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560B1 -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560B1
KR930000560B1 KR1019890007521A KR890007521A KR930000560B1 KR 930000560 B1 KR930000560 B1 KR 930000560B1 KR 1019890007521 A KR1019890007521 A KR 1019890007521A KR 890007521 A KR890007521 A KR 890007521A KR 930000560 B1 KR930000560 B1 KR 93000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filament
hollow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376A (ko
Inventor
히사오 니시나까
다까요시 후지다
시게오 야기라
Original Assignee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다끼자와 사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37969A external-priority patent/JP25811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4183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8822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다끼자와 사부로오 filed Critical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
본 발명은, 견(絹)과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라멘트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수한 광택(퍼얼조의 고상하고 은근한 깊이가 있는 광택을 갖는)과 드라이한 촉감, 굴곡탄발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가벼운 폴리에스테르계 필라멘트사에 관한 것이다.
견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얻는 수단으로서 이수축(異收縮) 혼섬사가 유효하며, 또 일본국 특공소 44-18933호 공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수축 혼섬사에 더하여 폴리에스테르의 굴곡률에 가까운 첨가제를 넣고 섬유표면을 개량하여 촉감, 광택효과, 탄발성(彈發性)의 개선을 도모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 종래법에서는 촉감, 광택효과, 탄발성의 모든 것을 만족시키는 것은 얻을 수 없다. 또 촉감이나 심색성(深色性)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섬유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다수 부여하는 방법이 일본국 특개소 54-120728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으나, 촉감이나 심색효과는 인정되는 반면, 칙칙한 광택으로 된다.
또 일본국 특개소 59-228014호 공보에서는 섬유표면에 미세한 구멍 형성제로서 카올리나이트를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여 필라멘트사 편직물에 알칼리 감량처리를 시행하고, 섬유표면을 개량하여, 견과 같은 광택과 굽힘 회복능력 및 촉감을 개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촉감, 광택효과, 탄발성의 점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중공(中空) 단면형상 멀티필라멘트사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으며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소 62-85049호 공보에서는 경량화, 보온성 직물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이 중공단면형상 필라멘트사는 중공률(中空率)에 의해 염색성이 변화하고, 멀티필라멘트사 간의 중공률을 아주 균일하게 한 것을 직편물에 공급하지 않으면, 스트라이크, 어른거림, 염단(染段)등의 결점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멀티필라멘트사의 염색검사를 엄하게 행하든가, 중공률 관리를 엄하게 할 필요가 있어, 공업적으로는 만족할 만한 것이 못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촉감, 광택효과, 탄발특성 중, 1~2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을 얻는다고는 하지만, 모든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얻을 수가 없었던 점을 해결하고, 편직물로 만든 시점에서 새로운 광택효과와 드라이한 촉감, 굴곡 탄발성이 우수하고, 경량감 등을 모두 겸하여 갖추고 더욱이, 직물에서 스트라이크, 어른거림, 염단(染段)등의 결점을 없게 한 폴리에스테르계 멀티라멘트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즉 본 발명은
(1) 0.1중량% 이하의 소광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라멘트사로서, 필라멘트 횡단면 형상이 중공률 5~30%의 중공 횡단면이며, 더욱이 카올리나이트를 0.5~5.0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알칼리 감량처리에 의해, 섬유표면에 섬유축방향으로 즉 세로방향의 미세구멍을 갖고, 이 미세구멍은 (가) 최대폭의 도수분포의 최대치가 0.7㎛ 이하아고, (나) 길이/최대폭의 평균치가 3 이하아고, (다) 그 수는 섬유 표면의 100㎛2당 평균 30개 이하 존재하고, 더욱이 (라) 그 깊이는 전장의 60% 이상이 0.1㎛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이며, 필라멘트사이의 중공률의 변동계수 CV(%)가 5~50(%)인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계라는 것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를 주된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하고,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에서 선택되는 글리콜,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를 주된 글리콜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를 대상으로 한다.
이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일부는 예를들면 5-술포이소프탈산의 모노알칼리 금속염, 이소프탈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P-옥시벤조산 등으로 대체가능하며, 또 상기 글리콜 성분의 일부는 디에틸렌 글리콜, 1,4-히드록시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2가 알코올로 대체가능하다.
또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계의 화합물을 생성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7중량% 이하 공중합시켜서, 제전성을 부여해도 좋고, 특히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1~10중량%의 비율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글리콜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이염성(易染性)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CkH2kO)mR-O(CIH2IO)nH
(상기 식중 R은 탄소원자수 4~20의 2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K,1은 동일 또는 다른 2~4의 정수, m,n은 동일 또는 다른 정수로 1
Figure kpo00001
(m+n)
Figure kpo00002
10이다)
또 기타의 폴리머를 소량 블렌드하여 개질 폴리에스테르로 해도 좋고, 더욱이 당업계 주지의 착색방지제, 촉매 등을 적당히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필라멘트사에 있어서 0.1중량% 이하의 소광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라멘트사 라는 것은, 소광제를 전연 포함하지 않든가, 또는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이 0.1중량%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또 소광제로서는 예를들어 산화티탄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고굴절률(특히 굴절률 2이상)의 것을 가리킨다. 소광제의 존재는 후술하는 광택효과의 면에서 중요하며, 0.1중량%를 넘어서 포함하고 있을 경우는, 거무칙칙한 색을 나타내므로, 깊이가 있는 광택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필라멘트사의 구성에 있어서, 필라멘트 횡단면 형상이 중공률 5~30%의 중공횡단면일 것과 카올리나이트를 0.5~5.0중량% 함유할 것의 조합요건이 이하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필라멘트사의 구성 요건인 필라멘트 횡단면이 중공률 5% 이상 30% 이하의 중공횡단면이며, 더욱이 카올리나이트를 0.5~5.0중량% 포함하는 것의 조합에 의하면 중공부 및 폴리에스테르 중에 함유된 카올리나이트 입자에 의해, 반사광과 투과광이 복잡하게 조합되어 깊이가 있는 새로운 광택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광택효과라는 것은, 주로 재질감에 의한 것이며, 윤기, 어른거림, 번쩍임을 평가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새로운 광택효과라는 것은, 퍼얼 느낌으로 고상하고 희미하며 깊이가 있는 광택을 갖는 것이며, 번쩍임이라는 것은 표면(평면)적인 단지 번쩍번쩍 하는 광택이며, 어른거림이라는 것은 직물로 되었을때의 광택이 평면적으로 보아 불균일하며, 목조에 가까운 광택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필라멘트사는, 중공단면으로 함으로써 섬유의 굴곡 특성이 변한다고 생각되지만, 굴곡 탄발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고, 더욱이 중공단면에 의해 동일 데니어의 중공부가 없는 단면의 것보다 벌키하게 된다.
이것은 역으로, 단면의 외형상 합치는 중공부가 없는 것보다 중공단면인 편이 같은 벌키성이라도 편직물이 가볍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사는 필라멘트사이의 중공률의 CV%를 5~50%로 함으로써, 즉, 멀티필라멘트사 구성 필라멘트의 중공률을 불균일하게 함으로써, 멀티필라멘트사 간의 염색 농담차를 크게 감소시킬 수가 있고, 직편물에서의 스트라이크, 어른거림, 염색차를 없게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필라멘트사에 바람직한 양태로서 규정하는 미세 구멍형성제로서는,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머의 굴절률에 대해서 ±0.15의 범위에 있는 것이 필수이며, 이와 같은 미세구멍 형성제를 첨가하고, 섬유화된 후의 알칼리 감량처리에 의해 섬유표면에 (가) 최대폭의 도수분포의 최대치가 0.7㎛ 이하이며, (나) (길이/최대폭)의 평균치가 3 이하이며, (다) 그 도수는 섬유표면의 100㎛2당 평균 30개 이하 존재하고, 또한 (라) 그 깊이는, 전체의 60% 이상이 0.1㎛ 이하의 미세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고,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섬유단면 방향 굴절률 1.357, 섬유축 방향 굴절률 1.725로 굴절률 1.56의 카올리나이트를 첨가했을때, 특유의 입자색과 합쳐져서, 편직물을 보는 방향에 따라, 미묘한 깊이가 있는 광택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사에 규정하는 상기 카올리나이트의 함유량에 있어서, 함유량이 0.5중량% 미만에서는, 깊이가 있는 염색 성능을 얻을 수 없어 통상의 브라이트사라고 불리는 것과 같은 번쩍거림이 강한 것으로 된다.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방사연신 공정에서의 제사성의 저하나, 필라멘트사의 강력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카올리나이트의 첨가는, 섬유화된 후, 알칼리 감량처리에 의해 섬유표면에 미세구멍을 얻을 수가 있고, 미세구멍 형성제로서의 작용도 갖는다.
본 발명의 필라멘트사의 깊이가 있는 새로운 광택과, 굴곡탄발성 및 가벼움은 중공부의 존재와 미세구멍 형성제인 카올리나이트의 존재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바람직하기는, 멀티필라멘트 간의 농담염색차를 크게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요건에 더하여 필라멘트 횡단면에 있어서 필라멘트간의 중공률의 변동계수 CV(%)를 5~50%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중공률은 필라멘트 횡단면에서 횡단면 외주길이를(11), 내주 길이를(12)로 했을때(12/11)2×100(%)로 표시되는 수치를 갖는 중공률을 말한다.
평균 중공률은, 멀티필라멘트 구성 전 필라멘트의 중공률의 평균치(
Figure kpo00003
)로서 나타내고, CV%는 멀티필라멘트사 구성 전 필라멘트에 의한 중공률의 불편분산평방근(不偏分散平方根)(
Figure kpo00004
)을 평균중공률(
Figure kpo00005
)로 제한 수치의 100배로 정의한다.
평균 중공률이 30%를 초과하면, 방사연신이 불균일하게 되기 쉽고, 버어스트 하든가, 중공부 형성이 곤란하게 됨과 동시에 필라멘트의 강도(인장강도)가 저하하던가, 스트라이크가 발생하기 쉽게 되어 공업적으로 만족할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필라멘트 횡단면, 외주형상은 둥근단면 또는 다엽단면등 어느 경우에라도 적용가능하다.
평균중공률이 5% 미만에서는 깊이가 있는 광택은 얻을 수 있으나 굴곡 탄발성에서 오는 감각은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멀티필라멘트사 구성 필라멘트의 중공률을 CV%로 5~50%의 범위로 함으로써, 멀피필라멘트사 간의 염색농담차를 크게 감소시킬 수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는 10~40%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공률의 CV%가 5% 미만에서는, 멀티필라멘트사 간의 중공률차보다 염색 농담차는 감소하지 않는다.
중공률의 CV%가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멀티필라멘트사 구성 필라멘트사간의 중공률 차가 크고 직편물에서 빛이 어른거리기 쉽다.
본 발명의 필라멘트사를 알칼리 감량처리 함으로써 발현하는 섬유표면 미세구멍은 섬유축 방향으로 세로 길이이며(가)최대폭의 도수분포 최대치가 0.7㎛ 이하이며, (나) (길이/최대폭)의 비의 평균치가 3 이하이며, (다) 그 수는 섬유표면의 100㎛2당 평균 30개 이하 존재하고, 더욱이 (라) 그 깊이는 전체의 60% 이상이 0.1㎛이하로 된다.
이 미세구멍의 길이(섬유축 방향의 길이) 및 폭(섬유축에 직각인 방향의 길이)은 5000배의 비율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측면사진에서 100개 이상의 미세구멍의 측정치부터 구한다. 또 미세구멍의 깊이는 아크릴계 수지로 싸서 묻은 시료 필라멘트 4μ의 두께의 다수의 자른조각으로 절단하고 이소아밀아세트산으로 이 자른 조각에서 아크릴계 수지를 용출(溶出)한후 10000배의 배율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접선을 그어 이 접선과 오목부 최저면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100개 이상의 평균치로서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미세구멍의 크기를 측정했을 경우에는 상기 (가),(나),(다) 및 (라)의 4요건을 만족하는 미세구멍이 존재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필라멘트사의 미세구멍의 특징이다.
이러한 미세구멍의 최대폭에 관해서는 0.7㎛ 이하에 그 도수 최대치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기는 0.2~0.7㎛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최대치가 0.7㎛을 초과하면 촉감에 대한 효과가 반감하고, 특히 깊은색으로 했을 경우 흰 빛을 띠어 보이는 파스텔조가 지나치게 강하게 된다.
미세구멍(길이/최대폭)의 비율의 평균치가 3보다 커지면 섬유축에 직각방향에서 본 경우와 섬유축에 평행 방향에서 본 경우, 광택차가 생기고 경위 직교하는 직물로 했을 경우, 광택에 어른거림이 생긴다.
역으로(길이/최대폭)의 비율의 평균치가 3 이하의 경우 어른거림이 적고 품위있는 광택으로 된다.
또 미세구멍의 수가 섬유표면에 100㎛2당 평균 30개 이하일 것이 필요하며, 바람직하기는 10~30개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30개를 초과할 경우는 광택이 흰빛을 띠고 파스텔조가 지나치게 강하게 된다. 미세구멍의 깊이가 0.1㎛을 초과하는 것이 전체의 40%를 초과하면 광택이 칙칙해지고 깊이가 있는 밝기, 광택이 소실된다.
또한 미세 구멍의 최대치가 0.4㎛ 초과하는 것이 존재하면, 염색물의 파스텔조가 강조될뿐만 아니라, 필라멘트사의 강력이 저하하고, 편직물의 실용성능이 저하함으로, 이 치(값)가 0.4㎛을 초과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편이 좋다.
카올리나이트의 입자 직경은 원심침강(沈降)법등으로 측정되는 등가구경(球經)의 입도분포로 표시한 구직경이 1㎛ 이상인 입자의 총계가 10% 이하인 입경분포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의 입자가 10%를 초과하면 폴리머중의 거칠고 큰 조대(粗大) 입자가 방사중 필터에 막히고 방사노즐의 배압의 상승률이 높고 방사조업 효율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1㎛ 이상의 입자가 10%를 초과하는 카올리나이트를 사용할 경우는 원심분리등으로 1mm 이상의 조대입자를 극력 분리하여 사용한다.
또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사는 단사 데니어로 0.5~5 데니어, 필라멘트 수가 7필라멘트 이상일 것이 바람직하고, 0.5 데니어 미만에서는 굴곡 탄발성에 있어서, 효과가 인정되지 않고, 5 데니어를 초과하면 거칠고 딱딱한 촉감으로 된다.
필라멘트 수가 6필라멘트 이하에서는 멀티필라멘트사 사이 중공률 CV%를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멀티필라멘트 구성단사 사이는 횡단면에서의 외주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멀티필라멘트 구성단사 사이에서 횡단면에서의 외주길이가 다른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는 예를들어 카올리나이트가 섬유화된 시점에서 0.5~5.0중량% 함유하도록 소정량의 카올리나이트를 미리 에틸렌 글리콜에 분산시킨 액을 폴리에스테르 중합시에 첨가하고, 상법에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얻는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방사기에 공급하고, 중공사 형성용 방사구, 예를들어 C자형 슬릿을 갖는 방사구를 사용하여 용융방사하고, 토출사조(吐出
Figure kpo00006
條)를 냉각고체화 시키고, 오일링하여 미연신사를 얻는다. 얻어진 미연신사를 이 미연신사의 파단신도의 20~40%의 범위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는, 예를들어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알칼리 감량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알칼리 감량처리의 조건은, 예를들어, 수산화 나트륨 5~100g/l의 수용액중, 욕비 1:100, 상온~100°C로 10~100분간 처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인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는, 용융방사할때에 방사구로서 노즐 중공률차를 갖는 C자형 슬릿을 갖는 방사구를 사용하여 용융방사하든가 또는, 따로따로 실질적으로 중공률이 다른 멀티사를 제조하고 그후, 이것들을 합사, 혼섬함으로써 얻어진다.
이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원래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비교예 1,2,3]
카올리나이트(Engelhard사제 ASP-072 : 조입자를 원심분리로 10% 제거, 굴절률 1.56, 평균입자직경 0.3㎛, 1㎛ 입자 6중량%(TiO2가 불순물로서 카올린중에 1.5중량% 함유))를 2중량% 배합했다.
실질적으로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량체로만의 반복에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방사속도 1500m/min으로 여러가지의 C형 형상의 방사노즐 및 원형상의 방사노즐을 사용하고, 더욱이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토출량을 변경하고 단사 필라멘트 외주길이가 통상 중실사(中實
Figure kpo00007
) 75데니어/36필라멘트의 단사 필라멘트 외주길이와 일치하도록 방사, 연신을 상법에 의해 행하고, 표 1에 표시한 데니어의 36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사를 얻었다.
이 필라멘트사를 경사,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으로 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염색, 세트를 행하고, 경사밀도 160가닥/in, 위사밀도 88가닥/in의 직물로 완성했다. 완성된 직물의 평가로서, 경험풍부한 10명의 판정자에 의해 관능적으로 촉감, 탄발성, 색상을 판정했다. 또, 이 직물의 뽑아낸 실을 텐시론으로 실강력을 직물단위 중량으로서 이 직물 1m2의 중량을 측정했다.
이상의 평가결과도 합쳐서 표 1에 도시한다.
[표 1]
Figure kpo00008
실시예 1,2는 본 발명의 것이며, 탄발성, 색상, 광택이 우수하고, 더욱이 직물도 가벼웠다.
비교예 1,2,3은 필라멘트 횡단면 중공률이 본 발명외이며, 비교예 1은 이 중공률이 낮고 탄발성, 색상광택 특성이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고, 비교예 2는 이 중공률이 높고 중공부의 형성이 불안정하게 되어 어른거림이 생기고 또한, 실강력도 낮아진다. 비교예 3은 중실 단면사이며, 탄발성이 결여되고, 색상, 광택도 어른거림 때문에 만족한 것이 아니었다.
[비교예 4]
카올리나이트를 전연 포함하지 않고 산화티탄을 0.6중량%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량체만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사용하는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필라멘트사를 얻어서 직물로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이 예의 필라멘트는 카올리나이트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촉감, 광택에 있어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 대해서 카올리나이트를 6중량%에 배합한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사용하는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필라멘트를 얻고, 직물 평가를 행하였다. 이 경우, 방사연신 공정의 안정성에 결함이 있고, 보통 모우, 실끊김 때문에 직물을 제작할 수 없었다.
[실시예 3,4, 비교예 6]
실시예 1의 61.5 데니어 36필라멘트 산화티탄 함유량 0.03%, 카올리나이트 함유향 2.0%, 필라멘트 횡단면 중공률 18%의 필라멘트사를 경사,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으로 하여 통상의 정련후, 180°C로 가(假)세트하고, 50g/l의 NaOH 수용액으로 90°C 온도하에서 표 2에 표시하는 감량률로 될만한 처리시간으로 알칼리 감량처리한 후, 160°C로 최종 세트하여 직물을 완성하였다.
이 직물을 카아본과 금으로 증착(蒸着)한 후, 주사형의 전자현미경으로 5000배의 사측면의 사진을 찍고, 미세구멍의 최대폭, 길이 및 수를 계측했다.
또 직물중의 원사를 집어내어, 아크릴수지에 싸 묻은 후, 4㎛ 두께의 몇장의 작은 조각으로 절단한 후, 이소아밀아세트산으로 아크릴 수지를 용출하고, 동일한 수법으로 전자현미경으로 10000배의 사진을 얻고, 또한 그 사진을 프로젝터로 10배로 확대하여 미세구멍의 깊이를 측정했다.
또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촉감, 탄발성, 광택을 판정했다.
또, 최종 세트전의 직물을 미쯔비시 가세이 공업사의 DianixGreen 3G-E를 20% owf 사용하여 130°C로 45분간 염색하고 환원 세척후 건조시켜 160°C로 최종 세트한 직물로 색상을 판정했다.
본 직물에서 빼낸 실을 테시론으로 실강력을 측정했다.
상기 판정 및 측정 결과를 표 2에 표시했다.
실시예 3,4는 본 발명의 것이며, 촉감, 탄발성, 색상, 광택이 대단히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 6은 섬유표면 미세구멍이 본 발명외이며, 미세구멍의 수, 최대폭, 깊이 0.1㎛ 이상의 비율이 높고, 특히 색상이 파스텔조가 강해져서, 광택도 칙칙함이 강하고, 더욱 실강력도 저하하여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표 2]
Figure kpo00009
[비교예 7]
비교예 3의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감량처리 최종 세트를 행하고, 천을 완성하여, 미세구멍의 측정과 촉감, 탄발성, 광택을 판정했다.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비교예 8]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사용하여 방사구멍수 36의 Y자형 슬릿구멍을 갖는 방사노즐을 사용하여, 방사속도 1500m/min으로 방사하여 상법에 의해 연신을 행하고, 75데니어 36필라멘트의 3엽 단면연신필라멘트사를 얻었다.
이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에 의해 직물을 완성하여 미세구멍의 측정과 촉감, 탄발성, 색상, 광택을 판정했다.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비교예 9]
비교예 4의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에 의해 완성된 직물로서 미세구멍의 측정과 촉감, 탄발성, 색상, 광택을 판정했다.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표 3]
Figure kpo00010
[실시예 5]
카올리나이트(Engelhard사제 ASP-072 : 거친 조입자를 원심분리로 10% 제거, 굴절률 1.56, 평균입자직경 0.3㎛,1㎛ 입자 6중량%(TiO2가 불순물로서 카올린 중에 1.5중량% 함유))를 2중량% 배합한, 실질적으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량체만이 반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방사속도 1500m/min로 노즐 중공률이 50%,60%,70%인 C자형 형상의 구멍을 각 12개 랜덤으로 배열한 방사노즐을 사용하고, 또한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토출량을 조정하여 단사필라멘트 외주길이가 통상 중실사 75데니어/36필라멘트의 단사 필라멘트 외주길이에 일치하도록 방사연신을 상법에 의해 행하고, 평균중공률 18%, 중공률 CV%가 14.5%인 61.5데니어 36필라멘트의 연신사를 얻었다.
이때 방사 설비로서 추당 4분할로 8추의 방사기를 사용하여, 계32가닥의 연신사로 했다.
이 32가닥의 연신사를 급사구가 1개인 환편기로 편성하여(이하, 이를 간단히 일구편(一口編)이라 함)이 일구편성물을CIBA-GEIGY사제Terasil Navy Blue SGL 0.6%owf. 욕비 1:50으로 보일(Boil) 염색을 행하고, 그 일구편성물을 니혼덴쇼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제 ND-101DP 측색기를 사용하여 L치를 측정하고, 평균치±0.3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율을 염차(染差)율로 했다.
또, 이 염색된 일구편성물의 동일 실내의 얼룩을 육안으로 판정하고 얼룩없음을 0, 약간있는 것을 1, 있는 것을 2, 크게 있는 것을 3급의 4단계로 평가를 행하였다.
한편 이 멀티필라멘트사를 경사,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으로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염색, 세트를 행하고, 경사밀도 160가닥/in, 위사밀도 88가닥/in의 직물로 완성했다. 완성된 직물의 평가로서, 경험풍부한 10명의 판정자에 의해 관능적으로 촉감 탄발성, 색상을 판정했다. 또 이 직물에서 뽑아낸 실을 텐시론으로 실강력을, 직물단위 중량으로서 이 직물 1m2의 중량을 측정했다.
이상의 평가 결과도 합쳐서 표 4에 표시한다.
[표 4]
Figure kpo00011
[실시예 6]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방사속도 1500m/min로 18호올의 노즐 중공률이 40%와 50%인 C자형 형상의 방사노즐을 사용하여, 각각 별개로 34.1데니어 18필라멘트로 평균 중공률 7% 중공률 CV%2.8%, 평균중공률 11%, 중공률 CV% 2.5%의 2종류의 멀티필라멘트사를 방사, 연신할 수 있었다.
이 2종의 멀티필라멘트사를 인터레이서에 의해 혼섬하여, 68.2데니어 36필라멘트의 평균중공률 9%, 중공률 CV% 9.6%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사를 얻었다.
이때 혼섬사를 50개 작성하여,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합쳐서 표 4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의하면, 종래 방법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새로운 광택효과와 드라이한 감촉과 우수한 굴곡 탄발성을 동시에 겸하여 구비하고, 또한 스트라이크, 어른거림 등의 결점이 없는 고품질의 멀티필라멘트사를 제공할 수가 있고, 특히 이것들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의료(衣料) 분야로의 전개가 크게 기대될 수 있다.

Claims (3)

  1. 0.1중량% 이하의 소광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라멘트사로서, 필라멘트 횡단면 형상이 중공률 5~30%의 중공 횡단면이며, 더욱이 카올리나이트를 0.5~5.0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가 알칼리 감량처리에 의해 섬유표면에 섬유축방향으로 깊은 미세구멍을 갖고, 이 미세구멍은 (가) 최대폭의 도수분포의 최대치가 0.7㎛ 이하이고, (나) 길이/최대폭의 평균치가 3이하이고, (다) 그 수는 섬유표면의 100㎛2당 평균 30개 이하 존재하고, 더욱이 (라) 그 깊이는 전체의 60% 이상이 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
  3. 제1항에 있어서, 필라멘트 사이의 중공률의 변동계수 CV(%)가 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 단, 변동계수 CV(%)는 다음 식에 의한다.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 멀티필라멘트사 구성 전 필라멘트의 중공률 균일분산 평방근.
    Figure kpo00014
    : 멀티필라멘트사의 평균 중공률.
KR1019890007521A 1988-06-03 1989-06-01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 KR930000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37969 1988-06-03
JP63137969A JP2581162B2 (ja) 1988-06-03 1988-06-03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ラメント糸
JP27418388A JP2508822B2 (ja) 1988-10-28 1988-10-28 ポリエステル系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
JP63-274183 1988-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376A KR900011376A (ko) 1990-07-11
KR930000560B1 true KR930000560B1 (ko) 1993-01-25

Family

ID=2647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521A KR930000560B1 (ko) 1988-06-03 1989-06-01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5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376A (ko)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916B1 (ko) 고밀도 조면화 폴리에스테르 섬유
GB2222838A (en) Composite polyester yarn for woven or knitted fabric
KR100468799B1 (ko) 폴리에스테르 태세 다섬조사
KR930000560B1 (ko)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
JPS5920775B2 (ja) コンセンシノセイゾウホウホウ
JP2508822B2 (ja) ポリエステル系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
JP2581162B2 (ja)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ラメント糸
JP2833059B2 (ja) ポリエステル系特殊捲縮加工糸
JPH0625918A (ja) 易起毛性ポリエステル系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3515508B2 (ja) ポリエステル撚糸を含む濃淡織編物
JPH03152228A (ja) ポリエステル混合繊維糸
KR100498114B1 (ko) 피브릴성 및 발색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H10266029A (ja) ポリエステル収縮差混繊糸
JP2001262434A (ja) 濃色性ポリエステル極細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91437A (ja) 異繊度混繊糸使い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72123A (ja) ポリエステル系フイラメント加工糸及びその製造法
KR100481094B1 (ko) 다층분할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 방법
JPH06200411A (ja) 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
JPH09228181A (ja) 斑 糸
JP2022107941A (ja) 海島型複合繊維及びそれからなる布帛
KR950004069B1 (ko) 레이욘조폴리에스터혼섬사및그제조방법
JPH0359130A (ja) ポリエステル収縮差混繊糸
KR100192657B1 (ko) 아세테이트 특성을 발현하는 개질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JPH0827640A (ja)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ラメント加工糸及びその製造法
JPH09268468A (ja) ポリエステル系マルチフィラメント斑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