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252B1 - 열접착성 복합섬유 - Google Patents

열접착성 복합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252B1
KR930000252B1 KR1019900000244A KR900000244A KR930000252B1 KR 930000252 B1 KR930000252 B1 KR 930000252B1 KR 1019900000244 A KR1019900000244 A KR 1019900000244A KR 900000244 A KR900000244 A KR 900000244A KR 930000252 B1 KR930000252 B1 KR 930000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hollow
heat
melting point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916A (ko
Inventor
에쓰이찌 세끼다
히데아끼 다가다
히데오 이소다
Original Assignee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다끼자와 사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다끼자와 사부로오 filed Critical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1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접착성 복합섬유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심부 1a : 중공부
2 : 외장부
본 발명은 시이스/코어(sheath/core)형의 열접착성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며, 부직포용으로서 적합한 것이다.
융점차가 있는 2종류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벌키성과 탄성회복성이 뛰어나고, 부직포용으로서 적합한 시이스·코어형의 열접착성 복합섬유로서 그 심부를 중공으로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복합섬유는 심부의 중합체가 섬유 축방향의 중공부를 가지고, 접착성분이 되는 중합체가 외장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심부는 외장부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되고, 상기 중공부가 외장부에 대하여 동심 형상으로, 또 심부에 대하여는 편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중공 열접착성 복합섬유는 그 방사, 연신후에 토우(tow)상태로 기계 권축(卷縮)을 부여하고, 릴랙스 열처리를 하고, 이어서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스테이플로 하며, 그런 다음 카딩하여 웨브화하고, 이것을 적층하여 열세트하여 외장부를 용융함으로써 심부 상호를 접착하여 부직포로 가공되는데, 상기 종래의 중공 열접착성 복합섬유는 외장부에 대하여 심부가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릴렉스 처리단계에서 강한 권축이 발현되고, 그 때문에 카드에 걸어서 침포로 긁을 때 저항이 크고 섬유가 평행으로 가지런해지기 어려워 웨브화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웨브화가 용이한 중공의 열접착성 복합섬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복합섬유는 융점이 20℃ 이상의 차가 있는 2종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고융점의 중합체가 중공의 심부(1)를 형성하고 저융점의 중합체가 외장부(2)를 형성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심부(1) 및 외장부(2)가 동심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심부(1)에 대하여 중공부(1a)가 편심비(심부(1)및 중공부(1a)의 중심간거리(d)와 심부(1)의 반경(R)과의 비 d/R) 0.1~0.7크기로 편심하고, 상기 중공부(1a)의 심부(1)에 대한 중공률이 5~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공의 심부(1)를 구성하는 고융점의 중합체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등이 사용되고, 또 외장부(2)를 구성하는 저융점의 중합체로서는 고밀도, 중밀도, 저밀도의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심부(1) 및 외장부(2)의 면적비는 1/2~2/1가 바람직하다.
또, 중공부(1a)의 심부(1)에 대한 중공률은 중공부(1a)의 단면적과 심부(1)의 단면적 및 중공부(1a)의 단면적의 합계 면적과의 비(%)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복합섬유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기계권축을 부여하고, 열릴랙스처리를 행한 다음, 카딩하여 웨브화하고, 얻어진 웨브를 적층하여 가열함으로써 부직포로 형성되는데, 심부(1)가 외장부(2)에 대하여 동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권축 부여후의 열릴렉스 처리에 의해 강한 권축이 발현되는 일이 없고 다음 카딩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웨브를 적층하여 가압, 가열하면 외장부(2)가 용융하여 심부(1) 만이 남고, 이 심부(1)가 상기 용융한 외장부에서 접착되어 부직포가 형성되는데, 상기 심부(1)에는 중공부(1a)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굽힘 모우멘트가 커지고, 벌키성과 탄성회복성을 양호하게 한다.
더구나 중공부(1a)가 심부(1)에 대하여 편심되고 심부(1)가 구조적 이방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외장부(2)의 용융에 의해 그 속박으로부터 해방되어 입체적으로 권축을 발현하여 부직포의 벌키성을 향상시킨다.
다만, 심부(1)에 대한 중공부(1a)의 편심비가 0.1 미만일 경우는 편심의 효과가 없으며, 외장부(2)의 융점후에 있어서의 권축발현이 불충분해지고, 반대로 0.7을 초과하면 중공부(1a)가 심부(1)의 밖으로 노출하는 부분이 생겨 탄성회복성이 저하된다.
또, 중공부(1a)의 심부(1)에 대한 중공률이 5% 미만일 경우는 중공부(1a)를 설치한 효과가 없고, 섬유로서의 굽힘 모우멘트가 작아져서 탄성 회복성이 부족하고, 반대로 40%를 초과하는 경우는 고하중하에 있어서 중공부(1a)가 찌부러지기 쉬워져서 벌키성 및 탄성 회복성이 불충분해진다.
[실시예]
고융점의 중합체로서 융점 264℃, 극한점도 0.63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저융점의 중합체로서 융점 132℃, 멜트인댁스 25, 밀도 0.955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각각 295℃ 및 265℃로 용융 압출하고 토출량비 50/50, 방사온도 285℃로 연속적으로 방사하여 얻어진 미연신사를 소정 조건으로 연신하여 6종류의 열접착성 복합섬유를 제조하고, 그런 다음 스터퍼복스로 기계권축을 부여하며, 100℃에서 10분간 릴랙스 열처리를 부여하고 이것을 51mm의 길이로 절단하여 스테이플로하여 카드기에 걸어서 카드웨브를 만들어 이 카드웨브를 무하중하, 140℃의 열풍으로 1분간 처리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제조조건, 섬유물성 및 부직포 물성을 하기 표로 나타낸다. 또, 표중, 부직포의 두께 A는 2g/㎠의 하중하에서 측정한 값이고, 두께 B는 2g/㎠의 하중을 가하여 5일간 방치한 후의 측정치이다.
또, 중공부 편심비는 중공부 심부에 대한 편심비를 의미하며, 심부편심비는 심부의 외장부에 대한 편심비를 의미한다.
Figure kpo00001
상기 표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열접착성 복합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는 두께 A와 두께 B가 크고, 벌키성과 탄성회복성이 뛰어난다.
이에 비해 비교예 1은 심부 및 중공부가 외장부에 대하여 동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또 비교예 2는 중공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두 벌키성이 결핍된다.
또, 비교예 3은 심부가 외장부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릴렉스 처리후의 권축수 및 권축률이 과대해지고, 카딩이 곤란하며 냅 및 직물바탕에 얼룩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복합섬유는 외장부의 융점이 심부보다 적어도 20℃ 낮기 때문에 부직포 제조용으로서 적합하다. 더구나 외장부에 대하여 심부가 동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권축 부여후의 릴랙스 열처리에서 발현하는 권축이 낮게 억제되고, 카딩이 용이하여 양호한 웨브가 얻어진다.
그리고, 얻어진 부직포는 심부에 중공부가 존재함으로써 탄성회복성이 양호하고, 또 중공부가 심부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외장부를 용융할 때의 가열에 의해 입체 권축을 발현하고 벌키성과 탄성회복성이 뛰어나며 상기 벌키성에 의해 소프트한 감촉을 주고 또 상기 부직포하에 개재시킨 흡수심재중의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때문에 위생재료로서 적합하다.

Claims (1)

  1. 융점에 20℃ 이상의 차가 있는 2종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그 고융점의 중합체가 중공의 심부를 형성하고 저융점의 중합체가 외장부를 형성하는 열접착성 복합 섬유에 있어서, 상기 심부 및 외장부가 동심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심부에 대하여 중공부가 편심비(심부 및 중공부의 중심간 거리와 심부의 반지름과의 비) 0.1~0.7의 크기로 편심하며, 상기 중공부의 심부에 대한 중공률이 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
KR1019900000244A 1989-01-19 1990-01-10 열접착성 복합섬유 KR930000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688 1989-01-19
JP1011688A JP2508833B2 (ja) 1989-01-19 1989-01-19 熱接着性複合繊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916A KR900011916A (ko) 1990-08-02
KR930000252B1 true KR930000252B1 (ko) 1993-01-14

Family

ID=1178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0244A KR930000252B1 (ko) 1989-01-19 1990-01-10 열접착성 복합섬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08833B2 (ko)
KR (1) KR930000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0138B2 (en) 1997-09-30 2002-06-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imped multicomponent filaments and spunbond webs made therefrom
US5876840A (en) * 1997-09-30 1999-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imp enhancement additive for multicomponent filaments
KR100825886B1 (ko) * 2004-08-23 2008-04-30 (주)티엠코프레이션 심지 및 직물제품과 이러한 심지를 직물제품에 장착하는방법
US7238423B2 (en) * 2004-12-20 2007-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component fiber including elastic elements
CN108716027B (zh) * 2018-08-31 2024-03-01 江苏江南高纤股份有限公司 Hdpe-pet复合超短纤维的制备方法、应用及后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0614A (ja) * 1982-04-12 1983-10-22 Daiwa Spinning Co Ltd ポリオレフイン系異軸型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装置
JPS62299514A (ja) * 1986-06-10 1987-12-26 Daiwa Spinning Co Ltd 熱接着性中空複合繊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916A (ko) 1990-08-02
JPH02191717A (ja) 1990-07-27
JP2508833B2 (ja)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992B1 (ko) 한방향 신축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US4500384A (en) Process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of hot-melt-adhered composite fibers
TWI410540B (zh) Thermal adhesive composite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960007849A (ko) 용융접착성 복합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퓨즈 직물 또는 표면재
JP2759331B2 (ja) 潜在捲縮性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930000252B1 (ko) 열접착성 복합섬유
JPS62299514A (ja) 熱接着性中空複合繊維
JPS63295712A (ja) 異形断面熱融着繊維
JPH0450353A (ja) メルトブロー不織布
JPH10174822A (ja) 耐熱性フィルター
JP2691320B2 (ja) 伸縮性不織布
JPH04316608A (ja) 熱分割性複合繊維
JPH0726454A (ja) 極細繊維ウエブの製造方法
JP2971919B2 (ja) 熱接着性繊維
JP2741113B2 (ja) 伸縮性不織布の製造方法
JPH0959860A (ja) 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08477A (ko) 신축성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2916224B2 (ja) 繊維成型体
JPH02191718A (ja) 熱接着性複合繊維
KR910003070B1 (ko) 열접착성 섬유
JPS60259664A (ja) 繊維シ−ト状物
JP4628808B2 (ja) 低収縮性熱接着性繊維
JP4785659B2 (ja) 熱分割型複合繊維およびその繊維集合物
JP2885811B2 (ja) 易分割性繊維の製造方法
JPH01118617A (ja) 潜在捲縮性を有する熱接着性複合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