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005B1 - 라스터폭 제어를 위한 텔레비젼 편향회로 - Google Patents

라스터폭 제어를 위한 텔레비젼 편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005B1
KR930004005B1 KR1019840007828A KR840007828A KR930004005B1 KR 930004005 B1 KR930004005 B1 KR 930004005B1 KR 1019840007828 A KR1019840007828 A KR 1019840007828A KR 840007828 A KR840007828 A KR 840007828A KR 930004005 B1 KR930004005 B1 KR 93000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voltage
transformer
inductanc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198A (ko
Inventor
에드아드 하펠 피터
Original Assignee
알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5000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3Controlling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8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B01J29/04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5/00Boron; Compounds thereof
    • C01B35/08Compounds containing boron and nitrogen, phosphorus,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1B35/10Compounds containing boron and oxygen
    • C01B35/1009Compounds containing boron and oxygen having molecular-sieve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5/00Boron; Compounds thereof
    • C01B35/08Compounds containing boron and nitrogen, phosphorus,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1B35/10Compounds containing boron and oxygen
    • C01B35/12Bo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 C07C1/2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starting from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xygen atoms as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 C07C2/54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of unsaturated hydrocarbons to saturated hydrocarbons or to hydrocarbon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
    • C07C2/64Addition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66Catalyt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 C07C2/86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condensation between a hydrocarbon and a non-hydrocarbon
    • C07C2/86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condensation between a hydrocarbon and a non-hydrocarbon the non-hydrocarbon contains only oxygen as hetero-atoms
    • C07C2/864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condensation between a hydrocarbon and a non-hydrocarbon the non-hydrocarbon contains only oxygen as hetero-atoms the non-hydrocarbon is an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09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 C07C29/1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of ethers, including cyclic ethers, e.g. oxi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C07C25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C07C2521/08Silic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40Ethylene pro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스터폭 제어를 위한 텔레비젼 편향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편향회로의 제1실시예에 대한 도시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제1도의 편향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
제3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편향회로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도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편향회로의 제3실시예에 대한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3 : 변압기 70 : 라스터폭 제어회로
86 : 편향 발생기 200, 200', 200" : 편향회로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에는 가속전위가 변할때 텔레비젼 주사 시스템의 라스터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의 음극선관의 전자빔의 가속전위나 얼터(ultor)전압은 통상 수평 출력 변압기의 고전압 회로에서 획득한다. 각각의 수평 라스터 라인의 폭은 가속전위의 변화에 따라 변하고, 이 라스터 라인의 폭은 얼터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서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을 일반적으로 브리딩(breathing)이라고 불리운다. 얼터 전압의 감소현상은 표시장치의 고명도로 인해 출력 변압기의 고전압 회로의 빔전류 과부하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라스터 라인폭은 편향 사이클의 소인선 간격동안 수평방향 권선 양단간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며, 라스터 라인의 폭은 권선 양단간에 인가된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한다. 권선에 나타나는 전압은 종종 수평 편향 회로에 결합된 정격 전압에서 유도된다. 비디오 과부하로 인하여, 고전압 회로에 대하여 정격 전압원으로부터 유도되는 부하전류가 증가된다.
브리딩 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엠.이.부에첼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444,426호에 공개된 바와같은 종래의 회로는 수평 출력단을 포함한 부하와 직렬로 저항을 배치하였다. 비디오 과부하가 발생할시에 저항에서의 증가된 전압 강하는 편향 권선에 나타나는 전압을 감소시켜, 라스터 라인폭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라스터 라인폭 조정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하게 전력 손실을 증가시킨다. 피어씨와 그외 사람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104,567호에 공개된 바와같은 종래의 기술의 회로에서는, 부하 전류가 SCR(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의 턴온(turn-on)시간을 제어하는 에러 증폭기에 의해 감지된다. SCR의 도통 시간은 부하전류의 변화에 응답하여 편향회로의 활성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도록 제어되어 일정한 라스터폭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편향 시스템은 편향 발생기에 결합된 편향 권선을 포함하며, 이 발생기는 편향 권선에서 소인선 및 귀선 주사 전류 발생한다. 교류 편향 레이트 전압이 발생되는 제1 및 제2변압기 권선을 포함한 변압기가 상기 편향 발생기에 결합된다. 얼터회로는 제2변압기 권선에서 부하전류를 도출해낸다. 부하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이 나타내는 인덕턴스가 변압기에 결합된다. 상기 인덕턴스에 나타나는 전압으로부터 소인선 주사 전류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전압이 제1변압기 권선의 단자에서 발생되며, 여기서 여러 부하 전류값은 여러 값의 인덕턴스 전압을 발생시켜 라스터 폭을 안정시킨다.
얼터 회로에 의해 인가되는 빔전류 부하의 변화로 인해 귀선간격이 대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얼터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빔전류의 증가는 귀선 간격의 증가와 대응하는 라스터 폭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빔전류의 크기가 변할때 귀선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빔전류 변화로 인해 생긴 대응하는 귀선간격의 변화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편향권선에 결합되는 인덕턴스를 조절시킴으로써, 귀선간격의 변화는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로는 라스터 폭 및 귀선 간격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다.
제1도에 도시된 편향회로(200)에서, 필터된 DC전압 VB가 단자(48)에서 나타난다. 전압 VB는 스위칭 모드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전압원(45)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양상을 구체화한 라스터폭 제어회로(70)가 입력단자(50a)에서 부스트(boosted)전압 B+을 발생하기 위하여 수평 편향회로(200)의 단자(48)의 단자(50a 및 50b)사이에 결합된다. 입력단자(50a)는 수평 출력 플라이백(flyback)변압기(53)의 직력 결합된 1차권선(53b 및 53a)을 통하여 수평 편향회로(200)의 수평편향 발생기(86)에 결합된다. 권선(53b)과 권선(53a)의 권회비는 15:85이고, 결합된 인덕턴스는 5mH이다. 단자(50b)는 플라이백 변압기(53)의 1차권선(53b)과 1차권선(53a)사이의 접합부에 결합된다.
수평 편향 권선(81)이 수평 편향 발생기(86)에 결합된다. 발생기(86)는 편향 권선(81)에 직렬 결합된 선형 인덕터(83) 및 소인선 캐패시터(62)와, 귀선 캐패시터(80)와,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88) 및 댐퍼(damper) 다이오드(89)를 포함하는 소인선 스위치(87)를 구비하여 각각의 수평 편향 사이클동안 편향귀선(81)에 주사 전류를 발생한다. 수평 편향 발생기(86)는 플라이백 변압기(53)의 1차권선(53a)의 단자(90)에 결합된다. 통상의 동기화된 수평 발진기 및 구동기(85)는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88)의 제어 베이스 전극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수평 소인선 간격동안 트랜지스터를 턴온하고 수평 귀선간격 동안은 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킨다. 플라이백 변압기(53)의 고전압 권선(53c)은 통상의 고전압 회로(63)에 결합되어 키네스 코프 빔 전류용 얼터 가속 전압을 발생한다.
라스터폭 제어회로(70)는 단자(48)와 단자(50b)사이에 직력 결합된 인덕터(51) 및 정류기 다이오드(52)와, 플라이백 변압기(53)의 1차권선(53a)과 1차권선(53b)사이의 탭(tap)을 포함한다. 라스터 폭 제어회로(70)는 또한 전압원(45)의 출력 단자인 단자(48)와 단자(50a)사이에 결합된 캐패시터(49)도 포함한다.
동작중, 편향 스위치(87)는 소인선 간격동안 도통 상태이다. 편향 스위치(87)가 도통 상태일때 이 편향 스위치(87)는 편향발생기(86)에서 변압기(53)를 분리시킨다. 1차권선(53a 및 53b)에서 상향램핑(up-ramping) 1차전류 i2는 소인선 간격동안 플라이밸 변압기(53)에 축적되는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축적된 에너지는 귀선 간격동안 스위치(87)가 개방될때 편향 발생기(86)에서의 손실을 보충하고 고전압회로(63)를 활성화시킨다. 편향 발생기(86)는 변압기(53)와 함께 귀선 공진회로를 형성한다. 소인선 간격동안 변압기(53) 및 편향권선(81)에 축적된 에너지는 귀선간격 동안 귀선 캐패시터(80)에 전달되어 캐패시터(80) 양단에 귀선전압 VR이 발생된다.
제2a도는 1차권선(53b)에 나타나는 전압 V2에 대한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전압 V2는 귀선간격 t2내지 t5동안 귀선 펄스를 포함한다. 제2b도는 비교적 낮은 얼터빔 전류의 상태동안 인덕터(51)에서의 전류 i1a의 파형과 변압기 권선(53)에서의 전류 i2a의 파형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b도는 제1실시예에서 보다 높은 얼터 빔 전류의 상태동안, 인덕터(51)에서의 전류 i1b의 파형과, 변압기 권선(5a)에서의 관련전류 i2a의 파형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인덕터(51)가 인덕턴스 0값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이와같이 가정할 경우, 캐패시터(49)는 소인선 간격동안 대략 전압 V2의 전압 레벨까지 충전된다. 제2a도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소인선 전압 V2는 귀선 간격동안의 전압 V1의 피크대 피크 전압의 1/8과 거의 동일하다. 단자(50a)의 전위는 단자(50b)의 전위 보다 높고, 캐패시터(49)에 나타나는 전압은 전압 VB에 직렬로 가산되어, 부스트된 전압 B+가 발생한다.
제1도의 편향 회로(200)에서, 인덕터(51)는 실제로 0이 아닌 인덕턴스값을 가진다. 따라서, 캐패시터(49)에 나타나는 전압은 고전압 회로(63)에서의 부하전류의 함수로 된다. 또한, 귀선 간격동안 라스터 폭 제어회로(70)는 앞으로 설명되는 바와같이, 인덕턴스로서 작용하는데, 이 인덕턴스의 값은 고전압 회로(63)에서의 부하전류에 의해 조정된다.
귀선 간격동안, 귀선 전압 V2의 극성은 전류 i1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하는 극성을 갖는다. 다이오드(52)에 나타나는 전압의 극성이 귀선 간격동안 임의점에서 역으로 되면 전류 i1의 흐름은 정지된다.
예를들어, 변압기의 1차권선 i2의 변화비 di2/dt는 제2b도의 소인선 간격 t1내지 t2동안 전압 B+에 의해 제어되며, 귀선 간격동안은 제1도의 전압 VR에 의해 제어된다. 변화비 di1/dt는 고전압 빔전류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도의 회로(63)에서의 고전압 빔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여 전류 i가 증가하게 된다. 제2b도의 소인선 간격 t1의 시작시에 전류 i1이 0전류로 시작하므로 변화비 di1/dt는 빔 전류의 함수이다. 제2b도의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소인선 간격 동안의 변화비 di1a/dt는 변화비 di1b/dt보다 낮다. 소인선 간격 t1내지 t2동안의 변화비 di1/dt는 제1도의 인덕터(51)에 나타나는 전압에 의해 제어된다. 귀선전압 V2가 빔 전류와 비교적 무관하므로 캐패시터(49)에 나타나는 전압은 빔 전류가 증가할때 감소되어, 인덕턴스(51)에 나타나는 전압이 증가하게 된다. 역으로, 빔전류가 감소할때 인덕터(51)에 나타나는 전압은 감소하여 캐패시터(49)에 나타나는 전압은 증가한다.
캐패시터(49)에 나타나는 전압이 전압 VB에 직렬로 가산되어 부스트된 전압 B+이 제공된다. 임의 부하 및 회로 손실도 없이도, 전류 i1는 거의 0으로 되어 캐패시터(49)는 소인선 전압 V2까지 충전된다. 전류 i1의 고레벨에서 전체 소인선 전압 V2가 인덕터(51)에 나타나고, 캐패시터(49)에 나타나는 전압은 0이다. 따라서, 부스트된 전압 B+는 빔전류의 고레벨과 대응하는 전압 VB와 0빔 전류와 대응하는 전압 VB와 소인선 전압 V2와의 합 사이에서 변한다. 변압기(53)와 탭(50b)의 단자(90)쪽으로 이동시키면 후술된 바와같이 소인선 전압 V2가 증가하게 되고, 전압 B+가 보다 넓은 변화 범위를 가지게 되며, 귀선 간격동안 결합되는 변압기(53)의 인더턴스에 대한 인덕터(51)의 기여도가 증가하게 된다.
멀터 전류가 증가하면 결국 전압이 감소되어 전압 B+가 감소한다. 전압 B+는 편향권선(81)에서의 소인선 전류 iy의 진폭을 제어한다. 이러한 결과는 소인선 전류 iy를 발생하는 소인선 캐패시터(62)에 나타나는 전압이 대략 전압 B+와 같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얼터 전류가 증가하면 이와 대응하게 전류 i1이 증가하고 얼터 전압은 감소하여, 전압 B+가 대응하게 감소하게 된다. 전압 B+가 감소하면 상술된 바와같이 라스터폭을 안정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제2b도의 소인선 간격시간 t2의 종료시에 제1도의 인덕터(51)에 축적된 에너지는 빔 전류에 종속된다. 따라서, 다이오드(52)는 빔전류에 따라 변하기도 하는 귀선 간격동안의 일정한 지속기간동안 도통으로 되는데, 저 빔전류 부하에 대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2b도의 시간 t3까지, 그리고 고 빔전류 부하에 대한 제2실시예에서는 다음 시간 t4까지 도통된다.
제1도의 다오드(52)가 귀선 간격동안 도통인 주기동안 인덕터(51)는 변압기(53)의 권선(53b)과 병렬로 결합되어, 단자(90)에 결합된 1차권선(53a)의 인덕턴스가 더 낮아지게 된다. 1차권선의 인덕턴스가 낮아지면 귀선 공진 주파수가 놓아지고 이와 대응하게 귀선 간격이 단축된다. 귀선 간격동안 다이오드(52)의 도통기간이 길수록, 귀선 공진 주파수는 높아진다.
따라서, 빈 전류 부하는 귀선 간격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변화는, 라스터폭 제어회로(70)와 같은 보상 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빔전류가 증가할때 귀선간격의 증가를 보상한다. 고전압 회로(63)에 결합되는 화상관의 용량성 부하가 편향 발생기(86)의 귀선 공진회로에 걸리므로 상기와같은 귀선 간격에서의 증가 현상이 발생한다.
라스터 보상은 저항성 부하보다는 리액티브 성분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제1도의 편향회로(200)에서의 대응 에너지 손실은 낮다. 전압 B+와 회로(70)의 변화된 인덕턴스의 수동제어로 인하여 전체 빔 전류 범위에 걸쳐 라스터 폭이 거의 일정하게 된다. 라스터폭 제어회로(70)의 고속 응답 시간은 스크린 표시장치의 백색바(bar)성능이 개선된다는 장점도 갖는다.
전류 i1=i1a이고, 전압 VB가 111볼트인 저빔전류 부하에 대한 제1실시예에서, 제1도의 회로에 대한 값을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전압 B+=118볼트이고, 전압 VR=1040볼트이며, 귀선간격 tR=11.8 ㎲이며, 피크대피크 편향 전류 iy=3.15A이며, 얼터 전압은 24.4KV이다. 전류 i1=i1b이고, 전압 VB는 111볼트인 고빔전류 부하에 대한 제2실시예에서, 제1도의 회로값을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전압 B+=111볼트이고, 전압 VR=920 볼트이며, 귀선간격 tR=12㎲이며, 피크 대 피크 편향 전류 iy=2.9A이며, 얼터 전압은 21.7KV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제1도의 편향회로(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서의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부분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도의 라스터폭 제어회로(70) 및 플라이백 변압기(53)가 제1도에 대하여 변형된 제3도 및 제4도의 편향회로(200')나 편향회로(200")의 동작원리는 제1도의 편향회로(200)의 동작원리와 동일하다. 예를들어, 제3도의 편향회로(200')에서, 필터 캐패시터(49)는 단자(50a)와 접지 사이에 결합된다. 제3도의 캐패시터(49)는 제1도의 캐패시터(49)보다 높은 정격전압을 갖는다. 예를들어, 제4도의 편향회로(200")에서, 제1도의 인덕터(51)를 대신하는 1차권선(53b)은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플라이백 변압기(53)에 결합된다. 제4도의 권선(53b)은 캐패시터(49)의 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다. 제4도의 캐패시터(49)와 권선(53b)사이의 접합부는 플라이백 변압기(53)의 1차 권선의 단자(50a)에 결합되어 있다. 제4도의 변압기(53)의 1차권선(53a)은 제1도의 편향회로(200)의 권선(53a)과 권선(53b)의 결합과 동일한 수의 권회수를 필요로 한다. 제4도의 편향회로(200")에서는, 제1도의 인덕터(51)대신에 이용되므로 제1도의 인덕터(51)는 절약된다.

Claims (19)

  1. 편향귀선과, 상기 편향권선에 결합되어 편향주기에서 소인선 및 귀선간격을 한정하는 대응하는 소인선 주사 전류 및 귀선 주사 전류를 상기 편향권선에 발생하기 위한 편향 발생기와, 상기 편향 발생기에 결합되고 교류 편향 레이트 전압이 발생되는 제1 및 제2변압기 권선을 포함하는 변압기와, 상기 제2변압기 권선에 결합되어 상기 제2변압기 권선에서 부하 전류를 도출해내는 멀터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얼터 회로와, 상기 변압기에 결합된 활성 전압원과, 상기 변압기에 결합되어 상기 부하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가 도통되어지는 인덕턴스를 구비하여 라스터 폭을 제어하는 편향회로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53)의 상기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변압기(53)의 상기 전압이 제1극성을 갖는 상기 편향주기에서의 한간격동안은 상기 인덕턴스(51)를 상기 변압기(53)에서 감결합하고, 상기 변압기(53)의 상기 전압이 상기 인덕턴스(51)에 상기 전류가 흐르게 되는 반대극성을 갖는 상기 편향주기의 전체 간격동안은 상기 인덕턴스(51)를 상기 변압기(53)에 결합시키는 스위칭 수단(49 또는 52)과, 상기 부하 전류를 나타내는 상기 자기유도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1변압기 관선(53b)의 단자(50a)에서 상기 소인선 주사 전류의 진폭을 제어하는 제1전압을 발생시킨 수단(52 또는 49)를 구비하며, 상기 변압기(53)의 상기 전압이 상기 반대극성을 갖는 시간동안, 상기 인덕턴스(51)의 상기 전류는 상기 부하 전류를 나타내는 자기유도된 전압을 상기 인덕턴스(51)에 발생시키며, 상기 부하 전류값의 변화로 인하여 상기 인덕턴스(51)의 상기 전류값이 충분히 변화되어, 상기 인덕턴스(51)의 상기 전류값의 상기 변화 자체만으로 상이한 상기 자기유도된 전압값을 발생시켜 라스터 폭을 제어하기 위한 대응하는 상이한 상기 제1전압값 및 상기 소인선 주사 전류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변압기(53)에 결합되어 상기 편향 레이트 전압을 상기 인덕턴스(51)에서 상기 자기 유도된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크기로 정류하는 정류기(52)를 포함하여 대응하는 상이한 소인선 전압값을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를 2단자 다이오드(52)를 포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변압기(53)에서의 상기 편향 레이트 전압의 반대극성은 상기 정류기(52)를 순방향 바이어스시켜 상기 편향권선(81)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보충하는 상기 전류를 상기 인덕턴스(51)에 발생시키고, 상기 편향 변압기에서의 상기 편향 레이트 전압의 상기 제1극성은 상기 정류기(52)를 역방향으로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상기 인덕턴스(51)의 상기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52)는 상기 부하 전류에 따라 지속 기간이 변하는 귀선 간격의 일부동안은 순방향 바이어스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 발생 수단은 직류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제1변압기 권선(53b)의 상기 단자(50a)에 결합된 제1캐패시터(49)를 포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패시터(49)는 상기 활성 전압원(45)과 직렬 결합되어, 상기 캐패시터(49)에 나타나는 전압과 상기 활성 전압원(45)의 전압 VB와의 합인 상기 제1전압을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발생기(86)는 상기 소인선 주사 전류를 공급하는 소인선 캐패시터(6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압은 상기 소인선 캐패시터(62)의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소인선 캐패시터(62)에 나타나는 전압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은 B+는 상기 소인선 캐패시터(62)의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제1전압의 전압까지 충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발생기(86), 인덕턴스(51) 및 편향권선(81)은 귀선 간격동안 귀선 공진회로를 형성하며, 상기 부하 전류가 변함에 따라 귀선시간의 변화를 감소시키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인덕턴스(51)에 결합된 정류기(52)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기는 상기 부하 전류에 따라 지속기간이 변하는 귀선 간격의 일부분동안 순방향 바이어스되며, 상기 정류기(52)는 상기 부하 전류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귀선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안정화하도록 상기 귀선 공진회로 내의 상기 인덕턴스(51)와 결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51)는 상기 정류기(52)가 순방향 바이어스되면, 상기 귀선 공진회로(86,51,81)의 공진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정류기(52)가 역방향으로 되면 권선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압기 권선(53a 및 53b)은 상기 인덕턴스(51)의 상기 전류를 상기 편향발생기(86)에 결합하기 위한 중간 탭 단자(5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51)는 상기 편향 발생기에 자기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53b)는 상기 제1변압기 권선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53b)는 상기 제1변압기 권선(53a)의 한종단 단자(정류기(52)에서)와 상기 제1변압기 권선(53a)의 중간 탭 단자(50a) 사이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 발생 수단은 상기 중간 탭 단자(50a)와 상기 편향회로의 공통 도체(접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중간 탭 단자(50a)와 상기 편향회로의 공통 도체(접지) 사이에서 상기 제1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캐패시터(49)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레이트 전압의 상기 제1극성의 진폭은 상기 제1전압 발생 수단(49 또는 51)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소인선 주사 전류의 변화 범위를 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19. 편향귀선과, 상기 편향권선에 결합되어 편향주기에서 소인선 및 귀선간격을 규정하는 대응하는 소인선 주사 전류 및 귀선주사 전류를 상기 편향권선에서 발생하며, 상기 편향권선과 함께 귀선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귀선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편향 발생기와, 상기 편향 발생기에 결합되고 교류 편향 레이트 전압이 발생되는 제1 및 제2변압기 권선을 포함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와 결합되는 활성 전압원과, 상기 제2변압기 권선에 결합되어 상기 제2변압기 권선으로부터 부하 전류를 인출해내는 부하 회로를 구비하여 귀선 간격을 안정하기 위한 편향회로에 있어서, 인덕턴스(51)와 상기 권선 간격내에서 상기 인덕턴스(51)를 상기 권선 공진회로(80,62,83,81)에 결합시키기 위한 다이오드(52)와, 상기 부하 전류를 나타내는 상기 자기유도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1변압기 권선(53b)의 단자(50b)에서 상기 소인선 주사 전류의 진폭을 제어하는 제1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49)을 구비하며, 상기 다이오드(52)는 상기 부하 전류에 관계되어 상기 인덕턴스(51)에 자기유도된 전압을 발생시키는 입력 전류를 상기 인덕턴스(51)에 발생시키고, 상기 다이오드(52)는 상기 편향 레이트 전압의 극성이 제1극성으로 변화할때는 상기 압력전류가 도통되도록 순방향 바이어스되며, 상기 변압기(53)의 상기 편향 레이트 전압의 제2극성은, 상기 다이오드(52)를 역방향 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상기 입력 전류를 감소시켜 상기 부하 전류에 따라 귀선 간격을 안정화 하기 위한 상기 귀선 공진회로(80,62,83,81)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부하 전류에 따라 변화하는 지속 기간을 갖는 귀선 간격의 일부동안 상기 다이오드(52)는 상기 인덕턴스(51)를 상기 귀선 공진회로(80,62,82,81)에 결합시키며, 상기 부하 전류값의 변화로 인해 상기 인덕턴스(51)의 상기 전류값이 충분히 변화하여, 상기 인덕턴스(51)의 상기 전류값의 상기 변화 자체만으로 상기 인덕턴스(51)에서 상이한 값의 상기 자기 유도된 전압을 발생시켜 라스터 폭을 제어하기 위한 대응하는 상이한 값의 상기 제1전압 및 상기 소인선 주사 전류를 얻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회로.
KR1019840007828A 1983-12-12 1984-12-11 라스터폭 제어를 위한 텔레비젼 편향회로 KR930004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38333067A GB8333067D0 (en) 1983-12-12 1983-12-12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GB8333067 1983-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198A KR850005198A (ko) 1985-08-21
KR930004005B1 true KR930004005B1 (ko) 1993-05-19

Family

ID=1055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828A KR930004005B1 (ko) 1983-12-12 1984-12-11 라스터폭 제어를 위한 텔레비젼 편향회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572993A (ko)
JP (1) JP2561068B2 (ko)
KR (1) KR930004005B1 (ko)
DE (1) DE3445346A1 (ko)
DK (1) DK166245C (ko)
FI (1) FI77762C (ko)
FR (1) FR2556542B1 (ko)
GB (2) GB8333067D0 (ko)
HK (1) HK25993A (ko)
IT (1) IT1178751B (ko)
SE (1) SE460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691A (en) * 1986-04-11 1988-04-12 Rca Corporation Television apparatus for generating a phase modulated deflection current
US4692852A (en) * 1986-06-25 1987-09-08 Rca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raster width stabilization
GB8626317D0 (en) * 1986-11-04 1986-12-03 Rca Corp Raster corrected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DE3913371A1 (de) * 1989-04-24 1990-10-25 Thomson Brandt Gmbh Bildbreitenstabilisierung
US5034667A (en) * 1990-04-13 1991-07-2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Raster size regulating circuit
US6268706B1 (en) 1997-10-10 2001-07-31 Thomson Licensing S.A. Horizontal parallelogram correction combined with horizontal center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4426A (en) * 1967-12-29 1969-05-13 Motorola Inc Horizontal sweep system with automatic raster size regulation
GB1452941A (en) * 1973-05-22 1976-10-20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Thyristor scanning tv circuits
JPS6022695Y2 (ja) * 1976-09-16 1985-07-05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ヨン受像機
US4104567A (en) * 1977-01-24 1978-08-01 Rca Corporation Television raster width regulation circuit
US4209732A (en) * 1978-11-30 1980-06-24 Rca Corporation Regulated deflection circuit
US4298829A (en) * 1980-02-08 1981-11-03 Rca Corporation Power supply and deflection circuit with raster size compensation
JPS59110276A (ja) * 1982-12-15 1984-06-26 Sanyo Electric Co Ltd 水平振幅変化補正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45346C2 (ko) 1991-10-02
JPS60153267A (ja) 1985-08-12
DK592084A (da) 1985-06-13
IT8423973A1 (it) 1986-06-10
DK592084D0 (da) 1984-12-11
US4572993A (en) 1986-02-25
DK166245C (da) 1993-08-16
DK166245B (da) 1993-03-22
FR2556542A1 (fr) 1985-06-14
GB2152337A (en) 1985-07-31
FR2556542B1 (fr) 1990-09-07
JP2561068B2 (ja) 1996-12-04
DE3445346A1 (de) 1985-06-13
SE8406174L (sv) 1985-06-13
SE460245B (sv) 1989-09-18
GB2152337B (en) 1987-05-07
IT8423973A0 (it) 1984-12-10
GB8333067D0 (en) 1984-01-18
FI844803L (fi) 1985-06-13
IT1178751B (it) 1987-09-16
FI844803A0 (fi) 1984-12-05
HK25993A (en) 1993-03-26
SE8406174D0 (sv) 1984-12-05
FI77762B (fi) 1988-12-30
KR850005198A (ko) 1985-08-21
GB8430936D0 (en) 1985-01-16
FI77762C (fi) 198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61186B2 (ko)
KR100211621B1 (ko) 비디오 장치의 고전압 전원
EP0414184B1 (en) High voltage regulator circuit for picture tube
KR840001292B1 (ko) 라스터 왜곡 교정 편향 회로
KR930004005B1 (ko) 라스터폭 제어를 위한 텔레비젼 편향회로
JPH06105180A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US4525739A (en) Television receiver power supply regulation responding to beam current changes
KR900002333B1 (ko) 수평 편향회로
US5939844A (en) High-frequency horizontal deflection/high-voltage genera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JPH07303224A (ja) ビデオ装置用高圧電源
KR900005363B1 (ko) 음극선관을 위한 수평 출력회로
US4916366A (en)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JP2781917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用電源
US5285133A (en) Deflection current generating circuits
KR20010013971A (ko) 수평편향회로
EP0178737B1 (en) Line output circuit for generating a line frequency sawtooth current
JP3120850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の電源
JP2570262B2 (ja) 水平偏向回路
JP3150144B2 (ja) 高圧安定化電源回路
US5087863A (en) Feedback arrangement in a deflection circuit
JPH11127364A (ja) 水平偏向回路
JPH0516763Y2 (ko)
JPH11317884A (ja) 水平偏向回路
JPS61140278A (ja) 水平偏向回路
JP2000333034A (ja) 水平偏向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