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948Y1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948Y1
KR920008948Y1 KR2019900020555U KR900020555U KR920008948Y1 KR 920008948 Y1 KR920008948 Y1 KR 920008948Y1 KR 2019900020555 U KR2019900020555 U KR 2019900020555U KR 900020555 U KR900020555 U KR 900020555U KR 920008948 Y1 KR920008948 Y1 KR 920008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lmet
support
cove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804U (ko
Inventor
에이다로오 가마다
Original Assignee
쇼오에이 가꼬오 가부시기 가이샤
에이다로오 가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오에이 가꼬오 가부시기 가이샤, 에이다로오 가마다 filed Critical 쇼오에이 가꼬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3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42B3/127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with removable or adjustable pad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헬멧
제1도는 헬멧의 측면도.
제2도는 헬멧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화살표 확대 저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모자본체 및 내장덧받침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내장덧받침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헬멧의 앞부분 저면도.
제9도는 제4도의 Ⅸ-Ⅸ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모자본체 2 : 동체부(胴體部)
3 : 완충심부 4 : 귀덮개부
14 : 제1지지판 22 : 제2지지판
24 : 내장덧받침 29 : 제1부착판
33 : 고정돌출부 34 : 갈고리
35 : 오목부 43 : 제2부착판
44 : 결합구멍 45 : 결합돌기
45b : 확대고정부 46 : 귀덧받침
본 고안은 동체부와, 이 동체부의 내면에 장착하는 완충심부 등으로 모자본체와 구성되어 있고, 완충심부의 내면에는 직물제의 덮개가 씌워지는 내장덧받침을 배설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헬멧은, 예컨대 일본국 실개소 62-70130호 공보 등에 따라 공지 되어 있다.
그런데, 내장덧받침은 헬멧 착용자의 두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므로 더러워지기 쉽다. 따라서, 세탁 등 때문에 내장덧받침은 모자본체에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래의 것에서는 내장덧받침을 덮어씌우는 직물제 덮개에 완충심부의 하단면을 씌우는 덮개 연장부를 설치하여, 이 덮개연장부의 주연부에 삽입부품을 굳게 부착한 다음, 이 삽입부품을 동체부 및 완충심부 사이에 빼낸다던가 찔러넣을 수 있도록 삽입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동체부 및 완충심부 사이의 간극이 작고, 삽입부품의 그 간극에의 삽입조각, 즉 내장덧받침의 모자본체로의 부착 조작이 용이하다고는 말하기 어렵고, 또 삽입부품의 전술한 간극에의 삽입위치가 정하여져 있지 않으므로 내장덧받침의 모자본체에의 장착위치를 정확하게 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내장덧받침의 모자본체에의 장착위치를 정확하게 정하여 떼었다 붙였다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한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모자본체에는 완충심부의 앞부분 하단면을 덮어씌우는 지지판이 고정되어 있고, 덮개에는 지지판에 대향하는 부착판이 굳게 부착되어 있으며, 지지판 및 부착판에는 부착판의 지지판에 대한 일정한 부착위치를 규정하도록 맞물리는 위치 및 분리위치 사이에서의 부착판의 전후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부착판의 분리위치 및 맞물리는 위치에 따라서 양자 서로를 분리 및 맞물릴 수 있는 제1고정수단등이 설치되고, 내장덧받침의 후단부에는 모자본체의 후단부에 제2고정수단을 개재하여 걸었다 벗겼다 할 수 있도록 연결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안내수단에 따라서 안내하면서 부착판을 지지판에 대하여 전후로 움직임에 따라 부착판, 즉 내장덧받침의 앞부분의 모자본체에의 부착 및 떼어냄을 할 수 있고, 제1고정수단에 의한 연결 장착시에는 내장덧받침의 앞부분의 모자본체에 대한 위치결정을 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내장덧받침의 후단부를 모자본체의 후단부에 연결 장착함에 따라 내장덧받침을 일정위치에서 확실하게 모자본체에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및 그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가장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제6도에 있어서, 이 헬멧은 제트형의 것으로, 그 모자본체(1)는 외각을 이루는 경질 고강도 수지제의 동체부(2)안으로 발포스티롤제의 완충심부(3)가 밀착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동체부(2)에는 착용자의 귀부분 주변을 덮어씌우는 좌, 우 한쌍의 귀덮개부(4),(4)가 밑으로 드리우도록 일체로 연설되어 있고, 동체부(2)의 하단부에는 고무제의 가장자리부재(5)가 끼워 맞추어서 접착되어 있다. 또, 완충심부(3)는 양쪽 귀덮개부(4),(4)를 제외한 동체부(2)의 내면에 끼워 맞추어서 접착되어 있다.
모자본체(1)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18)을 개폐하기 위한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판(19)의 양단부는 모자본체(1)에 있어서의 창문(18)의 양측에서 선회축(20)에 따라 각기 축받침되어 있으며, 보호판(19)은 제1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폐쇄위치와 제1도의 쇄선으로 나타낸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 할 수 있다.
완충심부(3)의 전단측(前端側)내면에는 그 폭방향 중앙 가까이에서 모자본체(1)의 전후방향으로 뻗은 2줄기의 앞부분 통풍홈(6a),(6a)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 완충심부(3)의 후단측 내면에는 앞부분 통풍홈(6a),(6a)에 대응하는 2줄기의 뒷부분 통풍홈(6b),(6b)이 전후방향으로 뻗어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통풍홈(6a),(6a) ; (6b),(6b)은 완충심부(3)의 내면 정상부에서 이 완충심부(3)의 내면과 면이 하나로 되도록 완충심부(3)의 내면 정상부를 향함에 따라서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앞부분 통풍홈(6a)의 전단부는 완충심부(3)에 천설된 한쌍의 관통구멍(7)으로 각기 연통되어, 각 관통구멍(7)은 동체부(2)의 앞 부분에 설치하게 되는 한쌍의 도입구(8)에 각기 연통하고 있다. 또,동체부(2)의 앞부분 바깥면에는 이들의 도입구(8)를 개폐하도록 유동식 개폐뚜껑(9)이 부착되어 있다. 나아가서, 동체부(2)의 하단부에 끼워 장착되어 있는 가장자리부재(5)에 있어서, 모자본체(1)의 뒷부분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외관을 루우버(louver)형상으로 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여러 줄기의 돌기가 상하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피복부(1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피복부(10)는 동체부(2)의 뒷부분 하단 바깥면을 씌운다. 더욱이. 전술한 피복부(10)에는 완충심부(3)에 있어서의 각 뒷부분 통풍홈(6b) 에 연통하는 2개의 도출구(導出口)(11),(1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헬멧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자동2륜차의 주행시에 도출구(11),(11)에 발생하는 부압에 따라 각 뒷부분 통풍홈(6b) 에는 도출구(11),(11)로 향한 공기흐름이 발생한다.
제7도∼제9도를 함께 참조하여, 완충심부(3)에 있어서의 뒷부분을 제외한 하단부 안쪽면에는 유연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시이트(12)가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양 앞부분 통풍홈(6a)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지지시이트(12)에는 적당한 정도의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덮개판(23)이 부착되어 있고, 이 덮개판(23)에 따라 양 앞부분 통풍홈(6a)내에 지지시이트(12)가 밀려들어가는 것을 회피하게 된다. 또, 지지시이트(12)에는 통기성을 갖도록 비교적 큰 그물코로 짜여진 지지포(支持布)가 꿰매어져 있고, 완충심부(3)의 앞부분 하단면을 씌우는 제1지지판(14)이 지지포(13)에 꿰매어 붙여져 있다. 제1지지판(14)은 비교적 강성이 높은 합성수지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완충심부(3) 및 동체부(2) 사이에 찔러 넣게 될 삽입부(15)를 구비하고, 횡단면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전체로서 완충심부(3)의 앞부분 하단면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포(13)의 제1지지판(14)을 제외한 부분의 주연부 및 제1지지판(14)의 삽입부(15)가 완충심부(3)의 바깥면에 접착되어서 동체부(2)와의 사이에 끼워들어가서 지지포(13)는 완충심부(3)의 앞부분 및 양측부 하단면을 씌운다. 더욱이, 제1지지판(14)에는 한쌍의 연통구멍(16),(16)은 완충심부(3)의 앞부분 양측부 하단면에 설치된 연통홈(17)을 개재하여 앞부분 통풍홈(6a),(6a)의 전단(前端)으로 연통하게 된다.
한편, 모자본체(1)의 뒷부분 하단에 있어서, 완충심부(3)의 바깥면에는 완충심부(3)의 뒷부분 하단면을 덮어씌우는 지지포(21)의 단부가 접착되어 동체부(2)와의 사이에 끼워 들어가 있고, 이 지지포(21)에는 완충심부(3)의 뒷부분 하단면을 씌우는 제2지지판(22)이 꿰매어 붙여져 있다. 그리고, 지지포(21)는 비교적 큰그물코로 짜여진 것이며, 제2지지판(22)은 비교적 강성이 높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모자본체(1)에는 완충심부(3)의 안쪽으로 배치되는 내장덧받침(24)이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내장덧받침(24)은 헬멧 착용자의 머리쪽 부분에 접촉하도록 기본적으로는 머리띠 모양으로 형성되는 옆부분 덧받침(25)과, 헬멧 착용자의 머리 정상부에 맞닿게 되는 천정덧받침(26)이 일체와 되어 있다.
옆부분 덧받침(25)의 표면 전체는 통기성을 지닌 직물제의 덮개(27)로 씌워져 있다. 더욱이, 이 덮개(27)에는 모자본체(1)의 앞부분 및 양쪽 옆부분에서 완충심부(3)의 하단면을 씌우는 덮개연장부(28)가 연장 설치되어 있고, 이 덮개연장부(28)에는 제1지지판(14)에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도록 연결 부착되는 제1부착판(27)이 꿰매어 붙여져 있다. 이 제1부착판(29)은 비교적 강성이 높은 합성수지로 완충심부(3)의 앞부분 하단면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제1지지판(14)에 대향한다. 더욱이, 제1부착판(29)의 둘레방향 양단부 가까이의 전단에는 완충심부(3) 및 동체부(2) 사이에 끼워들기 위한 한쌍의 삽입부(30),(30)가 설치되어 있고, 제1부착판(29)의 둘레방향 양단에는 나중에 설명하는 귀덧받침(46)과 완충심부(3)사이에 끼워두기 위한 좌우 협지부(俠持部)(31),(31)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제1부착판(29) 및 제1지지판(14)에는 제1부착판(29)의 제1지지판(14)에 대한 일정한 부착위치를 규정하도록 맞물리는 위치 및 분리위치 사이에서의 제1부착판(29)의 전후로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수단(G)과, 제1부착판(29) 및 제1지지판(14)을 걸었다 벗겼다 할 수 있도록 연결 부착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E1) 등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수단(G)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제1지지판(14)에 설치하는 3개의 결합부(32)와, 각 결합부(32)에 대응하여 제1부착판(29)에 설치되는 3개의 오목부(35)등을 구비하고 있다. 각 결합부(32)는 제1지지판(14)의 일부를 그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잘라 일으킴에 따라, 제1지지판(14)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설치된 것으로, 각 오목부(35)는 대응하는 결합부(32)에 끼워 맞추도록 제1부착판(29)의 전단부는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32)에 각 오목부(35)를 끼워 맞춤에 따라 제1부착판(29)을 일정한 부착위치에서 맞물리는 위치 및 분리 위치 사이에서 안내할 수 있다.
또, 제1고정수단(E1)은 각 결합부(32)의 후단부 상면에 각기 설치된 갈고리(34)와 이들 갈고리(34)에 결합하도록 각 오목부(35)의 전단부 하면에 각기 돌출 설치되는 고정돌출부(33)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고정수단(E1)에서는 안내수단(G)에 따라 제1부착판(29)을 일정한 부착위치로 규정하면서 제1지지판(14)에 대하여 후방의 분리위치로부터 전방의 맞물리는 위치에로 움직여서 밀어넣음에 따라 각 고정 돌출부(33)가 대응하는 갈고리(34)에 탄발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이 고정상태로부터 제1부착판(29)을 후방측으로 움직이도록 조작하면 고정 돌출부(33)의 갈고리(34)와 탄발적으로 맞물리는 상태가 해제되어 제1부착판(29)이 제1지지판(14)으로부터 벗겨지게 된다.
제1부착판(29)의 하면에는 각 오목부(35) 상호간에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융기량(隆起量)을 크게 하여 하방으로 융기한 상자형의 융기부(36)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융기부(36)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향하여 개구한 여러개의 분출구(37)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부착판(29)을 제1지지판(14)에 결합한 상태에서 융기부(36)와 제1지지판(14) 사이에는 제1지지판(14)에 설치한 연통구멍(16)으로 통하는 통로(38)가 각기 형성되어 각 분출구(37)는 통로(38), 연통구멍(16) 및 연통홈(17)을 거쳐 각 앞부분 통풍홈(6a),(6a)의 전단으로 통하게 된다.
천정덧받침(26)은 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천정덧받침(26)은 그 좌우 양단을 자유단으로 하면서 전후 양단부가 옆부분 덧받침(25)의 전후 단부에 각기 꿰매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천정덧받침(26)의 내면에는 완충심부(3)의 내면에 있어서의 한쌍의 앞부분 통풍홈(6a),(6a) 및 한쌍의 뒷부분 통풍홈(6b),(6b) 에 대응하는 한쌍의 통풍홈(40),(40)이 설치되어 있고, 내장덧받침(24)을 모자본체(1) 내에 장착하였을 때에 양쪽 통풍홈(40),(40)을 앞부분 통풍홈(6a),(6a)에 연통시키는 한쌍의 안내구멍(41),(41)과 한쌍의 통풍홈(40),(40)을 뒷부분 통풍홈(6b),(6b)에 연통시키는 한쌍의 안내구멍(42),(42)이 천정뒷받침(26)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헬멧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자동2륜차의 주행시에 도출구(11),(11)에 부압이 발생하면 앞부분 통풍홈(6a),(6a), 안내구멍(41),(41), 통풍홈(40),(40) 및 안내구멍(42),(42)을 거쳐 뒷부분 통풍홈(6b),(6b)으로 향한 공기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또, 내장덧받침(24)에 있어서의 옆부분 덧받침(25)의 후단부에는 제2지지판(22)으로 대향하는 제2부착판(43)이 꿰매어 부착되어 있다.
이 제2부착판(43)은 비교적 강성이 높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으로, 제2지지판(22) 및 제2부착판(43)은 제2고정수단(E2)을 개재하여 걸었다 벗겼다 할 수 있도록 연결 부착되어 있다. 이 제2고정수단(E2)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2지지판(22)에 설치되는 한쌍의 결합구멍(44)과, 각 결합구멍(44)에 탄발적으로 맞물도록 제2부착판(43)에 돌출 설치되는 한쌍의 결합돌기(45)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쪽 결합돌기(45)는 축(45a) 의 선단에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작은 지름으로 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확대고정부(45b)의 최대 바깥지름은 결합구멍(44)의 안지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확대고정부(45b)를 결합구멍(44)으로 밀어넣음에 따라, 결합돌기(45)가 결합구멍(44)으로 탄발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각 귀덮개부(4),(4)의 내면에는 착용한 사람의 귀부분을 수용하는 귀덧받침(46),(46)을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각기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귀덧받침(46)은 완충심부(3)의 하단과의 사이에 착용한 사람의 귀부분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비교적 강성이 높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판(47)의 내면에 각기 굳게 부착되어, 이 지지판(47)이 귀덮개부(4)에 각기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연결 부착되어 있다.
모자본체(1)를 헬멧을 착용한 사람의 머리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서로 체결할 수 있는 한쌍의 턱벨트(48)의 일단이 귀덮개부(4),(4)에 리벳(rivet)(49)을 개재하여 각기 굳게 부착되어 있고, 이러한 턱벨트(48)는 지지판(47)에 각기 설치된 삽통구멍(50)을 관통하여 안쪽으로 뻗게 하고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내장덧받침(24)을 모자본체(1)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제1부착판(29)을 그 각 오목부(35)가 각 결합부(32)에 각기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지지판(14)에 겹친 상태에서 전방으로 움직이면서 밀어넣는다. 그런 다음, 안내수단(G)에 따라 일정한 맞물리는 위치에서 제1부착판(29)이 분리 위치에서 맞물리는 위치에로 안내하게 되어 각 고정돌출부(33)가 결합부(32) 및 제1지지판(14) 사이에 밀려들어가서 고정돌출부(33)가 갈고리(34)에 탄발적으로 맞물려서 제1고정수단(E1)에 따라 제1부착판(29)이 제1지지판(14)에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제1고정수단(E1)에 의한 결합상태에서 한쌍의 삽입부(30)를 완충심부(3) 및 동체부(2) 사이에 밀어넣음과 동시에 한쌍의 좌우 협지부(31)를 귀덧받침(46) 및 완충심부(3)사이에 밀어넣음에 따라 내장덧받침(24)의 앞부분이 모자본체(1)의 일정위치에 고정한게 된다. 이어서, 내장덧받침(24)의 후단부를 제2고정수단(E2)에 따라 모자본체(1)의 후단부에 연결 부착함에 따라 내장덧받침(24)의 모자본체(1)에의 부착이 완료하게 되어 부착 조작이 매우 용이하다.
이와 같은 내장덧받침(24)이 모자본체(1)에의 부착에 있어서, 안내수단(G)으로 일정한 맞물리는 위치에서 제1부착판(29)을 안내하면서, 제1고정수단(E1)에 따라, 제1부착판(29)을 제1지지판(14)에 맞물림으로 내장덧받침(24)의 모자본체(1)의 부착위치가 정하여 진다.
그런데, 내장덧받침(24)을 부착한 모자본체(1)를 쓰고 자동2륜차를 주행시킬 경우에는 모자본체(1)의 전단의 도입구(8)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주행풍이 이 도입구(8)로부터 앞부분 통풍홈(6a)에 도입되어 도입된 일부의 공기는 안내구멍(41), 통풍홈(40), 안내구멍(42) 및 뒷부분 통풍홈(6b)을 유통하여 도출구(11)로부터 외부에 빨려나오게 되어 모자본체(1)안의 환기를 좋은 효율로 실행할 수 있다.
또, 자동2륜차의 주행시에 보호판(19)을 제1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폐쇄위치로 한 상태에서 헬멧을 착용한 사람이 머리를 숙여 앞으로 기울인 자세로 있을 때에는 주행풍이 보호판(19)의 안쪽으로 침입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한 도입구(8)로부터 모자본체(1)내에 도입된 공기중의 일부는 연통홈(17), 연통구멍(16), 통로(38)를 거쳐 여러개의 분출구(37)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분출된다. 이 때문에, 보호판(19)을 폐쇄위치로 한상태에서는 분출구(37)로부터 보호판(19)의 내면으로 향하여 공기가 분출된다. 한편, 헬멧을 착용한 사람이 앞으로 기울인 자세에 있는 자동2륜차의 주행시에 보호판(19)의 안쪽에서는 이 보호판(19)의 하방으로 향한 공기 흐름이 발생하게 되어 분출구(37)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보호판(19)의 내면으로 잇따라서 하방으로 유통하게된다. 따라서, 헬멧을 착용한 사람의 날숨때문에 보호판(19)이 흐려지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본 고안은, 이상의 실시예와 같은 제트형 헬멧 뿐만 아니라, 풀페이스형 헬멧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제2고정수단(E2)은 결합구멍(44) 및 결합돌기(45)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뿐 아니라, 면패스너(面 fastener)등을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Claims (7)

  1. 동체부와, 이 동체부의 내면에 끼워 장착되는 완충심부 등으로 모자본체가 구성되어 있고, 완충심부의 내면에는 직물제 덮개로 씌워지는 내장덧받침을 배설된 헬멧에 이어서, 모자본체에는 완충심부의 앞부분 하단면을 씌우는 지지판이 고정되어 있고, 덮개에는 지지판에 대향하는 부착판이 굳게 부착되어 있으며, 지지판 및 부착판에는 부착판의 지지판에 대한 일정한 부착위치를 규정하도록 맞물리는 위치 및 분리위치 사이에서의 부착판의 전후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부착판의 분리위치 및 맞물리는 위치에 따라서 양자 서로를 분리 및 맞물릴 수 있는 제1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내장덧받침의 후단부에는 모자본체의 후단부에 제2고정수단을 개재하여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연결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수단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서 지지판의 일부를 하방으로 잘라 일으켜서 형성되는 여러개의 결합부와, 각 결합부에 끼워 맞추도록 부착판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여러개의 오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3. 제2항에 있어서, 제1고정수단은 각 결합부의 후단부 상면에 각기 설치된 갈고리와, 이들 갈고리에 맞물도록 각 오목부의 전단부 하면에 각기 돌출 설치되는 고정돌출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4. 제1항에 있어서, 동체부에는 착용한 사람의 귀부분 주변을 씌우도록 좌우 한쌍의 귀덮개부가 일체로 연설되어 있고, 귀덮개부의 내면에는 귀덧받침이 배설되어 있으며, 부착판의 좌우 양단에는 귀덧받침과 완충심부 사이에 끼워두는 좌우 협지부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고정수단은 완충심부의 뒷부분 하단 내측면과 굳게 부착된 제2지지판에 설치되는 결합 구멍과, 이 결합구멍에 탄발적으로 맞물리도록 제2지지판에 대향하도록 내장덧받침의 후단부에 굳게 부착된 제2부착판에 돌출 설치되는 결합돌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6. 제5항에 있어서, 결합돌기는 축의 선단에 향함에 따라서 작은 지름으로 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확대고정부가 단턱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이루어져 있고, 확대고정부의 최대 바깥지름은 결합구멍의 안지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7.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고정수단은 면패스너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KR2019900020555U 1990-08-20 1990-12-22 헬멧 KR92000894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86857U JPH0623527Y2 (ja) 1990-08-20 1990-08-20 ヘルメット
JP86857 1990-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804U KR920003804U (ko) 1992-03-25
KR920008948Y1 true KR920008948Y1 (ko) 1992-12-26

Family

ID=1389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555U KR920008948Y1 (ko) 1990-08-20 1990-12-22 헬멧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88129A (ko)
EP (1) EP0473857B1 (ko)
JP (1) JPH0623527Y2 (ko)
KR (1) KR920008948Y1 (ko)
CA (1) CA2032407A1 (ko)
DE (1) DE6901232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9508A (ja) * 1986-12-17 1988-07-02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ツト
US5481759A (en) * 1993-12-03 1996-01-09 Rinaldi; Robert Expandable baseball hat and cover
JP2853850B2 (ja) * 1996-03-01 1999-02-03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の内装体用パッド及びその内装体
JP3675976B2 (ja) * 1996-07-30 2005-07-27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JP3955127B2 (ja) * 1997-05-19 2007-08-08 学 根本 ヘルメット
US6298483B1 (en) * 1997-09-03 2001-10-09 Paul Schiebl Protective headgear and chin pad
US5890232A (en) * 1997-11-25 1999-04-06 Park; Nam-Tae Helmet with an air cushion buffer
JP2904416B1 (ja) * 1998-06-23 1999-06-14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JP2948582B1 (ja) * 1998-07-31 1999-09-13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
JP4592870B2 (ja) 2000-05-01 2010-12-0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US20020153753A1 (en) * 2000-08-31 2002-10-24 Kenzou Kassai Heat protective structure of nursery equipment, head protective pad, and infant safety seat for car
US20140068842A1 (en) 2012-09-12 2014-03-13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padding system
US7398562B2 (en) * 2004-03-10 2008-07-15 Easy Rhino Designs, Inc. Article with 3-dimensional secondary element
JP4948893B2 (ja) * 2006-05-09 2012-06-06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およびその脱着方法
US8069499B2 (en) 2006-05-15 2011-12-06 Shoei Co., Ltd. Helmet shield attaching mechanism, and helmet attached with the same
JP4976153B2 (ja) * 2007-02-06 2012-07-1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サイズの調整方法
JP5041906B2 (ja) * 2007-08-07 2012-10-03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US20090113607A1 (en) * 2007-11-02 2009-05-07 Yao-Gwo Gan Connection of goggle and mask
JP5103290B2 (ja) * 2008-06-10 2012-12-19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用またはゴーグル用のシールド構造およびこのようなシールド構造を備えているヘルメット
US20110231977A1 (en) * 2009-12-11 2011-09-29 Rupnick Charles J Helmet cooling device
FR2956565B1 (fr) * 2010-02-19 2012-02-10 Msa Gallet Casque de protection
US20110203038A1 (en) * 2010-02-19 2011-08-25 Jones Jr James Donald Custom fit helmet and its method of making
USD666779S1 (en) 2011-06-15 2012-09-04 A7 Helmet Systems, Llc Helmet padding
US9370215B1 (en) * 2012-03-08 2016-06-21 Protective Sports Equipment International Inc Helmet cover
US10149511B2 (en) * 2012-09-28 2018-12-11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Protective headgear system
USD752814S1 (en) 2013-08-13 2016-03-29 Smith Optics, Inc. Helmet
US10736373B2 (en) 2013-08-13 2020-08-11 Smith Optics, Inc. Helmet with shock absorbing inserts
USD752294S1 (en) 2013-08-13 2016-03-22 Smith Optics, Inc. Helmet
USD795500S1 (en) 2013-08-13 2017-08-22 Smith Optics, Inc. Helmet
AU2014324519A1 (en) * 2013-09-27 2016-03-24 Bell Sport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helmet components and liners
US11744312B2 (en) 2014-02-21 2023-09-05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padding system
US11730222B2 (en) 2014-02-21 2023-08-22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padding system
US11253771B2 (en) 2014-02-21 2022-02-22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padding system
US11659882B2 (en) 2014-02-21 2023-05-30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padding system
US10993496B2 (en) 2014-02-21 2021-05-04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padding system
USD773120S1 (en) 2014-07-25 2016-11-29 Smith Optics, Inc. Helmet
US20170215511A1 (en) * 2014-08-01 2017-08-03 Ivan Matteo ALBANI Safety helmet
US10893718B2 (en) * 2014-10-09 2021-01-19 Gentex Corporation Individually conforming impact attenuating liner for a helmet
JP6081511B2 (ja) * 2015-02-26 2017-02-1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野球用ヘルメット
USD817553S1 (en) 2016-10-31 2018-05-08 Smith Optics, Inc. Helmet
USD822905S1 (en) 2016-10-31 2018-07-10 Smith Optics, Inc. Helmet
US11540577B2 (en) 2020-03-12 2023-01-03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system
US11540578B2 (en) 2020-03-12 2023-01-03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system
JP7288889B2 (ja) * 2020-10-19 2023-06-0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及びチーク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8419C (de) * 1930-09-26 Robert Larsen Einlage fuer Kopfbedeckungen, insbesondere fuer Stahlhelme
US2738508A (en) * 1953-02-11 1956-03-20 Cairns Edward Headgear
CH467591A (de) * 1965-11-18 1969-01-31 Tempelhof Ets Helm
DE2210205B1 (de) * 1972-03-03 1973-03-22 Fa. Hans Römer, 7910 Neu -Ulm Innenausstattung fuer schutzhelme
US4282610A (en) * 1978-01-16 1981-08-11 The Kendall Company Protective headgear
FR2566632B3 (fr) * 1984-07-02 1986-09-19 Guerre Berthelot Pierre Dispositif de casque de protection pour motocyclistes ou similaires avec element amortiseur de choc interchangeable
US4612675A (en) * 1985-03-07 1986-09-23 Bell Helmets Inc. Helmet with adjustable ventilation
JPS6270130A (ja) * 1985-09-19 1987-03-31 Sharp Corp 用紙処理装置
JPH02407Y2 (ko) * 1985-10-17 1990-01-08
GB8630459D0 (en) * 1986-12-19 1987-01-28 Secr Defence Impact protection helmet
JPH0538008Y2 (ko) * 1987-01-19 1993-09-27
CA1290500C (en) * 1987-07-16 1991-10-15 Safeco Mfg. Inc. Harness, headband and liner attachment means for fire fighter helmets
JPH026606A (ja) * 1988-06-14 1990-01-10 Michio Arai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804U (ko) 1992-03-25
EP0473857A1 (en) 1992-03-11
EP0473857B1 (en) 1994-09-07
DE69012324T2 (de) 1994-12-22
CA2032407A1 (en) 1992-02-21
JPH0444324U (ko) 1992-04-15
US5088129A (en) 1992-02-18
DE69012324D1 (de) 1994-10-13
JPH0623527Y2 (ja) 199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948Y1 (ko) 헬멧
KR920010985B1 (ko) 제트형 헬멧
EP0479406A2 (en) Helmet
US20010034895A1 (en) Inside pad for helmet and helmet using this inside pad
US20070011797A1 (en) Full-face-type helmet
EP0479407A2 (en) Helmet
JP2718914B2 (ja) 安全用ヘルメットにおけるマスクの取付構造
JPH0638090Y2 (ja) ヘルメット
JPH0470408B2 (ko)
JPH0444590Y2 (ko)
JPH0634330Y2 (ja) ヘルメット
JPH0519296Y2 (ko)
JPH0437858Y2 (ko)
JP2000080514A (ja) ヘルメット
JPH0627613Y2 (ja) ヘルメット
JPH10204717A (ja) ヘルメット
JPH057212Y2 (ko)
JPH0441135Y2 (ko)
JPH0437857Y2 (ko)
JPH0519292Y2 (ko)
JPH0726335Y2 (ja) ヘルメット
JP2503503Y2 (ja) ヘルメット
JPH0441137Y2 (ko)
JPH0532499Y2 (ko)
JPH05192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