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015B1 - 로울러식 반출장치 - Google Patents

로울러식 반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015B1
KR920008015B1 KR1019880700955A KR880700955A KR920008015B1 KR 920008015 B1 KR920008015 B1 KR 920008015B1 KR 1019880700955 A KR1019880700955 A KR 1019880700955A KR 880700955 A KR880700955 A KR 880700955A KR 920008015 B1 KR920008015 B1 KR 920008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arrying
rollers
carv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0533A (ko
Inventor
브루노 그뮐러
Original Assignee
뷜러 주식회사
마우리스 레우인, 롤프켐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뷜러 주식회사, 마우리스 레우인, 롤프켐페어 filed Critical 뷜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70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0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65G65/4881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Confectionery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로울러식 반출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a도는 본 발명의 이중 로울러 반출기의 횡단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일부 확대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는 상이한 저장고 크기를 위해 만든 새로운 이중로울러식 반출기를 이용한 여러 실시예.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로울러식 반출장치, 특히 곡물 저장용 싸이로에서 배출되는 벌크 곡물재료를 처리하기 위해 설치한 이중 로울러식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반출장치는 반출 조정기 하나와 이 반출조정기 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최소한 2개의 반출 로울러(이중 로울러)로 구성되며, 이 반출 로울러는 여러개의 반출실을 갖추고 있다.
[종래기술의 설명]
대형 저장고로부터 재료를 반출할 때에는 무엇보다도 주의해야할 3가지 문제가 있다. 즉, 생산물의 안전한 반출, 정량분배, 저장고 내부에서의 유동상태에 아무런 지장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유동하거나 유동할 수 있는 재료일 경우에는 액체 저장탱크의 반출 구조에 있어서와 같이 조절문이 있거나, 혹은 조절문이 없는 조절판만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벌크곡물 재료는 특수한 경우이다. 그 까닭은 다음과 같다. 저장고 반출구의 횡단면이 제대로 열려진 경우에는 분말이 조밀한 액체 물질처럼 아무런 압력을 주지 않아도 배출되거나 반출된다. 그러나 반출구의 비어있는 부분에 어떤 장애가 생기거나 특별히 많이 반출되는 부분이 생기면, 이것이 영향을 미치어 배출되는 재료들 중 일부에 재료적 특성에 의해 점착력이 생겨 대부분의 경우에 저장고의 전체 체적중에서 한폭이 비게되는 형상이 생기는바, 이때 저장고는 배출 단면부 위에서 벽난로 모양으로 비워진다. 이것은 나머지 저장 재료에 대해서는 보다 오랜시간이 걸리도록하는 결과를 낳고, 음식물인 경우에는 재료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음식물을 부패시킬 수도 있다.
반출 로울러는 대형 저장고로부터 분말을 정량으로 반출시키기 위해 수십년 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지난 수십년 동안 반출 로울러가 아주 널리 이용되어 왔다는 사실은, 이 로울러를 이용할때 서두에서 언급된 3가지 문제가 원칙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는 증거가 된다. 반출로울러는 아주 큰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반출 로울러의 종방향으로 저장고의 반출범위를 축소시키는 것은 대부분 필요없는 일이다. 최근 몇년간 저장고 내부에 방출용 장치나 방출용 크로스빔(cross-beam)등을 설치하므로써 야기되는 장애나 한쪽으로만 반출되는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GB-PS NO.788,797에는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설계예가 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2개의 반출 로울러나 이중 로울러쌍이 저장고 하부에 부착될 수 있는 반출 조정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저장고 몸체에는 원뿔형으로 짧게 만들어진 반출구가 갖추어져 있는데, 이 반출구의 상부에는 방출용 크로스빔이 설치되어 있다. 중심부에 반출 로울러 위로 설치된 방출용 크로스빔 때문에 생산물은 두쪽으로 갈라져 흘러 내릴 수 밖에 없다. 이 해결 방법에서 반출조정기 안으로 들어가도록 원뿔형으로 축소시킨 출구가 양쪽의 반출로울러를 지나서 거의 더이상 할 수 없을 때까지 단계적으로 뻗어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GB-PS NO.788,799에 설명된 것과 같은 구체적인 해결방법은 저장고로부터 분말을 반출하는데 전적으로 적합하지 않을것이다. 그 까닭은, 분말이 아주 심하게 액체의 성질을 지닐 수 있어서 종종 물의 유동상태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장고로부터 분말을 반출시키기 위한 기존의 설비는 DE-OS NO.1,456,692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것은 한개의 반출 로울러만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도 저장고 하부가 특수한 형태를 취하여 둥글고 경사진 측면이 있고, 저장고 출구의 경사면 위에는 유동운동을 시키는 장치가 있다.
반출 로울러가 저장고의 하부 출구를 완전히 막아버리기 때문에, 그때 그때마다 반출되는 생산물의 양은 반출 로울러 주위에 만들어진 공간속의 내용물과 반출 로울러의 회전수에 의해 정해진다. 회전방향을 규칙적으로 바꿈으로써 저장고의 하부 반출부로부터 한쪽으로만 반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이렇게 되므로써 자장고 내에서 한쪽으로만 흘러 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DE-OS NO.1,456,692의 해결방법에 나타난 근본적인 단점은 발명된 원리에 따라 요구되는 저장고 하부 단면의 특수한 형태에 있다. 개별적인 경우에는 이것이 좋은 해결방법이라고 할 수 있지만, 보다 많은 경우에 기술적으로 이용될 수 없다.
저장고 몸체는 흔히 즉석에서 현장 전문가에 의해 제작 되어야 한다. 좋은 전문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한 분야에 대해서만은 작업자가 잘 실행할 수 없다는 점을 정기적으로 알게 될 것이다.
이것은 반은 발명가의 완전한 감독하에 제조공장에서 실현되고, 나머지 반은 외국에서 발명가의 감독없이 실현될 수 있는 가장 좋은 발명이 흔히 실패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된다.
발명에 의한 해결방법이 이런 식으로는 완전하게 실현되지 못할 것이 아주 명백하다.
[발명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과제는 기존의 해결방법에서 나타난 결함들을 줄이는데 있다. 특히 분말을 아주 정량으로 반출할 수 있는 벌크곡물 재료용 로울러 반출장치를 새로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해결방법은, 각각의 반출 로울러가 종류에 맞는 로울러식 반출을 할때 상부로 개방된 깔때기 모양의 카버장치가 설치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실제로 실험해 보면, 2개의 반출 로울러에 대해서 각각 윗쪽으로 개방된 깔때기 모양의 카버장치를 배치하므로써 여러가지 면에서 반출상태가 극대로 기능을 다하고, 특히 아주 정확하게 정량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저장고 안의 재료가 가라 앉는데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되고, 안전하게 가동되면서 반출되고, 저장고 내부에 방출용 구조물이 전혀 필요없다는 것을 금방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깔때기의 둥근 하부 끝부분에 수집용 스크류를 갖춘 큰 통에 의해 반출 조정기가 아랫쪽으로 이동될때에는 본 발명이 아주 우수한 해결방법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여기서 양쪽이 공급 깔때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공급 깔때기의 아랫부분에서는 반출로울러 아래에 크로스빔이 설치된다. 반출 조정기와 공급용 통이 공동으로 형성하는 공급 깔때기는 첨단부를 갖추되 세 모서리가 모두 둥근 3각형 형태로 나타나 있다. 생산물 조종용 크로스빔도 마찬가지로 3각형을 닮았지만 첨단부가 위를 향하고 있으며, 공급 깔때기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발명에 의한 장치는 GB-PS NO.788,797과 유사하게 구성 유닛트로 구성되어 기존의 저장고 하부에도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다음에 나타나 있듯이, 새로운 해결방법에서는 반출 로울러를 거쳐 견고한 저장고 구조물에 설치된 방출용 장치가 전혀 필요없다. 유일한 전체 조건은 저장고에서 물질이 자유롭게 유동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새로운 해결방법에서는 생산물이 반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달리 장점이 될 수 있는 형태에 대하여 수많은 아이디어를 낼 수 있다. 커버장치는 최소한 인접한 곳에 원통 조각이나 원형 구간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들은 해당 반출로울러에 대해서 동중심적(同中心的)으로 배치되어 있다.
반출 로울러가 반출조정기 안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카버장치도 근본적으로 완전하게 범위 내에 설치된다. 반출 로울러와 카버장치를 갖춘 반출 조정기의 특수한 구성과 성형때문에 제조 회사에서 원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반출기 유닛트가 마련된다. 기능방법, 여유도, 제조방법 등은 발명자의 감독하에 지켜지기 때문에, 미쳐 알아낼 수 없는 부정적 요인들이 배제될 수 있다.
저장고의 출구는 전적으로 올바른 기하학을 따라야 하고 물질이 유동하는 저정고로써 구상되어야 한다. 새로운 이중 로울러식 반출장치는 나사를 조여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부품과 관련시켜 볼때 이 설비는 발명한 대로 가동될 수 있다. 아주 각별한 장점은 낡은 이중 로울러식 반출기는 쉽게 본 발명품으로 대체할 수 있어 실행이 용이하고 경제적일 수 있다는데 있다. 나아가서 가령 양쪽의 반출 로울러 사이에 있는 카버장치의 중간부분이 크로스빔으로 만들어져 유리한데, 여기서 크로스빔은 그 높이를 볼때 최소한 반출 로울러의 아랫폭 반을 넘어서 뻗쳐 있으며 대략 공급 깔때기의 중간부분에 설치된다.
양쪽의 반출 로울러가 균일하게 분배된 종방향의 가로대를 많이 가지고 있다면, 양쪽이 각각 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최소한 하나의 가로대가 카버장치와 상하로 덮혀지는 위치에 있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런 방법에 의해 분말이 통제 받지 않은 상태에서 한꺼번에 쏟아져 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작업을 보다 쉽게하기 위해서 반출 로울러와 카버장치 사이를 이렇게 처리하므로써 충분한 가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30°∼60°로 경사진 하부에는 생산물이 반출되는 쪽에 내부 카버장치가 만들어져 있다.
반출 로울러에는 주로 주변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부수 부품 내지 종방향의 가로대가 갖추어져 있어서, 로울러의 종방향으로는 아무런 공급 부품장치도 없다. 2개의 이중 로울러가 그 카버 장치와 더불어 제1반출 유닛트를 이루는데, 이 반출 유닛트는 저장고의 비어 있는 구멍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종방향의 공급장치는, 주로 공급용 스크류 내지 수집용 스크류를 갖춘 제2수집용스크류 구성 유닛트는 아랫쪽에서 제1구성 유닛트에 고정되는데, 여기서 제2구성 유닛트는 생산물을 "포인트"로 방출하기 위해 갖추어져 있다.
반출로울러에는 회전수(r.p.m.)를 조절할 수 있는 모터가 설치되어 유리한데, 이 모터는 주로 원격 조종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수집용 스크류를 작동시킨다. 응용을 하는 많은 경우에 로울러가 역회전 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면, 상당히 큰 도움이 된다. 이때 로울러는 위에서 볼때 크로스빔과 마주하도록 외측부로부터 내측부로 회전하여, 반출실의 충전과 반출은 주로 전환 장치에서 실행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양쪽의 반출 로울러를 상이한 회전수(r.p.m.)로 작동시켜서 저장물의 배출 속도에 차등을 두는 것은 흔히 장점이 될 수 있다.
형태에 대한 다른 아이디어는, 2개 이상의 반출 유닛트가 하나의 공동 모터에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을 취하여 카버장치를 갖춘 각각 2개의 반출 로울러가 하나의 반출 유닛트로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인데, 여기서 반출 유닛트는 공동 운반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방법으로 하면, 일정수의 배출 기본부품을 가진 보다 큰 저장고가 만들어지고, 그때 그때마다 배출단면으로부터 생산물이 의도대로 배출되며, 반출에 상응하는 정량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발명을 실행하는 방법]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a도와 제2도를 관련시켜 설명한다. 저장고(1)에 깔때기 모양의 부분이 상부에 나타나 있고, 이 부분에는 이중 로울러식 반출장치 내지 반출 유닛트(2)가 직접 접속되어 있으며, 이 이중 로울러식 반출 장치나 반출 유닛트(2)에는 다시 수집용스크류(20)의 구성부품이 나사로 죄어 연결되어 있다. 새로운 이중 로울러식 반출장치는 반출양을 정량으로 분배하는 기계인데, 그 자체가 반출에 도움을 주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보통의 경우에는 저장고(1)의 배출구 부분에 있는 저장물이 유동체가 되어 아랫쪽으로 가라앉는 것을 전제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 설명할 목적으로 채색된 저장물의 일부가도면 부호(4)로 표시되어 있듯이 수평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아랫쪽으로 움직일 것이다. 주로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 2개의 반출 로울러(5)와 (6)은 도시된 화살표(5')(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동모터나 추진 모터(7)에 의해 역회전방향으로 외측부로부터 중앙으로 반출하면서 작동한다.
양쪽의 반출 로울러(5)나 (6)에는 외부 둘레에 일정수의 가로대(8)가 구성되며 제1a도의 보기에서는 방사상으로 6개의 가로대(8)가 갖추어져 있다. 반출로울러(5)(6)에는 각각 윗쪽으로 개방된 깔때기 모양의 카버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제1b도에는 카버장치(9)가 있는 반출 로울러 하나를 확대한 것이 나타나 있다. 카버장치(9)의 외측부에는 각도 α의 범위내에서 반출로울러(5)의 회전중심 M에 대해서 동중심적으로 배치된 곡면벽 구간(10)이 있는데, 이 구간은 아랫쪽에서 배출 경사면(11)을 거쳐 플랜지(12)와 연결되어 있다. 커버장치(9)의 내부에도 마찬 가지로 각도 β범위내에서 반출로울러(5)의 회전중심 M에 대해서 동중심적으로 배치된 곡면벽 구간(13)이 있는데, 이 원형 구간은 아랫폭에서 비교적 편평하게 경사진 정지면(14)이 접속 철판(15)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 경사면(11)과 접속 철판(15) 사이에는 유출 통로(16)가 구성되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데, 이 유출 통로를 통해서 저장물이 반출 로울러(5) 내지 (6)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반출된다.
반출 로울러(5) 내지(6)이 상응하게 회전운동을 할때마다 점으로 표시한 반출실(17) 내의 일부분이 반출되거나 혹은 반출로울러(5)나 (6)의 전체 길이로부터 나오는 체적량이 반출된다.
정지면(14)은 이중 기능을 한다. 정지면(14)은 수평면에 대해 30°∼60°가 되지만 주로 약 40°∼50°가 되는 각도 γ를 갖는다.
그래서 일정한 장소에서 저장율의 유출운동에 대해 아주 가벼운 정지 작용이 생긴다. 이로 인해서 반출 로울러(5)나 (6)의 주변속력에 의해 반출실(17)에 상응하는 분말양이 밖으로 밀려 나오므로 생산물이 급격하게 쏟아지지 않는다. 정지면(14)이 없는 경우에는 반출 로울러(5)나 (6)의 주변 속력보다 더 큰 속력에 의해 반출실(17)내의 체적양이 배출될 위험이 있다.
이때의 단점은 생산물이 충격을 받아 방출되어 버리는 점일 것이다. 게다가 반출실(17)의 체적양 운동이 오히려 저지된다면, 종방향의 가로대(8)와 카버장치(9) 사이에 보다 큰 공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조 여유도가 더 커진다.
제1a도에서 알 수 있듯이, 카버 장치의 내측부는 크로스빔(18)에 접합되는데, 이렇게 되면 반출 유닛트(2) 전체의 견고성을 고려해 볼때에도 유동기술상 장점이 생긴다. 수집용스크류(20)는 양측 유출 통로(16) 위에 지지되어 있는 큰 통(19)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수집용 스크류(20)가 큰 통(19)내의 생산물을 출구(21)로 보낸다. 또한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장치는 반출유닛트(2)와 수집운반 구성유닛트(3)에 의하여 제품이 하부구멍(1')의 전체넓이 범위에서 반출됨과 동시에 균일하게 혼합된다는 부가적인 이익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a도에서는 곡면벽구간(10)과 카버장치(9)의 배출 경사면(11)이 함께 하나의 반출 조정기(22)를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반출조정기는 큰 통(19)과 더불어 폐쇄된 공급조정기(23)를 만든다.
제3a도에는 비교적 길이가 긴 저장고(1)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것이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는 커플링(30)을 거쳐서 연결된 2개의 반출유닛트(2)가 갖추어져 있다. 커플링(30)의 결합장치 위에는 먼지를 제거하고 커플링(30)을 보호하기 위해 후드(31)가 갖추어져 있다.
양쪽의 반출유닛트(2)에 의해 생산물이 수집용스크류(20)를 갖춘 공동의 큰 통(19)으로 보내지는데, 이 수집용스크류(20)가 출구(21)를 통해서 생산물을 일정한 장소나 "포인트"로 다시 보낸다.
3개의 구성유닛트 모두가 1개의 공동 모터(7)의 전달장치(32)에 의해 작동한다. 제3a도와는 달리 제3b도에서는 저장고(1)가 두 칸으로 분리된 분말 반출기가 나타나 있다. 각각의 반출유닛트(2)는 독자적인 모터(7)을 가지고 있지만, 여기에서도 2개의 반출유닛트(2)에는 1개의 수집용스크류(20)나 혹은 운반 반출 구성유닛트(3)가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구분하는 것은 분말용 저장고에서 흔히 볼수 있다. 각각의 저장고 칸에서 나타나는 반출작업 비율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들어 2가지의 분말이 있는 경우에, 질이 아주 좋은 분말의 두부분과 중급질분말의 한 부분이 함께 반출되어 수집용 스크류(20) 안에서 함께 섞인다.
제3c도에는 3번째 가능성으로써 길이가 아주 긴 저장고 배출구가 나타나 있다.
이 배출구 하측부에는 공동 모터(7)을 갖춘 반출유닛트(2)가 4개 설치되어 있지만, 여기에서도 하나의 수집용 스크류(20)를 공동으로 가지고 있다.
이로써 지금까지 알려진 것 이상으로 아주 정확한 정량 분배를 하면서 저장고(1)의 생산물이 반출될 뿐만 아니라 저장실 안에서 직접 유출 상태로 될 수 있다.
제1b도의 왼쪽에서는 반출 로울러(5)가 바로 그러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부로부터 나중에 함께 유동하는 분말을 채우기 위해 반출로울러(5)의 빈 공간을 그대로 비워두고 있다.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회전운동을 하거나 외측부로부터 중앙으로 크로스빔(18)의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전환장치(1")부분에 아주 우수한 유동 범위가 생긴다.
그래서 저장고(1) 내부에는 전체의 유동 상태에 긍정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나타난다. 벽 근처에서, 특히 경사진 전환장치(1")에서 아주 우수하게 반출됨으로써 흔히 나쁜 상태로 균열을 야기시킬 수 있는 벽 마찰 요인이 그 효과면에서 감소한다.
많은 경우에 볼수 있는 일이지만, 기존의 저장고 몸체에서는 저장고 내에서 한쪽으로만 가라앉는 생산물을 그대로 둘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런 문제는 배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생산물이 보다 쉽게 유출되는 경향이 있는 쪽에 예를들어 반출로울러(5)의 회전수를 줄여, 회전수를 의도한 대로 선택함으로써 혹은 로울러(5)와 (6)의 회전수를 상이하게 선택하면, 많은 경우에 이 문제가 해결된다.
제3a도에서는 각각의 이중 로울러식 반출기에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는 자체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방법으로 실행하면, 저장고의 몸체가 아주 큰 경우라도 생산물이 의도한 대로 조정되어 내려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곡물 저장용 싸이로에서 배출되는 벌크 곡물재료를 정확하게 정량분배하여 안전한 반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래서 저장고내의 재료가 반출이 제대로 되지않아 재료의 질을 떨어뜨리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하는 것이다.

Claims (12)

  1. 저장고(1)내의 벌크곡물을 방출하는 반출장치에 있어서, 두부와 바닥이 다같이 개방되고 두부는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두부와 바닥사이에는 벽구간을 갖는 카버장치(9)과 그 카버장치 내에서 회전가능토록 지지되고, 각기 외주부를 가지며 상기 카버장치의 벽구간에 위치하는 두개의 반출로울러(5)(6)와, 상기 반출로울러의 외주에 배열되고, 상기 외주부 및 카버장치의 벽구간 그리고 반출로울러의 길이방향 외주에따라 연장되면서 반출로울러의 외주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가로대(8)에 의하여 반출로울러의 회전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외주부 및 가로대 그리고 반출로울러 사이의 각 안내벽에 의하여 또다른 반출로울러의 회전영역을 한정하는 반출실(17)과, 상기 카버장치의 바닥으로부터 쌓이고 연장되며 바닥을 통과한 제품을 외부로 반송하는 수단을 갖는 통(19)으로 구성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2.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카버장치(9)는 각 반출로울러(5)(6)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로울러 영역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3. 특허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출로울러(5)(6) 사이에 설치된 카버장치(9)의 중앙부는 공동크로스빔(18)으로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4.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크로스빔(18)은 최소한 반출 로울러(5)(6)의 아랫쪽 반을 넘어서 뻗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5.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반출 로울러(5)(6)에는 균일하게 분배된 종방향의 가로대(8)가 갖추어져 있어서, 양쪽에서 각각의 반출 로울러(5)(6)가 각각 끝부분에 있는 상태에서 카버장치(9)와의 관계를 볼때 종방향의 가로대(8)가 최소한 덮어지는 위치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6.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카버장치(9)의 중앙부는 생산물이 반출되는 쪽에서 그 하부 구간에 정지면(14)을 갖추고 있으며, 이 정지면은 수평방향에 대해 30°∼60°가 되는 경사면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7.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버장치(9)를 갖춘 2개의 반출 로울러(5)(6)가 하나의 반출 유니트(2)를 형성하고, 이 반출 유니트는 저장고(1)의 하부구멍(1')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제2구성 유니트(3)로써 수집 스크류(20)를 갖춘 수집용 나선부 구성 유니트(3)가 아랫쪽에서 반출 유니트(2)에 부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수집용 나선부 구성 유니트(3)는 생산물을 방출시키기 위해 "포인트"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8.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하에 있어서, 반출로울러(5)(6)는 서로 역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9.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반출 로울러(5)(6)는 위에서 볼때 크로스빔(18)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반출실(17)의 충전과 반출이 주로 전환장치(1")에서 행하여지는 결과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10.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양쪽의 전환장치(1")의 배출 속력에 차이가 나도록 하기위해, 양쪽의 반출로울러(5)(6)는 상이한 회전수로 가동될 수 있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카버장치(9)를 갖춘 각각 2개의 반출 로울러(5)(6)가 하나의 반출 유니트(2)를 형성하고 또다른 반출 유니트(2)에 대해서는 로울러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여기서 2개 이상의 반출 유니트(2)가 하나의 공동 모터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이들 반출 유니트(2)에는 그 하부에 하나의 공동의 수집 스크류(2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반출 조정기(22)는 수집용 스크류(20)를 갖는 큰 통(19)에 의해 하부로 연속되고, 반출 조정기(22)와 큰 통(19)은 폐쇄된 하나의 공급 조정기(23)를 형성하며, 이 공급 조정기(23)의 내부에는 근본적으로 반출 로울러(5)(6)의 하부에 크로스빔(18)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반출장치.
KR1019880700955A 1986-12-11 1987-12-11 로울러식 반출장치 KR920008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4930/86-2 1986-12-11
CH4930/86A CH671211A5 (ko) 1986-12-11 1986-12-11
PCT/EP1987/000773 WO1988004270A1 (en) 1986-12-11 1987-12-11 Cylinder dischar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0533A KR890700533A (ko) 1989-04-25
KR920008015B1 true KR920008015B1 (ko) 1992-09-21

Family

ID=428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955A KR920008015B1 (ko) 1986-12-11 1987-12-11 로울러식 반출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018648A (ko)
EP (1) EP0294428B1 (ko)
JP (1) JPH0796411B2 (ko)
KR (1) KR920008015B1 (ko)
CN (1) CN1011504B (ko)
AT (1) ATE68438T1 (ko)
AU (1) AU601543B2 (ko)
CH (1) CH671211A5 (ko)
CS (1) CS8709091A3 (ko)
DE (2) DE3723588A1 (ko)
ES (1) ES2008928A6 (ko)
HU (1) HU207633B (ko)
PL (1) PL152994B1 (ko)
SU (1) SU1734575A3 (ko)
TR (2) TR23558A (ko)
WO (1) WO1988004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5736A1 (de) * 1993-10-20 1995-04-27 Passavant Werke Bunker mit Austrageinrichtung
FR2730478B1 (fr) * 1995-02-09 1997-03-28 Area Societe Des Autoroutes Rh Installation de stockage et de chargement pour des produits pulverulents, tels notamment du sel
US6050456A (en) * 1997-11-04 2000-04-18 Progressive Technology Of Wisconsin, Inc. Screw feeder for proportioning machine
US6527147B2 (en) * 2000-12-12 2003-03-04 Automated Packaging Systems,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dispensing dunnage
DE102004020790A1 (de) * 2004-04-28 2005-11-24 Maschinenfabrik Gustav Eirich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geregelten Austrag von Feststoffen
DE102007050050A1 (de) 2007-10-17 2009-04-23 Kennametal Inc. Rundlaufwerkzeug, insbesondere Bohrer
CN101942690A (zh) * 2009-07-06 2011-01-12 竞铭机械(深圳)有限公司 遥控式铜球自动添加装置
JP2011079617A (ja) * 2009-10-06 2011-04-21 Shoji Tsukasaki 定量排出装置
CN103723392A (zh) * 2013-12-13 2014-04-16 广西奥士达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双联卸料器
CN103708147B (zh) * 2014-01-08 2015-09-02 陕西昕宇表面工程有限公司 一种液压搓动式储料推料料仓设备
DE102014116395A1 (de) * 2014-11-11 2016-05-12 Federal-Mogul Bremsbelag Gmbh Silosystem mit Fördermittel
CN104451551B (zh) * 2014-11-17 2017-04-12 中建材光电装备(太仓)有限公司 一种半导体薄膜真空气相沉积的连续自动进料装置
RU169064U1 (ru) * 2016-07-11 2017-03-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грузки емкости сыпучим материалом
CN106241421B (zh) * 2016-09-14 2018-11-13 上海沃敉奥机电设备有限公司 多料斗供料装置
CN106335800A (zh) * 2016-11-27 2017-01-18 苏州君丰辰电子科技有限公司 双体电动卸粮装置
CN106672653A (zh) * 2016-11-27 2017-05-17 申清章 一种具有绞龙的双体粮仓
CN106672650A (zh) * 2016-11-27 2017-05-17 苏州贝腾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信息采集仪的物流仓库
CN106395418A (zh) * 2016-11-27 2017-02-15 苏州君丰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双体电动卸粮装置
CN106697995A (zh) * 2016-11-27 2017-05-24 申清章 一种具有绞龙的双体粮仓
CN112658285B (zh) * 2020-12-16 2022-05-17 宁波中久东方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激光增材设备的出粉装置
CN117160842B (zh) * 2023-09-13 2024-03-19 连云港班庄水泥有限责任公司 一种水泥除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8324A (en) * 1926-12-17 1928-05-01 Int Comb Eng Corp Fuel-supplying device
US1906664A (en) * 1929-11-18 1933-05-02 Thorne Carl Busch Means for storing, measuring, and proportioning semifluent materials
US2687244A (en) * 1948-12-15 1954-08-24 St Regis Paper Co Screw type filling machine
GB788797A (en) * 1955-01-17 1958-01-08 Scottish Oil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scharge means for vertical retorts and other containers
US2907499A (en) * 1957-04-22 1959-10-06 Pandia Inc Paper machinery
FR1402827A (fr) * 1963-07-23 1965-06-18 Socam Sa Dispositif extracteur pour produits pulvérulents
NL6403736A (ko) * 1964-04-08 1965-10-11
DE1456692A1 (de) * 1966-07-16 1969-09-25 Miag Muehlenbau & Ind Gmbh Silo fuer Staubgut mit Austragswalze
DE2442189A1 (de) * 1974-09-02 1976-03-11 Guenther Prof Dipl In Heitmann Schuettgut-austrag-walze mit exzentrisch angeordneten nadeln
DE2659450A1 (de) * 1976-12-30 1978-07-13 Kloeckner Humboldt Deutz Ag Zellenradschleuse
FR2482568A1 (fr) * 1980-05-13 1981-11-20 Bernad Saturnin Extracteur et distributeur rotatif de beton stocke en tremie
DE3238427A1 (de) * 1982-10-16 1984-04-19 Degussa Ag, 6000 Frankfu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verdichtung von feinteiligen, pulverfoermigen stoffen
DE3431626A1 (de) * 1984-08-29 1986-03-13 Babcock-BSH AG vormals Büttner-Schilde-Haas AG, 4150 Krefeld Vorrichtung zum zwischenbunkern und gleichmaessigen belegen von transportbaendern mit schuettguetern, insbesondere mit zuckerruebenschnitzel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23588A1 (de) 1988-06-23
ATE68438T1 (de) 1991-11-15
KR890700533A (ko) 1989-04-25
EP0294428B1 (de) 1991-10-16
JPH0796411B2 (ja) 1995-10-18
TR23558A (tr) 1990-03-26
EP0294428A1 (de) 1988-12-14
ES2008928A6 (es) 1989-08-16
CN87107435A (zh) 1988-07-13
SU1734575A3 (ru) 1992-05-15
HU207633B (en) 1993-05-28
PL152994B1 (en) 1991-02-28
DE3723588C2 (ko) 1989-04-13
CH671211A5 (ko) 1989-08-15
AU601543B2 (en) 1990-09-13
DE3773918D1 (de) 1991-11-21
HUT49771A (en) 1989-11-28
AU1057188A (en) 1988-06-30
PL269371A1 (en) 1988-09-15
CS275468B2 (en) 1992-02-19
JPH01500261A (ja) 1989-02-02
US5018648A (en) 1991-05-28
TR23692A (tr) 1990-06-14
CS8709091A3 (en) 1992-02-19
CN1011504B (zh) 1991-02-06
WO1988004270A1 (en) 198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015B1 (ko) 로울러식 반출장치
US3270921A (en) Unloading system for bulk material bins
EP0423559B2 (de) Pneumatische Saugförderanlage zum gravimetrischen Zuteilen von Schüttgutkomponenten
US4728240A (en) Charging installation for a shaft furnace
US4909556A (en) Transport container for the transport of bulk material
US3244328A (en) Dispensing from plural sources
CN206615993U (zh) 一种香菇酱料灌装装置
RU1796050C (ru) Установка дл загрузки шахтной печи
CN110367139B (zh) 一种兔笼外挂式食盒自动喂料车
CN211466958U (zh) 一种砂石计量称
US5341962A (en) Swing arm feeder
US6024258A (en) Material container that shuttles between supply and use sites
US3352606A (en) Bulk material handling systems
KR19990043125A (ko) 분체의 정밀계량 시스템
CN209889522U (zh) 一种新型多出口筒型料斗
US2863575A (en) Storage hoppers
CA2032622A1 (en) Silo with a discharge means
EP0713473B1 (de) System zur handhabung von schüttgütern
DE2207469A1 (de) Volumetrisch arbeitendes Dosiergerät zum Dosieren von fließbaren, festen Produkten für Verpackungsmaschinen
CN218663382U (zh) 一种滑架污泥料仓
US3860129A (en) Apparatus for homogenizing particulate material
US3294292A (en) Blending of granular materials
CN217075585U (zh) 平底式筒仓
US3278091A (en) Dispenser for comminuted material
SU1020155A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смес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