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069B1 - 레이욘조폴리에스터혼섬사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욘조폴리에스터혼섬사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069B1
KR950004069B1 KR1019920020733A KR920020733A KR950004069B1 KR 950004069 B1 KR950004069 B1 KR 950004069B1 KR 1019920020733 A KR1019920020733 A KR 1019920020733A KR 920020733 A KR920020733 A KR 920020733A KR 950004069 B1 KR950004069 B1 KR 950004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gravity
shrinkage
low
yarn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679A (ko
Inventor
서원
이윤호
Original Assignee
동양폴리에스터 주식회사
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폴리에스터 주식회사, 배도 filed Critical 동양폴리에스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069B1/ko
Publication of KR94001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욘조 폴리에스터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레이욘조 즉 우수한 드레이프성과 광택이 억제된 색조를 가지고 있고 또 숭고성, 자연스러운 촉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혼섬사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터 섬유는 그 취급의 용이성 때문에 의류용에서부터 시작하여 많은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 섬유의 질감 및 외관은 천연섬유가 지향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것으로서, 이 때문에 천연섬유와 같은 질감을 얻으려는 노력이 게속되고 있다.
예를들면 실키조 질감을 지향한 것으로서는 일본특공소 55-22586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비수수축률차를 가지는 복수의 멀티 필라멘트사로 된 혼섬사를 사용하여 직물화한 후 알칼리 감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레이욘조 질감을 얻기 위해서는 이산화티탄등의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섬유의 비중을 높여서 드레이프성을 발현시키고, 광택을 억제한 색조를 얻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고수축 폴리에스터와 이산화티탄을 함유시켜 표면에 다수의 미세공을 형성시킨 저수축 폴리에스터를 혼섬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 기술에 의해서는 드레이프성, 광택을 억제한 색조, 숭고성, 자연스러운 촉감등의 레이욘조 질감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즉, 일본특공소.55-22586호에서는 매끄러운 촉감의 실키조의 질감이 있고 이산화티탄을 다량 함유한 소위 풀달사를 사용하고 있으나, 염색성이 나빠지고 자연스러운 촉감발현이 부족하다. 한편 고수축 폴리에스터사와 이산화티탄을 함유시킨 저수축사를 혼섬하는방법은 광택을 억제한 색조, 숭고성등을 양호하지만 레이욘과 같은 우수한 드레이프성과 자연스러운 촉감은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수축률과 비중이 다른 두 종류의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로 된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하기 식에서와 같이 수축률이 높고 비중이 낮은 공중합 필라멘트를 실질적으로 심부에, 수축률이 낮고 비중이 높은 필라멘트를 실질적으로 외층부에 위치시키고 고비중 필라멘트 표면에는 다수의 미세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욘조 폴리에스터 혼섬사에 관한 것이다.
14.0 ≤ SH-SL≤ 40.0 (1)
SH: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의 비수수축률(%)
SL: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의 비수수축률(%)
0.08≤DL-DH≤0.15 (2)
DH: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의 비중
DL: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의 비중
즉, 본 발명은 비수수축률 차이가 14∼40%이고 비중차가 0.08∼0.15인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와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를 유체교략 혼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욘조 폴리에스터 혼섬사의 제조방법으로, 이 혼섬사를 제직한 후 가공 열처리하여 양 필라멘트를 알칼리 감량하는 공정을 통하여 레이욘 수준의 우수한 드레이프성을 발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로서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를 주요 구성단위로 하는 것이지만 폴리에틸렌 글리콜 이소프탈산 기타 저급 알킬에스테르 등의 공중합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저수축 고비중 필라멘트 표면에 다수의 미세공을 형성시켜 자연스러운 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비중이 3.7 이상이고 100∼1000mμ 크기의 황산바륨, 탄산바륨, 산화아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의 불활성 극세미립자를 전체 섬유 중량대비 3.5∼10.0중량% 투입하여 혼합방사한 폴리에스터 섬유로서 비중이 1.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고수축 저비중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고수축 공중합 폴리에스터로 한정한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플리에스터사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를 수요단위로 하지만 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의 공중합 폴리에스터를 5∼15% 공중합시킨 것 이외에는 통상의 제사방법으로 제조한 것으로서 최종 원사의 비수수축률이 22%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필라멘트의 단사섬도는 2.0∼2.5데니어 수준이 좋으며 저수축 고비중 필라멘트의 단사섬도는 1.0∼2.0데니어 수준이 좋은데, 그 이유는 저수축 고비중 필라멘트의 단사섬도가 2.0데니어를 초과하게 되면 굽힘강성이 커져 후가공 열처리시 충분한 이수축 효과를 발현하지 못해, 숭고성및 드레이프성이 저하되며 1.0데니어 미만의 경우에는 방사 작업성이 나빠지고 모우등의 발생이 쉬워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의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의 비수수축률 차이는 l4∼40%가 좋은데 이러한 비수수축률 차이가 14% 미만이 되면 직물상의 후가공 열처리시 충분한 이수축 효과와 숭고성을 발현할 수 없고 40%를 초과하면 지나친 이수축 효과로 오히려 가공성 및 제품 품위상 좋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고수축 저비중사와 저수축 고비중사의 비중차이는 0.08∼0.15가 좋은데 그 차이가 0.08 미만이면 레이욘조의 드레이프성이 발현되기 어렵고 0.15를 초과하면 가공성에 문제가 있다. 결국 저수축 고비중사의비중이 1.45 이상인 것이 좋은데 그 미만이 되면 드레이프성 및 자연스러운 촉감이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두 성분사를 혼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체교락방법을 사용하면 족하기 때문에 상세기재는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언급된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레이욘조 혼섬사는 종래의 레이욘조 혼섬사에서는 얻지못한 우수한 드레이프성과 함께 숭고성, 자연스러운 측감을 나타내는데, 통사의 평직, 능직, 주자직등으로 제직한 후 감량, 염색등의 후가공을 실시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직물은 드레이프성이 우수하고 숭고성 및 반발 탄력성이 좋으며, 광을 억제한 색조 및 자연스러운 촉감을 갖는 레이욘조이므로 고급 여성용복에 널리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한다.
(실시예 1)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 30d/12f와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 75d/36f를 합사유체 교락에 의해 65개/m의 교략을 부여하면서 폴리에스터 고비중성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원사간의 비수수축률 차는 25%이고 비중차는 0.12이다. 이렇게 제조된 고비중성 이수축 혼섬사를 통상의 방법으로 가호 처리하되 싸이징시 실린더와 챔버의 온도를 85℃로 하여 70m/min의 속도로 처리한다. 상기의 원사를 경사로 하고 위사는 75d/72f를 1,800T/M 연사한 원사를 사용하였다.
경사밀도는 150본/인치, 위사밀도는 82본/인치로 제직하여 150g/yd의 평직물을 얻었다. 이 직물을 통상의 연속 감량기에서 감량율이 20% 되게 감량한 후 염색하였다.
(실시예 2)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와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의 비수수축률 차를 1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와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의 비중차가 0.09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와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의 비수수축률차가 11%인 것 이외에는실시예 l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와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의 비중차가 0,5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직물의 물성평가시험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표1]
* 상기에서 비수수축률은 JIS-L-1077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직물에 대한 감성평가는 ◎ : 우수 ○ : 양호 △ : 보통으로 하였다.

Claims (4)

  1.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와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를 유체교락 혼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욘조 폴리에스터 혼섬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와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의 비수수축률 차이가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욘조 폴리에스터 혼섬사의 제조방법
    14.0 ≤ SH- SL≤ 40.0 (1)
    SH: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의 비수수축률(%)
    SL: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의 비수수축률(%)
  3. 제1항에 있어서,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와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의 비중 차이가 하기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욘조 폴리에스터 혼섬사의 제조방법.
    0.08≤DL-DH≤0 15 (2)
    DH: 고수축 저비중 공중합 폴리에스터사의 비중
    DL: 저수축 고비중 폴리에스터사의 비중
  4.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레이욘조 폴리에스터 혼섬사
KR1019920020733A 1992-11-05 1992-11-05 레이욘조폴리에스터혼섬사및그제조방법 KR950004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733A KR950004069B1 (ko) 1992-11-05 1992-11-05 레이욘조폴리에스터혼섬사및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733A KR950004069B1 (ko) 1992-11-05 1992-11-05 레이욘조폴리에스터혼섬사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679A KR940011679A (ko) 1994-06-21
KR950004069B1 true KR950004069B1 (ko) 1995-04-25

Family

ID=1934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733A KR950004069B1 (ko) 1992-11-05 1992-11-05 레이욘조폴리에스터혼섬사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0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679A (ko) 199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86211A1 (fr) Fil texture par fausse torsion en fibre de polyester composite et procede de production
GB2222838A (en) Composite polyester yarn for woven or knitted fabric
KR100635857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950004069B1 (ko) 레이욘조폴리에스터혼섬사및그제조방법
KR100462502B1 (ko) 폴리에스터 극세 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JPS63275734A (ja) ポリエステル複合加工糸
KR100646649B1 (ko) 소프트니스가 우수한 이수축 복합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60024B1 (ko) 촉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JPH062235A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糸
JP2935008B2 (ja) ポリエステル芯鞘型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79428A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S63249728A (ja) ポリエステル複合加工糸
JPH0359130A (ja) ポリエステル収縮差混繊糸
JPH07310252A (ja) 表面に毛羽を有する織物
KR100302242B1 (ko)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KR100211219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
JPH0219528A (ja) ポリエステル収縮差混繊糸
JP2508822B2 (ja) ポリエステル系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
JPH01118667A (ja) ポリエステル織物
KR930000560B1 (ko) 폴리에스테르계 멀티필라멘트사
JPH0610232A (ja) 交織の織物
JP2008196093A (ja) 伸度差混繊糸
JPS63112742A (ja) ポリエステル複合加工糸
JP2019099925A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布帛
JPH06192939A (ja) 表面に毛羽を有する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