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593B1 - 분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분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593B1
KR920010593B1 KR1019890005479A KR890005479A KR920010593B1 KR 920010593 B1 KR920010593 B1 KR 920010593B1 KR 1019890005479 A KR1019890005479 A KR 1019890005479A KR 890005479 A KR890005479 A KR 890005479A KR 920010593 B1 KR920010593 B1 KR 920010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material
interval
discharge
me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610A (ko
Inventor
쯔네미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아까다께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아까호리 요시야
신에쯔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사까 유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까다께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아까호리 요시야, 신에쯔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사까 유따로 filed Critical 아까다께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01G13/248Continuous control of flow of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16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6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e.g. end guides for the incom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말 이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분말 이송장치의 한 실시예의 중요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분말 이송장치의 중요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분말 이송장치에 부가된 레벨 이송수단내의 홈통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분말 이송장치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간략도.
제5a도 및 제5b도는 제어수단에 의해 제1도의 분말 이송장치의 제어를 각기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지지호퍼 4a,4b : 전달수단
6a,6b : 계량호퍼 8 : 원형 하부벽
12 : 회전축 14 : 고정 슬리이브
16 : 요동부재 20a,20b : 중공 원통형 부재
22a,22b : 헬리컬 부재 26a,26b : 구동원
28a,28b : 개구 30a,30b : 중공 커넥터
34a,34b : 원통형 호퍼 36a,36b : 로드 셀
38a,38b : 지지부재 40a,40b : 개방 및 폐쇄수단
42a,42b : 개방 및 폐쇄수단 44a,44b : 지지부분
46a,46b : 공압 실린더 기구 48a,48b : 작용수단
50 : 아암부재 52a,52b : 셔터수단
54a,54b : 고정몸체 56a,56b : 절단판
58a,58b : 중공 원통형 부재 62a,62b : 판 작용수단
64 : 수집부재 67 : 레벨 이송수단
68 : 홈통 70 : 진동 발생기
74 : 고정 프레임 부재 76 : 하부벽
80 : 연결부재 82 : 제어수단
83 : 제1타이머 수단 84 : 제2타이머 수단
85 : 방출간격 설정수단 86 : 방출 간격 정정수단
88 : 공급 중량 설정수단 90,92 : 메모리 수단
본 발명은 분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1988년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159722호에 개재된 바와 같이, 분말 재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호퍼와, 지지호퍼로부터 제공된 분말 재료를 계량하기 위한 계량 호퍼와, 계량 호퍼에 제공된 분말 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과, 계량 호퍼내에 방출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수단과, 개방 및 폐쇄수단의 작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한 분말 이송장치를 실제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이미 공지되었다. 상기 제어수단에는 방출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과 타이머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작동시, 지지호퍼에서 분말재료는 계량 호퍼로 보내진다. 계량 호퍼에 제공된 분말재료의 중량은 그때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다. 분말 재료의 예정된 중량이 계량 호퍼에 제공될 때 지지호퍼로부터 분말 재료의 공급은 정지된다. 방출 간격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지지호퍼로부터 분말재료의 공급 시작 후 경과될 때(그때, 분말 재료의 예정된 중량이 계량 호퍼에 제공되게 된다), 제어수단은 계량 호퍼의 방출 개구를 개방하도록 개방 및 폐쇄수단을 여기하며, 계량 호퍼내에서 측정된 분말재료는 방출 개구를 통하여 방출된다.
그러나, 상기 분말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되어야 할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정확하고 효과적인 분말 재료를 계량하기 위하여, 우선 고속으로 분말재료(예비 설정값의 70 내지 80%)를 계량 호퍼에 공급하며, 이때 예비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는 저속으로 한다. 그러나, 분말 재료를 공급하는 이와 같은 방법은 분말 재료를 계량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며, 분말 재료는 짧은 시간 간격으로 계량 호퍼로부터 방출될 수 없다. 게다가, 계량 호퍼상에 떨어지는 동안의 열과 지지호퍼로부터 이송된 분말재료의 진동 운동으로 인하여 분말재료는 정확하게 계량할 수 없다. 통상, 전달수단은 지지호퍼로부터 계량 호퍼로 분말 재료를 제공하도록 사용되며, 관성력으로 인하여 분말 재료의 공급은 전달수단이 비여기 되자마자 곧 정지되지는 않는다. 이것은 분말 재료의 정확하지 않은 계량을 초래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말 이송장치가 레벨이송수단에 결합되고 연속 이송이 공급될 대 지지호퍼로부터 방출된 분말 재료의 양은 일정하지 않으며 분말 재료는 일정한 양으로 이송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으로 분말 재료를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고, 레벨 이송수단과 결합되어 분말 이송을 연속적으로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분말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 재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호퍼와, 지지호퍼로부터 제공된 분말 재료를 계량하기 위한 계량 호퍼와, 계량 호퍼내에 분말 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측정수단과, 계량 호퍼내에 방출 개구를 개방한 개방위치와 방출개구를 폐쇄한 폐쇄위치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채택된 개방 및 폐쇄수단과, 개방 및 폐쇄수단의 작용을 제어하며 타이밍을 위한 타이머 수단 및 분말 재료의 방출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방출 간격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방출 간격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표준 방출 간격을 정정하기 위한 방출간격 정정수단을 구비하며, 방출 간격 정정수단은 중량 측정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표준 방출간격을 정정하며, 타이머 수단이 정정된 방출간격을 정할 때 개방 및 폐쇄수단은 개방위치에 유지하도록 하는 분말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이송장치의 한개의 특정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따라서, 도시된 분말 이송장치에는 지지호퍼(2), 전달수단(4a,4b), 계량호퍼(6a,6b)가 제공된다. 도시된 호퍼(2)는 원형 하부벽(8)과 이 하부벽(8)의 원주 측면 에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한 원통형 원주 측면벽(10)을 가지고 있으며 이송될 분말 재료(미세한 숯 분말과 같은 것)을 그 안에 수용하도록 채택된다. 회전축(12)은 지지호퍼(2)의 하부벽(8)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개(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요동부재(16)는 고정 슬리이브(14)를 경유하여 회전축(12)상에 설치된다. 각 요동부재(16)는 슬리이브(14)가 고정된 한 단부로부터 원주 측면벽(10)의 내측표면 근처로 방사상 외부로 연정된다. 요동부재(16)는 화살표(18)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하며 지지호퍼(2)내에서 분말 재료의 막힘을 방지한다. 지지호퍼(2)는 여러 프레임을 적절히 연결하므로써 설치된 프레임 구조(13)의 상부 단부상에 설치된다.
도시된 전달수단(4a,4b)은 실질적으로 동일 구조이며, 계량 호퍼(6a,6b)도 마찬가지이다. 다음 설명에서, 단지 그들 중 하나만을 설명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달수단(4a,4b)은 지지호포(2) 아래에 거의 수평으로 배치된 중공 원통형 부재(20a,20b)와 중공 원통형 부재(20a,20b)(제4도) 내에 배치된 헬리컬 부재(22a,22b)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 원통형 부재(20a,20b)의 대향 단부는 폐쇄되는 헬리컬 부재(22a,22b)는 중공 원통형 부재(20a,20b)의 양단부벽(24a,24b)(제2도에서 도시된 것중의 하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원(26a,26b)은 중공 원통형 부재(20a,20b)의 한 단부벽(24a,24b)상에 설치되고 헬리컬 부재(22a,22b)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개구는 중공 원통형 부재(20a,20b)의 한 단부의 상부 부분내에 형성되며, 개구(28a,28b)(제1도)는 지지호퍼의 하부벽(8)에 요구된 위치에 형성된다. 개구는 중공 커넥터(30a,30b)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개구는 또한 중공 원통형 개구(20a,20b)(제4도 참조)의 다른 단부의 하부 부분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헬리컬 부재(22a,22b)가 구동원(26a,26b)의 작용에 의해 예정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전달된 지지호퍼(2)의 하부벽(8)내에 형성된 개구(28a,28b)를 통하여 중공 원통형 부재(20a,20b)의 한 단부에 제공된 분말재료는 화살표 32(제1도에 도시됨)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송되고 다른 단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계량 호퍼(6a,6b)에 공급된다.
상기 계량 호퍼(6a,6b)는 중공 원통형 부재(20a,20b)의 다른 단부 아래에 배치된다. 도시된 계량 호퍼(6a,6b)는 원통형 호퍼(34a,34b)로 구성되고 프레임 구조(13)상에 설치된 지지부재(38a,28b)에 의해 중량 측정수단을 구성한 로드셀(36a,36b)을 경유하여 지지한다. 도입 개구는 호퍼(34a,34b)의 상부 단부에 형성되고 방출 개구는 그 하부 단부에 형성된다. 방출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은 호퍼(34a,34b)의 방출 개구에 배치된다.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은 플레이트형 개방 및 폐쇄부재(42a,42b)를 가지고 있으며, 호퍼(34a,34b)내에 제공된 지지부분(44a,44b)상의 축부재를 경유하여 설치되므로 방출 개구를 자유롭게 개방 및 폐쇄한다. 작용수단(48a,48b)의 출력부분은 예를 들어, 아암부재(50)를 경유하여 개방 및 폐쇄부재(42a,42b)에 연결되는 공압실린더가(46a,46b)로 구동될 수도 있다. 작용수단(48a,48b)이 비여기 상태일 때(공압 실린더 기구(46a,46b)가 수축될 때), 개방 및 폐쇄부재(42a,42b)는 제2도에서 파선으로 제4도에서 직선으로 도시된 폐쇄위치에 지지되므로, 호퍼(34a,34b)내의 분말 재료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호퍼(34a,34b)의 방출개구를 폐쇄한다. 이와 반대로, 작용수단(48a,48b)이 여기 상태일 때(공압 실린더 기구(46a,46b)가 신장될 때), 개방 및 폐쇄부재(42a,42b)는 제2도 및 제4도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된 개방위치에 지지된다. 따라서, 개방 및 폐쇄부재(42a,42b)는 호퍼(34a,34b)의 방출 개구를 개방하며, 호퍼(34a,34b)내의 분말 재료는 방출 개구를 통하여 방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셔터수단(52a,52b)은 중공 원통형 부재(20a,20b)와 호퍼(34a,34b)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셔터수단(52a,52b)은 고정 몸체(54a,54b)와 고정몸체(54a,54b)상에 설치된 절단판(56a,56b)(제4도)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중공 원통형 부재(58a,58b)는 전달수단(4a,4b)의 중공 원통형 부재(20a,20b)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며, 셔터수단(52a,52b)의 고정몸체(54a)는 중공 원통형 부재(58a,58b)의 하부 단부상에 설치된다. 고정몸체(54a,54b)는 호퍼(34a,34b)의 도입 개구와 중공 원통형 부재(20a,20b)의 다른 단부내에 형성된 개구와 연통하는 개구에 형성된다. 절단판(56a,56b)은 개구(제4도 참조)를 통하여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판 작용수단(62a,62b)은 절단판(56a,56b)에 연결되는 공압 실린더 기구(60a,60b)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절단판(56a,56b)은 판 작용수단(62a,62b)의 출력부상에 직접 설치도니다. 따라서, 판 작용수단(62a,62b)이 비여기 상태일때(공압 실린더 기구(60a,60b)가 수축될 때), 절단판(56a,56b)은 호퍼(34a,34b)의 도입 개구를 개구한 개방 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며, 전달수단(4a,4b)으로 부터의 분말 재료는 도입 개구를 통하여 호퍼(34a,34b)에 공급된다. 이와 반대로, 판 작용수단(62a,62b)이 여기될 때(공압 실린더 기구(60a,60b)가 신장될 때), 절단판(56a,56b)은 호퍼(34a,34b)의 도입 개구를 밀폐한 밀폐 위치(제4도에 도시한 위치)에 지지되며, 전달수단(4a,4b)으로부터 호퍼(34a,34b)로의 분말 재료의 공급은 중단된다.
깔대기 모양의 단면을 갖는 수집부재(64)는 계량 호퍼(6a,6b)의 아래에 배치되며,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경유하여 프레임 구조(13)의 지지부재(66)상에 지지된다.
수집부재(64)는 아래에는 진동 발생기(70) 및 홈통(68)을 장착한 레벨 이송수단(67)이 배치된다. 설치 프레임부재(74)는 진동 발생기(70)의 진동 출력부분(72)상에 설치된다. 홈통(68)의 한 단부 부분은 요구된 방법으로 설치 프레임 부재(74)상에 설치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통(68)은 신장 하부벽(76)과, 하부벽(76) 및 상부벽(도시하지 않음)의 2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2개의 측벽(78)을 구비하며, 화살표(77)(제3도에 도시됨)로 도시된 분말 재료를 이송한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된다(제2도 참조). 개구는 홈통(68)의 상부벽이 한 단부에 형성되며, 홈통(68)의 개구는 플렉시블 조인트와 같은 신장 연결부재(80)에 의해 수집부재(64)의 하부 단부에서 개구와 연결된다. 상기 구조로 인해서, 계량 호퍼(6a,6b)로부터 방출된 분말 재료는 수집부재(64) 및 신장 연결부재(80)를 통하여 제3도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홈통(68)을 통하여 방출되며, 진동 발생기(70)로부터 발생된 진동에 의해 화살표(77)로 도시한 방향으로 하류측으로 이송된다.
이제, 주로 제4도를 참조하여, 도시된 분말 이송장치용 제어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게다가, 도시된 분말 이송장치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이한 제어수단(82)을 구비한다. 제어수단(82)은 예를 들어, 제1타이머 수단(83) 및 제2타이머 수단(84), 계량 호퍼(6a,6b)의 방출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방출간격 설정수단(85), 방출간격 설정수단(85)에 의해 설정된 표준 방출간격을 정정하기 위한 방출간격 정정수단(86)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수단(82)은 시간당 공급된 분말 재료의 중량을 설정하기 위한 공급 중량 설정수단(88)을 포함한다. 공급 중량 설정수단(88) 및 방출간격 설정수단(85)은 매시간 공급된 분말 재료의 표준 방출중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방출량 설정수단으로서 작용하며,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은 개방된다. 방출간격 설정수단(85)은 방출간격 설정 다이얼(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설정 다이얼에 의해 설정된 방출 간격은 제어수단(82)의 메모리 수단(90)내에 저장된다. 공급 중량 설정수단(88)은 공급 중량 설정 다이얼(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방출간격 설정수단(85)에 의해 설정된 방출 간격 및 공급 중량 설정 다이얼로 설정된 공급 중량에 의해 결정되는 표준 방출 중량은 제어수단(82)의 메모리 수단(92)내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시간당 공급 중량이 공급 중량 설정 다이얼로 120Kg으로 설정되고 방출 간격이 방출 간격 설정 다이얼로 6초에 설정되면, 표준 방출 중량은 200g으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말 이송장치는 2계량 호퍼(6a,6b)를 구비하며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은 교대로 개방된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방출 간격은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이 개방 위치에 지지될 때의 시간으로부터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이 개방위치에 지지될때 까지의 흐르는 시간 간격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은 하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위치에 지지된다. 그러나 이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표준 방출 중량내의 분말 재료가 규정된 방출 간격내의 계량 호퍼(6a 또는 6b)에 공급하게 될 때 개방 및 폐쇄수단(40a 또는 40b)은 계량 호퍼(6a,6b)중의 하나만을 이용하므로써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될 것이다.
통상, 표준 방출 중량 Wo는 하기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F는 단위 시간당 분말 재료의 중량(Kg/hour)이고, T는 계량 호퍼의 방출 간격(second)이다.
방출간격 정정수단(86)에 의한 방출 간격의 정정은 이후 설명할 것이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로드셀(36a,36b)로부터 측정된 신호는 제어수단(82)안으로 이송된다. 제어수단(82)내에서 만들어진 작동 신호는 예를 들어, 전달수단(4a,4b)의 구동원(26a,26b), 작용수단(48a,48b), 판 작용수단(62a,62b)안으로 이송된다.
제어수단(82)의 제어작용은 주로 제4도, 제5a도, 제5b도에 따라서 하기에 설명할 것이다. 분말 재료가 공급되도록 작동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의 메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는 폐쇄하게 되고, 단위시간당 분말 재료의 공급 중량은 공급 중량 설정 다이얼(도시하지 않음)로 설정되지 않고 계량 호퍼(6a,6b)의 방출 간격은 방출간격 설정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설정하게 된다. 계량 호퍼(6a,6b)의 방출간격이 6초로 설정된다면, 예를 들어, 6초의 방출 간격은 제어수단(82)의 메모리 수단(90)내에 저장하게 된다. 게다가, 단위 시간당 공급 중량은 120Kg/hour로 설정되며, 예를 들어, 공급 중량 및 방출 간격으로부터 계산된 200g의 표준 방출 중량(타켓 중량치)는 제어수단(82)의 메모리 수단(92)내에 저장된다. 그때, 공급 개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는 폐쇄하게 된다.
그 결과, n-1단계가 설정되고 전달수단(4a)의 구동원(26a)은 여기되어 예정된 방향에서 헬리컬 부재(22a)의 회전시킨다. 지지호퍼(2)내의 분말 재료는 개방위치에서 셔터수단(52a)과 중공 원통형 부재(58a)를 통하여 계량 호퍼(6a)에 제공되며 헬리컬 부재(22a)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32(제1도)에 의하여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때, n-2단계는 설정되고 계량 호퍼(6a)에 제공된 분말 재료의 중량이 타켓 중량값(개방된 개방 및 폐쇄수단(40a)의 매시간당 표준 방출 중량)에 가깝게 있는지 없느지를 결정한다. 제어수단(82)은 로드셀(36a)내에서 측정된 값과 타켓 중량값(예를 들어, 200g)을 비교하며, 측정된 값이 180g을 초과할 때까지 구동원(26a)을 여기한다. 측정된 값이 180g을 초과할 때, n-3단계는 구동원(26a)을 비여기 하도록 설정된다. 그 결과, 헬리컬 부재(22)의 회전을 정지하게 되고 지지호퍼(2)로부터의 분말 재료 공급은 정지하게 된다. 이후, n-4단계는 시작되고 작용수단(62a)을 여기한다. 결과적으로, 절단판(56a)은 계량 호퍼(6a)안으로 정확하게 분말 재료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변화된다. 그때 n-5단계가 설정되고, 계량 호퍼(6a)안으로 유동되는 분말 재료의 중량은 로드셀(36a)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측정에 의해 발생된 측정 신호는 제어수단(82)안으로 이송되며, 메모리 수단(94)(제4도)내에 저장된다.
이후, n-6단계는 작용수단(48a)을 여기하도록 설정한다. 그 결과, 개방 및 폐소부재(42a)는 계량 호퍼(6a)내에서 측정된 분말재료가 방출 개구를 통하여 떨어지도록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변환된다. 그때, n-7단계에서 제1타이머 수단이 작동하게 된다. 제1타이머 수단(83)의 출발점으로부터 예정된 시간의 경과 후 다른 계량 호퍼(6b)의 방출 개구가 개방된다. n-8단계는 로드셀(36a)내에서 측정된 값이 0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만일 측정된 값이 3g보다 작다면, 분말재료는 계량 호퍼(6a)로부터 방출하게 되는 것으로 간주되며 n-9단계로 시작된다. n-9단계에서, 작용수단(48a)은 비여기된다. 그 결과, 개방 및 폐쇄부재(42a)는 계량 호퍼(6a)로부터 분말 재료의 방출을 정확하게 방지하도록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변화된다. 그대 n-10단계가 설정되고, 계량 호퍼(6a)내에서 남은 분말 재료의 중량은 로드셀(36a)에 의해 측정된다. 통상 계량 호퍼(6a)내에 수용된 분말 재료는 확실히 전부 방출되지 않고 그것의 일부분은 계량 호퍼(6a)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어 남아 있는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계량 호퍼(6a)내로 유동하는 분말 재료의 중량은 n-5단계에서 측정되며, 계량 호퍼(6a)내에 남겨진 분말 재료의 중량은 n-10단계에서 측정된다. 상기 측정된 중량을 기초로 하여 계량 호퍼(6a)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출된 분말 재료의 중량은 계산된다. 방출 간격은 메모리 수단(92)에 기록된 타켓 중량 및 계산된 방출 중량을 기초로 하여 정정된다. 특히, n-11단계에서, 방출간격 정정수단(86)은 메모리 수단(92)내에 저장된 타켓 중량과 계량 호퍼(6a)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출된 분말 재료의 중량을 비교한다. 방출 중량이 타켓 중량보다 클 때 방출 간격은 정정되어 상기 중량값 사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실질적으로 크게 된다. 방출 중량이 타켓 중량보다 작게 될 때, 방출 간격은 정정되어 중량 사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실질적으로 작게 된다. 더 상세하게 기술하면, 방출간격 정정수단(86)은 하기 방정식에 의해 주어진 값으로 방출 간격 T(sec)를 정정한다.
Figure kpo00002
To: 계량 호퍼의 표준 방출 간격, Wo: 계량 호퍼의 표준 방출 중량, Ws: 계량 호퍼로부터 방출된 중량.
상기 정정으로 인해, 시간당 분말 재료의 양은 계량 호퍼(6a)이 내부 표면으로의 분말 재료의 부착에 거의 상관없이 일정하게 된다.
방출 간격이 방출간격 정정수단(86)에 의해 정정하게 될 때, 정정된 방출 간격은 제어수단(82)의 메모리 수단(96)내에 저장되며, 제1타이머 수단(83)의 설정 시간은 n-12단계에서 정정된 값으로 변화된다.
그때, n-13단계가 설정되고 구동원(26a)이 여기된다. 그 결과, 헬리컬 부재(22a)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되며 지지호퍼(2)로부터 분말 재료의 공급은 다시 시작한다. n-14단계에서, 작용수단(62a)이 비여기될 때 절단판(56a)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고 계량 호퍼(6a)안으로의 분말 재료의 흐름은 시작하게 된다. n-15단계에서 로드셀(36a)내에서 측정된 값이 타켓 중량(예를 들어, 측정된 값이 180g을 초과할 때)와 인접하게 결정될 때, 상기 작동은 n-15단계에서 n-16단계로 진행되고 구동원(26a)은 비여기된다. 그 결과 헬리컬 부재(22a)의 회전은 정지되며, 지지호퍼(2)로부터 분말 재료의 공급은 정지된다. n-17단계에서, 작용수단(62a)은 밀폐 위치에서 절단판(56a)을 지지하도록 비여기되므로 계량 호퍼(6a)안으로의 분말 재료의 흐름을 방해한다. 계량 호퍼(6a)안으로의 분말 재료의 흐름이 끝나게 될 때 계량 호퍼(6a) 안으로 유동되는 분말 재료의 중량은 n-18단계에서 측정되고 측정된 값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메모리 수단(94)내에 저장된다.
그때, 정정된 시간(n-12단계에서 메모리 수단(96)내에 저장된 시간 간격)은 n-7간계에서 제1타이머 수단(83)의 작동으로부터 경과되고 상기 작동은 n-20단계와 n-21단계로 진행된다. n-20단계에서, 제1타이머 수단(83)은 타이밍을 정지하고, n-21단계에서 분말 재료는 다른 계량 호퍼(6b)로부터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급 시작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는 폐쇄되고, n-22단계는 또한 전달수단(4b)의 구동원(26b)을 여기하도록 설정된다. 그 결과 헬리컬 부재(22b)는 예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며 지지호퍼(2)내의 분말 재료는 헬리컬 부재(22b)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32(제1도)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때 분말 재료는 개방 위치에서 셔터수단(52b)과 중공 원통형 부재(58b)를 통과하여 계량 호퍼(6b)로 제공된다. 그때, n-23단계는 설정되며, 계량 호퍼(6b)로 유동하는 분말 재료의 량이 타켓 중량값(개방된 개방 및 폐쇄수단(40b)을 시간당 통과하는 분말 재료의 표준 방출량) 가까이에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한다. 제어수단(82)은 타켓 중량값(예를 들어, 220g)과 로드셀(36b)에서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값이 180g을 초과할 때까지 구동원(36b)을 여기한다. 측정된 값이 180g을 초과할 때, n-24단계는 구동원(26b)을 비여기하도록 설정된다. 그 결과, 헬리컬 부재(22b)의 회전은 정지되며, 지지호퍼(2)로 부터의 분말 재료의 공급은 정지된다. 이후, n-25단계 설정되고 작용수단(62b)이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절단판(56b)을 가져오도록 여기되므로, 계량 호퍼(6b)안으로의 분말 재료의 흐름은 정확히 방해된다. 게다가, n-26단계는 설정되고, 계량 호퍼(6b)안으로 유동되는 분말 재료의 중량은 로드셀(26)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측정에서 측정된 신호는 제어수단(82)안으로 이송되며, 측정된 값은 제어수단(82)의 메모리 수단(98)(제4도)내에 저장된다.
상기 작동이 n-19단계(제5a도)로부터 n-21단계(제5b도)로 진행할 때, 작용수단(48b)은 여기된다. 그 결과, 개방 및 폐쇄부재(42b)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변화되며 계량 호퍼(6b)에 의해 계량된 분말 재료는 방출 개구를 통하여 떨어진다. 그때 n-27단계가 설정되고 제2타이머 수단(24)이 타이밍을 시작한다. 제2타이머 수단(84)의 작동으로부터 시간의 예정된 주기의 경과 후 계량 호퍼(6a)의 방출 개구는 개방된다. n-28단계에서, 로드셀(36b)내에서 측정된 값이 0근처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만일 측정된 값이 3g보다 작다면 분말 재료는 계량 호퍼(6b)로부터 방출된 것으로 간주되고, n-29단계가 설정된다. n-29단계에서, 작용수단(48b)은 비여기된다. 그 결과 개방 및 폐쇄부재(42b)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변화되며, 계량 호퍼(6b)로부터의 분말 재료의 방출은 정확히 방해된다. 그때, n-30단계가 설정되고 계량 호퍼(6b)에 남겨진 분말 재료의 중량은 로드셀(36b)에 의해 측정된다. 계량 호퍼(6b)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출된 분말 재료의 중량은 n-26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n-30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기초로 하여 계산되며, 방출 간격은 메모리 수단(92)내에 저장된 타켓 중량과 상기와 같이 계산된 방출 중량을 기초로 하여 정정한다. 특히, n-31단계에서 방출간격 정정수단(86)은 계량 호퍼(6b)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출된 분말 재료의 중량과 메모리 수단(92)내에 저장된 타켓 중량을 비교한다. 방출 중량이 타켓 중량보다 클 때 방출 간격은 정정되어 중량값 사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실질적으로 보다 더 크게 된다. 방출중량이 타켓 중량보다 작을 때, 방출 간격이 정정되므로 중량값 사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실질적으로 보다 작게 된다. 방출 간격이 방출간격 정정수단(86)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정정될 때, 정정된 방출 간격은 제어수단(82)의 메모리 수단(96)내에 저장되며, 제2타이머 수단(83)의 설정 시간은 n-32단계에서 정정값으로 변화된다.
그때, n-33단계가 설정되며 구동원(26b)은 여기된다. 그 결과, 헬리컬 부재(22b)는 상술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되며, 지지호퍼(2)로부터 분말 재료의 공급은 다시 시작된다. 작용수단(62b)이 n-34단계에서 비여기될 때 절단판(56b)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변화되고 분말 재료는 계량 호퍼(6b)로 흐르도록 된다. 로드셀(36b)내에서 측정된 압력이 n-35단계에서 타켓 중량값(예를 들어, 측정된 값이 180g을 넘을 때)에 도달할 때, n-36단계는 설정되며 구동원(26b)은 비여기된다. 그 결과, 헬리컬 부재(22b)는 회전이 정지되며 지지호퍼(2)로부터 분말 재료의 공급은 중단된다. 게다가, n-37단계에서, 작용수단(62b)은 비여기되며 절단판(56b)은 계량 호퍼(6b)안으로 분말 재료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폐쇄위치에 지지된다. 계량 호퍼(6b)안으로 분말 재료의 흐름이 끝날 때, 계량 호퍼(6a)안으로 유동하는 분말 재료의 중량은 n-38단계에서 측정되고, 측정된 값은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이 메모리 수단(98a)내에 저장된다.
그것에 위해, 시간의 정정된 주기(n-32단계에서 메모리 수단(96)내에 메모리 시간 간격)는 n-27단계에서 제2타이머 수단(84)의 작동으로부터 경과되며, n-40단계가 설정되며 상기 작동은 n-6단계로 귀환된다. n-40단계에서 제2타이머 수단(84)은 타이밍을 정지하고, n-6단계에서 분말 재료는 계량 호퍼(6a)로부터 방출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설명한 작동은 반복해서 형성되며 분말 재료는 계량 호퍼(6a,6b)로부터 번갈아 방출된다. 연속적인 작동에서, 방출간격 정정수단(86)은 n-10단계에서 측정한 값과 n-18단계에서 측정한 값을 기초로 하여 계량 호퍼(6a)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출된 분말 재료의 중량을 계산하며, n-30단계에서 측정한 값과 n-38단계에서 측정된 값을 기초로 하여 다른 계량 호퍼(6b)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출된 분말 재료의 중량도 측정한다.
분말 재료가 계량 호퍼(6a,6b)로부터 방출될 때, 분말 재료는 제3도에서 2점쇄선 P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재(64) 및 연결부재(80)를 통하여 홈통(68)의 한 단부상에 떨어진다. 홈통(68)이 진동 발생기(70)의 작용에 의해 진동하게 되므로(공급 작동 스위치가 폐쇄될 때 여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방출된 분말 재료는 화살표(77)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레벨 이송수단(67)의 작용에 의해 이송동안 전체적으로 편평해진다. 그래서, 층형상으로 편평해진 분말 재료는 홈통(68)으로부터 더 하류쪽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분말 이송장치가 한 개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으로 부터의 이탈없이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표준 방출 간격은 방출간격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되며, 공급 방출 중량은 공급 중량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공급 중량 및 표준 방출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다면 다른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출간격 설정수단에 의해 표준방출 간격은 설정하는 것과 방출 중량 설정수단에 의해 표준 방출 중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표준 방출 간격과 표준 방출 중량은 다양하다. 선택적으로, 분말 재료의 양은 일정한 표준 방출 간격을 유지하는 동안 표준 방출 중량을 변화하므로써 변화될 수도 있거나, 제공된 분말 재료의 양은 일정한 표준 방출 중량을 유지하는 동안 표준 방출 간격을 변화하므로써 변화될 수도 있다.
게다가, 도시된 실시예에서, 방출 간격은 표준 방출 중량과 계량 호퍼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출된 분말 재료의 양을 비교하므로써 정정하게 된다. 제어 작동을 단순화하기 위한 방출 간격은 표준 방출 중량과 함께 계량 호퍼안으로 유입된 분말 재료의 중량을 비교하므로써 정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말 이송장치는 2개의 계량 호퍼를 구비한 형태로 한정된다. 그러나 이것은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전술한 설명이 한개의 계량 호퍼 또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계량 호퍼를 구비한 분말 이송장치의 다른 형태에 한결같이 적용된다.

Claims (5)

  1. 분말 재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호퍼(2)와, 지지호퍼(2)로부터 제공된 분말 재료를 계량하기 위한 계량 호퍼(6a,6b)와, 계량 호퍼내에 분말 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측정수단과, 계량 호퍼(6a,6b)내에 방출 개구를 개방한 개방위치와 방출 개구를 폐쇄한 폐쇄위치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채택된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과,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의 작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8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82)은 타이밍을 위한 타이머 수단(83,84)과, 분말 재료의 방출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방출 간격 설정수단(85)으로 구성되는 분말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82)은 방출간격 설정수단(85)에 의해 설정된 표준 방출 간격을 정정하기 위한 방출간격 정정수단(86)을 또한 구비하며, 방출 간격 정정수단(86)은 중량 측정 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표준 방출 간격을 정정하며, 타이머 수단(83,84)이 정정된 방출 간격을 정할 때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은 개방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방출간격 정정수단(86)은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이 계량 호퍼(6a,6b)의 방출 개구를 개방할 때마다 공급된 분말 재료의 표준 방출 중량과 계량 호퍼(6a,6b)안으로 흐르는 분말 재료의 중량을 비교하고, 계량 호퍼(6a,6b)안으로 흐르는 분말 재료의 중량이 표준 방출 중량보다 크게 될 때 상기 정정수단(86)이 방출 간격을 정정하므로써 방출 간격은 표준 방출 간격보다 길게 되며, 계량 호퍼(6a,6b)안으로 흐르는 분말 재료의 중량이 표준 방출 중량보다 작게 될 때 상기 정정수단(86)이 방출 간격을 정정하므로써 방출 간격은 표준 방출 간격보다 짧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방출간격 정정수단(86)은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이 계량 호퍼(6a,6b)의 방출 개구를 개방할 때마다 공급된 분말 재료의 표준 방출 중량과 계량 호퍼(6a,6b)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출된 분말 재료의 중량을 비교하고, 계량 호퍼(6a,6b)로부터 실제적으로 방출된 분말 재료의 중량이 표준 방출 중량보다 클 때 상기 정정수단(86)이 방출 간격을 정정하므로써 방출 간격은 표준 방출 간격보다 크게 되며, 계량 호퍼(6a,6b)로부터 실제적으로 방출된 분말 재료의 중량이 표준 방출 중량보다 작을 때 상기 정정수단(86)이 방출 간격을 정정하므로써 방출 간격은 표준 방출 간격보다 짧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82)은 개방 및 폐쇄수단(40a,40b)이 계량 호퍼(6a,6b)의 방출 개구를 개방할 때마다 공급된 분말 재료의 표준 방출 중량을 설정하기 위한 방출 중량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계량 호퍼(6a,6b)로부터 방출된 분말 재료를 편평하게 하고 이송하기 위한 레벨 이송수단(67)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이송장치.
KR1019890005479A 1988-09-05 1989-04-26 분말 이송장치 KR920010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20325A JPH0629044B2 (ja) 1988-09-05 1988-09-05 粉体供給装置
JP88-220325 1988-09-05
JP63-220325 1988-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610A KR900004610A (ko) 1990-04-12
KR920010593B1 true KR920010593B1 (ko) 1992-12-10

Family

ID=1674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479A KR920010593B1 (ko) 1988-09-05 1989-04-26 분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38385A (ko)
EP (1) EP0358131B1 (ko)
JP (1) JPH0629044B2 (ko)
KR (1) KR920010593B1 (ko)
DE (1) DE68900756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946B1 (ko) * 2013-02-26 2013-10-31 김영우 계량용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2490A (en) * 1990-07-09 1992-03-03 Daisey Machinery Co., Ltd. Quantitatively supplying apparatus
US5427694A (en) * 1993-07-08 1995-06-27 Calgon Corporation Process for delivering a selected effective amount of a dry granular antimicrobial composition to an aqueous system
WO1995022042A1 (en) * 1994-02-15 1995-08-17 Precision Preweighs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vision of pre-packaged components
US6060667A (en) * 1998-03-24 2000-05-09 Pollock; Joh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redefined quantities of bulk material
US6811301B2 (en) 2002-03-29 2004-11-02 Hydreclaim, Inc. Feeder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ed blender system
US7270249B1 (en) * 2005-03-03 2007-09-18 Burkhead Ronnie J Pneumatic metering apparatus for flowable solids product
CA2659189A1 (en) * 2006-08-03 2008-02-07 Bromine Compounds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water treatment
US20090294469A1 (en) * 2008-05-30 2009-12-03 Ecolab Inc. Mass-Based Powder Dispensing
CN105799961B (zh) * 2014-12-30 2018-05-15 广州市白云化工实业有限公司 密封胶硬管产品半自动定量分装装置及其分装方法
CN104691827B (zh) * 2015-02-15 2016-09-14 桐乡市绿康菊业有限公司 一种专用于朵菊袋泡茶包装机的定量输送装置
CN104691828B (zh) * 2015-03-14 2016-09-14 桐乡市绿康菊业有限公司 专用于朵菊袋泡茶包装机的定量输送装置
CN104691829B (zh) * 2015-03-14 2016-09-14 桐乡市绿康菊业有限公司 专用于菊花袋泡茶包装机的定量输送装置
IL244872B (en) 2016-04-03 2022-03-01 Treitel Chemical Eng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osing powdery or granular material
CN106516257A (zh) * 2016-10-25 2017-03-22 无锡市跨克微营养素有限公司 粉末物质称重装置
JP6795554B2 (ja) * 2018-07-10 2020-12-02 新東工業株式会社 計量装置
JP2020066475A (ja) * 2018-10-22 2020-04-30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粒体材料の供給装置及び粉粒体材料の供給方法
CN110470368B (zh) * 2019-08-08 2021-01-05 安学军 一种粉状药剂的精确计量装置
CN111422418B (zh) * 2020-04-16 2020-10-23 诸暨欧亿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砂石定量出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4155A (en) * 1945-03-27 1951-03-06 Allied Chem & Dye Corp Apparatus for feeding material at a predetermined rate
US2714472A (en) * 1950-11-17 1955-08-02 Richardson Scale Company Weighing apparatus
US2969893A (en) * 1959-03-02 1961-01-31 Peeters Martin Constant weight feeder
US4137976A (en) * 1977-05-09 1979-02-06 Fiber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le weight control
US4331262A (en) * 1978-04-07 1982-05-25 New Brunswick Scientific Co., Inc. Calibratable automatic fluid dispenser
US4266691A (en) * 1978-07-11 1981-05-12 Gero Industries, Inc. Continuous automatic feeding apparatus
JPS56148019A (en) * 1980-04-18 1981-11-17 Kubota Ltd Flow rate controlling method using measuring hopper
US4393950A (en) * 1981-06-26 1983-07-19 Triangle Package Machinery Company Tare weig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4448272A (en) * 1981-10-09 1984-05-15 Platt Saco Lowel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weighing and releasing fiber
EP0092410B1 (en) * 1982-04-21 1986-12-10 Haigh Chadwick Limited Cyclically weighing bulk solid material
JPS6066120A (ja) * 1983-09-21 1985-04-16 Toray Ind Inc 粉粒体の定量充填装置
DE3504735C1 (de) * 1985-02-21 1986-09-25 Yamato Scale Co. Ltd., Akashi, Hyogo Nullpunkt-Korrekturschaltung für eine Wiegemaschine
JPH0697179B2 (ja) * 1986-12-24 1994-11-30 赤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粉体供給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946B1 (ko) * 2013-02-26 2013-10-31 김영우 계량용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WO2014133281A1 (ko) * 2013-02-26 2014-09-04 Kim Young Woo 계량용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US9638571B2 (en) 2013-02-26 2017-05-02 Young Woo Kim Guide unit for measurement and micro-weight measuring system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58131A1 (en) 1990-03-14
DE68900756D1 (de) 1992-03-05
JPH0272020A (ja) 1990-03-12
KR900004610A (ko) 1990-04-12
JPH0629044B2 (ja) 1994-04-20
US4938385A (en) 1990-07-03
EP0358131B1 (en) 1992-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593B1 (ko) 분말 이송장치
US4420051A (en) Weighing apparatus
EP0725263B1 (en) Combinational weighing apparatus
KR200445676Y1 (ko) 재료 포장 장치
US4516644A (en) Apparatus for regulating flow of articles in computer scale
US49729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bulk material through a chute
JPH02500054A (ja) トナーを搬送容器からトナー貯え容器に充填するための装置
JP2005156354A (ja) 計量装置
KR920003687B1 (ko) 분말 이송장치
US20110083910A1 (en) Weigher/feeder for bulk material
US5007564A (en) Dosing or feeding apparatus for precisely feeding loose bulk material
WO2002060665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pesee de materiau a base de beton
KR880002374B1 (ko) 곡물취급 장치
US2523179A (en) Weight checking sampler
JPS62259018A (ja) 見掛比重測定用計重装置
CA1297830C (en) Non-flooding set rate feeder
WO2018047386A1 (ja) 重金属固定化剤の添加量決定装置
EP0139060A1 (en) Material feeding apparatus
JP2655174B2 (ja) かさ密度測定装置
JPH0972775A (ja) 細径棒体の計量装置およびその補正供給機構
JP2889334B2 (ja) バケットコンベア用物品供給装置
JP3587618B2 (ja) 組合せ計量装置
JPH11211545A (ja) 小魚の自動秤量装置
SU69390A1 (ko)
JPH08164907A (ja) 製茶用自動計量袋詰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