-28 2000-07-13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m Lenken eines Kraftfahrzeuges mit wenigstens 2 Stellteilen
DE19951379C2 (de) * 1999-10-26 2001-12-13 Jungheinrich Ag Handbetätigtes Lenkorgan für ein Flurförderzeug
DE19956870B4 (de) * 1999-11-26 2005-05-12 Jungheinrich Ag Handbetätigtes Lenkorgan für Fahrzeuge
JP4681328B2 (ja) * 2005-03-17 2011-05-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バイワイヤシステム
CN101323315B (zh) * 2008-06-10 2010-10-13 姚秀全 一种汽车电子转向器
GB2464413B (en) * 2010-01-05 2014-07-02 Protean Electric Ltd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N104554148B (zh) * 2014-12-26 2017-08-01 芜湖市汽车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车载操纵杆驾驶车辆的方法
JP6575017B2 (ja) * 2017-10-05 2019-09-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舵装置
JP6590285B2 (ja) * 2017-10-05 2019-10-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95795A (fr) * 1966-09-26 1967-09-22 Commande de direction pour véhicules automobiles
DE7217675U (de) * 1972-05-10 1973-08-23 Opel A Ag Lenkvorrichtung fuer kraftfahrzeuge
US4920820A (en) * 1985-10-15 1990-05-01 Hyster Company Vehicle steering control
SE8702201D0 (sv) * 1987-05-26 1987-05-26 Saab Scania Ab Bilstyrdon
WO1991006903A1 (en) * 1989-11-02 1991-05-16 Caterpillar Inc. Steering and transmission shifting control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75692A (en) 1993-02-04
EP0525817A1 (fr) 1993-02-03
CZ240092A3 (en) 1993-02-17
PL295482A1 (ko) 1993-02-08
IL102471A0 (en) 1993-01-14
DE69205641T2 (de) 1996-05-30
EP0525817B1 (fr) 1995-10-25
TW209195B (ko) 1993-07-11
ATE129469T1 (de) 1995-11-15
JPH0624253A (ja) 1994-02-01
DE69205641D1 (de) 1995-11-30
ZA925443B (en) 1993-04-28
HUT61936A (en) 1993-03-29
CA2074593A1 (en) 1993-02-03
BR9202990A (pt) 1993-03-30
FR2679858A1 (fr) 1993-02-05
HU9202403D0 (en) 1992-12-28
CN1069457A (zh) 199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130A (ko) 차량 조종 제어장치
US6799654B2 (en) Hand wheel actuator
US5261291A (en) Ergonomi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GB2290511A (en) Vehicle steering system with both hydraulic and electric motors
BR0105254A (pt) Sistema de direção hidráulica
JPH0541466B2 (ko)
JP3669594B2 (ja) 模擬操作力発生装置
JP5976318B2 (ja) 自動車のためのパワーアシスト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S5490726A (en) Straight motion assisting device for construction vehicle
KR19980701602A (ko) 차량 조향용 모터 피동 장치(a motor-driven system for steering a vehicle)
KR101878939B1 (ko) 차량 능동전륜조향장치 및 제어방법
JP3669593B2 (ja) 模擬操作力制御装置
JPH04176781A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0201902B1 (ko) 자동차 휠 조타상태 표시장치
JPS63301173A (ja) 電気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JPS61220974A (ja) 車輌の前後輪操舵装置
JP3612359B2 (ja) 模擬運転装置用操縦装置
JP4486158B1 (ja) 操舵装置
KR960022073A (ko)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 장치
GB2359794A (en) Electric power-assisted steering
KR0115618Y1 (ko) 4륜자동차용 조향작동기의 귀환장치
Switkes et al. Using MEMS accelerometers to improve automobile handwheel state estimation for force feedback
KR100231575B1 (ko) 전자제어 조향장치
JP4910985B2 (ja) 車両制御装置
JPH05131937A (ja) 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