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1088B1 - 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1088B1
KR920011088B1 KR1019890016245A KR890016245A KR920011088B1 KR 920011088 B1 KR920011088 B1 KR 920011088B1 KR 1019890016245 A KR1019890016245 A KR 1019890016245A KR 890016245 A KR890016245 A KR 890016245A KR 920011088 B1 KR920011088 B1 KR 92001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rotating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758A (ko
Inventor
오까다 다다시
가지와라 쥬니치
마쭈오 도시히사
마루까와 아쭈시
도요다 마사시
야마다 요시까다
모리 요시테루
노다 요시유끼
이시까와 가쭈도시
다니구찌 히데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842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07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18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244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2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52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24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5293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83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83Cassette
    • G03G2215/00388Cassette rota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Detachable element of feed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
제1도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2도는 복사기의 전체구성을 표시하는 단면설명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 제2회전 카세트유니트를 꺼내진 상태를 표시하는 복사기의 사시도.
제4a도는 제2도에 있어서 제1 및 제2회전 카세트유니트를 일부 도려내어 표시하는 사시도.
제4b도는 동도(a)에 있어서 넛부재부근을 표시하는 확대사시도.
제5도는 복사기 본체 및 디스크부의 카세트장착부와 각 고정카세트의 눌러서 뛰어나온 부분을 표시하는 요부사시도.
제6a도는 조작패널을 표시하는 정면도.
제6b도는 동도(a)에 있어서 조작패널에 설치된 카세트조작부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7도는 제어 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8도는 회전카세트의 회전과정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마이콤의 제어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마이콤의 제어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마이콤의 제어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2도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마이콤의 제어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발명의 지금 1개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
제13도는 조작패널에 설치된 카세트조작부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14도는 마이콤이 제어농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5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별개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
제15도는 복사기의 요부 평면도.
제16도는 복사기의 요부 정면도.
제17도는 제어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a : 회전카세트 36 : 카세트회전모터
37 : 넛부재 38 : 데스크부
6 : 광학계 51 : 마이콤
본 발명은 복사기 및 레이저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특히 용지를 세로로 보내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로 보내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카세트출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등이 화상형성장치는 통상 용지의 사이즈마다 복수의 급지(給紙)카세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급지카세트로부터의 용지의 발송은 용지와 긴쪽 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는 세로보냄보다도 용지의 폭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는 가로보냄쪽이 반송속도의 점에서 바람직스럽다. 이때문에 종래의 복사기에는 B4 더욱 A3 등의 대형 용지까지도 가로보내기로 하는 것이 있다.
한편 사이즈의 큰 용지까지도 가로보내기로 하면, 복사기내의 감광체드럼, 반송롤러 및 용지의 반송로 등이 대형화하여, 장치자제와 대형화 및 이것에 수반하는 코스트업을 초래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예를들면 B4 및 A3 등의 사이즈의 큰 용지는 세로보내기로 하고, A4 이하 등의 사이즈의 작은 용지는 가로보내기로 하는 방식이 취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축소 및 확대를 행하는 변배(變倍)기능을 가지는 복사기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축소복사에 대하여는 세로로보내기용의 B5 및 A4 등의 용지카세트가 필요하게 되는 한편, 반송속도를 고려하면 가로로보내기용의 B5 및 A4의 용지카세트도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여러가지의 용지카세트를 구비하는 것이 되면, 복사기를 대형으로 하던가, 또는 복수의 용지카세트를 목적에 응하여 바꾸어끼워 사용하지않으면 안되고, 장치의 대형화 및 코스트업, 혹은 조작의 번잡화를 초래하는 것이 된다.
더욱 용지사이즈의 뒤에 아르(R)가 부가된 B5R, A4R 등의 용지카세트는 세로로보내기용의 용지카세트이다.
거기서 이같은 문제를 회피하는 것으로서, 특개소 56-59245호 공보 및 특개소 59-123859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있는 것과 같이, 예를들어 B5와 B5R 및 A4와 A4R의 용지카세트를 공통의 것으로 하고 용지의 가로로보내기와 세로로보내기에는 카세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대응하는 구성이 먼저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이 종류의 장치에서는 예를들어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키의 조작에 응하여 회전카세트가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전카세트는 회전기구상에 장착할 필요가 있으므로, 통상,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내에 수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회전카세트를 채용한 것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카세트회전키의 조작미스가 있으면 그때에 회전카세트가 회전하는 것이 되므로 회전카세트에 쓸데없는 회전이 강요되어 회전카세트의 구동음으로 주위의 정막성이 해치게 됨과 아울러, 회전기구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도 있다.
한편 회전카세트로부터의 급지중 등에 카세트키를 조작하면 종이막힘을 생기게 하는 것도 된다. 그 경우에는 카세트회전키를 조작하여 원위치로 회전카세트를 회전시켜, 종이막힘에 의하여 파기된 분의 카피를 바로잡은 후, 다시금 카세트회전키를 조작하여 재차 회전카세트를 소망의 위치에 회전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회전카세트는· 쓸데없는 회전을 강요당함과 아울러, 소음의 발생 및 회전기구의 수명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또 상기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회전카세트의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위치의 어느것인가를 우선 보내기위치로서 설정하여두고, 전원 온시 또는 회전카세트에 용지를 보급한 경우에 회전카세트가 가로로보내기위치 또는 세로로보내기위치에서 빗나가 있는 때에는, 회전카세트를 우선보내기위치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그 경우 예를들면 회 전카세트로부터의 급지중에 용지떨어짐이 되어, 회전카세트를 장치에서 뽑아내어 용지를 보급한 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할 때, 회전카세트가 소정의 보내기위치에서 어긋나있으면, 회전카세트는 상기의 우선보내기위치에 회전되어, 앞서 설정하였던 보내기위치가 우선보내기위치와 다르면 재차 회전카세트를 소망의 보내기위치에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조작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회전카세트를 복수 구비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회전카세트 이외에 고정카세트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카세트의 선택 및 회전카세트를 선택한 경우의 회전카세트의 회전 등을 지시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카세트의 선택을 행하는 카세트선택키 및 회전가세트를 회전시키는 회전키 등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것은 조작패널상의 조작키의 개수가 증가하는 것뿐 아니라, 키조작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회전카세트의 출입용 구멍트인 곳의 넓이에 제한이 있는 경우 회전카세트를 어느것인가의 보내기위치에 세트한 상태만에서 회전카세트의 꺼내고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 회전카세트의 용지 떨어짐이 생긴 때에,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가 꺼내고넣기가 가능한 보내기위치와 상이하고 있으면, 보내기위치를 변경한 후가 아니면, 회전카세트를 꺼낼 수가 없어, 회전카세트에의 용지의 보급작업이 번잡하게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일 카세트회전키 등의 카세트회전 지시수단의 오조작이 생긴 경우에서도, 잘못된 지시를 정정하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카세트에 쓸데없는 회전이 강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를들어 화상형성처리중 또는 회전카세트로부터의 급지중에 잘못하여 회전카세트의 회전이 지시된 경우에,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것에 의하여, 종이막힘이 발생하거나 종이막힘의 발생에 기인하여 회전카세트에 쓸데없는 회전이 강요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를들면 회전카세트에의 용지의 보급시 등에 만일 회전카세트가 세로 혹은 가로의 어느것인가의 보내기위치로부터도 어긋난 경우이라도 오퍼레이터 자신이 특별한 조작을 행하는 일없이, 이후의 화상형성처리를 원활하게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최소한의 개수의 카세트전환지시수단에 의하여 카세트의 전환의 지시 및 회전카세트의 회전의 지시를 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카세트전환지시수단에 의한 카세트의 선택 및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의 설정이 종료할 때까지의 사이에 회전카세트에 불필요한 회전의 강요가 없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지금 하나의 목적은 회전카세트를 세로 또는 가로의 어느것인가 한쪽의 보내기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꺼냄 또는 삽입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에 꺼낼때에 오퍼레이터가 일일이 꺼냄 또는 삽입용의 보내기위치에 세트하지 않아도 즉시 회전카세트의 꺼냄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로 보내는 세로보내기 위치와 가로로 보내게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카세트회전신호가 입력된 때에 이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수단에 기억시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카세트회전허용신호가 발생되어 아울러 기억수단에 카세트회전신호가 기억되어 있을 때에 이 카세트회전신호에 기초하여, 회전카세트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카세트의 회전이 지시된 때에 즉시 회전이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고 카세트회전신호가 일단 기억수단에 기억되어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카세트회전허용신호가 발생된 때에 처음으로 회전카세트의 회전이 행하여지므로 만일 오퍼레이터가 잘못하여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한 경우에는 카세트회전허용신호가 발생되는 이전에 정정을 행하는 것에 회전카세트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카세트회전허용신호는 예를들면 화상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 예를들면 화상형성장치가 복사기이면 카피단추가 조작된 때에 발생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회전카세트의 회전이 지시된 때에 즉시 회전이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고 그후 화상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에 의하여 화상의 형성이 지시된 시점에서 비로소 회전카세트가 회전하는 것이 된다.
또 상기의 카세트회전허용신호는 예를들면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신호가 발생된 시점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카세트회전신호에 변화가 없었을때, 발생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만일 오퍼레이터가 잘못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시간의 사이에 회전카세트의 회전지시의 취소 또는 정정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카세트의 불필요한 회전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 상기의 카세트회전허용신호는 화상형성동작의 개시후에 회전카세트의 회전이 지시된 경우 화상형성동작의 종료를 기다려서 발생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만일 오퍼레이터가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한 경우에는 회전카세트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보류되어 화상형성동작의 종료가 검출된 시점에서 처음으로 회전카세트가 회전되므로 화상형성동작의 기간중에 회전카세트가 회전하는것에 수반하는 종이막힘이 방지됨과 아울러, 종이막힘이 생긴분의 화상형성동작을 재차 행하기 위하여 회전카세트를 원래의 보내기위치에 회전시키는 등의 회전카세트의 쓸데없는 회전도 없앨 수가 있다.
또 상기 카세트회전허용신호는 회전카세트에서 용지가 급지되오 있는 기간에 회전카세트의 회전이 지시된 때에 회전카세트로부터의 급지가 종료한 시점에서 발생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카세트로부터의 급지중에 회전이 행하여지는 것에 의한 종이막힘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이막힘이 생긴분의 화상형성동작을 다시 행하기 위하여 회전카세트를 원래의 보내기위치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게되어 회전카세트의 불필요한 회전의 회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로 보내는 세로로보내기위치와 가로로 보내는 가로로보내기위치와에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회전카세트가 세로 흑은 가로의 어느것인가의 보내기위치에 있는가를 검출하는 보내기위치검출수단과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회전카세트가 소정의 보내기위치에 회전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고 회전카세트가 배치된 가로 혹은 세로보내기위치를 기억수단으로 기억시킴과 아울러 이 카세트회전신호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때에 회전카세트가 가로 혹은 세로 보내기위치에서 빗나간 상태가 보내기위치 검출수단에서 검출될때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가로 혹은 세로보내기위치로 회전카세트가 배치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카세트에의 용지의 보급시 등에 회전카세트가 세로 및 가로의 어느것인가의 보내기위치로부터도 빗나가서 정상적인 급지가 행하여지지 못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회전카세트가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기 직전에 설정된 보내기위치로 회전되므로 오퍼레이터 자신이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지 않아도 그 후의 화상형성동작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의 다시 다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로보내기위치와의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세트와, 상기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 화상형성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화상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과 선택되어 있는 카세트를 표시하는 카세트표시수단과 선택되어 있는 카세트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의 사이즈 및 보내기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용지표시수단과를 구비하고 아울러 회전카세트에는 세로보내기방향, 즉 회전카세트가 세로보내기위치에 있는것을 표시하는 용지표시수단과 가로보내기방향, 즉 회전카세트가 가로보내기위치에 있는 것을 표시하는 용지표시수단이 대응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카세트의 전환지시를 입력하기위한 카세트전환지시수단과, 용지표시수단에 표시된 용지의 보내기방향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회전카세트가 세로 혹은 가로의 어느쪽의 보내기위치에 있는가를 검출하는 보내기위치 검출수단과 카세트전환지시수단이 조작되었을 때에 각 카세트에 대응하는 카세트표시수단 및 용지표시수단을 순차전환하여 작동시켜 이 전환동작에 의하여 선택된 용지표시수단의 표시하는 용지의 보내기방향을 기억수단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카세트전환지시수단에서 회전카세트가 선택되고 아울러 화상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이 조작되었을 때에 기억수단에 기억되어있는 용지의 보내기방향에 대응하는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러와 보내기위치검출수단에서 검출된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가 다를때 이들 양 보내기위치가 일치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카세트의 선택과 회전카세트의 회전의 지시와를 동일한 카세트전환지시수단에 의하여 행할 수가 있으므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가 있다.
또 회전카세트의 회전시 필요한 경우 이 회전은 화상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이 조작되었을 때에 비로소 행하여지고 카세트의 선택 또는 회전카세트의 회전의 지시가 확정하기 이전에는 회전카세트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회전카세트의 불필요한 회전을 회피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별도의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에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를 가지고 상기 회전카세트와는 소정의 보내기위치에 배치하여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꺼내기 또는 삽입을 행하는 구성으로서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 및/또는 화상형성처리의 완료시에 회전카세트가 세로 또는 가로의 어느쪽의 보내기위치에 있는가를 검지하는 보내기위치검출수단과 이 보내기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가 회전 카세트의 꺼내기 또는 보내기위치와 다를때에 카세트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카세트를 회전시켜 꺼내기 또는 보내기위치에 배치시키는 제어수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1회의 화상형성동작의 종료시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에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꺼내기 또는 삽입시의 보내기위치에 설정되므로 회전카세트에의 용지의 보급 등을 위하여 회전카세트를 꺼낼 때에는 회전카세트는 항상 꺼내기가 가능한 보내기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2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화상형성장치로서의 복사기는 복사기 본체(1)와, 복사기 본체(1)가 얹어 놓여있는 데스크부(38)와, 복사기 본체(1)의 배지(排紙)측에 위치사는 소오터(sorter)(19)와, 복사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자동원고 보내기장치(이하 ADF라 칭하다)(3)과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데스크부(38)에는 제3도에도 표시한 것과 같이 위에서 순서대로 양면 합성유니트(21), 제1회전카세트유니트(26), 제2회전 카세트유니트(27) 및 제3고정카세트(25)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밑 제2회전 카세트유니트(26,27)는 각각 외상(外箱)(31a,31b)내에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32a,32b)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ADF(3)는, 복사기 본체(1)의 원고대유리(2)위에 설치되어 있다. ADF(3)는 원고 얹어놓는대(3a)위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원고를 그 크기나 세로 혹은 가로의 보내기 방향에 응하여 원고대유리(2)위의 소정위치에 반송함과 아울러 복사종료후에는 원고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다시 예를들면 양면복사를 행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편면(片面)의 복사필(畢)의 원고를 반전시켜 다시 원고대유리(2)위의 소정위치까지 방송하고, 양면복사종료후에 원고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의 원고 얹어놓은대(3a)위에는 원고의 반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사이즈 검출스위치(5a,5b)와, 원고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을 규제하는 가이드(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4)에는 원고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사이즈 검출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반송방향 사이즈를 검출하는 사이즈 검출스위치(5a,5b) 및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사이즈 검출스위치에 의하여 후술하는 원고사이즈 검출장치(54)가 구성되어 있다. 원고대유리(2)의 하방에는 복수의 반사비러(mirror)(6a‥‥) 및 렌즈(6b)를 구비한 광학계(6)가 배치되어 있다.
광학계(6)는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감광체드럼(7)에 유도하는 기본동작을 행함과 아울러, 등배복사에 더하여 확대 또는 축소 등의 변배동작을 행하도록 되어있다.
감광체드럼(7)의 주위에는 클리너(8), 제전(除電) 챠저(9), 대전챠저(10), 컬러복사용의 도너를 가지는 현상장치(11) 및 흑색의 토너를 가지는 현상장치(12)가 배치되어 있다. 또 감광체드럼(7)의 하방에는 전사챠저(13) 및 박리(剝離)챠저(14)가 배설되어 있다.
다시 박리챠저(14)의 후방에는 반송벨트(17) 및 정착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정착장치(18)를 거친 용지는 통상의 복사시이면 소모터(19)를 거쳐 그 배지 트레이(19a‥‥)상에 배출된다.
한편 양면복사시 또는 합성복사시에는 용지복귀로(20)에서 양면 합성유니트(21)에 유도되어, 양면복사시이면 양면 합성유니트(21)내의 제1반송로(21a), 중간트레이(21c), 송출롤러(21d)를 거쳐 급지반송로(22)에 송출되는 한편, 합성복사시이면 앙면 합성유니트(21)내의 제2반송로(21b), 제1반송로(21a), 중간 트레이(21c) 및 송출롤러(21a)를 거쳐 급지반송로(22)에 송출되도록 되어있다. 이 급지반송로(22)의 종단부는 감광체드럼(7) 근방의 페퍼스톱 롤러(15)에 달하고 있다. 또 급지반송로(22)에는 복수의 급지수단중의 어느것인가에서 용지가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복수의 급지수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복사기 보조체(1)의 페퍼스톱 롤러(15)까지의 용지반송로 거리의 짧은 순으로, 손으로 넣은 공급부(30), 예를들면 용지가 500매 수용가능한 제1고정카세트(29), 예를들면 용지가 250매 수용가능한 제2고정카세트(28), 양면 합성유니트(21), 제1회전 카세트유니트(26), 제2회전카세트유니트(27) 및 예를들면 용지기 250매 수용가능한 제3고정카세트(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각 고정카세트(29,28,25) 및 각 회전카세트유니트(26,27)는 복사기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1회전 카세트유니트(26)는 제4a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외상(31a)과 외상(31a)내에 설치되어 소정 사이즈의 용지를 수용하는 회전카세트(32a)를 가지고 있다. 이 회전카세트(32a)는 회전카세트(32a)내의 용지를 복수의 감소에 응하여 차차 들어올기기 위한 회전판등을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상승기구를 가지고 있다. 외상(31a)의 저벽에는 중앙부가 외상(31a)의 저벽과 이간하는 카세트지지판(3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카세트 지지판(33)의 중앙부에는 긴 구멍 상의 안내구멍(33a)이 용지의 급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카세트(32a)에 있어서 이면의 중앙부에는 상기한 안내구멍(33a)에 배치되는 안내축(34)이 하방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외상(31a)에는 외상(31a)의 저벽을 따라 회전카세트(32a)로부터의 급지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축(35)이 배설되어 있다. 이 나사축(35)은 도시하지않은 축받이로서 자재로히 회전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한 끝단부에서 카세트회전모터(36)와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정역전 가능하게 되어있다. 나사축(35)에는 나사축(35)의 정역전에 의하여 축방향에 왕복이동하는 닛부재(37)가 나사식으로 맞추어져 있다.
제4b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넛부재(37)의 상단부는 회전카세트(32)에 있어서 1개의 코너부가 자재로히 회전되게 접속되어있다. 또 넛부재(37)의 하부에는 판상(板狀)의 차광부(37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있다.
한편 나사축(35)의 양단부근방의 하방에 있어서 외상(31a)의 저벽상에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와를 구비하고 상기 차광부(37a)가 이들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간에 사이에 끼워있을 때에 회전카세트(32a)가 가로보내기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포토인터럽터(Photo interrupter)로서 이루어지는 가로보내기 위치센서(HP1)와, 마찬가지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와를 구비하고 상기 하광부(37a)가 이들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간에 사이에 끼워 있을 때에 회전카세트(32a)가 세로보내기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포토 인터럽터로서 이루어지는 세로보내기위치센서(HP2)가 설치되어있다. 이들 양보내기위치센서(HP1,HP2)는 회전카세트(32a)가 소정의 가로보내기위치 및 세로보내기위치에 이동한 때에 차광판(37a)에 의하여 발광소자에서 수광소자에의 빛이 차단되는 것에서 소정의 보내기위치에의 회전카세트(32)의 회전이 검출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의 가로보내기 위치센서(HP1)는 회전카세트(32)가 가로보내기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온이 되고, 세로보내기 위치센서(HP2)는 회전카세트(32)가 세로보내기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온이 되는 것으로한다.
더욱 가로 및 세로보내기 위치센서(HP1,HP2)는 포토인터럽터에 한정되는 일 없어 예를들면 자기센서나 접점식 스위치 등이 있어도 좋다.
또 이상에서는 제1회전 카세트유니트(26)에 관하여 기술하였으나 제2회전 카세트유니트(27)도 제1회전카세트유니트(26)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외상 및 회전카세트의 참조번호를 각각 31b 및 32b로 바꾸어서 설명을 생략한다.
복사기본체(1)에 장착되는 제1고정카세트(29) 및 제2고정카세트(28)와 데스크부(38)에 장착되는 제3고정카세트(25)에는 제5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눌리어 뛰어나온 부분(6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눌리어 뛰어나온 부분(61)은 각 고정카세트(29,28,25)에 수용되는 용지의 사이즈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복수기 본체(1) 및 데스크부(38)에 있어서 카세트 장착부(62)에는 상기의 눌리어 뛰어나온 부분(61)에 의하여 온이 되는 탈수의 용지사이즈 스위치(6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용지사이즈 스위치(63‥‥)는 예를들면 A3, B4, A4 및 B5의 각 사이즈에 대응하여 4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각 용지사이즈 스위치(63‥‥)는 후술하는 마이콤(51)과 접속되어 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마이콤(51)은 각 고정카세트(29,28,25)가 수용하고 있는 용지의 사이즈 및 보내기 방향을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 및 제2회전카세트유니트(26,27)의 회전카세트(32a,32b)가 수용하고 있는 용지의 사이즈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구성 혹은 다른 입력수단에 의하여 마이콤(51)에 입력 되어 있다.
복사기 본체(1)는 그 상면에 제6a도에 표시하는 조작패널(40)을 구비하고있다. 이 조작패널(40)은 복사동작(화상형상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화상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으로서의 카피단추(41), “0”-“9”의 숫자키로서 이루어져서 복사매수 등을 설정하는데에 사용되는 텐키(ten key)(42), 복사매수표시부(43), 카세트조작부(44), 배율표시부(45) 및 배율설정키(46)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카세트조작부(44)는 제6b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카세트선택용의 카세트전환키(47) 제1회전카세트유니트(26)에 있어서 회전카세트(32a)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키(48), 제2회전 카세트유니트(27)에 있어서 회전카세트(32b)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키(49)들을 구비하고 있다.
다시금 카세트조작부(44)는 원고사이즈 표시램프(DSL1-DSL6), 용지사이즈 표시램프(PSL1-PSL6), 손으로 넣는 공급부(30), 제1고정카세크(29), 제2고정카세트(28), 제1회전 카세트유니트(26), 및 제2회전카세트유니트(27) 및 제2고정카세트(25)를 이 순서로서 “1”-“6”의 번호에서 표시하는 카세트 표시램프(CSL1-CSL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카세트 표시램프(CSL1-CSL6)는 카세트전환키(47)가 조작되어 각 회전 카세트유니트(26,27), 각 고정카세트(25,28,29) 혹은 손으로 넣은 공급부(30)가 선택되는 것에 의하여 점등하도록 되어있다.
예를들면 카세트전환키(47)가 조작되어서 제1회전 카세트유니트(26)가 선택되면, 카세트 표시램프(CSL4)가 점등하고, 제1회전 카세트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에 A4의 용지가 수용되어있어 회전카세트(32a)가 가로보내기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용지사이즈 표시램프(PSL3)가 점등하여 용지사이즈가 A4 일 것, 즉 A 사이즈의 용지가 가로보내기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표시한다.
그후 예를들면 회전카세트(37a)가 가로보내기 위치에서 세로보내기위치에 회전되면, 용지사이즈 표시램프(PSL4)가 점등하고 용지사이즈가 A4R일것, 즉 A4 사이즈의 용지가 세로보내기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도록 되어있다.
더욱 선택된 카세트 또는 손으로 넣는 공급부(30)에 용지가 배치되어있지 않았을 때에는 용지사이즈 표시램프(PSL1-PSL6)는 점등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복사기는 제7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제어수단 및 기억수단으로서의 마이콤(51)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마이콤(51)에는 카세트회전수단으로서의 카세트회전모터(36)을 구동하는 모터 드라이버회로(52), 가로 및 세로보내기 위치센서(HP1,HP2), 용지사이즈 스위치(63), 원고사이즈 검출장치(54), 조작 패널키(55), 조작 패널 표시장치(56), 회전 카세트 급지 솔레노이드(57) 및 배지 검지스위치(58) 등이 접속되어있다.
상기의 모터 드라이버회로(52) 및 카세트회전모터(36)는 간단하기 때문에 제7도에서는 1개씩만 표시하고있으나 실제로는 제1 및 제2회전 카세트유니트(26,27)마다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하 모터 드라이버회로(52)에 관하여 설명하면 모터드라이버 회로(52)는 풀업 저항(R1,R2), NOT회로(59,60), 트랜지스터(Tr1-Tr4), 저항(R3-R8) 및 서지 업서버(surge absorber)로서의 다이오드(D1-D9)로서 구성되어 마이콤(51)의 출력에 응하여 카세트회전모터(36)를 정역구동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의 풀업저항(R1), NOT회로(59)의 입력측 및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는 마이콤(51)의 출력단자(CW)에 접속되어, NOT회로(59)의 출력측은, 저항(R3)을 사이에 두고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는 저항(R4)의 한 끝단이 접속되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는 저항(R5)의 한 끝단이 접속되고, 이들 저항(R4) 및 (R5)의 다른 끝단과 트랜지스터(Tr1) 및 (Tr2)의 에미터와 다이오드(D1) 및 (D2)의 캐소드와는 상호 접속되어있다.
그리고 이 접속점에는 (+24v)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다시금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 및 다이오드(D1)의 애노드는 카세트 회전모터(36)의 한쪽의 입력단자와 접속되어,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 및 다이오드(D2)의 애노드는 카세트 회전모터(36)의 한쪽의 입력단자와 접속되어,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 및 다이오드(D2)의 애노드는 카세트 회전모터(36)의 다른 쪽과 입력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한편 풀업저항(R2), NOT회로(60)의 입력측 및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는 마이콤(51)의 출력단자(CCW)와 접속되어, NOT회로(60)의 출력측은 저항(R6)을 사이에 두고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와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는 저항(R7)의 한 끝단이 접속되어,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는 저항(R8)의 한 끝단이 접속되어, 이들 저항(R7) 및 (R8)의 다른 끝단과, 트랜지스터(Tr3) 및 (Tr4)의 에미터와 다이오드(D3) 및 (D4)의 애노드와는 상호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점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접지되어 있다. 다시금 트랜지스터(Tr3)의 컬렉터 및 다이오드(D3)의 캐소드는 카세트 회전모터(36)의 한쪽의 입력단자와 접속되어 트랜지스터(Tr4)의 컬렉터 및 다이오드(D4)의 캐소드는 카세트 회전모터(36)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의 모터드라이버회로(52)에서는 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6) 혹은 제2회전 카세트 유니트(27)의 회전카세트(32a,32b)를 마이콤(51)의 출력단자(CCW)가 High레벨(출력단자(CW)는 Low레벨 그대로)시에 가로보내기위치, 즉 예를들어 A4위치 혹은 B5위치로 회전시켜, 출력단자(CW)가 High레벨의 때에 세로보내기 위치, 즉 예를들면 A4R 혹은 B5R위치에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원고사이즈 검출장치(54)는 마이콤(51)의 입력 단자(OS1-OS4)에 4비트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패널키(55)는 복사기 본체(1)의 조작패널(40)에 설치된 카피단추(41), 텐키(42), 배율설정키(46), 카세트 전환키(47) 및 카세트회전키(48,49)등을 포함하고 있다.
조작패널표시장치(56)는 조작패널(40)에 설치된 복사매수표시부(43), 배율표시부(45), 원고사이즈 표시램프(DSL1-DSL6), 용지사이즈 표시램프(PSL1-PSL6) 및 카세트 표시램프(CSL1-CSL6)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회전 카세트 급지 솔레노이드(57)는 제1 및 제2회전 카세트 유니트(26,27)의 끌어들이기 롤러(26a,27a)를 구동하여 급지를 행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배지검지 스위치(58)는 제2도에서 표시하지 않고 있으나 소오터(19)에서 배지부에 설치되어 복사기 본체(1)로부터의 배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마이콤(51)은 조작패널키(55)를 구성하는 각 키가 조작되었을때에 그 조작에 응한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들어 제1회전 카세트(26)에 대응하는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어, 이 키 조작에 의하여 카세트회전신호가 입력되면, 이 키 조작이 제1회전 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의 가로보내기 위치에서 세로보내기위치에의 회전을 지시하는 것이면 후술하는 제어순서에 의거하여 출력단자(CW)를 High레벨, 아울러 출력단자(CCW)를 Low레벨로 한다. 한편 상기한 키조작이 세로보내기 장치에서 가로보내기 위치에의 회전을 지시하는 것이면 출력단자(CCW)를 High레벨이며 아울러 출력단자(CW)를 로우(low)레벨로 한다.
또 회전카세트(32a)가 세로보내기 위치로 이동하여 세로보내기 위치센서(HPa)가 온, 즉, 세로보내기 위치센서(HPa)를 구성하는 포토 인터럽트의 빛이 차단되면 즉각 출력단자(CW)를 Low레벨로하여 카세트 회전모터(36)를 정지시켜 마찬가지로 회전카세트(32a)가 가로보내기 위치에 이동하여 가로보내기 위치센서(HP1)가 온이되면 곧 출력단자(CCW)를 Low레벨로 하여 카세트 회전모터(36)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우선 제1 및 제2회전 카세트 유니트(26,27)에 있어서 회전 카세트(32a,32b)의 회전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제1회전 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에 예를 들어 A4의 용지가 수용되고, 회전카세트(32a)가 가로보내기 위치(A4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가로보내기위치센서(HP1)가 온이되어, 조작패널 표시장치(56)에 있어서 제1회전 카세트 유니트(26)의 표시는 A4로 되어 있다.
이때 나사축(35)에 배치된 넛부재(37)는 제8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P1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마이콤(51)의 출력단자(CW)가 High, 출력단자(CCW)가 Low로 되면 트랜지스터(Tr1) 및 (Tr4)가 온이되어, (+24V)전원→트랜지스터(Tr1)→카세트 회전모터(36)→트랜지스터(Tr4)→그라운드의 경로에서 전류가 흘러 카세트 회전모터(36)가 정회전하여 나사축(35)를 재4a도의 C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넛부재(37)가 P1에서 P2,P3,…를 거쳐 P6까지 이동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회전 카세트(32a)의 안내축(34)은 카세트 지지판(33)의 안내구멍(33a)내를 회전하면서 미끄러져 움직여, Q1에서 Q2,Q3을 거쳐 Q4까지 이동한 후, 이동방향을 반전시켜서 Q5를 거쳐 Q6까지 이동한다.
넛부재(37)가 P6점, 즉 세로보내기위치센서(HP2)에 달하고, 세로보내기위치센서(HP2)가 온이되면 카세트 회전모터(36)가 정지하고 회전카세트(32a)가 세로보내기 위치(A4R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회전카세트(32a)가 세로보내기위치에 있을때 마이콤(51)의 출력단자(CCW)가 High, 출력단자(CW)가 Low가 되면, 트랜지스터(Tr2) 및 (Tr3)가 온이되어 (+24V)전원→트랜지스터(Tr2)→카세트 회전모터(36)→트랜지스터(Tr3)→그라운드의 경로에서 전류가 흘러서 카세트 회전모터(36)가 역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넛부재(37)는 상기와는 반대로 P6에서 P5,P4를 거쳐 P1까지 이동하여 회전카세트(32a)는 상기의 세로보내기위치에서 가로보내기위치 방향에 달한다.
그리고 가로보내기 위치센서(HP1)가 온이 되면, 카세트 회전모터(36)가 정지하여 회전카세트(32a)는 가로보내기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에 제1 혹은 제2회전 카세트 유니트(26,27)의 회전 카세트(32a,32b)에 대한 마이콤(51)의 제어동작을 제1도의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급지용 카세트로서 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가 선택되어 이 회전 카세트(32a)에 대응하는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는 것이라 한다.
대기상태에 있어서 복사조건이 등록되면(S1), 카피단추(41)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되어(S2), 카피단추(41)가 조작되어 있으면, 이어서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S3). 더욱, 카피단추(41)가 조작되기 이전에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는 것에 의하여 입력된 카세트 회전신호는 마이콤(51)의 기억수단에 의하여 기억되어 있다.
S2 및 S3에 있어서, 카피단추(41)가 시작되고 또한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 즉시 S15에 이행하여 복사동작을 행한다. 한편 S2,S3에서 카피단추(41)가 조작되고 또한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어 있으면, 다음에 가로보내기위치센서(HP1)가 온이되어 있는지 어떤지가 판정되어(S4), 온이 되어 있으면, 마이콤(51)의 출력 단자(CW)가 High가 되어(S5), 아울러, 출력단자(CCW)가 Low로 된다(S6).
이것에 의하여, 카세트 회전모터(36)가 정회전하고 회전카세트(32a)는 세로보내기 위치방향으로 회전된다.
그후 세로보내기 위치 센서(HP2)가 온이 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되어(S7), 온이 되면 출력단자(CW)가 Low로 된다(S8).
이것에 의하여 카세트 회전모터(36)가 정지하고, 회전카세트(32a)는 세로보내기 위치에 배치된다. 그후 복사동작이 행하여진다(S15). 한편, 상기한 S4에 있어서, 가로보내기 위치센서(HP1)가 온이 되어졌지 않으면, 이어서 세로보내기 위치센서(HP2)가 온이 되어있는지 아닌지가 판정되어(S9), 세로보내기위치센서(HP2)가 온이 되어있으면 출력단자(CW)가 Low로 되고(S10), 아울러 출력단자(CCW)가 High로 된다(S11).
이것에 의하여, 회전카세트(32a)는 가로보내기 위치방향으로 회전한다.
그후, 가로보내기 위치센서(HP1)가 온이 되었는가 아닌가가 판정되어(S12), 가로보내기 위치센서(HP1)가 온이되면 출력단자(CCW)가 Low로 된다(S13). 이때 회전카세트(32a)는 가로보내기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S15에 이행하여 복사동작을 행한다. 또 상기한 S9에 있어서 세로보내기 위치센서(HP2)가 온이되어있지 않으면, 회전카세트(32a)가 세로보내기 위치에도 가로보내기 위치에도 배치되어 있기 않은 것이 되므로 트러블(trouble)표시가 행하여진다(S14).
상기한 제어동작에서는 제1 혹은 제2회전 카세트 유니트(26,27)의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가 급지용 카세트에서 선택된 상태에서 카피단추(41)가 온이 된 후,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를 회전시키고 있으므로, 카세트 회전키(48) 혹은 카세트 회선키(49)의 조작시에 오퍼레이터의 오동작이 있어도,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는 그때마다 회전하는 것은 아니다.
즉 카피단추(41)가 온이 되기전에 최종적으로 조작된 카세트 회전키(48) 혹은 (49)에 의하여 선택된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가 카피단추(41)가 온이 된 후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회전카세트(32)가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피단추(41)가 온이 되는 것께 의하여 마이콤(51)에 카세트 회전허용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카세트의 개수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적어도 1개의 회전카세트를 가지고 있으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제어가 유효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7도 및 제9도에 의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더욱 설명을 간단화하기 위하여 상기한 실시예의 도면에 표시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7도에 표시하는 마이콤(51)은, 제어수단, 기억수단 및 계시(計時)수단인 타이머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제9도에 표시하는 제어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제1 혹은 제2회전 카세트 유니트(26,27)의 회전카세트(32a,32b)에 대한 마이콤(51)의 제어동작을 제9도의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급지용 카세트로서 제1 혹은 제2회전 카세트 유니트(26,27)의 회전카세트(32a,32b)가 선택되면(S1), 제1 혹은 제2회전 카세트 유니트(26) 혹은 (27)의 회전카세트(32a,32b)에 대응하는 카세트 회전키(48) 혹은 (49)가 온이 되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S2).
카세트회전키(48) 혹은 (49)가 온이 되면, 온이된 카세트 회전키(48) 혹은 (43)에 대응하는 제1 혹은 제2회전 카세트 유니트(26,27)의 회전 카세트(32a) 혹은 (32b)가 선택된 급지용 카세트로서 기억된다(S3).
즉 이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에 대응하는 카세트 회전신호가 기억된다. 그후 타이머에 의한 계시가 스타트되어(S4), 카세트 회전키(48) 혹은 (49)의 어느것인가가 온이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S5). 그리고 어느것인가 온이 되면, 그 카세트 회전키(48) 혹은 (49)에 대응하는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가, 앞서 S3에서 기억되어 있는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와 동일한가 아닌가가 판정된다(S6).
그리고 동일하지 않으면, S3에 이행하여 새로운 회전 카세트(32a) 혹은 (32b)가 기억되어 재차 타이머에 의한 계시가 개시된다(S4).
한편 S6에 있어서 양 카세트가 동일할때 및 S5에 있어서 카세트 회전키(48) 혹은 (49)의 어느것이나 온이 되어 있지 않았을때, 타이머에 의한 계시가 종료하면(S7), 기억되어 있는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의 회전이 개시된다(S8).
그후 카세트 회전키(48) 혹은 (49)가 온이 되는 등의 개입중단 입력이 없는대로(S9), 가로보내기위치센서(HP1), 혹은 세로보내기위치센서(HP2)가 온이되면(S16),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가 정지되어(S11), 다시금 타이머가 리세트되어(S12), S2에 이행한다.
또 상기의 S9에 있어서 개입중단입력이 있으면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초기위치에 회전되어 S2에 이행한다. 더욱 상기한 S8,S10 및 S11의 동작은 구체적으로는 제1도에 있어서 S4-S14의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의 제어동작에서는 카세트 회전키(48) 혹은 (49)가 온이 된 후, 타이머에 의한 계시가 스타트되어, 타이머에 의한 계시가 종료할때까지의 사이에 급지용 카세트로서 앞서 선택된 회전 카세트(32a) 혹은 (32b)이 변경되지 않으면, 그 회전카세트(32)가 회전을 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조작미스등에 의하여 회전의 불필요한 회전 카세트(32a) 혹은 (32b)의 회전이 지시된 경우이라도 타이머에 의한 계시종료까지의 사이에 회전을 행하여야할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를 변경하면, 계시종료 시점에서 최종적으로 선택되어 있는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만이 회전되는 것이 되어, 회전카세트의 불필요한 회전을 회피할 수가 있다.
더욱,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머의 계시종료에 의하여 마이콤(57)에 카세트회전허용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별도의 실시에를 제7도 및 제10도에 의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더욱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제1번째의 실시예의 도면에 표시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틀 부기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형성장치는 제7도에 표시하는 마이콤(51)을 구비하고 있다. 마이콤(51)에 접속되어 있는 배지 검지 스위치(58)는 화상 형성 동작 종료 검출 수단을 이루고 있다. 마이콤(51)은 상기한 배지검지스위치(58)에 의하여 소오터(19)에의 용지의 배지가 검출되었을때 즉 복수 매 연속복사인 멀리 카피에 있어서는 최종의 용지가 배지 검지스위치(58)를 통과할때, 또 싱글카피에서는 그 용지가 배지 검지 스위치(58)를 통과할때에 복사동작이 종료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더욱 마이콤(51)은 제어수단, 기억수단 및 타이머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제10도에 표시하는 제어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제1 혹은 제2회전 카세트유니트(26,27)의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에 대한 마이콤(51)의 제어동작을 제10도의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 여기에서는 급지용 카세트로서 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가 선택되어 이 회전카세트(32a)에 대응하는 카세트회전키(48)가 조작되는 것이라 한다.
우선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노광, 배율, 용지사이즈등의 복사조건이 설정되면, 마이콤(51)에 의하여 그것에 대응한 처리가 행하여져서(S1), 이어서 카피단추(41)가 온이 되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S2). 카피단추(41)가 온이되면, 복사동작이 개시되어(S3), 대전, 급지, 노광 및 현상등의 복사동작이 행하여진다.
그후 복사동작이 종료한 것이 판정되어(S4), 아울러,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어 있으면(S5), 회전카세트(32a)가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된다(S6-16)이 S6-16의 동작은 제1도에 있어서 4-14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복사동작이 종료하기 이전에 입력된 카세트 회전신호는 마이콤(51)의 기억수단에 의하여 기억된다.
한편 상기한 S4에 있어서 복사동작이 종료하고 있지 않았을때 및 S5에 있어서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고 있지 않았을 때에도, 출력단자(CCW)와 출력단자(CW)와의 출력이 다같이 Low가 되어(S17,S18), 회전카세트(32a)의 회전이 금지되어 S3으로 이행한다.
상기한 제어동작에서는 복사동작이 개시되어서부터 종료될때까지의 사이에 회전카세트(32a)의 회전이 금지된다.
그리고 회전카세트(32a)의 회전이 금지되고 있는 동안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어 회전카세트(32a)를 회전시킬 필요가 생겼을 때에는 복사동작이 종료하여 서터 회전카세트(32a)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복사동작중에 회전카세트(32a)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생기는 종이막힘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종이막힘에 의하여 파기한 분의 카피를 빼기 위하여 재차 회전카세트(32a)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고 하는 회전카세트(32a)의 불필요한 회전을 회피할 수가 있다.
더욱 본 실시예에서는 배지검지스위치(58)에 의하여 복사동작의 종료가 검출되었을때에 마이콤(51)에 카세트회전 허용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2도, 제7도 및 제1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한 제1번째의 실시예의 도면에 표시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형성장치는 제7도에 표시하는 마이콤(51)을 구비하고 있다.
마이콤(51)에 접속되어 있는 회전카세트 급지 솔레노이드(57)는 제2도에 표시하는 제1 및 제2회전카세트 유니트(26.27)의 불러넣기 롤러(26a.27a)와 아울러 용지급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카세트 급지 솔레노이드(57)는 마이콤(51)에서 제어되는 것에 의하여 급지 개시신호가 발생하였을때에 불러넣기 롤러(26a.27a)를 회전카세트(32a.32b)의 용지에 압접시켜 급지동작을 행하게 하는 한편, 급지 완료신호가 발생하였을때에 불러넣기 롤러(26a.27a)를 회전카세트(32a.32b)의 용지에서 이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마이콤(51)은 제어수단 및 기억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제11도에 표시하는 제어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제1 혹은 제2의 회전카세트 유니트(26.27)의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에 대한 마이콤(51)의 제어동작을 제11도의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 여기에서는 급지용 카세트로서의 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가 선택되어 이 회전카세트(32a)에 대응하는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는 것이라 한다.
우선 회전카세트 급지 솔레노이드(57)가 오프가 되고 회전카세트(32a)로부터의 급지가 종료하고 있는가아닌가가 판정되고(S1), 또 카세트 급지 솔레노이드(57)가 오프로 되어 있으면, 계속하여 카세트 회전키(48)가 온이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S2).
S1 및 S2에서 회전카세트 급지 솔레노이드(57)가 오프가 되어, 아울러, 카세트 회전키(48)가 온으로 되어 있으면, 회전카세트(32a)가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된다(S3-13).
이 S3-13의 동작은 제1도에 있어서 S4-14의 동작과 동일하다.
또한 회전카세트 급지 솔레노이드(57)가 오프가 되기 이전에 입력된 카세트 회전신호는 마이콤(51)의 기억 수단에 의하여 기억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S1 및 S2에 있어서, 회전카세트 급지 솔레노이드(57)가 오프가 되고, 아울러 카세트 회전키(48)가 온이 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는 회전카세트(32a)의 회전동작은 행하여 지지 않는다.
상기한 제어동작에서는 회전카세트 급지 솔레노이드(57)가 온이 되어 있는 동안, 즉 회전카세트(32a)의 급지동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 회전카세트(32a)의 회전이 금지되고, 회전카세트(32a)로부터의 급지가 종료한 때에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어 있으면, 회전카세트(32a)를 회전시키는 것이므로, 회전카세트(32a)로부터의 급지중에 회전카세트(32a)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생기는 종이막힘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종이막힘에 의하여 파기한 분의 카피를 빼기 위하여 재차 회전카세트(32a)를 원래의 위치에 되돌린다라는 회전카세트(32a)의 불필요한 회전을 회피할 수가 있다.
더욱,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카세트 급지 솔레노이드(57)가 오프가 되었을 때에 마이콤(51)에 카세트 회전허용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7도 및 제12도에 의거하여 또 다시 별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예를들면, 회전카세트(32a,32b)에의 용지의 보급등에 기인하여 회전카세트(32a,32b)가 세로보내기 위치로부터도 가로보내기 위치로부터도 벗어나 있는 경우, 오퍼레이터가 특별한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원래의 보내기 위치에 복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사기는 상기한 제1번째의 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제12도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제어순서를 설명한다.
단, 여기에서는 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에 대응하는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었을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기술한다.
지금 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에는 A4 사이즈의 용지가 수용되어 있어, 회전카세트(32a)는 세로보내기 위치인 A4R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S1에 있어서 예를들면, 카세트 회전키(48)가 조작되는 것에 의하여 카세트 회전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아닌지가 판정되고, 카세트 회전신호가 발생하고 있으면, 회전카세트(32a)를 A4R 위치에서 가로보내기 위치인 A4 위치에 회전시키기 위하여 마이콤(51)의 기억수단에 A4 위치가 기억되어(S2),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순서로서 회전카세트(32a)가 A4 위치에 회전(S3)된 후, 복사동작등이 행하여진다.
한편 상기한 S1에서 카세트 회전신호가 발생하고 있지 않으면, 계속하여, 세로보내기 위치센서(HP2)가 온이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S4).
세로보내기 위치센서(HP2)가 온이 되어 있으면, 회전카세트(32a)가 마이콤(51)의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보내기장치인 세로보내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S5의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고, 즉시 복사동작등에 이행한다.
또 S4에서 세로보내기 위치센서(HP2)가 오프되면, 회전카세트(32a)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보내기 위치인 세로보내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카세트 회전모터(36)에 의하여 회전카세트(32a)가 세로보내기 위치(A4R 위치)에 회전(S5)된 후, 복사동작 등에 이행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에 의하여 회전카세트(32)가 무엇인가의 외력에 의하여 소정의 보내기 위치에서 벗어난 경우라 할지라도,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킬 수가 있으므로 복사동작 등이 항상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다음에 제13도 및 제14도에 의거하여 다시금 별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상기한 제1번째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나, 조작패널(40)의 카세트 조작부(44)에 있어서 조작키의 개수를 감소시킨 점에서 제1번째의 실시예와 상이하고 있다.
즉 제13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카세트 조작부(44)의 구성은 제1번째의 실시예(제6b도 참조)와 거의 마찬가지이나, 제1번째의 실시예에 있어서 카세트 전환키(47) 및 카세트 회전키(48,49)에 대신하여, 카세트 전환키(74)만이 설치되어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카세트의 선택 및 회전카세트(32a,32b)의 회전의 지시가 단일한 카세트 전환키(74)에 의하여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 용지사이즈로 표시램프로서는 A3-B5R를 표시하는 PSL1′-PSL6′에 덧붙여 특수 사이즈를 표시하는 용지사이즈로 표시램프(PSL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3도에는 원고사이즈 표시램프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하 제14도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카세트 표시램프(CSL1-CSL6), 용지사이즈 표시램프(PSL1′-PSL7′) 및 회전카세트(32a.32b)에 대한 마이콤(51)에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더욱 여기에서는 손으로 넣는 공급부(30)에는 특수사이즈, 제1고정카세트(29)에는 A4 사이즈, 제2고정카세트(28)에는 B4 사이즈, 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에는 A4 사이즈, 제2회전카세트 유니트(27)의 회전카세트(32b)에는 B5 사이즈 및 제3고정카세트(25)에는 B4 사이즈의 용지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카세트 표시램프가 회전카세트(32a.32b)에 대응하는 것(CSL4또는 CSL5)로 전환되었을때 회전카세트(32a.32b)에 대응하는 용지사이즈 램프(PSL2′,PSL3′,PSL5′,PSL6′)는 우선, 그때의 회전카세트(32a,32b)의 보내기 위치와 대응하는 용지보내기 방향을 표시하는 것이 온이 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들면, 카세트가 제1회 회전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에 전환되어, 이 회전카세트(32a)가 A4 위치(가로보내기 위치)에 있을때에는, A4 위치에 대응하는 PSL2′이 온이 된다.
제14도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우선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되어(S1), 조작되었으면, 카세트 전환기(47)가 조작될때까지 어느것인가의 카세트 표시램프(CSL1-CSL6)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던 카세트가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S2).
그리고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가 아니면, 카세트 램프(CSL1-CSL6) 및 용지사이즈 램프(PSL1′-PSL7′)가 다음단의 카세트, 즉 S1에 있어서 카세트 전환키(47)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된 카세트에 대응하는것에 전환된 후(S3), 메인 루틴에 되돌아간다.
한편 S2에 있어서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될때까지 표시되어 있던 카세트가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이면, 계속하여 마이콤(51)의 기억수단등에 설치된 플래그(F)가 “1”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S4).
플래그(F)는 S1에서 카세트전환기(47)의 조작이 검출되기 직전의 단계에서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의 회전이 필요한 상태(용지사이즈 표시램프에서 표시되어 있는 용지사이즈와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의 보내기 위치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었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회전필요 상태이었으면 플래그 F=“1”, 회전필요 상태가 아니었으면 플래그 F=“0”로 되어 있다. S4에서 플래그 F=“1”가 아닌경우, 즉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될때까지 회전필요 상태가 아니었던 경우에는 카세트 전환키(47)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필요 상태로 이행한 것이 된다.
이 경우, 우선 용지사이즈 램프만이 전환되어(S5), 다시금 플래그(F)에 “1”이 설정되어서 회전필요 상태(56)로 된 후, 메인 루틴에 되돌아간다.
또한 S6에서는 플래그(F)에 “1”이 설정되는 것만으로 즉시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의 회전이 행하여지는 것은 아니다.
S4에 있어서 플래그 F=“1”, 즉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될때까지 회전필요 상태이었을 경우에는 카세트전환키(47)가 조작되는 것에 의하여 다음 단 카세트에의 전환이 지시된 것이 된다.
따라서 우선 플래그(F)에 “0”이 설정(S7)되어서 회전필요 상태가 제거되어, 더욱 다음 단 카세트에의 전환(S3)이 행하여진 후, 메인 루틴에 되돌아간다. 여기에서 S1-S6의 처리에 관하여 구체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지금 제2고정카세트(28)에는 B4 사이즈의 용지가 수용되어, 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에는 A4 사이즈의 용지가 수용되어서 가로보내기 위치(A4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제2회전카세트유니트(27)의 회전카세트(32b)에는 B5 사이즈의 용지가 수용되어 세로보내기 위치(B5R 위치)에 배치되어있는 것으로 한다.
또 현재 제2고정카세트(28)가 선택되어서 카세트 표시램프(CSL3)가 점등하고 있는 젓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카세트 전환기(47)가 조작되면, 제14도의 플로차트에 있어서, S1에서 S2로 진행하고, 현재 선택되어 있는 카세트가 회전카세트(32a) 또는 (32b)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지금, 제2고정카세트(28)가 선택되어 있으므로 판정결과는 NO가 되어 S3에 진행하여 다음 단의 카세트, 즉 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에 표시가 전환된다.
즉 카세트 표시램프(CSL3)가 소등되어서 CSL4가 점등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용지사이즈로 표시램프도 PSL4′가 소등되어서 PSL2′가 점등된다.
상기와 같은 표시의 전환이 종료하면, 메인 루틴에 복귀한다.
그후 재차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되며, S1에서 S2에 진행하나, 이 시점에서는 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6)의 회전카세트(32a)가 선택되어서 CSL4가 점등하고 있으므로, 판정결과는 YES가 되어, S4에 진행하여 플래그 F=“1”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이 시점에서는 회전카세트(32a)의 보내기 위치와 용지사이즈 표시램프(PSL2′)에 의한 표시가 일치하고 있으므로, 플래그 F=“0”, 따라서 판정결과는 NO가 되어 S5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카세트 표시램프(CSL4)는 그대로 점등 상태로 된다.
한편 용지사이즈 표시램프는 A4 사이즈를 표시하는 PSL2′가 소등되어서 A4R을 표시하는 PSL3′이 점등되어 다시금, 회전필요 상태에 있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S6에서 플래그(F)에 “1”이 설정된 후 메인 루틴에 되돌아간다.
다음에 재차 카세트전환키(47)가 조작되면, S1에서 S2로 진행하나, 이 시점에서는 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5)의 회전카세트(32a)가 선택되어 있으므로, 판정결과는 YES로 되어 S4에 진행하고, 플래그 F=“1”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여기에서는 플래그 F=“1”이므로, S7에 진행하고 플래그(F)에 “0”이 설정된다.
그후 S3에서 다음 단 카세트인 제2회전카세트 유니트(27)의 회전카세트(32b)를 표시하기 위하여 카세트표시램프(CSL4)가 소등되어 CSL5가 점등됨과 아울러, 용지사이즈 표시램프(PSL3′)가 소등되어 PSL6′이 점등된다.
다음에 S8-S11에 있어서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S1에 있어서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되지 않고 아울러 S8에서 카피단추(41)도 조작되지 않을때에는 메인 루틴에 되돌아간다.
또 S1에 있어서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되지 않고, S8에서 카피단추(41)가 조작되면, 선택되어 있는 카세트가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인지 아닌지가 판정되어(S9),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가 아니면,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가서 복사동작을 행한다.
또 S9에 있어서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가 선택되어 있으면, 플래그 F=“1”(회전필요상태)인지 아닌지가 판정되어(S10), 플래그 F=“1”이 아니면, 메인 루틴에 되돌아가서 복사동작이 행하여진다.
한편 S10에 있어서 플래그 F=“1”이면,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가 소정의 보내기 위치에 회전(S11)된후, 메인 루틴에 되돌아가서 복사동작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제어동작의 구체적인 예로서 제1고정카세트(29)의 A4의 용지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세트를 전환하여 제2회전카세트 유니트(27)의 회전카세트(32b)로부터 B5 용지를 급지할때까지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고정카세트(29)가 선택되어 있을때에는 카세트 표시램프(CSL2) 및 용지사이즈 램프(PSL2′)(A4 표시)가 점등되어 있다.
여기에서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되면, 카세트 표시램프(CSL2)가 소등되는 한편, CSL3(제2고정카세트(28))가 점등된다.
그것과 동시에 용지사이즈 표시램프(PSL2′)가 소등되는 한편, PSL4′(B4 표시)가 점등된다.
다음에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되면, 카세트 표시램프(CSL3)가 CSL4(제1회전카세트 유니트(26)를 표시)로 전환되어, 아울러 이 회전카세트(32a)가 가로보내기 위치에 있는 것이라 하면, 용지사이즈 표시램프(PSL4′)(B4 표시)가 PSL2′(A4 표시)로 전환된다.
다시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되면, 카세트 표시램프(CSL4)로 변환되지 않고, 용지사이즈 표시램프만 PSL2′(A4 표시)에서 PSL3′(A4R 표시)로 전환된다. 또한 이때 회전카세트(32a)는 가로보내기 위치(A4 위치) 그대로이며, 회전에 의한 보내기 위치 변환은 즉시에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더욱 이때 회전필요 상태로 된다.
다시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되면, 카세트 표시램프(CSL4)가 CSL5(제2회전카세트 유니트(27)를 표시)로 전환되고, 아울러 이 회전카세트(32b)가 세로보내기 위치에 있는것이라 하면, 용지사이즈 표시램프(PSL3′)(A4R 표시)가 PSL6′(B5R 표시)로 전환된다.
다시금 카세트 전환키(47)가 조작되면, 카세트 표시램프(CSL5)는 그대로 점등상태로 되어, 한편, 용지사이즈 표시램프는 PSL6′에서 PSL5′(B5표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카피단추(41)가 조작되면, B5의 용지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2회전카세트 유니트(27)의 회전카세트(32b)를 세로보내기 위치(B5R 위치)에서 가로보내기 위치(B5 위치)로 회전시킨다.
그후, 급지가 개시되고, 복사동작이 행하여진다.
더욱 상기의 동작에 있어서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가 대기중 사용빈도가 높은 방향을 향하도록 설정하고, 아울러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가 선택되었을 때에 우선 그때의 회전카세트(32a) 혹은 (32b)의 보내기 위치와 대응하는 용지사이즈 표시램프가 점등하도록 설정하여 두면, 사용빈도가 높은 용지를 적은 선택회수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15도∼제17도에 의거하여 별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제15도 및 제16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회전카세트(80)가 어느것인가 한쪽의 보내기 위치 예를들면, 가로보내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만 복사기 본체(81)로부티의 꺼내기나 삽입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에 관한다.
상기 회전카세트(80)는 카세트 장착대(82)상에 장착되어, 카세트 장착대(82)는 그 중앙위치에서 카세트회전모터(82)에 의하여 가로보내기 위치(A)와 세로보내기 위치(13)와의 사이에서 회전이 자재롭게 지지되어 있다.
카세트 장착대(32)의 하나의 코너부에는 돌기(82a)가 설치되고, 또 복사기본체(81)에는 예를들면 상기 돌기(82a)에 의하여 차광이 행하여지는 포토인터럽트로서 이루어지고, 회전카세트(80)가 가로보내기 위치(A)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가로보내기 위치센서(84)와 회전카세트(80)가 세로보내기 위치(B)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세로보내기 위치센서(85)가 설치되어 있다.
복사기본체(81)에는 회전카세트(50)의 꺼내기 및 삽입을 행하기 위한 구멍트인곳(8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트인 곳(86)의 폭은 회전카세트(80)의 폭방향 사이즈보다는 약간 크지만 회전카세트(80)의 긴 쪽 방향사이즈보다는 작게 선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카세트(80)는 가로보내기 위치(A)에 배치된 상태에서만, 꺼내기, 삽입이 행하도록 지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복사기의 기동시 및/또는 복사종료시(화상형성 종료시)에 회전카세트(80)를, 복사기본체(81)로부터의 꺼내기 및 삽입용의 보내기 위치인 가로보내기위치(A)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용지의 보급등을 위하여 회전카세트(80)를 끄집어낼 때에는 회전카세트(80)가 상기 가로보내기 위치(A)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즉시 회전카세트(80)의 꺼내기가 행하여지도록 된다. 이하 제17도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제어순서를 설명한다.
복사기의 전원이 온이 되고, 복사시가 기동되면, 우선 가로보내기 위치센서(84) 및 세로보내기 위치센서(85)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카세트(80)가 꺼내기 및 삽입용의 보내기 위치인 가로보내기 위치(A)에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S1). 회전카세트(80)가 가로보내기 위치(A)에 배치되어 있으면, 그대로 소정의 웜업처리가 개시된다(S2).
한편, S1에 있어서 회전카세트(80)가 세로보내기 위치(B)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세트 회전모터(83)를 구동하여 카세트 장착대(82)를 90° 회전시켜 가로보내기 위치(A)에 전환한다(S3).
그리고 가로보내기 위치(A)에의 전환이 끝나면, 상기 S2의 웜업처리에 이행한다.
이 결과 본 실시예의 복사기에서는 전원 ON후의 웜업개시시에는 회전카세트(80)가 항상 꺼내기 및 삽입시의 급지방향에 배치되는 것이 되므로, 회전카세트(80)를 즉시 구멍 트인곳(86)에서 꺼낼 수가 있다.
복사기의 웜업처리가 끝나면, 도시하지 않은 원고사이즈 검출기 및 복사배율을 설정하는 배율설정키 등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용지의 자동용지 선택을 행한다(S4).
그리고 이 자동용지 선택처리에 의하여 회전카세트(82)의 보내기 위치가 선택되면, 소정의 복사동작이 실행된다(S5).
S5에 있어서 복사동작이 끝나면, 다시 가로보내기 위치센서(84) 및 세로보내기 위치센서(85)의 출력신호에서 회선카세트(80)가 가로보내기 위치(A)에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이 행하여진다(S6).
회전카세트(80)가 가로보내기 위치(A)에 있을때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6에 있어서 회전카세트(80)가 세로보내기 위치(B)가 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카세트 회전모토(83)를 구동하여 회전카세트(80)를 90° 회전시켜, 가로보내기 위치(A)에 전환한다(S7). 그리고 이 보내기 위치인 전환이 끝나면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결과 본 실시예의 복사기에서는 소정의 복사동작이 끝날때마다, 회전카세트(80)가 꺼내기 및 삽입시의 보내기 위치에 되돌아 가는 것이 되므로 이 회전카세트(80)를 각각 구멍트인 곳(86)에서 꺼낼 수가 있도록 한다.
더욱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 장치의 한 예로서 복사기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이외에 레이저 프린터등, 복사기 이외의 화상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형성 장치는 이상과 같이 용지를 세로보내기 하는 세로보내기 위치와 가로보내기 하는 가로보내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 회전수단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 회전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카세트 회전신호가 입력되었을때에 이 카세트 회전신호를 기억수단으로 기억시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카세트회전 허용신호가 발생되어 아울러 기억수단에 카세트 회전신호가 기억되어 있을때에 이 카세트 회전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카세트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카세트 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카세트 회전 허용신호가 발생할때까지의 사이에, 복수회에 걸쳐 카세트 회전신호를 입력한 경우라 할지라도, 그때마다 회전카세트가 회전되는 일은 없고 오퍼레이터의 오동작등에 의하여 회전카세트가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을 뿐더러, 소음의 발생 및 회전기구의 단명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화성형성장치는 이상과 갈이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 회전수단과 화성형성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화성형성동작 개시 지시수단과를 가지는 것에 있어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 회전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입력된 카세트 회전신호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화성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이 조작되어, 아울러, 기억수단에 카세트 회전신호가 기억되어 있을때에 이 카세트 회전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카세트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카세트 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화성형성동작을 개시할 때의 최종조작인 화상동작 개시키가 조작될때까지의 사이의 복수회에 걸쳐 카세트 회전신호가 입력한 경우라 할지라도, 그때마다, 회전카세트가 회전되는 일은 없고 오퍼레이터의 오동작등에 의하여, 회전카세트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음의 발생 및 회전기구이 단면화를 제어할 수가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하여 다시금 별도의 화성형성장치는 이상과 같이 용지를 세로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전시키는 카세트 회전수단과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 회전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소정시간을 계시하는 계시수단과, 카세트 회전신호가 입력되었을때에 이 카세트 회전신호를 기억수단에 기억시켜 아울러 계시수단의 계시동작을 개시시킴과 아울러 계시수단의 계시동작이 종료할때까지의 사이에,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카세트 회전신호에 변화가 없었을때, 이 카세트 회전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카세트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카세트 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오퍼레이터의 오동작등에 의하여 카세트 회전신호가 변화한 경우라 할지라도, 그때마다 회전카세트가 회전되는 것은 없고, 회전카세트가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음의 발생 및 회전기구의 단명화를 억제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별도의 화상형성장치는 이상과 같이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 회전수단과, 화상형성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화상형성동작 개시 지시수단과를 가지는 것에 있어서, 화상형성동작의 종료를 검출하는 화상형성동작 종료 검출수단과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 회전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입력된 카세트 회전신호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화성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이 조작된 후 화성형성동작 종료 검출수단에서 화성형성동작의 종료가 검출되어 아울러 기억수단에 카세트 회전신호가 기억되어 있을때에 이 카세트 회전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카세트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화성형성동작 개시키가 조작된 후 화상형성동작 종료 검출수단에서 화성형성동작의 종료가 검출될때까지의 사이에 카세트 회전신호가 입력한 경우일지라도, 회전카세트가 회전되는 일은 없고, 종이막힘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회전카세트가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소음의 발생 및 회전기구의 단명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별도의 화성형성장치는 이상과 같이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 회전수단과, 회전카세트에서 급지를 급지하는 용지급지수단과를 가지는 것에 있어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 회전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입력한 카세트 회전신호를 기억수단과 기억시킴과 아울러, 용지공급구단의 작동개시를 표시하는 급지개시신호가 발생한 후 용지급지수단의 정지를 표시하는 급지완료신호가 발생하였을때, 아울러 기록수단에 카세트 회전신호에 기억되어 있을때에, 이 카세트 회전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카세트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카세트 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급지개시신호가 발생한 후 급지완료신호가 발생한 후, 급지완료신호가 발생할때까지의 사이에 카세트 회전신호가 입력한 경우라 할지라도 회전 카세트가 회전되는 일없이, 종이막힘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회전카세트가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음의 발생 및 회전기구의 단명화를 억제할 수가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화성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 회전수단과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회전카세트가 세로 혹은 가로의 어느것인가의 보내기위치에 있는가를 검지하는 보내기위치 검출수단과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 회전신호가 발생되었을때, 회전카세트가 소정의 보내기위치에 회전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고 회전카세트가 배치된 가로 혹은 세로보내기위치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카세트 회전신호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때에, 회전카세트가 가로 혹은 세로보내기위치에서 빗나간 상태가 보내기위치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었을때,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가로 혹은 세로보내기위치에 회전카세트가 배치되도록 카세트 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카세트에의 용지의 보급시등에 회전카세트가 세로 및 가로의 어느것인가의 보내기위치로부터도 빗나가서 정상적인 급지가 행하지 못하게 되었을경우에는 회전카세트가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직전에 설정된 보내기위치로 회전되므로 오퍼레이터 자신이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지 않아도 그후의 화성형성동작이 원활하게 행하여지도록 된다.
본 발명의 다시 다른 화성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를 포함하는 카세트와, 상기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 회전수단과, 화성형성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화성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과 선택되어 있는 카세트를 표시하는 카세트 표시수단과 선택되어 있는 카세트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의 사이즈 및 보내기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용지표시수단을 가지고, 아울러 회전카세트에는 세로보내기용지를 표시하는 용지표시수단과 가로보내기용지를 표시하는 용지표시수단이 대응하고 있는 화성형성장치에 있어서, 카세트의 전환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카세트 전환지시수단과, 용지표시수단에 표시된 용지의 보내기방향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회전카세트가 세로 흑은 가로의 어느것인가의 보내기위치에 있는가를 검출하는 보내기위치 검출수단과 카세트 전환지시수단이 조작되었을때에 각 카세트에 대응하는 카세트 표시수단 및 용지표시수단을 순치전환하여 작동시켜 이 전환동작에 의하여 선택된 용지표시수단의 표시하는 용지의 보내기방향을 기억수단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카세트 전환지시수단에서 회전카세트가 선택되고, 아울러 화성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이 조작되었을때에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용지의 보내기방향에 대응하는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와 보내기위치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가 서로 다를때, 이들 양 보내기위치가 일치하도록 카세트 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카세트의 선택과 회전카세트의 회전의 지시와를 동일한 카세트 전환지시수단에 의하여 행할 수가 있으므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가 있다. 또 회전카세트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 이 회전은 화성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이 조작된때에 비로소 행하여지며, 카세트의 선택 또는 회전카세트의 회전의 지시가 확정하기 이전에는 회전카세트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회전카세트의 불필요한 회전을 회피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별도의 화성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 회전수단과를 가지고, 상기 회전카세트를 소정의 보내기위치에 배치하여 화성형성장치로부터의 꺼내기 또는 삽입을 행하는 구성으로 화성형성장치의 기동시 및/또는 화성형성처리의 완료시에 회전카세트가 세로 또는 가로의 어느것인가의 보내기위치에 있는가를 검출하는 보내기위치 검출수단과 이 보내기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전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가 회전카세트의 꺼내기 또는 삽입시의 보내기위치와 서로 다른때에 카세트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카세트를 회전시켜, 꺼내기 또는 삽입시의 보내기위치에 배치되는 제어수단과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에 의하여, 1회의 화성형성동작의 종료시 또는 화성형성장치의 기동시에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가 화성형성장치로부터의 꺼내기 또는 삽입시의 보내기위치에 설정되므로 회전카세트에의 용지의 보급등 때문에 회전카세트를 꺼낼때에는 회전카세트는 항상 꺼내기가 가능한 보내기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된다.

Claims (34)

  1.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카세트회전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이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수단에 기억시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카세트회전 허용신호가 발생되어 아울러 기억수단에 카세트회전신호가 기억되어 있을 때에, 이 카세트회전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카세트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성형성장치는 복사기 또는 레이저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회전수단은 카세트회전모터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카세트는 외상내에 회전이 자재롭게 수용되고, 아울러 상기 화상은 화상형성 장치에 대하여 꺼내기 및 끼워넣기가 자재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 화상형성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화상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과를 가지는 구성이며,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입력된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화상형성동작 개시 지시수단이 조작되어 아울러 기억수단에 카세트회전신호가 기억되어있을 때에 이 카세트회전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카세트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 또는 레이저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회전수단은 카세트회전모터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이며, 상기 화상형성동작 개시 지시수단은 화상형성동작 개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회전카세트는 외상내에 회전이 자재롭게 수용되어, 아울러, 상기 외상은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꺼내기 및 삽입이 자재롭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소정시간을 계시하는 계시수단과, 카세트회전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그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수단에 기억시켜 아울러 계시수단의 계시동작을 개시시킴과 아울러, 계시수단의 계시동작이 종료할 때까지의 사이에 기억수단에 기억되어있는 카세트회전신호에 변화가 없었을 때 이 카세트회전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카세트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 또는 레이저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회전수단은 카세트회전모터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회전카세트는 외상내에 회전이 자재롭게 수용되어, 아울러, 상기 외상은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꺼내기 및 삽입이 자재롭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 화상형성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화상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과를 가지는 구성이며, 화상형성동작의 종료를 검출하는 화산형성동작 종료검출수단과,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입력된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화상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이 조작된 후 화상형성동작 종료검출수단에서 화상형성동작의 종료가 검출되고 아울러 기억수단에 카세트회전신호가 기억되어 있을 때에 이 카세트회전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카세트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 또는 레이저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 동작개시지시수단은 화상형성동작 개시키이며, 상기 카세트회전수단은 카세트회전모터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이고, 아울러, 화상형성동작 종료검출수단은 용지가 배지부에 반출된 것을 검출하는 배지검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회전카세트는 외상내에 회전이 자재롭게 수용되고, 아울러, 상기 외상은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꺼내기 및 삽입이 자재롭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 회전카세트에서 용지를 급지하는 용지급지수단과를 가지는 구상으로서,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입력된 카세트회전신호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용지 급지수단의 작동개시를 표시하는 급지개시신호가 발생한 후 용지급지수단의 정지를 표시하는 급지완료신호가 발생되고 또한 기억수단에 카세트회전신호가 기억되어있을 때에 이 카세트회전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카세트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 또는 레이저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회전수단은 카세트회전모터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이며, 상기 용지급지수단은 불러넣기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회전카세트는 외상내에 회전이 자재롭게 수용되고, 또한 상기 외상은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꺼내기 및 끼우기가 자재롭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회전카세트가 세로 혹은 가로의 어느것인가의 보내기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보내기 검출수단과, 회전카세트의 회전을 지시하는 카세트회전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회전카세트가 소정의 보내기위치에 회전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여, 회전카세트가 배치된 가로 혹은 세로보내기 위치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카세트회전신호가 발생하고있지 않을 때에 회전카세트가 가로 혹은 세로보내기위치에서 벗어난 상태가 보내기위치검출수단에서 검출된 때 기억수단에 기억되어있는 가로 혹은 세로보내기위치에 회전카세트가 배치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 또는 레이저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회전수단은 카세트회전모터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이며, 또한 상기 보내기위치 검출수단은 회전카세트가 세로보내기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세로보내기위치센서 및 회전카세트가 가로보내기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가로보내기 위치센서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회전카세트는 외상내에 회전이 자재롭게 수용되고, 또한 상기 외상은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꺼내기 및 끼우기가 자재롭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세트와 상기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 화상형성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화상형성동자 개시지시수단과 선택되어있는 카세트를 표시하는 카세트표시수단과, 선택되어있는 카세트에 수용되어있는 용지의 사이즈 및 보내기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용지표시수단과를 가지고, 상기 회전카세트에는 세로보내기용지를 표시하는 용지표시수단과 가로보내기용지를 표시하는 용지표시수단이 대응하고 있는 구성이며, 카세트의 전환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카세트전환 지시수단과, 용지표시수단에 표시된 용지의 보내기방향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회전카세트가 세로 혹은 가로의 어느것인가의 보내기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보내기위치 검출수단과, 카세트 전환지시수단이 조작된 때에 각 카세트에 대응하는 카세트표시수단 및 용지표시수단을 순차전환하여 작동시키고, 이 전환동작에 의하여 선택된 용지표시수단의 표시하는 용지의 보내기방향을 기억수단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카세트전환 지시수단에서 회전카세트가 선택되고 아울러 화상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이 조작되었을 때에 기억수단에 기억되어있는 용지의 보내기방향에 대응하는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와 보내기위치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가 서로 다를 때 이들 양 보내기위치가 일치하도록 카세트회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 또는 레이저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회전수단은 카세트회전모터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이고, 상기 화상형성동작 개시지시수단은 화상형성동작 개시키이며, 카세트표시수단은 카세트 표시램프이며, 용지 표시수단은 용지 사이즈 표시램프이고, 아울러, 상기 보내기위치 검출수단은 회전카세트가 세로보내기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세로보내기위치 센서 및 회전카세트가 가로보내기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가로보내기위치세 센서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각각 A4 및 B5 사이즈등의 용지를 수용하는 복수의 회전카세트와, B4 및 A3 사이즈등의 용지를 수용하는 복수의 고정카세트를 구비하고, 다시금, 손으로 넣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용지 사이즈 표시램프는 A3, B4, A4, A4R, B5 및 B5R의 각 사이즈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회전카세트는 외상내에 회전이 자재롭게 수용되고, 아울러 상기 외상은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꺼내기 및 끼우기가 자재롭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1.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세로보내기하는 세로보내기위치와 가로보내기하는 가로보내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카세트와 이 회전카세트를 회전시키는 카세트회전수단과를 가지고, 상기 회전카세트는 소정의 보내기위치에 배치하여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꺼내기 또는 끼우기를 행하는 구성으로서,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 및/또는 화상형성처리의 완료시에 회전카세트가 세로 또는 가로의 어느것인가의 보내기위치에 있는가를 검출하는 보내기위치 검출수단과, 이 보내기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회전카세트의 보내기위치가 회전카세트의 꺼내기 또는 삽입시의 보내기위치와 서로 다틀 때에 카세트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카세트를 회전시켜 꺼내기 또는 삽입시의 보내기위치에 배치시키는 제어수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복사기 또는 레이저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회전수단은 카세트 회전모터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이고 상기 보내기위치 검출수단이 회전카세트가 세로보내기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세로보내기 위치센서 및 회전카세트가 가로보내기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가로보내기위치센서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회전카세트의 꺼내기 및 끼우기가 회전카세트를 가로보내기위치에 배치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890016245A 1988-11-09 1989-11-09 화상 형성장치 KR920011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84291 1988-11-09
JP63284291A JPH0720775B2 (ja) 1988-11-09 1988-11-09 用紙カセットの給紙方向切換装置
JP1121807A JP2524401B2 (ja) 1989-05-15 1989-05-15 画像形成装置
JP1-121807 1989-05-15
JP1-122493 1989-05-16
JP1122493A JPH0745294B2 (ja) 1989-05-16 1989-05-16 画像形成装置
JP1-122492 1989-05-16
JP1122492A JPH0745293B2 (ja) 1989-05-16 1989-05-16 給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758A KR900018758A (ko) 1990-12-22
KR920011088B1 true KR920011088B1 (ko) 1992-12-26

Family

ID=2747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245A KR920011088B1 (ko) 1988-11-09 1989-11-09 화상 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03493A (ko)
EP (1) EP0368665B1 (ko)
KR (1) KR920011088B1 (ko)
CA (1) CA2002294C (ko)
DE (1) DE68913432T2 (ko)
ES (1) ES204982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905B2 (ja) * 1989-05-09 1996-05-29 シャープ株式会社 給紙装置
US5271614A (en) * 1989-05-09 1993-12-21 Sharp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device
US5105230A (en) * 1989-08-31 1992-04-14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feeding a sheet longitudinally or laterally
JPH0421837A (ja) * 1990-05-16 1992-01-2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5135214A (en) * 1990-07-20 1992-08-04 Sharp Kabushiki Kaisha Feeding device
JP2634497B2 (ja) * 1991-03-08 1997-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回転カセット型給紙装置
JP2613984B2 (ja) * 1991-04-22 1997-05-28 シャープ株式会社 給紙装置
JP2609002B2 (ja) * 1991-04-23 1997-05-14 シャープ株式会社 給紙装置
JP2599839B2 (ja) * 1991-04-23 1997-04-16 シャープ株式会社 給紙装置
JP2599851B2 (ja) * 1991-10-18 1997-04-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回転カセット型給紙装置
DE69332899T2 (de) * 1992-10-12 2004-05-19 Fujitsu Ltd., Kawasaki Gerät mit Dokumententransportmechanismus
JP3547579B2 (ja) 1997-03-18 2004-07-28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H10304182A (ja) * 1997-04-25 1998-11-13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5585875B2 (ja) * 2010-09-14 2014-09-10 株式会社リコー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41482B2 (ja) * 2011-12-01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7387A (en) * 1971-12-02 1974-11-12 Eastman Kodak Co Adjustable paper stack guide apparatus
DE2715948C3 (de) * 1977-04-09 1979-10-11 Hoechst Ag, 6000 Frankfurt Kassette
JPS569251A (en) * 1979-06-29 1981-01-30 Kanagawa Seisakusho:Kk Manufacture of cathode-ray tube
JPS5659245A (en) * 1979-10-20 1981-05-22 Canon Inc Variable magnification image forming device
JPS59123859A (ja) * 1982-12-29 1984-07-17 Canon Inc シ−トカセツト装置
JPS60202453A (ja) * 1984-03-27 1985-10-12 Mita Ind Co Ltd 変倍機能付きの複写機
JPS6142668A (ja) * 1984-08-06 1986-03-01 Sharp Corp 画像位置設定機能を有する複写機
JPH0652447B2 (ja) * 1984-08-30 1994-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変倍複写機
JPH07110711B2 (ja) * 1986-10-23 1995-11-29 三田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68665B1 (en) 1994-03-02
CA2002294C (en) 1993-06-29
DE68913432T2 (de) 1994-08-11
CA2002294A1 (en) 1990-05-09
DE68913432D1 (de) 1994-04-07
ES2049829T3 (es) 1994-05-01
US5003493A (en) 1991-03-26
EP0368665A1 (en) 1990-05-16
KR900018758A (ko) 199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1088B1 (ko) 화상 형성장치
EP039866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150890A (en) Feeding device for enabling continuous copy paper feed from plural copy paper cassettes
US5052671A (en) Feeding device
US456817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4627713A (en) Copying machine
JP2613984B2 (ja) 給紙装置
JPH0747419B2 (ja) 給紙装置
US5301936A (en) 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feeding position by feeding number in both a longitudinal and lateral position
JP2524401B2 (ja) 画像形成装置
US5299794A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copy material feeding members
JPS5949558A (ja) 記録装置
JP3924886B2 (ja) 複写装置
JPH02295825A (ja) 給紙装置
JPH0714772B2 (ja) 給紙装置
JPH0745293B2 (ja) 給紙装置
JPH074529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63461A (ja) 画像形成装置
JPH0198533A (ja) 複写機の自動原稿搬送装置
JPH01177051A (ja) 作像装置
JPS63186260A (ja) 作像装置
JPS63253959A (ja) 画像形成装置
JPH04277757A (ja) 複写機の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