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374B1 - 곡물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374B1
KR880002374B1 KR1019830005836A KR830005836A KR880002374B1 KR 880002374 B1 KR880002374 B1 KR 880002374B1 KR 1019830005836 A KR1019830005836 A KR 1019830005836A KR 830005836 A KR830005836 A KR 830005836A KR 880002374 B1 KR880002374 B1 KR 880002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volumetric
weight
computer
weig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756A (ko
Inventor
겐도오 미쯔까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사다께 세이샤꾸쇼
사다께 도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6266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0862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8928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53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사다께 세이샤꾸쇼, 사다께 도시히꼬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사다께 세이샤꾸쇼
Publication of KR84000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2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 G01G19/3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using two or more weigh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6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e.g. end guides for the incoming material
    • B29B7/603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e.g. end guides for the incoming material in measured doses, e.g. proportioning of several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8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of feed or dischar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16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18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by valves or flaps in the container bott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물취급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곡물취급 장치의 개략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곡물취급 장치에 짜넣어져 있는 제어시스템의 블록선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곡물취급 장치에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곡물취급 장치의 개략선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곡물취급 장치에 짜넣어져 있는 제어장치의 블럭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덕트 2 : 곡물유로
3 : 상류 도입단 4 : 하류배출단
10 : 로터리 밸브조립체 60 : 용적중량 측정자치
120 : 컴퓨터 54 : 필스모터
127 : 키이보오드 32 : 로터리 밸브부재
71 : 지지덕트 72 : 도입포트
73 : 배출포트 75 : 진동피이더
81 : 배출구 90 : 진동기
95 : 용기 97 : 배출구
100 : 중량측정기구 105 : 로도드셀
108 : 밸브부재 106 : 레벨 검출기
110 : 밸브 작동기 126 : 스타트 스위치
96 : 입구개조 201∼205 : 저장탱크
131,132 : 논리소자, 128,308 : 음극전관
123 : 메모리 271∼275 : 가지덕트
303 : 메모리 308 : 음극선과
307 : 프린터 250 : 중량 측정장치
251∼255 : 덕트 225∼229 : 혼합 예비탱크
286∼288 : 컴베이어 284 : 교반날개 조립체
283 : 저장탱크 256∼260 : 밸브조립체
266∼270 : 용적중량 측정장치 261∼265 : 펄스모터
300 : 컴퓨터 309 : 키이보오드
본 발명은 곡물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일본 실용신안출원 공개 제115346/7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공지의 곡물취급 시스템은 배출구를 구비한 탱크와, 그 배출구에 설치되어 배출구로 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 개방도 가변화되는 밸브를 가지고 있다. 곡물은 밸브를 통하여 소정의 용적으로 배출된다. 일정 용적을 가진 곡무의 중량은 그 곡물의 압자치수, 표면의 거칠기, 수분함량등에 따라 변화한다. 이러한 종래의 곡물취급 시스템은 배르네 의해 배출되는 곡물의 용적을 제어할 수 있지만, 배출되는 곡물의 중량 단위의 유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을 중량 단위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곡물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류도입단 및 하류배출단을 가진 곡물유로를 확정하고 곡물이 이 곡물유로를 따라 상기 상류 도입단으로 부터 하류배출단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1개의 유로획정 수단과, 상기 곡물유로의 하류배출단에 연통되게 배치되어 이 하류 배출단으로 부터 곡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수단과, 이 밸브 수단을 향해 이송되는 곡물의 용적 중량을 측정하여 용적중량 신호를 발생하는 용적중량 측정 수단과, 이 용적중량 측정수단에 접속되어 그로부터 용적중량 신호를 받아, 그 용적중량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컴퓨터 수단과, 상기 밸브수단에 구동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컴퓨터 수단에 접속되어 이 컴퓨터 수단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밸브 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이 중량단위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밸브 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등을 가진 곡물취급 시스템에 의하여 얻어진다. 다음은 첨부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곡물취급 시스템은 상류도입단(3) 및 하류 배출단(4)을 가진 곡물유로(2)를 획정하는 덕트(1)를 가진다. 덕트(1)의 상류도입단(3)는 콘베이어등의 반송장치의 하류 배출단 및 탱크의 배출구에 연통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장치의 하류 배출단 및 탱크의 배출구로 부터의 배출곡물을 받는다. 유로(2)의 상류도입단(3)으로 급송된 곡물은 그 유로를 따라 흘러내려 하류 배출단(4)으로 배출된다. 전체가변호 10으로 표시된 로터리 밸브 조립체는 유로(2)의 하류배출단(4)에 연통되어 배치된다. 로터리 밸브 조립체(10)는 상방 케이싱 부분(11) 및 하방 케이싱부분(12)을 구비한 케이싱을 가지고 있다. 하방 케이싱 부분(12)는 원주벽(13)과, 개구(16)를 구비한 환상의 저벽(14)과, 원주벽(13)의 상단으로 부터 반경방향의 외방으로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플랜지(17)등을 가진다. 하방 케이싱 부분(12)은 배이스(20)에 고정된 복수의 스테이(stay)(18)에 의해 플랜지(17)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지지된다. 하방 케이싱 부분(12)의 저벽(14)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16)는 베이스(20)에 설치된 개구(21)와 연통된다. 상방 케이싱 부분(11)은 구멍(24)을 구비한 중심허브(hub)(23)와, 하방 케이싱 부분(12)의 원주벽(13)에 끼워 맞춰지는 외방 원주벽(25)과, 중심 허브(hub)(23)와, 외방 원주벽(25)의 사이에 연장되고 동시에 유로(2)의 하류 배출단(4)에 알맞게 끼워지는 개구(27)를 구비한 환상벽(26)과 외방 원주벽(25)의 상단으로 부터 반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하방 케이싱 부분(12)의 플랜지(17)의 상면에 씨임(shim)(29)을 통하여 재치되고 또 볼트(31)에 의해 플랜지(17)에 고정되는 환상 플랜지(28)를 가진다.
로터리 밸브부재(32)는 상방 케이싱 부재(11)의 중심 허브(23)에 설치된 구멍(24)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축(34)에 키이(36)에 의해 상기 축(3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중심 허브(33)와, 이 중심허브와 일체를 이루는 내방 원주벽(37)과, 외방 원주벽(38)과, 이 내방 및 외방 원주벽 사이에 연장되어 내방 및 외방 원주벽을 서로 연결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반경방향 배인(39)을 가진다. 인접하는 각 쌍의 배인(39)은 서로 협동하여 그들 사이에 소정 용적을 가지는 작동실을 획정한다. 축(34)은 외방 케이싱(11)의 중심 허브(23)를 관통하여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단부(11)를 가진다. 슬리이브(42)는 축(34)의 돌출단부(41)에 상기 축(34)과 함께 회저할 수 있도록 키이(43)에 의해 장착된다. 스프로킷(44)은 슬리이브(42)에 고정 설치된다. 키이(43)는 축(34)의 돌출단부(41)의 끝면에 볼트(47)에 의해 압착된 리테이너판(46)에 의해 소정취치에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하방의 키이(36)는 축(34)의 하단 부분의 끝면에 볼트(49)의 의해 압착된 리테이니판(48)에 의해 소정위치에 지지된다. 축(34)은 그들의 외주면과 상방 케이싱(11)의 중심허브(23)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24)의 벽면과의 사이에 개재된 1쌍의 상방 및 하방 베어링(51)(52)에 의해 상방 케이싱(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필스모터(54)는 베이스(20)에 고정된 브래킷(56)상에 고정저으로 장착된다. 필스모터(54)는 출력축(57)을 가지고 있으며, 이 출력축에는 스프로킷(58)이 그 출력축과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체인(59)은 스프로킷(44),(58)의 둘레에 걸쳐서 필스모터(54)의 회전 운동을 축(34)에 전달한다. 전체가 참조번호 60으로 도시되어 있는 용적중량 측정장치는 베이스(20)에 설치된 개구(66)을 포위하고 있는 4개의 측벽(62)(63)(64)(제1도에는 3개의 측벽만 도시됨)과, 개구(68)를 구비한 상단벽(67)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61)을 가진다. 덕트(1)은 그들과 일체로 된 추출용 가지덕트(71)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가지덕트(71)는 유로(2)에 연통하는 도입포트(72)와 배출포트(73)를 가진다. 가지덕트(71)는 하우징(61)의 상단벽(67)에 설치된 개구(68)에 끼워맞춰지는 자유단부를 가진다.
용적중량 측정장치(60)는 진동피이더(feeder)(75)를 가지며, 진동피이더(75)는 상단벽(76), 저벽(77), 및 대향측벽(78)(도면에는 하나만 도시됨)을 가진다. 상단벽(76)은 피이더(75)의 상류단측에, 배출포트(73)을 획정하는 가지덕트(71)의 자유단부보다도 상당히 큰 개구면적을 가진 개구(79)를 구비하고 있다.
피이더(75)는 그들의 하류단측에 배출구(81)를 가진다. 피이더(75)는 측벽(78)에 부착된 브래킷(87)과 하우징(61)의 상단벽(67)의 내면에 부착된 브래킷(84)에 고정된 판스프링(82)와 저벽(77)에 부착된 브래킷(87)의 양돌출단 및 하우징(61)의 상단벽(67)의 내면에 부착된 브래킷(88)에 고정된 판스프링(86)에 의해 하우징(61)에 장착된다. 피이더(75)는 저벽(77)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자성재료로 만들어진 당접판(89)를 가진다. 진동기(90)는 발진기(91)를 가지고 있으며, 이 발진기(91)는 당접판(89)에 대면하여 브래킷(92)에 장착되고, 이 브래킷(92)은 하우징(61)의 상단벽(67) 및 축벽(64)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93)에 부착된다. 용적중량 측정장치(60)은 상단부 입구 개구(96) 및 저부배출개구(97)를 구비한 용기(95)를 가진다. 중량 측정기구(100)는 용기(95)에 고정장착된 브래킷(101)을 가지며, 이 브래킷(101)은 하우징(61)의 측벽(62)에 고정된 장착부재(102)에 핀(103)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브래킷(101)의 하단은 장착부재(102)에 고정된 로오드 셀(load cell)(105)과 당접한다. 용기(95)의 내벽면과 고정돈 레벨 검출기(106)는 용기(95)내에 급송된 곡물이 소정의 레벨에 달한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용기(95)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부재(108)는 배출기구(97)가 닫혀져 있는 실선으로 도시된 통상닫힘 위치와, 배출개구(97)가 열려져 있는 2점쇄선으로 도시된 열림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밸브작동기(110)는 용기(95)에 고정된 브래킷(112)에 고정 장착된 모우터(111)과 이 모우터(111)에 의해 회전되는 디스크(113)와, 이 디스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일단과 밸브부재(108)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타단을 가진 레버(114)을 구비하고 있다. 모우터(111)에 전력이 공급될때, 디스크(113)는 회전되어 레버(114)를 통하여 밸브부재(108)를 그들의 닫힘위치와 열림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벨트 콘베이어(115)는 용기(95)의 배출개구(97)의 직하방에 배치된다. 벨트 콘베이어(116)는 로터리 밸브 조립체(10)의 개구(16)의 밑에 배치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곡물취급 시스템에 짜넣어진 제어 시스템은 CPU(121)와 이 CPU에 접속된 입/출력(I/O) 인터페이스(122)와, CPU에 접속된 메모리(123)등을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120)을 가진다. 용적중량 측정장치(60)의 스타트 스위치(126), 레벨검출기(106), 중량 측정기구(100)의 로오드 셀(105), 밸브 작동기(110)의 모우터(111) 및 진동기(90)의 발진기(91)는 I/O 인터페이스(122)에 접속된다. 스타트 스위치(126)는, 용적중량 측정장치(60)가 작동하는 "ON"위치와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60)가 작동하지 않는 "OFF"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펄스모우터(54)도 I/O 인터페이스(122)에 접속된다. I/O 인터페이스(122)에 접속된 타이머(T1)는 진동기(90)의 발진기(91)가 작동하여 피이더(75)에 의해 곡물이 용기(95)내로 급송되는 때로부터, 모든 곡물이 용기(95)로부터 배출기구(97)를 통하여 배출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예를들면 4분)에 대응하는 시간을 설정한다. I/O 인터페이스(122)에 접속된 타이머(T2)의기능을 후술하기로 한다. 키이보오드(127)는 임의의 소망하는 설정값을 CPU(121)에 입력하기 위해 I/O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음극선관(CRT)(128)은 CPU(121)에서 처리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해 I/O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며, 또 프린저(129)는 필요에 따라 그 데이타를 프린트 해내기 위해 I/O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각종 검출기(130)는 시스템의 고장, 차후 작업 스테이션의 작동 상태등을 검출하여 정지신호를 CPU(121)에 보내기 위해 CPU에 접속된다.
제3도를 참조하여, 제1도및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곡물취금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시스템 전체의 전원이 ON 된다. 키이보오드(127)는 날자 및 로터리 밸브 조립체(10)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의 단위 시간당 중량의 설정치를 컴퓨터(120)에 입력한다. 다음에, 용적중량 측정장치(60)의 스타트스위치(126)가 ON 되어 용적중량 측정장치에 전력을 공급된다. CPU(121)는 타이머(T1)에 "ON"신호를 보낸다. 진동기(90)의 발진기(91)는 타이머(T1)의 스위치-온(switch-on)에 응답하여 작동되고, 피이더(75)를 진동시킨다. 진동시켜진 피이구(75)는 덕트(1)을 따라 흐르는 곡물의 일부를, 가지덕트(71)를 통하여 피이더(75)안으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그 곡물을 피이더(75)의 배출구(81)를 통하여 용기(95)안으로 급속한다. 레벨 검출기(106)는 용기(95)안으로 도입된 곡물이 소정 레벨에 달한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CPU(121)에 보낸다. CPU (121)는 그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진동기(90)의 발진기(91)에 "OFF"신호를 보내 진동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그와 동시에 중량 측정기구(100)의 로오드 셀(105)에 "ON"신호를 보내 로오드 셀(105)을 통하여 용기(95)내의 곡물의 단위 용적당 중량, 즉 용적중량을 측정하여 그 측정된 용적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CPU(121)에 보내고 용적중량 신호가 메모리(123)에 기억된다. CPU(121)는 로오드 셀(105)로 부터의 용적중량 신호에 응답하여 밸브 작동기(110)의모우터(111)에"ON"신호를 보내 모우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밸브부재(108)를 제1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닫힘위치로부터 2점쇄선으로 도시된 열림위치로 이동시켜, 용기(95)내의 곡물이 배출구(97)를 통하여 콘베이어(115)상에 배출되도록 한다.
논리소자(131)는 키이보오드(127) 또는 제2도에 도시된 검출기(108)로부터 정지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정지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는때 논리소자(132)는 타이머(T1)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정하여, 판정결과가 "ON"를 나타낼때는 논리소자(132)로부터의 신호는 그 논리소자(132)에 재입력되어 타이머(T1)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기다린다. 논리소자(132)에 의한 판정결과가 "YES"를 나타낸때 CPU(121)는 밸브작동기(110)의 모우터(111)에 "ON"신호를 보내 밸브부재(108)를 그들의 열림위치로부터 닫힘위치로 이동시킨다. 그와 동시에, 타이머(T1)는 다시 세트된다. 이 싸이클은 정지신호가 CPU(121)에 입력될때까지 반복된다. 이와 같이, 용적중량 측정장치(60)에 있어서의 중량측정기구(100)의 로오드 셀(105)은 각 사이클 마다 곡물의 용적중량을 측정하고, 그 용적증량을 나타내는 신호는 계속 CPU(121)에 입력된다. CPU(121)는 용적중량 신호 및 키이보오드(127)로 부터의 설정값 신호를 처리하여, 밸브 조립체(10)의 밸브부재(32)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수를 계산한다. 즐, 로터리 밸브조립체(10)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의 단위 시간당 중량의 설정값이 wskg-sec. 로터리 밸브조립체(10)의 밸브부재(32)의 1회전당 곡물배출용적이 VM3, 로오드 셀(105)에 의해 측정된 용적중량이 Wvkg/M3이라고 하면, 밸브부재(32)의 단위시간당 회전수(N)는 다음식에서 구해진다.
N=Ws/(Wv·V) …………………………………………… (1)
CPU(121)는 상기(1)식으 계산을 행하여 밸브부재(322)의 회전수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계산되어 설정된 회전수(N)와 키이보오드(127)로 부터의 단위 시간당 중량설정값(WsKg/sec) 및 로오트 셀(105)에서 측정된 용적중량(WvKg/m3)을 포함한 데이타는 메모리(123)에 기억되며, 필요에 따라서 음극선관(128)에 의해 표시되고 프린터(129)에 의해 프린트된다.
논리소자(134)는, 상기(1)식에 의한 계산에 의해 얻어진 밸브부재(32)의 회전수 설정이 스타트 스위치(126)가 ON된 후 처음으로 행하여진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논리소자(134)에 의한 판정이 "YES"를 나타내면, 콘베이어(116)의 기동 및 차후의 작업 스테이션의 기동에 요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을 설정하고 있는 타이머(T2 에 CPU(121)는 "ON"신호를 보낸다. 타이머(T2)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펄스모우터(54)에"ON"신호가 보내져 펄스모우터(54)는 CPU(121)에서 계산 설정된 회전수로 밸브부재(32)를 회전시키게 된다.
논리소자(134)에 의한 판정이 "ON"를 타나내면, 즉 상기(1)식에 의한 계산에 의해 얻어진 밸브부재(32)의 회전수 설정이 스타트 스위치(126)가 ON 된 후 2회째 이후인 것을 나타낼때, CPU(121)는 로오드 셀(105)로 부터 차례로 계속적으로 보내지는 용적용량 신호 및 키이보오드(127)로 부터의 설정중량 유량값에 따라 상기(1)식에 의해 계산된 설정 회전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직접 펄스모우터(54)에 보내며, 펄스모우터(54)는 그 설정회전수 신호에 응답하여 로터리 밸브조립체(10)의 밸브부재(32)를 회전시킨다. 즉, 미리 설정되어 있는 회전수가 보정된다. 그리고 곡물의 용적중량이 변호하더라도 밸브조립체(10)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의 단위시간당 중량이 키이보오드(127)로 부터의 설정값과 균등하게 유지되도록 로터리 밸브조립체(10)의 밸브부재(32)의 회전수는 제어된다.
키이보오드(127) 또는 검출기(130)로 부터 정지신호가 CPU(121)에 입력되면, CPU는 펄스모우터(54)에 "OFF"신호를 보내 펄스모우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또 논리소자(131)는 "YES"의 판정을 내려 용적중량 측정장치(6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후, CPU(121)는 지금까지 얻어진 데이타를 처리하여 프린트(129)에 의해 그 데이타를 인쇄시킨다. 제어시스템은 새로운 중량유량의 설정을 행할 준비가 된다.
제4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곡물취급 시스템을 복수개의 저장탱크(201∼205)(제4도에는 5개의 탱크가 도시됨)를 가진다. 저장탱크(201∼205)에 각각 다른 품종의 곡물을 반송하기 위한 제 1 반송 시스템은 엘리베이터(207)와 이 엘리베이터의 상단에 접속된 분배덕트(208)를 가진다. 분배덕트(208)는 그에 접속된 5개의 가지덕트(209∼213)와, 분배덕트(208)에 최초의 4개의 가지덕트(209∼212)에 접속되는 접속부에 구비된 4개의 변환밸브(214∼217)를 가진다. 탱크(201∼205)는각각의 저부배출구에 밸브(219∼223)를 가진다. 곡물 취급 시스템은 또한, 저장탱크(1201∼205)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혼합 예비탱크(225∼229)와, 저장탱크로부터 혼합 예비탱크로 곡물을 각각 반송하기위한 제 2 의 반송 시스템을 가진다.
제 2 의 반송시스템은 저장탱크(201∼205)의 각각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반송하는 콘베이어(231)와, 이 콘베이어(231)의 하류단으로 연통하는 저부를 가진 엘리베이터(232)와, 이 엘리베이터(232)의 상단에 접소된 상류단을 가진 덕트(233a)와, 이 덕트(233a)의 하류단으로 연통 가능한 상류단을 가진 덕트(233b)와, 이 덕트(233b)의 하류단에 연통하는 하단을 가진 엘리베이터(234)와, 이 엘리베이터(234)의 상단에 접속된 분배덕트(236)와, 이 분배덕트(236)에 접속된 가지덕트(237∼241)와, 분배덕트(236)와 최초의 4개의 가지덕트(237∼240)와의 사이의 접속부에 구비된 4개의 변활밸브(242∼245)을 가진다. 중량측정장치(250)는 덕트(233a)의 하류단 및 덕트(233b)의 상류단에 연결되어 이 덕트(233a)(233b)를 통하여 반송되는 곡물의 중량을 측정한다. 중량 측정장치(250)는 미국 특허 제3,966,000호에 개시되어 있는 중량 측정장치 또는 이분야에서 "호퍼 스케일(hopper scale)"로 알려져 있는 중량 측정장치로해도 좋다.
혼합예비 탱크(225∼229)의 배출구는 덕트(251∼255)의 상류 도입단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덕트(251∼255)의 하류배출단은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에 각각 연통된다.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는 필스모우터(261∼265)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각각은 관련된 덕트(251∼255)에 가지덕트(271∼275)에 개재하여 연통된다. 각각의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에서 배출된 곡물은 콘베이어(277∼281)를 통하여 각각 대응하는 저장탱크(201∼205)로 적합한 반송시스템에 의해 되돌아간다. 각각의 덕트(251∼255) 및 각각의 가지덕트(271∼275)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덕트(1) 및 가지덕트(71)와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각의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 및 각각의 펄스모우터(261∼265)는 제 1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로터리 밸브 조립체(10) 및 펄스 모우터(54)와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각각 사실상 동일하므로 상세하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용적 중량 측정장치(266∼270)는 제 1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용적중량 측정장치(60)와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므로 상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곡물 취급 시스템은 혼합 스테이션(282)과, 혼합 예비탱크(225∼229)에서 각가 배출된 곡물을 그의 혼합 스테이션으로 반송하기 위한 제 3 의 반송 시스템과, 혼합 시트이션(282)에서 혼합된 곡물을 소망하는 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제 4 의 반송시스템을 가진다. 혼합스테이션(282)은 혼합탱크(283)와, 이 혼합탱그에 급송된 곡물을 교반 혼합시키기 위한 교반날개 조립체(284)와. 이 교반날개 조립체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우터(285)등을 가진다. 제 3 의 반송시스템은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를 각각 통하여 배출된 곡물을 반송시키는 콘베이어(286)와, 이 콘베이어(286)의 하류단으로 연통되는 하단을 가진 엘리베이터(287)와, 이 엘리베이터(287)의 상단에 접속된 상류단 및 혼합탱크(283)에 연통되는 하단을 가진 덕트(288)등을 구비한다. 제 4 의 반송시스템은 혼합탱크(283)의 저부에 접속된 상류단을 가진 덕트(291)와, 이 덕트(291)의 하류단에 접속된 하단을 가진 엘리베이터(292)와, 이 엘리베이터(292)의 상단에 접속된 상류단을 가지며 혼합된 곡물을 소망하는 위치로 반송하는 덕트(293)등을 가진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4 도의 곡물 취급 시스템에 짜넣어져 있는 제어시스템은 CPU(301)와, 이 CPU(301)에 접속된 I/O 인터페이스(302)와, CPU에 접속된 메모리(30)등을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300)를 가진다. 혼합에비탱크(225∼229)에 각각 관련된 용적중량 측정장치, 펄스모우터 및 타이머(266,261,T11)(267,262,T12)(268,263,T13)(269,264,T14)(270,265,T15)는 I/O 인터페이스(302)에 접속된다. 각각의 타이머(T11∼T15)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타이머(T1)와 기능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I/O인터페이스(302)에 접속되어 있는 타이머(T20), 검출기(306), 프린터(307), 음극선관(308), 및 키이 보오드(309)는 각각 제 1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타이머(T2), 검출기(130), 프린터(129), 음극선과(128) 및 키보오드(127)와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I/O인터페이스(302)에 접속되어 있는 중량 측정장치(250)는 덕트(233a)(233b)를 통하여 반송되는 각각의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각각의 곡물의 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CPU(301)에 보낸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곡물 취급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곡물 취급 시스템은 2개의 별개의 작동 모우드에 의해 작동된다. 제1작동 모우드는 중량 측정장치(250)가 비작동 상태에 놓여 있는 작동 모우드로서, 각각의 곡물은 단지 중량측정장치(250)를 통과하는데 불과하다. 이 경우, 중량 측정장치(250), 덕트(233a)(233b) 및 엘리베이터(232)를 제거하고, 콘베이어(231)의 하류단을 엘리베이터(234)의 하단에 직접 연통시켜도 좋다. 또한, 제 1 작동 모우드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중량측정장치(250), 덕트(233a)(233b) 및 엘리베이터(232)와 더불어 엘리베이터(207), 저장탱크(201∼205) 및 콘베이어(231)를 제거하여도 좋다. 제 2 작동 모우드는 중량 측정장치(250)가 작동되는 작동모우드이다.
먼저, 상기 제 1 작동 모우드를 설명한다. 밸브(219)에 의해 제 1 저장 탱크(201)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또한 변환밸브(214)에 의해 덕트(208)와 지지덕트(208)만을 연통시킨 상태에서, 엘리베이터(207)에 의해 반송된 제1 의 품종의 곡물이 제 1 의 저장탱크(201)로 급송된다. 그후, 변환밸브(214)는 덕트(208)와 지지덕트(209)의 연통을 차단하고, 덕트(208)와 변환밸브(215)가 연통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밸브(220)가 제 2 의 저장탱크(202)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동시에 변환밸브(215)가 덕트(208)와 가지덕트(210)를 연통시킨 상태에서 엘리베이터(207)에 의해 반송되는 제 2 의 품종의 곡물을 제 2 의 저장탱크(202)로 급송된다. 마찬가지로, 제3, 제4 및 제5 품종의 곡물은 각각 제3, 제4 및 제5의 저장탱크(203), (204), (205)로 급송된다.
이어서, 콘베이어(231) 및 엘리베이터(232), (234)가 작동된다. 변환밸브(242)는 덕트(236)와 가지덕트(237)만을 연통시키는 위치로 이동된다.
밸브(219)는 제 1 의 저장탱크(201)의 배출구를 개방한다. 제 1 의 저장탱크(201)내의 제 1 품종의 곡물은 제 1 의 저장탱크의 배출구를 통하여 콘베이어(231)상에 배출된다. 제 1 품종의 곡물은 콘베이어(231), 엘리베이터(232), 덕트(233a)(233b), 엘리베이터(234), 덕트(236) 및 가지덕트(237)를 통하여 제 1 의 혼합 예비탱크(225)로 반송된다. 이어서, 제1의 저장탱크(201)의 배출구는 밸브 (219)에 의해 닫혀지며, 또한 변환밸브(242)는 덕트(236)와 가지덕트(237)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덕트(236)와 변환밸브(243)가 연통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그다음, 제 2 의 저장탱크(202)의 배출구는 밸브(220)에 의해 개방된다. 또한 변환밸브(243)는 덕트(236)와 가지덕트(238)를 연통시키는 위치로 이동된다. 제 2 의 저장탱크(202)내의 제 2 의 품종의 곡물은 제 2 저장탱크의 배출구를 통하여 콘베이어(231)상에 배출된다. 제 2 품종의 곡물은 콘베이어(231), 엘리베이터(232), 덕트(233a)(233b), 엘리베이터(234), 덕트(236) 및 가지덕트(238)를 통하여 제 2 의 혼합 예비탱크(226)에 반송된다. 마찬가지로, 제3 , 제4 및 제5의 품종의 곡물은 각각 제3 , 제4 및 제5의 저장탱크(203)(204)(205)로부터 제3, 제4 및 제5의 혼합 예비탱크(227)(228)(229)로부터 반송된다.
이어서, 용적용량 측정장치(226∼270),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 펄스 모우터(261∼265) 및 이들에 대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의 전원이 스위치 온 된다. 키이 보오드(309)는 날자 및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에 의해 각각 배출되는 제 1 내지 제 5 의 품종의 곡물의 단위시간당 설정 중량값을 컴퓨터(300)에 입력한다. 그 다음,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공통의 스타트 스위치가 ON 되어 용적중량 측정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CPU(301)는 타이머(T11∼T15)의 각각의 스위치를 ON 시킨다.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형태로 용적중량 신호를 각각 CPU(301)에 보낸다.
CPU(301)는 이들 용적 중량신호 및 키이보오드(309)로 부터의 설정신호를 처리하여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의 각각의 밸브부재의 단위시간당 회전수를 계산한다. 즉,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로부터 배출되는 각각의 곡물의 단위 시간당 중량의 설정값이 Ws1kg/sec, Ws2kg/sec, Ws3kg/sec, Ws4kg/sec, Ws5kg/sec,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의 각각의 밸브 부재의 1회전당 곡물 배출 용적이 Vm3,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에서 측정된 각각의 곡물의 용적 중량이 Wv1kg/m3, Wv2kg/m3, Wv3kg/m3, Wv4kg/m3, 및 Wv3kg/m3이라면,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의 각각의 밸브 부재의 단위시간당 회전수(N1∼N5)는 다음식에서 구하여 진다.
N1=Ws1/(Wv1·V)
N2=Ws2/(Wv2·V)
N3=Ws3/(Wv3·V) ………………………………………… (2)
N4=Ws4/(Wv4·V)
N5=Ws5/(Wv5·V)
CPU(301)은 상기(2)식에 따라 계산을 행하여 각각의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0)의 밸브 부재의 단위시간당 회전수를 설정한다. 이렇게 하여 계산 설정된 단위 시간당 회전수(N1∼N5), 키이보오드(309)로부터의 단위 시간당 중량 유량 설정값(Ws1N1=Ws1∼Ws5kg/m3)을 포함하는 데이터는 메모리(303)에 기억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음극선관(308)에 의해 표시된다.
컴퓨터(300)는 상기(2)식에 의한 계산에 의해 얻어진 각각의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의 밸브 부재의 회전수 설정이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공통의 스타트 스위치가 ON 된 후 최초로 행하여진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판정 결과가"YES"를 나타내면, 콘베이어(286), 엘리베이터(287)(92) 및 혼합시스템(282)의 기동에 요하는 시간에 대응한 시간을 설정한 타이머(T20)에 CPU(301)는 "ON"신호를 보낸다.
타이머(T20)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ON"신호는 적합한 시간차를 두고 각각 펄스 모우터(261∼265)에 보내지고 로터리 밸브조립체(256∼260)가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회전함에 있어 펄스모우터(261∼265)가 CPU(301)에서 상기 (2)식에 따라 계산된 설정회전수(N1∼N5)로 로터리밸브 조립체(256∼260)의 밸브 부재를 회전시키며 이로서 로터리 밸브조립체에 의하여 각각 종류대로 곡물이 배출되어 콘베이어(286)에 의해 도시에 엘리베이터(287)의 저부에 도달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는 제일먼저 회전하여 제 1 혼합 예비탱크(255)로부터의 제 1 품종의 곡물을 콘베이어(286)상에 배출한다. 콘베이어(286)에 의해 이송되는 제1 품종의 곡물이 제 2 로터리 밸브 조립체(257)의 직하방 위치의 바로 앞까지 진행하였을때, 제2로터리 밸브 조립체는 제 2 의 혼합 예비탱크(226)로부터 제 2 품종의 곡물이 콘베이어(286)상에 배출되도록 회전한다. 또 제 1 및 제 2 품종의 곡물이 제 3 로터리 밸브 조립체(258)의 직하방 위치의 바로 앞까지 진행하였을때, 제3로터리 밸브 조립체는 제 3 혼합 예비탱크(227)로부터 제 3 품조의 곡물이 콘베이어(286)상에 배출되도록 회전한다. 제1 내지 제3품종의 곡물이 제4로터리 밸브조립체(259)의 직하방 위치의 바로 앞까지 진행하였을때, 제 4 로터리 밸브 조립체는 제 4 혼합 예비탱크(228)로부터 제4품종의 곡물이 콘베이어(286)상에 배출되도록 회전한다.
제1 내지 제4품봉의 곡물이 제 5로터리 밸브조립체(260)의 직하방 위치의 바로 앞까지 진행하였을때, 제 5 로터리 밸브 조립체는 제 5 혼합 예비탱크(229)로부터 제 5 품종의 곡물이 콘베이어(286)상에 배출되도록 회전한다. 이렇게 하여, 각각 제 1 내지 제 5 혼합 예비탱크(225∼229)로부터 배출된 제1 내지 제5품조으이 곡물들은 동시에 엘리베이터(287)의 저부에 도달한다. 소정의 시간차는 콘베이어(286)의 이동속도에 따라 타이머 등에 의해 적합하게 설정된다. 상기 (2) 식에 따른 계산에 의해 얻어진 각각의 밸브부재의 단위시간당 회전수의 설정의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이 공통 스타트 스위치가 ON 된 후 2회째 이후인 것을 컴퓨터(300)가 판정하게 되면, CPU(301)는 각각 용적중량 측정장치로부터 차례차례 보내져오는 용적중량 신호 및 키이보오드(309)로부터의 설정중량 유량값에 따라 상기(2)시에 따라 설정 회전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직접 각각 펄스 모우터(261∼265)로 보내며, 펄스 모우터(261∼264)는 그들 설정 회전수에 응답하여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의 밸브부재를 각각 회전시킨다. 따라서, 각각의 품종의 곡물의 용적중량이 변화하여도 로터리 밸브 조립체는 키이 보오드(309)에 의해 설정된 중량 유량갑과 동일한 중량유량의 곡물을 각각 정확하게 배출시킨다.
키이보오드(309)또는 검출기(306)로부터의 정지신호가 I/O 인터페이스(302)를 통하여 CPU(301)에 입력되면, CPU는 펄스 모우터(261∼265)에 각각 "OFF"신호를 보내 용적중량 측정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또한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공통 스타트 위치에 "OFF"신호를 보내 용적중량 측정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 후, CPU(301)는 지금까지 얻어진 데이터를 처리하여 프린터(307)에 의해 그 데이터를 인쇄시킨다.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로부터 각각 배출된 곡물은 콘베이어(286), 엘리베이터(287) 및 덕트(288)를 통하여 혼합 시스템(282)의 혼합탱크(283)로 급송되어 교반날개 조립체(284)에 의해 교반 혼합된다. 이렇게 하여 혼합된 곡물은 덕트(291), 엘리베이터(292), 및 덕트(293)를 통하여 소망의 위치로 반송된다.
예를 들면 Ws1=1kg/sec, Ws2=1kg/sec, Ws3=1kg/sec, Ws4=1kg/sec, 및 Ws5=1kg/sec의 관계를 중량 유량값(Ws1∼Ws2)이 갖도록 그 중량 유량값을 키이 보오드(309)가 설정하였다고 하면, 1 : 2 : 3 : 4 : 5의 혼합 중량비를 갖는 곡물혼합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곡물취급 시스템에 있어서는, 임의의 소망하는 혼합 중량비를 갖는 곡물 혼합체를 얻을 수 있다. CPU(301)는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의 밸브 부재가 각각 몇회 회전 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에 따라 곡물 혼합체의 총 중량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음에 전술한 제 2 작동 모우드를 설명한다. 중량 측정장치(250)는 제 1 저장탱크(201)로부터 제1혼합비탱크(225)로 급송된 제 1 품종의 곡물의 중량(W1kg), 제 2 저장탱그(202)로부터 제 2 혼합 예비탱크(226)로 급송된 제 2 품종의 곡물의 중량(W2, kg), 제 3 저장탱크(203)로부터 제 3 혼합 예비탱크(227)로 급송된 제 3 품종의 곡물의 중량(W3kg), 제 4 저장탱크(204)로부터 제 4 혼합 예비탱크(205)로 급송된 제 4 품종의 곡물의 중량(W4kg) 및 제5저장탱크(205)로부터 제 5 혼합 예비탱크(229)로 급송된 제 5 품종의 곡물의 중량(W5kg)을 측정한다. 중량 측정장치(250)는 측정된 각각의 곡물의 중량(W1∼W5)을 나타내는 신호CPU(301)에 보낸다. 혼합 예비탱크(225∼260)내에 각각 수용된 모든 곡물을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에 의해 배출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로터리 밸브조립체의 밸브 부재의 각각의 총회전수(N11∼N15)는 다음식에 의해 구하여진다
N11=Ws1/(Wv1·V)
N12=Ws2/(Wv2·V)
N13=Ws3/(Wv3·V) ………………………………………… (3)
N14=Ws4/(Wv4·V)
N15=Ws5/(Wv5·V)
여기서, Wv1∼Wv5는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곡물의 용적중량(kg.m3)이고, V는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의 각각의 밸브 부재의 1회전당 배출용적(m3)이다.
CPU(301)는 상기 (3)식에 따라 계산을 행하여 각각의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의 밸브 부재의 총회전수(N11∼N15)를 설정한다. CPU(301)는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각각의 펄스 모우터(261∼265)에 계속 "ON"신호를 보내 펄스 모우터로 하여금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의 밸브 부재를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로터리밸브 조립체의 밸브 부재들은 CPU에 의해 식 (3)에 따라 계산되어 설정된 각각의 총회전수(N11∼N15)로서 각각 서로 동일한 시간내에 회전하게 되며,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에 의해 각각 배출된 곡물은 콘베이어(286)에 의해 전술한 "제1작동 모우드"와 같은 방법으로 동시에 엘리베이터(287)의 저부에 도달한다. 상기한 밸브 부재의 회전시간은 그 로터리 밸브 조립체의 능력에 따라 CPU에서 계산된다. 즉, 제1 내지 제 5 의 품종의 곡물을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에 의해 제 1 내지 제 5 의 혼합예비 탱크(225∼229)로부터 시간차를 두고 배출되며, 각각의 모든 곡물은 역시 시간차를 두고 배출 완료된다.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로부터 배출된 곡물은 콘베이어(286), 엘리베이터(287), 및 덕트(288)를 통하여 혼합탱크(283)에 반송되며, 교반날개 조립체(284)에 의해 교반 혼합된 후, 엘리베이터(292) 및 덕트(293)를 통하여 소망의 위치로 반송된다.
CPU(301)에 의해 계산되어 설정된 총회전수(N11∼N15), 중량 즉정장치(250)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곡물의 중량(W1∼W5kg), 용적중량(266∼270)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곡물의 용적중량(W1∼W5kg/m3) 및 총배출량(W1+W2+W3+W4+W5kg)등을 포함한 데이터는 메모리(303)에 기억되며, 필요에 따라 음극선관(308)에 의해 표시되고 프린터(307)에 의해 인쇄된다.
곡물취급 시스템의 제 2 의 작동 모우드에 있어서는, 혼합 예비탱크(225∼229)로부터의 각각의 곡물의 배출개시와 배출종료 사이의 시간 간격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보다 균일하게 혼합된 곡물 혼합체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로터리 밸브 조립체(10 : 256∼260)를 갖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그 로터리 밸브 조립체 대신에, 수직 하방으로 이격된 2개의 슬라이드 밸브부재를가진 밸브 조립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Claims (31)

  1. 상류 도입단(3) 및 하류 배출단(4)을 가진 곡물유도(2)를 확정하여 곡물이 이 곡물유로(2)를 따라 상기 상류 도입단(3)으로부터 하류 배출단(4)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1개의 덕트(1)와 같은 유로 확정장치와, 상기 곡물유로(2)의 하류 배출단(4)에 연통관계로 배치되어 이 하류 배출단(4)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조립체(10 ; 256∼260)와, 이 밸브 조립체(10 ; 256∼260)를 행해 이송되는 곡물의 용적중량을 측정하여 용적중량 신호를 발생하는 용적중량 측정장치(60 ; 266∼270)와, 이 용적중량 측정장치(60 ; 266∼270)에 접속되어 그로부터 용적중량 신호를 받아 그 용적중량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컴퓨터 장치(120 ; 300)과, 상기 밸브조립체(10 ; 256∼260)에 구동 연결되어 있고, 또 상기 컴퓨터 장치(120 ; 300)에 접속되어 컴퓨터 장치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밸브조립체(10 ; 256∼260)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이 중량 단위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밸브 조립체(10 ; 256∼260)을 구동시키는 펄스모터(54 ; 261∼265)와 같은 구동장치를 가직 구성되는 곡물 취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120 ; 300)에 접속되어 상기 밸브 조립체(10 ; 256∼260)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의 단위 시간당 설정 중량값을 컴퓨터장치(120 ; 300)에 입력하여 키이보오드(1127 ; 309)와 같은 입력장치를 가지며, 상기 컴퓨터(120 ; 300)은 용적중량 측정장치로부터의 용적중량 신호 및 상기 입력(120, 300)으로부터의 설정 중량값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립체(10 ; 256∼260)는 로터리 밸브부재(32)를 가지며, 상기 구동장치에 보내지는 컴퓨터(120 ; 300)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상기 로터리 밸브부재(32)의 단위시간당 회전수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곡물 취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20 ; 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상기 구동장치가 펄스 모우터(54 ; 261∼265)를 가지는 곡물 취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60 ; 266∼270)는 상기 곡물 유로에 연통되고, 그 곡물유로(2)를 따라 흘러내리는 곡물의 일부를 추출하여 그 곡물의 용적중량을 측정하는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유로(2)에 연통하는 도입포트(72) 및 상기 용적 중량 측정장치(60 ; 266∼270)에 연통하는 배출 포트(73)를 구비하여 그 곡물 유로를 따라 흘러내리는 곡물의 일부를 추출하여 그 곡물의 일부를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60 ; 266∼270)에 연통하는 배출 포트(73)를 구비하여 그 곡물 유로를 따라 흘러내리는 곡물의 일부를 추출하여 그 곡물의 일부를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60 ; 266∼270)에 도입시키는 가지덕트(71)를 가지며, 상기 용적중량 측정정치(60 ; 266∼270)는 상기 가지덕트(71)의 배출구(91)에 연통하는 입구개구(96)를 구비한 용기(95)와, 이용기를 지지하며 용기(95)내에 소정용적의 곡물이 도입되었을때 이 소정용적의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용적중량 신호를 발생하는 중량측정 수단등을 가지고 있는 곡물 취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60 ; 266∼270)은 상기 용기에 관련된 곡물이 그 용기(95)내에 소정레벨까지 도입된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레벨 검출기(106)를 가지며, 상기 중량측정장치(60 ; 266∼270)는 상기 레벨 검출기(10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여 상기 용적 중량신호를 발생하는 로오드 셀(105)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95)는 배출구(97)를 가지며,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60 ; 266∼270)는 용기(95)의 배출구(97)를 닫는 통상닫힘 위치와 배출구(97)를 개방하는 열림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부재(108)와, 이 밸브부재(108)에 연결되며 상기 밸브부재(108)에 연결되며 상기 로오드 셀(105)로부터의 용적 중량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며 상기 밸브부재(108)를 그것의 닫힘 위치로부터 그것의 열림 위치로 이동시켜 용기(95)내의 곡물이 상기 배출구(97)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작동기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9. 제8항에 잇어서,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60 ; 266∼270)는 이 용적중량 측정장치를 작동상태로 "ON"위치와 용적중량 측정장치를 비작동 상태로 하는 "OFF"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스위치(126)와, 상기 가지덕트(71)의 배출포트(73)에 연통하는 상류단 및 상기 용기(95)의 입구 개구(96)에 연통하는 하류단을 구비하여 가지덕트(71)의 배출포트(73)로부터의 곡물을 상기 용기(95)내에 급송하는 진동 피이더(75)와, 이 진동피이더(75)를 진동시키는 진동기(90)를 가지며, 이진동기(90)는 상기 스위치(126)가 그의 "ON"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작동하며 상기 진동피이더(75)를 진동시키며, 또 상기 검출기(10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작동정지 하도록 구성된 곡물 취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피이더의 작동이 개시된 때로부터 상기한 용기에서 모든 곡물이 배출되기 까지의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T1; T11∼T15)를 가지며, 이 타이머(T1; T11∼T15)는 상기 스위치(126)가 그의 "ON"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작동을 개시하여 진동기(90)를 작동시키며, 상기 컴퓨터9120 ; 300)는 상기 작동기(110)가 작동된 후,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60 ; 266∼270)의 작동이 정지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논리소자(131)와 같은 판정장치와 상기 용적 측정장치(60;266∼)의 작동이 정지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논리소자(131)와 같은 판정장치와 상기 용적 측정장치(60 ; 366∼270)의 작동이 정지해서는안된다고 상기 판정장치가 판정하였을때 상기 타이머(T1; T11∼T15)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논리소자(132)와 같은 판정장치를 가지며, 상기 타이머(T1; T11∼T15)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을 상기후자의 판정장치가 판정한 때 상기 타이머(T1; T11∼T15)가 다시 작동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곡물 취급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120;300)는 그것에 저속되어 적어도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60 ; 266∼270)에 의해 측정한 곡물의 용적중량과, 상기 펄스 모우터(54 ; 261∼265)의 단위 시간당 회전수 그리고 로터리 밸브(128 ; 308)에 의해 배출된 곡물의 총중량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123 ; 303)를 가지며, 상기 곡물취급 시스템은 컴퓨터(120 ; 300)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음극선과(128 ; 308)과, 컴퓨터(120 ; 300)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를 인쇄하느 프린터(129 ; 207)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 ; 251∼255)와 같은 유로 회전수단은 서로 별개로서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이 상기 곡물유로를 구획하며, 상기벨브 조립체(256∼260)은 상기 덕트(251∼255)와 같은 곡물유로의 각각의 하류 배출단에 연통하여 하나씩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은 각각의 밸브조립체(256∼260)로 향하여 이송되는 각각의 곡물 중량을 측정하여 각각의 용적중량 신호를 발생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펄스모터(261∼265)와 같은 구동수단은 밸브조립체(256∼260)의 각각에 하나씩 구동 연결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컴퓨터(300)는 상기 용적중량 신호에 따른 각각의 제어신호를 구동수단에 각각 공급하는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300)는 이에 접속되어 각각의 밸브 조립체(256∼260)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의 단위시간당 설정 중량값을 컴퓨터(300)에 입력하는 키이보오드(309)와 같은 입력수단을 가지며, 상기 컴퓨터(300)는 용정중량 측정장치(266∼270)으로부터의 각각의 용적 중량신호 및 입력수단으로부터의 각각의 대응 설정 중량값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곡물 취급장치.
  1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밸브조립체(256∼260)는 로터리 밸브를 가지며, 상기 펄스모터(261∼265)와 같은 구동수단에 보내지는 컴퓨터(300)의 각각의 제어신호는 관련된 로터리 밸브 조립체(256∼260)의 단위시간당 회수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곡물 취급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작동하는 상기 구동수단은 펄스모우터(261∼265)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곡물취급 시스템은 혼합 예비탱크(225∼229)와, 상기 밸브 조립체(256∼260)에 의해 각각 배출되는 곡물을 상기 혼합 예비탱크(225∼229)내에 반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286∼288)와, 상기 혼합 예비탱크(225∼229)내에 반송된 곡물을 교반하여 혼합시키기 위한 교반 날개 조립체(283)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혼합 예비탱크(225∼229)는 이 혼합 예비탱크(225∼229)의 각각은 관련된 곡물덕트(251∼225)의 상류 도입단에 연통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고물 시스템은 상기 혼합 예비탱크(225∼229)의 수에 대응한 수의 복수개의 저장탱크(201∼205)와, 이 저장탱크(201∼205)로부터 상기 혼합 예비탱크로 품종이 다른 곡물을 각각 반송하기 위한 컨베이어(231∼236)장치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곡물 덕트(251∼255)의 각각에 하나씩 관련되어 복수개의 혼합 예비탱크(225∼229)를 가지며, 이 혼합 예비탱크(225∼229)의 각각은 관련된 곡물 덕트(251∼255)의 상류도입단에 연통하는 배출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혼합 예비탱크(225∼229)에 급송되어 각각의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각각의 곡물에 대응한 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컴퓨터(300)은 중량 측정장치(250)로부터의 중량신호 및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로부터의 각각 대응한 용적중량 신호에 따라 계산된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수단에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된 곡물 취급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립체(256∼260)의 각각의 로터리 밸브를 가지며, 상기구동 수단에 보내지는 컴퓨터(300)로부터의 각각의 제어신호는 관련된 혼합 예비탱크(225∼229)내에 수용되어 있는 모든 곡물이 배출하는데 필요한 로터리 밸브조립제(256∼260)의 회전수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곡물 취급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300)는 로터리 밸브조립체(256∼260)가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차례로 회전되는 한편 서로 동일한 각각의 시간내에 각각의 총회전수만 회전되도록, 상기 로터리 밸브조립체(256∼260)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펄스모터(261∼265)와 같은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상기 구동수단의 각각은 펄스 모우터(261∼265)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혼합탱크(281)와, 상기 밸브조립체(265∼260)에 의해 각각 배출된 곡물을 상기 혼합탱크(283)에 반송하기 위한 컨베이어(286∼288)와 같은 장치와 상기 혼합탱크(283)내에 반송된 곡물을 교반하여 혼합시키기 위한 교반날개 조립체(284)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혼합 예비탱크(225∼229)의 수에 대응한 수의 복수개의 저장탱크(201∼205)와, 이 저장탱크(201∼205)로부터 곡물을 각각 상기 혼합 예비탱크(225∼229)에 반송시키기 위한 운반수단을 가지며, 상기 중량 측정장치(250)는 상기 저장탱크(201∼205)로부터 상기 혼합 예비탱크(225∼229)로 반송되는 각각의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곡물 취급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각각은 관련된 곡물 덕트(251∼255)에 연통하고 있으며 이 곡물덕트(251∼255)를 따라 흘러내리는 관련된 곡물의 일부를 추출하여 그 관련된 곡물의 용적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곡물 취급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덕트(251∼255)의 각각에 하나씩 관련된 곡물덕트(251∼255)에 연통하는 도입포트 및 관련되는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에 연통되는 배출포트를 가지며, 상기 곡물덕트(251∼255)에 연하여 흐르는 관련된 곡물의 일부를 추출하고, 이 관련된 곡물의 일부를 관련된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에 도입하는 덕트를 가지며,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각각은 관련된 곡물덕트(251∼255)의 배출포트로 연통하는 입구 개구(96)를 구배한 용기(95)와, 이 용기(95)를 지지하며, 이 용기(95)내에 소정용적의 관련된 곡물이 도입될때에 소정용적의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용적 중량신호를 발생시키는 중량 측정기구(100)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각각에는 상기 용기(95)에 관련시며 곡물이 이 용기(95)내에서 소정의 레벨까지 도입되었음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레벨검출기(106)를 가지며,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각각의 중량 측정기구가 상기 레벨검출기(10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여 상기 용적 중량신호를 발생하는 로오드 셀(105)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95)를 배출개구(97)를 가지며,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는 각각 상기 용기(95)를 배출개구(97)를 폐쇄하는 통상 폐쇄 위치와 이 배출개구(97)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밸브부재(108)와 이 밸브부재(108)에 연결되어 관련된 로오드 셀(105)로부터의 상기용적 중량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고, 상기 밸브부재(108)를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용기(95)내의 곡물이 배출개구(97)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도록 밸브작동기(110)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는 이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를 작동상태로 "ON"위치와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를 비작동상태로 하는"OFF"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스위치(126)와, 관련 가지덕트(271∼275)의 배출포트에 연통하는 상류단 밀 관련된 용기(95)의 입구 개구에 연통하는 하류단을 구배하여 가지덕트(271∼275)의 배출 포트로부터의 곡물을 상기 용기(95)내에 급송하는 진동 피이더(75)와, 이 진동피이더(75)를 진동시키는 진동기(90)를 가지며, 이 진동기(90)는 상기 스위치(126)가 그것의 "ON"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작동하며 상기 작동피이더(75)를 진동시키며, 또 관련된 레벨검출기(10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작동의 정지되는 구조의 곡물 취급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각각 하나씩 관련되고 또, 관련된 진동피이더(75)의 작동이 개시된 때로부터 관련된 용기(95)에서 모든 곡물이 배출되기까지 시간에 대응한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T11∼T15)를 가지며, 이 타이며(T11∼T15)는 관련된 스위치(126)가 그의 "ON"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작동을 개시하여 관련된 진동기(90)를 작동시키며, 상기 컴퓨터(300)는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각각에 관련되고 그리고 관련된 작동기(100)가 작동된 후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작동이 정지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의 논리소자(131)와 관련된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의 작동이 정지해서는 안된다고 제1의 논리소자(131)가 판정하였을때 관련된 타이머(T11∼T15)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의 논리소자(132)를 가지며, 관련된 타이머(T1∼T15)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경과한 것을 제2의 논리소자(132)가 판정하였을때, 상기 타이머(T1∼T15)가 다시작동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곡물 취급장치.
  3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300)는 그것에 접속되어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에 의해 측정된 곡물의 용적중량과, 상기 펄스모우터(261∼265)의 단위시간당 회전수 및 로터리 밸브조립체(256∼260)에 의해 배출된 곡물의 총중량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303)를 가지며, 상기 곡물 취급장치는 컴퓨터(300)에 접속되어 상기 테이터를 표시하는 음극선관(308)과, 컴퓨터(300)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307)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300)는 그것에 접속되어 상기 용적중량 측정장치(266∼270)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곡물의 용적중량과, 펄스모우터(261∼165)의 각각의 회전수 및 상기 중량 측정기구(100)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곡물의 중량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303)를 가지며, 또한 이 곡물 취급장치 컴퓨터(300)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음극선과(308)과, 컴퓨터(300)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307)를 가진 구성의 곡물 취급장치.
KR1019830005836A 1982-12-11 1983-12-09 곡물취급 장치 KR880002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216266 1982-12-11
JP21626682A JPS59108626A (ja) 1982-12-11 1982-12-11 穀物排出装置
JP82-216266 1982-12-11
JP58-108928 1983-06-16
JP10892883A JPS602532A (ja) 1983-06-16 1983-06-16 穀物混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756A KR840006756A (ko) 1984-12-03
KR880002374B1 true KR880002374B1 (ko) 1988-11-03

Family

ID=2644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836A KR880002374B1 (ko) 1982-12-11 1983-12-09 곡물취급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544280A (ko)
KR (1) KR880002374B1 (ko)
AU (1) AU546853B2 (ko)
CH (1) CH663470A5 (ko)
DE (1) DE3344052A1 (ko)
GB (1) GB2131962B (ko)
IN (1) IN160115B (ko)
IT (1) IT1193443B (ko)
MY (1) MY8700254A (ko)
PH (1) PH204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5542A1 (de) * 1983-07-15 1985-01-24 Amazonen-Werke H. Dreyer Gmbh & Co Kg, 4507 Hasbergen Verfahren zur bestimmung und regelung der ausbringmenge bei einer verteilmaschine
DE3405997A1 (de) * 1984-02-20 1985-08-22 Zöller-Kipper GmbH, 6500 Mainz Vorrichtung zum entleeren von behaeltern, insbesondere muellbehaeltern
US5004392A (en) * 1984-02-20 1991-04-02 Zoller-Kipper Gmbh Device for emptying containers, especially refuse bins
GB8501831D0 (en) * 1985-01-24 1985-02-27 Watchorn S J Measuring method & apparatus
US4893262A (en) * 1986-06-27 1990-01-09 K-Tron International, Inc. Weigh feeding system with self-tuning stochastic control
US5250570A (en) * 1990-08-02 1993-10-05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Amidobenzene derivatives, compositions and use
DE4119854A1 (de) * 1991-06-16 1992-12-17 Eirich Maschf Gustav Dosierwaage
US5341307A (en) * 1993-02-19 1994-08-23 K-Tr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ow rate in vibratory feeders
US6675073B2 (en) * 2001-11-20 2004-01-06 Steve Kieman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the weight control of a flow of material
US8369988B2 (en) 2011-01-11 2013-02-05 Schlagel, Inc. Grain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CH713047A1 (de) * 2016-10-14 2018-04-30 K Tron Tech Inc Verfahren zur Regelung der Vibrationsbewegung eines Vibrationsförderers und einen Vibrationsförderer.
KR102345865B1 (ko) * 2020-02-05 2022-01-03 미건에스티 주식회사 오차 보정이 가능한 휴대형 곡물수분측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5056A (en) * 1960-10-18 1962-09-05 Walter Haechl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tomatically controlled dispensing devices
GB1072432A (en) * 1963-02-19 1967-06-14 Bartholomew & Son Ltd J Control of mixing plant
GB1093111A (en) * 1963-09-20 1967-11-29 Coal Industry Patents Ltd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delivering divided material
GB1108422A (en) * 1964-07-14 1968-04-03 Coal Industry Patent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eeding materials
US3631961A (en) * 1968-05-22 1972-01-04 Mauritz L Strydom Regulating the flow of material such as tobacco cut rag
DE2312129B2 (de) * 1973-03-10 1981-03-26 Draiswerke Gmbh, 68305 Mannheim Kontinuierlich arbeitende Meßvorrichtung für schüttfähige Materialien
US3966000A (en) * 1974-07-22 1976-06-29 Isca Electronics Limited Weighing apparatus
US4054784A (en) * 1975-06-18 1977-10-18 Ricciardi Ronald J Weigh feeder system
US4111272A (en) * 1976-12-07 1978-09-05 Acrison, Incorporated Weigh feeding apparatus
JPS6052699B2 (ja) * 1978-02-28 1985-11-20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置換フェニル尿素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該化合物からなる除草剤
US4301510A (en) * 1978-06-06 1981-11-17 Acrison, Incorporated Weigh feeder system
US4272824A (en) * 1979-08-17 1981-06-09 Pennant Products, Inc. Batch product preparation
US4353482A (en) * 1980-01-23 1982-10-12 Halliburton Company Additive metering control system
JPS5810613A (ja) * 1981-07-14 1983-01-21 Satake Eng Co Ltd 流量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44052C2 (ko) 1987-04-23
GB2131962B (en) 1986-08-20
CH663470A5 (de) 1987-12-15
PH20427A (en) 1987-01-05
IN160115B (ko) 1987-06-27
AU546853B2 (en) 1985-09-26
KR840006756A (ko) 1984-12-03
US4544280A (en) 1985-10-01
IT1193443B (it) 1988-06-22
GB2131962A (en) 1984-06-27
GB8331533D0 (en) 1984-01-04
DE3344052A1 (de) 1984-06-14
IT8368289A0 (it) 1983-12-12
AU2146483A (en) 1984-06-21
MY8700254A (en) 1987-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374B1 (ko) 곡물취급 장치
KR890000513B1 (ko) 곡물혼합 기구
JP4053624B2 (ja) 重量制御方法及び装置
US5289724A (en) Gravimetric metering apparatus for pourable materials
US3561643A (en) Feeder for particulate material, having means responsive to the rate of flow
US2288099A (en) Continuous metering conveyer for bulk material
KR200395689Y1 (ko) 첨가제 정량 공급장치
JP3328619B2 (ja) 粉粒状物質貯留装置
JPS5863630A (ja) 粉粒体の定量供給装置
JPH0141575B2 (ko)
EP0857951B1 (en) Zero setting arrangement in a measuring device
CN100570286C (zh) 粉料容积计量装置
JP2002225031A (ja) 粉粒体の供給装置および粉粒体の供給方法
KR200310853Y1 (ko) 첨가제 정량 공급장치
JP2553552B2 (ja) 粉体の連続計量装置
CN219135539U (zh) 一种皮带秤用振打下料装置
US3107819A (en) Gravimetric conveyor
JP2004309244A (ja) 粉体計量供給装置
JPH0798141B2 (ja) 穀物混合装置
JPS59150530A (ja) 粉粒体の混合装置
US3197257A (en) Fluid conveying system
JPH06198269A (ja) ダスト排出装置
JPS5974822A (ja) 粉粒体の送給方法
JP2002370823A (ja) 粉粒体空気輸送システムおよび空気輸送方法
KR970043083A (ko) 원료불출기의 정량불출 및 과부하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