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790B1 - 1,1,1-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1,1-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790B1
KR920009790B1 KR1019900015730A KR900015730A KR920009790B1 KR 920009790 B1 KR920009790 B1 KR 920009790B1 KR 1019900015730 A KR1019900015730 A KR 1019900015730A KR 900015730 A KR900015730 A KR 900015730A KR 920009790 B1 KR920009790 B1 KR 920009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catalyst
content
reaction mixture
hydrofluo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847A (ko
Inventor
베르그낭 미쉘
갈랑 쟝-미쉘
뻬르드 뢰 씰벵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아토샹
쟝 르블랑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아토샹, 쟝 르블랑제 filed Critical 소시에떼 아토샹
Publication of KR91000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9/0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19/08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9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 C07C17/2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07C17/202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 C07C17/206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the other compound being H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9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 C07C17/2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1-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1,1,1-트리클로로에탄을 촉매 존재하에 액체상의 무수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 플루오르화시킴으로써 1,1,1-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을 연속적이며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1,1,1-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이하 142b로 표시)은 플루오르화 비닐리덴의 제조용 출발물질, 에어로졸 공업용 포사약, 포말 공업용 팽윤제 및 냉각액으로 사용된다.
촉매 존재 또는 비존재하에 특히 “액체상” 방법에 의한 1,1,1-트리클로로에탄(이하 T111로 표시)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HF)으로부터 142b의 제조방법이 오랫동안 공지되었다.
그 반응과정을 하기와 같이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142b의 선택적 제조라는 견지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부반응이 생성된다. 예를들면, 플루오르화가 1,1,1-트리플루오로에탄(143a)으로 계속될 수 있다:
탈염화 수소화, 이량중합 후의 플루오르화 또는 염소화와 같은 반응조건에 따라 기타 부반응도 일어날 수 있다. 이들 부반응으로 인해 “140계열”(T111,141b ,142b,143a)에 속하지 않는 유기할로겐화 부산물이 생성된다.
142b의 공업적 제법의 첫번째 목적은 바람직하지 못한 부산물 143a 및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생성물의 생산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142b의 공업적 제법의 두번째 목적으로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양을 초대화하는 것이다. 사용되는 반응계 종류에는 무관하게, 사용되는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일부는 소모되지 않고 회수되어야 한다. 반응계에서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가 높을 경우에는 회수공정이 촉진된다. T111로부터 142b의 제조는 촉매 부재하에 액체상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공지이다(이하 참조).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반응계에서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가 통상적으로 한정되며 전환되지 않은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회수기 역반응의 비경제적인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이 사실로 인해 촉매를 사용하면 상기 반응이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 및 보다 높은 생산성을 가지면서 수행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T111로부터 142b의 공업적 제법의 세번째 목적은 염산 부산물을 경제적으로 수득하여 물가 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의 하나는 역반응계 증류에 의한 무수 정제 염산을 수득하는 것이다. 그러나, 염산 부산물의 증류공정시는 경제학상 6∼30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바 정도의 절대압을 사용해야 한다. 무수 염산 증류시 상기 압력의 사용은 공업상 기체상 반응생성물(HCl 등)을 반응계에서 직접 증류시킬 정도 이상의 압력하에 플루오르화 반응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의 T111로부터 142b의 공업적 제법의 다양한 목적은 당 분야에 공지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보인다. 사실상 후술되는 바와같이, 활성촉매를 사용하면(플루오르화 수소산의 고전환도를 수득할 수 있다) 통상 140계열의 플루오르화를 증가시켜 부산물로 바람직하지 못한 143a를 다량 생산시키고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도 다량 생산시키게 된다. 유사하게, 반응 조건을 140a의 비율을 최소화시키도록 선택할 경우 관련 반응이 연속적일 때 반응혼합물은 T111 및 141b의 비율이 높게 된다. 약간만 플루오르화된 또는 플루오르화되지 않은 이들 분자는 가장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우선적으로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이 다량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비교적 고압을 선택하여 플루오르화 반응을 수행하면(염산의 경제적 회수의 견지에서) 플루오르화 공정에 공지된 바와같이 보다 고도의 플루오르화 화합물 고비율의 143a의 생성이 촉진된다.
상기의 3가지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T111의 플루오르화 방법은 현재 공지되어 있지 않다.
프랑스 특허 제798 421호에는 촉매 부재하에 또는 SbF3존재하에 T111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부터 141b,142b 및 143a의 제조 가능성이 간결하게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선택적으로 142b를 수득하는 방법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문헌[HENNE RENOLL, J.Am. Chem. Soc. 58, 889∼890(1936)]에는 SbF3및 SbF3Cl2존재하에 T111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부터 141b,142b 및 143a의 제조 가능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는 143a를 제조할 수 있는 작업 조건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문헌[BROWN WHALLEY, J. Soc. Chem. Ind.(London), 67, 331∼333( 1948)]에는 144℃에서 촉매 부재하에 T111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부터 141b,142b 및 143a의 제조 가능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도 143a를 제조할 수 있는 작업조건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일본국 특허 공고 제JP 74/3965호에는 SbCl5존재하에 T111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부터 선택적으로 142b를 수득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반응 압력은 0∼3kg/cm2인 것이 유효하다.
b) 반응은 일련의 두 반응기 내에서 수행되며, 제1반응기는 주로 과량의 플루오르화 수소산을 사용하여 141b로부터 142b를 형성하고 제2반응기는 주로 T111로부터 141b를 형성한다.
상기 반응기로 인하여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고전환도 및 143a의 비교적 낮은 외관상 비율(142b의 약 1.5%가 형성됨)을 효과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저압하에 수행된다; 상기 특허에서는 반응이 유효압력 3kg/cm2이상에서 수행될 경우 143a 비율이 상당히 증가하며 반응온도의 선택으로는 이 효과를 보충할 수 없다고 확신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는 염산 부산물을 최적조건으로 회수할 수 없다. 또한,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고전환도를 수득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은 일련의 두 반응계를 사용하므로 복잡하다. 또, 이 특허에는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의 형성비율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미국특허 제3,833,676호에는 각량의 플루오르화 수소산 존재하에 반응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부재하에 T111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부터 142b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반응계에서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가 반드시 제한된다.
일본국 특허 공고 제JP 76/27404호에는 MoCl5촉매 존재하에 T111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부터 142b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반응에 의한 선택성 문제에 대해서는, 촉매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가 제한되고, SbCl5등의 활성 촉매가 사용될 경우 특히 가압하에 유효향의 143a가 형성되거나 반응이 제한되어 142b의 비율이 더 낮아짐과 동시에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가 낮아진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는 SbCl5보다 더 선택성인 촉매 MoCl5를 사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으나, 촉매로 MoCl5또는 SbCl5를 사용하여 반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1% 미만의 143a 및 90% 초과의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정확한 작업 조건 또는 예를 추천한 것은 아니다.
일본국 특허공고 제JP 76-39606호에는 액체상에서 플루오르화 촉매로 MoO5등의 금속 수산화물의 사용이 기재되어 있다. T111의 플루오르화의 예가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143a의 저비율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고전환도를 동시에 수득할 수 있는 정확한 작업조건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프랑스 특허 FR 2,337,120에는 SbCl5촉매 존재하에 T111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부터 142b 및/또는 143a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의 특징은 중비활성 용매중에서 반응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 특허에는 143a의 저비율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고전환도를 동시에 주목한 두 실시예(실시예 17 및 22)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추천된 반응압력은 낮으며(0∼5kg/cm2유효) 상기 두 실시예는 0 및 1kg/cm2에서 수행된다. 반응압력이 높을수록 143a의 비율도 명백히 높아진다. 또한, 추천된 반응온도는 저압과 관련하여 10∼65℃로 낮으며,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바람직하지 못한 부산물이 형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중용매를 사용하면 다양한 비율의 143a를 수득할 수 있으나, 특히 5kg/cm2유효압 초과의 압력하에 143a의 형성을 최소화할 수는 없다.
액체상에서 T111의 플루오르화 연속방법의 경우, 액체반응 혼합물은 출발물질 중의 불순물에 의한 것이거나 존재하는 140계열 화합물로부터 부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유기할로겐화물을 일부 필수적으로 함유한다. 이들 생성물의 일부는 비교적 고비점을 갖는다. 특별히 주의하지 않으면 반응혼합물중의 이들 생성물의 함량은 높아질 수 있다.
반응 혼합물중의 상기 유기할로겐화물의 함량과 부산물 143a의 생성양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존재하여 143a 생성양이 많을수록 반은 혼합물중의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의 함량이 많아지며, 부산물 143a의 생성양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반응 혼합물중의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생성물의 함량을 4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으로 조절해야 한다.
상관하여, 반응 혼합물중의 140계열 화합물의 함량은 특히 T111 및 141b의 함량이 높다. 이들 구성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부산물이 우선적으로 용이하게 생성되지만 특정 조건하에서는 그렇지 않다.
즉, 압력, 온도, 활성촉매 함량 및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 함량을 하기 범위로 조절하면 상기 3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르화 촉매 존재하에 액체상에서의 반응에 의해 1,1,1-트리클로로에탄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부터 1,1,1-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의 연속 제조방법의 작업조건 특징은 다음 과 같다.
a) 반응계의 절대압력은 6∼30바, 바람직하게는 10∼20바에서 선택된다.
b) 액체 반응 혼합물중의 촉매(들) 총 함량은 금속 중량%로 나타내면 0.05∼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5중량%이다.
c) 반응 온도는 50∼120℃, 바람직하게는 70∼100℃에서 선택된다.
d) 액체 반응 혼합물중의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 함량은 4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조절된다.
상기 작업조건 하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산물 143a의 비율의 매우 낮아 142b의 생성량의 1중량% 이하이다.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의 생성비는 매우 낮아 142b의 생성량의 1.5중량% 이하이다.
-반응계로부터의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는 90% 초과로 높다.
상기 결과는 무수형 염산 부산물을 증류 정제할 수 있는 고압하에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플루오르화 촉매(들)는 Ⅳa 및 Ⅳb, Ⅴa 및 Ⅴb 및 Ⅵb 및 Ⅷ족 원소의 할로겐화물, 산화물 및 옥시할로겐화물 등의 공지된 활성촉매이다. 대표적 예로는 오염화안티몬, 보다 정확하게는 SbCl5의 부분 플루오르화에 의해 자체 형성된 오가 안티몬의 클로로플루오르화물이 있다. 필요에 따라 촉매 활성은 공지 방법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염화 안티몬의 경우는 염소 주입법이 있다.
액체 혼합물중의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의 함량은 두 형태의 반응계로부터 반응 생성물 제거, 즉 기체 형태 제거 및 액체 형태 제거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장비로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체 또는 액체 형태의 출발물질(T111 및 HF) 및 재순환 생성물이 공급되고 적당히 가열 또는 냉각된 단일 반응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반응기는 적당한 기하, 반응물의 적당한 도입 수단 및 적당한 혼합 기술에 의해 반응물 사이의 접촉을 조장해야 한다. 이 반응기는 환류 컬럼 및 환류 응축기를 갖춰 반응기로부터 생기는 기류중에 촉매(들)의 비말동반을 피하고 이 기류 중의 유기플루오르화 화합물에 대한 조성물을(142b,141b,T111 등의 함량) 조정할 수 있다.
출발 물질 또는 재순환 생성물(T111,141b,HF)은 142b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비로 반응기에 공급된다. 비전환물(HF,T111,141b)의 재순환 완결시는 이것은 출발물 HF/출발물 T111의 몰비가 화학양론에 근사치인 약 2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반응 생성물로부터 나오는 액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형태의 배출물은 반응 혼합물중의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생성물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의 하나이다.
반응으로 생기는 기체 및 필요에 따라 액체류는 통상의 방법으로 처리되어 유용한 최종 생성물(142b,HCl)를 분리한다. 염산 회수에 대해 이 처리공정은 특히 무수 HCl의 증류를 함유한다. 반응기에서 생기는 액체중에 함유된 비전환 T111 및 141b, 소량의 비전환 플루오르화 수소산 및 촉매(들)는 반응계에 재순환된다.
하기 실시예 1 및 2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설명하는 것이다. 실시예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변수 값을 나타내기 위한 비교용이다.
[실시예 1]
환류 컬럼 및 환류 응축기를 갖춘 통상적인 강철제 5m3플루오르화 반응기를 사용한다. 반응기에 출발물 및 재순환물 T111, 재순환물 141b, 출발물 및 재순환물, HF, 염소 및 오염화 안티몬을 연속 공급한다.
반응 압력을 11바(절대압)로 조절한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이중벽 반응기를 가열하여 79℃로 조절한다.
오염화 안티몬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중의 안티몬 함량(Sb 금속으로 계산시) 1중량%를 수득한다.
반응기에 장치된 컬럼 윗부분에 위치한 환류 응축기의 하류에서 기체형태의 회수를 실시한다. 반응기 자체에서 액체 형태의 회수를 실시하고 조절하여 반응 혼합물중의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 4.3중량%을 수득한다.
이들 두 회수물을 생성물의 회수 또는 재순환용 통상적인 처리 장치로 연결시킨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물질 밸런스는 이들 작업 조건을 나타낸다. 동시에 하기 결과를 수득할 수 있다:
a) 반응압력 : 11바(절대압)
b)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 : 90.5%
c) 142b 생성양에 대한 143a 형성양의 비율 :
d) 142b 생성양에 대한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BP) 형성양의 비율 :
[표 1]
(1) 안티몬 금속
(2)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유기할로겐화 부산물
[실시예 2]
실시예 1의 반응기를 사용한다.
반응 압력을 16바(절대압)로 조절하고,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75℃로 조절한다.
오염화 안티몬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중의 안티몬 함량을(Sb 금속으로 계산시) 1.1중량%로 수득한다.
반응기에서 액체를 회수하여 반응 혼합물중의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 3중량%을 수득한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물질 밸런스를 사용하여 하기 결과를 수득할 수 있다.
a) 반응압력 : 16바(절대압)
b)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 : 91.2%
c) 142b 생성양에 대한 143a 형성양의 비율 :
d) 142b 생성양에 대한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의 형성양의 비율 :
[표 2]
[실시예 3]
실시예 1의 반응기를 사용한다. 반응 압력을 11바(절대압)로 조절하고,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75℃로 조절한다.
오염화 안티몬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중의 안티몬 함량을(Sb 금속으로 계산시) 1.3중량%로 수득하고, 반응기로부터 액체를 회수하여 반응 혼합물중의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 52중량%(본 발명에 따라 추천된 역치보다 높은 수치)를 수득한다.
하기 표 3에 나타낸 작업용 물질 밸런스를 사용하여 하기 결과를 수득한다:
a) 반응압력 : 11바(절대압)
b)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 : 90.4%
c) 142b 생성양에 대한 143a 형성양의 비율 :
d) 142b 생성양에 대한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의 비율 :
실시예 1 및 2와 비교시, 바람직하지 못한 143a의 형성양 비율은 약 5배 높다.
[표 3]
(1) 안티몬 금속
(2)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유기할로겐화 부산물
[실시예 4]
본 발명에서 추천한 역치 미만의 저압하에 반응을 수행한다. 실시예 1 및 2와 근사한 반응 온도 및 촉매 함량을 유지한다. 이들 조건하에 안정하게 작업하기 위해서는 반응 혼합물중의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의 함량을 크게 저하시킬 수 없으므로 이 함량은 추천된 역치보다 반드시 높다.
실시예 1의 반응기를 사용한다. 반응 압력을 4.5바(절대압)로 조절하고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75℃로 조절한다.
오염화 안티몬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중의 안티몬 함량을 (Sb 금속으로 계산시) 1.3중량%로 수득한다.
반응기로부터 액체를 회수하여 반응 혼합물중의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 93중량%를 수득한다.
하기 표 4에 나타낸 물질 밸런스를 사용하여 하기 결과를 수득할 수 있다:
a) 반응압력 : 4.5바(절대압)
b)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전환도 : 92.5%
c) 142b 생성양에 대한 143a 형성양의 비율 :
d) 142b 생성양에 대한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의 비율 :
실시예 1 및 2와 비교시, 상기 압력으로는 형성되는 염산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없으며 143a치 140계열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의 비율이 높다.
[표 4]

Claims (10)

  1. a) 반응이 절대압 6-30바 하에 수행되고, b) 액체 반응 혼합물중의 촉매(들) 함량이 금속 중량%로 0.0510%이며, c) 반응 온도가 50-120℃에서 선택되고, d) 액체 반응 혼합물중의 1,1,1-트리클로로에탄, 1,1,1-디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 1,1,1-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 및 1,1,1-트리플루오로에탄 이외의 유기할로겐화 부산물 함량이 40중량% 미만으로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르화 촉매 존재하에 액체상 반응에 의해 1,1,1-트리클로로에탄 및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부터 1,1,1-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의 연속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이 절대압 10-20바 하에 수행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 촉매(들)가 Ⅴa족 원소의 할로겐화물에서 선택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 촉매(들)가 Ⅴa족 원소의 할로겐화물에서 선택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반응이 촉매로 클로로플루오르화화 안티몬 존재하에 수행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반응이 촉매로 플루오르화화 안티몬 존재하에 수행되는 방법.
  7. 제1 내지 3항 및 제4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주의 촉매(들) 함량이 0.1-5중량% 금속인 방법.
  8. 제1 내지 3항 및 제4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 온도가 70-100℃인 방법.
  9. 제1 내지 3항 및 제4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반응 혼합물중의 유기할로겐화 부산물 함량이 10중량% 미만으로 조절되는 방법.
  10. 제1 내지 3항 및 제4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반응 혼합물중의 유기할로겐화 부산물 함량이 반응계로부터 반응 생성물을 기체 및 액체 형태로 제거시 상호 조정함으로써 조절되는 방법.
KR1019900015730A 1989-10-03 1990-09-29 1,1,1-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 KR920009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912918A FR2652573B1 (fr) 1989-10-03 1989-10-03 Procede de fabrication du 1,1,1-chlorodifluoroethane.
FR8912918 1989-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847A KR910007847A (ko) 1991-05-30
KR920009790B1 true KR920009790B1 (ko) 1992-10-22

Family

ID=938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730A KR920009790B1 (ko) 1989-10-03 1990-09-29 1,1,1-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569793A (ko)
EP (1) EP0421830B1 (ko)
JP (1) JPH07100672B2 (ko)
KR (1) KR920009790B1 (ko)
AT (1) ATE90660T1 (ko)
AU (1) AU626728B2 (ko)
CA (1) CA2025809C (ko)
DD (1) DD299171A5 (ko)
DE (1) DE69001979T2 (ko)
ES (1) ES2055370T3 (ko)
FR (1) FR2652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4987B1 (fr) * 1991-12-17 1994-03-18 Atochem Procede ameliore de fluoration en phase liquide et produits organiques fluores en resultant.
FR2690687B1 (fr) * 1992-04-30 1995-01-27 Atochem North America Elf Procédé de production de fluorure de vinylidène.
US5434320A (en) * 1994-01-06 1995-07-1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cess for preparing dichlorofluoroethane and chlorodifluoroethane
US5639924A (en) 1994-11-29 1997-06-17 Elf Atochem North America, In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1,1,1-trifluoroethane
DE69628060T2 (de) * 1995-02-10 2003-12-18 Daikin Ind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fluormethan und Difluorchlormethan
FR2751324B1 (fr) 1996-07-16 1998-12-04 Atochem Elf Sa Synthese du 1,1,1-trifluoroethane par fluoration du 1-chloro-1,1,-difluoroethane
ES2230833T3 (es) 1998-01-16 2005-05-01 Alliedsignal Inc. Metodo de produccion de compuestos organicos fluorados.
KR101811070B1 (ko) 2009-12-16 2017-12-20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지혈 스폰지
SA111320355B1 (ar) 2010-04-07 2015-01-08 Baxter Heathcare S A إسفنجة لايقاف النزف
WO2011151384A1 (en) 2010-06-01 2011-12-08 Baxter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making dry and stable hemostatic compositions
RU2657955C2 (ru) 2012-03-06 2018-06-18 Ферросан Медикал Дивайсиз А/С Контейнер под давлением, содержащий гемостатическую пасту
JP6394916B2 (ja) 2012-06-12 2018-09-26 フェロサン メディカル デバイシーズ エイ/エス 乾燥止血組成物
JP6390873B2 (ja) 2013-06-21 2018-09-19 フェッローサン メディカル ディバイス エー/エス 減圧膨張させた乾燥組成物およびそれを保持するためのシリンジ
BR112016013322B1 (pt) 2013-12-11 2020-07-21 Ferrosan Medical Devices A/S métodos para preparação de uma composição seca e para reconstituir uma composição seca, composição seca, uso de uma composição seca, e, kit
CN106999621B (zh) 2014-10-13 2020-07-03 弗罗桑医疗设备公司 用于止血和伤口愈合的干组合物
US10653837B2 (en) 2014-12-24 2020-05-19 Ferrosan Medical Devices A/S Syringe for retaining and mixing first and second substances
RU2717356C2 (ru) 2015-07-03 2020-03-23 Ферросан Медикал Дивайсиз А/С Шприц для удерживания вакуума в состоянии хранения
MX2020011866A (es) 2018-05-09 2021-01-20 Ferrosan Medical Devices As Metodo para preparar una composicion hemostatic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7263B2 (ko) * 1972-04-25 1976-08-11
JPS557414B2 (ko) * 1972-08-31 1980-02-25
JPS5129404A (en) * 1974-09-03 1976-03-12 Central Glass Co Ltd 1* 1* 11 kurorujifuruoruetan no seizohoho
JPS5946211B2 (ja) * 1975-12-29 1984-1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1− クロロ −1,1− ジフルオロエタンマタハ / オヨビ 1,1,1− トリフルオロエタンオセイゾウスルホウホウ
SU1150919A1 (ru) * 1983-07-08 1986-05-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1619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дифторхлорметана
IT1202652B (it) * 1987-03-09 1989-02-09 Ausimont Spa Processo per la preparazione di 1,1,1-trifluoro-2,2-dicloroetano mediante idrofluorurazione in presenza di catalizzatori
ATE64179T1 (de) * 1987-07-01 1991-06-15 Goodrich Co B F Blindbefestigungselement.
FR2617475B1 (fr) * 1987-07-03 1989-12-01 Atochem Synthese du chloro-1 difluoro-1,1 ethane
TW209211B (ko) * 1988-07-29 1993-07-11 Du Pont
JPH0791202B2 (ja) * 1988-08-05 1995-10-04 旭硝子株式会社 1,1−ジクロロ−2,2,2−トリ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法
CA2100976A1 (en) * 1990-06-04 1991-12-05 Mario J. Nappa Fluorina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90660T1 (de) 1993-07-15
AU6366990A (en) 1991-04-11
FR2652573B1 (fr) 1991-12-13
AU626728B2 (en) 1992-08-06
JPH03130240A (ja) 1991-06-04
US5569793A (en) 1996-10-29
DD299171A5 (de) 1992-04-02
FR2652573A1 (fr) 1991-04-05
DE69001979T2 (de) 1993-10-14
ES2055370T3 (es) 1994-08-16
DE69001979D1 (de) 1993-07-22
KR910007847A (ko) 1991-05-30
EP0421830A1 (fr) 1991-04-10
CA2025809A1 (fr) 1991-04-04
CA2025809C (fr) 1995-09-19
EP0421830B1 (fr) 1993-06-16
JPH07100672B2 (ja) 199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790B1 (ko) 1,1,1-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
US5574192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1,1,1,3,3-pentafluoropropane
EP0455748B2 (en) Manufacture of 1,1,1,2-tetrafluoroethane
EP0734366B1 (en) Production of pentafluoroethane
KR100890544B1 (ko) 1,1,1-트리플루오로-2,2-디클로로에탄의 신규 제조 방법
US5345016A (en) Manufacture of 1,1,1,2-tetrafluoroethane
US3003003A (en) Manufacture of 1 chloro-2,2,2, trifluoro-ethane
CA2044784C (en) Process for preparing 1-chloro-2,2,2-trifluoroethane
WO2000003962A1 (fr) Procede pour produire du fluoroethane
US6392106B1 (en) Process for producing 1,1,1,2,2-pentafluoroethane
US4966988A (en) Process for preparing acetonitrile 3-trifluoromethyl benzene
JP3886168B2 (ja) 1−クロロ−1− フルオロエタン及び/又は1,1−ジ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方法
EP078174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3,4,5-Tetrafluor-benzotrifluorid
KR100344864B1 (ko) 디플루오로메탄의제조방법
EP0788469B1 (en) Production of hydrofluoroalkanes
EP0426343B1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1,1-dichlorotetrafluoroethane
US5780691A (en) Process for producing 1,1,1,2,3,3,3,-heptafluoroprane
US5055624A (en) Synthesis of 1,1-dichloro-1,2,2,2-tetrafluoroethane
WO200611158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3,5-trifluor-2,4,6-trichlorbenzol aus fluorbenzolderivaten
US20020198418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1,1-trifluoro-2,2-dichloroethane
US5831136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high purity 1,1-dichlorotetrafluoroethane
KR100798009B1 (ko)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의 제조방법
US5559276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1,1,1,2-tetrafluoroethane
US5744658A (en) Chemical process
US11999673B2 (en) Process for catalytic conversion of mixtures of HCFO-1233zd(Z) and HCFC-244fa into HCFO-1233z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