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588B1 - 전단기(剪斷機) - Google Patents

전단기(剪斷機)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588B1
KR920008588B1 KR1019840006988A KR840006988A KR920008588B1 KR 920008588 B1 KR920008588 B1 KR 920008588B1 KR 1019840006988 A KR1019840006988 A KR 1019840006988A KR 840006988 A KR840006988 A KR 840006988A KR 920008588 B1 KR920008588 B1 KR 920008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
shear
shearing
inlet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852A (ko
Inventor
다다시 히라다
히데가쓰 이께다
요시다까 아리다
요시히꼬 가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아마다
아마다 미쓰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317228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80820U/ja
Priority claimed from JP172284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8081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72283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8081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72282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80818U/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아마다, 아마다 미쓰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아마다
Publication of KR85000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8Press-pads; Counter-bases; Hold-dow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23D33/025Guillotines with holding means behind th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10Stops for positioning work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단기(剪斷機)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부를 제2도의 I-I선을 따라 절개한 상태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유압부재 및 유압회로의 계통도.
제4도는 제2도의 IV-IV선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유압부재와 유압회로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5 : 수직프레이트 7 : 상부 전방프레이트
9 : 하부 전방프레이트 13 : 작업대
15 : 하부 전단인부 17 : 상부 전단인부
19 : 램 23 : 상부 안내판
25 : 하부 안내판 27 : 상부 안내로울러
29 : 하부 안내로울러 35 : 전방 안내판
37 : 전방 안내로울러 53 : 측면 안내로울러
55 : 구동축 59 : 구동모우터
61 : 편심축 77 : 백게이지
79 : 이송대 81 : 로울러
83 : 레일 103 : 크램프장치
105 : 유압실린더 107 : 피스톤로드
109 : 크램프부재 115 : 펌프장치
117 : 캠 123 : 대경의통공
125 : 소경의통공 129 : 피스톤
133 : 스템 137 : 캠종동부
143 : 저장탱크 145 : 릴리프밸브
147 : 첵크밸브 139 : 스프링
149 : 지지부재 157 : 이송대
171 : 유압모우터 185 : 대경의통공
187 : 스풀 189 : 스템
193 : 캠종동부 197 : 파이프
199 : 어큐므레이터 201 : 첵크밸브
203 : 릴리프밸브 205 : 콕크
본 발명은 금속판과 같은 판상의 물품을 전단(剪斷)하거나 컷팅하기 위한 1쌍의 상, 하 전단인부(剪斷刃部)를 갖는 전단기(Shear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판과 같은 판상의 물품을 전단하기 위한 전단기는 1쌍의 수직상태로 대향된 프레이트와 1쌍의 긴 상, 하부 전단인부 및 피가공판을 공급, 고정시켜 저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대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전단인부는 작업대상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 전단인부는 하부 전단인부로부터 멀어지고 근접하게 상부 전단인부를 이동시켜 주고 1쌍 수직프레이트 사이로 승강이동하는 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유압이나 압축공기 실린더의 크램프 부재는 작업대상에서 전단되어지는 피가공판을 잡아주기 위하여 전단기의 전방에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백게이지 부재가 전단되어지는 피가공판의 길이나 폭을 셋팅하기 위하여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단기는 전단시 피가공판을 잡아주기 위한 유압이나 압축공기의 크램프부재는 사실상 작업대상의 피가공판을 타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어 크램프부재에 의하여 피가공판이 눌려 고정되어질때 굉장한 소음이 발생되는 불리한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크램프 부재에 의하여 피가공판 손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단기는 폭이 넓고 긴 피가공판을 견고히 잡아 줄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어 전단 작업시 피가공판이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는 결함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것을 일정한 크기하에서 계속적으로 피가공판을 전단하는 동안에 백게이지 부재가 필요 없게 되고 불균일한 크기하에서 피가공판을 전단하게 될때에는 백게이지 부재가 필요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필요한 조절 없이 간편히 램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전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단기는 램이 수직으로 이동할때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탄력있게 안내되며 안내부재와 연결된 상태하에서 작동부재에 의하여 작동되는 램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가공판이 손상되거나 잡음이 발생되는 사례 없이 전단 작업시 피가공판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크램프부재를 가진 전단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램프장치의 유압펌프는 저압력하에서 큰힘을 제공할 수 있는 직경이 큰 피스톤과 고압력상태에서 작은 힘을 공급할 수 있는 적은 직경의 피스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단 작업시 피가공판을 상측에서 고정시켜 주는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피가공판이 전단작업시 절곡되거나 구부러지는 사례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가 다른 상태에서 전단되어지는 피가공판을 이동시켜 피가공판의 폭과 길이를 셋팅시켜 주기 위한 백게이지장치를 구비한 전단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기(1)는 1쌍의 수직프레이트(3)(5)와 상, 하부(7)(9) 및 빔부재(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수직프레이트(3)(5)는 각각 평행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 하부(7)(9)와 빔부재(11)에 의하여 각각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 하부(7)(9)는 수직프레이트(3)(5)의 상, 하부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빔부재(11)는 수직프레이트(3)(5)의 후방 상측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고, 또한 전단기는 피가공판(W)을 공급하여 전단하기 위한 작업대(13)을 하부 전방프레이트(9)의 단부에 수평하에 고정시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하부 전단인부(15)는 하부 전방프레이트(9)의 단부에 설치된 작업대(13)의 후측면에 수평하게 착탈자재 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긴 상부 전단인부(17)은 수직프레이트(3)(5)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자재 하는 램(19)에 착탈자재하게 취부되어 있다.
따라서 상, 하부 전단인부(17)(15)는 램(19)에 의하여 상부 전단인부(17)이 하강하여 피가공판(W)을 전단할때 각각 상호 연동하여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램(19)은 하단에 긴 경사부가 형성된 4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가 형성된 경사부에 비스듬히 고정되어진 상부 전단인부(17)이 형성되어 있고 램(19)의 후측에는 1쌍의 수직 립(21)이 설치되어 있고, 1쌍의 수직 립(21)은 후측으로 대칭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작업대(13)의 상면보다 낮게 램(19)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지게 돌설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19)의 수직 이동을 위하여 1쌍의 상부 안내판 (23)과 하부 안내판(25)이 램(19)의 립(21)에 고정되어 있으며, 1쌍의 상부 안내로울러(27)과 하부 안내로울러(29)가 축(31)(33)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 하부 안내판 (23)과 (25)는 램(19)의 스트록 길이 보다 길게 연장되어진 상태로 램(19)의 립 (21)의 상, 하단에 수직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 하부 안내로울러(27)(29)는 램 (19)이 수직으로 이동할때, 상, 하부 안내판(23)(25)과 접촉하여 항상 회전할 수 있도록 축(31)(33)상에 회전자재하게 취부되어 있다.
상, 하부 안내로울러(27)(29)의 축(32)(33)은 상, 하부 안내판(23)(25)과 접촉하고 있는 상, 하부 안내로울러(27)(29)를 보지시켜 주기 위하여 수직상으로 정렬된 수직프레이트(3)(5)의 상,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 안내로울러(29)의 축(33)은 제2도에 C로 표시된 작업대(13)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하부 안내판(25)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안내로울러(29)를 구비하고 있다.
상, 하부 안내로울러(27)(29)의 상, 하부 안내판(23)(25)이 접촉할 수 있도록 1쌍의 전방안내판(35)이 램(19)의 전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1쌍의 전방안내로울러(37)가 전방안내판(35)과 접촉하여 회전자재하는 상태로 상부 전방프레이트(7)상에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전방 안내로울러(37)은 상부 (7)에 관통되어 수평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지지부재(41)상의 축(39)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부 (7)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부재(41)의 외측단은 상부전방프레이트(7)에 고정된 케이싱(43)내에 수평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취부되어 있으며, 통상의 닛트(45)에 의하여 복개되어 있다.
또한 전방 안내판(35)과 전방 안내로울러(37)가 확실히 접촉할 수 있도록 조절 보울트(47)가 지지부재(41)을 향하여 수평상태로 연장되어 통상의 닛트(45)와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스프링(49)이 지지부재(41)를 후측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조절 보울트(47) 주위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안내로울러(37)은 견고히 스프링(49)에 의하여 탄설되게 되어 상, 하부 안내판(23)(25)과 접촉 회전하게 되어 진동없이 확실하게 램(19)를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단순한 1조의 전방안내로울러(37)가 전방 안내판(35)을 채용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들을 2조로 구성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램(19)는 수직으로 이동할때 좌우 양측으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상의 측면 안내판(51)이 램(19)의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1쌍의 측면 안내로울러(53)이 측면안내판(51)과 접촉하여 회전자재하게 수직프레이트(3)상에 설치되어 있다.
측면 안내판(51)은 전방 안내로울러(37)와 마찬가지로 램(19)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램(19)를 지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하에서 램(19)은 하부 전단인부(15)로부터 상부 전단인부(17)을 수직 상태로 상, 하 이동시킬때 측면 안내로울러(53), 전방 안내로울러(37) 및 상, 하 안내로울러(27)(29)에 의하여 요동되는 것이 저지되고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 안내로울러(27)(29)(37) 및 (53)은 스프링(49)에 의하여 램(19)의 각각의 안내판(23)(25)(35)(51)과 회전자재하게 당접되어 탄설되어 있으므로서 램(19)의 안내 작동에 대하여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며, 안내판(23)(25)(35) 및 (51)과 작동하는 안내로울러(27)(29)(37)(53) 대신에 감마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19)을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축(55)이 수직프레이트(3)(5) 사이의 램(29) 직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축(55)은 램(19)이 수직으로 이동되는 수직반 보다는 약간 후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55)은 베어링(57)에 의하여 수직프레이트(3)(5)에 지지되어 있으며, 구동축(55)는 램(19)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모우터(59)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55)는 키(63)에 의하여 고정된 1쌍의 편심축(61)을 양단에 구비하고 있으며, 편심축(61)은 체결핀(67)에 의하여 램(19)의 립(21)과 연결로드(65)로 견고히 연결되어 있다.
특히 연결로드(65)의 핀(67)은 작업대(13)의 상면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나, 하부 안내판(25)과 접촉하는 하부 안내로울러(29)의 C점 보다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로드(65)는 편심축(61)에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연결되어 있으며, 핀에 의하여 램(19)의 립(21)에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연결되어 있고, 이들은 각각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51)이 모우터(59)에 의하여 구동되면 편심축(61)이 연결로드 (65)와 핀(67)에 의하여 램(19)를 상, 하로 이동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동축(55)와 편심축(61)에 의하여 램(19)이 하강할때 연결로드(65)의 핀(67)상에는 수직 하방향의 분력(VE)과 수평 후방향의 분력(H)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램(19) C점 부근에서 수평 하방향의 분력(H)에 의하여 제2도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려는 경향이 발생하게 되고 핀(67)은 C점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서 하부 안내판(25)과 당접하여 하부 안내로울러(29)는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 전단인부(17)은 하부 전단인부(15)와 작동하여 피가공판(W)을 전단할때 수평 후 방향의 분력과 반작용이나 수직 상방향의 전단 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축(55)과 램(19)은 편심축(61)에 의하여 하강할때 상, 하부 안내판(23)(25)에 상, 하부 안내로울러(27)를 압압하여 후측으로 유도하게 되어 상부 전단인부(17)은 요동하는 사례 없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19)을 원할하게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측 후방에 공기 실린더와 같은 균형 유지부재(69)가 구비되어 있으며, 균형유지부재(69)는 브라켓(73)에 의하여 빔부재(11) 상단에 핀(71)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 램(19)에 고정된 브라켓(75)에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램(19)은 원할하게 상승할 뿐만 아니라, 상, 하부 로울러(27)(29)와 상, 하부 안내판(23)(25)가 접촉된 상태에서 확실하게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되기 위하여 피가공판(W)의 폭과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긴 백게이지(Back Gauge)(77)이 하부 전단인부(15)상에 공급되어지는 피가공판(W)을 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평행하게 상, 하부 전단인부(15)(17)의 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백게이지(77)은 로울러(81)가 취부된 복수의 운반대(79)에 의하여 운반되어 하부 전단인부(15)로부터 수평하게 근접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운반대(79)는 로울러(81)에 의하여 레일(83)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레일(83)은 상부 전단인부(17)와 직각으로 긴 지지부재(85)상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85)는 직각상으로 램(19)의 하부 후단에 수평하게 고정된 외팔보와 같은 판상의 베이스(87)의 하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레일(83)상으로 운반대(79)를 이동시켜 주기 위하여 닛트(91)가 형성된 안내 나사(89)가 지지부재(85)상에 회전자재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닛트(91)에 운반대(79)가 연결되어 있다.
운반대(79)은 핀(93)에 의하여 닛트(91)에 연결되어 있어, 전단되기 위한 피가공판(W)이 수평으로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핀(93)에 의하여 상측으로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램(95)이 레일(83) 후단에 근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핀(97)에 의하여 회동 케리어(79)가 회동할때 로울러(81)가 재치되어 진다.
특히 램(95)은 레일(83)상에 관통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서 자유자재로 레일(83)상의 어떠한 위치로라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안내 나사(89)는 운반대(79)가 모우터(101)에 의하여 구동될때 동기 회전하기 위하여 축(99) 및 기어박스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에 의하여 백게이지(77)은 안내 나사(89)에 의하여 운반대(79)와 같이 하부 전단인부(15)로부터 수평으로 이동하여 전단가공될 피가공판(W)의 폭과 길이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반대(79)의 로울러(81)가 레일(83)상의 캠(95)으로 이동하면 운반대(79)는 핀(93)에 의하여 상부로 회동하게 되어 수평으로 공급되는 피가공판(W)의 높이보다 높게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백게이지(77)은 레인(83)으로부터 캠(95)상에 운반대(79)를 이동시켜 주게 되어 피가공판(7)은 보다 넓고 길게 전단되도록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캠(95)이 레일(83)상에 어떠한 위치로라도 이동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서 소정의 어떠한 위치로라도 백게이지(77)을 레일(83)상에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3)상에서 전단되어지는 피가공판(W)을 잡아주기 위하여 일렬로 상부(7)의 하방에 복수의 크램프부재(103)가 설치되어 있다.
크램프부재(103)의 각각은 유압실린더(105)와 실린더(105)내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드자재하는 피스톤로드(107)로 구성되고 크램프부재(109)를 하단에 설치하고 있으며, 상측으로 피스톤로드(107)를 압압하기 위하여 실린더(105)내에 스프링(111)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피스톤로드(107)은 스프링(111)에 대항하는 유체압에 의하여 작업대(13)상에서 전단되어지기 위한 피가공판(W)을 크램프부재(103)로 눌러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크램프부재(103)은 키(119)에 의하여 램(19)의 구동축(55)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캠(117)에 의하여 구동되어지는 펌프(115)와 유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파이프(113)로 연결되어 있다. 펌프(115)는 대경의 통공(123)과 대경의 통공(123)과 연결된 소경의 통공(125) 및 파이프(113)을 구비한 케이싱(121)으로 구성되며, 대경의 통공(123)은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소경의 통공(125)는 측방향으로 대경의 통공(123)의 가장 깊은 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고, 통로(127)은 파이프 (113)으로 소경의 통공(125)의 내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펌프(115)의 케이싱(121)내에는 컵상의 피스톤(129)이 대경의 통공(123)내에 슬라이드자재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스템(133)이 형성된 플런저(131)이 피스톤 (129)상에 슬라이드자재하에 취부되어 있어 소경의 통공(125)내로 삽치되게 된다.
특히 플런저(131)은 피스톤(129)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스템(133)은 피스톤(129)로부터 외측으로 작동하는 방법으로 피스톤(129)의 중앙에 설치된 통공내에 슬라이드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131)의 스템(133) 외측단의 브럭(135)에는 램(19)의 구동축(55)상에 캠(117)과 당접하여 회전자재하게 구성된 캠 종동부(13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으로 피스톤(129)을 밀어주기 위하여 대경의 통공(123)내에 스프링(139)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13) 보다 강한 스프링(141)이 캠(117)과 캠종동부(137)가 당접되게 하기 위하여 피스톤(129)와 브럭(135) 사이에서 플런저 (131)의 스템(133)을 밀어 주게 되고, 스프링(141), 브럭(135) 및 캠종동부 (137), 캠(117)에 의하여 피스톤(129)이 대경의 통공(123) 외부로 튀어 나오는 것이 저지되며, 구동축(55)에 의하여 캠(117)이 회전할때 플런저(131), 스템(133) 및 브럭(135)를 캠종동부(137)가 내측으로 압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캠(117)이 회전할때 캠종동부(137)은 피스톤(129)가 설정된 내부로 도착할때까지 스프링(139)보다 강한 스프링(141)과 브럭(135)에 의하여 스프링 (139)를 내측으로 밀어주어 피스톤(129)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피스톤(129)가 소정의 내측에 도달하면 캠종동부(137)가 스프링(141)에 대응하여 소경의 통공 (125)내로 결합되어 플런저(137)을 움직여 주게 되고, 이에 따라 램(19)이 구동축(55)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부 전단인부(17)과 하부 전단인부(15)가 작동하며, 피가공판(W)을 전단하기 바로 직전에 소경의 통공(125)내로 플런저(131)을 이동시켜 줄수 있도록 캠(171)이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유체는 대경의 통공(123), 소경의 통공(125), 통로(127) 및 파이프(113)를 통하여 모든 크램프장치(103)에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143)에는 릴리프밸브(145)와 첵크밸브(147)를 통하여 파이프(113)가 연결되어 있어 유체는 파이프(113)와 릴리프밸브(145)를 거쳐 저장탱크(143)내로 배출되고 첵크밸브(147)을 거쳐 저장탱크(143)으로부터 파이프(113)내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대경의 통공(123)내로 펌프(115)의 피스톤(129)가 이동할때 펌프(115)로부터의 적은 압력하에서의 대량의 유체에 의하여 크램프장치 (103)의 피스톤로드(107)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피스톤(129)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크램프장치(103)의 크램프부재(109)는 피가공판(W)이 손상되지 않고 소음이 감소된 상태에서 적은 압력으로 작업대(13)상에서 전단되어질 피가공판(W)을 가볍게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펌프(115)의 스프링(141)은 크램프부재(109)가 작업대(13)상에서 피가공판(W)을 잡아줄때 유압회로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펌프(115)의 대경의 통공(123)내에 피스톤(129)이 이동하게 된 후에는 플런저(131)은 소경의 통 (125)내로 이동하게 되고 피스톤로드(107)은 고압력상태의 소량의 유체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낮은 압력하에서 작업대(13)상에서 가볍게 고정된 파가공판(W)은 크램프부재(109)에 의하여 손상을 입게 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사례 없이 플런저 (131)의 작동에 의하여 고압력상태의 크램프부재(109)에 의하여 견고히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피가공판(W)이 크램프부재(109)에 의하여 작업대(13)상에서 고정되어질때 여분의 유체는 릴리프밸브(145)를 통하여 저장탱크내로 배출되게 된다.
크램프부재(109)에 의하여 피가공판(W)이 견고히 고정되어진 후에는 램(19)가 구동축(55)에 하강하여 상부 전단인부(17)은 하부 전단인부(15)와 작동하여 피가공판(W)을 전단하게 된다.
피가공판(W)이 상, 하 전단인부(17)(15)에 의하여 전단되어진 다음에 구동축(55)는 램(19)을 상승시켜주게 됨과 동시에 캠(117)과 캠종동부(137) 및 스프링(139)(141)등에 의하여 플런저(131)와 피스톤(129)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피가공판(W)이 전단되어진 후 피스톤로드(107)과 크램프부재(109)는 스프링 (139)(141)에 의하여 피스톤(129)과 플런저(131)가 외측으로 이동할때 피가공판(W)과 분리되고 스프링(111)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
또한 유체는 스프링(139)(141)에 의하여 외측으로 이동하는 피스톤(129)과 플런저(131)에 의하여 저장탱크(143)으로부터 파이프(113)내로 빠지게 되며, 펌프는 유압펌프(115) 대신에 기압펌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4각 브럭상에 존재하는 일열의 지지부재(149)는 평행한 상태로 후단 전단인부(15)의 후방에 상부 전단인부(17)의 직하방에 구비되어 있어 상, 하부 전단인부(17)(15)에 의하여 피가공판(W)이 전단되어질때 상부 금형(17)의 상측으로 피가공판(W)을 고정, 지지하게 되어 지지부재(149)는 상부 전단인부(17)가 하강할때 상부 전단인부(17)와 하부 전단인부(15) 사이에서 피가공판(W)을 잡아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재(149)는 돌출각을 가진 하부 전단인부(125)의 경사면이나 각도에 따라 램(19)의 하단에 고착된 상부 전단인부(17)을 정확하게 줄수 있으며, 또한 상승시켜 줄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부재(149)는 다소 반원통형상의 다수의 홈이 형성된 수평 원통형통을 일단에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각 볼트(153)에 의하여 통공(149b)내에 고정된 결합브럭(151)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특히 지지부재(149)는 각각 미세한 간격을 두고 존재하고 있고 결합브럭(151)은 원통상의 통공(149b)내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 각 지지부재(149)는 결합브럭(151)로부터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부재(149)는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부 전단인부(17)의 작동에 따라 독립적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각각의 지지부재(149)는 하부가 개방된 C형 오프닝(1570)를 중앙부에 형성한 이송부재(157)의 일단에 복수의 보올트(155)로서 고정되어진다.
이송부재(157)은 하단 전방프레이트(9)의 후방에 슬라이드자재하게 취부되어 상, 하로 승강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49)와 같이 좌우로 기울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송부재(157)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긴 안내판(159)가 이송부재(157)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보울트(161)과 스페이스 브럭(163)에 의하여 하부 전단 프레이트(9)의 후측에 수평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송부재(157)의 하나는 링크(165)에 의하여 하부 전방프레이트 후측에 요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고, 링크(165)의 일단을 핀(167)에 의하여 이송부재 (157)의 일단부에 요동자재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하부 전방프레이트(9)의 후측과 안내판(159) 사이에서 회전하는 핀(169)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부재(157)은 하부 전방프레이트(9)의 후측과 안내판(159)과 스페이스 브럭(163) 사이에서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상, 하 승강하게 되며 상부 전단인부(17)의 작동에 따라 지지부재(49)가 동기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지부재(149)를 승강이동시키기 위하여 피스톤로드(173)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유압모우터(171)가 이송부재(157) 직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이 피스톤로드(173)은 핀(157)에 의하여 이송부재(157)에 회동자재하에 취부된다.
유압 모우터(171)은 상측으로 돌출된 이송부재(157)와 결합되는 피스톤로드(173)을 대체로 수직 상태로 구비하고 있으며, 핀(177)에 의하여 하부 전방프레이트(9)의 후방에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좌, 우측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부재(149)는 상부 전단인부(17)의 작동에 따라 전단되어지는 피가공판(W)을 고정시켜 주는 이송부재(157)의 유압 모우터(171)에 의하여 고정되어 상, 하로 이동하거나 좌, 우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압 모우터(171)은 하부 전단인부와 수평으로 지지부재(149)를 지지하고 있으므로서 유체에 의하여 피스톤로드(173)이 최고로 신장될때 피가공판(W)은 지지부재(149)와 하부 전단인부(15)상에 수평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전단되어 지는 것이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모우터(171)은 램(19) 작동시 수직상태로 결합되는 유압 모우터(171)를 제어하기 위하여 파이프(179)에 의하여 제어밸브(181)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제어밸브(181)은 소경의 통공(183)상태로 구성되어 파이프(179)와 연결되고 소경의 통공(183)과 연결된 대경의 통공(185)과 연결되어 있다.
제어밸브(181)은 대경의 통공(185)내에서 슬라이드자재하는 스풀(187)을 구비하고 있어 소경의 통공(183)과 대경의 통공(185)을 착탈자재하게 이동하게 된다.
스풀(187)은 관통된 상태로 제어밸브(181)의 외측으로 슬라이드자재하게 돌출된 스템(189)를 형성하고 있고, 스풀(187)은 소경의 통공(183)과 대경의 통공 (185) 및 스풀(189)를 외부로 돌출시켜 주기 위하여 스프링(191)으로 탄성되어 있다.
스풀(187)의 스템(189)는 그 외측단에 캠종동부(193)가 형성되어 있으며, 캠종동부(193)은 램(19)상에 구비되어 있는 캠(195)와 결합되어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풀(187)은 캠(195), 캠종동부(193) 및 스템(189)에 의하여 스프링(191)에 대향하여 이동하게 되어 대경의 통공(185)와 소경의 통공(183)을 연결시켜 주게 된다.
또한 캠(195)는 상기와 같은 스풀(187)에 의하여 램(19)이 최상부로 이동하였을때 소경의 통공(183)과 대경의 통공(185)를 연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밸브(181)의 대경의 통공(185)는 파이프(197)와 연결되어지고 이 파이프(197)은 첵크밸브(201)에서 유압원(P) 및 보충탱크(199)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콕크(205)가 파이프(197)로 부터 수동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릴리프밸브(203)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어밸브(181)의 스풀(187)은 램(19)이 상사점에 있을때 대경의 통공(185)와 소경의 통공(183)을 연결시켜 주도록 캠종동부(193), 캠(195)에 의하여 스프링(191)을 압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램(19)가 상사점에 도달하면 유압 모우터(171)은 제어밸브(181)을 통하여 유압원(P)와 어큐므레이터(P)로부터 유압을 공급하게 되어 하부 전단인부(15)와 평행하게 지지부재(149)를 지지시켜 줄 수 있게되고, 이에 의하여 전단되어질 피가공판(W)은 수평하게 위치하게 된다.
상, 하 전단인부(17)(15)에 의하여 피가공판(W)을 전단하기 위하여 램(19)이 하강하게 되면 지지부재(149)는 상부 전단인부(17)에 의하여 압력을 받게 되어 피가공판으로부터 떼어내어진 조각편과 같이 하강하게 된다.
지지부재(149)가 상부 전단인부(17)에 의하여 압력을 받게 될때 릴리프밸브(203)을 거쳐 어큐므레이터(199)와 유압원(P)내로 유입되어 스풀(187)과 스프링(191)에 대항하는 유압을 제어밸브(181)을 통하여 배출시키게 됨으로서 유압 모우터(171)의 피스톤로드(175)은 작동하게 된다.
피가공판(W)을 전단한 후 램(19)가 상술할때에는 지지부재(149)는 피가공판(W)으로부터 전단되는 조각편 없이 하강된 상태를 지속하게 되며, 제어밸브(183)의 스풀(187)은 대경의 통공(185)과 소경의 통공(183)이 차단되도록 캠(195)의 압력으로부터 이완된 상태를 지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램(19)이 상사점에 되돌아 왔을때에는 캠(195)은 유압 모우터(175)에 의하여 어큐므레이터(199)와 유아원(P)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캠종동부(193)가 제어밸브(181)의 스풀(187)을 압압하게 되므로서 지지부재(149)는 다음의 전단 작업을 위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의 전단 작업을 위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압 모우터(171)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기체 압력원을 갖는 기체압 모우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Claims (10)

  1. 후레임상에 고정된 작업대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하부 전단인부와 상기 하부 전단인부와 작동하여 전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상부 전단인부를 취부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램과, 램의 상, 하 후측을 안내하기 위하여 후레임상에 구비된 상, 하부 후측 안내장치와 램의 수직 이동평 보다 약간 후측직하방에 설치된 램 구동장치와, 하부 후측 안내부재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서 램을 연결하여 구동시켜 주기 위한 연결로드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램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장치는 로울러로 한다.
  3. 제1항에 있어서, 램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장치는 슬라이드 자재한 부재로 한다.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후측 안내장치는 작업대의 상면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5. 후레임상에 고정된 작업대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하부 전단인부와, 하부 전단인부와 작동하여 전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상부 전단인부를 취부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램과, 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어 피가공판을 크램프하여 주며, 펌프와 통로로서 연결된 유압 또는 기압 모우터와, 저압력상태에서 많은 유압을 공급하는 장치 및 고압력상태에서 적은 유압을 공급하는 장치를 구비한 모우터와 충격 흡수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전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펌프는 실린더와 피스톤을 구성하고, 저압력상태에서 많은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대경의 피스톤이고 고압력상태에서 적은 유량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소경의 피스톤이다.
  7. 제5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충격 흡수장치는 슬라이드자재하게 구성된 대경의 피스톤이다.
  8. 후레임상에 고정된 작업대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하부 전단인부와, 하부 전단인부와 작동하여 전단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전단인부를 취부하고 수직으로 이동하는 램과, 상부 전단인부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고 기울어 질 수 있으며, 상부로 탄설된 상태를 지속하여 전단되어지는 피가공판을 상측으로 지지, 고정시켜 주기 위한 하부 전단인부의 후측에 일렬로 배열된 지지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지지장치는 회동할 수 있도록 각각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유압 또는 기압 모우터에 의하여 상측으로 힘을 받고 있으며, 또한 램보다 늦게 상승을 시작하게 구비되어 있다.
  10. 후레임상에 고정된 작업대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하부 전단인부와, 하부 전단인부와 작동하여 전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상부 전단인부를 수직으로 이동하는 램과, 레일의 어떠한 위치로라도 조절가능한 상태로 작업대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백게이지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백게이지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레일상에 구비된 이송장치 및 캠장치와 상, 하부 전단인부의 후방에 구비된 레일상에 설치된 상기 이송장치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백게이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
KR1019840006988A 1983-11-09 1984-11-08 전단기(剪斷機) KR920008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3172285U JPS6080820U (ja) 1983-11-09 1983-11-09 板材加工機のパツクゲ−ジ
JP58-172283 1983-11-09
JP17228483U JPS6080814U (ja) 1983-11-09 1983-11-09 シヤ−リングマシン
JP17228383U JPS6080819U (ja) 1983-11-09 1983-11-09 剪断機における逆板押え装置
JP17228283U JPS6080818U (ja) 1983-11-09 1983-11-09 板材加工機における板押え装置
JP58-172284 1983-11-09
JP58-172282 1983-11-09
JP58-172285 1983-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852A KR850003852A (ko) 1985-06-29
KR920008588B1 true KR920008588B1 (ko) 1992-10-02

Family

ID=2747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988A KR920008588B1 (ko) 1983-11-09 1984-11-08 전단기(剪斷機)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KR (1) KR920008588B1 (ko)
AU (1) AU572583B2 (ko)
CA (1) CA1258816A (ko)
CH (1) CH665372A5 (ko)
DE (1) DE3441042A1 (ko)
FR (1) FR2554372B1 (ko)
GB (1) GB2150482B (ko)
SE (1) SE4594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705A (en) * 1985-05-08 1988-07-19 Amada Company, Limited Plate processing device having guide means for a vertical ram
DE3645241C2 (de) * 1985-05-08 2000-05-25 Amada Co Blechbearbei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Schere
IT1204707B (it) * 1986-06-13 1989-03-10 Amada Co Ltd Macchina per la lavorazione di pezzi in lastra
DE4233555C2 (de) * 1992-09-30 1997-06-12 Mannesmann Ag Messerführungsvorrichtung für eine Kurbelschere zum fliegenden Querteilen von Bändern
CN100398239C (zh) * 2004-09-07 2008-07-02 太原科技大学 棒料精密剪切模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29558C (de) * 1934-11-30 1936-05-06 Walter Zycha Dipl Ing Schneidvorrichtung mit Hebeluebersetzung, welche das Schneidgut durch Ausstanzen von Streifen zerteilt
US2251153A (en) * 1939-12-04 1941-07-29 Niagara Machine Shear
GB770638A (en) * 1954-06-25 1957-03-20 James Blair Castle Jr Hydraulically operated machine
DE1041766B (de) * 1955-07-11 1958-10-23 Karlsruhe Augsburg Iweka Hydraulisch betriebene Einrichtung zum Niederhalten der zu schneidenden Bleche bei Tafelscheren
CH359341A (de) * 1958-01-30 1961-12-31 Haemmerle Ag Blechschere
ES280860A1 (es) * 1962-01-19 1962-11-16 B R G Sa Perfeccionamientos en cizallas
GB999188A (en) * 1962-05-23 1965-07-21 Schloemann A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etal-shearing machines
FR1404670A (fr) * 1964-05-21 1965-07-02 Perfectionnement aux presses, presses-plieuses, cisailles-guillotines ou autres
FR1441501A (fr) * 1965-02-17 1966-06-10 Dispositif de maintien des tôles en arrière du plan de cisaillage
US3371569A (en) * 1965-06-28 1968-03-05 Pacific Press & Shear Corp Shear machine or the like
GB1162812A (en) * 1965-08-21 1969-08-27 Prec Forging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esses
US3501988A (en) * 1966-05-31 1970-03-24 California Inst Res Found Guillotine-type paper cutter
US3726170A (en) * 1971-01-13 1973-04-10 United Eng Foundry Co Shear
GB1359259A (en) * 1971-05-08 1974-07-10 Moeller & Neumann Gmbh Plate trimming shears
GB1406353A (en) * 1973-01-26 1975-09-17 Steel Construction Eng Co Nott Guillotines
US3903993A (en) * 1973-03-26 1975-09-09 Minster Machine Co Hydrostatic bearing arrangement for press slide
DE2332898A1 (de) * 1973-06-28 1975-01-23 Schloemann Siemag Ag Flachmesserschere zum besaeumen von walzblechen
DD117383A5 (ko) * 1974-10-30 1976-01-12
US4507997A (en) * 1981-01-30 1985-04-02 Amada Company, Limited Shear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8405629L (sv) 1985-05-10
CH665372A5 (de) 1988-05-13
AU3523384A (en) 1985-05-30
AU572583B2 (en) 1988-05-12
SE459482B (sv) 1989-07-10
CA1258816A (en) 1989-08-29
KR850003852A (ko) 1985-06-29
GB2150482A (en) 1985-07-03
GB8428284D0 (en) 1984-12-19
GB2150482B (en) 1988-06-29
SE8405629D0 (sv) 1984-11-09
FR2554372A1 (fr) 1985-05-10
FR2554372B1 (fr) 1988-11-18
DE3441042A1 (de) 198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473A (en) Shearing machine
USRE30025E (en) Universal double cut die set
CN108818703B (zh) 一种纽扣棒料的切片装置
US4700441A (en) Tapping machine
CN107738002B (zh) 一种卧式锯床及其锯切方法
KR920008588B1 (ko) 전단기(剪斷機)
CN113442205A (zh) 可适用于异形板件的水射流机床切割夹具
US4363254A (en) Horizontal bandsaw machine
KR20090006462A (ko) 파이프 홀 가공 장치
US3460226A (en) Die set manipulator
US4422628A (en) Clamping apparatus
CN108568533B (zh) 一种螺栓倒角机
CN215148360U (zh) 一种板材加工固定用夹具
CN111774918B (zh) 一种棒料下料装置
CN112246967B (zh) 一种用于全自动冲孔机的冲孔装置
CN205110479U (zh) 一种全自动钥匙胚冲压机
CN112959105A (zh) 一种薄板数控加工夹具
CN112387848A (zh) 一种棒料快速切断机及其切割方法
CN220697998U (zh) 一种冲孔设备
US2980151A (en) Machine for cutting billets from a block
KR20200129287A (ko) 샤링기용 클램핑장치
CN205085633U (zh) 定位销快速压装装置
CN211331408U (zh) 一种用于阀门加工的打孔装置
CN218192014U (zh) 一种钢构件多角度冲孔装置
CN220574808U (zh) 一种挖掘机斗齿打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