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060B1 - 단속기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단속기 작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060B1
KR0128060B1 KR1019890013406A KR890013406A KR0128060B1 KR 0128060 B1 KR0128060 B1 KR 0128060B1 KR 1019890013406 A KR1019890013406 A KR 1019890013406A KR 890013406 A KR890013406 A KR 890013406A KR 0128060 B1 KR0128060 B1 KR 012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ivot
trip
actuating
interru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509A (ko
Inventor
비. 야메트 미구엘
제이. 타이스콧 티모시
Original Assignee
다이앤 케이. 슈마허
쿠퍼 파워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앤 케이. 슈마허, 쿠퍼 파워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다이앤 케이. 슈마허
Publication of KR90000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속기 작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 1도에 도시한 장치중 일부의 부품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제 2도에 도시한 장치의 평면도.
제4도 내지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에 대한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기장치 6 : 단속기
10,12 : 엔드플레이트 18 : 고정접점
20 : 이동접점 22 : 작동봉
25 : 스위치작동기 30 : 프레임
32 : 사이드플레이트 36 : 스페이서
38 : 스위치작동레버 40 : 축
42 : 텐션스프링 44 : 요오크
46 : 피봇핀 50 : 피봇레버
52 : 핀 54 : 돌출부
56 : 슬로트 58 : 피봇핀
60 : 호형슬로트 70 : 트립레버
72 : 고정수단 80 : 축
90 : 작동레버 92,94 : 평행부
96 : 크로스부 98 : 돌기
100 : 스프링 102 : 핀
110 : 브래킷 124 : 구멍
126 : 돌기 128 : 스프링
130 : 링크기구 132 : 스위치레버
134 : 링크 136 : 슬로트
138 : 핀 140 : 스프링
150 : 센서트리퍼 152 : 작동부재
200 : 3상 전기장치.
본 발명은 스위치나 단속기를 작동시켜 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속기를 수동으로 작동 시켜줄 수 있도록 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동스위치 작동기로서는 미국특허 제4,591,679(이하 미국특허라함)로 제안된 것이 있는 바, 이 특허의 스위치 작동기는 단속기에다 적용시켜주기에는 적당치가 못한데, 이는 잘못 작동시킨 경우에 단속기를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트리핑(Tripping)시켜주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단속기를 수동으로 잘못 작동시킨 경우에 자동적으로 트리핑시켜줄수 있도록 하여 상기 미국특허의 스위치작동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면서도 단속기에도 사용할 수가 있고, 또 센서트리퍼로부터 요구되는 자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단속기 작동장치를 제공함과 더불어 각각 센서트리퍼를 갖춘 3개의 작동기와 상기 센서트리퍼의 어느 하나가 오작동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서 상기 3개의 작동기모두를 트리핑시켜 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트리핑시키고자 하는 제1작동기의 개방력을 나머지 2개의 작동기를 트리핑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센서트리퍼를 작동시키는 힘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도록 된 3상전기장치에 이용할 수 있도록 된 단속기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미국특허의 스위치 작동기의 부품과 유사한 많은 부품들을 갖추고 있는바, 즉 프레임과 축을 중심으로 하여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사이에서 축선회작동하도록 된 스위치작동레버, 상기 프레임에 축선회 설치된 요오크 및, 상기 스위치작동레버와 요오크사이에 연결된스프링등을 구비하면서, 상기 요오크가 상기 프레임에 축선회하도록 설치되어 상기스프링이 스위치작동레버를 개방위치로 탄력지지해주는 아래쪽 제1위치 또는 폐쇄위치로 탄력지지해주는 위쪽 제2위치로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되고, 또 상기 스위치작동레버가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단속기를 개방시키고, 이 스위치작동레버가 폐쇄위치로 이동하면 단속기를 폐쇄시켜주는 링크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특허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의 스위치 작동레버는, 상기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해제 시켜줄 수 있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스위치작동레버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는 것에 반해 상기 축을 붙잡아 주면서 선택적으로 해제시켜주도록 된 제 2선택적해제수단이 구비되는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축선회연결되어 상기 아래쪽위치와 위쪽위치로 축선회이동하도록 된 피봇레버와 이 피봇레버를 상기 아래쪽위치에서 붙잡아주면서 선택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제2선택적해제수단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작동레버를 상기 피봇레버에 연결시켜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축선회운동하도록 하고, 또 상기 스위치작동레버를 피봇레버에 연결시켜 이 피봇레버가 상기 아래쪽우치로부터 해제되어졌을 때 상기 스위치작동레버가 스프링의 힘을받아 제3위치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링크에 의해 단속기를 개방시키고, 또 상기 피봇레버가 위쪽위치로 이동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봇레버를 아래쪽위치에서 붙잡아 주기 위한 제2선택적해제수단에는 트립레버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고정위치와 자유위치사이로 축선회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이 트립레버가 고정위치에 있을때에는 피봇레버를 아래쪽위치에 고정시켜주게 되고, 또 이 트립레버가 자유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스프링의 힘을 받아 상기 피봇레버를 아래쪽위치에 붙잡아 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트립레버는 1987.8.31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091,187호에 게재된 바와 같은 센서트리퍼에 의해 고정위치와 자유위치사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속기는 피봇레버가 윗쪽위치에 있을 때에는 스위치 작동레버를 제3위치로 이동시켜주게 되나, 상기 피봇레버가 위쪽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치 작동레버를 개방위치로 이동시켜주게 됨으로서 개방되도록 되고, 또 상기 피봇레버가 아래쪽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치작동레버를 폐쇄위치로 이동시켜줌으로서 폐쇄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3상 전기장치에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바, 이러한 장치는 제1,2,3 스위치인 단속기와, 이들 단속기에 각각 연결되어 수동으로 작동되는 제 1,2,3 수동차단작동기를 갖춘 제1,2,3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작동기는 상기 제 1,2,3회로에 연결되어 오작동을 감지하는 제1,2,3센서트리퍼와 이들 센서트리퍼중의 하나가 오작동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3개의 작동기 모두를 트리핑시켜 3개의 차단기 모두가 개방되어지도록 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3개의 작동기 모두를 트리핑시켜주는데 1개로 된 센서트리퍼의 힘이 이용되고 이렇게 트리핑시키는데 이용되는 제1작동기의 개방력이 나머지 2개의 작동기를 트리핑시키는데 사용될수 있게 되는 바, 그 때문에 각각의 센서트리퍼에 요구되는 힘이 최소화되게 된다.
또한 상기 기구는 상기 3개 수동차단작동기 각각의 트립레버가 축선회하도록 설치되는 축과 이축에 고정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각각의 작동기에 구비되어져 있는 구동레버가 구비되면서, 이 구동레버가 각각의 해당 작동기에 배열됨으로서, 해당 트립레버가 축선회이동함에 따른 해당 작동기의 트리핑작동에 의해 축회전하게 되어 상기 축과 나머지 2개의 구동레버를 축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구동레버는 이 구동레버가 축회전함으로써 해당 트립레버를 고정위치로부터 자유위치로 축회전시켜 작동기가 트리핑되도록 배열 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기중의 어느 하나가 트리핑되면 이에 따라 작동되는 당해 작동기의 개방력이 나머지 2개의 작동기를 트리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시켜 사용하는 전기장치(2)에는 단속기(6)가 설치되게 되는바, 이 단속기(6)는 상하 양쪽의 엔드플레이트(10,12)사이에 설치되면서 고정접점(18)과 이동접점(20)이 내장되어져 있고, 상기 이동접점(20)은 작동봉(22)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접점(18)과 단속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기장치(2)는 스위치 작동기(25)를 갖추고 있는바, 이 작동기(25)는 엔드플레이트(10)위에 설치되어 스페이서(36)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2개의 사이드플레이트(32)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30)과 ,측(40)을 중심으로 개방위치(제2도와 제4도)와 폐쇄위치(제5도)사이를 축선회이동하도록 된 스위치작동레버(38)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작동기(25)는 상기 축(40)을 중심으로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축선회시켜주기 위한 수동으로 작동되는 수동작동수단을 갖추고 있고, 또 이러한 수단이외에도 여러 가지 적절한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는바, 예컨대 상기축(40)에서 일정한 지점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에 연결시켜지는 스프링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스프링수단으로서는 그 하단이 스위치작동레버(38)의 아래쪽 끝에 연결되어져 있는 텐션스프링(42)으로 이루어지면서, 이 텐션스프링(42)의 윗쪽끝이 다음에 설명될 요오크(44)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또 상기 수동작동수단은, 상기 스프링(42)을 스프링작동레버(38) 중심 또는 상기 축(40) 뒤쪽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축선회수단을 갖추고 있는바, 이러한 수단은 상기 프레임(30)에 축선회하도록 설치된 요오크(44)로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요오크(44)는 상기 프레임(30)에 피봇핀(46)을 중심으로 하여 축선회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42)의 상단이 이 요오크(44)의 상단 근처에 연결되어 요오크(44)가 프레임(30)에 대해 도면에서의 오른쪽인 개방위치(제1도)와 도면에서의 왼쪽인 폐쇄위치(도시안됨)사이에서 축선회이동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의 각각에서는 상기 스프링(42)이 스위치작동레버(38)를 개방 또는 폐쇄위치(방향)쪽으로 밀어 지지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기 (25)에는 프레임(30) 또는 플레이트(32)에 대한 축(40)의 이동을 저지해 주기 위한 선택적으로 해제가 가능한 제1선택적 해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바, 제1선택적해제수단은 여러 가지의 종류가 가능하지만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프레임(30)에 제1위치인 아래쪽 위치(제2,4,5도)와 제2위치인 윗쪽위치(제6도)사이를 축선회이동하도록 연결된 피봇레버(50)로 되어 있고 이 피봇레버(50)는 상기 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된 핀(52)에 축선회설치되어 있으면서 윗쪽으로 뻗어있는 돌출부(5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봇레버(50)에는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가 상기 축(40)을 중심으로 하여 축선회하도록 연결되고, 특히 상기 피봇레버(50)에는 슬로트(56, 제2도)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 슬로트(56)속에는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에 연결된 피봇핀(58)이 슬라이딩하도록 삽입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2)에는 핀(58)의 양쪽끝이 걸려져 슬라이딩이동하도록 된 호형슬로트(60)가 형성되어, 상기 2개이 슬로트(56, 60)에 핀(58)이 걸려져 고정위치에 있는 상기 축(40)이 상기 피봇레버(50)에 대한 임의의 위치에 오도록한다. 따라서 상기 피봇레버(50)가 아래쪽에 위치해 있을때에는 상기 축(40)의 위치가 고정시켜지게 되고, 상기 스위치 작동레버(38)가 피봇레버(50)에 대해 개방위치 (제2도 및 제4도)와 폐쇄위치(제5도)사이를 이동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가 피봇레버(50)에 연결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42)이 이 스위치작동레버(38)를 매개로 상기 피봇레버(50)를 위쪽으로 밀어주도록 작동하게 된다. 또 상기 축(40)을 붙잡아 주기 위한 수단 역시 상기 피봇레버(50)를 아래쪽위치에 붙잡아주기 위한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한 제2선택적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바, 이 수단은 상기 프레임(30)에 고정위치(제1도 내지 제5도)와 자유위치(제6도)사이를 축선회이동하도록 설치된 트립레버(70)와, 이 트립레버(70)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봇레버(50)를 아래쪽 위치에다 붙잡아놓기 위한 고정수단(72)이 구비되고, 상기 트립레버(70)는 프레임(30)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는 축(74)에 축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72)은 트립레버(70)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피봇레버(50)를 아래쪽위치에다 붙잡도록 하는 여러 가지 수단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수단(72)이 프레임(30)에 축선회설치되면서 반원단면(82)으로 된 축(80)으로 되어, 이 축(80)의 반원단면(82)이 상기피봇레버(50)의 오른쪽끝과 결속되어 상기 피봇레버(50)를 아래쪽위치에 고정시켜주는 고정위치(제2도 내지 제5도)와 상기 반원단면(82)이 피봇레버(50)를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자유위치(제6도)사이를 축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72)은 또한, 상기 축(80)에 대해 아래쪽위치(제2도 내지 제5도)와 윗쪽위치(제6도)사이를 축선회하면서 크로스부(9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져 있는 평행부(92,94)를 구비한 작동레버(90)를 갖추면서, 상기 각평행부(92,94)에는 각각 윗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98)가 갖춰져 있다. 그리고 이 고정수단(72)에는 작동레버(90)를 반시계방향 또는 윗쪽방향으로 탄력지지해주기 위한 탄력수단이 갖춰져 있는바, 이 탄력수단은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있는 핀(102)과 크로스부(96)사이에 걸려져 있는 스프링(10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72)에는 축(80)에 고정된 브래킷(110)이 갖춰짐과 더불어, 상기 축(80)이 상기 작동레버(90)의 평행부 (92,94)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작동레버(90)의 크로스부(96) 위쪽으로 뻗어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의 크로스부(96)와 작동레버(110) 사이에는 스프링(122)이 설치되어 이 작동레버(110)를 상기 작동레버(9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탄력지지해서 작동레버(90)가 항상 상기 작동레버(1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해 줌 으로써, 이 작동레버(90)가 아래쪽위치로부터 위쪽위치쪽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축선회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버(110)와 축(8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축(80)이 그 자유위치로 이동되도록 해서 상기 피봇레버(50)를 아래쪽위치에서 해제시켜주게 된다
한편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축(80)과 트립레버(70)가 고정위치에 있을 때에는,상기 트립레버(70)가 작동레버(90)의 평행부(92)에 걸려져 이 작동레버(90)를 아래쪽위치로 붙잡아주게된다. 그리고 상기 트립레버(70)에는 구멍(124)이 형성되어져 있는(제7도)한편, 상기 작동레버(90)의 평행부(92)에는 돌기 (126)가 갖추어져 있어서(제4도 내지 제 6도),상기 트립레버(70)가 시계방향을 따라 고정위치로부터 자유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트립레버(70)가 작동레버(90)를 걸림상태로부터 해제시켜 이 작동레버(90)가 스프링(100)의 탄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의 윗쪽위치로 축선회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는바. 이는 다시 레버(110)를 이동시켜 축(80)이 자유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피봇레버(50)가 윗쪽위치로 이동시켜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피봇레버(50)를 그의 아래쪽위치로 붙잡아 고정시켜주기 위한 수단에는 상기 트립레버(70)를 반시계방향의 고정위치로 탄력지지해 주기 위한 탄력지지수단이 갖춰져 있는데, 이 탄력지지수단은 상기 핀(102)과 트립레버(70)의 상단사이에 걸쳐져 있는 스프링(128)으로 되어있다.
또 상기 작동기(25)에는 스위치작동레버(38)의 축(40)을 중심으로한 축선회이동에 따라 상기 단속기(6)를 개폐시켜주게 되는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개폐수단은 상기 프레임(30)에 대해 축선회하면서 상기 단속기(6)의 작동봉(22)에 축선회하도록 연결된 스위치레버(132)와 이 스위치레버(132) 및,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에 연결된 링크(134)로 구성된 링크기구(130)로 이루어져 있는바, 상기 링크(134)에는 상기 스위치레버(132)에 설치된 핀(138)이 끼워지는 슬로트(136)를 갖추고 있어서 상기 링크(134)와 스위치레버(132)가 상대적 축선회가 이루어지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기구(130)는 링크(134)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40)을 갖추어,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와 강크(134)의 연결점이 링크(134)와 스위치레버(132)의 연력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탄력지지해주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스위치레버(132)와 링크(134) 및 스프링(140)은 상기 미국특허의 링크(25)와 링크(40) 및 스프링(64)과 실제적으로 거의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봇레버(50)가 아래쪽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가 개방위치로 (상기요오크(44)의이동에 따라)의 이동하는 동작이 상기링크(134)를 통해 스위치레버(132)를 윗쪽으로 올리게 되어 상기 단속기(6)를 개방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피봇레버(50)가 아래쪽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가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링크 (134)를 통해 스위치레버(13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단속기(6)를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링크기구(132)는 피봇레버(50)가 제4도에서와 같이 그위 아래쪽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작동레버(38)가 개방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단속기 (6)를 개방시켜주고, 한편 상기 피봇레버(50)가 제 5도에서와 같이 그 아래쪽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치 작동레버(38)가 폐쇄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단속기(6)를 폐쇄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또 상기 작동기(25)에는 상기 피봇레버(50)를 그 아래쪽위치에 붙잡아 지지해 주는 수단을 해제시키는 수단, 즉 상기 단속기(6)에 연결된 회로에 잘못이 있는 경우 상기 축 (40)을 붙잡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바. 이 해제수단을 센서트리퍼(150)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이 센서트리퍼(150)는 상기 미국특허출원 제091,187화에 성명되어 있는 장치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트립레버(70)를 그 지지위치로부터 자유위치로 이동시켜주기 위해 상기 트립레버(70)와 결속시켜지도록 된 작동부재(152)와 상기 요오크(44)와 연결되어 이 요오크(44)가 개방위치로 이동할 대 센서트리퍼(150)를 재조정해주게 되는 재조정부재(154)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작동기(25)는, 축(40)을 붙잡아지지해주기 위한 수단이 해제됨에 따라 단속기(6)를 개방시켜주는 수단, 즉 상기 피봇레버(50)가 그 아래쪽 위치에서부터 해방됨에 따라 상기 단속기 (6)를 개방시켜주는 개방수단을 갖추고 있는바 이 개방수단은 스위치작동레버(38)와 스프링(42),링크(134),스프링(140), 및 스위치레버(132)로 이루어져, 상기 요오크(44)가 그의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프링(42) 이 스위치작동레버(38)를 그 폐쇄위치 쪽으로 밀어 피봇레버(50)를 그의 윗쪽위치로 밀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피봇레버(50)가 아래쪽위치에서 해제시켜지게 되면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가 프레임(30)에 대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한편, 이 레버(38)가 상기 피봇레버(50)에 대한 제 3위치(상기한 개방 및 폐쇄위치은 다름)로 축선회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레버(38)의 이동은 상기 링크(134)와 피봇레버(50)를 윗쪽으로 이동시켜 단속기(6)를 제6도와 같이 개방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기구(130)는 피봇레버(50)가 그위 윗쪽위치로 이동할 대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단속(6)를 개방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 작동기(25)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피봇레버(50)가 그 아래쪽에 위치하고 스위치작동레버(38)가 폐쇄위치에 있게 되면 제5도와 같이 상기 단속기(6)가 폐쇄되어져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단속기(6)는 2가지 방식으로 개방되게 된다. 그 첫째방식은, 상기 요오크(44)를 수동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계방향 또는 개방위치쪽으로 이동시켜줌으로써 이 단속기(6)를 개방시킬 수가 있는 바, 이와 같이 요오크(44)를 개방위치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스프링(42)이 스위치 작동레버(38)의 중심을 지나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단속기(6)를 제 4도와 같이 개방시켜지고 되고, 둘째방식은 상기 센서트리퍼(150)를 이용해서 단속기(6)를 개방시키는 방식인바, 즉 이 센서트리퍼(150)가 오작동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152)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트립레버(70)와 결속된 다음 이 트립레버(70)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작동에 따라 상기 피봇레버(50)가 그 아래쪽 위치에서부터 해제되어져 텐션스프링(42)의 힘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단속기(6)가 제 6도에서와 같이 개방시켜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요오크(44)가 개방위치로 된 다음 이 요오크(44)를 간단히 반시계방향 또는 폐쇄위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작동기(25)를 재설정하게 되는데, 요오크(44)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면 상기 스위치 작동레버(38)가 그 폐쇄위치 쪽으로 되돌아가 상기 작동기(6)를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기(25)는 센서트리퍼(150)에의해 트리핑된 다음 먼저 이 요오크(44)를 시계방향 또는 그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재설정되게 되는데, 이러한 개방작동과정에서 상기 요오크(440는 작동레버(90)위에 돌출형성되어져 있는 돌기(98)와 결속되어 상기 레버(90)를 그의 아래쪽으로 귀환시키고, 또 상기 피봇레버(50)를 그의 아래위치쪽으로 귀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90)가 그 아래쪽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스프링 (122)이 피봇레버(50)를 축(80)의 반원단면(82)를 지나 스냅시켜 주게 됨으로써 상기피봇레버(50)가 제 1위치인 아래쪽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또 상기 스프링(122)이 상기 레버(90)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축(80)을 붙잡아 지지하는 위치로 귀환시켜 줌으로써, 이 축(80)이 상기 피봇레버(50)를 상기 제 1위치인 아래쪽 위치에서 붙잡아 결속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90)를 그 제 1위치인 아래쪽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트립레버(70)가 상기 스프링(128)의 힘을 받아 그 결속위치 쪽으로 귀환되게 되어, 이 트립레버(70)가 상기 작동레버(90)를 그 아래쪽 위치에서 붙잡아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봇레버(50)가 일단 아래쪽 위치에서 붙잡혀 결속되고 나면 상기 요오크(44)가 반시계방향인 폐쇄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작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 작동레버(38)가 폐쇄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단속기(6)를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축(80)은 피봇레버(50)를 그 아래쪽 위에 붙잡아 결속시켜 주게 되는 바, 상기 축(80)를 이러한 결속위치에서 해제시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상기 스프링(100)으로부터 부여받게 된다. 이렇게 상기 트립레버(70)는 단지 상기 작동레버(90)를 스프링(100)의 힘에 대항하여 붙잡기만 하는데 반하여, 상기 센서트리퍼(150)가 상기 작동레버(90)를 해제시키기에 충분할 만큼 상기 트립레버(70)를 이동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센서트리퍼(150)로부터 요구되는 기자력이 최소화되게 된다.
제7도는 3상 전기장치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 장치는 제 1,2,3 단속기 (6A,6B,6C)를 갖춘 3개의 제1,2,3회로와 상기 각 단속기(6A,6B,6C)에 연결된 제 1,2,3수동차단작동기(25A,25B,25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의 작동기(25A,25B,25C)는 앞에서 설명한 작동기(25)와 실질적으로 거의 같은 작동기이기 때문에, 각 부품별에 대한 부호를 같은 것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각 작동기 (25A,25B,25C)는 각각 상기 제 1,2,3 회로에 연결된 3개의 결함검지수단 즉 제 1,2,3센서트리퍼(150A,150B,150C)를 갖추고, 또 상기 각 작동기 (25A,25B,25C)는 상기 트립레버(70A,70B,70C)중의 관련하는 하나의 트립레버가 축선회이동함에 따라 관련된 단속기를 개방시켜주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기장치(200)는 상기 센서트리퍼(150)중 하나가 결함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3개의 단소기(6A,6B,6C)모두들 개방시키도록 작동기(25A,25B,25C)모두들 작동시키게 되는 작동수단을 갖추고 있는데 이 작동수단은 상기 작동기 (25A,25B,25C)의 프레임(30)에 축선회하도록 설치된 축(74)을 갖추면서. 이 축 (74)에는 상기 트립레버(70A,70B,70C)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관련 센서트리퍼(150)에 의해 상기 트립레버(70A,70B,70C)중 하나가 축회전하게 되면 상기 트립레버(70)가 축(7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이때 상기 축 (74)은 직접회전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에는 상기 축(74)에 고정설치 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1,2,3의 구동레버(218A,218B,218C)가 갖추어져 이들 구동레버(218)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트립레버(70A,70B,70C)의 축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레버(218)를 축회전시키는 제1동레버 축회전수단과 상기 트립레버(70B)의 축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레버(218B)를 축회전시키는 제2구동레버 축회전수단 및 상기 트립레버(70C)의 축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레버(218C)를 축회전시키는 제3구동레버 축회전수단을 갖추고 있는바, 이들 축회전수단은 상기 각 작동기 (25A,25B,25C)위에 있는 작동레버(90)에 평행부(94)를 갖추는 한편 이 평행부(94)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레버(218)위에 있는 캠면(226) 과 맞닿게 되는 캠면(224)을 갖추어 상기 레버(90)가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레버(218)를 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련작동기가 관련 트립레버(70)의 축선회이동에 따라 트리핑되면, 상기 레버(9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각 작동기 (25A,25B,25C)가 관련 트립레버(70)의 축선회이동에 따라 관련 구동레버(218)를 축회전시키는 수단을 갖추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수단에는 구동레버(218A)가 축선회이동함에 따라 트립레버(70A)를 축회전시켜주는 제1트립레버 축회전수단과 상기 구동레버(218B)의 축회전에 따라 트립레버(70B)를 축회전시켜주는 제2트립레버 축회전수단 및 상기 구동레버(218C)가 축회전함에 따라 트립레버(70C)를 축회전시켜주는 제3트립레버 축회전수단이 갖춰져 있는바. 이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각 구동레버(218)가 상기 트립레버(70)와 결속되는 한편 상기 구동레버(218)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관련 트립레버(70)를 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켜 주도록 된 보울트(70)를 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켜 주도록 된 보울트(230)지지해주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228)를 갖추어 상기 구동레버(218)와 시계방향으로 축회전함에 따라 상기 트립레버(70)를 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켜주게 된다.
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작동기는 상기 관련회로의 결함에 따라 관련 트립레버(70)를 축회전시켜주는 센서수단(센서트리퍼(150))를 갖추고 있는바 즉 상기 전기장치(200)에는, 제 1회로에 결함이 있으면 상기 제1 트립레버(70A)를 축회전시키게 되는 제1센서수단과, 제2회로에 결함이 있으면 상기 제2트립레버(70B)를 축회전시키는 제2센서수단 및,제3회로에 결함에 따라 상기 제트립레버(70C)를 축회전시키는 제3센서수단이 갖춰져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트리퍼(150)중 어느 하나가 관련된 회로의 결함을 검출하게 되면 이 센서트리퍼(150)가 상기 관련 트립레버(70)를 축회전시키게 되고 이 트립레버(70)의 축회전은 다시 상기 관련 작동기(25)를 트립시켜 상기 작동레버(90)를 반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키게 된다. 이어 상기 작동레버(90)는 다시 구동레버(21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축(74)과 나머지 2개의 구동레버(21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 나머지 2개의 구동레버(218)는 상기 트립레버(70)를 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켜 나머지 2개의 작동기(25)를 트리핑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는 각 센서트리퍼(150)가 관련하는 트립레버(70)를 작동시켜주는데 충분한 힘만 있으면 되고, 나머지 2개의 트립레버(70)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트리핑시키고자 하는 제1작동기와 관련하는 스프링(100)에 의해 얻어지게 된다.

Claims (21)

  1. 프레임(30)과 축(40)을 중심으로 축선회하도록 설치된 스위치작동레버(38), 상기 프레임(30)에 대한 이동에 반해 상기 축(40)을 붙잡아주는 제1선택적해제수단, 상기 축(40)을 중심으로 상기 작동레버(38)를 축선회시키는 축선회수단 상기 축(40)을 중심으로 상기 작동레버(38)를 축회전시켜 줌으로서 단속기(6)를 개폐시켜주는 링크수단 및 상기 제1선택적해제수단을 해제시켜 줌으로써 단속기(6)를 개방시켜주게 되는 개방수단으로 이루어진 단속기 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가 상기축(40)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스프링(42)과 연결되고 상기 축선회수단에는 이 스프링(42)을 상기 축(40)뒤쪽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요오크(44)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적해제수단이 상기 프레임(30)에 아래쪽위치와 위쪽위치사이를 축선회하도록 연결된 피봇레버(50)와 이 피봇레버(50)를 상기 아래쪽위치에서 붙잡아주기 위한 제2선택적해제수단을 구비하면서 상기 작동레버(38)가 상기 피봇레버(50)에 연결되어 상기 축(40)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2)이 피봇레버(50)를 위쪽위치로 탄력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2)을 축(40)뒤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축선회수단이 상기 프레임(30)에 축선회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스프링(42)이 상기 요오크(44)에 연결되고 상기 요오크(44)는 상기 스프링(42)이 스위치 작동레버(38)를 한쪽으로 밀어부치게 되는 아래쪽위치와 또 이 스프링(42)이 상기 작동레버(38)를 다른 한쪽으로 밀어부치게 되는 위쪽위치사이를 축선회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기(6)를 개폐시키는 개방수단이 프레임(30)에 축선회설치된 스위치된 스위치레버(132)와 이 스위치레버(132)를 상기 단속기(6)에 연결시켜주는 작동봉(22),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를 스위치레버(132)에 연결시켜주는 링크(134) 및 상기 링크(134)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레버(38)와 링크(134)의 연결부를 이 링크(134)와 상기 스위치레버(132)의 연결부로부터 먼쪽으로 밀어주도록 탄력지지해 주는 스프링(140)을 갖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레버(50)를 아래쪽위치로 붙잡아 주기 위한 제 2선택적해제수단이 상기프레임(30)에 설치되어 고정위치와 자유위치사이를 축선회하는 트립레버(70)와 이 트립레버(70)가 상기 고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봇레버(50)를 위쪽위치에 붙잡아주는 고정수단(72) 및 상기 트립레버(70)를 상기 고정위치로 탄력지지해 주는 스프링(128)으로 이루어져, 상기 트립레버(70)가 자유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봇레버(50)를 위쪽위치로 이동시켜주도록 된 것을 특징을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2)을 축(40)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요오크(44)가 상기 프레임(30)에 축선회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스프링(42)이 이 요오크(44)에 연결되고 상기 요오크(44)는 상기 프레임(30)에 축선회연결되어 상기 스프링(42)이 상기 작동레버(38)를 한쪽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아래쪽위치와 상기 스프링(42)이 이 작동레버(38)를 다른 한쪽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위쪽위치사이를 축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기 (6)를 개방시키는 링크수단이 프레임(30)에 축선회설치된 스위치레버(132)와 이 수위치레버(132)를 상기 단속기(6)에 연결시켜주는 작동봉(22), 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와 링크(134)의 연결부를 이 링크(134)와 상기 스위치레버(132)이 연결부로부터 먼쪽으로 밀어 탄력지지해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적 해제수단이 상기 프레임(30)에 아래쪽위치와 위쪽위치사이를 축선회하도록 연결된 피봇레버(50)와 이 피봇레버(50)를 상기 아래쪽위치에서 붙잡아주기 위한 상기 제2선택적해제수단을 구비하면서, 상기 스위치 작동레버(38)가 상기 피봇레버(50)에 연결되어 상기 축(40)을 중심으로 하여 축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2)이 피봇레버(50)를 위쪽위치로 탄력지지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레버(50)를 아래쪽위치로 붙잡아 주기 위한 상기 제2선택적새제수단이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되어 고정위치와 자유위치상이를 축선회하는 트립레버(70)와 이 트립레버(70)가 상기 고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봇레버(50)를 아래쪽위치에 붙잡아주는 고정수단(72) 및 상기 트립레버(70)를 상기 고정위치로 탄력지지해 주는 탄력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트립레버(70)가 자유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봇레버(50)를 위쪽위치로 이동시켜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13. 프레임(30)과 이 프레임(30)에 설치되어 핀(52)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위치와 위쪽위치사이를 축선회 이동하는 피봇레버(50),상기 핀(5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축(40)을 중심으로 상기 피봇레버(50)에 축회정하도록 설치되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사이를 축선회하도록 된 스위치 작동레버(38) 및 상기 피봇레버(50)가 위쪽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작동레버(38) 및 상기 피봇레버(50)가 위쪽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작동레버(38)의 이동에 따라 단속기(6)를 개방시키고 상기 피봇레버(50)가 아래쪽 위치로 이동할 때는 상기 작동레버(38)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단속기(6)를 개방시키며 상기 피봇레버(50)가 위쪽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작동레버 (38)가 폐쇄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단속기 (6)를 폐쇄시켜주게 되는 링크기구(130)로 이루어진 단속기 작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상기 피봇레버(50)를 위쪽위치로 탄력지지해 주기 위한 텐션스프링(42)과 이 피봇레버(50)를 아래쪽위치에 해제가능하도록 붙잡아주는 트립레버(70)상기 스위치작동레버(38)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사이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축선회수단 및 상기 트립레버(70)를 단속기 (6)에 연결된 회로의 결함에 따라 해제시켜주는 센서트리퍼(15)가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차단장치.
  15. 제1,2단속기(6A,6B)에 각각 연결된 제 1,2회로와 상기 제1,2단속기(6A,6B)에 각각연결되면서 상기 제 1,2회로와 각각 연결된 제 1,2센서트리퍼(150A,150B)를 갖춘 수동으로 작동시켜지는 제 1,2수동차단작동기(25A, 25B) 및 제1,2수동차단작동기(25A,25B)를 동작시켜 상기 제 1,2센서트리퍼(150A,150B)중 하나가 결함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1,2단속기(6A,6B)를 개방시키게 되는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진 단속기 작동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이 프레임(30)과 이 프레임(30)에 축선회하도록 설치된 축(74), 이 축(74)에 고정되어 함께 횐전하는 제1,2구동레버(218A,218B), 상기 축(74)에 설치되어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제1,2트립레버(70A,70B),상기 제 1트립레버(70A)의 축회전에 따라 상기 제1단속기(6A)를 개방시켜주도록 상기 제1구동레버(218A)를 작동시키는 제1작동수단,상기 제1트립레버(70A)의 축회전에 따라 상기 제2단속기(6A)를 개방시켜주도록 상기 제2구동레버(218B)를 작동시키는 제2작동수단,상기 제1트립레버(70A)의 축회전에 따라 상기 제1구동레버(218A)를 축회전시키는 제1캠면(224A) 상기 제2트립레버(70B)의 축회전에 따라 상기 제2구동레버(70B)를 축회전시키는 제2캠면(224B),상기 제1구동레버(218A)이 축회전에 따라 상기 제1트립레버(70A)를 축회전시키는 제1돌기(228A), 상기 제2구동레버(218A)의 축회전에 따라 제2트립레버(70B)를 축회전시키는 제2돌기(228B), 상기 제1회로의 결함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1트립레버(70A)를 축회전시키는 제1센서트리퍼(150A) 및 상기 제2회로의 결함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2트립레버(70B)를 축회전시키는 제2센서트리퍼(150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17. 프레임(30)과 이 프레임(30)에 축선회하도록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1,2구동레버(218A,218B),상기 프레임(30)에 축선회하도록 설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제1,2트립레버(70A,70B),상기 제1트립레버(70A)의 축회전에 따라 상기 제1단속기(6A)를 개방시켜주는 제1개방수단, 상기 제2트립레버(70B)의 축회전에 따라 상기 제2단속기(6B)를 개방시켜주는 제2개방수단, 상기 제1트립레버(70A)의 축회전에 따라 제1구동레버(218A)를 축회전시키는 제1캠면(224A), 상기 제2트립레버(70B)의 축회전에 따라 제2구동레버(218B)를 축회전시키는 제2캠면(224B), 상기 제1구동레버(218A)의 축회전에 따라 제1트립레버(70A)를 축회전시키는 제1돌기(228A),상기 제2구동레버(218B)의 축회전에 따라 제2트립레버(70B)를 축회전시키는 제2돌기(228B),상기 제1회로의 결함을 검지하게 되면 상기 제 1트립레버(70A)를 축회전시키는 제 1센서트리퍼(150A) 및 상기 제 2회로의 결함을 검지하게 되면 상기 제2트립레버(70B)를 축회전시키는 제2센서트리퍼(150B)로 이루어진 단속기 작동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에 축(74)이 설치되면서 이 축(74)에는 제1,2구동레버(218A,218B)가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제1,2트립레버(70A,70B)가 축선회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19. 프레임(30)과 이 프레임(30)에 설치되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사이를 이동하도록 된 스위치작동레버(38),이 작동레버(38)가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단속기(6)를 개방시키는 한편 상기 작동레버(38)가 폐쇄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속기(6)를 폐쇄시키는 링크수단을 갖춘 단속기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핀(52)을 중심으로 아래쪽위치와 위쪽위치사이를 축선회하게 되는 피봇레버(50)와 이 피봇레버(50)에 설치되어 상기 핀(52)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축(40)을 중심으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사이를 축선회하도록 된 작동레버(38)가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이 상기 피봇레버(50)가 위쪽위치에 있을 때는 스위치작동레버(38)의 이동에 따라 단속기(6)를 개방시키고 상기 피봇레버(50)가 아래쪽위치에 있을 때는 상가 작동레버(38)를 개방위치로 이동시켜줌으로서 단속기(6)를 개방시키며 상기 피봇레버(50)가 아래쪽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작동레버(38)를 폐쇄위치로 이동시켜줌으로서 단속(6)를 폐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기 작동장치.
  21. 제 1,2단속기(6A,6B)에 각각 연결되어져 제 1,2센서트리퍼(150A,150B)에 의해 각각 트리핑되어지도록 된 제 1 및 제 2수동차단작동기(25A,25B)와, 상기 관련 센서트리퍼(150A,150B)에 의해 제 1 및 제 2 수동차단작동기(25A,25B) 중 하나를 트리핑시켜 제1,2단속기(6A,6B)를 모두 개방시켜 주도록 상기 제 1 및 제2수동차단작동기(25A,25B)를 트리핑 시켜주는 트리핑수단으로 이루어진 단속기 작동장치.
KR1019890013406A 1988-09-19 1989-09-19 단속기 작동장치 KR0128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536788A 1988-09-19 1988-09-19
US7/245,367 1988-09-19
US07/245,367 198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509A KR900005509A (ko) 1990-04-14
KR0128060B1 true KR0128060B1 (ko) 1998-04-15

Family

ID=2292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406A KR0128060B1 (ko) 1988-09-19 1989-09-19 단속기 작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24678A (ko)
JP (1) JP3099884B2 (ko)
KR (1) KR0128060B1 (ko)
CA (1) CA1331470C (ko)
MX (1) MX1706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590A (en) * 1996-05-28 1999-01-19 Emerson Electric Co. Cam-operated time quiet cycle selector
US6753493B2 (en) 2001-06-01 2004-06-22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ircuit interrupting device
CZ300886B6 (cs) * 2002-03-25 2009-09-02 Oez S.R.O. Vybavovací ústrojí, zejména spínacích mechanismu jisticu a odpínacu
CZ300125B6 (cs) * 2004-01-22 2009-02-18 Oez S. R. O. Vybavovací ústrojí, zejména pro spínací mechanismy jisticu a odpínacu
ES2381242T3 (es) * 2009-07-01 2012-05-24 Abb Technology Ag Contador de voltaje medio multifase
KR101322413B1 (ko) * 2013-01-16 2013-10-28 한일시멘트 (주) γ-C₂S 클링커를 활용한 친환경 저탄소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US9761394B2 (en) 2013-02-08 2017-09-12 Hubbell Incorporated Current interrupter for high voltage switches
WO2021202717A1 (en) 2020-03-31 2021-10-07 Hubbell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al switch
KR102546569B1 (ko) * 2022-08-04 2023-06-22 주식회사 대성피앤씨 감마-이칼슘실리케이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획용 시멘트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8910A (en) * 1960-07-01 1963-07-23 Heinemann Electric Co Interconnected circuit breakers
US4591679A (en) * 1984-03-16 1986-05-27 Rte Corporation Loadbreak switch actuator
US4791364A (en) * 1985-08-20 1988-12-13 Thermonics Incorporated Thermal fixture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70607B (es) 1993-09-01
JPH02162626A (ja) 1990-06-22
US5124678A (en) 1992-06-23
KR900005509A (ko) 1990-04-14
CA1331470C (en) 1994-08-16
JP3099884B2 (ja)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0907A (en) Operating mechanism of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5334808A (en) Draw-out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4546224A (en) Electric switch in which the control lever travel is arrested if the contacts become welded together
US4611187A (en) Circuit breaker contact arm latch mechanism for eliminating contact bounce
US4165453A (en) Switch with device to interlock the switch control if the contacts stick
KR0128060B1 (ko) 단속기 작동장치
KR930003195A (ko) 스위치 메카니즘
EP1575074B1 (en) Switch mechanism
US5719363A (en) Mechanical switching device such as a circuit breaker and a safety device for the circuit breaker
KR910006799B1 (ko) 차단기의 조작기구
US6924720B2 (en) Circuit breaker
US6911614B2 (en) Circuit breaker
US20100072049A1 (en) Electrical switch
US8975990B2 (en) Switching mechanism for a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and a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4347415A (en) Electric quick-break switch with forced opening of the contacts
EP0326446B1 (fr) Commutateur auxiliaire de commande et de signalisation pour disjoncteur multipolaire modulaire
KR920008833B1 (ko) 제한접촉기용 록기구
EP0827173B1 (en) Circuit breaker
JP2000057928A (ja) 回路遮断器
US6800822B2 (en) Circuit breaker
US5172294A (en) Protection switch
US7586394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trip actuator reset assembly and lever arm assembly therefor
JP2006196242A (ja) 回路遮断器
US11476072B2 (en) Circuit interrupter
US7405371B2 (en) Loc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