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613B1 - 라케트 - Google Patents

라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613B1
KR920008613B1 KR1019870009711A KR870009711A KR920008613B1 KR 920008613 B1 KR920008613 B1 KR 920008613B1 KR 1019870009711 A KR1019870009711 A KR 1019870009711A KR 870009711 A KR870009711 A KR 870009711A KR 920008613 B1 KR920008613 B1 KR 920008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unit
polyester
aromatic
racqu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647A (ko
Inventor
쯔네요시 오까다
Original Assignee
폴리 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니시 히꼬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 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니시 히꼬이찌 filed Critical 폴리 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sthe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케트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라케트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
제2a도는 제1도의 II-II선에 따른 개약적 단면도이고, (b)는 또 다른 실시예의 대응 단면도.
제3a도는 제1도의 III-III선에 따른 개약적 단면도이고, (b)는 또 다른 실시예의 대응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손잡이
3 : 가로대 4 : 손잡이의 심부
본 발명은 테니스나 배드민턴의 라케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소재의 발전으로 여러 종류의 많은 새로운 라케트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가장 심각한 문제는 어떤 라케트도 타구(打球)의 충격을 흡수할 수 없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선수들은 선수생명에 치명적인 병으로 고생하는 경향이 있는데 예를들면 소위 테니스-엘보우가 그것이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발명과 고안에도 불구하고 아직 만족할만한 해결방법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용융-가공성 폴리에스테르(이하 액정 폴리에스테르로 약칭함)가 매우 높은 강도(强度)와 강성(剛性)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진동감쇄능력을 나타내어 진동이나 충격을 폴리에스테르내에서 흡수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라케트를 액정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었고 그것에 의해서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라케트의 특별한 실시예의 프레임 및/또는 손잡이가 액정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어진 중공체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과 손잡이 모두가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테니스 라케트에는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용융-가공되는데 그것의 용융상태에서 분자사슬이 평행으로 균일하게 정렬되는 것이 특징이다. 분자가 정렬된 그러한 상태를 때로 액정상태 또는 액정물질의 네마틱 상태라고 한다. 그러한 중합체는 가늘고 납작하며 분자의 주된 축을 따라 비교적 높은 강성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동축의, 또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사슬-연장 결합을 가진 단량체를 만들어진다.
이방성 용융상은 교차 편광체판을 이용하여 편광도에 의해 확일될 수 있다. 특히 시료를 레이쯔-핫판에 놓고 질소 충전상태에서 레이쯔 편광 현미경을 40배율로 하여 관찰하면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중합체는 광학적으로 이방성이다. 시료를 교차 편광판 사이에 넣어 조사하면 빛이 투과된다. 만약 시료가 광학적으로 이방성이라면 정적상태에서도 편광이 투과될 것이다.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위 중합체를 구성하는 구성의 예는 다음과 같다.
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②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족 디올, 지환족 디올 및/또는 지방족 디올.
③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족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④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족 디올 카르복실산.
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족 디티올 및/또는 방향족 티올 페놀.
⑥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족 히드록실 아민 및/또는 방향족 디아민.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의 예는 다음과 같다.
I) 성분 ⓛ과 ②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II) 성분 ③만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III)성분 ①,②와 ③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IV) 성분 ④만을 포함하는 폴리티올 에스테르.
V) 성분 ①과 ⑤를 포함하는 폴리티올 에스테르.
VI) 성분 ①,④와 ⑤를 포함하는 폴리티올 에스테르.
VII)성분 ①,③과 ⑥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VIII)성분 ①,②,③과 ⑥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또한 위의 범주에 들지는 않지만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가 있다. 그 예로 폴리(니트릴로-2-메틸-1,4-페닐렌니트릴로에틸리딘-1,4-페닐렌에틸리딘); 폴리(니트릴로-2-메틸-1,4-페닐렌니트릴로메틸리딘-1,4-페닐렌메틸리딘)과 폴리(니트릴로-2-클로로-1,4-페닐렌니트릴로메틸리딘-1,4-페닐렌메틸리딘)이 있다.
더욱이, 위의 범주에 들지는 않지만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로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가 있다. 그러한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는 필수적으로 4-옥시벤조일, 디옥시페닐, 디옥시카르보닐과 테레프탈로일 단위를 포함하고 있다.
이제 중합체 I)내지 VIII)를 구성하는 성분의 예가 기술될 것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에는 테레프탈산, 44'-디페닐카르복실산, 4.4'-트리페닐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4,4'-디카프복실산, 디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부탄-4,4'-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탄-4,4'-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디페닐에테르-3,3'-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3,3'-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탄-3,3'-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1,6-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 및 클로로테레프탈산, 디클로로테레프탈산, 브로모테레프탈산, 메틸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에틸테레프탈산, 메톡시테레프탈산과 에톡시테레프탈산과 같은 알킬, 알콕시, 할로겐 치환유도체가 있다.
지환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는 다음과 같은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즉 트랜스-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시스-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그것의 알킬, 알콕시, 할로겐 치환유도체로서 트랜스-1,4-(1-메틸)-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트랜스-1,4-(1-클로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이 있다. 방향족 디올의 예에는,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4,4'-디히드록시페닐, 4,4'-디히드록시트리페닐, 2,6-나프탈렌디올, 4,4-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녹시)에탄, 3,3'-디히드록시디페닐, 3,3'-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1,6-나프탈렌디올,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과 같은 방향족 디올 및 클로로히드로퀴논, 메틸히드로퀴논, 1-부틸히드로퀴논, 페닐히드로퀴논, 메톡시히드로퀴논, 페녹시히드로퀴논, 4-클로로레조르시놀과 4-메틸레조르시놀과 같은 알킬, 알콕시, 할로겐 치환유도체가 있다.
지환족 디올의 예에는, 트랜스-1,4-클로로헥산디올, 시스-1,4-시클로헥산디올, 트랜스-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시스-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랜스-1,3-시클로헥산디올, 시스-1,2-시클로헥산디올과 트랜스-1,3-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지환족 디올 및 트랜스-1,4-(1-메틸)시클로헥산디올과 트랜스-1,4-(1-클로로)시클로헥산디올과 같은 알킬, 알콕시, 할로겐 치환유도체가 있다.
지방족 디올은 직쇄이거나 측쇄인데 그 예에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과 네오펜틸글리콜이 있다.
방향족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예에는 4-하이드록시벤조산, 3-히드록시벤조산, 6-히드록시-2-나프토산과 6-히드록시-1-나프토산과 같은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및 3-메틸-4-히드록시벤조산, 3,5-디메틸-4-히드록시벤조산, 2,6-디메틸-4-히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히드록시벤조산, 3,5-디메톡시-4-히드록시벤조산, 6-히드록시-5-메틸-2-나프토산, 6-히드록시-5-메톡시-2-나프토산, 3-클로로-4-히드록시벤조산, 2-클로로-4-히드록시벤조산, 2,3-디클로로-4-히드록시벤조산, 3,5-디클로로-4-히드록시벤조산, 2,5-디클로로-4-히드록시벤조산, 3-브로모-4-히드록시벤조산, 6-히드록시-5-클로로-2-나프토산, 6-히드록시-7-클로로-2-나프토산과 6-히드록시-5,7-디클로로-2-나프토산과 같은 알킬, 알콕시, 할로겐 치환유도체가 있다.
방향족 메르캅토 카르복실산의 예에는 4-메르캅토벤조산, 메르캅토벤조산, 6-메르캅토-2-나프토산과7-메르캅토-2-나프토산이 있다.
방향족 디티올의 예에는 벤젠-1,4-디티올, 벤젠-1,3-디티올, 2,6-나프탈렌디티올과 2,7-나프탈렌디티올이 있다.
방향족 메르캅토 페놀의 예에는 4-메르캅토 페놀, 3-메르캅토 페놀, 6-메르캅토 페놀과 7-메르캅토페놀이 있다.
방향족 디히드록실아민과 방향족 디아민의 예에는 4-아미노페놀, N-메틸-4-아미노페놀, 1,4-페닐렌디아민, N-메틸-1,4-페닐렌디아민, N,N'-디메틸-1,4-페닐렌디아민, 3-아미노페놀, 3-메틸-4-아미노페놀, 2-클로로-4-아미노페놀, 4-아미노-1-나프톨, 4-아미노-4'-히드록시-디페닐, 4-아미노-4'-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4-아미노-4'-히드록시디페닐메탄, 4-아미노-4'-히드록시디페닐 설파이드,4,4'-디아미노페닐설파이드(티오디아닐린), 4,4'-디아미노디페닐 술폰, 2,5-디아미노톨루엔, 4,4'-에틸렌디아닐린, 4,4'-디아미노디페녹시에탄, 4,4'-디아미노디페닐렌메탄(메틸렌디아닐린) 및 4,4'-디아미노디페닐 에테르(옥시디아닐린)가 있다.
상기한 성분을 포함하는 I)에서 VIII)까지의 중합체 중에서 어떤 것은 성분의 종류, 비율, 순서배열에 따라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합체는 I)에서 VIII)까지의 중합체 중에서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에 제한된다.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위의 폴리에스테르 I), II), III)과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VIII)는 축합에 의해 원하는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여러가지 유기단량체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유기 단량체의 작용기에는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에스테르기, 아실옥시기, 아실할라이드가 또는 아미노기가 있다. 단량체는 열교환유체가 없는 상태에서 용융 애시돌리시스 공정에 의해 반응될 수 있다. 이 공정에 의하면 단량체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물을 얻는다. 이 반응이 진행되면서 중합체가 형성되어 액체속에서 중합체의 고체입자가 현탁액을 이루고 생성된 휘발물질(예를들면 아세트산이나 물)은 축합의 마지막 단계에서 제거된다. 휘발물질의 제거는 진공하에서 쉽게 일어난다.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 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슬러리 중합반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 공정에 의하면 고체 생산물은 열교환매체에서 현탁상태로 얻어진다. 위의 두 공정중의 하나에 따르면 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는 유기 단량체는 그것의 히드록실기가 에스테르화(즉 저급 아실에스테르)된 변성된 형태로 반응에 사용된다. 저급 아실기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유기 단량체 반응물의 아세트산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애시돌리시스 공정과 슬러리 공정 모두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촉매에는 산화디알킬주석(예를들면 산화디부틸주석), 산화디아릴주석, 이산화티탄, 삼산화안틴, 규산 알콕시티탄, 티타늄 알콕사이드,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염(예로서 아세트산 아연), 루이스산(예로서 BF3) 및 수소할로겐화물(예로써 HCl)과 같은 기체상태의 산촉매 등이 있다. 일반적인 촉매의 사용량은 무게비로 0.001% 내지 1%인데 사용된 전체 단량체의 무게에 0.01% 내지 0.2%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순 방향족 중합체는 실질적으로 유기용매에 불용성인 경향이 있으며 그래서 용액을 공정은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위에서 기술한대로 이 중합체는 보통 용융공정에 의해 쉽게 진행된다. 순 방향족 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는 펜타플루오로페놀에 어느 정도 용해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일반적으로 평균 분자량이 약 2,000에서 200,000이며 바람직한 것은 약 10,000에서 50,000이고 특히 양호한 것은 약 20,000에서 25,000의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약 5,000 내지 50,000이며 바람직한 것은 약 10,000 내지 30,000, 예를들면 15,000내지 17,000의 것이다. 이들의 분자량 측정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나 또는 중합체를 용액으로 만들지 않고 하는 다른 표준 방법으로 할 수 있는데 후자의 예를들면 적외선 분광법에 의해서 중합체 말단기의 함량을 조사하기 위한 압축성형필름의 조사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펜타플로로페놀에 중합체를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하여 빛을 산란시키는 방법으로 분자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위의 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에스테르 아미드의 펜타플루오로페놀 0.1중량% 용액은 적어도 약 2.0dl/g의 고유점도(I.V.)를 나타내는데 예를들면 60℃에서약 2.0에서 10.0dl/g의 점도를 보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중합체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는 부분적으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단위를 포함하고 있고 분자슬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로 또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위의 중합체를 구성하는 성분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의 것이 있다. 즉 나프탈렌 유도체로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2,6-디히드록시나프탈렌, 1,4-디히드록시나프탈렌과 6-히드록시-2-나프토산이 있고 비페닐 화합물로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과 4,4'-디히드록시-비페닐이 있으며 다음은 각 화합물을 대표하는 일반식(I), (II)와 (III)이다.
Figure kpo00001
(I)에서 X는 1에서 4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렌기나 알킬리덴기, -O-,-SO-,-SO2-,-S-,-CO-중에서 선택된 기를 나타내며 (III)의 Y는 -(CH2)n-과 -O(CH2)nO-(여기서 n은 값은 1내지 4)중에서 선택된 기를 나타낸다. p-치환벤젠유도체로 p-히드록시벤조산, 테레프탈산, 히드로퀴논, p-아미노페놀과 p-페닐렌디아민이 있으며 이 화합물들의 고리가 치환(치환물은 염소, 브롬, 메틸, 페닐과 1-페닐에틸중에서 선택된다)된 유도체와 m-치환벤젠유도체로 이소프탈산과 레조르시놀이 있다.
분자사슬에 위의 성분이 부분적으로 포함된 바람직한 예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산이 있는데 알킬기는 2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있다.
특히 양호한 예에는 상기한 성분중에서 p-치환벤젠유도체와 나프탈렌화합물, 비페닐로 된 군에서 하나나 그 이상의 화합물이 필수적으로 선택된다. 더욱이 p-치환벤젠유도체, p-히드록시벤조산, 메틸히드로퀴논과 1-페닐에틸히드로퀴논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의 특정한 조합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위에서 Z는 -Cl,-Br과 -CH3중에서 선택된 치환물이고 X는 1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렌, 알킬덴, -O-,-SO-,-SO2-,-S-와 -CO-에서 선택된 치환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예는 6-히드록시-2-나프토산, 2,6-디히드록시나프탈렌이나 2,6-디카르복시나프렌과 같이 나프탈렌 구조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적어도 10몰% 함유하는 것이다. 반면에 폴리에스테르 아미드의 바람직한 예는 위의 나프탈렌 구조와 4-아미노페놀 또는 1,4-페닐렌디아민을 포함하는 반복되는 단위를 가지고 있다.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 아미드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에 기술된다.
(1) 폴리에스테르는 실질적으로 다음 (I)과 (II)의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있다.
Figure kpo00012
이 폴리에스테르는 약 10내지 90몰%까지의 단위 I를 단위 II를 포함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에 의하면 단위 I은 약 65 내지 85몰%가 포함되어 있는데 바람직한 것은 약 70에서 80몰%가 포함되어 있다(예를들면 약 75%). 반면에 구체예의 다른 것은 단위 II가 매우 적게 포함되어 있는데 약 15에서 35몰%이고 바람직한 것은 약 20에서 30몰%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고리에 결합된 수소원자의 하나나 그 이상이 치환될 수 있는데 치환물은 1에서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 1에서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콕시기 할로겐원자, 페닐기, 치환된 페닐기와 이들의 조합으로 된 군에서 선택된다.
(2) 폴리에스테르는 실질적으로 다음, I,II과 III의 반복단위를 가지고 있다.
Figure kpo00013
이 폴리에스테르는 단위 I을 약 30내지 70몰% 함유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위 I이 약 40에서 60몰%, 단위 II가 약 20에서 30몰%, 단위 III이 약 20에서 30몰% 포함되어 있다.
또한 고리에 결합된 수소원자를 하나나 그 이상이 치환될 수 있는데 치환기는 1에서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 1에서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콕시기, 할로겐원자, 페닐기, 치환된 페닐기와 이들의 조합으로 된군에서 선택된다.
(3) 폴리에스테르는 실질적으로 다음 I, II, III 및 IV의 반복되어 단위를 가지고 있다.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VI에서 R은 방향족 고리의 수소원자 치환된 치환물이며 메틸, 염소, 또는 브롬이나 이들의 조합을 나타낸다.
이 폴리에스테르는 단위 I을 약 20 내지 60몰% 함유하고 있는 단위 II는 약 5에서 18몰%, 단위 III은 약 5에서 35몰%, 단위 IV는 약 20내지 40몰%를 함유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위 I이 약 35 내지 45몰%, 단위 II는 약 10에서 15몰%, 단위 III은 약 15 내지 25몰%, 단위 IV는 약 25 내지 35몰% 함유되어있다. 이때의 조건으로 단위 II은 몰%와 단위 III의 몰%의 합이 실질적으로 단위 IV의 몰%와 같아야 한다. 또한 고리에 결합된 한개나 그 이상의 수소원자가 치환될 수 있는데 치환기는 1에서 4에서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 1에서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콕시기, 할로겐원자, 페닐기, 치환된 페닐기와 이들의 조합으로 된 군에서 선택된다. 펜타플루오로페놀을 용매로 한 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0.3%(w/v) 용액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2.0dl/g의 고유점도를 보이며 예를들면 60℃에서 2.0에서 10.0dl/g을 나타낸다.
(4) 폴리에스테르는 실질적으로 다음 I, II, III과 IV의 반복되는 단위를 가지고 있다.
Figure kpo00016
III : 다음의 일반식으로 대표되는 디옥시알릴단위
Figure kpo00017
여기서 Ar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IV : 다음의 일반식으로 대표되는 디카르복실아릴단위.
Figure kpo00018
여기서 Ar'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이 폴리에스테르는 단위 I의 함량이 20에서 40몰%이고 단위 II의 함량은 10몰%는 넘고 50몰% 이하이며 단위 III의 함량은 5몰% 이상 30몰% 이하이고 단위 IV의 함량은 5몰% 이상, 30몰%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단위 I이 약 20 내지 30몰(예를들면 25몰%), 단위 II는 약 25 내지 40몰%(예를들면 약 35몰%), 단위 III은 약 15 내지 25몰%(예를들면 약 20몰%), 단위 IV는 약 15내지 25몰%(예를들면 약 20몰%)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고리에 결합된 한개나 그 이상의 수소원자가 치환될 수 있는데 치환기는 1에서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 1에서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콕시기, 할로겐원자, 페닐기, 치환된 페닐기와 이들의 조합으로 된 군에서 선택된다.
단위 III과 단위 IV는 대칭적인 것이 바람직한데 "대칭적"이라 함은 중합체의 뼈대사슬에서 양쪽면의 단위가 서로 연결된 결합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리에 대칭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예를들면 나프탈렌 고리에 결합이 있을 때 두 단위가 서로 파라의 위치에 있거나 반대쪽 고리에 있다). 그러나 레조르시놀이나 이소프탈산에서 유도된 것과 같은 비대칭 단위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단위 III의 디옥시아릴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9
단위 IV의 디카르복실아릴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20
(5) 폴리에스테르는 실질적으로 다음, I, II, III의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kpo00021
II : 다음 일반식으로 대표되는 디옥시아릴단위
Figure kpo00022
여기서 Ar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2개의 기를 나타낸다.
III : 다음 일반식으로 대표되는 디카르복실아릴단위.
Figure kpo00023
여기서 Ar'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이 폴리에스테르는 약 10에서 90몰%의 단위 I을 포함하고 있으며 단위 II는 5내지 45몰%, 단위 III은 5내지 45몰%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위 I은 약 20 내지 80몰%, 단위 II는 약 10 내지 40몰%, 단위 III은 10 내지 40몰%를 포함하고 있다. 특별히, 단위 I이 약 60 내지 80몰%, 단위 II가 약 10 내지 20몰%, 단위 III이 약 10 내지 2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에 결합된 한개나 그 이상의 수소원자가 치환될 수 있는데 치환기는 1에서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 I에서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콕시기, 할로겐원자, 페닐기, 치환된 페닐기와 이들의 조합으로 된 군에서 선택된다.
디옥시아릴단위 II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24
디카르복실아릴단위 III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25
(6) 폴리에스테르 아미드는 실질적으로 다음의 I, II, III과 IV의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있다.
Figure kpo00026
II : 다음 일반식으로 대표되는 단위.
Figure kpo00027
여기서 Ar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2가의 기이거나 2가의 트랜스-시클로헥산기를 나타낸다.
III : 다음 일반식으로 대표되는 당위.
Figure kpo00028
여기서 Ar은 방향족 고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2가의 기이고 Y는 O,NH,NR을 나타내며 Z는 NH나 NR을 나타낸다(여기서 R은 1에서 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IV : 다음 일반식으로 대표되는 단위
Figure kpo00029
여기서 Ar'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가진 2가의 기를 나타낸다. 이 폴리에스테르 아미드는 약 10 내지 90몰%의 단위 I, 약 5내지 45몰%의 단위 II, 약 5내지 45몰%사이의 단위 III과 약 0 내지 40몰%의 단위 IV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고리에 결합된 한개나 그 이상의 수소원자가 치환될 수 있는데 치환기는 1에서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 1에서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콕시기, 할로겐원자, 페닐기치환된 페닐기가 이들의 조합으로 된 군에서 선택된다.
디카르복시 단위 II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30
단위 III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31
디옥시아릴 단위 IV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32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는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기할 중합체의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의 사슬이 일부가 되고 나머지 부분을 그러한 상을 형성할 수 없는 열가소성 수지의 단편으로 되어 있다.
위의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자기강화효과에 의해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물질인데 선팽창계수와 성형수축인 자가 작아서 부피 뒤틀림이 적다. 또한 용융점도가 낮아서 높은 유동성을 보이면서도 180℃ 내지 200℃까지의 높은 온도에도 견디어낸다. 더욱이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화학물질, 기후, 뜨거운 물에 뛰어난 내성을 보이며 다른 물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케트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에 따라 액정 폴리에스테르에 여러가지 무기 충전제가 첨가될 수 있다. 무기 충전제로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에 첨가되는 충전제가 사용된다. 무기 충전제의 예에는 무기 섬유로 유리, 탄소, 금속, 세라믹 섬유와 붕소, 칼륨, 티탄산 섬유, 그리고 석면이 있으며 분말 충전제로 탄산칼슘, 수산화 알루미늄, 활석, 운모, 편상유리, 유리구슬, 석영분말, 규사, 규회석, 여러가지 금속분말, 카이본 블랙, 황산바륨, 소석고, 위스커와 금속 위스커가 있다. 더욱이 섬유 또는 분말탄소와 같은 전도성 충전제를 사용하면 대전 방지효과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양이 많을수록 결과도 좋다. 그러나 성형성을 고려하여 수지가 포함된 혼합체에서 무게비로 7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한 성능에 따라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에 첨가되는 이미 알려진 첨가제도 사용될 수 있다. 첨가제의 예에는 가소제, 산화방지제나 자외선 흡수제같은 안정제, 대전방지제, 방염제 유동성과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윤활제와 결정촉진제(핵생성 촉진제)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체는 본 발명의 목적에 역효과를 내지 않는한, 액정 폴리에스테르에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해서 얻어진다.
혼합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예를들어보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산과 같은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폴리아세탈(단일중합체 또는 혼성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ABS, 폴리산화옥시페닐렌, 폴리황화옥시페닐렌, 불소수지와 같은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이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는 두가지 또는 그 이상의 혼합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테니스 라케트 실시예의 개략도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제3도는 III-III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제1도에 나타난 라케트에서 프레임 1을 구성하는 중공 파이프는 연장부(1a)를 형성하며 손잡이(2)까지 뻗는다. 액정 폴리에스테르(2a)는 연장부(1a)를 인서어트로 사용하여 사출성형되어 손잡이를 형성한다. 다른 방법으로 연장부(1a)는 다른 것과 합쳐져 손잡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2도에서와 같이 프레임 1은 바람직하게는 중공(hollow) 파이프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중공 파이프의 절단면은 특별히 제한된 모양이 아니고 제2도의 (a)처럼 둥글거나 제2도의 (b)처럼 사각형일 수도 있다. 프레임을 중실체(solid body)로 만들면 라케트가 무겁고 충격감쇄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중공 파이프로 프레임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파이프의 두께는 보통 2 내지 6mm의 것이 바람직하다.
앞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배드민턴 라케트에서 프레임 금속축을 통해서 손잡이에서 합쳐지는데 그 때문에 가요성(flexibility)이 라케트에 부여된다.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라케트에서 액정 폴리에스테르의 가요성이 금속의 가요성과 같은 값을 보이기 때문에 축도 또한 일체로 액정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성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케트의 표면은 도장 또는 도금처리를 하고 라케트의 손잡이(2)에는 종래기술의 방법에 따라 커버(5)를 적절하게 씌운다. 본 발명에 의한 라케트는 특정한 단면을 가진 중공 파이프를 열을 가하면서 구부려서 프레임을 만들거나 사출 블로우 성형등에 의해 직접 구부러진 중공 파이프를 만드는 공정에 의해서 생산된다. 다른 방법으로 저융점 합금으로 중공부분과 같은 모양의 인서어트를 만들고, 성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주형속에 인서어트를 배치하여 인서어트 몰딩으로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성형한 후 성형물을 가열하여 합금을 녹여 제거하는 공정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 공정에 따르면 손잡이(2)의 심부(4)와 프레임(1)이 제3도의 (b)에서와 같이 결합된다. 또한 심부(4)가 제3도의 (a)와는 달리 단일 파이프로 형성되어도 손잡이(2)는 뛰어난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라케트는 손잡이 및/또는 프레임이 액정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어지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는 그 고유한 성질로 현저하게 진동을 감쇄시키고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공을 칠 때 프레임에 가해지는 강한 충격에 의해 생기는 탄성파를 흡수할 수 있을 것이며 그에따라 팔의 피로나 테니스-엘보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액정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어진 섬유로 거트를 구성하여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라케트에 적용하면 더욱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의 의해 더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당연히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국한 되지 않고 여러 구조와 제조 공정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수지 A를 가지고 두께 5mm의 둥근 파이프를 만들고 250℃의 열을 가하여 파이프를 구부려서 프레임 모양을 얻었다. 수지 A는 다음에 기술될 것이다. 이것을 인서어트 몰딩을 위해 주형안에 고정한 후 인서어트 사출성형으로 가로대와 손잡이를 만들었다.
손잡이는 라케트를 만드는 마지막 처리되었다. 이 라케트를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라케트와 비교하였다. 타구에 의해 발생하여 손에 가해지는 충격이 전자의 것이 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실시예 2 내지 6]
수지 B,C,D,E 또는 F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공정을 되풀이하였다. 수지 A대신에 사용된 수지 B,C,D,E,F는 다음에 기술될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라케트를 실시예 1에서와 비슷한 방법으로 검사한 결과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내지 12]
라케트의 중공부와 같은 모양을 가진 몸체는 저융점 합금으로 만들어졌는데 저융점 합금은 납, 주석, 카드뮴, 비스무트의 합금이며 다이케스팅에 의해 만들어지고 160 내지 170℃의 융점을 가한다. 이 몸체는 주형에 준비된 핀에 의해 지지되어 사출성형을 하기 위해 고정되었다. 다음에 기술될 수지 A,B,C,D,E 또는 F는 성형물을 얻을 수 있는 보통의 조건에서 사출성형되었다. 이 성형물은 합금을 녹이기 위하여 180℃로 가열되었고 그 합금의 용융물은 제거되었다. 이렇게해서 중공부가 완전히 주조된 프레임과 손잡이와 가로대를 가진 라케트와 만들어졌다.
이 라케트는 실시예 1에 의해 만들어진 라케트에 비해 가볍고 더 좋은 타격특성을 나타내었다.
상기한 수지 A,B,C,D,E 와 F는 다음의 구조를 가지는 액정 폴리에스테르이며 본 발명에 의한 라케트를 만드는 재료로 쓰이는 바람직한 수지이다.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숫자는 각각 몰비를 나타낸다.)

Claims (4)

  1.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용융-가공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케트.
  2.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와 프레임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케트.
  3. 제1항에 있어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케트의 프레임이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용융-가공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어진 중공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케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케트의 손잡이가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용융-가공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어진 중공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케트.
KR1019870009711A 1986-09-05 1987-09-02 라케트 KR920008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09268 1986-09-05
JP61209268A JPS6365881A (ja) 1986-09-05 1986-09-05 ラケツト
JP209268 1986-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647A KR880003647A (ko) 1988-05-28
KR920008613B1 true KR920008613B1 (ko) 1992-10-02

Family

ID=1657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711A KR920008613B1 (ko) 1986-09-05 1987-09-02 라케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65881A (ko)
KR (1) KR920008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9470B (de) * 1988-12-15 1995-05-26 Head Spor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llspielschlägerrahm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647A (ko) 1988-05-28
JPS6365881A (ja) 1988-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359B1 (ko) 자성 복합물
EP0264291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2505429B2 (ja) 射出成型用組成物
US4777204A (en) Gear comprising fiber-reinforced anisotropic melt-forming polymer formed via injection molding under specified conditions
JPH051137B2 (ko)
JPH0571630B2 (ko)
KR920008613B1 (ko) 라케트
JP2632803B2 (ja) 電動機ローター
JP2946224B2 (ja) 樹脂組成物
JPH0768409B2 (ja) ガラス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501241B2 (ja) サーモトロピック液晶ポリマー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13719A (ja) 電気電子部品用封止材
JPH0571631B2 (ko)
JPH06197669A (ja) 釣竿用ソリッド穂先
JPH0582859B2 (ko)
JP2683337B2 (ja) 光ピツクアツプ
JP2579742B2 (ja) 射出成型用組成物
JP2935054B2 (ja) タルク配合サーモトロピック液晶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2903653B2 (ja) 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4198256A (ja) サーモトロピック液晶ポリマー組成物
JP3410253B2 (ja) 射出成形材料
JPS62258184A (ja) ポンプインペラ−
JPH06231947A (ja) スイング型アクチュエーター
JP3259108B2 (ja) 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S6390001A (ja) ヘツドシエ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