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935Y1 - 소음효과를 갖는 전자릴레이 - Google Patents

소음효과를 갖는 전자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935Y1
KR930001935Y1 KR2019910010549U KR910010549U KR930001935Y1 KR 930001935 Y1 KR930001935 Y1 KR 930001935Y1 KR 2019910010549 U KR2019910010549 U KR 2019910010549U KR 910010549 U KR910010549 U KR 910010549U KR 930001935 Y1 KR930001935 Y1 KR 930001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core
movable contact
relay
electronic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0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531U (ko
Inventor
유끼오 시까노
시게미쯔 아오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미사와 덴끼 세이사꾸쇼
시미즈 미찌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863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4252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7579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80745U/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02213A external-priority patent/KR880011851A/ko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10009112U external-priority patent/KR940000455Y1/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미사와 덴끼 세이사꾸쇼, 시미즈 미찌다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미사와 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910010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935Y1/ko
Publication of KR930003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9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01H50/305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damping vibration due to functional movement of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음효과를 갖는 전자릴레이
제1a도는 종래 전자릴레이의 비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단 측면도,.
제1b도는 제1a도 전자릴레이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단 측면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릴레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b도는 제2a도 전자릴레이의 측면도.
제2c도는 제2a도 전자릴레이의 일부 절단 측면도.
제2d도는 제2a도 전자릴레이의 전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요크 12 : 아마튜어(armature)
13 : 가동접촉스프링 14 : 가동접점
15a, 15b : 고정접점 17 : 코어
24 : 자기 플레이트
본 고안은 작동모드 및 휴지모드동안 현저한 소음(消音) 효과를 나타내는 전자(電磁)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릴레이는 특히 자동차, 에어콘 등에 사용된다.
종래의 전자릴레이는 요크, 요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마튜어, 아마튜어와 결합되는 가동 접촉스프링, 및 요크의 타단에 고정된 하부와 아마튜어와 대향하는 상부를 갖는 코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일가동접점이 가동접촉스프링위에 장착되며, 대응 고정접점이 구비된다.
코어에 권취된 권선이 여자되어 릴레이를 작동할때, 아마튜어는 코어에 의해 흡인되며 고정접점과 접촉할때 고정접점에 대한 가동접점의 충격력 및 코어 상부에 대한 아마튜어의 충격력에 의해 소리가 발생된다. 종래에 있어서는 이 소리를 줄이기 위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될 코어의 상부에 나선 스프링이 구비되었다 (일본 실개소61-75042호 참조).
그러사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릴레이의 전체 부하에 나선 스프링의 부하가 가중되기 때문에, 릴레이 부하가 증가되며, 코어의 흡인이 일정할때, 동작여유가 줄어들며 더욱이 이 경우에 메이크(make)접점인 고정접점에 대한 가동접점의 접촉력이 감소되며, 따라서 동작성능이 떨어진다.
더욱이 나선 스프링은 권선이 비여자상태가 되어 릴레이를 휴지시킬때 이 경우에 브레이크(break) 접점인 고정접점에 대한 가동접점의 충격력에 기인한 소리를 줄이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이크 접점과 브레이크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접점에 대한 가동접점의 충격력과, 작동모드 및 휴지모드동안 코어의 상부에 대한 아마튜어의 충격력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를 동작의 여유 및 동작 성능을 감소시키지 않고 줄이는데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기 플레이트가 아마튜어와 코어의 상부에 삽입되어 아마튜어의 충격력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를 감소시킨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다음에 개진하는 설명하는 좀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우선 종래의 전자릴레이를 제1A및 제1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본 실개소 61-75042호 참조)
제1a도에서 부재번호 1은 요크를, 2는 요크(1)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아마튜어, 3은 아마튜어(2)에 결합된 가동 접촉스프링을 나타낸다.
가동접촉스프링(3)은 이경우에 메이크 접점인 고정접점(5)과 대향하는 가동접점(4)을 그 위어 갖고 있다. 부재번호 6은 릴레이가 비작동될때 아마튜어(2)를 당기기 위한 복귀스프링을 표시한다.
권선(8)이 감겨지는 코어(7)는 하부가 요크(1)에 고정되며 상부가 아마튜어(2)와 대향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a도에는 나선 스프링(9)이 코어(7)이 상부에 구비되어 코어(7)의 상부에 대한 아마튜어(2)의 충격력과 고정접점(5)에 대한 가동접촉스프링(3)(또는 가동접점(4)의 충격력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를 감소시킨다.
제1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권선(8)이 여자되어 릴레이를 작동시킬 때 나선스프링(9)의 부하가 릴레이의 부하에 가중되어 릴레이 부하를 증가시킨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제2a, 2b, 2c, 및 2d도에 있어서, 부재번호 11은 L형 요크, 12는 요크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아마튜어, 13은 아마튜어(12)와 결합된 가동접촉스프링, 14는 가동접촉스프링(13)위에 장착된 가동접점을 지시한다.
가동접점(14)는 고정접점, 즉 메이크 접점(15a)과 브레이크 접점(15b)과 대향한다.
부재번호(16)는 릴레이가 비작동될때 아마튜어(12)를 당기기 위한 복귀스프링을 나타낸다.
복귀스프링(16)은 가동접촉스프링(13)과 일체로 되어 있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코어(17)는 하부가 요크(11)에 고정되며 상부가 아마튜어(12)에 대향하여 있다.
권선(18)은 보빈(18a)을 통해 코어(17)위에 감겨져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2도에 있어서 자기 플레이트(24)가 제2c도에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소자에 부가된다.
제2c도에 권선(18)에 전류가 공급되어 아마튜어(12)를 코어(17)에 흡입할때 코어(17)의 상부에 대한 아마튜어(12)의 충격력으로 인한 진동이 자기 플레이트(24)에 전달되며 그러므로 그 진동은 자기플레이트(24)에 의해 흡수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진동은 아마튜어(12)와 코어(17)에 실질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기 플레이트(24)가 코어(17)의 상부와 대향하는 아마튜어(12)의 흡인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그 결과 아마튜어(12)는 직접 코어(17)의 상부와 접합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아마튜어(12)가 코어(17)와 접할때 자기 플레이트(24)에 의한 충격음을 제거한다.
이것은 또한 탁월한 소음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자기 플레이의(24)는 Fe-Co-V 합금과 같은 반진동재로 이루어질 때 소음효과는 현저하게 증가된다.
자기 플레이트(24)는 코어(17)의 상부에 구이될 수도 있고 따라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점에 주목하여야한다.
또한 소음효과는 자동차 또는 에어콘에 있어서 릴레이의 작동 및 휴지로 인한 음압 레벨의 실험치는 또한60dB 이하이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릴레이는 릴레이의 스프링 부하를 변경하는 것 없이 동작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릴레이가 휴지상태일때 충격음을 소음시키기 위한 매우 유효한 수단이다.

Claims (5)

  1. 요크(11), 상기 요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아마튜어(12), 상기 아마튜어와 결합되며 그 위에 적어도 1가동접점(14)이 장착되는 가동 접촉스프링(13), 상기 가동접점과 대향하는 적어도 1고정접점(15a, 15b), 상기 요크의 타단에 고정되는 하부와 상기 아마튜어와 대향하는 상부를 갖는 코어(17), 및 상기 아마튜어와 상기 코어의 상부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자기 플레이트(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플레이트는 상기 코어의 상부와 대향하는 상기 아마튜어의 표면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릴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플레이트는 상기 코어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플레이트는 진동감쇠특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릴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Fe-Co-V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릴레이.
KR2019910010549U 1987-03-06 1991-07-10 소음효과를 갖는 전자릴레이 KR930001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549U KR930001935Y1 (ko) 1987-03-06 1991-07-10 소음효과를 갖는 전자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863 1987-03-06
JP3186387U JPS63142528U (ko) 1987-03-06 1987-03-06
JP1987175792U JPH0180745U (ko) 1987-11-19 1987-11-19
JP175792 1987-11-19
KR1019880002213A KR880011851A (ko) 1987-03-06 1988-03-03 소음효과를 갖는 전자릴레이
KR2019910009112U KR940000455Y1 (ko) 1991-06-17 1991-06-17 전광 표시판
KR2019910010549U KR930001935Y1 (ko) 1987-03-06 1991-07-10 소음효과를 갖는 전자릴레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213A Division KR880011851A (ko) 1987-03-06 1988-03-03 소음효과를 갖는 전자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531U KR930003531U (ko) 1993-02-26
KR930001935Y1 true KR930001935Y1 (ko) 1993-04-17

Family

ID=7076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0549U KR930001935Y1 (ko) 1987-03-06 1991-07-10 소음효과를 갖는 전자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9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531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1384B1 (en) Electromagnetic relay having silencing means
JPH1027533A (ja) 電磁継電器
KR930001935Y1 (ko) 소음효과를 갖는 전자릴레이
KR920001897Y1 (ko) 소음효과를 갖는 전자릴레이
JP2694786B2 (ja) 電磁継電器
JP2574072Y2 (ja) 電磁継電器
JPH0511281U (ja) 電磁継電器
JPS605541Y2 (ja) 消音形ラツチングソレノイド
JP3058668U (ja) 電磁リレー
JPH09153325A (ja) 電磁リレー
JP2917589B2 (ja) 電磁接触器
JPH0715085Y2 (ja) 電磁継電器
JPH01189832A (ja) 電磁継電器
JPH02226631A (ja) 消音リレー
JPS6140051Y2 (ko)
JPH0228204B2 (ko)
JP3052343B2 (ja) 低動作音電磁継電器
JPH0228584Y2 (ko)
JPH059800Y2 (ko)
JPS61141570A (ja) プリンタ
JPH04218228A (ja) 電磁継電器とその組立方法
JPS6016089B2 (ja) 低騒音プランジヤ型ソレノイド
JP3098775B2 (ja) 電磁石装置
JPH0645138A (ja) 電磁石装置
JP2002110015A (ja) 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