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690B1 - 화상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690B1
KR930000690B1 KR1019840008067A KR840008067A KR930000690B1 KR 930000690 B1 KR930000690 B1 KR 930000690B1 KR 1019840008067 A KR1019840008067 A KR 1019840008067A KR 840008067 A KR840008067 A KR 840008067A KR 930000690 B1 KR930000690 B1 KR 930000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input
line sensor
input apparatus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816A (ko
Inventor
사또시 구사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23940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309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3088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09367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4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58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a detachable storage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manu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7Image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3Viewing the scanned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42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transmission mode
    • H04N2201/33357Compression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mage Input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 입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입력장치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신호 처리계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의 화상입력장치의 사용법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상기 화상입력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제4도는 상기 화상입력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5도는 상기 화상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6도는 선형 광원의 입상 특성의 일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7도는 로울러 제어계의 개략도.
제8도는 로울러 제동제어계에 있어서의 컴퍼레이터의 출력을 도시한 그래프.
제9도는 제1도에 도시된 화상신호 처리계의 동작을 도시한 타임챠트.
제10도는 상기 실시예의 화상입력장치의 주사 속도에 대한 화상의 압축비를 도시한 그래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 : 라인 센서 26 : 로울러
30 : 위치 검출 장치 51 : 라인 센서 구동회로
52 : 플립플롭회로 62 : 화상 표시장치
63 : 표시장치 64 : 반도체 카드
100 : 화상입력장치
본 발명은 화상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상입력장치로서 팩시밀, 플레인 페이퍼 카피어, 다아조식 카피어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화상입력장치는 어느것도 소부분의 선택적인 화상입력이 곤란함과 동시에, 형상이 크고 휴대용으로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3,541,248호에는 수동형 입력장치로서 옵티컬 스캐너가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옵티컬 스캐너에서는, 주사 속도가 화상입력중에 감소되면 화상정보를 정확하게 독출할 수 없다. 게다가, 사용직전에 전원의 전압이 전원스위치의 폐쇄 순간부터 소정의 수준으로 상승하기 까지는 다소의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 점등직후,전원의 밝기는 소정의 필요수준이하로 되고, 정상동작은 얻을 수가 없다. 게다가, 상기 미합중국 특허에 기술되어 있는 옵티컬 스캐너에는 어떠한 메모리 수단도 없고, 따라서, 입력화상 신호는 하드 카피를 하기 위해서 순간적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비추어 제안된 것으로서, 소부분의 선택적인 화상입력이 용이하고, 소형이며, 작동이 쉽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신규의 화상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 화상을 기억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화상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수동으로 주사할시 정확한 위칙관계로 화상을 판독할 수 있고 또 감소된 주사속도에서도 화상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는 화상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모리에서 독출된 화상정보를 압축된 형태를 서입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대량의 화상을 입력할 수 있고, 반도체 카드와 같이 기억용량이 작은 메모리에서도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상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밝기를 검출하는 수단과, 빛의 밝기가 검출됨으로써 소요의 수준에 달할때 구동로울러의 제동을 해제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광량 부족에 의한 불완전한 화상정보 입력없이 적절한 화상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상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정보면을 조명하는 광원과, 화상정보면을 주사하기 위해 화상정보면을 따라 구르는 구동 로울러와, 구동로울러에 연결된 위치 검출 수단과, 광원으로 발생된 빛에 따라 화상정보면에 의해 반사된 화상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라인센서와, 라인센서를 구동하는 라인센서 구동회로와, 라인센서로부터의 출력을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이 구비되고, 위치검출 수단의 검출출력은 메모리에서 기억된 화상정보신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신호로서 이용될 수 있는 화상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특징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기술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입력장치의 한 실시예의 화상 신호 처리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1도의 시스템은 후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지만,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화상입력장치(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입력장치(100)에는, 저면에 개구부(11)를 가진 케이싱(10)이 구비되어 있다. 케이싱(10)내 기구부(11)근방에는 입력될 화상의 면(Pd)을 조명하는 텅스텐 램프 혹은 발광 다이오우드 등의 선형 광원(21)이 설치된다. 또 선형 광원(21)의 밝기를 검출하는 수광소자(22)도 케이싱(10)에 설치된다. 개구부(11)상방에는 하프미러(23)가 구비된다.
개구부(11)를 통해 케이싱(10)으로 입사한 빛은 하프미러(23)에 의해 일부는 투과, 일부는 반사되어 케이싱(10)상면에 설치된 창부(12)와, 케이싱(10)내에 설치된 로드 렌즈 어레이(24)에 도달한다. 창부(12)에 도달한 빛에 위해 사용자는 화상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입력할 수가 있다. 로드 렌즈 어레이(24)는, 굴절율이 중심을 향해 높게되는 분포 굴절율형 렌즈(직경 1 내지 2mm) 복수개를 평판형으로 배열한 것이다. 로드렌즈 어레이(24)의 광축은 수평방향으로 연장한다. 로드 렌즈 어레이(24)로부터 나온 빛은, 로드 렌즈 어레이(24)의 단면 (24a)과 면하는 수광면(25a)을 가진 CCD라인 센서(25)(이후, 라인 센서로 약함)에 입사된다. 개구부(11) 근방에 설치된 선형광원(21)에 의해, 입력될 화상의 면(Pd)이 조명되고, 상기 화상은 하프미러(23)와 로드 렌즈 어레이(24)를 통해 라인센서(25)의 수광면(25a)상에 동일 크기로 결상된다.
로울러(26)(27)는 케이싱(10)의 대향 측벽(13)(14)의 하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화상입력장치(100)는 주사시 면(Pd)상을 이동할 수 있다.
광학적으로 로터리 인코더로 이루어진 위치 검출장치(30)는, 로울러(26)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검출용 스릿트 원반(31)과, 이 스릿트 원반(31)을 끼워서 각각 대향하는 2개의 회전 검출기(32)(33)로 구성되어 있다.
스릿트 원반(31)은 그 주연부에 등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투광 스릿트(31S)를 가진다. 회전 검출기(32)(33)는 각각 발광소자 (32S)(33S) 및 수광소자 (32r) (33r)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케이싱(10)의 측벽(13)에 고착된 홀더(34)의 1쌍의 아암(34a)(34b)의 내측에 면해 있고, 스릿트 원반(31)은 아암(34a)(34b)의 사이에 끼인다. 이들은 스릿트 원반(31)의 회전축에 대하여 ηθοο/4 (θο는 스릿트 (31S)의 각도 피치, η은 η=0,1,2, ...임)의 각을 이룬다. 주지된 바와같이 두 회전 검출기(32)(33)를 이와같이 배치함으로써 스릿트 원반(31)의 회전 방향을 알 수가 있다.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돌출하는 회전축(42)을 가지고 케이싱(10)의 측벽 (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동부재(41)에 의해서 로울러(27)의 회전이 제어된다. 측벽(14)에 고정된 솔레노이드(43)는, 회전축(42)위에서 제동부재(41)의 상부에 연결된 플런져(43p)를 가진다. 제동부재(41)는, 일단이 제동부재의 상부에 이어지고 타단이 케이싱(10)의 벽부(15)에 연결된 스프링(44)에 의해 편기되어 있다.
화상입력장치(100)를 동작상태로 하는 수단으로서 마이크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로울러(27)의 축에 관련하여 설치되어 있다. 화상입력장치(100)를 손으로 잡고 입력될 화상의 면(Pd)상에 놓으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화상입력장치(100)와 면(Pd)간의 압렵력에 의해 폐쇄되고, 따라서 선형광원(21), 라인센서(25)등의 동작이 개시되게 된다.
선형광원(21)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입상 특성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같이 그 밝기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폐쇄된 순간의 시간(t0)으로부터 시간(t1-t2)(예를 들어, 0.2 내지 0.3초) 경과후 시각(t1)에 있어서의 작동에 요하는 소정의 수준(L1)에 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정의 밝기 (L1)에 달하는 시각(t1)이전에 화상의 입력이 개시되면 광량 부족으로 불완전한 입력 화상정보로 된다. 이 화상입력장치(100)에서는 선형광원(21)의 밝기가 소정의 수준(L1)에 달할때까지는 화상입력장치가 (100)가 면(Pd)상을 이동할 수 없도록 제동부재(41)에 위해 로울러(27)을 제동하고 있다. 개구부(11)근방에 설치된 선형광원의 밝기를 검출하는 수광소자(22)는, 비반전 입력단자에 기준전압(Vref)이 접속된 컴퍼레이터(45)의 반전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컴퍼레이타(45)의 출력단자는 솔레노이드(43)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 구동회로(46)에 접속된다. 컴퍼레이터(45)에 인가된 기준전압(Vref)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밝기 수준(L1)에 달하는 시각(t1)에 있어서 컴퍼레이터(45)의 출력이 저수준에서 고수준으로 반전하도록 설정된다.
이와같이 설정함으로써, 선형광원(21)의 점등 개시시각(to)으로부터 시각(t1)에 달할때까지의 시간동안은 3컴퍼레이터(45)의 출력은 저수준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 시간중에 솔레노이드(43)는 솔레노이드 구동회로(46)에 의해서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시간중 스프링(44)에 의해 제동부재(41)는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되어 로울러(27)가 제동된다. 선형광원(21)의 밝기가 소정의 밝기수준(L1)에 달하는 시각 (t1)으로되면 컴퍼레이터(45)의 출력은 고수준으로 반전하기 때문에 이에 응하여 솔레노이드 구동회로(46)는 솔레노이드(43)를 구동하고 제동부재(41)는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되어 로울러(27)의 제동이 해제된다. 시각(t1)이후는 선형광원(21)의 밝기 수준이 이상으로 되기 때문에 로울러(27)의 제동은 계속해서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로울러 제어계를 제공함으로써 광량 부족에 의한 불완전한 화상정보의 입력을 피할 수 있고 정상적인 화상정보만을 입력할 수가 있다.
수광소자(22)로 선형광원(21)의 밝기를 검출하는 대신에 시간 계산용 카운터 등을 포함하는 타이머의 출력에 응하여 제동부재(41)의 자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게다가, 제동부재(41)의 작동뿐만 아니라 이후에 기술하는 화상신호 처리계를 처리하는 데 컴퍼레이터(45)의 출력이 이용될 수 있다.
라인 센서(25)로부터 얻어진 화상신호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라인 센서(25)는 라인센서 구동회로(51)로부터 생긴 주기(T)의 리셋트 펄스신호(PR)에 의해 구동된다. 라인 센서 구동회로(51)로부터의 리셋트 펄스신호 (PR)는 D플립플롭회로(52)의 클리어단자(CLR)및 메모리(53)에도 각각 공급된다. 메모리(53)는 자기 디스크나 자기 테이프이다. 또 이후 기술될 제11도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은 반도체 카드(64)일 수도 있다. 제2도의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53)가 화상입력장치(100)의 외부에 설치된다. D플립플롭회로(52)의 클럭 입력단자 (CK)에는 상기 위치검출장치(30)로부터 위치검출 펄스신호(PP)가 공급되고, 플립플롭의 데이타 입력단자(D)에는 데이타“1”이 공급된다. 라인 센서(25)로부터 얻어진 화상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탈 (A/D)변환회로(54)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화상데이타(V)로서 메모리(53)에 서입된다. 이때 메모리(53)의 어드레스는 리셋트 펄스신호(PR) 및 D플립플롭회로(52)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출력펄스신호(P0)에 의해 결정된다. 리셋트 펄스신호(PR)에 의해 어드레스의“행”이 결정되고, 출력펄스신호(P0)에 의해 어드레스의“열”이 결정된다. 1어드레스(Amm)에 1화상 데이타 (Vmm)가 기억된다. 이 경우의 분해능은 7데이타/mm 내지 10 데이타/mm 이다.
제9도의 타임 챠트를 참조하면서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리셋트 펄스 신호 (PR)는 (A)로 도시된 일정주기(T)를 가진다. 반면, 위치 검출회로(30)로부터의 위치 검출 펄스 신호(PP)의 수는 주기(T)중 화상입력장치(100)의 수동주사 속도에 따라 (B) 내지 (D)로 도시된 바와같이 변화한다. (B)의 경우에 있어서 주사속도를 V0로 하면, (C) 및 (D)의 경우에 있어서의 주사속도는 각각 2V0및 3V0이다.
D플립플롭회로(52)는 데이타 입력단자(D)에 항상“1”이 공급되고, 위치 검출펄스신호(PP)에 의해 셋트되고, 리셋트 펄스신호(PR)에 의해 리셋트 된다. 이와같이, 주사속도가 V0,2V0및 3V0의 어느 경우라도 사선 그은 펄스는 제거된다. 출력펄스 신호(P0))는 (E)로 도시된 바와같이 된다. 주사속도가 V0인 경우에 메모리(53)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타(V)내 주사속도가 2V0인 경우에는 2데이타중 1데이타가 무시되고, 주사속도가 3V0인 경우에는 3데이타중 2데이타가 무시됨을 이해할 것이다.
환언하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사속도가 0 내지 V0인 경우에는 입력될 화상의 압축비를 1로 고정하고, 주사 속도가 V0내지 3V0인 경우에는 압축비를 1 내지 3으로 직선적으로 변환시켜서 화상데이타(V)를 메모리(53)에 서입시킨다. 제10도에 있어서, 주사 방향을 화살표 방향으로 하고 문자“A”를 입력화상으로 하면, 주사속도가 0내지 V0인 경우에 비해 주사속도가 2V0인 경우에는 메모리(53)에 서입되는 문자“A”가 횡방향으로 1/2압축되고, 주사속도가 3V0인 경우에는 1/3압축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화상신호 처리계를 제공함으로써, 주사속도가 0 내지 V0의 범위내에서 화상입력장치(100)를 이동하여 압축비 1로 즉 압축하지 않고 화상을 입력할 수 있고,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화상으로서 화상데이타 수가 적어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입력할 경우에는 주사속도가 V0이상으로 되도록 화상입력장치(100)를 고속으로 이동하여 화상은 압축하여 입력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화상을 입력할 수 있고, 특히 메모리(53)가 제11도의 다른 실시예에 있는 반도체 카드(64)와 같은 기억 용량이 작은 경우에 바람직하다.
위치 검출장치(30)와 D플립플롭회로(52)의 사이에 N진(進)의 카운터(1/N의 분주기)를 구비하여 화상의 압축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 D플립플롭회로(52)를 생략하면 주사속도에 구애됨이 없이 화상의 압축비를 N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입력자치(100)의 사용법 및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상입력장치(100)를 손으로 잡고 입력될 화상의 면(Pd)상에 놓으면, 마이크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화상입력장치(100)와 면(Pd)과의 사이의 압압력에 의해 폐쇄되어, 화상입력장치(100)의 동작이 개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선형광원(21)의 밝기가 소정의 수준(L1)에 달할때까지는 제동부재(41)에 의해 로울러(27)가 제동되기 때문에, 화상입력장치(100)는 면(Pd)상을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불완전한 화상신호의 입력이 방지된다. 선형광원(21)의 밝기가 소정의 수준(L1)에 달하면, 솔레노이드(43)가 구동되어 제동부재(41)에 의한 로울러(27)의 제동이 해제된다. 그 결과, 화상의 인덱스 신호가 발생함과 동시에 라인센서 구동회로 (51)로부터 리셋트 펄스신호(PR)가 발생되어 개구부(11)직하의 화상이 라인센서(25)에 판독입력된다. 화상입력장치(100)를 면(Pd)에 따라 예를들어 주사속도 0 내지 V0의 범위내에서 수동으로 이동시키면 이 이동에 의해 로울러(26,27) 및 스릿트 원반 (31)이 회전한다. 스릿트 원반(31)이 회전하기 시작하여 최초의 스릿트가 회전검출기 (32)의 발광소자(31S)와 수광소자(31r)사이에 위치하면, 검출펄스 신호(PP)가 발생한다. 이 위치 검출 펄스신호(PP)에 의해 메모리(53)의 어드레스“열”이 결정되고 리셋트 신호(PR)에 의해 어드레스의“행”이 결정되고, 제1의 어드레스에 최초로 판독입력된 성형화면의 화상데이타(V1)(제1의 데이타)가 메모리(53)에 서입된다.
한편, 라인센서(25)의 수광면(25a)에는 판독입력될 화상입력장치(100)의 이동에 의해 최초의 선형화면에 인접하는 제2의 선형화면의 상이 결상한다. 화상입력장치 (100)가 더욱 이동하여 스릿트가 회전 검출기(33)의 발광소자(33S)와 수광소자 (33r)사이에 위치하면 제2의 위치검출 펄스 신호(PP)가 발생되고, 라인센서(25)로부터 제2의 데이타(V2)가 독출되어 메모리(53)의 제2의 어드레스에 서입된다. 이와 동시에 제3의 선형 화면이 판독입력된다. 화상입력장치(100)가 스릿트(31S)의 피치에 상당하는 거리를 이동할때마다 똑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화상입력장치 (100)는 통상 주사속도가 0 내지 V0의 범위로 되도록 저속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화상 혹은 데이타 수가 적어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입력할 경우에는 주사속도가 V0보다 높게되도록 고속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주사속도가 0내지 V0의범위내에서 화상의 입력중에 화상입력장치(100)가 역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2개의 회전 검출기(32)(33)의 협동에 의해 그 역방향 주행이 검지되고, 역주검지 신호가 발생된다. 역주검지신호는 메모리(53)에 공급되고, 위치검출장치(30)로부터의 위치 검출 펄스 신호(PP)가 공급될때마다 메모리(53)에 서입된 데이타가 말미로부터 차례로 소개된다. 예를들어, 이미 개의 데이타가 입력된후 n개의 데이타 분만 화상입력장치(100)로 역주하면, 메모리(53)에 남은 데이타는 (N-m)개이고, 이때 화상입력장치(100)는 (N-n+1) 번째의 데이타를 입력할 위치에 있다. 계속하여 화상입력장치(100)가 순방향으로 n개의 데이타 분만 이동하면 메모리 (53)네 서입된 데이타수는 N개로 돌아온다. 이와같이, 데이타의 중복 또는 결락없이 역주의 전후의 데이타를 연속하여 입력할 수가 있다.
소요의 데이타를 입력한후, 화상입력장치(100)를 면(Pd)으로부터 분리하면, 로울러(27)에 대한 압압이 해제되고 마이크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개방되고, 입력 화상 신호의 종료시에 엔드 신호가 서입된다. 이때 화상입력장치(100)는 비동작 상태로 된다.
메모리(53)를 조절한 판독 장치에 장착하면 메모리(53)에 서입된 화상 데이타에 응한 화상을 음극선관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상에 재현할 수 있다. 또 별도로 설치된 프린터에 의해서 하드 카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1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1도에 있어서, 61은 제어스위치(전원스위치)의 노브를 나타낸다. 노브(61)에 의해 제어 스위치를 폐쇄할때 화상입력장치(100)는 동작상태로 된다. 특히 이때 조명용 광원이 점등하고, 입력화상의 인덱스 신호가 발생하고, 판독입력된 메모리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게다가, 화상의 오버플로우에 의한 입력 화상의 에러를 방지하기 위하여 표시장치상에 메모리의 잔량의 표시된다. 표시장치(62)는 질환에 의해 전지 잔량도 표시할 수 있고, 따라서 전원공급 단절에 의한 동작불능을 방지할 수도 있다. 63은 화상표시장치이고, 표시소자로써 액정 또는 편평형 음극선관을 가지고 있고 반도체 카드(64)상에 기록된 화상 데이타를 적절히 표시할 수 있다.
면(Pd)상을 따라 화살표(C또는 C)방향으로 장치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면 소요의 화상을 입력할 수 있다. 화상의 입력이 완료한 후 노브(61)의 조작으로 제어스위치가 개방되면 라인 센서(25)에 있어서 입력화상의 말미에 엔드신호가 서입되고, 따라서, 화상입력은 정지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오리지날 부분에 의한 반사로 광원의 빛을 위치검출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라인 센서에 보냄으로써 소부분의 선택적인 화상입력이 가능하다. 게다가, 라인 센서 구동회로로부터 제어 펄스 신호의 한 주기 동안 발생된 위치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펄스만이 유효하게 되고, 출력펄스는 상기 유효펄스에 기초하여 형성된다. 각 출력 펄스에서 화상신호는 라인센서로부터 발생되고 메모리에 서입된다. 게다가, 광원의 검출 밝기에 의해 소정의 밝기 수준에 달했을 때 상기 로울러의 제동이 해제된다.

Claims (11)

  1. 하우징과, 목표면을 조명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된 광원과, 상기 목표면과 접촉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와 작동상 협력하여 그 회전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고 화상정보면에 의해 반사된 빛에 따라 상기 목표면의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라인센서와, 상기 라인센서를 구동하는 라인센서 구동회로와, 메모리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화상정보신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제2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 센서로부터의 제1출력 신호를 메모리 수단이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수단은 상기 로울러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로울러의 측에 설치된 스릿트 원반과 회전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고 상기 화상정보면에 의해서 반상된 빛은 렌즈 어레이를 통해서 상기 라인 센서상에 결상되는 것이 특징인 화상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센서 구동회로는 제어펄스를 발생하는 제1펄스 발생기이고,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로울러의 회전에 따라 펄스를 발생하는 제2펄스 발생기이며, 다른 펄스 발생기의 펄스주기중 상기한 펄스 발생기로부터 다수의 펄스가 발생될때 상기 펄스 발생기중 한 발생기로부터의 펄스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라인 센서로부터의 화상정보신호는 상기 메모리 수단에 압축된 형상으로 기억되는 것이 특징인 화상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의 위치 검출수단으로부터의 펄스에 의해 셋트되고 상기 라인 센서 구동회로로부터의 펄스에 의해 릿세트되는 플립플롭을 포함한 압축수단에 의해서, 상기 화상정보신호가 압축되는 것이 특징인 화상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의 출력은 상기 메모리 수당에 기억된 화상정보신호의 열 또는 행을 결정하고, 상기 라인센서 구동회로로부터의 상기 펄스는 상기 화상정보신호의 행 또는 열을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를 제동하는 제동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밝기를 검출하는 수광수단과, 상기 수광수단의 출력이 소정의 값과 같을시 상기 제동 수단을 해제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입력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은 메모리 카드인 것이 특징은 화상입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될 상기 화상정보면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입력장치.
KR1019840008067A 1983-12-19 1984-12-18 화상 입력장치 KR930000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9409 1983-12-19
JP58-239409 1983-12-19
JP58239409A JPS60130962A (ja) 1983-12-19 1983-12-19 画像入力装置
JP59230888A JPS61109367A (ja) 1984-11-01 1984-11-01 画像入力装置
JP59-230888 1984-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816A KR850004816A (ko) 1985-07-27
KR930000690B1 true KR930000690B1 (ko) 1993-01-29

Family

ID=2652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067A KR930000690B1 (ko) 1983-12-19 1984-12-18 화상 입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146472B1 (ko)
KR (1) KR930000690B1 (ko)
CA (1) CA1213971A (ko)
DE (1) DE348557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2542B1 (fr) * 1985-12-27 1994-03-25 Dreyfus Bertrand Appareil portatif de photocopie de fragments de documents.
US4851896A (en) * 1986-08-29 1989-07-25 Casio Computer Co., Ltd. Manual sweeping apparatus
US4862281A (en) * 1986-12-18 1989-08-29 Casio Computer Co., Ltd. Manual sweeping apparatus
DE3800904A1 (de) * 1987-03-09 1988-09-22 Alps Electric Co Ltd Bildabtastgeraet mit einem sichtfenster
CA1301912C (en) * 1987-07-08 1992-05-26 Toshio Ishikawa Image input device
DK159749C (da) * 1987-11-24 1991-04-29 Eskofot As Fremgangsmaade til udvinding af digitale optegningsdata ved hjaelp af et skanderende halvlederkamera.
JP2929455B2 (ja) * 1988-03-07 1999-08-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複写装置
DE68918616T2 (de) * 1988-03-15 1995-05-1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Bilddatenübertragungsgerät.
GB2244188A (en) * 1990-05-15 1991-11-20 Copam Electronics Corp Portable facsimile machine
US6301020B1 (en) * 1998-08-07 2001-10-09 Hewlett-Packard Company Appliance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having a user error interface
KR100790680B1 (ko) * 2007-01-16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소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248A (en) * 1967-09-29 1970-11-17 Xerox Corp Document abstractor with hand-held optical scanner with constant resolution scanning
GB1446403A (en) * 1974-09-13 1976-08-18 Mullard Ltd Scanning systems circuit block for an electronic watch
US4278999A (en) * 1979-09-12 1981-07-14 The Mead Corporation Moving image scanner
JPS574652A (en) * 1980-06-10 1982-01-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canning device of facsimile or the like
JPS579164A (en) * 1980-06-18 1982-01-18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Hand scanning device
DE3220016A1 (de) * 1982-05-27 1983-12-01 Dorner, Jörg, Dr.-Ing., 8000 München Ein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optisch bzw. elektronisch oder magnetisch gespeicherten bildinformation einer im wesentlichen flaechigen vor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85572D1 (de) 1992-04-16
CA1213971A (en) 1986-11-12
KR850004816A (ko) 1985-07-27
EP0146472A3 (en) 1987-09-23
EP0146472A2 (en) 1985-06-26
EP0146472B1 (en) 199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9790A (en) Image input apparatus
KR930000690B1 (ko) 화상 입력장치
US5182450A (en) Handheld image scanner with automatic movement control
US4684998A (en) Image reader suitable for manual scanning
EP0278004A1 (en) Small copying apparatus
JP2929455B2 (ja) 複写装置
US5708472A (en) Optical image recording and reading apparatus
US4613759A (en) Small photoelectric reading apparatus
US4894730A (en) Manually sweeping contact sensitive copier with image data memory
JPS6118747B2 (ko)
JPH0354455Y2 (ko)
JPS61109367A (ja) 画像入力装置
JP2560331B2 (ja) 印字装置
JPS63292757A (ja) 手動走査式電子機器
JPH0448049Y2 (ko)
JPS63292758A (ja) 画像デ−タ処理装置
JPS63292760A (ja) 小型複写装置
JPH0424685Y2 (ko)
JP2753520B2 (ja) 画像情報処理装置
JPH067611Y2 (ja) 小型画像データ処理装置
SU711700A1 (ru) Устройство считывани и записи фотограф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JP3548305B2 (ja) 画像信号入力装置
JPH088834Y2 (ja) 小型印字装置
JPS63293079A (ja) 小型プリンタ
JPH01152075A (ja) ライン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