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472A -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472A
KR19980056472A KR1019960075742A KR19960075742A KR19980056472A KR 19980056472 A KR19980056472 A KR 19980056472A KR 1019960075742 A KR1019960075742 A KR 1019960075742A KR 19960075742 A KR19960075742 A KR 19960075742A KR 19980056472 A KR19980056472 A KR 19980056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rotation angle
steering
det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75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472A/ko
Publication of KR1998005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472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에 얼음이 있거나 수막이 깔려있을 때 차량이 미끄러져 균형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보면,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현재 진행중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 센서와, 차량이 직진 방향에 대해서 어느 정도 회전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통해서 의도된 차량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 센서와, 상기 세개의 센서 후단에 접속되어 상기 차속 센서에서 차량의 이동을 감지할 때 작동되며 자이로 센서의 회전각과 조향 센서의 회전각을 비교하여 상기 두 회전각이 상이할 때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후단에 접속되어 제어부에서 출력 신호를 발생할 때 엔진의 RPM을 감소시키는 엔진 E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에 얼음이 있거나 수막이 깔려있을 때 차량이 미끄러져 균형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이나 우천시에 차량을 운행할 때 빙판이나 수막이 형성되어 차량이 미끄러져서 균형을 잃게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같이 미끄러짐이 일단 발생할 경우 계속해서 진행되면 위험 상황으로 갈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미끄러짐을 센서가 감지하여 엔진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면 차량이 계속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자이로 센서와 차속 감지 센서 및 조향 센서를 설치하여, 차속이 감지될 때 자이로 센서에서 차량이 직진에서 벗어난 정도와 조향각을 비교하여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감지하여 엔진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므로 미끄러짐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보면,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현재 진행중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 센서와, 차량이 직진 방향에 대해서 어느 정도 회전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통해서 의도된 차량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 센서와, 상기 세개의 센서 후단에 접속되어 상기 차속 센서에서 차량의 이동을 감지할 때 작동되며 자이로 센서의 회전각과 조향 센서의 회전각을 비교하여 상기 두 회전각이 상이할 때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후단에 접속되어 제어부에서 출력 신호를 발생할 때 엔진의 RPM을 감소시키는 엔진 E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차량이 빙판길이나 빗길에서 미끄러질 때 차량이 균형을 잃어 중심에서 벗어난 정도를 각으로 표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미끄러짐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이로 센서 20: 차속 센서
30: 조향 센서 40: 제어부
50: 엔진 ECU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이 빙판길이나 빗길에서 미끄러질 때 차량이 균형을 잃어 중심에서 벗어난 정도를 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차량이 도로상에서 직진을 하다가 균형을 잃고 회전을 하게되면 자이로 센서에서 그 회전각(θ)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차량이 중심으로부터 벗어날 때 감지된 회전각이 일반적으로 조향에 의한 것인지 또는 미끄러짐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므로 엔진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그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미끄러짐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먼저 자이로 센서(10)에서 현재의 차량이 중심에서 어느정도 벗어나 있는지 그 회전각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자이로 센서(1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가 그 회전축을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차량이 진행 방향의 중심에서 벗어날 때 이를 감지하여 각(θ)으로 표시한다.
한편 차속 센서(20)에서는 차량이 현재 주행중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만일 차량이 주행이 아닌 상태에서 회전이 일어난다면 엔진 브레이크로 이를 제동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조향 센서(30)에서는 현재 스티어링 휠이 어느 정도의 조향각(ψ)으로 중심에서 회전되어 있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세 개의 센서에서 감지한 값은 제어부(4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40)에서는 먼저 차속 센서(20)에서 감지한 신호를 통해서 차량이 이동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차속 센서에서 아무값도 감지하지 못하면 차량이 현재 정지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본발명의 장치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말하자면 본발명의 장치가 차량 미끄러짐이 발생할 때 엔진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므로 이를 제동하는 것인바, 차량이 주정차 중이라면 엔진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것이 무의미 하기 때문이다.
상기 차속 센서(20)를 통해서 차량이 현재 이동중임을 확인하게 되면 자이로 센서(10)에서 감지한 차량의 회전각(θ)과 조향 센서에서 감지한 차량의 회전각(ψ)을 비교한다. 상기 자이로 센서(10)에서 감지한 차량의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각은 실제로 차량이 직선에 대해서 회전되어 있는 각을 표시한 것이고, 조향 센서에서 감지한 회전각은 운전자가 의도한 회전각이다. 상기 두 회전각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발생할 때에는 현재 차량이 미끄러지고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조향 센서(30)에서 30도의 좌회전을 감지하였을 경우, 이는 운전자가 차량을 좌측으로 30도 회전시키겠다는 의지로 볼 수 있다. 이때 자이로 센서(10)에서 감지한 회전각이 좌측으로 60도 였다면 차량이 좌측으로 30도 만큼 더 회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차량이 좌측으로 미끄러짐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조향 센서(30)에서 30도의 회전각을 감지했으나 자이로 센서(10)에서는 회전각을 감지하지 못했을 수 있다. 이때 운전자는 차량을 좌측으로 30도 회전해서 운행하고자 하나 차량이 밀려서 현재 직진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조향 센서(30)에서 감지한 회전각도와 자이로 센서(10)에서 감지한 회전각이 상이할 때 차량이 미끄러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차량 ECU(50)에서 엔진을 제어한다. 즉, 엔진의 RPM을 낮추도록 제어한다. 그리하여 엔진 브레이크가 걸리게 되고 미끄러짐이 계속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를 실시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차속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조향 센서를 통해서 감지된 신호로 부터 현재 차량이 운행중임을 확인하고, 자이로 센서를 통해서 감지한 차량의 실제 회전각과 조향 센서를 통해서 감지한 운전자가 의도한 회전각이 상이할 때 차량의 미끄러짐이 발생했음을 판단하여 엔진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므로 미끄러짐이 계속진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

  1.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현재 진행중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 센서와, 차량이 직진 방향에 대해서 어느 정도 회전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통해서 의도된 차량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 센서와, 상기 세 개의 센서 후단에 접속되어 상기 차속 센서에서 차량의 이동을 감지할 때 작동되며 자이로 센서의 회전각과 조향 센서의 회전각을 비교하여 상기 두 회전각이 상이할 때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후단에 접속되어 제어부에서 출력 신호를 발생할 때 엔진의 RPM을 감소시키는 엔진 E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
KR1019960075742A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 KR19980056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742A KR19980056472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742A KR19980056472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472A true KR19980056472A (ko) 1998-09-25

Family

ID=6639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742A KR19980056472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4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53B1 (ko) * 2002-02-09 2007-08-23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주행 안정성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53B1 (ko) * 2002-02-09 2007-08-23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주행 안정성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614A (ko) 차량의 트랙션제어장치
KR950017576A (ko) 차량의 트랙션제어장치
WO2015054856A1 (zh) 一种铰接巴士的防打折转向系统
SE8902041D0 (sv)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drivkraftreglering vid motorfordon
US8055398B2 (en) Method of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of electric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for vehicle
JPS5970235A (ja) 自動車の駆動輪制御装置
KR19980056472A (ko) 자동차의 미끄러짐 제어 장치
CN107415811B (zh) 用于启动车辆的警告信号灯的系统和方法
JP3280732B2 (ja) 舵角センサーのフェール判定方法
JP3204110B2 (ja) ハイドロプレーニング検出装置
KR200211062Y1 (ko) 트레일러 구동장치
US20040050616A1 (en) Torque sensing for a steering system
KR100235000B1 (ko) 차량운행시미끄럼방지장치
US6385526B1 (en) Vehicle traction control with power shift modification
JPH049473B2 (ko)
KR100231533B1 (ko) 차량의 고속주행시 사고방지장치
JP4735831B2 (ja) 車輌の操舵制御装置
KR100274002B1 (ko) 자동차의 급조향시 가속 방지 방법
KR20030032674A (ko) 자동차의 조향제어장치
KR200317034Y1 (ko) 차량선회시타이어의미끄럼방지제어장치
JPS61241276A (ja) 自動車の4輪操舵装置
KR20040042599A (ko) 트레일러의 자동 히치볼 장치
KR980001631A (ko) 차량의 급회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16617A (ko) 브이알에스의 자동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30338B1 (ko) 차량용 노면 굴곡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