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323Y1 -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323Y1
KR930003323Y1 KR2019890008330U KR890008330U KR930003323Y1 KR 930003323 Y1 KR930003323 Y1 KR 930003323Y1 KR 2019890008330 U KR2019890008330 U KR 2019890008330U KR 890008330 U KR890008330 U KR 890008330U KR 930003323 Y1 KR930003323 Y1 KR 930003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preset
nozzle
oil
lubr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721U (ko
Inventor
가즈마사 아마노
Original Assignee
도끼고 가부시기가이샤
가와이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끼고 가부시기가이샤, 가와이 다까시 filed Critical 도끼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0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7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유장치
도면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급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한쪽의 노즐에 의한 단독 통상 급유에를 나타낸 타임챠트.
제4도는 한쪽의 노즐에 의한 단독 프리세트 급유예를 나타낸 타임챠트.
제5도는 양쪽의 노즐에 의한 동시 통상급유예를 나타낸 타임챠트.
제6도는 한쪽의 노즐에 의한 프리세트 급유예 및 다른쪽의 노즐에 의한 통상 급유예를 나타낸 타임챠트.
제7도는 양쪽의 노즐에 의한 프리세트 급유예를 나타낸 타임챠트.
제8도는 양쪽의 노즐에 의한 다른 프리세트 급유예를 나타낸 타임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유장치 2 : 제어부(다른 급유게통 금지수단)
3 : 급유펌프 4 : 펌프모터
7A,7B : 유량계 8A,8B : 유량 펄스발신기
9A,9B : 전자밸브 10A,10B : 급유호스
11A,11B : 급유노즐 15 : 프리세트값 설정장치(프리세트값 설정수단)
17A,17B : 프리세트 급유예비치 판정수단
19A,19B : 급유량 연산수단(급유량 계측수단)
20A,20B : RSFF(다른 급유계통 금지수단)
본 고안은, 급유소에 설치되는 급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당해 급유계통에 의한 프리세트 급유시에 있어서 조정 급유단계가 이행될 경우에는 다른 급유계통에 의한 급유를 금지시킴으로서 정확한 프리세트 급유를 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도록한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나의 송액수단(펌프모터, 펌프등)에서 유량계, 전자밸브(電磁弁), 배관, 급유호스, 급유노즐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급유계통으로 유류를 공급하는 구조의 급유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예컨대 2개의 급유계통을 갖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급유장치에서는, 펌프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공통의 펌프로 급유소 지하탱크로부터 끌어 올린 유류를 2개의 급유계통 각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한쪽의 노즐에 의한 단독 통상급유나 단독 프리세트급유, 양쪽의 노즐에 의한 동시 통상급유, 한쪽의 노즐에 의한 프리세트급유 및 다른 한쪽에 노즐에 의한 통상급유, 양쪽의 노즐에 의한 프리세트급유등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프리세트급유를 할 때에는, 프리세트값이 급유량에 일치했을때에 펌프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은, 펌프의 관성회전에 의해 급액(給液)되는 초과 분량만큼 프리세트값보다 더 급유가 되어버리고 만다고 하는 불합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급유량이 프리세트값보다도 약간 적은 프리세트급유 예비치에 달했을때에 펌프모터를 일단 정지시킨후 펌프모터를 이 초과분량을 고려한 구동시간 관리에 입각하여 간헐적으로 구동하여 프리세트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잔량의 급유하는 프리세트 조정급유단계를 마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급유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한쪽의 노즐로 프리세트급유를, 다른쪽의 노즐로 통상급유를 할 경우 그 한쪽의 노즐에 의한 프리세트급유에 있어서의 프리세트급유 조정단계에 있어서, 급유자가 다른쪽의 노즐밸브를 조작하는 등으로 인하여 그 다른쪽 노즐로부터의 급유량을 변화시켜 버리면, 상기 한쪽의 노즐에 대응하는 급유계통의 프리세트 급유제어에 오차가 발생하는 염려가 있어 정확한 프리세트급유를 할 수가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당해 급유계통에 의한 프리세트급유시에 있어서 조정급유단계가 이행될 경우에는 다른 급유계통에 의한 급유를 금지시켜 정확한 프리세트급유를 하는 것을 가능하도록한 급유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펌프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급유펌프의 토출측에 각각 접속되고 또한 유량계와 급유호스 및 급유노즐을 갖는 복수의 급유계통을 구비하고, 상기 각 급유계통의 각 급유노즐을 사용해서 상기 각 급유계통마다 독립시켜서 급유를 하는 것을 가능하도록한 급유장치에 있어서,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노즐에 의한 급유를 할 때 프리세트값을 미리 설정입력하기 위한 프리세트값 설정수단과, 상기 각 급유계통마다 설치되어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노즐부터의 급유를 밸브를 열므로서 허용 또는 밸브 잠금으로 지지시키는 전자밸브(電磁弁) 상기 각 급유계통마다 설치되어 당해 급유계통의 유량계에 부설된 유량펄스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유량펄스에 따라 급유량을 계측하는 급유량 계측수단, 상기 급유계통마다 설치되어 해당 급유량 계측수단으로 계측된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량이 상기 프리세트값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입력된 프리세트값 직전의 프리세트 예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프리세트 급유예비치 판정수단 및 그 프리세트 급유예비치 판정 수단에 의해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량이 상기 프리세트 예비치에 도달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다른 급유계통의 전자밸브를 닫고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량을 근거로 상기 펌프모터를 구동제어하여 당해 급유계통에 의한 프리세트 급유를 종료시키는 다른 급유계통 금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의 급유계통에 의해 각 찰에 대하여 급유를 하고 있을 때 당해 급유계통의 전자밸브를 닫아 다른 급유계통에 의한 급유를 금지시킨후 프리세트값에서 프리세트 예비치를 감산한 급유잔량을 당해 급유계통으로 차량에 급유하고, 프리세트 급유를 종료한다. 그다음에 다른 급유계통의 전자밸브를 열어 다른 급유계통에 의한 급유를 계속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서 종래와 비교하여 정확한 프리세트급유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실시예의 급유장치이며, 후술하는 바와같이 급유펌프(이하 “펌프”로 약칭)를 공통으로 함과 동시에 이 펌프에 접속된 2개의 급유계통(A), 급유계통(B)을 갖추고 있다. 2는 제어부이고 급유장치 각부를 제어한다. 3은 급유소지하탱크(도시생략)로부터 유류를 퍼올리기 위한 펌프이고 펌프모터(4)에 의하여 구동/정지된다. 상기 펌프(3)의 유류 토출측에는 배관(5A), 배관(5B)을 통해서 급유계통(A)과 급유계통(B) 2개의 급유계통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유계통(A)은 유량계(7A)와 유량펄스발신기(8A), 전자밸브(9A), 급유호스(10A; 이하 “호스”로 약칭) 및 급유노즐(11A; 이하 “노즐”로 약칭)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량계(7A)는 급유량을 계측하며, 상기 유량펄스발신기(8A)는 유량계(A)에 부설되어 급유량에 대응하는 유량펄스신호를 제어부(2)에 공급하고, 상기 전자밸브(9A)는 제어부(2)로부터 공급되는 개/폐신호에 의해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노즐(11A)로부터 급유를 허용 및 저지한다. 상기 급유장치(1)의 한쪽의 옆에는 노즐걸이(12A)가 배설(配設)됨과 동시에 노즐걸이(12A)의 뒤쪽에는 노즐스위치(13A)가 배설(配設)되어 있다. 노즐스위치(13A)는 노즐(11A)의 노즐걸이(12A)에 대한 벗김, 되돌려 걸어줌에 따라서 온/오프신호를 제어부(2)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급유장치(1)의 한쪽 측부에는 밸브의 열림을 알리는 신호기(14A)가 배설되어 급유자가 노즐(11A)을 열어놓은 상태 그대로 노즐걸이(12A)에 되돌려 걸 때 경보가 울린다.
마찬가지로 상기 급유계통(B)은 유량계(7B)와 유량펄스발신기(8B), 전자밸브(9B), 호스(10B) 및 노즐(11B)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급유장치(1)의 다른쪽 측부에는 노즐걸이(12B)와 이 노즐걸이(12B) 뒤쪽의 노즐스위치(13B), 밸브열림신호기(14B)가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급유장치(1)의 전면 상부에는 프리세트값 설정장치(15)가 배설되어 차량에의 프리세트급유를 할 때 프리세트값을 설정입력하기 위한 프리세트키등이 배설되어 있다. 이 프리세트값 설정장치(15)의 양측에는 제어부(2)로부터의 급유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노즐(11A)에 의한 차량으로의 급유량을 표시하는 급유량표시기(16A)와 노즐(11B)에 의한 챠량으로의 급유량을 표시하는 급유량표시기(16B)등이 배설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급유장치(1)의 제어계를 제2도에 의해 상술한다.
또한 이 경우 급유계통(A)의 제어계와 급유계통(B)의 제어계는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의상 주로 급유계통(A)의 제어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급유계통(B)의 제어계통에 대해서는 급유계통(A)의 제어계와 대응되는 각부에 동일부호(부호의 뒤에 “B”를 붙임)를 붙여 급유계통(A)의 설명과 관련을 갖는 개소이외는 설명을 생략한다.
프리세트값 설정장치(15)는 그 프리세트키로 급유자가 설정입력한 차량에 대한 프리세트값에 대응하는 프리세트데이터를 당해 차량으로의 급유에 사용하는 노즐의 급유계통에 공급하다.
즉, 설정시 지정입력된 급유계통에 근거하여 프리세트값 설정장치(15)는 프리세트데이터를 급유계통(A)의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A)과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으로, 또는 급유계통(B)의 프리세트 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B)과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B)에 공급한다. 급유량 연산수단(19A)은 그 카운터에 의하여 유량펄스발신기(8A)로부터 공급되는 유량펄스신호를 계산하여 차량으로의 급유량을 연산하고, 이 급유량에 대응하는 급유량 데이터를 급유량표시기(16A)에 공급하여 차량의 급유량을 표시함과 동시에 급유량데이터를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A)과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에 공급한다.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A)은 상기 프리세트값 설정장치(15)에서 공급된 프리세트 데이터에 근거하여 프리세트 데이터 근방의 프리세트 예비치를 연산하여 상기 급유량 데이터가 상기 프리세트 데이터(예컨대 30ℓ)의 근방의 프리세트 예비치(예를들면 29.5ℓ)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 프리세트 예비치에 도달했다고 판정됐을 경우에는 예비치 검출신호(“1”)를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과 급유계통(B)의 RS플립플롭(20B: 이하 RSFF로 약칭)의 세트입력단(S)에 공급한다.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은 상기 예비치 검출신호의 공급과 더불어 노즐(11A)에 의한 프리세트급유가 조정급유단계를 이행하도록 일단 펌프모터(4)를 정지시키기 위한 조정신호(“0”)를 앤드 게이트(21A)의 제2입력단에 공급한다. 그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은 펌프모터(4)를 구동하여 흘려보내야할 소정의 미소유량(예를들면 0.01ℓ,0.02ℓ,0.03ℓ…)과 소정의 미소유량을 흘려보내는데 필요한 펌프모터(4)의 미소한 힘을 더하는 시간(예컨대 5msec, 10msec, 15msec, …)을 대응시킨 기억 테이블(도시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은 상기 조정 급유단계에 들어가면 전술한 프리세트 예비치에 의한 펌프모터(4)의 일단 정지후에 다시 프리세트값에서 상기 펌프모터(4)의 정지시 펌프(3)의 관성회전에 의해 급유된 유량을 포함한 급유량을 감산해서 얻은 급유잔량에 상당하는 미소유량에 대응되는 미소한 힘을 더하는 시간을 상기 기억 테이블에서 선택하고, 그 선택한 미소한 힘을 더하는 시간만큼 펌프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정신호(“1”)를 앤드게이트(21A)의 제2입력단에 공급하여 조정급유를 하고, 프리세트값에 대응되는 프리세트 급유제어를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은 프리세트 급유종료와 더불어 프리세트 급유종료신호(“1 ”)를 RSFF(20B)의 리세트 입력단(R)과 원쇼트 회로로서의 단안정 멀티회로(41A; 이하 “MM”으로 약칭)를 거쳐서 오어게이트(23A)의 제2입력단과 급유량 연산수단(19A), 앤드게이트(24A)의 제3입력단 및 인버어터(25B)를 거쳐 앤드게이트(26B)의 제2입력단과, 인버어터(27B)를 거쳐서 앤드게이트(28B)의 제2입력단, 앤드게이트(29B)의 제2입력단 및 앤드게이트(30B)의 제2입력단에 공급한다.
상기 RSFF(20B)는 프리세트급유의 조정 급유기간을 검출하는 것이며, 세트입력단(S)에 상기 예비치 검출신호가 공급되면출력단에서 “0”신호가 출력되고, 리세트 입력단(R)에 상기 프리세트 급유 종료신호가 공급되면출력단으로부터 “1”신호가 출력되어 즉 조정 급유기간은 조정 급유중으로서 “0”신호를 앤드게이트(24B)의 제2입력단과 앤드게이트(31B)의 제1입력단에 공급한다. 즉 RSFF(20B)는 노즐(11A)을 사용하여 프리세트급유의 조정급유단계로 이행되었을때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급유계통(B)이 급유작업중임에도 불구하고 전자밸브(9B)를 닫고 노즐(11B)에 의한 급유를 금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급유계통(A)에 있어서의 RSFF(20A)의 노즐(11B)을 사용해서 프리세트급유의 조정급유단계로 이행되었을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급유계통(A)이 급유작업중임에도 불구하고 전자밸브(9A)를 닫아 노즐(11A)에 의한 급유를 금지하도록 되어 있다.
노즐스위치(13A)는 노즐(11A)의 노즐걸이(12A)에서의 벗김, 되돌려걸줌에 따른 온/오프신호를 앤드게이트(22A)의 제1입력단과 앤드게이트(31A)의 제1입력단, 앤드게이트(32A)의 제2입력단, 인버어터(33A)를 거쳐서 앤드게이트(24A)의 제1입력단, 앤드게이트(26B)의 제3입력단, 인버어터(34B)를 거쳐서 앤드게이트(28B)의 제3입력단, 앤드게이트(29B)의 제3입력단 및 인버어터(35B)를 거쳐 앤드게이트(30B)의 제3입력단에 공급된다.
상기 앤드게이트(22A)는 그 각각의 입력단에 함께 “1”신호가 공급되어 프리세트급유 종료후에 노즐(11A)의 밸브잠금이 확인되어 있는 상태에서 노즐(11A)이 노즐걸이(12A)로부터 벗겨졌을때에 리세트신호(“1”)를 급유량 연산수단(19A) 공급하여 그 카운터를 리세트하여 당회 급유의 급유량 연산에 대비시킨다. 상기 앤드게이트(24A)는 그 출력은 앤드게이트(26A)와 앤드게이트(28A), 앤드게이트(29A) 및 앤드게이트(30A)의 제1입력단에 공급한다. 이와같이 되어 앤드게이트(26A)와 앤드게이트(28A) 및 앤드게이트(30A)의 제1입력단에는 앤드게이트(24)로부터 급유계통(A)이 프리세트급유를 종료하고 노즐(11A)이 노즐걸이(12A)로 되돌아가 걸리면, 또한 급유계통(B)이 조정급유단계에 있지 아니할 때 밸브열림 확인지시신호(“1”)가 공급된다.
상기 앤드게이트(26A)는 노즐(11B)이 노즐걸이(12B)로부터 벗겨져 있고, 또한 급유계통(B)이 프리세트 급유 종료상태에 있지 아니할 경우에 상기 밸브열림 확인지시신호(“1”)를 밸브열림 검지수단(36A)에 공급한다. 상기 앤드게이트(28A)는 노즐(11B)이 노즐걸이(12B)에 되돌려져 걸려있고, 또한 급유계통(B)이 프리세트 급유 종료상태에 있지 아니할 경우에 상기 밸브열림 확인지시신호(“1”)를 밸브열림 검지수단(36A)에 공급한다. 상기 앤드게이트(29A)는 노즐(11B)이 노즐걸이(12B)로부터 벗겨져 있고, 또한 급유계통(B)이 프리세트급유 종료상태에 있을 경우에 상기 밸브열림 확인지시신호(“1”)를 밸브열림 검지수단(36A)에 공급한다.
상기 앤드게이트(20A)는 노즐(11B)이 노즐걸이(12B)에서 벗겨져 있고, 또한 급유계통(B)이 프리세트 급유 종료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밸브열림 확인지시신호(“1”)를 밸브열림 검지수단(36A)에 공급한다.
상기 밸브열림 검지수단(36A)은 프리세트 급유종료후 앤드게이트(26A)와 앤드게이트(28A), 앤드게이트(29A) 및 앤드게이트(30A)의 어느것으로부터 공급되는 밸브열림 검지지시신호(“1”)에 따라 노즐(11A)의 밸브열림 확인을 위한 미소유량을 흘리도록 전자밸브(9A)를 개폐제어하고, 또 펌프모터 구동회로(43)를 통해서 펌프모터(4)를 구동제어하며, 이때 유량펄스발신기(8A)에서 공급되는 유량 펄스신호에 근거하여 노즐(11A)의 밸브열림 검지확인시에 흐른 유량을 계산하여 이하의 각 신호를 출력한다. 즉, 동 수단(36A)은 노즐(11A)의 밸브개폐를 검지하기 위하여 밸브열림 검지지시신호(“1”)가 공급되면, 확인하기 위한 미소유량을 흘리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미소시간 만큼 펌프모터(4)를 구동하는 펌프모터 구동신호(“1”)를 오어게이트(37A)의 제1입력에 공급함과 동시에 밸브 열림신호(“1”)를 오어게이트(38A)의 제2입력단에 공급한다. 또 동수단(36A)은 이때에 흐르는 미소유량을 계측하여 이 계측치가 미리 정한 밸브열림 기준치를 넘었을 때 즉, 노즐(11A)의 밸브열림을 검지했을때에는 밸브열림 검지신호(“1”)를 밸브열림 통보기(14A)로 출력하여 밸브열림 통보기(14A)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인버어터(39A)를 거쳐서 앤드게이트(40A)의 제2입력단에 공급하고, 다음의 급유작업을 위하여 후에 노즐(11A)을 노즐걸이(12A)에서 벗겨 노즐스위치(13A)로부터 온신호(“1”)가 출력되어도 이로인해 펌프모터(4)가 구동하고 또 전자밸브(9A)의 밸브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 밸브열림 검지신호(“1”)는 앤드게이트(32A)의 제1입력단에도 공급되어 앤드게이트(32A) 및 오어게이트(23A)에 의해 오어게이트(23A)로부터는 프리세트 급유종료시 또는 노즐(11A)에 대해서 프리세트급유 종료후 밸브열림 검지상태에 있고 노즐(11A)에 대해서 프리세트급유 종료후 밸브열림 검지상태에 있고 노즐(11A)이 노즐걸이(12A)로부터 벗겨질때마다 다음의 노즐밸브열림 검지에 대비하여 리세트신호(“1”)가 밸브열림 검지수단(26A)에 공급된다.
또한 밸브열림 검지수단(36A)에서는 전술한 확인을 위한 미소유량을 미리 정해진 미소시간만큼 펌프구동신호(“1”) 및 밸브열림신호(“1”)를 출력하여 흘려보낸 후에도 이때에 흐른 미소유량의 계측치가 미리 정해진 밸브열림 기준치 이하이였을 경우에는 리세트 신호를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 및 프리세트 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A)에 출력함으로서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 및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A)은 다음의 프리세트급유에 대비하여 리세트되고, 이 결과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에 있어서는 프리세트급유 종료신호(“1”)가 약화된다.
또한 이 밸브열림 검지시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세트 급유 종료신호(“1”)가 급유량 연산수단(19A)에 공급되어 있으므로 급유량 연산수단(19A)에서는 밸브열림 검지때 유량펄스발신기(8A)에서 출력되는 유량펄스를 급유량으로서 계측하는 일은 없다.
상기 앤드게이트(31A)는 그 출력을 상기 앤드게이트(40A)의 제1입력단에 공급하고, 이 앤드게이트(40A)은 그 출력을 상기 오어게이트(38A)의 제1입력단과 상기 앤드게이트(21A)의 제1입력단에 공급하며, 상기 오어게이트(38A)는 그 출력을 전자밸브(9A)에 공급한다. 전자밸브(9A)는 “1”신호가 공급되면 밸브가 열리고, “0”신호가 공급되면 밸브가 닫힌다.
상기 앤드게이트(21A)는 그 출력을 오어게이트(37A)의 제2입력단에 공급하고, 오어게이트(37A)는 그 출력을 오어게이트(42)의 제1입력단에 공급한다. 앤드게이트(21B)는 그 출력을 오어게이트(37B)의 제1입력단에 공급하고, 오어게이트(37B)는 그 출력을 상기 오어게이트(42)의 제2입력단에 공급한다. 펌프모터 구동회로(43)는 오어게이트(42)로부터 “1”신호가 공급되면 펌프모터(4)를 구동하고, “0”신호가 공급되면 펌프모터(4)를 정지시킨다.
다음은 상기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제3도 제8도에 따라 설명한다.
① 한쪽의 노즐에 의한 단독 통상급유(제3도)
급유자가 노즐(11A)을 노즐걸이(12A)로부터 벗기면 노즐스위치(13A)가 온되어 전자밸브(9A)가 열리는 동시에 펌프모터(4)에 의하여 구동된 펌프(3)가 유류의 퍼올림을 시작한다(시각 t1).
다음에 노즐(11A)을 차량 급유구에 설치하여 급유량 표시기(16A)를 보면서 수동조작으로 운전기사가 지정한 급유량을 통상 급유를 한다. 통상급유가 끝나고 노즐(11A)을 되돌려 걸면 노즐스위치(13A)가 오프로 되어 전자밸브(9A)가 닫힘과 동시에 펌프모터(4)의 정지에 의해 펌프(3)가 유류의 퍼올림을 정지한다(시각 t2).
② 한쪽의 노즐에 의한 단독 프리세트 급유(제4도)
급유자가 노즐(11A)을 벗김에 따라 노즐스위치(13A)가 온되면, 전자밸브(9A)가 열림과 동시에 펌프(3)가 유류의 퍼올림을 시작한다(시각 t1). 노즐(11A)을 차량급유구에 설치후 프리세트 설정장치(15)에 의하여 프리세트값을 설정입력하면, 프리세트데이터가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A)과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에 공급된다.
급유의 진전에 따라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A)은 급유량 연산수단(19A)으로부터 공급되는 급유량 데이터가 상기 프리세트 데이터 근방의 프리세트 예비치에 도달했다고 판정되면, 예비치 검출신호를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과 RSFF(20B)의 세트 입력단(S)에 공급한다. 그에따라 조정신호(“0”)가 프리세트 조정 급유수단(18A)으로부터 앤드게이트(21A)의 제2입력단으로 공급된다. 이때 오어게이트(37A)의 제1입력단이 “0”, 오어게이트(37B)의 제1 및 제2입력단이 함께 “0”이기 때문에 오어게이트(42)의 출력이 “0”으로 되어 펌프모터 구동회로(43)가 펌프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켜 펌프(3)가 유류의 퍼올림을 정지한다(시각 t2).
그이후 조정급유단계로 이행하게 되는바, 펌프모터(4)에 의한 펌프(3)의 간헐전에 의해 노즐(11A)로부터 차량탱크내로 급유잔량(상기 프리세트값-상기 프리세트 예비치)이 주입되고, 이어서 전자밸브(9A)가 닫히고 프리세트 급유가 종료한다(시각 t3). 노즐(11A)을 되돌려걸면, 이때 노즐(11B)은 되돌려져 있기 때문에 “1”신호가 앤드게이트(30A)로부터 밸브열림 검지수단(36A)에 공급된다. 동 수단(36A)은 펌프모터 구동신호(“1”)를 출력하여 펌프모터 구동회로(43)로서 펌프모터(4)를 구동함과 동시에 전자밸브 열림신호(“1”)를 출력하여 전자밸브(9A)를 연후(시각 t4) 노즐(11A)의 밸브 개/폐검지를 위해 미소유량을 흐르게 한다.
이 경우 상기 미소유량이 상기 밸브열림 기준치를 넘었을 때 즉, 노즐(11A)을 열린 상태 그대로 되돌려 걸었을 때에는 밸브열림 검지수단(36A)으로부터 열림검지신호(“1”)가 출력되기 때문에 밸브열림 통보기(14A)가 작동하여 노즐(11A)이 열렸음을 알리게 된다. 이 경우에는 다음에 노즐(11A)을 벗겨도 펌프모터(4)는 구동하지 않고 또한 전자밸브(9A)는 열리지 않기 때문에 노즐(11A)을 노즐걸이(12A)에서 벗기는 순간 노즐(11A)이 열려있기 때문에 기름을 누출시키는 일도 없고, 그 다음에 노즐(11A)을 닫는 조작을 하여 노즐걸이(12A)로 되돌려 걸면 다시 밸브 개/폐검지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미소유량이 상기 밸브열림 기준치 이하일 때 즉, 노즐(11A)을 닫아서 되돌려걸었을때는 전자밸브(9A)가 닫힌다(시각 t5).
③ 양쪽의 노즐에 의한 동시 통상급유(제5도)
A급유자에 의해 노즐(11A)이 벗겨짐에 따라 노즐스위치(13A)가 온으로 되면, 전자밸브(9A)가 열림과 동시에 펌프(3)가 유류의 퍼올림을 개시한다(시각 t1). A급유자는 A차량의 통상급유를 개시한다. 이어서 B급유자에 의해 노즐(11B)이 벗겨짐에 따라 노즐스위치(13B)가 온으로 되면, 전자밸브(9B)가 열린다(시각 t2). B급유자는 B차량의 통상급유를 개시한다.
A급유자가 통상급유를 종료하고 노즐(11A)을 되돌려걸면 노즐스위치(13A)가 오프되어 전자밸브(9A)가 닫힌다(시각 t3), 이어서 B급유자가 통상급유를 종료하고 노즐(11B)을 되돌려걸면, 노즐스위치(13B)가 오프로 되어 전자밸브(9B)가 닫혀짐과 동시에 펌프(3)가 유류의 퍼올림을 정지한다(시각 t4).
④ 한쪽 노즐에 의한 프리세트급유 및 다른 한쪽의 노즐에 의한 통상급유(제6도)
A급유자에 의해 노즐(11A)이 벗겨짐에 따라 노즐스위치(13A)가 온으로 되면, 전자밸브(9A)가 열림과 동시에 펌프(3)가 유류의 퍼올림을 시작한다(시각 t1). A급유자는 노즐(11A)을 A차량의 급유구에 설치하고, 프리세트 설정장치(15)로서 프리세트값을 설정입력후 프리세트급유를 개시한다. 이어서 B급유자에 의하여 노즐(11B)이 벗겨짐에 따라 노즐스위치(13B)가 온으로 되면, 전자밸브(9B)가 열린다(시각 t2). B급유자는 노즐(11B)을 B차량의 급유구에 설치하고, 통상급유를 개시한다.
A차량에의 급유량이 프리세트예비치에 도달하면, 예비치 검출신호(“1”)가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A)으로부터 RSFF(20B)의 세트입력단(S)에 공급되어 RSFF(20B)의 0출력단으로부터 “0”신호가 앤드게이트(31B)의 제1입력단으로 공급된다. 이때 오어게이트(38B)의 제1 및 제2입력단은 “0”이기 때문에 그 출력도 “0”로 되어 전자밸브(9B)가 닫힌다(시각 t3). 그에따라 노즐(11B)에 의한 급유가 중단된다.
다음에 조정신호(“0”)가 앤드게이트(21A)의 제2입력단에 공급되는데, 이때에는 오어게이트(37A)의 제1입력단이 “0”, 오어게이트(37B)의 제1 및 제2입력단이 함께 “0”이기 때문에 펌프모터 구동회로(43)가 펌프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켜 펌프(3)의 유류 퍼올림을 정지시킨다(시각 t4). 그후 조정급유단계를 이행하게 되는바, 펌프(3)의 간헐운전에 의해 노즐(11A)로부터 A차량의 탱크내에 급유잔량이 주입되면, 전자밸브(9A)가 닫히고, A차량의 프리세트급유가 종료된다(시각 t5).
또한 이때 프리세트급유 종료신호(“1”)가 RSFF(20B)의 리세트 입력단(R)에 공급되기 때문에 그출력이 “1”로 됨과 동시에 노즐스위치(13B)가 온되어 있기 때문에 앤드게이트(40B)의 제2입력단이 “1”이 되고, 또 앤드게이트(40B)의 제1입력단이 “1”인 까닭에 오어게이트(38B)의 출력이 “1”로 되어 전자밸브(9B)가 열린다. 동시에 펌프(3)의 운전이 재개되어 노즐(11B)에 의한 급유가 재개된다.
A급유자가 노즐(11A)을 되돌려걸면, 이때 노즐(11B)은 벗겨져 있기 때문에 “1”신호가 앤드게이트(29A)로부터 밸브열림 검지수단(36A)에 공급된다. 동 수단(36A)은 전자밸브열림 신호(“1”)를 출력하는 결과, 노즐(11A)의 밸브 개/폐검지를 위하여 전자밸브(9A)가 열린다(시각 t6). 그후 노즐(11A)의 밸브닫힘이 확인되면, 전자밸브(9A)가 닫힌다(시각 t7).
그동안 노즐(11B)에 의한 통상급유가 계속되고 있다.
다음에 B급유자가 노즐(11B)을 되돌려걸면, 노즐스위치(13B)가 오프로 되어 전자밸브(9B)가 닫힘과 동시에 펌프(3)가 유류의 올림을 정지한다(시각 t8).
⑤ (a) 양쪽의 노즐에 의한 프리세트 급유(제7도)
A급유자에 의해 노즐(11A)이 벗겨짐에 따라 노즐스위치(13A)가 온되면, 전자밸브(9A)가 열림과 동시 펌프(3)가 유류의 퍼올림을 시작한다(시각 t1). A급유자는 노즐(11A)을 차량(A)의 급유구에 설치하고, 프리세트값 설정장치(15)로서 프리세트값을 설정입력후 프리세트급유를 시작다. 이어서 B급유자에 의해 노즐(11B)이 벗겨짐에 따라 노즐스위치(13B)가 온되면, 전자밸브(9B)가 열린다(시각 t2). B급유자는 노즐(11B)을 차량(B)의 급유구에 설치하고, 프리세트급유를 시작한다.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A)이 A차량에의 급유량 데이터가 프리세트 예비치에 도달했다고 판정하게 되면, 예비치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전자밸브(9B)가 닫힌다(시각 t3).
그에따라 노즐(11B)로부터의 유류의 토출이 저지되어 B차량에 대한 급유가 중단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한쪽의 노즐에 의한 급유가 조정급유단계이면, 다른쪽의 노즐을 닫아 주어야만 정확한 프리세트급유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후 조정급유단계를 이행하게 되는바, 펌프(3)의 간헐운전에 의해 노즐(11A)에서 A차량 탱크내로 급유잔량이 주입되면, 전자밸브(9A)가 닫히고, A차량으로의 프리세트급유가 종료된다(시각 t4). 또 이때 프리세트급유 종료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전자밸브(9B)가 열림과 동시에 펌프(3)의 운전이 재개되어 노즐(11B)에 의한 B차량으로의 급유가 재개된다.
A급유자가 노즐(11A)을 노즐걸이로 되돌려걸면, 이 경우 노즐(11B)에 의한 프리세트급유가 조정급유단계로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에 전자밸브(9A)가 열려 미소유량을 흐르게 함으로써 노즐(11B)에 의한 프리세트급유가 조정급유단계로 이행할대(시각 t7)까지의 사이를 이용하여 노즐(11A)의 밸브 개/폐 검지가 이루어지며(시각 t5) 즉, 노즐(11A)의 개/폐검지를 위해서는 전자밸브(9A)를 열어 미소유량을 흐르게 하여야 하나, 이때는 노즐(11B)에 의한 급유가 프리세트단계가 아니어야만 정확한 프리세트급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11B)에 의한 프리세트급유가 조정급유단계(t7)로 들어가기 이전(시각 t5)에서 노즐(11A)의 개/폐검지가 이루어지게 되고, 노즐(11A)의 밸브닫힘이 검지되면, 전자밸브(9A)가 닫힌다(시각 t6).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B)은 B차량으로의 급유량 데이터가 프리세트 예비치에 도달했다고 판정되면, 예비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시각 t7). 그후 펌프(3)의 간헐 운전에 의하여 노즐(11B)로부터 B차량 탱크내로 급유잔량이 주입되면 전자밸브(9B)가 닫히고, B차량으로의 프리세트급유가 종료된다(시각 t8).
B급유자가 노즐(11B)을 되돌려걸면 이때에는 전자밸브(9A)가 닫힌(시각 t6)이후로서 노즐(11A)에 의한 프리세트급유가 조정 급유단계가 아니므로 전자밸브(9B)가 열려 미소유량을 흐르게 함으로써 노즐(11B)의 개,폐검지가 이루어지고(시각 t9), 노즐(11B)의 닫힘이 검지되면 전자밸브(9B)가 닫힌다(시각 t10).
⑤ (b) 양쪽의 노즐에 의한 프리세트급유(제8도)
제8도의 예에서는 상기 제7도에 있서의 시각 t1∼t4까지는 같은 제어이기 때문에 시각 t5 이후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리세트 예비치 판정수단(17B)은 B차량으로 급유량 데이터가 프리세트 예비치에 도달했다고 판정하면 예비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시각 t5). 그후 조정급유단계를 이행하게 되는바, 펌프(3)의 간헐운전으로 노즐(11B)에서 B차량 탱크내로 급유잔량이 주입된다. 이 사이에 A급유자가 노즐(11A)을 되돌려걸었을때(시각 t6) 노즐(11B)에서는 조정급유단계에 있기 때문에 전자밸브(9A)는 열리지 않는다(만일 이 경우 전자밸브(9A)를 열어주게 되면, 노즐(11B)의 조정급유단계에서 노즐(11A)의 밸브가 열리게 되어 정확한 프리세트급유를 할 수 없게 된다.).
B차량에의 프리세트급유가 종료되면(시각 t7), 그후 전자 밸브(9A)가 열려 미소유량을 흐르게 함으로써 노즐(11A)의 밸브 개/폐가 검지되고(시각 t8), 노즐(11A)의 밸브닫힘이 검지되면 전자밸브(9A)가 닫힌다(시각 t9).
이어서 B급유자가 노즐(11B)을 되돌려걸면, 이때에는 노즐(11A)에 의한 프리세트급유가 조정급유단계가 아니므로 전자밸브(9B)가 열려 미소유량을 흐르게함으로써 노즐(11B)의 밸브 개/폐검지가 이루어지고(시각 t10), 노즐(11B)의 밸브닫힘이 검지되면 전자밸브(9B)가 닫힌다(시각 t11).
[변형예]
① 상기 실시예는 프리세트급유시의 조정급유단계에 있어서의 유량에 따라 펌프모터를 정지제어하여 프리세트급유를 종료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정급유단계에 있어서의 유속에 의한 초과량을 예측하고, 프리세트값에서 상기 초과량을 검산한 시점에서 펌프모터를 정지제어하여 프리세트급유를 종료시키는 구성으로 해도된다.
② 또한 상기 예에서는, 2개의 급유계통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수의 복수 급유계통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펌프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급유펌프의 토출측에 각각 접속되고 또 유량계와 급유호스 및 급유노즐을 갖는 복수의 급유계통을 구비하여 상기 각 급유계통의 각 급유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각 급유계통마다 독립시켜서 급유를 하게끔 할 수 있도록 한 급유장치에 있어서,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노즐에 의한 급유시에 프리세트값을 미리 설정입력하기 위한 프리세트 설정수단과, 상기 각 급유계통마다 설치되어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노즐로부터의 급유를 밸브를 열어줌으로써 허용 또는 닫아줌으로써 저지하는 전자밸브, 상기 각 급유계통마다 설치되어 당해 급유계통의 유량계에 부설된 유량펄스발신기에서 출력되는 유량펄스에 의하여 급유량을 계측하는 급유량 계측수단, 상기 각 급유계통마당 설치되어 당해 급유량 계측수단에 의하여 계측된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량이 상기 프리세트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입력된 프리세트값 이전의 프리세트 예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 이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에 의해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량이 상기 프리세트 예비치에 도달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다른 급유계통의 전자밸브를 닫아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량에 따라 상기 펌프모터를 구동제어하여 당해 급유계통에 의한 프리세트급유를 종료시키는 다른 급유계통 금지수단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① 당해 급유계통에 의한 프리세트급유시에 프리세트 조정급유단계에 들어갔을때는 다른 급유계통의 전자밸브를 닫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프리세트 급유제어에 오차가 발생되는 염려를 방지할 수 있다.
② 그에따라 정확한 프리세트급유를 할 수 있고, 급유작업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음과 더불어 고객 서어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펌프모터(4)에 의하여 구동되는 급유펌프(3)의 토출측에 각각 접속되고 또한 유량계(7A)(7B)와 급유호스(10A)(10B) 및 급유노즐(11A)(11B)을 갖춘 복수의 급유계통(A)(B)을 구비하고, 상기 각 급유계통(A)(B)의 각 급유노즐(11A)(11B)을 사용하여 상기 각 급유계통(A)(B)마다 독립시켜서 급유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 급유장치(1)에 있어서, 당해 급유계통(A)(B)의 급유노즐(11A)(11B)에 의해 급유할 때 프리세트값을 미리 설정입력하기 위한 프리세트값 설정수단(15)과, 상기 각 급유계통마다 설치되어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노즐(11A)(11B)로부터의 급유를 밸브를 열리게 함으로써 허용 또는 밸브를 닫히게 함으로써 저지시키는 전자밸브(9A)(9B), 상기 각 급유계통마다 설치되어 당해 급유계통의 유량계(7A)(7B)에 부설된 유량펄스발신기(8A)(8B)에서 출력되는 유량펄스에 따라 급유량을 계측하는 계측수단(19A)(19B), 상기 각 급유계통마다 설치되어 상기 급유량 계측수단(19A)(19B)으로 계측된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량이 상기 프리세트값 설정수단(15)에 의해 설정입력된 프리세트값 직전의 프리세트 예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프리세트 급유 예비치 판정수단(7A)(7B) 및 상기 프리세트급유 예비치 판정수단(17A)(17B)에 의해 당해 급유계통의 급유량이 상기 프리세트 예비치에 도달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다른 급유계통의 전자밸브(9A)(9B)를 닫아 당해 급유게통의 급유량에 따라서 상기 펌프모터(4)를 구동제어하여 당해 급유게통에 의한 프리세트급유를 종료시키는 다른 급유계통 금지수단(20A)(20B)을 구비하여서 된 급유장치.
KR2019890008330U 1988-06-17 1989-06-16 급유장치 KR93000332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80402 1988-06-17
JP1989080402U JPH0324355U (ko) 1989-07-07 1989-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721U KR900000721U (ko) 1990-01-18
KR930003323Y1 true KR930003323Y1 (ko) 1993-06-09

Family

ID=1371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330U KR930003323Y1 (ko) 1988-06-17 1989-06-16 급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24355U (ko)
KR (1) KR9300033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4256B2 (ja) * 2003-12-18 2010-10-20 株式会社ブイエスディー 加水石油燃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721U (ko) 1990-01-18
JPH0324355U (ko) 1991-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3158B2 (ko)
KR930003323Y1 (ko) 급유장치
JPH0447120Y2 (ko)
JP3005723B2 (ja) 定量給液制御装置
JP3039022B2 (ja) 給油装置の制御装置
JPS5830993A (ja) 給油装置
JPH07187298A (ja) 給油装置
JPS5830994A (ja) 給油装置
JP4428857B2 (ja) 給油装置
JPH0113116Y2 (ko)
JP2000079996A (ja) 給油装置
JP2561094B2 (ja) 給油装置
JPH0642327A (ja) オイル交換装置
JPH0123399B2 (ko)
JPS63162497A (ja) 給油装置
JPH10291599A (ja) 給油装置
JPH0344720Y2 (ko)
JPS60204500A (ja) 懸垂式給油装置
JP3518182B2 (ja) 給油装置
JPH03111299A (ja) 給油装置
JP3664772B2 (ja) 給油装置
JPH09169400A (ja) 給油装置
JPS6221597Y2 (ko)
JPS6213997Y2 (ko)
JPH11255299A (ja) 自動給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