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833B1 -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 Google Patents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833B1
KR920008833B1 KR1019890016713A KR890016713A KR920008833B1 KR 920008833 B1 KR920008833 B1 KR 920008833B1 KR 1019890016713 A KR1019890016713 A KR 1019890016713A KR 890016713 A KR890016713 A KR 890016713A KR 920008833 B1 KR920008833 B1 KR 920008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ver
contactor
fing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563A (ko
Inventor
파파아르 앙드레
Original Assignee
텔레메카니끄
알랭 카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메카니끄, 알랭 카리아 filed Critical 텔레메카니끄
Publication of KR900008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1H89/06Combination of a manual reset circuit with a contactor, i.e. the same circuit controlled by both a protectiv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 H01H89/08Combination of a manual reset circuit with a contactor, i.e. the same circuit controlled by both a protectiv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with both devices using the same contact p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cam or eccen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6Bases; Casings; Covers having windows; Transparent case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05Inversing cont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제1도는 2개의 접촉기가 조합된 본 발명의 록기구의 개략측면도.
제2도∼제5도는 제1도의 기구의 특정 부분을, 회전제어손잡이의 4위치에 대해서 각각 도시한 일부 절단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한접촉기의 부분 개략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록기구의 록해제 장치를 도시한 측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스위치 2a, 2b : 누름자블록
3a, 3b, 9a, 9b, 11, 20, 23, 31, 39 : 스프링 4a, 4b, A', B', 37, 51 : 레버
5a, 5b, 8, 19 : 축 6a, 6b : 롤러
7, 12, 14∼16, 50 : 캠 10 : 회전제어손잡이
13, 24, 26, 36 : 핑거 17, 30 : 트리거
18, 25, 29 : 단차부 21 : 도그
22 : 피벗 27 : 평탄면
32 : 전송레버 35 : 노치부
A, B : 전자석 D, D' : 디스크
R, R' : 주행궤도
본 발명은 제어용 전자석에 의해서 개폐가능한 적어도 1세트의 스위치를 갖춘 종류의 제한접촉기용의 록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접촉기는 접촉기능을 지니거나, 그밖에 과부하 검출기와 조합되어 제한기능에 상당하는 고속개방기능를 제공하는 장치에 의해서만 개방된다.
상기 제한기능은 접점개폐기능에 대해 우선권을 지니며, 그것은 단락발생시 스위치를 가능한한 빨리 개방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스위치는 적절한 다른 기구에 의해서 제어되어 개방되며, 전자석에의 전원 차단은 스위치가 차단된 것이 확인된 때에만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이 극히 높고 고속으로 동작하는 반면 비교적 저렴한 상기 종류의 록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제한접촉기를 나란히 장착해서 형성한 절환형식의 제한접촉기와도 조합가능한 상기와 같은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 안정위치인 "스톱", "자동", "트립", 위치와 과도적인 "리세팅"위치를 취하는 상기 종류의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누름자블록에 작용하고 또 고정축을 중심으로 분절된 적어도 1개의 레버를 설치하고, 이 레베어, 탄성수단에 의해서 캠의 외주에 접촉하는 롤러에 의해 바람직하게 형성한 베어링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캠을 록된 자동동작위치 즉 상기 레버가 누름자블록으로부터 떨어져서 유지되어 스위치가 폐쇄가능한 위치로부터, 트립위치, 즉, 레버가 누름자블록에 작용하여 스위치가 개방위치를 유지되는 위치를 향해서 변위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상기 종류의 기구에 의해서 달성된다.
단, 이 경우, 록된 위치에 있어서는, 스위치의 가동접점이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정상 폐쇄위치로 되며, 접점개폐기능을 갖춘 전자석의 누름자블록에 대한 작용에 의해 작동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구는 적어도 1개의 누름자블록에 작용하는 2개의 레버로 구성되며, 이들 2개의 레버는 각각의 축을 증심으로 분절되어 있는 동시에, 각 레버는 탄성수단에 의해 캠의 외주면상에 접촉되는 베어링면을 지닌다. 또, 상기 베어링면과 일직선상의 캠의 폭이 최대로 되는 록된 자동동작위치로부터, 상기 폭이 최소로 되고 또 레버가 누름자블록에 작용하여 스위치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트립위치를 향해서 변위시키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 장치의 캠이 록이 해제되어 이것에 직교하는 그의 축에 대해서 자유로이 회전하는 경우, 해당 캠이 접촉하는 롤러가 그의 탄성복귀수단에 의해서 캠을 꽉 쥐고 그의 폭이 최소로 되는 위치를 향해서 그것을 회동시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 캠에 접촉하는 베어링면은 동시에 서로 이동해서 레버를 진동시켜, 그의 자유단부가 스위치의 개방방향으로 누름자블록을 누른다.
본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레버가 Z자형상을 가지며, 이 Z자의 굴곡부부근에서 분절되어 있으며, 이 분절부와 같은 쪽에 위치된 그의 자유단부에는 대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그의 다른 쪽의 자유단부는 대응하는 누름자블록과 대향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누름자블록 및 해당스위치에 대한 효과적이고 잘 조정된 하강작용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기구의 캠을 S자형상으로 하고, 그 외주에 상기 롤러를 당접시키면 유리하다.
상기 캠을, 일단부에서 제어손잡이와 고착된 수직축상에 자유롭게 장착하고, 또 로킹 및 제어 캠을 설치함과 동시 해당 축을 에워싼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스톱"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면 유리하다. 그래서, 이 손잡이를 회전시켜 이 기구를 "스톱", "자동", "리세트"위치로 변화시킨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캠을 그의 록위치로 미는 핑거에 고정시켜도 된다. 이 록위치에서는, 캠이 트리거와 결합하여 회전을 억제한다. 이때, 캠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고장검출릴레이에 의해서 상기 트리거를 동작시킴으로써 해제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장치의 중심축에는 외주에 노치가 형성된 제어캠을 설치하고, 레버에 장착된 핑거를 상기 노치속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접촉기"기능을 제공하는 전자석을 여자하는 회로에 직렬로 장착된 스위치를 폐쇄시키도록 하면 유리하다. 이것은 장치의 "자동동작"위치에 해당한다.
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기구는 스프링에 대항하여 고정축상에서 선회하기 위하여 장착된 도그(dog)를 갖추고 있으며, 이것을 2개의 트리거로 록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들 트리거는 각각 고장검출릴레이로 해제 가능하다. 상기 트리거중의 1개를 상기 S자형상의 메인 캠의 록용으로 하고, 이것을 고장검출릴레이에 의해서 제어하는 반면, 다른 쪽의 트리거는 다른 고장검출릴레이로 제어되도록 하여, 이들 트리거는 서로 접속되는 것도 있고 또는 접속되지 않는 것도 있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기구를 절환방식의 제한접촉기로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레버를, 조작되는 스위치조립체에 대응하는 누름자블록에 동시에 작용시킨다.
이후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구는 각각 3개의 접점으로 구성된 2그룹의 스위치(1a), (1b)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그룹의 가동접점은 누름자블록(2a) 또는 (2b)에 의해 동시에 작동된다. 상기 누름자블록은, 각 그룹의 가동접점을 폐쇄방향으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스프링(3a) 또는 (3b)에 대항해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3개의 접점을 개방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이들 두 누름자블록(2a), (2b)에 조합된 각 부재는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하여 각각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문자(a), (b)를 붙여서 표시한다.
각 누름자블록(2)은 레버(A') 또는 (B')를 통해서 전자석(A) 또는 (B)에 의해 늘리거나 분리되며, 각 스위치(1)는, 각각의 전자석이 여자되면 스프링(A") 또는 (B")에 대항해서 폐쇄된다.
또, 각 누름자블록(2)은, 레버(4)의 일단부에 의해서도 스위치(1)쪽으로 눌리도록 해도 된다. 이를 위해서, 이 레버가 Z자형상으로 형성되며, 관계되는 누름자블록과는 반대쪽의 Z자의 선단부 근방에서 레버평면에 직교하는 축(5)을 중심으로 분절된다. 이 레버(4)의 타단부에는, 롤러(6)가 지지되어 있으나, 이 롤러의 축은 실제로 레버평면내에 연장되고 또 이것이 지지되어 있는 Z자의 다리의 연장선상에 위치된다. 이들 2개의 롤러(6)는 각각, 이들 양자에 공통인 캠(7)에 접촉하고 있으나, 이 캠은 실질적으로 롤러(6)의 평면내에 위치하고, 축(5)에 수직인 축(8)상에 자유로이 장착되어 있다. 또, 롤러(6)는 인장스프링(9)에 의해서 캠(7)의 외주에 접촉되는 동시에, 각각의 이동이 디스크(D) 또는 (D')에 의해서 안내되며, 이들 디스크는 롤러의 이동축에 평행한 주행궤도(R), (R')상을 자유로이 회동한다.
축(8)의 타단부에 고착된 회전제어손잡이(10)에 의해서, 이 축(8)은 나선형 복귀스프링(11)에 대항해서 도면의 화살표(F1)와 같이 회동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축(8)을 둘러싸고 있는 스프링(11)은 상기 축(8)을 "스톱"위치로 복귀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 이 축(8)에는, 이 축과 직교하는 3개의 궤도를 지닌 캠(12)과, 축(8)에 평행하고 또 캠(7)의 평면에 돌출한 핑거(13)가 고착되어 있다.
다음에,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나, 이들 도면에는, 스위치(1)의 누름자블록(2), Z자형 레버(4) 및 캠(7)의 외주면에 이어서 롤러(6)가 분해평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 이들 도면에는, 3개의 궤도캠의 각 캠(14)(15)(16) 및 4위치에서의 회전제어손잡이(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회전제어손잡이(10)와 캠(14)(15)(16)을 연결하는 축(8)은, 수직쇄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략 S자형상인 트리핑캠(7)은 그 중심이 축(8)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1도의 평면내에 포함된 고딕선을 따라 자른 그의 폭은, 롤러(6)가 서로 접근하는 적은 값(제4도)으로부터 서로 이간되는 큰 값(제2,3,5도)으로 변하여, Z자형상의 레버(4)에 장착된 다리가 스프링(9)에 대항해서 바깥쪽으로 선회된다. 그 결과, Z자의 반대쪽 다리가 대응하는 누름자블록(2)으로부터 이간되므로, 이 누름자블록도 스위치(1)의 가동접점으로부터 이간되고, 스프링(2)의 힘에 의해 스위치(1)가 폐쇄된다.
이 위치에서, 트리핑캠(7)의 외주에 형성된 단차부(18)에 결합되는 트리거(17)의 돌기부에 트리핑캠(7)이 차단된다. 이 트리거(17)는 캠(7)의 평면에 수직은 축(19)상에서 분절되는 반면, 스프링(20)에 의해서 캠을 향해 눌린 상기 돌기부는, 도시하지 않은 고장검출릴레이로, 스프링(20)에 대항해서 화살표(F2)방향으로 트리거를 회전시킴으로써 단차부(18)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리거(17)는 돌기부가 캠의 단차부(18)에 대해서 철회되는 경우, 양쪽의 롤러(6)는 스프링(9)에 의해 함께 인장되므로, 캠(7)이 상기 롤러(6)간의 최소폭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때, 캠(7)은 제4도에 도시한 위치를 취하게 된다.
도그(21)는, 축(8)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 축에 평행한 피벗(22)에 복귀스프링(23)에 대항해서 분절되어 있다. 이 도그는 축(8)쪽으로 향한 핑거(24)를 구비하고, 이 핑거는 스프링(23)의 작용에 의해서 캠(14)에 접한다. 상기 캠(14)에는, 단차부(25)와 이것에 이어서 원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핑거(24)는 상기 단차부(25)에 맞닿아 "스톱"위치에 해당하는 각도위치에서 스프링(11)의 작용에 대항해서 축(8)을 로킹시키고, 또, 축(8)은 "스톱"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상기 원호부를 따라 1/4회전 가능하다.
축(8)의 캠(15)은, 제4도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트립"위치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축(8)에 고정되어, 도그(21)의 단부에서 안쪽으로 향한 핑거(26)가 캠(15)에 형성된 평탄부(27)와 끼워맞춤됨으로써 차단된다.
또한, 도그(21)에는, 핑거(26)의 반대쪽에 축(8)을 원의 1/4정도 둘러싸고 있는 원호형상의 연장부(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장부(28)에는, 제2트리거(30)의 돌기부와 끼워맞춤되는 외부차단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30)의 돌기부가 스프링(31)에 의해서 단차부(29)를 향해 눌리도록 되어 있으나, 화살표(F2')방향으로 작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고장검출릴레이에 의해 스프링(31)에 대항해서 트리거(30)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단차부(29)로부터 해제되도록 해도 된다.
2개의 트리거(17), (30)는, 레버(32)에 의해서 각각의 운동이 인터록되며, 이 레버암(arm)을 적절하게 신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열동방식이나 전자방식의 보호릴레이 혹은 부족전압 혹은 과전압릴레이와 같은 고장 검출릴레이에 적합한 상이한 트립핑력을 이들 각각의 트리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후로, 도그(21)에는, 트리거(17)에 고착된 로드(34)가 관통되는 솔더(33)가 형성되어 있다.
축(8)에 고착된 제3캠(16)은, 그 외주에 직사각형 형상의 노치(25)를 구비하고, 도면에서 (38)로 표시한 부분에서 분절되는 레버(37)의 일단부에 형성된 핑거(36)가 상기 노치(35)속으로 삽입되며, 이것이 스프링(39)에 의해서 캠(16)을 향해 눌리게 된다. 이 레버(37)의 타단부는 푸셔(40)에 의해 지지되고, 전자석코일을 공급하는 회로에 직렬로 위치된 스위치(42a)의 가동블레이드(41)가 이 푸셔(40)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핑거(36)가 캠(16)의 외주의 정상위치에 있을때에는(제2,4,5도), 이 푸셔(40)가 가동블레이드(41)에 맞닿아 스위치(42a)를 개방하는 반면, 상기 핑거(36)가 캠(16)의 노치(35)안으로 삽입되면(제3도), 푸셔(40)가 블레이드(41)로부터 떨어져서 스위치(42a)를 폐쇄한다.
또한, 도그(21)에 고착된 핀(43)에 의해서, 상기 핑거(36)가 캠(16)의 노치(35)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레버(37)가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이유로부터, 레버(37)에는, 핑거(36)와 일직선상에 형성된 만곡부 안쪽에, 좁은 입구(45)만큼 이 핑거(36)와 같은 쪽으로 바깥쪽으로 개방된 리세스부(44)가 형성된다. 이 리세스부(44)속에는 환형상의 스프링(46)이 수용되고, 이 스프링의 양단부는 레버(37)의 벽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은 당해 레버를 형성하는 성형된 열가소제의 탄성에 대항해서 다시 상기 입구(45)를 폐쇄하는 경향이 있다.
다음에,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해서 록기구의 동작양식을 설명한다.
이들 도면은 각각, 제어손잡이(10)가 "스톱", "자동", "트립" 및 "리세트"위치에 있을때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들 손잡이의 위치는 각 도면의 왼쪽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제2도의 "스톱"위치에서는, 도그(21)는 두 개의 트리거(17), (30)의 돌기부에 의해 양방향의 회전이 저지된다. 레버(37)의 핑거(36)가 캠(16)의 주변부의 노치(35)외측에 유지되므로, 스위치(42)가 개방되고 전자석(A), (B)은 여자되지 않는다. 따라서, 누름자블록(2)이 레버(A'), (B')에 의해서 스위치(1)에 접하게 되어 스위치(11)가 개방된다. 최후로, 캠(17)용의 롤러(6)가 이들과 일직선상에서 그의 최대폭으로 유지되어 캠(7)의 단차부(8)와 끼워맞춤된 트리거(17)와 제어손잡이(10)에 고착된 핑거(13)에 의해 캠이 로킹되더라도, Z자형상이 레버(4)는 캠(7)에 의해서 누름자블록(2)으로부터 이간된다.
다음에, 축(8) 및 이 축에 조합된 캠(14), (15), (16)이 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어 제3도의 "자동"위치로되면, 도그(21)가 트리거(17), (30)에 의해서 록된체로 유지되고, 그의 핑거(24)도 캠(14)의 원호부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다. 또, S자형상의 캠(7)도 트리거(17)에 의해서 록된채로 유지되나 손잡이(10)에 고착된 핑거(13)으로부터는 해제된다. 한편, 캠(16)의 회전에 의해서 그의 노치(35)속으로 핑거(36)가 삽입되어, 스위치(42)가 폐쇄되고, 또 "자동"위치로 록킹된다. 또한 전자석(A), (B)도 동작가능상태로 된다. 이 예에서는, 전자석(B)이 부세되어 레버(B')가 그의 스프링에 대항해서 회전됨으로써, 누름자블록(2b)은 스프링(3b)의 작용하에 폐쇄되는 스위치(1b)의 가동접점을 해제시킨다.
또한, 레버(37)의 리세스부(44)와 그의 환형상 스프링(46)에 의해서 트리핑을 저해함이 없이 "자동"위치에 정확히 끼워맞춤 가능하다는 것을 지적하고자 한다. 즉, 손잡이(10)를 "스톱"위치로 이동시킨 경우, 캠(16)의 노치(35)는 레버(37)가 진동하여 스위치(42)를 개방할때까지 스프링(39)에 의해 맞닿아 있던 핑거(36)를 아래쪽으로 부세시킨다.
이제, 과부하릴레이중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트립되면, 트리거(17) 또는 (30)상에 힘(F2) 또는 (F2')이 작용됨으로써, 도그(21)가 해제되어 복귀스프링(23)의 작용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약 45°선회하여, 제4도에 도시한 위치로 된다. 따라서, 축(8)은, 핑거(36)가 노치(35)로부터 빠져나와 더 이상 핑거(36)에 의해 구속받지 않으므로, 캠(15)의 평탄부(27)가 핑거(26)에 의해 구속받을때까지 스프링(11)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축(8)과 손잡이는 "트립"위치로 된다.
따라서, 트리거(17)는 힘(F2)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레버(32)를 통한 힘(F2')에 의해 간접적으로 개방됨에 따라, S자형상의 캠(17)은 스프링(9)이 작용하는 롤러(6)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롤러가 서로 인접하게 당겨지면, Z자형상의 레버(4)의 자유단부가 누름자블록(2)을 향해 이동해서 스위치(1)를 개방시킨다. 또, 레버(37)의 핑거(37)가 캠(16)의 노치(35)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스위치(42)가 개방되어 전자석(A), (B)에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스위치(1) 개방용의 누름자블록(2)에 맞닿게 된다.
이 기구를 리세트하기 위해서는, 제어손잡이(10)를 나선형 복귀스프링(1)에 대항해서 45°보다 약간 많게 회전시켜 제2도의 "스톱"위치를 약간 넘도록 하면 된다. 그후, 손잡이(10)에 고정된 핑거(13)에 의해 부세된 캠(7)이 트리거(17)상의 그의 단차부(18)와 약간 초과이동해서 결합되는 반면, 도그(21)는 그의 원위치로 복귀되어, 도그의 핑거(24)를 부세하는 캠(14)의 단차부(18)의 작용을 통해 두 개의 트리거(17), (30)에 의해서 록된다. 캠(16)과 조합된 스위치(42)는 개방상태로 유지되고, 프로세스는 다시 개시된다.
절환방식의 제한접촉기에 적용되는 상기 장치는, 제1도의 누름자블록(2a), (2b)을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누름자블록(2)으로 교체하고, 이것에 2개의 Z자형 레버(4a), (4b)의 자유단부를 작용시킴으로써, 단순한 제한접촉기에도 적용가능하게 된다.
제7도에는, 제어손잡이(10)에 의해 회전되는 캠(50)을 사용하는 보조적기능 소위 "개방의 확실성 확인"을 수행하는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52)에 분절되어 있는 동시에 캠(50)의 돌기부(53)에 의해 부세된 레버(51)를 통해, 이 캠을 기구의 나머지 부분과 무관하게 누름자블록(2)상에 작용시켜, 손잡이(10)를 강제로 조작하여 이물을 제거하거나 혹시 발생할지도 모를 재밍(jamming)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14)

  1. 제어용 전자석에 의해 개폐되는 적어도 1세트의 전원스위치를 구비한 종류의 제한접촉기용 록기구에 있어서, 스위치(1a,1b)를 동작시키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제한접촉기용 록기구에 있어서, 스위치(1a,1b)를 동작시키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누름자블록(2a,2b)에 작용하고, 고정축(5a,5b)을 중심으로 분절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레버(4a,4b)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에, 탄성수단(9a,9b)에 의해서 회동캠(7)의 외주에 맞닿는 롤러(6)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면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캠(7)을 상기 레버(4a,4b)가 누름자블록(2a,2b)으로부터 떨어져서 유지되어 스위치(1a,1b)가 전자석(A,B)에 의해 폐쇄가능한 록된 자동동작위치로부터, 레버(4a,4b)가 누름자블록(2a,2b)에 작용하여 스위치(1a,1b)를 개방위치로 유지시키는 트립위치를 향하여 변위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누름자블록(2a,2b)에 작용하는 2개의 레버(4a,4b)를 설치하고, 이들 2개의 레버를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분절시키고, 각각의 레버에, 탄성수단에 의해서 회동캠(7)의 외주에 맞닿는 베어링면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캠(7)을 베어링면과 일직선상의 캠(7)의 폭이 최대로 되는 록된 자동동작위치로부터, 상기 폭이 최소로 되어 레버가 누름자블록(2a,2b)에 작용하여 스위치(1a,1b)를 개방위치로 유지시키는 트립위치를 향해서 변위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4a,4b)는, Z자형의 형상을 지니며, 이 Z자의 굴곡부 근방에서 분절되고, 이 분절부와 같은 쪽에 위치된 그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롤러(6a,6b)가 장착되고, 그의 타단부에는 대응하는 누름자블록(2a,2b)과 대향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7)은 S자형의 형상을 지니며, 상기 롤러(6a,6b)는 상기 캠의 외주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6a,6b)는 이들 롤러의 운동축에 평행한 주행궤도(R,R')상에서 자유로이 회전하는 디스크(D,D')에 의해서 그들의 운동이 각각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두 레버(4a,4b)의 평행축에 수직이며 일단부에 제어손잡이(10)가 고착된 축(8)상에, 상기 캠(7)이 자유로이 장착되고, 상기 축(8)에는 로킹 및 제어캠(14,15,16)이 설치되는 동시에 이 축을 에워싼 나선형 스프링(11)에 의해 "스톱"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손잡이(10)에 상기 캠(7)을 그의 록위치쪽으로 부세시키는 핑거가 고착되어 있으며, 이때 제1트리거(17)는, 전원스위치와 직렬로 배치된 과부하릴레이에 의해 상기 제1트리거(17)를 작동시킴으로써 분리가능한 상기 캠(7)의 단차부(18)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8)에는, 외주에 노치부(35)가 형성된 제어캠(16)이 장착되어 있고, 레버(37)의 일단부에 설치된 핑거(36)가 탄성수단(39)의 작용하에서 상기 노치안으로 삽입가능하며, 상기 핑거(36)가 상기 노치(36)안으로 삽입된때, 상기 레버(37)의 타단부가, 전자석을 여자하는 회로내에 장착된 적어도 1개의 스위치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9. 제6항에 있어서, 스프링(23)에 대항해서 고정축(22)상에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과부하릴레이에 의해 록해제 가능한 2개의 트리거(17,30)에 의해서, 록될 수 있는 도그(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중 하나(17)가 상기 캠(7)을 록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트리거(30)는 다른 과부하릴레이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2개의 트리거 사이에 기계적 구동기(3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21)는 상기 축(8)과 일체형으로 된 캠(15)상에 형성된 평탄부(27)와 상기 도그에 고착되는 핑거(26)와의 접촉에 의해 트립위치를 향해 당해 운동이 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21)는 상기 축(8)과 일체형으로 된 캠(14)에 형성된 단차부(25)가 상기 도그(21)와 일체형으로 된 핑거(24)와 협동함으로써 스톱위치를 향하여 부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4a,4b)가 단일 그룹의 스위치(1)를 제어하는 단일의 누름자블록(2)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14. 제2항에 있어서, 록해제용 캠(50)이 상기 축(8)에 장착되어 있어, 이 캠이 레버(51)를 통해 상기 누름자블록(2)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KR1019890016713A 1988-11-17 1989-11-17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KR920008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814919A FR2639144B1 (fr) 1988-11-17 1988-11-17 Mecanisme a serrure pour contacteur-limiteur
FR14919 1988-11-17
FR88-14919 1988-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563A KR900008563A (ko) 1990-06-04
KR920008833B1 true KR920008833B1 (ko) 1992-10-09

Family

ID=937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713A KR920008833B1 (ko) 1988-11-17 1989-11-17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012214A (ko)
EP (1) EP0369844B1 (ko)
JP (1) JPH02192626A (ko)
KR (1) KR920008833B1 (ko)
CN (1) CN1023584C (ko)
CA (1) CA2002308C (ko)
DE (1) DE68913439T2 (ko)
DK (1) DK577389A (ko)
ES (1) ES2017235A6 (ko)
FI (1) FI95850C (ko)
FR (1) FR2639144B1 (ko)
HK (1) HK128794A (ko)
IE (1) IE63410B1 (ko)
SE (1) SE469765B (ko)
SU (1) SU1716981A3 (ko)
ZA (1) ZA8983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793A (ko) * 2013-11-06 2015-05-1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접촉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1103B (it) * 1989-08-09 1991-11-18 Sace Spa Dispositivo autocoordinato di manovra e protezione per apparecchiature elettriche.
FR2655769B1 (fr) * 1989-12-08 1994-03-04 Telemecanique Dispositif d'adaptation pour boitier de contacts auxiliaires.
ES2042390B1 (es) * 1992-02-18 1996-10-01 Power Controls Iberica S A Enclavamiento mecanico para baterias de contactores.
FR2706221B1 (fr) * 1993-06-07 1995-07-21 Telemecanique Appareil interrupteur de protection.
EP0669633B1 (fr) * 1994-02-25 1999-09-29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 Appareil interrupteur de protection
US5503526A (en) * 1995-01-23 1996-04-02 Neils; John J. Fire fighting fan with three point support
CN1253912C (zh) 2003-05-29 2006-04-26 刘平 电力开关器
EP2720243B1 (en) * 2011-06-09 2017-02-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erating mechanism
CN106531491B (zh) * 2017-01-05 2018-11-16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自动转换开关的操作机构
CN113078031B (zh) * 2021-04-02 2021-12-31 浙江安迅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磁保持继电器及其电压调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9981A (en) * 1937-02-12 1941-01-28 Gen Electric Electric switch
NL97219C (ko) * 1954-05-11
US3467800A (en) * 1967-03-21 1969-09-16 Gen Electric Reversible cam actuating mechanism for electric switches
FR2516297A1 (fr) * 1981-11-09 1983-05-13 Telemecanique Electrique Appareil contacteur comportant des moyens d'ouverture automatique, des circuits de puissance et un dispositif de commande locale
FR2570872B1 (fr) * 1984-09-27 1988-08-26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commutation a composition variable
DE3637418A1 (de) * 1986-11-03 1988-05-11 Kloeckner Moeller Elektrizit Schalt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793A (ko) * 2013-11-06 2015-05-1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접촉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563A (ko) 1990-06-04
ZA898352B (en) 1990-07-25
CA2002308A1 (fr) 1990-05-17
DE68913439T2 (de) 1994-08-04
FR2639144B1 (fr) 1993-05-28
IE63410B1 (en) 1995-04-19
JPH02192626A (ja) 1990-07-30
EP0369844B1 (fr) 1994-03-02
FI95850B (fi) 1995-12-15
IE893580L (en) 1990-05-17
FI895490A0 (fi) 1989-11-17
EP0369844A1 (fr) 1990-05-23
SE8903650D0 (sv) 1989-11-01
FR2639144A1 (fr) 1990-05-18
CN1023584C (zh) 1994-01-19
CA2002308C (fr) 1995-12-26
ES2017235A6 (es) 1991-01-01
US5012214A (en) 1991-04-30
SE8903650L (sv) 1990-05-18
DE68913439D1 (de) 1994-04-07
DK577389A (da) 1990-05-18
CN1042796A (zh) 1990-06-06
SU1716981A3 (ru) 1992-02-28
HK128794A (en) 1994-11-25
DK577389D0 (da) 1989-11-17
FI95850C (fi) 1996-03-25
SE469765B (sv) 199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833B1 (ko)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US5719363A (en) Mechanical switching device such as a circuit breaker and a safety device for the circuit breaker
WO1998047164A1 (en) 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
EP1575074B1 (en) Switch mechanism
JPH09223447A (ja) 保護スイッチ機器用制御・発信装置
JP2002543552A (ja) 電子式過負荷継電器のための接点機構
JP4127967B2 (ja) 電子式過負荷継電器のための接点機構
JPH01283733A (ja) 電磁石によって制御される接点を有するスイッチ装置
JPH10508150A (ja) 低圧開閉装置用の切換えラッチ
US20010022268A1 (en) Circuit breaker motor drive
US5502426A (en) Protection switch device
US5165295A (en) End stop for stepper for step-type transformer
US4048599A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KR0128060B1 (ko) 단속기 작동장치
JP3503396B2 (ja) 回路遮断器
KR100323744B1 (ko) 휴즈장착용 개폐기의 기계적 자동 트립장치
JPH08185788A (ja) 不足電圧引き外し装置付き回路遮断器
CN111883396B (zh) 一种磁通脱扣器的复位机构
JPH08293231A (ja) 開閉装置の操作機構
JP3129583B2 (ja) 回路遮断器の操作機構
US3689857A (en) Sequence relay
JP2506650Y2 (ja) 開閉器の操作機構
KR0116956Y1 (ko) 회로 차단기의 래치(Latch)
JPH1140016A (ja) 開閉装置操作機構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S6033534Y2 (ja) 高速度再投入用しゃ断器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