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946B1 - 계량용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 Google Patents
계량용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3946B1 KR101323946B1 KR20130020374A KR20130020374A KR101323946B1 KR 101323946 B1 KR101323946 B1 KR 101323946B1 KR 20130020374 A KR20130020374 A KR 20130020374A KR 20130020374 A KR20130020374 A KR 20130020374A KR 101323946 B1 KR101323946 B1 KR 1013239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guide
- weight
- fixed frame
- fix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02—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04—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involving dribble-feed means controlled by the weighing mechanism to top up the receptacle to the target we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B65B1/34—Adjusting weight by trickle fe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8—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of feed or discharge
- G01G11/1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of feed or discharge by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material on the bel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02—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022—Material feeding devices
- G01G13/026—Material feeding devices by mechanical conveying means, e.g. belt or vibratory convey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한 중량과 부피를 갖는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의 미세중량 측정을 위하여 가이드 역할을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과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잔알갱이를 설정된 미세중량으로 정확히 계량하는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미세중량을 한 단위로 계량할 수 있어서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를 미세중량 단위로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한 단위 미세중량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일부 미세중량이 최초 배출되는 공급량보다 적게 소출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낙차를 이용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설정된 미세중량에 맞게 정확히 계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미세중량을 한 단위로 계량할 수 있어서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를 미세중량 단위로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한 단위 미세중량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일부 미세중량이 최초 배출되는 공급량보다 적게 소출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낙차를 이용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설정된 미세중량에 맞게 정확히 계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계량용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한 중량과 부피를 갖는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의 미세중량 측정을 위하여 가이드 역할을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과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잔알갱이를 설정된 미세중량으로 정확히 계량하는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84091호인 분말공급장치는 보관과 휴대 및 이동이 가능토록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적정량을 정확히 계량함과 동시에 토출 시에 공급되어지는 분유통과 공급받는 수유병에 각각 결합 가능토록 하여서 공급 시 흘러넘침 등을 방지하여서 안전하고 정확하게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본 발명과 같이 미세중량(최소 0.7g을 한 단위로 함.)을 한 단위로 계량할 수 있도록 잔알갱이를 하나의 배출구에서 일정하게 공급하는 유닛이 없었고 또한 일정량으로 배출하도록 1단 제어하고 상기 1단 제어를 통해 배출하는 과정에서 미세중량 중 일부 중량에 대해서 1단 제어시 배출되는 양보다 적게 배출되도록 2단 제어하며 최종적으로 낙차를 이용하여 배출되도록 3단 제어 하지 못하기 때문에 배출되는 양을 정확히 계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3941호인 분말야금 계량장치는 호퍼에서 공급되는 미세한 금속 분말을 계량하고자 하는 무게에 인접한 범위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양이 공급되는 제 1 공급플레이트를 통하여 공급하고, 일정한 범위에 도달한 후에는 제 1 공급플레이트를 통한 금속 분말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미세한 양이 공급되는 제 2 공급플레이트를 통해서만 공급함으로써, 비중이 높아서 뭉치는 성향이 강한 금속 분말을 제 1 공급플레이트와 제 2 공급플레이트가 구비된 다단 계량부에 의해 그래뉼의 형태가 아닌 미세한 금속 분말 형태에서 자동으로 계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계량 작업시 소요되는 비용도 현저히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본 발명과 같이 미세중량(최소 0.7g을 한 단위로 함.)을 한 단위로 계량할 수 있도록 잔알갱이를 하나의 배출구에서 일정하게 공급하는 유닛이 없었고 또한 일정량으로 배출하도록 1단 제어하고 상기 1단 제어를 통해 배출하는 과정에서 미세중량 중 일부 중량에 대해서 1단 제어시 배출되는 양보다 적게 배출되도록 2단 제어하며 최종적으로 낙차를 이용하여 배출되도록 3단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에 배출되는 양을 정확히 계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의 미세중량을 측정하기 용이하도록 배출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를 미세중량 단위로 계량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계량용 가이드 유닛은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를 임시 보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터 일정 높이까지 상하로 동작되는 조절판을 조절하는 제 1 핸들봉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핸들봉의 조절에 의해서 발생된 틈 사이로 상기 잔알갱이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제 1 조절부재부와; 상기 몸체부 벽면에 제 1 가이드고정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와 마주한 벽면에 제 2 가이드고정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되는 제 1 탄성가이드판과 상기 제 2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되는 제 2 탄성가이드판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 1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과 상기 제 2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 사이로 상기 제 1 조절부재부를 통과한 잔알갱이가 안내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부; 및 제 1 판과 제 2 판이 구성되고 상기 제 1 판과 결합되는 제 1 고정프레임, 상기 제 2 판과 결합되는 제 2 고정프레임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된 제 1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이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이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고정프레임과 제 2 고정프레임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제 1 판과 제 2 판 사이를 조절하는 제 2 핸들봉이 구성되어 상기 제 1 판과 제 2 판 사이로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가 배출되는 제 2 조절부재부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은 중량설정신호를 생성하고 소공급설정신호를 생성하며 낙차신호를 생성하는 인디케이터와; 상기 중량설정신호를 수신하여 중량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제 1 중량만큼 잔알갱이가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중량만큼의 잔알갱이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공급설정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공급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제 2 중량만큼 잔알갱이가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중량만큼의 잔알갱이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낙차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낙차신호에 해당하는 제 3 중량만큼 잔알갱이가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및 상기 잔알갱이를 보관하는 호퍼, 상기 호퍼로부터 보관된 잔알갱이를 일정하게 배출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가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 1 중량만큼 배출되게 진동하고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 2 중량만큼 배출되게 진동하고, 상기 제 3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 3 중량만큼 낙차를 통해 배출되게 진동이 정지되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제 1, 2, 3 제어신호에 의해서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를 계량하기 위해 보관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보관된 잔알갱이를 계량하는 저울로 구성된 계량용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중량을 한 단위로 계량할 수 있어서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를 미세중량 단위로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한 단위 미세중량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일부 미세중량이 최초 배출되는 공급량보다 적게 소출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낙차를 이용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설정된 미세중량에 맞게 정확히 계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용 가이드 유닛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계량용 가이드 유닛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제 1 가이드고정부재와 제 1 탄성가이드판의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설정신호, 소공급설정신호, 낙차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패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용 가이드 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계량용 가이드 유닛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제 1 가이드고정부재와 제 1 탄성가이드판의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설정신호, 소공급설정신호, 낙차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패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용 가이드 장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최적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 계량용 가이드 유닛의 용도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는바,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은 벼, 보리, 호박씨와 같은 잔알갱이로 된 종자와 포도, 마늘과 같은 열매의 작은 과실을 건조하여 만든 잔알갱이로 된 과립과 커피, 조미료 또는 딱딱한 물건을 보드라울 정도로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만든 미세한 잔알갱이로 된 분말과 당귀, 귤피와 같은 약재를 가루로 만들어 반죽하여 둥글게 빚어 만든 잔알갱이로 된 환을 미세중량 단위로 전자저울을 통해 계량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용 가이드 유닛 사시도로써,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은 몸체부(10)와 제 1 조절부재부(20)와 가이드부(30) 및 제 2 조절부재부(4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몸체부(10)는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를 임시 보관한다.
즉, 상기 몸체부(10)는 호퍼와 같은 보관함에 대량으로 보관된 상기 잔알갱이가 상기 제 1 조절부재부(20)를 통과한 후 가이드부(30)를 거쳐서 제 2 조절부재부(40)를 통해 미세중량으로 배출될 수 있게 임시 보관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A는 본 발명 계량용 가이드 유닛이 계량용 장치의 바이브레이터와 결합되기 위한 몸체베이스이고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제 1 조절부재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바닥부터 일정 높이까지 상하로 동작되는 조절판(21)을 조절하는 제 1 핸들봉(23)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핸들봉(23)의 조절에 의해서 발생된 틈 사이로 상기 잔알갱이를 일정하게 공급한다.
즉, 상기 제 1 조절부재부(20)는 몸체부(10)에 임시 보관된 잔알갱이를 일정하게 상기 가이드부(30)로 일정량으로 공급하기 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핸들봉(23)의 조절에 의해서 상기 틈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틈의 크기에 따라 일정하게 공급되는 공급량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절판(21) 끝단에 모(毛 , 22)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제 1 조절부재부(20)에 모(毛, 22)가 구비되는 이유는 벼, 보리, 호박씨와 같은 종자들의 종피(seed coat, 種皮)가 손상되면 공기, 수분, 온도에 의해서 종자 발아율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 재질은 철,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모(毛, 22)를 대신하여 상기 조절판(21)과 같이 금속성 재질로 구성하게 되면 잔알갱이가 가이드부(30)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금속성 재질의 상기 조절판(21) 끝단에 잔알갱이가 접촉됨에 따라 종피가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毛, 22)를 구비하여 종피의 훼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 1 핸들봉(23)의 조절에 의해서 발생되는 틈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제 1 눈금자(2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몸체부(10)의 바닥부터 조절판(21) 끝단까지 또는 상기 몸체부(10)의 바닥부터 모(毛 , 22) 끝단까지의 틈을 약 1㎝ 정도로 조절하여 약 2㎜ 내지 3㎜ 크기의 채송화씨를 이동시킬 경우에 무난히 채송화씨를 가이드부(30)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호박씨의 경우는 호박씨의 크기가 약 1㎝ 내지 1.5㎝ 정도임으로 1㎝의 틈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이드부(30)로 이동시키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직감에 의한 눈대중으로 조절하는 것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조절부재부(20)에 제 1 눈금자(24)를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30)는 상기 몸체부(10) 벽면에 제 1 가이드고정부재(31)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31)와 마주한 벽면에 제 2 가이드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31)에 한 측이 결합되는 제 1 탄성가이드판(32)과 상기 제 2 가이드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에 한 측이 결합되는 제 2 탄성가이드판(33)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 1 탄성가이드판(32)의 다른 한 측과 상기 제 2 탄성가이드판(33)의 다른 한 측 사이로 상기 제 1 조절부재부(20)를 통과한 잔알갱이가 안내되어 이동된다.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31)와 제 1 탄성가이드판(32)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31)는 몸체부(10)의 벽에 결합됨에 있어서 제 1 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틈(31-1)은 상기 제 1 탄성가이드판(32)의 한 측이 끼워지고 상기 제 1 탄성가이드판(32)의 다른 한 측은 상기 제 1 고정프레임(43)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조절부재부(40)에 구비된 제 2 핸들봉(45)의 조절에 의해서 제 1, 2 고정프레임(43, 44)이 좌우로 움직여 제 1, 2 고정프레임(43, 44)과 결합된 제 1, 2 판(41, 42)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때, 제 1, 2 판(41, 4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 도 3에 도시된 B와 같이 제 1 탄성가이드판(32)이 위치하고, 제 1, 2 판(41, 4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도 3에 도시된 C와 같이 배치되게 동작된다.
상기 B, C와 같은 움직임을 갖도록 한 것은 제 1 조절부재부(20)를 통과한 잔알갱이가 제 2 조절부재부(40)로 이동될 때 제 1, 2 판(41, 42)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되는 조절에 맞게 제 1, 2 탄성가이드판(32, 33)이 동작되기 위해서 제 1, 2 탄성가이드판(32, 33)이 길이의 변동이 필요하고 탄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제 1, 2 가이드고정부재(31, 도시하지 않음)와 제 1, 2 탄성가이드판(32, 33)이 구비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 2 가이드고정부재는 상기 설명한 제 1 가이드고정부재(31)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동작하고 상기 제 2 탄성가이드판 역시 상기 제 1 탄성가이드판(32)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동작함으로 당업자라면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31)와 제 1 탄성가이드판(32)으로부터 제 2 가이드고정부재와 제 2 탄성가이드판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음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조절부재부(40)는 제 1 판(41)과 제 2 판(42)이 나란히 마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 1 판(41)과 결합되는 제 1 고정프레임(43), 상기 제 2 판(42)과 결합되는 제 2 고정프레임(44)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31)에 한 측이 결합된 제 1 탄성가이드판(32)의 다른 한 측이 상기 제 1 고정프레임(43)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탄성가이드판(33)의 다른 한 측이 상기 제 2 고정프레임(44)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고정프레임(43)과 제 2 고정프레임(44)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제 1 판(41)과 제 2 판(42) 사이를 조절하는 제 2 핸들봉(45)이 구성되어 상기 제 1 판(41)과 제 2 판(42) 사이로 상기 가이드부(30)를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가 배출된다.
더욱 상세하게, 우선 상기 제 2 조절부재부(40)는 제 1 판(41)이 제 1 고정프레임(43)과 결합되고 제 2 판(42)이 제 2 고정프레임(44)과 결합되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 계량용 가이드 유닛이 계량용 가이드 유닛의 몸체부(10)에 임시 보관되는 잔알갱이를 미세중량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해서 배출하는데 이때 제 1, 2 고정프레임(43, 44) 없이 직접 제 2 핸들봉(45)에 제 1, 2판(41, 42)을 직접 연결되게 구성하면 바이브레이터의 진동과 제 2 핸들봉(45)의 나사선에 의해서 들림현상이 발생되어 잔알갱이들이 일정하게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판(41)에 제 1 고정프레임(43)을 결합하고, 제 2 판(42)에 제 2 고정프레임(44)을 결합한 것이다.
결국, 제 1 고정프레임(43)과 제 1 판(41)이 결합되고 제 2 고정프레임(44)과 제 2 판(42)이 결합됨으로 제 1, 2 고정프레임(43, 44)이 상기 제 2 핸들봉(45)에 의해서 조절됨으로 제 1, 2 고정프레임(43, 44)과 결합된 제 1, 2 판(41, 42)이 조절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설명한, 제 1 판(41)과 결합되는 제 1 고정프레임(43)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분리하여 설명한 것일 뿐, 상기 제 1 판(41)과 결합되는 제 1 고정프레임(43)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 2 판(42)과 결합되는 제 2 고정프레임(44) 역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분리하여 설명한 것일 뿐, 상기 제 2 판(42)과 결합되는 제 2 고정프레임(44)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 제 1 판(41)과 제 1 고정프레임(43), 제 2 판(42)과 제 2 고정프레임(44)의 결합은 권리범위에서 일체형이라는 것도 포함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핸들봉(45)과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제 1, 2 고정프레임(43, 44)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2 고정프레임(43, 44) 사이에 스프링이 구성된 이격완충봉(46)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핸들봉(45)는 나사선이 구성되는데 중심을 기준으로 한 측은 오른나사선 다른 한 측은 왼나사선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좌우로 제 1 판(41), 제 2 판(42)의 간격이 조절된다.
즉, 상기 제 2 핸들봉(45)과 나란히 이격완충봉(46)이 제 1, 2 고정프레임(43, 44)에 결합되되 상기 이격완충봉(46)은 상기 제 1, 2 고정프레임(43, 44) 사이에 스프링(46-1)이 구성되는데 상기 스프링(46-1)은 도 2에 도시된 스프링커버(46-2)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46-1)은 상기 제 1, 2 고정프레임(43, 44)을 밀어내려는 작용을 하게 됨에 따라 제 2 핸들봉(45)에 구성된 나사선에 걸린 제 1, 2 고정프레임(43, 44)은 나사선에 밀착됨에 따라 바이브레이터의 진동(떨림)에 의해서도 제 1, 2 고정프레임(43, 44)에 고정된 제 1, 2 판(41, 42)의 간격이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특히, 상기 제 1 고정프레임(43) 상부에 제 1 판(41)을 지시하는 제 1 지시침(43-1)과 상기 제 2 고정프레임(44) 상부에 제 2 판(42)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침(44-1) 및 상기 제 1 지시침(43-1)과 제 2 지시침(44-1)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제 2 눈금자(4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지시침(43-1)과 제 2 지시침(44-1) 및 제 2 눈금자(47)가 구비되는 이유는 예컨대, 제 1 판(41)과 제 2 판(42)의 간격을 3㎝ 정도로 하여도 채송화씨의 지름이 약 2㎜ 내지 3㎜ 정도의 매우 조밀한 잔알갱이임으로 3㎝ 정도의 사이의 간격에서 무난히 배출되지만, 호박씨와 같이 1㎝ 내지 1.5㎝ 정도라면 3㎝ 사이의 간격을 통과함에 있어서 호박씨가 크기 때문에 서로 걸려서 잘 통과하지 못할 것임으로 제 1, 2 판(41, 42) 간격을 넓혀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종자의 크기에 따라 제 1 판(41)과 제 2 판(4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 지시침(43-1)과 제 2 지시침(44-1) 및 제 2 눈금자(27)가 더 구비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용 가이드 유닛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블럭도로서,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은 인디케이터(100)와 클라이언트(200) 및 계량용 장치(30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인디케이터(100)는 중량설정신호를 생성하고, 소공급설정신호를 생성하며 낙차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인디케이터(100)는 상기 중량설정신호, 소공급설정신호, 낙차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입력패드가 구비되는데 상기 입력패드는 도 5에 도시된 (a)와 같이 계량용 가이드 유닛이 포함된 계량용 장치가 다수개 구성됨에 따라 그 개수만큼 다수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5에 도시된 (b)는 한 개의 계량용 가이드 장치에 중량설정신호, 소공급설정신호, 낙차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설정값을 입력하는 입력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입력패드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중량설정신호, 소공급설정신호, 낙차신호에 대해서 하나씩 설명하면, 우선 중량설정신호는 상기 계량용 가이드 장치에서 배출되는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가 미세중량 단위로 정확히 설정된 양만큼 배출되도록 설정된 신호이다.
예컨대, 상기 중량설정신호는 도 5에 도시된 (b)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10g(도시된 중량설정의 마지막 단위는 소수점 이하의 단위이다)이라고 설정하면 상기 계량용 가이드 장치는 10g씩 배출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잔알갱이와 같이 미세중량을 계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량설정신호는 계량용 가이드 장치에서 배출되는 잔알갱이 미세중량 최소 단위가 0.7g부터 최대 단위가 250g까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잔알갱이는 미세중량으로 계량하여 포장지에 포장할 때 미세중량을 계량할 수 없기 때문에 계량되는 미세중량보다 초과되게 공급되어 포장지에 포장되고 있어서 손실이 막대한 실정이었다.
상기 손실의 대표적인 예로써, 앞서 기술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03941호 기술이 해당되는데 그 이유는 제 1 공급플레이트와 제 2 공급플레이트가 2개로 구분되기 때문에 제 1 공급플레이트 차단시 낙차에 의해서 추가되는 양, 제 2 공급플레이트 차단시 낙차에 의해서 추가되는 양이 합산되어 정확한 양이 포장되지 못하고 대략 설정된 양보다 많은 양이 더 추가되게 포장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를 계량용 가이드 유닛의 제 1, 2 판(41, 42; 하나의 배출구) 사이로 0.7g 내지 250g 미세중량 단위로 배출되어 정확히 계량된다.
다음, 소공급설정신호는 상기 중량설정신호에 의해서 설정된 중량까지 전자저울로 잔알갱이가 배출되다가 소공급설정신호에 의해 설정된 소공급량 정도가 남으면 소출되도록 하는 신호이다.
예컨대, 상기 소공급설정신호는 도 5에 도시된 (b)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2g 이라고 설정하면 상기 계량용 가이드 장치는 10g 중에서 8g 까지 배출되다가 나머지 2g 은 소출된다.
이때, 상기 중량설정신호에 의해서 계량용 가이드 장치를 통해 잔알갱이가 배출되는 것은 계량용 가이드 장치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떨림)에 의해서 배출량이 결정되는데, 상기 소공급설정신호에 의해서 계량용 가이드 장치를 통해 잔알갱이가 배출되는 것은 계량용 가이드 장치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떨림)을 중량설정신호에 의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떨림)보다 작게 하여 소량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낙차신호는 상기 소공급설정신호에 의해서 설정된 중량까지 잔알갱이가 소출되다가 낙차에 의해서 공급되는 양을 포함하여 정확한 미세중량을 계량하기 위해서 낙차공급량 정도가 남으면 계량용 가이드 장치에서 소출되는 것을 중지시키는 신호이다.
특히, 중량설정신호, 소공급설정신호, 낙차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패드는 아날로그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터치패드와 같은 방식인 디지털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낙차신호는 도 5에 도시된 (b)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0.25g 이라고 설정하면 상기 계량용 가이드 장치는 소공급되는 2g 중에서 1.75g 까지 소출되다가 나머지 0.25g 은 낙차를 이용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100)는 중량설정신호, 소공급설정신호, 낙차신호를 생성하면서 배출되는 중량을 감지한다.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중량설정신호를 수신하여 중량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제 1 중량만큼 잔알갱이가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중량만큼의 잔알갱이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공급설정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공급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제 2 중량만큼 잔알갱이가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중량만큼의 잔알갱이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낙차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낙차신호에 해당하는 제 3 중량만큼 잔알갱이가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 1 제어신호, 제 2 제어신호, 제 3 제어신호에 대하여 설명하는 바, 우선, 상기 제 1 제어신호는 중량설정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중량설정신호가 갖는 제 1 중량만큼 잔알갱이가 배출되도록 계량용 장치(300)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떨림)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다음,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제 1 제어신호에 의해서 바이브레이터가 동작되는 과정에서 잔알갱이가 제 1 중량만큼 배출되다가 소공급설정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계량용 장치(300)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을 제 1 신호에 의해서 발생되는 바이브레이터의 진동(떨림) 보다 작게 하여 제 2 중량만큼 소출되도록 바이브레이터의 진동(떨림)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다음, 상기 제 3 제어신호는 제 2 제어신호에 의해서 바이브레이터가 동작되는 과정에서 잔알갱이가 제 2 중량만큼 소출되게 배출되다가 낙차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계량용 장치(300)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이다.
상기 계량용 장치(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310)와 계량용 가이드 유닛(320)과 바이브레이터(330)와 용기(340) 및 저울(35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호퍼(310)는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를 보관한다.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320)은 호퍼(310)로부터 보관된 잔알갱이를 일정하게 배출한다.
특히,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320)은 몸체부(321)와 제 1 조절부재부(322)와 가이드부(323) 및 제 2 조절부재부(3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320)의 몸체부(321)는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를 임시 보관하다.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320)의 제 1 조절부재부(322)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터 일정 높이까지 상하로 동작되는 조절판을 조절하는 제 1 핸들봉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핸들봉의 조절에 의해서 발생된 틈 사이로 상기 잔알갱이를 일정하게 공급한다.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320)의 가이드부(323)는 상기 몸체부 벽면에 제 1 가이드고정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와 마주한 벽면에 제 2 가이드고정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되는 제 1 탄성가이드판과 상기 제 2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되는 제 2 탄성가이드판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 1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과 상기 제 2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 사이로 상기 제 1 조절부재부를 통과한 잔알갱이가 안내되어 이동된다.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320)의 제 2 조절부재부(324)는 제 1 판과 제 2 판이 구성되고 상기 제 1 판과 결합되는 제 1 고정프레임, 상기 제 2 판과 결합되는 제 2 고정프레임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된 제 1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이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이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고정프레임과 제 2 고정프레임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제 1 판과 제 2 판 사이를 조절하는 제 2 핸들봉이 구성되어 상기 제 1 판과 제 2 판 사이로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가 배출된다.
상기 조절판 끝단에 모(毛)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핸들봉의 조절에 의해서 발생되는 틈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제 1 눈금자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상부에 제 1 판을 지시하는 제 1 지시침과 상기 제 2 고정프레임 상부에 제 2 판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침 및 상기 제 1 지시침과 제 2 지시침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제 2 눈금자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핸들봉과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제 1, 2 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2 고정프레임 사이에 스프링이 구성된 이격완충봉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을 함으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330)는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320)을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가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 1 중량만큼 배출되게 진동하고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 2 중량만큼 배출되게 진동하고, 상기 제 3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 3 중량만큼 낙차를 통해 배출되도록 진동이 정지된다.
즉, 상기 바이브레이터(330)는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320)과 결속됨에 따라 상기 바이브레이터(330)의 진동(떨림)에 의해서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320)에 있는 잔알갱이가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바이브레이터(330)는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되는 제 1, 2, 3 제어신호에 의해서 진동(떨림)이 발생된다.
상기 용기(340)는 상기 바이브레이터(330)의 제 1, 2, 3 제어신호에 의해서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를 계량하기 위해 보관한다.
즉, 상기 용기(340)는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320)의 제 1, 2판을 통해서 배출되는 잔알갱이의 제 1 중량을 계량하기 위해서 보관되며, 상기 제 1 중량만큼 보관되면 자동으로 포장지에 배출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용기(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회전용 프레임(340-1)의 한 측이 결합되고 다른 한 측은 회전체(340-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340)에 잔알갱이가 제 1 중량만큼 보관되면 저울(350)이 제 1 중량인 것을 감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체(340-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체(340-2)와 연결된 용기회전용 프레임(340-1)이 구동되어 용기(340)에 제 1 중량만큼 보관된 잔알갱이가 포장지로 배출된다.
상기 저울(350)은 용기(340)에 보관된 잔알갱이를 계량한다.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321 : 몸체부 20, 322 : 제 1 조절부재부
21 : 조절판 22 : 모
23 : 제 1 핸들봉 24 : 제 1 눈금자
30, 323 : 가이드부 31 : 제 1 가이드고정부재
31-1 : 제 1 틈 32 : 제 1 탄성가이드판
33 : 제 2 탄성가이트판 40, 324 : 제 2 조절부재부
41 : 제 1 판 42 : 제 2 판
43 : 제 1 고정프레임 43-1 : 제 1 지시침
44 : 제 2 고정프레임 44-1 : 제 2 지시침
45 : 제 2 핸들봉 46 : 이격완충봉
46-1 : 스프링 46-2 : 스프링커버
47 : 제 2 눈금자 100 : 인디케이터
200 : 클라이언트 300 : 계량용 장치
310 : 호퍼 320 : 계량용 가이드 유닛
330 : 바이브레이터 340 : 용기
340-1 : 용기회전용 프레임 340-2 : 회전체
350 : 저울
21 : 조절판 22 : 모
23 : 제 1 핸들봉 24 : 제 1 눈금자
30, 323 : 가이드부 31 : 제 1 가이드고정부재
31-1 : 제 1 틈 32 : 제 1 탄성가이드판
33 : 제 2 탄성가이트판 40, 324 : 제 2 조절부재부
41 : 제 1 판 42 : 제 2 판
43 : 제 1 고정프레임 43-1 : 제 1 지시침
44 : 제 2 고정프레임 44-1 : 제 2 지시침
45 : 제 2 핸들봉 46 : 이격완충봉
46-1 : 스프링 46-2 : 스프링커버
47 : 제 2 눈금자 100 : 인디케이터
200 : 클라이언트 300 : 계량용 장치
310 : 호퍼 320 : 계량용 가이드 유닛
330 : 바이브레이터 340 : 용기
340-1 : 용기회전용 프레임 340-2 : 회전체
350 : 저울
Claims (11)
-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를 임시 보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터 일정 높이까지 상하로 동작되는 조절판을 조절하는 제 1 핸들봉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핸들봉의 조절에 의해서 발생된 틈 사이로 상기 잔알갱이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제 1 조절부재부와;
상기 몸체부 벽면에 제 1 가이드고정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와 마주한 벽면에 제 2 가이드고정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되는 제 1 탄성가이드판과 상기 제 2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되는 제 2 탄성가이드판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 1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과 상기 제 2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 사이로 상기 제 1 조절부재부를 통과한 잔알갱이가 안내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부; 및
제 1 판과 제 2 판이 구성되고 상기 제 1 판과 결합되는 제 1 고정프레임, 상기 제 2 판과 결합되는 제 2 고정프레임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된 제 1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이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이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고정프레임과 제 2 고정프레임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제 1 판과 제 2 판 사이를 조절하는 제 2 핸들봉이 구성되어 상기 제 1 판과 제 2 판 사이로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가 배출되는 제 2 조절부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 끝단에 모(毛)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봉의 조절에 의해서 발생되는 틈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제 1 눈금자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상부에 제 1 판을 지시하는 제 1 지시침과 상기 제 2 고정프레임 상부에 제 2 판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침 및 상기 제 1 지시침과 제 2 지시침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제 2 눈금자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핸들봉과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제 1, 2 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2 고정프레임 사이에 스프링이 구성된 이격완충봉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
- 중량설정신호를 생성하고 소공급설정신호를 생성하며 낙차신호를 생성하는 인디케이터와;
상기 중량설정신호를 수신하여 중량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제 1 중량만큼 잔알갱이가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중량만큼의 잔알갱이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공급설정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공급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제 2 중량만큼 잔알갱이가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중량만큼의 잔알갱이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낙차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낙차신호에 해당하는 제 3 중량만큼 잔알갱이가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및
상기 잔알갱이를 보관하는 호퍼, 상기 호퍼로부터 보관된 잔알갱이를 일정하게 배출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가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 1 중량만큼 배출되게 진동하고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 2 중량만큼 배출되게 진동하고, 상기 제 3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 3 중량만큼 낙차를 통해 배출되게 진동이 정지되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제 1, 2, 3 제어신호에 의해서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를 계량하기 위해 보관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보관된 잔알갱이를 계량하는 저울로 구성된 계량용 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계량용 가이드 유닛은 분말, 과립, 종자, 환과 같은 잔알갱이를 임시 보관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터 일정 높이까지 상하로 동작되는 조절판을 조절하는 제 1 핸들봉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핸들봉의 조절에 의해서 발생된 틈 사이로 상기 잔알갱이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제 1 조절부재부, 상기 몸체부 벽면에 제 1 가이드고정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와 마주한 벽면에 제 2 가이드고정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되는 제 1 탄성가이드판과 상기 제 2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되는 제 2 탄성가이드판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 1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과 상기 제 2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 사이로 상기 제 1 조절부재부를 통과한 잔알갱이가 안내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부, 제 1 판과 제 2 판이 구성되고 상기 제 1 판과 결합되는 제 1 고정프레임, 상기 제 2 판과 결합되는 제 2 고정프레임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가이드고정부재에 한 측이 결합된 제 1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이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탄성가이드판의 다른 한 측이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고정프레임과 제 2 고정프레임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제 1 판과 제 2 판 사이를 조절하는 제 2 핸들봉이 구성되어 상기 제 1 판과 제 2 판 사이로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배출되는 잔알갱이가 배출되는 제 2 조절부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 끝단에 모(毛)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봉의 조절에 의해서 발생되는 틈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제 1 눈금자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상부에 제 1 판을 지시하는 제 1 지시침과 상기 제 2 고정프레임 상부에 제 2 판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침 및 상기 제 1 지시침과 제 2 지시침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제 2 눈금자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핸들봉과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제 1, 2 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2 고정프레임 사이에 스프링이 구성된 이격완충봉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 가이드 유닛을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0374A KR101323946B1 (ko) | 2013-02-26 | 2013-02-26 | 계량용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
PCT/KR2014/001328 WO2014133281A1 (ko) | 2013-02-26 | 2014-02-19 | 계량용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
US14/429,398 US9638571B2 (en) | 2013-02-26 | 2014-02-19 | Guide unit for measurement and micro-weight measuring system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0374A KR101323946B1 (ko) | 2013-02-26 | 2013-02-26 | 계량용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3946B1 true KR101323946B1 (ko) | 2013-10-31 |
Family
ID=4963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20374A KR101323946B1 (ko) | 2013-02-26 | 2013-02-26 | 계량용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638571B2 (ko) |
KR (1) | KR101323946B1 (ko) |
WO (1) | WO201413328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23675B2 (ja) * | 2017-04-28 | 2020-07-15 | 川西 勝三 | 計量装置 |
JP7304042B2 (ja) * | 2017-11-22 | 2023-07-06 | 株式会社タカゾノ | 粉粒体供給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2358A (en) * | 1976-07-20 | 1978-02-03 | Tamura Shokai Kk | Automatic quantitative measuring method for granular solid |
KR920010593B1 (ko) * | 1988-09-05 | 1992-12-10 | 아까다께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 분말 이송장치 |
KR20130003941A (ko) * | 2011-07-01 | 2013-01-09 | 이준학 | 분말야금 계량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37434A (en) * | 1946-07-03 | 1953-05-05 | Omega Machine Company | Belt type gravimetric feeder |
US3362585A (en) * | 1965-12-23 | 1968-01-09 | Fischer & Porter Co | Dry chemical feeder |
US3777874A (en) * | 1971-12-22 | 1973-12-11 | Air Prod & Chem | Powder deposition system |
CH537305A (de) * | 1972-08-24 | 1973-05-31 | Mettler Instrumente Ag | Dosierelement für feinkörniges Material an einem Behälter |
US4136804A (en) * | 1978-03-28 | 1979-01-30 | Koppers Company, Inc. | Gravity motivated hopper |
US4569446A (en) * | 1982-10-29 | 1986-02-11 | Kelley-Perry,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 product including fines |
ES2105152T3 (es) * | 1993-04-02 | 1997-10-16 | Michelin & Cie |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dosificacion, en particular para materiales acondicionados en polvo. |
US5639995A (en) * | 1995-04-03 | 1997-06-17 | Upper Limits Engineering Co.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ibratory feeder in a weighing machine |
US5657902A (en) * | 1996-01-17 | 1997-08-19 | General Kinematics Corporation | Vibratory feeder for granular materials |
US6417464B2 (en) * | 1999-08-23 | 2002-07-09 | Dynamic Air, Inc. | Extended range feeders |
KR200190409Y1 (ko) | 2000-02-23 | 2000-08-01 | 김석년 | 분말공급장치 |
JP4526722B2 (ja) * | 2001-03-01 | 2010-08-18 | 日本碍子株式会社 | 原料定量供給装置 |
US9260253B2 (en) * | 2012-08-07 | 2016-02-16 | Baker Hughes Incorporated |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isting in controlling material discharged from a conveyor |
-
2013
- 2013-02-26 KR KR20130020374A patent/KR10132394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2-19 WO PCT/KR2014/001328 patent/WO201413328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2-19 US US14/429,398 patent/US963857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2358A (en) * | 1976-07-20 | 1978-02-03 | Tamura Shokai Kk | Automatic quantitative measuring method for granular solid |
KR920010593B1 (ko) * | 1988-09-05 | 1992-12-10 | 아까다께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 분말 이송장치 |
KR20130003941A (ko) * | 2011-07-01 | 2013-01-09 | 이준학 | 분말야금 계량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33281A1 (ko) | 2014-09-04 |
US9638571B2 (en) | 2017-05-02 |
US20160003667A1 (en) | 2016-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79374B2 (en) | Feeder unit, feeder module comprising feeder units, and method for discharging a constant mass flow of one or more powders into a receiving container | |
JP6924360B2 (ja) | 薬剤払出し装置 | |
WO2003036243A1 (fr) | Dispositif pour peser des materiaux pulverulents et granuleux | |
WO2013189000A1 (zh) | 一种按粒数分装的定量包装秤及其定量称重方法 | |
KR101323946B1 (ko) | 계량용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미세중량 계량 시스템 | |
ES2701300T3 (es) | Báscula combinada | |
JP2010094507A (ja) | カプセル等の中に粉末状又は粒状物質を分け与えるための装置 | |
US20120228321A1 (en) | Device for counting objects fed as bulk material | |
JP6180921B2 (ja) | 組合せ秤 | |
JP7002100B2 (ja) | 粉体振動輸送装置、粉体振動輸送装置を含む散薬分包機 | |
JPH095148A (ja) | 粉体の供給方法および供給装置 | |
KR20130047059A (ko) | 자동계량장치 및 방법 | |
JP5723196B2 (ja) | 組合せ秤 | |
JP3587268B2 (ja) | 製袋包装機 | |
RU70712U1 (ru) | Устройство весового порционн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 |
JP4031352B2 (ja) | 重量式充填装置 | |
RU131478U1 (ru) |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й микродозатор | |
JP6066814B2 (ja) | 組合せ秤 | |
JP6808293B2 (ja) | 組合せ秤 | |
JP4886002B2 (ja) | 重量式充填装置 | |
RU90194U1 (ru) | Дозатор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 |
JP2010096651A (ja) | 組合せ秤 | |
JPS6398523A (ja) | 粉粒体秤量供給装置 | |
GB901128A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eighing out loose, flowable materials | |
JP6305781B2 (ja) | 組合せ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