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007B1 - 조사(組絲) 교체기(交替機)의 집면(集綿)장치 - Google Patents

조사(組絲) 교체기(交替機)의 집면(集綿)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007B1
KR930002007B1 KR1019910000887A KR910000887A KR930002007B1 KR 930002007 B1 KR930002007 B1 KR 930002007B1 KR 1019910000887 A KR1019910000887 A KR 1019910000887A KR 910000887 A KR910000887 A KR 910000887A KR 930002007 B1 KR930002007 B1 KR 93000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adiation
changer
suction
bobb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546A (ko
Inventor
이사오 아사이
도시노리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다지도우 쇽기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다지도우 쇽기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다지도우 쇽기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1001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05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empty packages or cans and replacing by completed (full) packages or cans at paying-out stations; also combined with piecing of the rov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1/00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1/00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 D01H11/005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with blowing and/or suction devices
    • D01H11/006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with blowing and/or suction devices travelling along the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사(組絲) 교체기(交替機)의 집면(集綿) 장치
제1-6도는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개략적 측면도이며,
제2도는 개략적 평면도이며,
제3도는 정방기 기대와 조사 교체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제4도는 배출 파이프와 흡인제거 파이프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이며,
제5도는 흡인 제거 파이프의 부분 측면도이며,
제6도는 흡인 제거 파이프의 부분 평면도이다.
제7-10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7도는 개략적 측면도이며,
제8도는 개략적 평면도이며,
제9도는 정방기 기대와 조사 교체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제10도는 배출 파이프와 흡인 제거 파이프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이다.
제11도는 제3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제12도는 제4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제13도-15도는 제5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3도는 개략적 평면도이며,
제14도는 개략적 측면도이며,
제15도는 개략적 배면도이며,
제16도는 제6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제17도는 제7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제18도는 제8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제19도는 제9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방기 기대 2 : 크릴(CREEL)
5 : 보빈행거(BOBBING HANGER) 10 : 예비레일
12 : 조사교체기 13 : 운반차
17 : 집면실(集綿室) 역할을 하는 조사수집 박스
18 : 흡인파이프 19 : 흡인노즐
21, 42 : 배출파이프 23 : 집중 집면 닥트
26, 29 : 흡인 제거 파이프 43 : 연결흡인 파이프
41 : 집면실 44 : 배출용파이프
B : 조사보빈 F : 만권(萬卷)보빈
R : 조사
본 발명은 조사 교체기의 집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방기의 크릴(CREEL)의 보빈 행거에 매달려 있는 방출중의 보빈과 크릴 바로 앞쪽의 예비 레일에 매달려 있는 만권보빈(실이 가득히 감겨져 있는 보빈을 말함)과를 교체하는 조사 교체 작업을 정방기 기대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기대의 한쪽 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조사 교체 작업시의 만권보빈으로 부터 조사의 단부를 인출하는 조사의 인출 작업을 흡인 파이프를 사용하여 행하는 조사 교체기의 집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집면장치(集綿裝置 : Cotton Collecting device)라함은 집면 박스 속에 수용된 조사를 다시 다른 곳에 모아서 회수하는 장치를 말하며, 집면 박스라 함은 조사의 단부를 인출하는 작업에 의하여 발생되어 나오는 조사를 일시적으로 모아서 수용하는 박스를 말하며, 조사는 면(綿)의 일종의 긴 집합체이므로 조사를 모으는 것을 집면이라고 표현하기로 한다.
정방기, 특히 링정방기에서는 크릴에 매달린 조사 보빈으로 부터 조사를 인출하여 아래쪽의 드래프트(DRAFT)부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조사의 드래프트부에 공급이 진행되면서 조사 보빈이 공백 상태가 되면 새로운 조사 보빈과 교체하여야하며, 이때에 방출중의 조사에 새로히 교체하는 조사 보빈의 조사단부를 연결하여 주거나 혹은 새로히 조사보빈의 조사를 정방기의 드래프트부에 삽입 하여야할 필요가 있게 된다.
정방 과정의 생략화를 위하여 전기한 조사 연결 작업 및 조사 교체 작업을 정방기 기대의 한단부에서 순차적으로 행하는 교체기가 제안되어, (일본 특개소62-57957호 공보)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조사 교체기에서는 새로히 교체하기 위하여 만권보빈(예비조사보빈)으로 부터 조사의 단부를 흡인 작용에 의하여 인출한후, 조사 이름 장치에 의하여 그 조사 단부를 방출중의 조사에 조사연결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이 경우 조사 연결, 장치의 파지부로부터 돌출되는 조사 단부의 길이를 거의 일정하게 하므로 인출한 조사의 일부를 절단함과 동시에 조사 교체기에 장치한 집면실(集綿室)에 수용하여 집면실에 조사가 가득차게 된 시점에서 작업자가 손 작업으로 집면실 내의 조사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방적 공장에서는 좁은 공간에 많은 정방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관계로 조사 교체기도 소형의 것이 요망 되어 조사 교체기에 장치되는 집면실의 용적도 적게 하고 있다. 그리고, 태번수(太番手) 방적시에는 정방기에 공급되는 조사의 굵기가 굵게되는 관계로 조사 교체기가 한대의 정방기 기대의 조사 교체 작업을 행하면 집면실내에 조사가 가득차게 되고 작업자가 집면실 내로 부터 조사를 제거하는 작업의 횟수가 많아지며, 작업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 집면실 내로 부터의 조사 회수 작업은 특히 짧은 섬유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면(綿) 100% 등으로된 조사의 경우 비산(飛散)되는 섬유가 많이 발생하여 작업 환경도 좋지 않게 되는 결과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전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제1의 목적은 조사 교체기에 장치된 집면실 내로 부터의 조사의 회수 작업을 완전히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조사 교체기의 집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제2의 목적은 조사 교체기에 장치된 집면실내로 부터 회수된 조사의 회수 작업을 작업자의 손작업에 의하여 행할 경우에도 그 작업 회수를 적게 할 수 있는 조사 교체기의 집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정방기의 크릴의 보빈 행거에 매달려 있는 방출중의 보빈과 크릴 바로 앞의 예비 레일에 매달려 있는 만권보빈과 교환하는 조사 교체 작업을 정방기 기대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조사 교체 작업시의 만권보빈으로 부터 조사 단부를 인출하는 조사 단부 인출작업을 흡인 파이프를 사용하여 행하는 조사 교체기에 있어서 조사 교체기에 전기한 조사 인출 작업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조사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집면실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집면실에 연결되어 통하는 배출파이프를 설치하고 그 배출 파이프를 개재하여 전기한 집면실 내의 조사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경우에는 조사 교체기에 설치된 집면실 내의 조사를 흡인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정방기 기대의 조사 교체기의 이동 위치에 한쪽 단부가 집중 집면 닥트에 접속된 흡인 제거 파이프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흡인 제거 파이프를 집면실에 연결하는 배출 파이프와 연결 되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또, 조사 교체기에 설치된 집면실 내의 조사를 흡인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조사 교체기를 조사 교체를 하여야 하는 정방기 기대와 대응하는 위치로 운반하는 운반차에 조사 교체기의 집면실 보다도 큰 집면실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집면실에는 조사 교체기 쪽에 설치된 흡인 파이프와 배출용 파이프를 연결하여 전기한 운반차의 주행로(走行路)와 대응하는 위치에 집중 집면(集中集綿) 닥트에 연결된 흡인 파이프를 전기한 운반차에 장치된 배출용 파이프와 연결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사 교체 작업시의 조사 인출 작업으로 발생되는 불필요한 조사의 단부가 조사 교체기에 장치된 집면실에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그리고, 조사 교체기가 이동하였을 때는 흡인 제거장치에 연결되어 흡인 제거 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조사 교체기에 장치된 집면실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조사는 조사 교체기가 이동하였을 경우에 집중 집면 닥트에 연결된 흡인 제거 파이프에 배출 파이프가 연결된다. 그리고, 집면실 내의 조사는 배출 파이프 및 흡인 파이프를 경유하여 집중 집면 닥트에 배출된다.
또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는 조사 교체기가 조사 교체 작업 완료후 운반차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귀한 다음 조사 교체기의 집면실이 배출 파이프 및 흡인 파이프를 경유하여 운반차의 집면실과 연결되며, 조사 교체기의 집면실 내의 일시적으로 수용된 조사가 운반차의 집면실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용 파이프가 집중 집면 닥트에 연결된 흡인 제거 파이프에 연결된 상태로 운반차의 집면실에 수용된 조사가 배출용 파이프 및 흡인 제거 파이프를 경유하여 집중 집면 닥트에 배출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1도-제6도에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정방기 기대(1)의 크릴(2)에는 기대의 좌우 양쪽에 각각 내외로 그 열의 조사를 감는 보빈의 레일(3)이 기대의 길이 방향과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조사보빈 레일(3)의 사이에는 크릴 레일(4)가 기대의 길이 방향과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조사 보빈 레일(3)에는 각 스핀들 핏치의 두배(2倍)의 간격으로 보빈 행거(5)가 장치되어 있으며, 보빈 행거(5)에 매달린 조사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조사(R)가 로-빙 가이드(6)을 경유하여 드래프트부(7)의 트럼팻트(TRUMPET)(8)로 유도하게 되어있다.
또 크릴(2)에는 지지 브래킷트(9)가 바깥쪽으로 나와있고, 그 선단에는 예비레일(10)이 조사보빈레일(3)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예비레일(10)에는 보빈 행거(11a)를 구비한 운송체(11)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조사 교체기(12)는 정방기 기대(1)의 길이 방향과 직교(直交)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운반차(13)의 좌우 양쪽에 탑재(塔載)되어 조사 교체 작업을 필요로 하는 정방기 기대(1)과 대응하는 위치까지 운반되어 해당 위치에서 운반차(13)으로 부터 정방기 기대(1)의 좌우 양쪽에 설치된 레일(14)에 따라서 이동하여 조사 교체 작업 및 조사 연결 작업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사 교체기(12)는 조사 교체 작업시에 만권보빈(F)로 부터 조사 단부를 인출하는 조사 인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조사 인출장치는 조사 교체기(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모우터(15)에 의하여 구동되는 흡기 팬(FAN)(16)을 구비한 집면실로서의 조사 수집 박스(17)과 그 조사 수집상자(17)에 연결된 횹인 파이프(18)과 그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흡인 노즐(19)들로 구성되어 있다. 흡인노즐(19)의 내부에는 흡인노즐(19)내에 흡인된 조사(R)를 절단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성(예를들면 일본 특공소47-51649호 공보)의 조사 절단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노즐(19)는 만권보빈 기지 하강 장치(20)에 의하여 운송체(運送體)(11)의 보빈행거(1la)로부터 분리되어 조사 인출 작업 위치에 배치된 만권보빈(F)의 하단과 대응하는 인출 위치와 만권보빈(F)로 부터 흡인된 조사(R)를 조사 연결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지지하기 쉬운 위치까지 인출하기 위한 하강위치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구동 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이동배치 되도록 되어 있다.
조사 교체기(12)에는 전기한 조사 수집박스(17)에 연결되는 배출 파이프(21)의 선단이 조사 교체기(12)의 단부 상면으로 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배출 파이프(21)의 선단에는 정방기 기대(1)의 아우트엔드(OE) 쪽에 배출공(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배출파이프(21)의 기본 단위에는 배출공 쪽에만 개방할 수 있는 셧터(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장치되어 흡기(吸氣) 팬(16)에 의한 횹인 작용이 배출파이프(21)의 배출공(21a)에 작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정방기기대(1)에는 작동 중의 절사시에 드래프트부로부터 송출되는 플리-스가 절사추 이외의 추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사시에 플리-스를 확실히 흡인함과 동시에 정상 작동시에 프론트 보텀로울러에 부착된 풍면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뉴마틱 클리어러가 설치되어 있고, 정방기기대(1)의 아우트 앤드(OE) 쪽에는 흡기원(吸氣源)으로서의 뉴-마틱 박스(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정방기 기대(1)의 아우트 앤드(OE) 쪽의 천장에는 집중 집면 닥트(23)이 설치되어 있으며, 뉴-마틱박스(22)는 닥트(24)를 사이에 두고 집중 집면 닥트(23)에 연결되이 있다. 닥트(24)에는 중간에 밸브(25)가 설치되어 있어 뉴-마틱 박스(22) 쪽으로의 집중 집면 닥트(23)의 흡인 작용이 제어 되도록 되어 있다. 닥트(24)에는 전기한 밸브(25)보다 집중 집면 닥트(23)에 가깝게 조사 교체기(12)의 배출 파이프(21)을 개재하여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를 흡인 제거하는 흡인 제거 파이프(26)이 연결되어 있다. 흡인 제거 파이프(26)은 두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그 선단쪽이 배출 파이프(21)의 배출공(21a)와 대응하는 높이에서 정방기 기대 쪽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흡인 제거 파이프(26)의 입구(26a)의 단면은 제5도에 표시한 것처럼 측면원호상(惻面圓弧狀)으로 형성되어 자동적으로 개폐 되는 도어(27)에 의하여 덮어져 있다. 도어(27)은 제5, 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단(基端)에서 축(28)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선단이 흡인 제거 파이프(26)의 입구(26a) 단면과 접합하는 카버-부(2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카버부(27a)의 전면에는 거의 45°의 경사를 갖은 결함면(結合面)(27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 파이프(21)이 흡인 제거 파이프(26)쪽을 향하여 이동할 경우에 배출 파이프(21)의 상단이 도어(27)의 결합면(27b)와 결합함과 동시에 그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제5도와 같이 도어(27)이 폐쇄 위치로 부터 쇄선으로 표시한 개방 위치로 회동 배치 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전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조사 교체기(12)는 운반차(13)의 좌우양쪽에 탑재되어 조사 작업을 필요로 하는 정방기 기대(1)과 대응하는 위치까지 운반되어 그 위치에서 운반차(13)으로 부터 정방기 기대(1)쪽으로 이동하고 정방기 기대(1)의 좌우 양쪽에 설치된 레일(14)에 따라서 이동하여 순차로 조사 교체 작업 및 조사 연결 작업을 행하게 된다. 조사 교체 작업시에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사인출 장치의 흡인 노즐(19)가 만권보빈(F)의 하단과 대응하는 인출 위치에 이동되어 만권보빈(F)로부터 조사(R)의 단부를 흡인 하여 인출한다.
조사를 인출할때 필요 이상으로 흡인 노즐(19)내에 흡인된 조사(R)의 단부가 조사 절단 부재에 의하여 절단 되고 절단된 조사(R)는 흡인 파이프(18)를 경유하여 조사수집 박스내에 수용된다.
조사 교체 작업 완료후에는 흡기팬(16)의 구동이 정지되며, 조사 교체기(12)가 정방기 기대(1)의 아우트앤드(OE) 쪽으로 설치된 흡인 제거 파이프(26)과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배출 파이프(21)의 배출공(21a)에 흡인 제거 파이프(26)의 입구(26a)가 삽입되어 배출 파이프(21)과 흡인제거 파이프(26)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집중 집면 닥트(23)의 흡인 작용이 흡인 제거 파이프(26) 및 배출 파이프(21)를 경유하여 조사 수집 박스(17)내로 미치게 되는 상태가 되어 조사 수집 박스(17) 내의 조사(R)가 배출파이프(21) 및 흡인 제거 파이프(26)을 경유하여 집중 집면 닥트(23)으로 흡인 제거된다.
그리고, 조사(R)는 집중 집면 닥트(23)에 의하여 원면 공급실로 운송되어 재사용된다.
또한 조사 교체기(12)가 전기한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도시 되어 있지 않은 검지(檢知) 센서의 검지 신호에 의하여 밸브(25)가 닫혀 지고 흡인 제거파이프(26)에의 집중 집면 닥트(23)의 흡인 작용이 강하게 되어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흡인 제거가 확실하게 행하여 진다.
소청시간(수초) 경과후 조사 교체기(12)는 기어엔드쪽을 향하여 이동을 개시하여 기어 엔드 쪽에서 대기하는 운반차(13)을 탑재한후 조사 교체 작업을 필요로 하는 정방기 기대와 대응하는 위치로 운반되는 작용이 반복된다. 조사 교체기(12)가 한대의 정방기 기대(1)의 조사 교체 작업을 완료할때 마다 조사 수집 박스(17) 내의 조사가 자동적으로 흡인 제거 되어 조사 수집 박스(17) 내에 수용되는 조사량이 일정치 이하가 되며, 흡기팬(16)에 의한 흡인력이 너무 내려 가지 않고 흡인 작용이 안정되어 조사 인출 작업시 흡인 작용의 착오가 감소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방직 공장에 기설(旣設)되어 있는 뉴-마틱 장치용의 집중 집면 닥트(23)을 이용하여 조사의 흡인 제거가 행하여 지므로 새로운 설비비를 극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제2실시예를 제7-10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사 교체기(12)의 조사 수집박스(17)내의 조사를 흡인 제거하는 제거 수단이 정방기 기대(1)의 기어앤드(GE) 쪽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전기한 제1실시예와 크게 다르게 되어 있다. 조사 교체기(12) 쪽의 구성은 배출 파이프(21)의 윗쪽이 열려 있는 점만 전기 실시예와 다른점이다. 기어 앤드(GE) 쪽 단부 윗쪽에는 집중 집면 닥트(23)이 설치되어 있다. 집중 집면 닥트(23)에는 조사 교체기(12)가 운반차(13)에 탑재되었을 경우의 배출 파이프(21)과 대응하는 위치에 흡인 제거 파이프(29)가 연결되어 있다. 흡인 제거 파이프(29)는 중간에 지그재그부(29a)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단에 가깝게 밸브(30)이 설치되어 있다.
또 흡인 제거 파이프(29)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에어실린더(31)이 블라킷트(32)를 개재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나가는 상태로 배치되고 그 피스톤 로드(33)의 선단에는 전기한 흡인 파이프(29)의 아래 부분이 삽입된 지지블라킷트(3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로드(33)의 신축에 의하여 흡인 제거파이프(29)가 배출 파이프(21)과 연결될 수 있는 위치와 배출 파이프(21)로 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위치에 이동배치 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평상시에는 밸브(30)이 폐쇄 되어 있으며, 에어실린더(31)의 피스톤 로드(33)이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사 교체기(12)가 전기한 실시예와 정방기 기대(1)의 조사 교체 작업을 완료한후 운반차(13)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귀하면 에어실린더(31)이 작동되어 피스톤 로드(33)이 돌출되어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흡인 제거 파이프(29)가 배출파이프(21)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밸브(30)이 개방되고 집중 집면 닥트(23)의 흡인 작용에 의하여 조사 수집박스(17) 내의 조사가 배출파이프(21) 및 흡인 제거 파이프(29)를 경유하여 흡인 제거 된다.
[실시예 3]
다음에 제3실시예를 제1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전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조사 교체기(12)의 배출 파이프(21) 쪽을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 하고, 흡인 제거 파이프(29) 쪽을 소정 위치에 고정한 것이 다른 점이다.
즉, 흡인 제거 파이프(29)는 하단(下端)이 블라킷트(32)에 의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또 조사 교체기(12)의 상부에는 에어실린더(35)가 고정되어 있고, 그 피스톤 로드(36)에 배출 파이프(21)이 지지 블라킷트(37)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배출 파이프(21)에는 지그재그부(21b)가 형성되어 신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기한 제2실시예와 같이 조사 교체기(12)가 정방기 기대(1)의 조사 교체 작업 완료후, 운반차(13)과 대응하는 위치로 복귀한 후, 에어실린더(35)가 작동되어 흡인 제거 파이프(29)에 배출 파이프(21)이 연결된다. 그 다음 계속하여 밸브(30)이 개방되어 조사 수집 박스(17) 내의 조사가 흡인 제거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흡인 제거 파이프(29) 쪽이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정방기 기대(1)의 기어 앤드(GE) 쪽 단부에 흡인 제거 파이프(29)를 신축시키기 위한 에어 실린더(31)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배출 파이프(21) 쪽이 신축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 실린더(35)를 조사 교체기(12)에 한개만 설치한 정방기 기대(1)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하여도 흡인 제거 파이프(29)와 배출 파이프(21)과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며, 에어 실린더의 갯수도 적게할 수 있고, 에어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회로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제1실시예를 12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전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각 정방기 기대(1)의 단부마다 조사 교체기(12)의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를 흡인 제거하는 흡인 제거수단, 즉, 흡인 제거 파이프(26), (29)가 배치되어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흡인 제거 수단이 정방기 기대(1)의 갯수보다 적게 설치되어 있는 점이 전기한 실시예들과 크게 다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전기한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의 구성인 흡인 제거 파이프(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장치된 흡인제거 스테이션(38)이 정방기 기대(1)의 매 3대 마다 1개소의 비율로 설치되어 있다.
또 조사 교체기(12)쪽에는 흡인 제거 스테이션(38)에 설치된 흡인 제거 파이프와 대응하는 구성의 배출 파이프(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사 교체기(12)가 흡인 제거 스테이션(38)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 배치되었을 경우에 전기한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와 같이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를 흡인제거할 수 있다.
조사 교체기(12)가 정방기 한대의 1회 조사 교체 작업을 행한 후에 조사 수집박스(17)내에 수용되는 조사(R)의 량은 방출사의 번수에 따라서 달라지며, 태번수 방출의 경우에는 조사 교체 작업 1회-2회로 조사수집 박스(17)이 가득차게되며, 세번수(細番手)방출의 경우에는 수회(數回)정도의 조사 교체 작업으로 조사 수집 박스(17)이 가득차게 된다.
따라서, 세번수 방출의 경우에는 1회-2회의 조사 교체 작업이 끝날때마다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를 제거를 행할 필요는 없고 조사 교체기(12)가 흡인 제거 스테이션(38)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 배치되었을때에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를 흡인 제거하게 된다. 또 태번수 방출의 경우에는 1회-2회의 조사 교체작업이 끝날때 마다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의 제거를 행할 필요가 없고,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를 흡인 제거하지 않고 조사 교체 작업을 계속하면 흡수 효율이 낮아지며, 조사 단부의 인출 작업의 착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피하기 위하여 태번수 방출의 경우에는 1회-2회의 조사 교체 작업을 끝낸 다음에 조사 교체 작업을 필요로 하는 정방기 기대(1)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배치되기 전에 조사 교체기(12)가 운반차(13)에 의하여 흡인 제거 스테이션(38)과 대응하는 위치에 운반된다. 그리고,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의 흡인 제거 작업 완료후, 조사 교체 작업을 필요로 하는 정방기 기대(1)과 대응하는 위치로 운반되어 조사 교체 작업이 행하여진다. 운반차(13)에 의하여 조사 교체기(12)가 흡인 제거스데이션(38)이나 소정의 정방기 기대(1)과 대응하는 위치까지 운반되는 경우의 소요 시간은 아주 적으며, 흡인제거작업 시간도 극히 짧으므로 정방기 기대(1)의 운전에 지장을 주는 염려는 없다. 또한 조사 교체기(12)에 조사 교체 작업의 회수를 카운트 하는 계수기(카운터)를 설치하고 조사 교체 작업의 회수가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를 제거하여야 하는 소정의 위치에 도달했을때 계수기의 신호에 의하여 운반차(13)이 조사 교체기(12)를 흡인 제거 스테이션(38)과 대응하는 위치까지 운반하여 흡인 제거를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흡인 제거 스테이션(38)의 수를 보다 적게할 수 있다.
전기한 소정치는 방출 조건에 의하여 다르므로 계수기의 설정치는 가변(可變)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흡인 제거 스테이션(38)의 설정 위치는 정방기 기대(1)과 대응하지 않은 위치에 있어도 상관없다.
[실시예 5]
다음에 제5실시예를 제13도-1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사 교체기(12)의 조사 수집 박스(17)내에 수용된 조사를 일단 운반차(13)에 설치한 집면 실에 수용한 후 흡인 제거하는 점이 전기한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운반차(13)의 정방기 기대(1) 가까이에는 모우터(39)에 의하여 구동되는 흡기팬(40)이 집면실(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집면실(41)은 조사 교체기(12)의 조사 수집 박스(17)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집면실(41)에는 조사교체기(12)의 조사 수집 박스(17)에 연결된 신축성이 있는 배출 파이프(42)와 연결할 수 있는 흡인 파이프(43)이 그 양쪽 좌우에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 집면실(41)의 상부에는 배출용 파이프(44)가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조사 교체기(12)의 하부에는 전기한 연결 흡인 파이프(43)과 대응하는 위치에 에어 실린더(45)가 고정되어 배출 파이프(42)의 선단부가 에어실린더(45)의 피스톤로드(46)에 지지브라킷트(47)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기어앤드(GE)측단부(側端部)의 상방에는 집중 집면 닥트(23)이 설치되어 있고, 집중집면 닥트(23에는 전기한 배출용파이프(44)와 대응하는 위치에 전기한 제2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의 흡인 제거 파이프(29)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33)의 신축성에 의하여 흡인 제거파이프(29)가 배출용 파이프(44)에 연결 가능한 위치와 배출용파이프(44)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이동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흡인 제거 파이프(29)는 각 정방기 마다 설치되지 않고 복수대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사 교체기(12)가 전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정방기 기대(1)의 조사 교체 작업이 끝난후, 운반차(13)과 대응하는 위치로 복귀한 후에 조사 교체기(12)의 에어 실린더(45)가 작동되어 피스톤 로드(46)이 돌출되며, 배출 파이프(42)가 연결 흡인 파이프(43)에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운반차(13)의 흡기팬(40)이 구동되어 그 흡인 작용에 의하여 조사수집박스(17)내의 조사가 집면실(41)로 흡인 제거되며, 흡인 제거 완료후 피스톤로드(46)이 끌려들어가게 되어 배출 파이프(42)와 연결 흡인 파이프(43)과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 작업은 조사 교체기(12)가 다음의 조사 교체작업을 개시할때까지 행하면 되고, 운반차(13)에 의하여 조사 교체 작업을 하여야 하는 정방기 기대(1)과 대응하는 위치에 운반되는 동안에 행하여지고, 조사 교체 기대에 도착한 직후조사 교체 작업을 개시하게 된다. 운반차(13)의 집면실(41)에 회수된 조사는 조사 교체기(12)의 작업중에 적절하게 배출이 행하여진다. 운반차(13)이 흡인 제거 파이프(29)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정지한 상태로 에어 실린더(31)이 작동되어 피스톤 로드(33)이 돌출되고 흡인 제거 파이프(29)가 배출용파이프(44)에 연결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밸브(30)이 개방되어 집중 집면 닥트(23)의 흡인 작용에 의하여 집면실(41)내의 조사가 배출용 파이프(44) 및 흡인 제거 파이프(29)를 경유하여 흡인 제거된다.
운반차(13)의 집면실(41)은 조사 교체기(12)의 조사수집박스(17)에 비하여 그 용적(容積)을 훨씬 크게 할수 있으므로 집면실(41)내의 조사의 흡인 제거 작업의 횟수는 전기한 각 실시예의 경우 보다 적게 되는 것이다.
1회의 흡인제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기한 각 실시예의 경우보다 길어지지만 흡인 제거 작업은 조사교체기(12)의 작업중에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흡인 제거 파이프(29)의 설치 장소를 1-2개소로 하고 조사 교체기(12)의 조사 교체 작업을 기다리는 시간 동안에 그 설치 장소로 이동하여 흡인 제거 작업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와 같이 운반차(13)에 흡인 제거파이프(29)와 연결할 수 있는 배출용 파이프(44)를 설치한 경우에는 조사 교체기(12)에 흡인 제거 파이프(29)와 연결되는 배출 파이프(21)를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흡인제거파이프(29)의 수를 1/2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6]
다음은 제6실시예를 제1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사 교체기(12)쪽의 구성에는 상관없이 운반차(13)에 설치된 집면실(41)내의 조사의 횟수를 작업자가 행하도록 한점이 전기한 제5실시예와 다른점이다. 즉, 운반차(13)에는 집면실(41)이 기어앤드(GE)와 대향하는 위치의 반대쪽에 설치됨과 동시에 그것에 대응하여 연결용 흡인 파이프(43)이 연장되어 있다. 또 집면실(41)에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도어(DOOR)(4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기한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사교체기(12)의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가 집면실(41)로 흡인 제거된다. 그리고 집면실(41)내에 모여있는 조사를 작업자가 적절하게 회수한다. 운반차(13)의 집면실(41)은 조사 교체기(12)의 조사수집박스(17)에 비하여 그 용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집면실(41)내이 조사의 회수 작업 횟수를 종래보다 횔씬 적게 할 수 있다. 또 회수 작업은 조사 교체기(12)의 조사 교체 작업중에도 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7]
다음은 제7실시예를 제17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사 교체기(12)의 배출 파이프(21)를 정방기(1)의 뉴-마틱박스(22)에 접속하며, 조사수집박스(17)내의 조사를 회수하도록 한점이 전기한 제1실시예와 다른점이다.
즉, 조사 교체기(12)가 정방기(1)의 아우트앤드(OE)에 정지하였을때 정방기(1)의 뉴-마틱박스(22)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출파이프(21)이 정방기에 대하여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정방기(1)의 뉴-마틱박스(22)쪽에는 배출파이프(21)를 삽입할 수 있다는 접속구멍(51)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사 교체기(12)가 정방기(1)의 아우트앤드(OE)에 정지하였을때 배출 파이프(21)이 뉴-마틱박스(22)의 접속구멍(51)에 접속되어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가 뉴-마틱박스(22)에 흡인 제거된다. 그리고 뉴마틱 박스(22)내에 모여있는 조사는 닥트(24)에 의하여 흡인 제거된다.
[실시예 8]
다음은 제8실시예를 제1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정방기(1)의 아우트앤드(OE)의 단부에 집면박스(51)를 설치하고, 조사교체기(12)의 배출파이프(21)을 집면박스(51)에 접속시켜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를 회수하도록 한점이 전기 제7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사 교체기(12)가 정방기(1)의 아우트앤드(OE)에 정지하였을때 배출파이프(21)이 집면박스(51)에 접속된다.
그리고 조사 수집박스(17)내의 흡기팬을 역회전시켜서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를 집면박스(51)에 보내게 된다.
집면박스(51)에 모인 조사는 작업자가 적절하게 회수하기도 하나 집중집면 장치로 회수하게 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집면박스(51)내에 흡인장치를 설치하고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를 흡인하여 회수하도록 하여도 된다.
[실시예 9]
다음에 제9실시예를 제19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사 교체기(12)의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 수집 넷트(52)에 부착한 면을 조사 수집넷트(52)로부터 벗겨내기 위한 제1에어블로워관(53)과 조사수집박스(17)내에 모인 면을 집중 집면 닥트(23)으로 회수하는 것을 보조하는 제2에어블로워관(5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전기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조사 수집 넷트(52)에 면이 부착하거나 조사 수집 박스(17)내의 조사를 회수하지 못하면 흡인 파이프(18)의 흡인 정압(靜壓)이 저하된다. 그렇게 되면 흡인 노즐(l9)에 의하여 흡인된 조사는 개섬되지 않고 조사의 상태 그대로 조사 수집 박스(17)을 경유하여 집중집면 닥트(23)에 운반되나 그곳에 걸리거나 팬에 감겨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비하여 흡인 파이프(18)의 흡인 정압이 높게 되면 흡인 노즐(19)에 의하여 흡인될때에 강한 힘이 가하여져서 산산으로 개섬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는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조사 교체가 끝날때마다 제1에어블로워관(53)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을 조사 수집 넷트(52)로 향하여 분사하게 되며, 또 조사 수집 박스(17)에 모인 면을 집중 집면 닥트(23)으로 회수할때마다 제2에어블로워관(54)로 공기의 흐름을 조사 수집 박스(17)의 배출구를 향하여 분사하고 체류된 면의 회수를 보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조사 수집 넷트(52)가 항상 깨끗하게 유지되어 흡인 파이프(18)의 흡인 정압이 높은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바, 예를들면 제5실시예에서 연결 흡인 파이프(43) 혹은 배출용파이프(44)쪽을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흡인 제거 파이프(29)등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에어실린더이외의 구동수단을 사용하거나 집중 집면 닥트(23)을 천장 이외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사 교체기에 장치된 집면실내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조사가 정기적이며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조사 교체기의 집면실 내에 수용되는 조사량이 일정치 이하로 제어되므로 흡인력이 너무 내려가지않고 흡인 작용이 안정되어 조사의 선단을 인출하는 작업시의 흡인 실수가 감소하게 된다.
또 조사 교체기의 집면실의 소형화가 가능한 동시에 흡기팬을 소형화 할 수 있게 되어 동력 소비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 제2, 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조사 교체기의 집면실 내에 수용된 조사의 회수 작업이 완전히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므로 작업자에 의한 조사 회수 작업이 없어지게 되어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 특허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전기한 효과이외에도 집중 집면 닥트에의 회수 작업이 줄어지게 되며 흡인 제거 수단의 설치 장소의 갯수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정방기의 크릴(CREEL)(2)의 보빈 행거(5)에 매달려 있는 방출중의 보빈과 크릴(2)의 앞에 있는 예비레일(10)에 매달려 있는 만권 보빈(F)를 교체하는 조사 교체 작업을 정방기 기대(1)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기대의 한쪽 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사 교체 작업시의 만권 보빈(F)로부터 조사의 단부를 인출하는 조사의 인출 작업을 흡인 파이프를 사용하여 행하는 조사 교체기(12)에 있어서 조사 교체기(12)에 전기한 조사 인출 작업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조사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집면실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집면실에 연결되는 배출 파이프를 설치하고, 조사 교체기의 이동 장소에 접속 가능한 전기한 배출 파이프를 개재하여 전기한 집면실(41)내의 조사를 제거하는 흡인제거 수단을 설치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 교체기의 집면장치.
  2. 정방기의 크릴(2)의 보빈행거(5)에 매달린 방출중의 보빈과 크릴(2)의 앞에 있는 예비 레일에 매달려있는 만권보빈(F)를 교체하는 조사 교체 작업을 정방기기대(1)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기대의 한쪽 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이동하여 행함과 동시에 조사교체 작업시의 만권보빈(F)로부터 조사의 단부를 인출하는 조사 인출 작업을 흡인 파이프를 사용하여 행하는 조사 교체기(12)에 있어서 조사 교체기(12)에 전기한 조사 인출 작업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조사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집면실(41)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집면실(41)에 연결되는 배출파이프(44)를 설치하고 정방기 기대(1)의 단부쪽의 조사 교체기(12)의 이동장소에 한쪽 단부가 집중집면 닥트(23)에 접속된 흡인 제거 파이프(26, 29)를 전기한 배출 파이프(21, 42)와 연결이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 교체기의 집면 장치.
  3. 정방기의 크릴(2)의 보빈 행거(5)에 매달린 방출중의 보빈과 크릴(2)의 앞쪽에 있는 예비 레일에 매달린 만권보빈(F)를 교체하는 조사 교체 작업을 정방기 기대(1)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기대의 한쪽 단부로부터 타단부쪽을 향하여 이동하여 행함과 동시에 조사 교체작업시의 만권보빈(F)로부터 조사의 단부를 인출하는 조사 인출 작업을 흡인 파이프를 사용하여 행하고, 운반차에 탑재된 상태로 정방기 기대(1) 간의 이동을 행하는 조사 교체기(12)에 있어서, 조사 교체기(12)에 전기한 조사 인출 작업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조사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집면실(41)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집면실(41)에 연결되는 배출파이프(21, 42)를 설치하고, 전기한 운반차에도 집면실(41)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집면실(41)에는 한쪽 단부가 전기한 배출파이프(21, 42)와 연결이 가능한 연결 흡인 파이프(43)의 타단부와 배출용 파이프(44)의 한쪽 단부를 연결하여 정방기 기대(1)의 단부의 전기 운반차의 주행로와 대응하는 장소에 한쪽 단부가 집중 집면 닥트(23)에 접속된 흡인 제거 파이프(26, 29)를 전기한 운반차에 장치된 배출용 파이프(44)와 연결이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 교체기의 집면장치.
KR1019910000887A 1990-01-31 1991-01-19 조사(組絲) 교체기(交替機)의 집면(集綿)장치 KR930002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3047 1990-01-31
JP2-023047 1990-01-31
JP2304790 1990-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546A KR910014546A (ko) 1991-08-31
KR930002007B1 true KR930002007B1 (ko) 1993-03-20

Family

ID=1209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887A KR930002007B1 (ko) 1990-01-31 1991-01-19 조사(組絲) 교체기(交替機)의 집면(集綿)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40213B1 (ko)
JP (1) JP3082251B2 (ko)
KR (1) KR930002007B1 (ko)
DE (1) DE6912700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9302B2 (ja) * 1994-12-13 2003-10-20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リリーフ弁の作動状態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7190A (en) * 1936-09-16 1939-02-14 Goodrich Co B F Lint collector for textile machines
FR1188285A (fr) * 1956-12-13 1959-09-21 Bobinoir
CH400869A (de) * 1963-03-21 1965-10-15 Sulzer Ag Textilmaschine
US4333772A (en) * 1980-06-18 1982-06-08 Parks-Cramer Company Traveling pneumatic cleaner and automatic unloading arrangement and method
ES8205024A1 (es) * 1981-03-21 1982-05-16 Pons Ubach Antonia Aparato empalmador de hilos rotos en maquinas continuas de hilar
DE3681233D1 (de) * 1985-09-04 1991-10-10 Howa Machinery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vorgarn in spinnmaschinen.
JP2553052B2 (ja) * 1986-08-25 1996-11-13 豊和工業株式会社 精紡機における篠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546A (ko) 1991-08-31
JP3082251B2 (ja) 2000-08-28
EP0440213A3 (en) 1991-08-21
JPH04214430A (ja) 1992-08-05
EP0440213B1 (en) 1997-07-30
EP0440213A2 (en) 1991-08-07
DE69127003D1 (de) 1997-09-04
DE69127003T2 (de) 199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58995B (zh) 用于卷绕单元的单独的清理系统
US5473879A (en) Open-end spinning machine for producing cross-wound bobbins
KR930002007B1 (ko) 조사(組絲) 교체기(交替機)의 집면(集綿)장치
CS196227B2 (en) Apparatus for piecing up yarns and cleaning spinning machines
JP2545998Y2 (ja) 多品種粗糸ボビンの残糸除去装置
CN112176699A (zh) 一种应用于丝绸面料的静电吸附裁切装置
CN106192106B (zh) 多站式纺织机
US5279105A (en) Roving chip collecting system for roving bobbin replacing apparatus
JP2537646B2 (ja) オ―プンエンド精紡機
US3086891A (en) Method of handling lint
US3437520A (en) Method for collecting fiber waste in textile mills
DE4131525A1 (de) Textilmaschine mit staubabsaugung an den spulstellen
JP2844933B2 (ja) 粗糸替機の集綿装置
JP2985378B2 (ja) 線状体の吸引装置
US5669215A (en) Combined pneumatic yarn attending for textile machines
JPH059821A (ja) 繊維機械のブロアボツクス
JP3329024B2 (ja) 紡機における自動機の繊維回収装置
CN219098336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倒筒机
JPH069031Y2 (ja) 粗紡機の清掃装置
CN221216685U (zh) 一种疵管纱剥离机构
CN217616496U (zh) 一种环锭纺纱技术纺织的清洁装置
CN216827643U (zh) 一种纺织用自动清洁装置
JP2517157B2 (ja) 紡機における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JPH04214429A (ja) リング精紡設備
JPS6262935A (ja) 精紡機における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