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455B1 - 프린터의 용지이송기구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용지이송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455B1
KR930002455B1 KR1019890016309A KR890016309A KR930002455B1 KR 930002455 B1 KR930002455 B1 KR 930002455B1 KR 1019890016309 A KR1019890016309 A KR 1019890016309A KR 890016309 A KR890016309 A KR 890016309A KR 930002455 B1 KR930002455 B1 KR 930002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pressure spring
contact
support
fric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606A (ko
Inventor
야스시 고이께
아끼오 다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오샤
요꼬야마 유우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오샤, 요꼬야마 유우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오샤
Publication of KR90000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36Rollers co-operating with a roller platen
    • B41J13/048Front and rear rollers both mounted on a common carrier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린터의 용지이송기구
도면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마찰이송상태의 정면도.
제2도는 캠수단의 회전기구의 정면도.
제3도는 마찰이송과 트랙터이송과의 전환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정면도.
제4도는 가압스프링의 확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래튼 4 : 마찰로울러
5 : 지지체 5b : 다리부(脚部)
5c : 맞닿음부 6 : 가압스프링
6b : 혀형상부(舌部) 9 : 캠수단
본 발명은 예컨대 용지이송의 수단으로서 트랙터이송 기구와 마찰이송기구를 함께 구비하고 있는 프린터의 용지이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랙터이송기구와 마찰이송기구를 함께 구비하고 있는 프린터에서는, 플래튼에 탄성 접촉하는 마찰로울러의 탄성접촉력을 용지이송의 형태에 맞추어서 전환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환기구에 의해 마찰로울러는 마찰이송시에 플래튼에 강하게 탄성접촉하고 트랙터 이송시에는 약하게 탄성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본원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특원소 60-243323호에는 복잡한 형상을 한 캠과, 이것에 추종하는 캠종동자와, 많은 레버와, 1개의 가압스프링을 사용하여 마찰 로울러의 플래튼에 대한 탄성접촉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기구는 트랙터이송과 마찰이송과의 각각에 맞추어서 기록지와 플래튼간의 마찰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나, 종래의 것으로는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에 시간이 걸릴뿐더러 각 용지이송의 형태에 있어서의 기록지와 플래튼 간의 마찰력을 적절한 것으로 설정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트랙터이송과 마찰이송에 있어서 기록지와 플래튼간의 마잘력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있고, 그위에 조립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지이송기, 플래튼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하고 있는 마찰로울러와, 상기 플래튼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마찰로울러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플래튼과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혀형상부가 상기 지지체의 다리부에 항상 그 자연상태 보다도 상기 플래튼과 반대방향으로 변위되어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혀형상부이외의 부분이 상기 지지체의 맛닿음부에 그 자연상태 보다도 상기 플래튼과 반대방향으로 변위되어서 맞닿음 가능하며 상기 지지체를 통하여 상기 마찰로울러를 상기 플래튼에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제1의 회전위치에 있을때 상기 가압스프링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가압스프링의 상기 혀형상부 이외의 부분을 상기 지지체의 맞닿음부로 부터 분리시키고 제2의 회전위치에 있을때 상기 가압스프링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가압스프링의 상기 혀형상부 이외의 부분이 상기 맞닿음부에 맞닿는 것을 허용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캠수단은, 제1의 회전위치에 있을때에 지지체의 맞닿음부를 가압스프링으로부터 분리시켜, 마찰로울러를 혀형상부만의 탄성력(약한 탄성력)에 의해 플래튼에 가압시킨다. 또 제2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지지체의 맞닿음부를 가압스프링에 맞닿게하여 마찰로울러를 가압스프링 전체의 탄성력(강한 탄성력)에 의해 플래튼에 가압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플래튼(1)은 축(2)에 고착되어 있고, 축(2)의 양단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고 있는 옆판(3)(제2도시)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플래튼(1)의 아래쪽에서는 플래튼의 외주면에 마찰로울러(4···)가 탄성접촉하고 있다. 또 플래튼(1)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체(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체에 마찰로울러(4)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체(5)의 상승면에는 마찰로울러(4)의 축(4a)을 축받이하는 U홈(5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5)의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가압스프링(6)에 연결되는 다리부(5b···)와, 이 가압스프링에 맞닿기 가능한 맞닿음부(5c, 5c)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다시 캠수단(7)이 통과가능한 오목부(5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부(5b)의 돌출길이는 맞닿음부(5c)의 돌출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가압스프링(6)은 판 스프링으로서 지지체(5)를 통하여 마찰로울러(4)를 플래튼(1)에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즉,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일부에 4개의 U자홈(6a···)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이 홈에 의해 4개의 혀형상부(6b···)가 형성 되어 있다.
이 혀형상부의 선단부에는 다리부(5b)가 끼워맞춤되는 연결구멍(6c···)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가압스프링(6)의 양단부에는 걸어두기구멍(6d, 6e)이 설치되어 있고, 지판(地板)(8)의 걸어두기부(8a, 8b)에 이 걸어두기구멍(6d, 6e)을 걸어두기 함으로써, 가압스프링(6)을 소정위치에 지지시키고 있다. 맞닿음부(5c, 5c)는 가압스프링(6)의 혀형상부(6b)이외의 면에 맞닿게 하도록 되어 있다.
가압스프링(6)의 윗면을 횡단(제4도 상하방향) 또는 지지체(5)의 오목부(5d)를 관통하여, 캠수단(7)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캠수단(7)은 봉(捧)형상을 하고 있고, 그 양단부의 축(7c)에서 옆판(3)(제2도시)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캠수단(7)은 제1캠면(7a)과 제2캠면(7b)을 구비하고 있다. 제1캠면(7a)은 캠수단(7)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큰 평면상의 캠면으로서 캠수단(7)의 제1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가압스프링(6)에 걸어맞춤하여 지지체(5)의 맞닿음부(5c)를 가압스프링(6)으로부터 분리하게 한다. 또 제2캠면(7b)은 캠수단(7)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제1캠면(7a)의 경우 보다도 작은 평면상의 캠면으로서, 캠수단(7)의 제2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가압스프링(6)과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여 가압스프링(6)이 맞닿음부(5c)에 맞닿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
플래튼(1)과 대향하여 인자헤드(9)가 도시되지 않은 캐리지상에 배열설치해 있고, 플래튼(1)을 통하여 인자헤드(9)의 반대측에는, 트랙터기구(10)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트랙터기구(10)는, 옆판(3)에 그 양단부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있는 축(11)에 상대적으로 회전불능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또한 P는 기록지이다.
제2도는 마찰이송과 트랙터이송을 전환할때에 캠수단(7)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즉 옆판(3)의 바깥쪽에는 플래튼(1)의 축(2)의 선단부 및 캠수단(7)의 축(7c)의 선단부가 돌출하고 있다. 축(2)의 돌출단에는 조작레버(12)가 요동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조작레버(12)는 한단부에 외부로부터 조작가능한 조작부(12a)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단부에 섹터기어(12b)가 형성되어 있다. 캠수단(7)의 축(7c)의 돌출단에는, 섹터기어(12b)에 맞물리는 피니언(13)이 고착되어 있다.
마잘이송시에는, 조작레버(12)는 제2도의 실선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고, 캠수단(7)은 제2의 회전위치에 있다. 이때 캠수단(7)의 제2캠면(7b)은 가압스프링(6)에 간극을 가지고 대향하여 가압스프링(6)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도와 제3도의 실선도시와 같이 맞닿음부(5c)는 가압스프링(6)에 맞닿아 있고, 가압스프링(6)의 탄성력은 지지체(5)를 통하여 마찰로울러(4)에 미치고 있다. 즉, 마찰로울러(4)는 가압스프링(6) 전체의 강한 탄성력을 받아서 기록지(P)를 강한 힘으로 플래튼(1)에 탄성가압하여 마찰이송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트랙터 이송을 선택할 때에는 조작레버(12)를 조작부(12a)에 의해 제2도 쇄선의 위치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 요동에 의해 섹터기어(12b)를 통하여 피니언(1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캠수단(7)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의 회전위치로 되고, 제3도 쇄선도시와 같이 그 제1캠면(7a)이 가압스프링(6)에 걸어맞춤된다.
가압스프링(6)은 제1캠면(7a)에 밑으로 눌려져서 휘므로, 맞닿음부(5c)는 가압스프링(6)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문에 지지체(5)는 가압스프링(6)의 혀형상부(6b)만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당하게 되고, 마찰로울러(4)는 약한 힘으로 플래튼(1)에 탄성 접촉하게 된다. 즉 혀형상부(6b)의 탄성력은 가압스프링(6) 전체의 탄성력보다 약하므로, 트랙터이송의 경우에는 마찰이송의 경우 보다도 약한 탄성력으로 마찰로울러(4)가 기록지(P)를 플래튼(1)에 탄성가압하고 기록지(P)는 적절한 장력을 가지고 이송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다리부(5d)의 돌출길이가 맞닿음부(5c)의 돌출길이보다도 길게되어 있고 다리부(5d)를 받는 혀형상부(6b)가 가압스프링(6)과 동일 평면내에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맞닿음부(5c)의 돌출길이를 다리부(5d)의 돌출길이보다도 길게하고 혀형상부(6b)를 지지체(5)에 굴곡시켜 다리부(5d)를 받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프린터의 용지이송기구는 트랙터이송과 마찰이송의 전환에 따라 마찰로울러의 플래튼에 대한 가압력을 변화하도록 했기 때문에 각각의 용지이송형태에 따라 기록지와 플래튼과의 마잘력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조립시에도, 가압스프링을 팽팽하게 설치하여 지지체, 마찰로울러를 순차적으로 적재하면 되므로, 극히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가압스프링 및 지지체등, 간단한 형상의 약간의 부품만이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코스트 저감이 가능하다.

Claims (2)

  1. 플래튼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하고 있는 마찰로울러와, 상기 플래튼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마찰로울러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플래튼과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혀형상부가 상기 지지체의 다리부에 항상 그 자연상태 보다도 상기 플래튼과 반대방향으로 변위되어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혀형상부이외의 부분이 상기 지지체의 맞닿음부에 그 자연상태 보다도 상기 플래튼과 반대방향으로 변위되어서 맞닿음 가능하며, 상기 지지체를 통하여 상기 마찰로울러를 상기 플래튼에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제1의 회전위치에 있을때 상기 가압스프링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가압스프링의 상기 혀형상부 이외의 부분을 상기 지지체의 맞닿음부로 부터 분리시키고, 제2의 회전위치에 있을때 상기 가압스프링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가압스프링의 상기 혀형상부 이외의 부분이 상기 맞닿음부에 맞닿는 것을 허용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이송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은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조작레버의 요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기구.
KR1019890016309A 1988-11-15 1989-11-10 프린터의 용지이송기구 KR930002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48874 1988-11-15
JP1988148874U JPH0636931Y2 (ja) 1988-11-15 1988-11-15 プリンタの紙送り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606A KR900007606A (ko) 1990-06-01
KR930002455B1 true KR930002455B1 (ko) 1993-04-02

Family

ID=1546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309A KR930002455B1 (ko) 1988-11-15 1989-11-10 프린터의 용지이송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18655A (ko)
JP (1) JPH0636931Y2 (ko)
KR (1) KR930002455B1 (ko)
DE (1) DE3937350A1 (ko)
GB (1) GB2224976B (ko)
HK (1) HK45195A (ko)
SG (1) SG26348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9506A1 (de) * 1989-05-22 1990-11-29 Mannesmann Ag Einrichtung fuer den papiertransport in druckern, insbesondere in matrixdruckern
US5170184A (en) * 1989-12-29 1992-12-08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with improved recording medium conveying device
JP2509858Y2 (ja) * 1990-04-26 1996-09-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の媒体給送機構
US5938356A (en) 1997-03-12 1999-08-17 Encad, Inc. Pinch roller for inkjet printer
US6435746B2 (en) 1997-03-12 2002-08-20 Encad, Inc. Pinch roller for inkjet printer
JP3497388B2 (ja) * 1998-08-31 2004-02-16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4549C2 (de) * 1982-04-20 1985-01-1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Transportvorrichtung für randgelochtes Faltpapier und für Rollenpapier
IT1159359B (it) * 1983-03-07 1987-02-25 Olivetti & Co Spa Dispositivo premicarta per macchine scirventi
JPS60116487A (ja) * 1983-11-30 1985-06-22 Nec Home Electronics Ltd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JPS62103169A (ja) * 1985-10-30 1987-05-13 Seikosha Co Ltd プリンタの紙送り機構
JPS63299957A (ja) * 1987-05-30 1988-12-07 Copal Co Ltd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EP0310731B1 (de) * 1987-10-08 1992-06-10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Aufzeichnungsträgern in Druckern, insbesondere in Matrixdruck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68145U (ko) 1990-05-23
DE3937350A1 (de) 1990-05-17
GB2224976B (en) 1993-02-17
HK45195A (en) 1995-04-07
US5018655A (en) 1991-05-28
GB8924529D0 (en) 1989-12-20
GB2224976A (en) 1990-05-23
SG26348G (en) 1995-09-18
KR900007606A (ko) 1990-06-01
JPH0636931Y2 (ja) 1994-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455B1 (ko) 프린터의 용지이송기구
KR930002454B1 (ko) 프린터의 용지이송기구
US4671441A (en) Monitoring plural feeding in printers
GB2182287A (en) Paper feeding mechanism for a printer
US4708504A (en) Pinch roller assembly for sheet feeding
US4887922A (en) Paper feeding device for printers
JP2531761B2 (ja) サ―マルヘッドの接離駆動機構
JP2656526B2 (ja) 紙送り用トラクタ装置
JPH031259Y2 (ko)
JP2562303B2 (ja) プリンタの紙送り機構
EP0404366B1 (en) Paper pressing arrangement for typewriters
EP0266139A1 (en) Pressure roller actuating mechanism for a printer
KR900006446Y1 (ko) 인자용지 이송장치
JPS6391260A (ja) サ−マルラインプリンタ
JP2542294Y2 (ja) 印字装置の紙送りユニット
JPS5933651Y2 (ja) プリンタの紙送り機構
JPH0230868B2 (ko)
JPH0221236Y2 (ko)
JPS59188468A (ja) 紙送り機構
JP256085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244480A (ja) 印字装置の自動紙厚検出機構
JP3574148B2 (ja) プリンター
KR900001929Y1 (ko) 임프린터(Imprinter)
JPS6246849A (ja) 用紙送りロ−ラ
JPH079646Y2 (ja)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