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277B1 - 아크릴 중합체 - Google Patents

아크릴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277B1
KR920010277B1 KR1019890005814A KR890005814A KR920010277B1 KR 920010277 B1 KR920010277 B1 KR 920010277B1 KR 1019890005814 A KR1019890005814 A KR 1019890005814A KR 890005814 A KR890005814 A KR 890005814A KR 920010277 B1 KR920010277 B1 KR 92001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primary amine
carbon atoms
ethylenically unsatu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277A (ko
Inventor
마틴 캐니아 챨스
제임스 맥콜럼 그레고리
나까지마 마사유끼
Original Assignee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헬렌 에이. 파블릭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헬렌 에이. 파블릭크 filed Critical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1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08F212/26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0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henols, e.g.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glycerol mono-(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2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in organic med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크릴 중합체
본 발명은 신규의 아크릴 공중합체 및 이러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착색된 도장 조성물은 보호적측면 뿐아니라 그의 심미적 측면에 유용하다. 상기 조성물은 액상 담체중에 분산된 필름-형성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한다. 도장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생성하는 모든 필름전반에 걸쳐 안료가 만족스러베 분산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액상 도장 조성물 전반에 걸쳐 안료가 잘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도장 조성물중의 안료는 우선 안료 연마 베히클 또는 안료 분산제로 지칭되는 중합체 수지와 함께 분산된다. 다음에, 생성된 분산물을 도장 조성물의 필름-형성 수지 및 도장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어떤 다른 성분들과 혼합한다.
안료 연마 베히클에 아민 작용기를 이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940,353호에는 소량의 불포화 아민 그룹-함유 단량체를 중합체 용액에 혼입시켜 개선된 안료 분산제를 얻는것이 기술되어 있다. 유사하게, 미합중국 특허 제4,302,560호에는 아민 또는 아민 염 작용기를 안료 분산제 내에 혼입시키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아민 작용기를 아크릴 안료 분산제 내에 혼입시키는 통상의 한 방법으로 아지리딘과 같은 질소-함유 화합물을 몇개의 카복실산 그룹을 갖는 아크릴 중합체와 반응시켜왔다. 예를들면, 에틸렌이민 또는 프로필렌이민과 같은 아지리딘 화합물을 반응시켜 아민 작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렇지만, 에틸렌이민 및 프로필렌이민의 유독성 때문에 이 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민 화학 이외의 방법에 의해 제공된 아민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연마 베히클을 모색하여 왔다.
본 발명은 측쇄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 및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최소한 하나의 다른 측쇄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를 제공한다.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측쇄 작용기를 예를들면, 카복실산 그룹,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 및 1차 아민 그룹을 함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의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된 1차 아민 그룹-함유 아크릴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반응혼합물 중의, 1차 아민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는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작용 그룹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체 비닐 단량체는 하기 일반식(A)를 가질 수 있다 :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은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리덴 그룹이고 ; R2는 수소 또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라디칼이며 ; R3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 R4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라디칼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는 메타-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아민 또는 파라-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아민이다.
본 발명은 또한 분산제로 측쇄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을 갖는 아크릴 중합체 약 1 내지 약 50중량%, 안료 약 10 내지 약 90중량%, 액상 담체 나머지량을 포함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을 제공한다. 분산제, 즉 아크릴 중합체는 상기에서 기술한 일반식(A)의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 및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의 비닐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명세서에 기술한 본 발명은 (1) 예를들면, 안료 연마 베히클, 즉 안료 분산제 중합체로 유용하며, 측쇄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 및 이소시아네이트그룹과 반응성인 최소한 하나의 다른 측쇄 작용기를 갖는 신규의 아크릴 중합체, (2)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 및 1차 아민 그룹을 함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의 자유 라디칼 중합에의해 제조된 1차 아민 그룹-함유 아크릴 중합체, 및 (3) 측쇄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을 갖는 아크릴 분산제 중합체, 안료, 및 액상 담체를 포함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측쇄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 및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최소한 하나의 다른 측쇄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는, 예를들면 카복실산 또는 하이드록실 그룹(상기 그룹들은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하는 그룹이다)과 같은 작용 그룹을 함유하는 최소한 하나의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와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이다. 따라서, 생성된 중합체는, 예를들면 카복실산 그룹,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한 비닐 중합 공정에 사용된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는 3차 알킬 1차 아민일 수 있다. 상기 3차 알킬 1차 아민을 예를들면 하기 일반식(A)의 단량체들이다 :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1은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리덴 그룹이고 ; R2는 수소 또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라디칼이며 ; R3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 예를들면 페닐렌, 비페닐렌 또는 나프틸렌과 같은 잔기를 나타내고 ; R4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라디칼이다. 1차 아민 그룹-함유 단량체 중 바람직한 것은 메타-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 아민 및 파라-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아민이다. 메타 이성체가 가장 바람직한 1차 아민 그룹-함유 단량체이다.
본 발명에서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로 사용된 3차 알킬 1차 아민은 3차 알킬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메타-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3차 알킬 이소시아네이트를 촉매 존재하에서 디아세톤 알콜(4-하이드록시-4-메틸-2-펜타논)과 같은 3차 알콜과 반응시킬 수 있다. 전형적인 촉매에는 디부틸틴 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옥사이드, 디메틸벤질 아민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와 디메틸벤질아민의 혼합물이 보다 큰 수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와 3차 알콜의 반응은 우레탄을 제공한다. 이 우레탄 생성물을 후속 가열에 의해 분해시켜, 이산화탄소를 제거시키고 상응하는 3차 알킬 1차 아민,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단량체를 수득할 수 있다. 유사한 반응물을 하기 일반식(B)의 3차 알킬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1은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리덴 그룹이고 ; R2는 수소 또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라디칼이며 ; R3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 예를들면 페닐렌, 비페닐렌, 또는 나프틸렌과 같은 잔기를 나타내고 ; R4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라디칼이다. 다른 알콜, 바람직하게는 탈수를 활성화 하기 위해 하이드록실기에 대한 베타위치에 치환체를 갖는 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콜에는 예를들면 에틸-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는 또한, 1차 또는 2차 아민 작용기를 함유하는 알카놀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요소 반응 생성물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요소 반응 생성물을 분해시켜 3차 알킬 1차 아민을 형성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와 시간동안 상기 요소 반응 생성물을 가열시키는 것에 의해, 메타-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3차 알킬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알카놀아민은 아미노 작용기와 하이드록실 작용기 사이에 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3차 알킬 1차 아민을 제조하는 공정은 본건과 동시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원(카알(Kahle)등에 의해 본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PREPARATION OF ALKYL PRIMARY AMINES란 명칭의 특허출원)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고 청구되어 있으며, 그 기술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는 알콜/우레탄 공정에 의한 것 보다 더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는 알카놀아민/요소 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신규의 아크릴 중합체의 중요한 태양은 1차 아민 그룹-함유 비닐 단량체(예 : 메타-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 아민과 같은 3차 알킬 1차 아민)와, 최소한 하나가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작용그룹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의 직접적인 자유 라디칼 공중합에 의해 상기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들면, 상기 중합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 및 1차 아민 그룹-함유 비닐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이 상기 반응에 바람직한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이다.
유사하게, 상기 중합체는 상기 1차 아민 그룹-함유 단량체와 하이드록실-함유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실-함유 단량체는 예를들면,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 단량체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산과 반응시에 최소한 하나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제공하는 단량체가 하이드록실-함유 단량체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면,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는 아세트산, 라우르산 등과 같은 산과 반응하여 에폭사이드 환을 개환시키고 하이드록실 그룹을 발생시킨 후, 1차 아민 그룹-함유 단량체와 반응하여 중합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 혼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작용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 예를들면, 알킬 그룹중에 1 내지 약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그룹중에 1 내지 약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의 에스테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전형적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노닐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텔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노닐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아크릴 중합체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유형의 비닐 단량체에는 상기에 언급한 비닐 단량체 이외의 비닐 그룹을 함유하는 공중합성 단량체 물질이 포함된다. 이들 물질의 예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α-클로로스티렌과 같은 비닐 방향족 화합물 및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문 내용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이란 용어는 예를들면, 단량체가 방향족 잔기를 함유하는 1차 아민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즉, “비닐 방향족 화합물”은 메타 또는 파라-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 아민 등과 같은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불활성 유기 용매중에서 전술한 개개의 성분의 통상적인 용액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개개의 단량체 각각이 중합 반응 초기부터 존재하는 소위 “원 쇼트(one shot)”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약 45분 내지 약 6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90분 내지 약 2시간 30분동안, 약 80℃ 내지 약 160℃, 바람직하게는 약 110℃ 내지 약 145℃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불활성 유기 용매의 예로는 하기 화합물이 포함된다 : 에테르형 알콜(예 :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톨루엔,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아민 케톤, V.M. P 나프타 등.
중합 반응은 비닐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한다. 바람직한 촉매에는, 예를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니트릴), 3차 부틸 퍼벤조에이트, 3차 부틸 피발레이트, 3차 부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퍼카보네이트 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가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 알킬 머캡탄(예 : 3차 도데실 머캡탄 등)과 같은 쇄 전달제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생성된 반응 생성물은 분리되거나 용매의 일부가 제거된 것일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안료 분산물 및 그 안료 분산물을 함유하는 어떠한 도장 조성물을 후에 생성하는데 편리하도록 용매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된 1차 아민 그룹-함유 아크릴 중합체는, 폴리스티렌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때 일반적으로 약 500 내지 약 100,000,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60,000의 피이크 분자량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측쇄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 및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최소한 하나의 다른 측쇄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는 알킬 그룹중에 약 1 내지 약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약 65 내지 약 99.9중량%,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 약 0.05 내지 약 10중량%, 및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 약 0.05 내지 약 25중량%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조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아크릴중합체는 알킬 그룹중에 약 1 내지 약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약 50 내지 99.9중량%,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비닐 단량체 약 0.05 내지 약 10중량%, 비닐 방향족 화합물 약 0 내지 약 40중량%, 및 하이드록실-그룹 함유 아크릴레이트 약 0.05 내지 약 10중량%, 비닐 방향족 화합물 약 0 내지 약 40중량%, 및 하이드록실-그룹 함유 아크릴레이트 약 0.05 내지 약 20중량%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조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아크릴 중합체는 알킬 그룹중에 1 내지 약 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약 50 내지 약 80중량%, 비닐 방향족 화합물 약 10 내지 약 30중량%, 파라- 또는 메타-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아민 약 0.05 내지 약 10중량%, 및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하이드록실 그룹-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 약 5 내지 약 25중량%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조한다.
전술한 아크릴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안료 분산제 중합체로 유용하며, 안료 또는 안료 혼합물의 분산물을 앞서 제조한 후 이어서 도장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분산물은 도장 조성물의 직접 염색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 분산물은 모든 편리한 시기에 제조할 수 있으며 차후의 사용을 위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아크릴 중합체는, 예를들면 아크릴 중합체 상의 카복실산 또는 하이드록실 작용기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등으로 경화되는, 경화 가능한 열 경화성 아크릴 시스템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을 갖는 아크릴 중합체 약 1 내지 약 50중량%, 안료 약 10 내지 90중량%, 및 액상 담체 나머지량을 포함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분야의 전문가들은 그 정확한 범위는 안료의 선택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안료는 도장 산업에서 통상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절한 안료의 예로는 철 산화물, 납 크롬산염, 크롬산 규소, 크롬산 스트론튬, 탄산 납, 황산 납, 탄산 바륨, 중국 점토, 탄산 칼슘, 알루미늄 실리카, 산화 아연, 황화 아연, 산화 지르코늄, 산화 안티몬, 퀴나크리돈, 이산화티탄, 크롬 그린, 크롬 옐로우, 티오-인디고 레드, 프탈로 블루, 프탈로 그린, 코발트 블루, 카드뮴 옐로우, 카드뮴 레드, 톨루이딘 레드, 흑연, 카본블랙, 금속 알루미늄, 금속 아연 등이 있다.
안료 분산 조성물중에 사용되는 액상 담체는, 예를들면 용매일 수 있고, 통상 1차 아민 그룹-함유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단량체의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일 수 있다. 그렇지만, 크실렌 또는 미네랄 스피릿과 같은 다른 용매들을 첨가할 수 있다.
분산제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 및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어떠한 1차 아민 그룹-함유 아크릴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분산제 중합체는 그 중합체가 1차 아민 그룹-함유 단량체, 및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작용 그룹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조되는, 전술된 바와 같은 1차 아민 그룹-함유 아크릴 중합체일 수 있다. 분산제 중합체는 또한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단량체, 및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작용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1차 아민 그룹-함유 아크릴 중합체일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547,265호에는 1차 아민 그룹-함유 비닐 단량체(구체적으로, 메타 또는 파라-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아민)와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작용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예 : 스티렌, 메틸 스티렌, p-메틸스티렌, p-메틸-메틸스티렌,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 할로-치환된 에틸렌)와의 공중합체가 기술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분산제 중합체로 유용한 1차 아민 그룹-함유 아크릴 중합체는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 약 0.05 내지 약 10중량% 및 하나 이상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 약 90 내지 약 99.95중량%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조할 것이다.
안료 분산 조성물은 또한, 안료 분산 조성물에 보통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예 : 가소제, 습윤제, 소포제, 희석제 및 흐름조절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안료 분산 조성물은 안료를 분산제 중합체내로 연마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연마는 안료가 원하는 크기로 감소될때까지 보통 볼 밀(ball mill), 샌드 밀(sand mill), 카울즈 용해기(Cowles dissolver), 연속 마멸기(continuous attritor)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마후에, 안료의 입자크기는 일반적으로 약 10마이크론 또는 그 미만인 범위에 있다.
상기에 기술한 안료 분산 조성물은 각종 다양한 필름-형성 수지와 상용성이며, 도장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건조 필름의 특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안료 분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우수한 색상 전개 및 도막간 접착성(즉, 사전에 형성된 필름에 접착하는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 약 25% 내지 약 95%,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80%의 필름-형성 수지, 약 1%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60%의 안료, 약 1%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30%의 분산제 중합체, 및 나머지량의 액상 담체를 포함하는 도장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안료 분산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는 적절한 필름-형성 수지는 예를들면, 아크릴 랙커 화합물과 같은 열가소성 형의 수지 또는 이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멜라민 경화성 아크릴 화합물과 같은 열경화성 형의 수지일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제조방법을 예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반응 용기에 메타-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 이소시아네이트 514.4그램(g)을 넣고 86℃로 가열하였다. 다음에, 디아세톤 디알콜 296.8g을 약 1시간에 걸쳐 적가를 완료하였다. 혼합물을 약 86℃에서 2시간동안 유지시킨 후, 약 100℃로 가열하고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18g을 가하였다. 적외선(IR) 분석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이 사라질 때까지 혼합물을 유지시켰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켜 m-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 이소시아네이트의 요소 부산물을 제거시켰다. 잔류 액체 부분(328.5g)을 물 847.7g과 혼합하고 약 95℃에서 환류하에 교반하여 증류액을 수거하였다. 증류가 진행됨에 따라 추가의 물 300g을 가하고 증류를 계속하여 예를들면, 과잉의 알콜, 물, 및 메시틸 산화물을 제거하였다. 잔류 혼합물을 2회의 톨루엔 분취량(각 분취량 200ml)으로 추출하였다. 추출 조작 도중, 층사이에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그 침전물을 역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톨루엔을 증발시켜 오일을 남겼다. 이 조생물을 진공 증발시켜, 약 182.1의 측정된 아민 당량을 갖는 m-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벨질아민(m-TMA) 72.6g을 수득하였다.
실시에 3,4 및 5는 측쇄 3차알킬 1차 아민 그룹을 함유하는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를 예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3]
하기로부터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
Figure kpo00004
(1) E.I. Dupont de Nemours Co.에서 VAZO 67로 시판되는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가열 수단, 교반 수단, 첨가 수단, 환류 수단, 및 반응 전반에 걸쳐 질소 블랭킷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반응 용기내에 최초 공급물을 넣고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약 110℃의 환류온도에서 2시간에 걸쳐 공급물 A 및 B를 점차적으로 가한 다음, 공급물 C를 가하였다. 다음에, 약 3시간에 걸쳐 공급물 D를 점차적으로 가한 후 공급물 E를 가하였다. 추가로 30분 동안 환류시킨 후, 가열을 중지하고 공급물 F를 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은 110℃에서 35.3%의 고형물, 0.03의 산가, 및 0.92 스톡의 점도를 가졌다. GPC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상기 생성물의 피크 분자량은 약 42,500이었다.
[실시예 4]
하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일련의 아크릴 공중합체들을 제조하였다 :
Figure kpo00005
[실시예 5]
하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일련의 아크릴 공중합체들을 제조하였다 :
Figure kpo00006
[실시예 6]
비교를 위한 아민화 아크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았다 :
Figure kpo00007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반응용기내로 최초 공급물을 넣고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약 110℃의 환류온도에서, 2시간에 걸쳐 공급물 A 및 B를 점차적으로 가한 다음, 공급물 C를 가하였다. 다음에, 3시간에 걸쳐서 공급물 D를 점차적으로 가한 후 연이어 공급물 E 및 F를 가하였다. 추가로 한시간동안 환류시킨 후, 가열을 중지하고 공급물 G를 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은 110℃에서 33.3%의 고형물, 1.0의 산가, 0.5스톡의 점도 및 약 31,940의 비크 분자량을 가졌다.
실시예 7 및 실시예 8은 측쇄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을 가진 아크릴 중합체의 용도를 설명하는 것이다.
[실시예 7]
실시예 4,5 및 비교용 실시예 6의 아크릴 중합체들을 분산제로 사용하여 하기 조성물을 갖는 안료 분산물을 배합하였다.
Figure kpo00008
(1) 75 : 25 중량%의 톨루엔 : 메틸에틸케톤 용매 혼합물중의 약 35 중량%의 수지 고형물 용액.
7A 내지 7H의 안료 분산제 배합물들을 하기 조성을 갖는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으로 각각 희석하였다 : 90/10 중량%의 MMA와 LMA의 공중합체 25.3중량% : 헵틸 아세테이트 4.0중량% : 메틸에틸케톤 25.7중량% ; 부틸벤질프탈레이트 9.1중량% ; 묽은 규소 용액 0.5중량% ; 및 톨루엔 35.3중량%, 각각의 안료분산제 배합물을 별개의 자아(jar)에 넣고 3㎜ 강철 쇼트(shot) 200g을 가하였다. 상기 자아들을 35분 동안 진탕시켰다. 다음에, 자아들로부터 각가의 배합물의 60%(30g)을 꺼내어, 각각 아크릴 희석액 115.68g과 혼합한 후 재진탕시켰다. 각각 아크릴 희석액 115.08g과 혼합한 후 재진탕시켰다. 다음으로 각각의 생성된 연료 분산물 및 원래의 페이스트를 유리판상에 칠하여 시험하였다. 실시예 7A 내지 7G 모두는 실시예 7H에 비해 개선된 광택을 가졌다. 또한, 실시예 7A 내지 7G는 실시예 7H에 비해 색 강도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실시예 8]
실시예 4,5 및 6의 분산제들을 사용하여 하기 조성을 갖는 안료 분산물을 배합하였다.
Figure kpo00009
(1) 75 : 25 중량%의 톨루엔 : 메틸에틸케톤 용매 혼합물중의 약 35 중량%의 수지 고형물 용액.
(2) 시바-가이기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퀴나크리돈 안료.
실시예 7과 유사한 방법으로 8A 내지 8H의 안료 분산 배합물을 각가 하기 조성을 갖는 아크릴 중합체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 90/10 중량%의 MMA와 LMA 공중합체 17.3 중량% ; 톨루엔 42.9 중량% ; 및 메틸에틸케톤 39.8 중량%. 각각의 8A 내지 8H의 안료 분산제 배합물 30g에 아크릴 희석액 42.88g을 혼합한 다음, 재진탕시키고 유리판상에 칠하였다. 실시예 8A 내지 8G는 실시예 8H에 비해 덜 불투명하면서 동등하거나 더 우수한 투명도를 가졌다. 실시예 8E 내지 8G는 실시예 8H보다 더 우수한 광택을 가졌다.
실시예 9 및 10은 측쇄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을 갖는 추가의 아크릴 중합체를 설명하는 것이다.
[실시예 9]
하기로 부터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10
(1) 실시예 3에서와 같다.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반응 용기내로 각각의 최초 공급물을 넣고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약 150℃의 환류온도에서 공급물 A 및 B를 3시간에 걸쳐 점차적으로 가하였다. 다음으로, 공급물 C를 1시간에 걸쳐 점차적으로 가한 후, 공급물 D를 1시간에 걸쳐 점차적으로 가하였다. 다음에,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켰고, 생성된 생성물 A는 110℃에서 58.9%의 고형물, 61.7의 산가, 3.9 스톡의 점도 및 약 3700의 피이크 분자량(GPC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을 가졌고, 생성된 생성물 B는 110℃에서 59.1%의 고형물, 62.1의 산가, 5.85 스톡의 점도 및 약 4010의 피이크 분자량을 가졌다.
[실시예 10]
하기로부터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11
(1) E.I.Dupont de Nemours and Co.에서 VAZO-64로 시판하는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니트릴)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반응 용기내로 각각의 최초 공급물을 넣고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약 110℃의 환류 온도에서 공급물 1의 나머지 부분을 한시간 반에 걸쳐 점차적으로 가하였다. 다음으로, 린스액으로서 공급물 2를 가한 후 3시간에 걸쳐 공급물 3을 점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시간 동안 가열을 더 계속한 다음, 냉각시키고 공급물 4를 가하였다. 생성된 생성물 A는 110℃에서 50,3%의 고형물, 0.3의 산가, 4.33 스톡의 점도 및 약 18,000의 피이크 분자량을 가졌고, 생성된 생성물 B는 110℃에서 50.6%의 고형물, 2.17의 산가, 4.37 스톡의 점도 및 약 17,640의 피이크 분자량을 가졌다.
상기 본문 내용에 비추어 볼때,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구체적으로 명시한 바와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4)

  1. 측쇄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 및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최소한 하나의 다른 측쇄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중합체가 측쇄 카복실산 그룹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중합체가 측쇄 하이드록실 그룹을 포함하는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중합체가 측쇄 하이드록실 그룹을 포함하는 조성물.
  5.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 및 1차 아민 그룹을 함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된 1차 아민 그룹-함유 아크릴 중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1차 아민 그룹을 함유하지 않은,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가,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성인 작용 그룹을 가짐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7. 제6항에 있어서,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가 3차-알킬 1차 아민인 중합체.
  8. 제6항에 있어서,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계가 하기 일반식(A)인 중합체.
    Figure kpo00012
    (상기식에서, R1은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리덴 그룹이고 ; R2는 수소 또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이며 ; R3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 R4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이다)
  9. 제6항에 있어서,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가 m-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아민 또는 p-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 아민인 중합체.
  10. 제8항에 있어서, 1차 아민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가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 하이드록실-함유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실-함유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체.
  11. 제9항에 있어서, 1차 아민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가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 하이드록실-함유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실-함유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체.
  12. 제11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이 알킬 그룹중에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알킬 그룹중에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랜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13. 제5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이, 알킬그룹중에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65 내지 99.9중량% ;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 0.05 내지 25중량% ; 및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 0.05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중합체.
  14. 제13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이 하이드록실-함유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실-함유 알킬메타크릴레이트 0.05 내지 10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중합체.
  15. (a) 분산제로서, 측쇄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을 갖는 아크릴 중합체 1 내지 50중량% ; (b) 안료 10 내지 90중량% ; 및 (c) 액상 담체 나머지량을 포함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측쇄 3차 알킬 1차 아민 그룹이 하기 일반식인 조성물.
    Figure kpo00013
    (상기식에서, R3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R4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이다)
  17. 제16항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가 카복실산 그룹,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측쇄 그룹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8. (a) 1차 아민-함유 비닐 단량체 및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의 비닐 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 중합체 1 내지 50중량% ; (b) 안료 10 내지 90중량% ; 및 (c) 액상 담체 나머지량을 포함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가 하기 일반식(A)인 조성물.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R1은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리덴 그룹이고 ; R2는 수소 또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이며 ; R3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 R4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라디칼이다)
  20. 제18항에 있어서, 1차 아민 그룹-함유 공중합성 비닐 단량체가 m-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아민 또는 P-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아민인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가 알킬 그룹중에서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알킬그룹중에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이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 하이드록실-함유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실-함유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3. 제18항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가, 알킬그룹중에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최소한 하나의 알킬 메타클릴레이트 65 내지 99.9중량% ;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 0.05 내지 25중량% ; 및 P 또는 m-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아민 0.05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 부터 제조되는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이 하이드록실 그룹-함유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890005814A 1988-05-02 1989-05-01 아크릴 중합체 KR920010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87,788 US4910249A (en) 1988-05-02 1988-05-02 Acrylic polymers
US07/187788 1988-05-02
US07/187,788 1988-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277A KR890017277A (ko) 1989-12-15
KR920010277B1 true KR920010277B1 (ko) 1992-11-21

Family

ID=2269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814A KR920010277B1 (ko) 1988-05-02 1989-05-01 아크릴 중합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4910249A (ko)
EP (1) EP0340976B1 (ko)
JP (2) JP2655574B2 (ko)
KR (1) KR920010277B1 (ko)
CN (1) CN1037522A (ko)
AU (1) AU615290B2 (ko)
BR (1) BR8901987A (ko)
CA (1) CA1333738C (ko)
DE (1) DE68923216T2 (ko)
DK (1) DK212589A (ko)
ES (1) ES2076956T3 (ko)
NO (1) NO891757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249A (en) * 1988-05-02 1990-03-20 Ppg Industries, Inc. Acrylic polymers
DE4191067T (ko) * 1990-05-16 1992-06-25
US5221335A (en) * 1990-05-23 1993-06-22 Coates Electrographics Limited Stabilized pigmented hot melt ink containing nitrogen-modified acrylate polymer as dispersion-stabilizer agent
US5330686A (en) * 1992-08-19 1994-07-19 Ppg Industries, Inc. Temperature stable and sunlight protected photochromic articles
DE4236337C1 (de) * 1992-10-28 1994-01-27 Goldschmidt Ag Th Verwendung von Polyacrylsäureestern als Dispergiermittel
DE4445498A1 (de) * 1994-12-20 1996-06-27 Roehm Gmbh Universell verträgliche Pigmentdispergatoren
US5872297A (en) * 1995-08-24 1999-02-16 S. C. Johnson Commercial Markets, Inc. Ethylenically-unsaturated 1,3-diketoamide functional compounds
US5759694A (en) * 1996-09-04 1998-06-02 Ppg Industries, Inc. Carbamate functional polymers and oligomers and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5959040A (en) * 1996-09-04 1999-09-28 Ppg Industries Ohio, Inc. Film-forming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as a monocoat
IT1298440B1 (it) * 1998-02-23 2000-01-10 Rossetti Vernici & Idee Spa Composizioni coloranti universali
US6262152B1 (en) * 1998-10-06 2001-07-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rticles dispersed w/polymer dispersant having liquid soluble and cross-linkable insoluble segments
US6204319B1 (en) 1998-10-30 2001-03-2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queous coating compositions
US6228971B1 (en) * 1999-06-21 2001-05-08 Ppg Industries Ohio, Inc. Polymeric imine functional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film-forming compositions
JP4966458B2 (ja) * 2001-06-25 2012-07-04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アクリル系被覆材用組成物
US8263700B2 (en) 2010-06-01 2012-09-11 Ppg Industries Ohio, Inc. Pigment dispersions, related coating compositions and coated substrates
US8957394B2 (en) * 2011-11-29 2015-02-17 Kla-Tencor Corporation Compact high-voltage electron gun
JP6739334B2 (ja) * 2013-11-04 2020-08-12 ルブリゾル アドバンス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縮合芳香族イミドアンカー基を有するアクリル系分散剤
US10557045B2 (en) 2017-08-11 2020-02-11 Ppg Industries Ohio, Inc. Pigment dispersant with hindered light amine stabilizer and pigment dispersions a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thereon
DE102021214245A1 (de) 2021-12-13 2023-06-15 Audi Aktiengesellschaft Abdeckelement in Sandwichbauweise mit aufschmelzbarer Zwischenlage für ein Batteriegehäuse, Batteriegehäuse und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486992A (en) * 1952-09-30 Camille Dreyfus Production of nitrogen-containing polymers
GB776712A (en) * 1955-07-18 1957-06-12 Rohm & Haas Aminoalkyl esters
DE1495752C3 (de) * 1963-10-19 1974-04-04 Farbwerke Hoechst Ag, Vormals Meister Lucius & Bruenin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schpolymerisaten
US3940353A (en) * 1972-04-15 1976-02-24 Rohm And Haas Company Pigment dispersions and lacquers containing copolymer of isobornyl methacrylate
US4021396A (en) * 1973-12-12 1977-05-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queous coating composition of an acrylic polymer having reactive sites and an epoxy resin
US4018826A (en) * 1974-11-04 1977-04-19 Dynapol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polyvinylamine and salts thereof
US4111917A (en) * 1976-05-11 1978-09-05 W. R. Grace & Co. Use of latent amines to cure epoxy resins
CA1146694A (en) * 1978-08-31 1983-05-17 David Z. Becher Pigment dispersants for coating compositions
US4302560A (en) * 1978-08-31 1981-11-24 Ppg Industries, Inc. Pigment dispersants for coating compositions
US4238579A (en) * 1979-05-18 1980-12-09 Dynapol Vinylamine aromatic copolymers and salts thereof
US4255548A (en) * 1980-01-07 1981-03-10 Dynapol Ethylene-vinylamine copolymers
JPS5813608A (ja) * 1981-07-17 1983-01-26 Kao Corp 架橋両性共重合体からなる分散剤
JPS5825313A (ja) * 1981-08-06 1983-02-15 Asahi Chem Ind Co Ltd アクリル系共重合体、その製造法、該共重合体からなる塗料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4713236A (en) * 1981-12-07 1987-12-15 Morton Thiokol, Inc. Polymeric amine conditioning additives for hair care products
US4433015A (en) * 1982-04-07 1984-02-21 Parker Chemical Company Treatment of metal with derivative of poly-4-vinylphenol
EP0127802B1 (en) * 1983-06-01 1988-04-20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a- and para-isopropenyl-alpha,alpha-dimethylbenzylamine
US4547265A (en) * 1983-06-01 1985-10-15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for sizing paper using hydrolyz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a- or para- isopropenyl-α,α-dimethylbenzylisocyanate
US4556702A (en) * 1983-06-01 1985-12-03 American Cyanamid Company Oligomers and homopolymers of meta- or para-isopropenyl-α,α-dimethylbenzylisocyanate
US4429096A (en) * 1983-06-01 1984-01-31 American Cyanamid Company Quaternary amine carbamate or urea compounds based on isopropenyl-α,α-dimethylbenzyl isocyanate
US4754011A (en) * 1983-06-01 1988-06-28 American Cyanamid Company Emulsion copolymers of meta- or para-isopropenyl-alpha, alpha-di-methylbenzylisocyanates
JPS60203663A (ja) * 1984-03-28 1985-10-15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アミン変性ワツクスの製造方法
US4694057A (en) * 1985-03-06 1987-09-1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reparation of polymers containing pendant isocyanate groups and derivatives thereof by emulsion copolymerization
DE3634354A1 (de) * 1986-10-08 1988-04-21 Muehlbauer Ernst Kg Verbindungen, die aus aldehyd-, epoxid-, isocyanat- oder halotriazingruppen, polymerisierbaren gruppen und einem hoehermolekularen grundgeruest bestehen, dieselben enthaltenden mischungen und ihre verwendung
US4910249A (en) * 1988-05-02 1990-03-20 Ppg Industries, Inc. Acrylic 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333738C (en) 1994-12-27
AU615290B2 (en) 1991-09-26
AU3377789A (en) 1989-12-14
NO891757L (no) 1989-11-03
JPH0216110A (ja) 1990-01-19
DE68923216D1 (de) 1995-08-03
BR8901987A (pt) 1989-12-05
EP0340976A2 (en) 1989-11-08
ES2076956T3 (es) 1995-11-16
EP0340976A3 (en) 1991-05-15
NO891757D0 (no) 1989-04-27
JPH09227751A (ja) 1997-09-02
DK212589A (da) 1989-11-03
EP0340976B1 (en) 1995-06-28
DK212589D0 (da) 1989-05-01
US4910249A (en) 1990-03-20
KR890017277A (ko) 1989-12-15
JP2655574B2 (ja) 1997-09-24
US5098974A (en) 1992-03-24
CN1037522A (zh) 1989-11-29
DE68923216T2 (de) 199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277B1 (ko) 아크릴 중합체
KR100348369B1 (ko) 카르바메이트-작용성중합체의제조방법
CA1334237C (en) Polymers containing amino group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US6326449B1 (en) Polymer dispersants
EP0123793B1 (en) Room temperature-curable resin composition
US4613652A (en) Curable resin compositions
EP2089436B1 (en) Polymerization of acrylic polymers in reactive diluents
US5136004A (en) Binder,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in clear or pigmented coating agents
EP0180991A2 (en) Thermosetting synthetic resin lacqu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light stability
EP0731815B1 (de) Zur lackierung von automobilkarosserien geeignete pulverlacke
US5998535A (en) Polymer dispersants
EP0302373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uchtigkeitshärtenden Bindemittelkompositionen und ihre Verwendung
JPH06240186A (ja) 水性塗料組成物用の顔料分散剤としての変性共重合体の製造方法
EP0546640B1 (en) Interpolymer-based binders
JPS6250366A (ja) 密着性および保存安定性の優れた塗料用樹脂組成物
US5091498A (en) 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1,3-dialkylimidazole-2-thione catalysts
EP0281910B1 (en) Resin compositions
CA1297609C (en) Resin compositions
JP2001131472A (ja) カチオン電着塗料用樹脂組成物
DE10001510A1 (de) Beschichtungsstoffe, Klebstoffe und Dichtungsmassen auf der Basis von N,N'-Bisalkoxycarbonyldiurethanen und/oder N,N'-Bisaryloxycarbonyldiuretha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