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471B1 - 원고편집 기능을 가지는 복사기장치 및 원고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원고편집 기능을 가지는 복사기장치 및 원고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471B1
KR920008471B1 KR1019900009153A KR900009153A KR920008471B1 KR 920008471 B1 KR920008471 B1 KR 920008471B1 KR 1019900009153 A KR1019900009153 A KR 1019900009153A KR 900009153 A KR900009153 A KR 900009153A KR 920008471 B1 KR920008471 B1 KR 920008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er
copy
section
point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271A (ko
Inventor
빈기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471B1/ko
Publication of KR92000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4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Optical Systems Of Projection Type Cop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고편집 기능을 가지는 복사기장치 및 원고편집 방법
제1도는 복사기의 구조도.
제2도는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제어장치.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7, 49 : 제1, 제2센서 78 : MPU
59, 61, 63, 65, 69, 71, 73, 75 : 저항 53, 67, 57, 77 :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복사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망하는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복사할 수 있도록 한 원고편집기능을 갖는 복사장치 및 원고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적인 복사기는 제1도와 같은 기구물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원고대에 놓인 원고의 내용을 복사되도록 되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복사기의 구조도로서, 도면중의 부호 11은 원고대, 13은 램프(노광램프), 15는 스캐너(SCANNER), 17,19,21,23은 거울, 25은 렌즈, 27은 대전기, 29는 드럼, 31은 현상기, 33은 청소기, 35와 37은 전사기 및 분리기이며, 상기 제1도와 같은 복사장치로 공기 공용의 것이다.
우선 상기 제1도를 참조하여 복사기의 통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 대전기(27)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29)의 표면이 골고루 대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고대(11)위에 원고를 올려 놓고 복사매수가 배율등 각종 기능을 지정한 다음, 복사키를 누르면 램프(13)가 점등이 되고 스캐너(15)가 스캔닝을 시작한다(스캐너(15)가 스캔닝을 하면 램프(13)가 거울(17)이 함께 구동되어 스캔닝을 함). 이때 상기 스캐너(15)가 원고크기(SIZE)만큼 스캔닝을 한 다음 램프(13)가 소등되고 스캐너(15)는 처음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때 복사기 내부에서는 스캐너(15)는 스캔닝하는 동안 램프(13)에서 발생된 빛이 원고에서 반사되어 거울(17-23)와 렌즈(25)를 통해 드럼(29)에 입사된다. 이 빛은 대전기(27)에서 발생되어 드럼(29)상에 균일하게 퍼져 있는 전하를 원고형태와 똑같이 잠상으로 만들어준다. 이후 원고형태로 만들어진 전하는 현상기(301)의 토너(TONER)에 의해 가시상으로 현상되어 전사기(35)에서 용지로 옮겨지고 용지는 분리기(37)에서 드럼(29)으로부터 분리되어 용지경로(39)를 따라 나가게 된다. 그리고 드럼(29)에 남겨진 찌거기 토너는 청소기(33)에서 청소된다. 그러나 통상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복사기에서는 원고중 소망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복사하는 기능이 없어 대단히 불편하였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2도와 같이 원고(39)중 소망하는 영역(41)(제2도의 헤칭영역)만을 복사하는 경우 상기 제1도와 같은 복사로서는 원고(39)중 소망하는 영역(41)만을 복사할 수 없었다.
지금 제2도와 같은 원고(39)를 제1도의 원고대(11)위에 원고를 올려놓고 복사할 때 사용자가 실제복사하려는 부분은 빗금친부분(41)이지만 복사를 시작하면 제1도의 스캐너(15)는 제2도 P1에서 스캔닝을 시작해서 P2까지 스캔닝을 한다. 따라서 원고(39)의 빗금친부분(41)이외의 부분까지 복사가 되어 빗금친 부분만 복사할 수 없다. 또한 빗금친 부분만을 복사하려 하면 사용자는 원고(39)의 빗금친부분(41)만을 오려내어 복사를 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원고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고 빗금친 부분만을 복사할 수 없기 때문에 복사본의 편집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소망하는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복사되도록 하는 원고편집가능 복사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소망하는 영역 선택에 따라 스캐너의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스캐너의 이동감지에 따라 원고의 스캔닝을 실시하여 된 편집복사를 실행하는 복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원고대에 복사편집용 포토센서를 설치하고 소망복사 구간을 설정함과 동시에 스캐너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소망복사 구간만을 복사되도록한 복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편집 복사기의 복사제어 회로도로서,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스라이드 이동이 가능도록 원고대에 설치되어 스캐너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 제2센서(47)(49)와, 상기 제1, 제2센서(47)(49)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스캐너의 이동감지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1, 제2버퍼(48)(50)와, 외부의 키조작에 따라 복사기 시스템을 제어하며, 상기 제1버퍼(48)의 출력에 의해 스캐너의 스캔닝을 개시하고 상기 제2버퍼(50)의 출력에 의해 스캐너의 스캔닝 동작을 중지시키어 상기 제1, 제2센서(47)(49)의 설정구간만을 복사도록 하는 MPU(Microprocessor)(38)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중 제1, 제2센서(47)(49)는 발광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포토인터럽트(Photo Interrupt)이고, 제1버퍼(48)는 전원전압(Vcc)와 접지사이에 저항(65)와 트랜지스터(67)이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67)의 베이스와 상기 제5센서(47)의 포토트랜지스터(53)의 에미터 사이에 저항(63)이 접속 구성된다.
제2버퍼(50)는 전원전압(Vcc)와 접지상에 저항(75)와 트랜지스터(77)이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77)의 베이스와 상기 제2센서(49)의 포토트랜지스터(58)의 에미터 사이에 저항(73)이 접속 구성된다.
미설명 참주부호 59,61,69,71은 각각 저항으로서 전류제한 저항들이다.
제4도는 제3도의 제1,제2센서(47)(49)의 설치와 본 발명에 따른 원고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11은 원고대, 39는 원고, 41은 소망복사구간, 43은 소망복사 구간의 개시점, 45는 소망복사 구간의 종료구간이다. 이때 상기 제1,제2센서(47)(49)는 원고대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스캐너의 이동을 감지한다.
제5도는 제3도 MPU(78)의 동작흐름도로서, 복사개시신호 입력에 의해 스캐너를 구동하여 이동시키고 소망복사 구간의 개시점을 검출하는 개시점 검출과정과, 상기 개시점을 검출과정에서 개시용을 검출시에 스캐너의 원고조사 램프를 점등하고 소망복사 구간의 종료점이 검출될 때까지 복사를 실행하는 종료점검출과정과, 상기 종료점검출과정에서 소망복사 구간의 종료점 검출시에 스캐너의 램프를 소등하고 스캐너를 복귀시키는 스캐너 복귀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제1도와 제3, 제4,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금 사용자가 원고(39)을 제4도의 원고대(11)위에 놓고, 상기 놓여진 원고(39)중 빗금친 부분만을 편집 복사하고저 하여 원고대(11)에 설치된 제5센서(47)를 빗금친 부분의 복사의 복사개시점(43)의 선상에 맞추고, 제2센서(40)를 복사종료점(45)의 선상에 맞추고 조작판넬(도시하지 않음)의 복사 실행키를 누르면 원고(39)의 내용을 편집복사하게 된다(조작판넬 : 통상의 복사기에서 설치된 것으로, 애수세트 키, 클리어키, 축소/확대치, 실행(복사)키 등이 있음). 이때 상기 제1,제2센서(47)(49)는 원고대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스캐너(15)에 접속된 플레이트 이동을 감지하여 스캔닝 상태를 감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제2센서(47)(49)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복사 구간을 세팅한 후 복사 실행키를 누르면 제3도의 MPU(78)가 제5도 79과정에서 스캐너(15)를 구동하고, 81과정에서 램프(13)가 소등된 상태에서 스캔닝(SCANNING)(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79, 81과정에서 스캔닝은 통상의 복사기에서 행하는 것과는 동일하나 램프를 소등하고 이동시키는 것이다(통상의 복사기에서는 스캐너의 이동과 동시에 램을 점등시킴).
상기와 같이 스캐너(15)를 이동시킨 MPU(78)는 제5도 83과정에서 복사구간의 개시점(43)이 검출되는가를 검색판단한다. 복사구간의 개시점(43)이 검출되지 않으면 MPU(78)은 상기 81과정으로 램프하여 램프(13)가 소등된 상태에서 스캔닝을 실행한다.
상기의 스캔닝 동작에 의해 스캐너(15)가 복사구간의 개시점(43)을 통과하게 되면 제1센서(47)가 이를 검출하여 소정의 듀레이션을 갖는 펄스를 출력한다.
이때 스캐너(15)가 복사구간의 개시점(43)을 통과시 검출은 하기와 같다.
스캐너(15)가 MPU(78)의 제어에 의해 제4도의 P1점으로부터 이동되어 원고(39)의 복사구간의 개시점(43)에 도달되면 스캐너(15)에 취부되어진 평면판인 플레이트(Plate)가 포토인터럽트인 제1센서(47)의 발광다이오드(51)와 포토트랜지스터(53)의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51)의 발광빛이 스캐너(15)의 플레이트에 의해 차단되어 포토트랜지스터(53)의 "오프"되고, 트랜지스터(67)이 "오프"된다. 이때 트랜지스터(67)의 컬렉터에서는 "하이"의 신호가 출력되어 MPU(78)의 입력단자(IN2)에 입력되며, MPU(78)는 상기 트랜지스터(78)에 출력을 감지하여 스캐너(15)가 복사구간의 개시점(43)에 스캐너가 도달하였다고 제5도 83과정에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복사구간의 개시점(43)을 검출한 MPU(78)는 83과정에서 스캐너(15)의 노광램프(13)를 점등시킨다. 상기 램프(13)의 점등에 의해 원고(39)의 복사구간의 개시점(43)부터의 원고화상이 제1도에서 전술한 동작에 의해 드럼(29)상에 잠상으로 형성되며, 이는 현상기(31)의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그러므로 제5도 83과정에서 램프(13)을 점등시킨 MPU(78)은 87과정에서 제1도에서 전술한 복사프로세서를 실행하게 되며, 89과정에서 복사구간의 종료점(45)이 검출되는가를 검색판단한다.
상기 89과정에서 복사간의 종료점(45)이 검출되지 않이 하였다면 MPU(78)는 87과정의 복사진행을 반복하여 제4도의 복사구간이 개시점(43)부터 복사구간의 종료점(45)의 내용을 복사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계속적인 수행에 의해 스캐너(15)가 제2센서(49)에 도달되면, 스캐너(15)에 부착된 플레이트(Plate)가 제2센서(49)의 발광다이오드(55)와 포토트랜지스터(57)의 사이를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캐너(15)가 제2센서(49)에 도달되면 포토트랜지스터(57)가 "오프"되어 그의 에미터에서는 "로우"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포토트랜지스터(57)의 에미터에 접속된 트랜지스터(77)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57)의 "로우"출력에 응답하여 논리 "하이"를 MPU(78)의 입력단자(IN1)에 입력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77)의 콜렉터로부터 출력되는 "하이"신호를 입력한 MPU(78)는 제5도 89과정에서 소정복사 구간의 종료점(45)이 검출되었다고 판단하고 91과정에서 스캐너(15)의 램프(13)을 소등시킨다.
상기 램프(13)의 소등에 의해 원고(39)중 소망하는 복사구간(41)의 종료점(45)이후의 원고화상은 도시하지 않음으로 트럼(29)상에 맺히지 않게 되어 복사가 되지 않는다.
한편 제5도 91과정에서 램프(15)를 소등시킨 MPU(78)는 스캐너(15)을 93과정에서 홈포지션으로 복귀시키고, 95과정에서 스캐너(15)가 정위치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95과정에서 스캐너(15)가 정위치인 홈포지션으로 복귀되지 않았다면 MPU(78)로 상기 93과정으로 점프하여 스캐너(15)가 복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도와 같이 원고대(11)위에 놓여지는 원고(39)중 소망하는 복사구간을 설정하면, MPU(78)는 램프(13)를 설정된 복사구간 즉 복사구간의 개시점(43)부터 복사구간의 종료점(45)의 구간에서만 점등시키어 그 내용을 드럼(29)상에 잠상으로 맺히게 하여 복사를 실행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고대에 놓여지는 원고의 특정부분만을 선택복사함으로 복사기로 원고편집이 가능하며, 특정 부분을 강조하여 복사할 수 있다.

Claims (2)

  1. 원고를 위에 놓을 수 있는 원고대(11)와, 상기 원고대에 놓인 원고를 스캔닝 할 수 있는 스캐너(15) 및 램프(13)를 가지는 복사기 몸체를 구비한 복사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11)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원고대(11)위에 놓여지는 원고중 소망하는 복사구간의 개시점과 종료점을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설정하고, 상기 복사기 몸체내의 스캐너(5) 이동을 감지하여 복사구간의 개시점과 종료점을 검출하는 편집구간설정 및 검출부와, 복사 개시신호 입력에 의해 상기 복사기 몸체내 스캐너(15)를 구동하고, 복사구간의 개시점 검출신호입력 시점부터 복사구간의 종료점 검출신호의 입력시점까지 상기 스캐너(15)의 램프(13)을 점등하여 소망하는 복사구간만을 스캔조사도록 제어하는 MPU(78)와 편집구간설정 및 검출부와 MPU(78)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편집구간설정 및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복사구간의 개시점 검출신호와 종료점 검출신호를 상기 MPU(78)를 버퍼링하는 제1, 제2버퍼(48)(5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편집 기능을 가지는 복사장치.
  2. 원고를 스캐닝하는 스캐너(15)와 램프(13)를 가지는 복사기몸체와, 상기 복사기몸체위에 설치되며 상부에 놓여지는 원고(39)중 소망하는 복사영역의 개시점과 종료점을 설정함과 동시에 몸체내의 스캐너(15)를 구비하는 복사기장치의 원고편집복사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사개시신호 입력에 의해 스캐너를 구동하여 이동시키고 소망복사 구간의 개시점을 검출하는 개시점 검출과정과, 상기 개시점 검출과정에서 개시용을 검출시에 스캐너의 원고조사 램프를 점등하고 소망복사 구간의 종료점이 검출될 때까지 복사를 실행하는 종료점 검출과정과, 상기 종료검출과정에서 소망복사 구간의 종료점 검출시에 스캐너의 램프를 소등하고 스캐너를 복귀시키는 스캐너 복귀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편집 복사제어 방법.
KR1019900009153A 1990-06-21 1990-06-21 원고편집 기능을 가지는 복사기장치 및 원고편집 방법 KR920008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9153A KR920008471B1 (ko) 1990-06-21 1990-06-21 원고편집 기능을 가지는 복사기장치 및 원고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9153A KR920008471B1 (ko) 1990-06-21 1990-06-21 원고편집 기능을 가지는 복사기장치 및 원고편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271A KR920001271A (ko) 1992-01-30
KR920008471B1 true KR920008471B1 (ko) 1992-09-30

Family

ID=1930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153A KR920008471B1 (ko) 1990-06-21 1990-06-21 원고편집 기능을 가지는 복사기장치 및 원고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4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271A (ko) 199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9293B2 (ja) 画像形成装置
US4855648A (en) Control device for copier or the like
KR920008471B1 (ko) 원고편집 기능을 가지는 복사기장치 및 원고편집 방법
JP2004126132A (ja) 原稿サイズ検出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原稿サイズ検出方法
US4922296A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controlled in response to detected density of an original image
JPS6226462B2 (ko)
JPH0619603B2 (ja) 複写装置
JPH0416789B2 (ko)
JPS59159153A (ja) 像再生出力装置
JP3129466B2 (ja) 電子事務機器の表示装置
JP3142428B2 (ja) 画像形成装置
US4849787A (en) Original handling apparatus
JPH0544672B2 (ko)
JPH05155445A (ja) 画像形成装置
JPH0477302B2 (ko)
JPS5975238A (ja) 複写機における光学的走査装置の移動体位置検出装置
JP3318100B2 (ja) 画像形成装置
JPH0284675A (ja) 作像装置
JPH02266372A (ja) 電子写真複写機
KR920000550B1 (ko) 복사기의 자동 노광방식
JPH012072A (ja) 複写機の露光照明装置
JPH09130513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27447A (ja) 複写装置
JPH07184004A (ja) デジタル式複写機
JPH09590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