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062Y1 - 트레일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일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062Y1
KR200211062Y1 KR2019970030136U KR19970030136U KR200211062Y1 KR 200211062 Y1 KR200211062 Y1 KR 200211062Y1 KR 2019970030136 U KR2019970030136 U KR 2019970030136U KR 19970030136 U KR19970030136 U KR 19970030136U KR 200211062 Y1 KR200211062 Y1 KR 200211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driving
steering
centrifugal forc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682U (ko
Inventor
윤웅남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0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06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6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6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3/00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주행시 회전반경의 최소화 및 사고예방 등을 위해 조향제어가 가능한 트레일러 구동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구동장치에는 주행시 트레일러(200)의 운전조건예컨대 트레일러(200) 후미의 원심력을 감지하는 원심력감지센서(220)와, 트레일러(200)의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센서(230)와, 앞바퀴 속도센서(120)와, 조향핸들 회전각센서(130)를 포함하는 감지요소와; 이 감지요소의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콘트롤유니트(110)와; 엔진콘트롤유니트(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210)와; 구동모터(210)의 동력으로 트레일러(200)를 조향제어하는 조향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조향수단은 구동모터(21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섹터기어레버(241)(242)와, 그 중심에 섹터기어레버(241)(242)와 연결되고 양단부에 트레일러(200)의 뒷바퀴(251)(252)와 연결되는 이동축(245)을 구비하여서, 섹터기어레버(241)(242)가 회전될 때 이동축(245)이 연동되어서 뒷바퀴(251)(252)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트레일러 구동장치는 주행중 트레일러의 속도 및 원심력을 감지하여 조향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회전시 회전반경을 최소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러짐에 대한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트레일러 구동장치
본 고안은 트랙터에 견인되는 트레일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트레일러도 조향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트레일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에 견인되는 트레일러는 비교적 긴 축간거리를 가진다. 이러한 트레일러는 통상 조향제어가능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트랙터 앞바퀴와 트레일러 뒷바퀴의 궤적 차이가 크게되고 회전반경이 크다.
따라서 회전시 트레일러 뒷부분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고속 주행시 빗길등 노면상태에 따라 트레일러 뒷바퀴가 미끄러지게 됨에도 불구하고 조향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사고위험이 높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주행시 회전반경의 최소화 및 사고예방 등을 위해 조향제어가 가능한 트레일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 트레일러 구동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트랙터 110...엔진콘트롤유니트
120...앞바퀴 속도센서 130...핸들 회전각 센서
200...트레일러 210...구동모터
241,242...섹터기어레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트랙터에 견인되는 트레일러 구동장치에 있어서,
주행시 트레일러의 운전조건을 감지하는 감지요소와,
상기 감지요소의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콘트롤유니트와,
상기 엔진콘트롤유니트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트레일러를 조향제어하는 조향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요소는 상기 트레일러 후미의 원심력을 감지하는 윈심력감지센서와, 상기 트레일러의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섹터기어레버와, 그 중심에 상기 섹터기어레버와 연결되고 양단부에 트레일러의 뒷바퀴와 연결되는 이동축을 구비하여서, 상기 섹터기어레버가 회전될 때 이동축이 연동되어서 상기 뒷바퀴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구동장치는 주행중 트레일러의 속도 및 원심력을 감지하여 조향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회전시 회전반경을 최소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러짐에 대한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구동장치를 나타낸 도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은 엔진을 탑재하는 트랙터이고, 이 트랙터(100)에 트레일러(200)가 견인되어 있다. 이 구동장치에는 주행시 트레일러(200)의 운전조건을 감지하는 감지요소와, 이 감지요소의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콘트롤유니트(110)와, 엔진콘트롤유니트(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210)와, 구동모터(210)의 동력으로 트레일러(200)를 조향제어하는 조향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감지요소는 트레일러(200) 후미의 원심력을 감지하는 원심력감지센서(220)와, 상기 트레일러(200)의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센서(230)와, 앞바퀴 속도센서(120)와, 조향핸들 회전각센서(130)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수단은 구동모터(21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섹터기어레버(241)(242)와, 그 중심에 섹터기어레버(241)(242)와 연결되고 양단부에 트레일러(200)의 뒷바퀴(251)(252)와 연결되는 이동축(245)을 구비하여서, 섹터기어레버(241)(242)가 회전될 때 이동축(245)이 연동되어서 뒷바퀴(251)(252)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참조번호 261과 262는 각각 좌우 뒷바퀴(251)(252)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트레일러 구동장치는 주회중 저속 회전시(대략 40km 미만) 또는 후진시에 차속센서(120) 및 조향핸들의 회전각 감지센서(130)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10)가 회전구동되어 뒷바퀴(251)(25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반경이 최소화되도록 작동된다.
또한, 대략 40km이상의 고속 주행시에는 주행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회전걱 감지센서에 의한 출력값과 같은 방향으로 뒷바퀴(251)(252)가 약 2。 정도 회전제어된다.
그리고 주행중 회전시 뒷바퀴(251)(252)가 접지력을 상실하고 슬립되는 경우 원심력 감지센서(220)에 의한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콘트롤유니트(110)의 제어로 뒷바퀴(251)(252)를 슬립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제어한다. 그리고 앞바퀴(141)(142)와 뒷바퀴(251)(252)의 속도센서(120),(230)의 신호값을 비교하여 필요시에 엔진콘트롤유니트(110)는 제동장치(261)(262)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트레일러 구동장치는 주행중 트레일러의 속도 및 원심력을 감지하여 조향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회전시 회전반경을 최소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러짐에 대한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트랙터에 견인되는 트레일러 구동장치에 있어서,
    주행시 트레일러의 운전조건을 감지하는 감지요소와,
    상기 감지요소의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콘트롤유니트와,
    상기 엔진콘트롤유니트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트레일러를 조향제어하는 조향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요소는 상기 트레일러 후미의 원심력을 감지하는 원심력감지센서와, 상기 트레일러의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센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구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섹터기어레버와, 그 중심에 상기 섹터기어레버와 연결되고 양단부에 트레일러의 뒷바퀴와 연결되는 이동축을 구비하여서,
    상기 섹터기어레버가 회전될 때 이동축이 연동되어서 상기 뒷바퀴가 회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구동장치.
KR2019970030136U 1997-10-29 1997-10-29 트레일러 구동장치 KR200211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136U KR200211062Y1 (ko) 1997-10-29 1997-10-29 트레일러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136U KR200211062Y1 (ko) 1997-10-29 1997-10-29 트레일러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682U KR19990016682U (ko) 1999-05-25
KR200211062Y1 true KR200211062Y1 (ko) 2001-02-01

Family

ID=5389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136U KR200211062Y1 (ko) 1997-10-29 1997-10-29 트레일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0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281B1 (ko) * 1999-10-13 2002-04-25 이계안 트레일러차량의 브레이크장치
KR100684663B1 (ko) * 2006-08-14 2007-02-22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풀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682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28460A (en) Rear-wheel steering system for four-wheel steering vehicle
US4958698A (en) Method for steering a motor vehicle
JPH0133365B2 (ko)
KR200211062Y1 (ko) 트레일러 구동장치
JPS5970235A (ja) 自動車の駆動輪制御装置
JP3280732B2 (ja) 舵角センサーのフェール判定方法
JP2552327B2 (ja) 差動制限装置付車両の4輪操舵制御装置
JPS63162375A (ja) 自動車の後輪操舵装置
JPH0310082Y2 (ko)
JPH07108949A (ja) 車両の総合制御装置
KR19980057161A (ko) 뉴트럴 스티어(Neutral Steer)를 보장하는 조향장치
JP3255993B2 (ja) 旋回時スリップ制御方法
JPS59156848A (ja) 駆動輪のスリツプ防止装置
JPH02296574A (ja) 動力操舵装置
JP2725184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アンチスピン制御システム
JP2641498B2 (ja) 差動制限トルク制御装置
KR20030032674A (ko) 자동차의 조향제어장치
KR100580450B1 (ko) 자동차용 주행 장치
KR19980056472A (ko)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
KR19990027268U (ko) 4wd 차량의 코너링 향상을 위한 시스템
JPS63184575A (ja) 自動車用後輪操舵装置の制御方法
KR20040042599A (ko) 트레일러의 자동 히치볼 장치
JPH0790709B2 (ja) 4輪駆動車
KR19980072583A (ko) 타이어의 공기압 이상 예측방법
KR19980047771U (ko) 전륜조향이 가능한 스티어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