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943B1 -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943B1
KR920007943B1 KR1019890006219A KR890006219A KR920007943B1 KR 920007943 B1 KR920007943 B1 KR 920007943B1 KR 1019890006219 A KR1019890006219 A KR 1019890006219A KR 890006219 A KR890006219 A KR 890006219A KR 920007943 B1 KR920007943 B1 KR 920007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upport
adjusting rod
headlamp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485A (ko
Inventor
마사히또 나가나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쯔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쯔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F21V7/16Construction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curv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
제1도는 전조등 유닛의 하부 단부와 경사 이동 장치를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
제2도는 전조등 유닛과 경사 이동 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을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을 취한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Ⅴ-Ⅴ선을 취한 단면도.
제6도는 레벨링 기구의 케이싱을 도시한 확대 분해도.
제7도는 제1도의 Ⅶ-Ⅶ선을 취한 단면도.
제8도는 경사 이동 장치를 도시한 확대 분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이동 장치의 제2실시예의 중요한 부품들을 도시한 단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이동 장치의 한 적용을 도시하며, 제10도는 경사 이동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11도는 제10도의 -ⅩI선을 취한 단면도.
제12도는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전조등 2 : 전조등 유닛
7 : 램프 하우징 24 : 경사 이동 장치
25 : 레벨링 기구 40 : 로드 지지체
43, 54, 60, 68 : 구동수단 46 : 조정 로드
101 : 너트 102 : 지향 조작부
103 : 지향 조작축 112 : 결합기
115 : 차량용 전조등 119 : 조정 로드
123 : 차량용 전조등 128 : 반사경
133 : 너트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 특히 조사 방향의 조정을 위해 기울기가 변화되는 경사 이동(tilting) 부재가 지지부재 상에 경사 이동 자재로 지지되는 것으로서, 전방 단부가 경사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조정 로드, 상기 조정 로드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지향(aiming) 조작부, 그리고 조정 로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향 조작부와 경사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된 레벨링 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지향 조작부에 인가된 충격이 조정 로드 및 레벨링 기구에 전달될 수 없도록 지향 조작부와 조정 로드의 결합 구조가 설계된 차량용 전조등에 신규의 경사 이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경사 이동되는 경사 이동 부재가 본 발명에 따라 지지부재상에 경사 이동 자재로 지지되는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는, 전방 단부가 경사 이동 부재에 결합되는 조정 로드, 조정부재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지향 조작부 및 조정 로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향 조작부와 경사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된 레벨링 기구를 구비한다. 지향 조작부의 출력부는 조절 로드 및 레벨링 기구가 지향 조작부에 인가된 외부 충격을 받지 않도록, 출력부 및 조정 로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결합기를 통해 조정 로드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다.
몇몇 자동차 전조등은 다음과 같이 설계된다 : 조사방향의 초기 지향 조정, 즉, 차체에 장착된 후 사용전 또는 검사시 행해지는 조사방향외에, 소위 "레벨링 조정", 즉, 차체에 인가된 하중의 변화에 의해 변할때마다 조정되도록 조사 방향이 조정된다. 레벨링 조정은 초기 지향 조정이 수행되는 조정 점중의 하나와 공통의 조정 점을 갖는다.
제12도는 이러한 레벨링 조정 기능을 가지는 종래의 자동차용 전조등의 한 실시예(a)를 보여준다. 제12도에서 참조 부호 b는 램프 본체를 지시하고, c는 상기 램프 본체의 전방 개구를 덮는 방식으로 램프 본체상에 장착된 렌즈를, d는 램프 본체(b) 및 렌즈(c)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배치된 반사경을, 그리고 e는 반사경(d)상에 장착된 전구를 지시한다. 램프 본체(b)는 램프 하우징(f)에 고정된다. 반사경(d)은 한 회전 지점 또는 두 조정 점상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경사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램프 본체(b)의 후방벽(g)상에 지지된다.
제12도에서, 참조 부호 h는 반사경(d)을 수직으로 경사 이동시키는 조정 점에 제공된 경사 이동 장치를 나타낸다. 경사 이동 장치(h)는, 램프 본체(b)의 후방벽(g)의 내측벽에 고정된 케이싱(i), 워엄 휠(j), 모터(비도시), 워엄 기어(비도시)등을 구비하는 레벨링 구동 유닛,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케이싱(i)에 의해 지지된 동시에 워엄 휠이 회전할 때 이동되도록 구동 유닛에서 워엄 휠(j)과 결합되는 로드 지지체(k), 그리고 회전 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방식으로 로드 지지체(k)에 의해 지지된 조정 로드(l)를 포함한다. 조정 로드(l)는 반사경(d)의 하단부에 고정된 브라켓(m)상에 장착되는 너트(n)와 나사결합된 전방 단부와, 램프 본체(b)의 후방벽(g)을 통해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단부를 가진다.
수직 방향에서의 초기 지향 조정에서, 조정 로드(l)는 너트(n)속으로 또는 외부로 나사 결합되도록 후방단부에 의해 회전된다. 즉, 너트(n)는 조정 로드(l)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것에 의해 반사경(d)은 실제로 상하 방향으로 경사 이동된다. 레벨링 조정에서, 구동 유닛은 로드 지지체(k)와 조절 로드(l)가 반사경(d)을 상하 방향으로 경사 이동시키도록 전후방으로 일체로 이동되도록 작동된다.
상술한 경사 이동 장치(h)에서, 조정 로드(l)의 후방 단부는 램프 본체(b)를 통해 후방으로 돌출된다. 그러므로, 몇가지 원인으로 조정 로드(l)에 직접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충격은 조정 로드(l)를 지지하는 로드 지지체(k)로부터 구동 유닛의 워엄 휠 또는 이것과 결합된 워엄 기어에 전달되며, 그 결과 구동 유닛을 형성하는 기어는 이들의 결합이 불충분하게 되거나 이빨이 크랙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레벨링 조정 수단은 항상 차량용 전조등에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에, 경사 이동 장치는 지향 조정 수단만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경사 이동 장치(h)에서, 지향 조정 수단 및 레벨링 조정 수단이 조합적으로 제공되고, 램프 본체(b)가 경사이동 장치(h)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어떤 레벨링 조정 수단도 가지지 않는 전조등의 램프 본체로서 램프 본체(b)를 사용하거나, 또는 경사 이동 장치의 부품의 지향 조정 수단만을 전술한 전조등에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다른 램프 본체 또는 지향 조정 수단을 전조등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결과, 부품의 수가 증대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경사 이동 장치에서, 실린더 형태의 결합기가 축방향으로 활주하지만 회전할 수는 없는 방식으로 지향 조작부의 출력부 및 레벨링 기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조정 로드의 말단부상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경사 이동 장치에서, 지향 조작부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된 회전은 결합기를 통해 조정 로드로 전달된다. 그러나, 지향 조작부에 인가된 충격은 지향 조작부의 출력부 및 결합기의 접합부를 통해 방출된다. 즉, 조정 로드 및 레벨링 기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며 조정 로드의 작동 기능은 변화되지 않은채 유지된다. 부가적으로, 어떤 레벨링 기구도 갖지 않는 전조등을 위해, 필요한 초기 지향 조정부가 다음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사 이동 장치의 지향 조작부는 그대로 적용된다. 미리 정해진 조정 로드의 중간부는 지지부재상에 지지되고, 그 전방 단부는 경사 이동부재에 결합되며, 그 후방 단부는 지향 조작부의 출력부에 결합기에 의해 결합된다. 이것은 부품의 공통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제1실시예(제1도 내지 제8도)]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전조등(1)은 소위 "일체 가동형"의 전조등으로써, 전조등 유닛은 반사거울 표면을 갖는 램프 본체, 그 전방 개구를 덮는 방식으로 램프 본체에 장착된 렌즈, 그리고 상기 램프 본체와 경사 이동 부재로 사용되는 상기 렌즈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배치된 전구를 구비한다. 전조등 유닛은 조사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 차량 본체에 대해 경사 이동된다.
a. 전조등 유닛 및 램프 하우징(제1도 내지 제5도)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참조 부호 2는 전방이 개방된 컵형 램프 본체(3), 램프 본체(3)의 전방 개구를 덮은 방식으로 램프 본체(3)상에 장착된 렌즈(4), 그리고 램프 본체(3)에 의해 지지된 전구(5)를 구비하는 전조등 유닛을 지시한다. 램프 본체(3)의 내면은 전방으로 향한 반사면(3a)이다. 전구(5)는 전구(5)의 광방출부가 램프 본체(3) 및 렌즈(4)에 의해 형성된 공간(6)내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반사면(3a)의 바닥에 형성된 전구 장착구에 삽입된다.
참조부호 7은 내향으로 만곡된 동시에 전방으로 개방된 합성수지제의 램프 하우징을 지시한다. 램프 하우징(7)은 차체의 전조등 설치 개구 후방에 위치 설정하는 방식으로 차체(8)에 고정된다.
전조등 유닛(2)은 A, B 및 C점에서 램프 하우징(7)상에 지지된다(제2도 참조). A점은 회전 지점에 상응한다. B점은 A점의 옆에 위치하고, C점은 A점의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B와 C점은 전조등 유닛(2)과 램프 하우징(7)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에 상응한다. 조정부에 의해 전조등 유닛(2)은 좌측 또는 우측(제2도)으로, 또는 수평면으로, 그리고 상향 또는 하향으로, 또는 수직면으로 경사 이동된다.
참조부호 9는 램프 하우징의 후방벽(10)의 하단부를 상술한 조정부 C와 정렬하여 후방으로 돌출시켜 형성되는 조작축 수용 리세스를 지시한다. 이렇게 형성된 조작축 수용 리세스에서, 경사 이동 장치내에 지향 조작축(하기에 설명됨)이 제공된다. 조작축 수용 리세스는 후단이 폐쇄된 실린더 형태이며, 그 후방 단부벽(바닥)(11)은 지지 구멍(11a)을 가진다. 환형 돌출부(11b)는 지지 구멍(11a)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후방 단부벽(11)의 후방 표면상에 형성된다.
b. 회전 지점 기구(제4도)
제4도에서, 참조부호 12는 상술한 회전 지점부를 형성하는 회전 지점 기구를 지시한다.
참조부호 13은 램프본체(3)의 후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지시한다. 금속의 지지판(14)은 지지부(13)의 후방 단부에 단단히 고정된다. 지지핀(14)의 하단부는 볼(14a)로 형성된다.
참조부호 15는 전방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램프 하우징(7)의 후방벽(10) 상부에 장착된 합성수지로된 핀 수용부를 지시한다. 이것은 상부 표면에 구형 리세스(15a)를 가진다. 지지핀(14)의 볼(14a)은 핀 수용부의 구형 리세스(15a) 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전조등 유닛(2)은 지지핀(14)의 볼(14a)이 상술한 핀 수용부(15)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즉, A점)을 중심으로 경사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램프 하우징(7) 상에 지지된다.
c. 지향 조정 기구(제5도)
제5도에서, 참조부호 16은 B점에서 조정부를 형성하는 지향 조정 기구를 지시한다.
참조부호 17은 램프 본체(3)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원통형 돌출부를 지시한다. 합성수지의 축 단부 수용부(18)는 원통형 돌출부(17)의 후방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축 단부 수용부(18)는 후방으로 개방된 구형 리세스(18a)와, 구형 리세스(18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홈형 구멍(18b)을 가진다.
참조부호 19는, 램프 하우징(7)의 후방벽의 전방 표면에 고정된 기어 케이스(20), 그 축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기어 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제1베벨 기어, 제1베벨 기어와 결합하는 제2베벨 기어, 그리고 지향 조정축(23)을 구비하는 기어 유닛을 지시한다. 나사 구멍(22a)은 제2베벨 기어의 중심에 형성된 보스내에 형성된다. 조작 로드(21a)가 상단부가 기어 케이스(20)에서 돌출되는 방식으로 제1베벨 기어에 고정된다.
지향 조정축(23)의 대부분은 나사산이 형성되어있다. 지향 조정축(23)의 전방 단부는 볼(23a) 및 상기 볼(23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판형 돌출부(23b)로 형성된다. 지향 조정축(23)의 중간부는 베벨 기어(22)의 나사 구멍(22a)과 나사 결합되며, 볼(23a)은 축 단부 수용부(18)(상술된 B점을 제공)의 구형 리세스(18a) 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돌출부(23b)는 축 단부 수용부(18)의 구멍(18b)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지향 조정축(23)은 축 단부 수용부(18)에 관해 회전할 수 없는 방식으로 축 단부 수용부(18)에 결합된다.
제1베벨 기어(21)가 조작 로드(21a)와 함께 회전될 때, 제2베벨 기어(22)와 나사 결합된 지향 조정축(23)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즉, 축 단부 수용부(18)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베벨 기어(22)가 회전된다. 그 결과, 전조등 유닛(2)은 A와 C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수평면에서 경사 이동된다. 즉, 조사 방향은 동일한 방식으로 경사 이동된다. 따라서, 수평면의 지향 조정이 이루어졌다.
d. 경사 이동 장치(제1도 내지 제4도 및 제6도 내지 제8도)
제1도 내지 제4도 및 제6도 내지 제8도에서, 참조부호 24는 상술한 C점에서 조정부를 형성하는 경사 이동 장치를 표시한다. 경사 이동 장치(24)는 전방 단부가 전조등 유닛(2)에 결합된 조정 로드를 가지는 레벨링 기구 및 조정 로드에 결합된 지향 조작부를 구비한다. 전조등 유닛(2)의 수평면에서의 초기 지향 조정 및 조사 방향의 레벨링 조정은 경사 이동 장치(24)로 수행된다.
d-1. 레벨링 기구(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제7도 및 제8도)
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제7도 및 제8도에서 참조부호 25는 레벨링기구를 지시한다.
d-1-a. 케이싱(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및 제7도)
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및 제7도에서 참조부호 26은 레벨링 기구(25)의 케이싱을 지시한다. 케이싱(26)은 전방 및 후방 절반부(27,28)로 구성된다.
간단히 말하면, 전방 및 후방 절반부(27,28)는 전후방에서 구조적으로 서로 대칭하며, 그 상부의 대략 2/3 부분, 즉 상부 부분(28,29')은 각각 수직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나머지 부분 또는 하부 부분(30,30')은 실제로 반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 부분(30,30')의 내부는 깊이가 상부 부분(29,29')의 약 1/3내지 1/4이다. 구멍(31)은 상부 우측 코너를 제외하고 상부 부분(29)의 코너에 형성되고, 이와 유사하게 구멍(31')은 상부 우측 코너를 제외하고 상부 부분(29')의 코너에서 형성된다. 돌출부(32,32')는 상부 우측 코너 부근에서 상부 부분(29,29')의 상부 단면상에 각각 형성된다. 돌출부(32,32′)는 구멍(32a,32′a)을 각각 갖는다.
전방 절반부(27)에서, 전방벽(33)의 하부의 중심부(33a)는 벽두께가 비교적 크도록 전방, 후방 및 측방으로 연장되고, 중심에서 원형 지지 관통 구멍(34)을 갖는다. 결합홈(34a,34a)이 구멍(34)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지지 구멍(34)의 내측 원통형 벽에 형성된다.
후방 절반부(28)에서, 후방벽(35)의 하부 중심부는 원형 리세스(36)를 형성하기 위해 약간 후방으로 돌출된다. 로드 삽입 원형 관통 구멍(37)은 리세스(36)의 깊은 벽에 형성된다.
전방 및 후방 절반부(27,28)는 다음과 같이 서로 결합된다. 두 절반부(27,28)의 개구면이 서로에 대해 맞대인 상태에서, 나사(38, 38)가 하부 좌측 코너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 구멍(31,31')속으로 삽입된다. 그래서, 내측에 비교적 좁은 공간을 갖는 케이싱(26)이 형성되었다. 전방 절반부(27)와 후방 절반부(28)가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전방 절반부(27)의 지지 구멍(34)은 후방 절반부(28)의 로드 삽입 구멍(37)과 동축으로 된다.
d-1-b. 로드 지지체 및 구동 기어(제1도, 제7도 및 제8도)
제1도, 제7도 및 제8도에서, 참조부호 40은 로드 지지체를 지시한다. 로드 지지체(40)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의 형태로 되어 있다. 로드 지지체(40)에서, 중간부(41)는 나머지 부분보다 직경이 약간 더 크다. 결합 돌출부(41a,41a)가 축의 양측면상에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방식으로 중간부(41)로부터 연장된다. 로드 지지체는 중간부(41)로부터 연장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후방 단부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43은 워엄 훨(하기에 설명됨)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를 지시한다. 구동 기어(43)는 원통형 보스(44)와, 상기 원통형 보스(44)와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보스의 전방 단부상에 형성된 기어(45)를 갖는다. 보스(44)는 중심에 나사 구멍을 갖는다. 기어(45)는 전방 단부면에 원형 리세스(45a)를 갖는다. 원형 리세스(45a)의 직경은 기어(45)의 외경보다 약간 작고, 그 깊이는 기어(45) 두께의 약 절반이다.
구동 기어(43)의 보스(44)는 후방 절반부(28)의 후방벽에 형성된 리세스(3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45)에 형성된 리세스(45a)는 전방 절단부(27)의 하부부분(30)을 형성하는 두꺼운 중심부(33a)의 후방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 기어(43)는 케이싱(26)의 하부 공간의 후방 절반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로드 지지체(40)에서, 중간부(41)는 전방 절반부(27)의 두꺼운 중심부(33a)에 형성된 지지 구멍(34) 속으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고, 후방단부(42)는 구동 기어(43)의 보스(44)에 형성된 나사 구멍(44a)과 결합되며, 결합 돌출부(41a,41a)는 지지구멍(34)에 형성된 결합 홈(34a,34a)과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로드 지지체(40)는 회전할 수 없는 방식으로 케이시(26)의 하부 공간에 설치된다.
d-1-c. 조정 로드(제1도, 제3도, 제4도, 제7도 및 제8도)
제1도, 제3도, 제4도, 제7도 및 제8도에서 참조부호 46은 원통형 조정 로드를 지시한다. 조정 로드(46)는 전방 단부로부터 길이의 약 1/3이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47)를 제공한다.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의 약 1/4인 조정 로드의 후방 단부(48)(이하, "결합부(48)"라함)는 횡단부에서 타원형이 되도록 형성한다. 스토퍼 플랜지(50)가 중간부(49)와 결합부(48) 사이에 형성되며, 환형홈(51)이 중간부(49)와 나사부(47) 사이에 형성된다.
조정 로드(46)에서, 중간부(49)는 중심에서 로드 지지체(40)에 형성된 지지 구멍(52)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스토퍼 플랜지(50)가 로드 지지체(40)의 후방 단부에 대해 접촉하면, 링(53)은 지지 구멍(52) 바로앞에 위치된 홈(51)과 결합된다. 그래서, 조정 로드(46)는 회전은 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는 없는 방식으로 로드지지체(40)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된다.
d-1-d. 모터, 워엄 기어 및 워엄 휠(제1도, 제7도 및 제8도)
제1도, 제7도 및 제8도에서, 참조부호 54는 전기 모터를 지시한다. 모터(54)는 축방향에서 볼 때 실제로 타원형인 케이스(55)를 갖는다. 모터(54)는 케이스(55)의 축이 수평으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케이싱(26)의 상단부 공간내에 장착된다. 돌출부(55a,55a)가 케이스(55)의 양단면상에 형성되고, 후방 절반부(28) 및 전방 절반부(27)의 전방벽으로부터 연장된 모터 지지편(56,56)에 의해 케이싱(26)에 대해 위치 설정된다. 피니언 기어(58)는 모터(54)의 출력축(57)상에 장착된다. 출력축(57)의 단부는 전방 및 후방 절반부(27,28)의 인접 가장자리에 형성된 아치형 절결부(59,59)(제6도가 후방 절반부(28)의 절결부(59)를 도시) 사이에서 유지된다.
참조부호 60은 합성수지로 된 워엄 유닛을 지시한다. 워엄 유닛(60)은 워엄 기어(61), 및 워엄 기어(61)와 동축선상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워엄 기어(61)의 단부상에 형성된 스퍼 기어형 속도 변환 기어(62)로 구성된다. 워엄 유닛(60)은 모터(54)와 평행한 방식으로 모터(54)의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워엄 기어(61)는 양단면에 원통형 보스(63,63)를 갖는다. 보스(63)중 하나는 후방 절반부(28)로부터 연장된 워엄 지지편(6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하나는 전방 및 후방 절반부(27,28)의 인접 가장자리에 형성된 아치형 절결부(65,65)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속도 변환 기어(62)는 모터(54)의 피니언 기어(58)와 결합된다.
참조부호 66은 워엄 휠 및 감지기(하기에 설명됨)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지시한다. 지지축(66)의 길이는 케이싱(26)의 후방벽(35)과 전방벽(33) 사이의 거리와 같다. 중간보다 후방 단부에 더 가까운 지지축의 부분은 단면이 원형이고, 나머지 부분 즉, 전방 및 후방 단부는 단면이 실제로 타원형이다. 지지축(66)의 전방 및 후방 단부는 중심에 가까운 전방 및 후방벽(33,35)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축 수용 리세스(67,67)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래서, 지지축(66)은 로드 지지체(40) 및 조정 로드(46)와 평행하게 유지된다.
참조부호 68은 합성수지로된 회전자를 지시한다. 회전자(68)는 워엄 휠(69)과, 상기 워엄 휠(69)과 동축선상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워엄 휠(69)의 후방 단부면상에 형성된 전동 기어(70)로 이루어진다. 원형 리세스(71)는 직경이 워엄 휠(69)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방식으로 워엄 휠(69)의 전방 단부면에 형성된다. 지지 구멍(72)은 중심에서 회전자(68)에 형성된다. 상술한 지지축(66)의 원통형부(66a)는 회전자(68)의 지지 구멍(72) 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워엄 휠(69)이 워엄 유닛(60)의 워엄 기어(61)와 결합되고, 전동 기어(70)가 구동 기어(43)의 기어(45)와 결합된다. 그래서 워엄 휠(69)은 로드 지지체(40), 조정 로드(46) 및 구동 기어(43)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모터(54)가 회전하면, 회전은 피니언 기어(58), 워엄 유닛(60) 및 워엄 휠(69)을 통해 구동 기어(43)로 전달되어 구동 기어(43)를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로드 지지체(40)는 축방향에서 조정 로드(46)와 함께 이동된다.
d-1-e. 감지기(구조)(제1도 및 제8도)
제1도 및 제8도에서, 참조부호 73은 이동된 조정 로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를 지시한다. 감지기(73)는 프린트 회로기판, 접점 지지 보드 및 감지기 기어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74는 중앙에 하나의 결합 구멍(75)과 두 위치 결정 구멍(76,76)을 갖는 프린트 회로 기판을 표시한다. 복수개의 단자(77)가 결합 구멍(75)을 중심으로 원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프린트되며 프린트 회로기판(74)의 후방 표면상에 제공된다.
참조부호 78은 비교적 두꺼운 두께의 디스크 형상의 접촉 지지판을 지시한다. 접촉 지지판(78)은 중심에 원형의 지지 구멍(79)과, 상기 지지 구멍(79) 둘레에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접촉 지지 구멍(80)을 가지며 전방 표면에 위치 결정 돌출부(81,81)를 갖는다.
참조부호 82는 회전자를 지시한다. 회전자(82)는 두꺼운 벽 두께를 가진 중앙 부분(84)을 갖는 디스크(83)와 중앙 부분(84)으로부터 연장된 원통형 보스(85)를 구비한다. 회전자(82)는 중심에 관통 구멍(86)을 가지고 있다. 중앙 관통 구멍(86)에서, 디스크(83)내의 부분(86a)은 횡단면이 실제로 타원형이고 나머지 부분은 횡단면이 원형이다. 보스(85)의 전방 단부측 길이의 약 1/3은 4개의 동일부분 즉, 축방향으로 절단된 홈에 의해 탄성편(87)으로 분할되어 있다. 탄성편(87)은 축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굽힘이 가능하다. 결합홈(88)이 탄성편(87)의 외부 원통형 벽의 후방 절반부내에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89는 링형상의 도체 지지판을 지시하고 있다. 도체 지지판(89)은 전방 표면상에 두 개의 아치형 도체(90)를 가지고 있다. 후면은 회전자(82)의 디스크(83)의 전면에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접촉 지지판(78)은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회로기판(74)의 후면과 직면하고 있는 접촉 지지판(78)에 단자(77)가 구비되어 있고, 위치 결정 돌출부(81,81)가 회로기판(74)의 위치 결정 구멍(76,76)에 결합된다. 회전자(82)의 보스(85)는 탄성편(87)으로부터 접촉 지지판(78)의 지지 구멍(79)안으로 회전 삽입되고 회로기판(74)의 결합 구멍(75)의 외주는 보스(85)의 결합 홈(88)과 회전 결합되어, 접촉 지지판(78)은 회로기판(74)과 디스크(83)의 중앙 부분(84) 사이에 고정된다. 선단부와 원통형부(66a) 사이의 지지축(66)의 선단부 부분은 회전자(82)의 관통 구멍(86)안에 삽입된다. 관통 구멍의 부분(86a)이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실제적으로 타원형이기 때문에 회전자(82)와 지지축(66)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함께 결합되어 있다.
볼형상 접촉부(91)와 전기 전도성 코일 스프링(92)이 후방으로부터 접촉 지지판(78)의 각 접촉 지지 구멍(80) 안으로 설명된 순서로 삽입되어, 접촉부(91)는 도체(90,90')가 구비되어 있는 도체 지지판(89)의 표면에 대항하여 각각의 코일 스프링(92)에 의해 탄성 가압되고 코일 스프링의 선단부는 회로기판(74)상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77)와 접촉한다.
회전자(68)는 리세스(71)가 도체 지지판(89)과 회전자(82)의 디스크(83)와 헐겁게 결합되어 지지축(6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66)은 상기에 설명된 방법으로 케이싱(26)내에 장착되고,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감지기(73)와 결합되며, 그 후방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기어(하기에 설명)와 결합된다.
감지기(73)는 워엄 휠(69)과 동축인 로드 지지체(40)와 평행으로 배열된다.
회로기판(74)은 전방 절반부(27)로부터 연장된 돌출부(93,93)(제1도 참조)에 의해 지지되어 케이싱(26)내에서 위치 설정된다.
d-1-f. 감지기 구동 수단(제1도, 제7도 및 제8도 참조)
제1도, 제7도 및 제8도에서, 도면부호 94는 스퍼 기어형 종동 기어를 나타낸다. 종동 기어(94)는 중심에 횡단면이 실제적으로 타원형인 구멍(94a)을 가지며, 워엄 휠(69)을 통하여 돌출된 지지축(66)의 후방단부에 삽입되어 있다. 즉, 종동 기어(94)는 지지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면부호 95는 서로 동축으로 배열된 큰 기어(95a)와 작은 기어(95b)로 구성된 중간 기어를 지시한다. 중간 기어(95)는 후방 절반부(28)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지지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큰 기어(95a)는 회전자(68)의 전동 기어(70)와 결합되어 있고, 작은 기어(95b)는 종동 기어(94)와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워엄 휠(69)이 회전할 때, 회전이 전동 기어(70), 중간 기어(95b) 그리고 종동 기어(94)를 통하여 지지축(66)에 감속 모드로 전달되어, 지지축(66)과 회전자(82)가 일체로 회전한다. 이러한 작동에 있어서, 지지축(66)과 회전자(68)는 다른 속도로 회전한다.
d-1-g. 감지기(기능)
상기에 설명된 접촉부(91)는 접촉부(91)의 제1극성측의 그룹과 접촉부의 제2극성측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두 개의 접촉부(91)가 접촉하는 단자(77)는 각각 모터(54)의 다른 극성측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나머지 접촉부는 원격 작동 부분내에 구비되어 있는 협동하는 두 개의 회전 스위치의 변환 접촉부에 접속된다. 회전 스위치는 전원 즉,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 스위치에서 한쌍의 변환 접촉부가 선택될때, 상기 한쌍의 변환 접촉부, 그곳에 접속된 두 개의 접촉부(91,91), 도체(90,90'), 모터(54) 그리고 전원을 구비하는 회로는 모터(54)가 정 또는 역 회전되도록 완성된다.
모터(54)가 회전할 때, 회전자(68)와 구동기어(43)가 회전한다. 그 결과 로드 지지체(40)와 조정 로드(46)는 구동 기어(43)에 의해 전진 또는 역방향으로 일체로 이동된다. 동시에, 감지기(73)에서 회전자(82)와 도체 지지판(89)이 회전한다. 회전자(82)와 도체 지지판(89)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때, 도체(90,90')는 각각 접촉부(91,91)로부터 분리되어, 상기의 회로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모터(54)가 정지된다. 상술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모터(54)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는 회전 스위치의 변환 접촉부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며, 감지기(73)에 의해 조정 로드(46)의 위치가 감지된다.
상술된 감지기(73)를 구비한 제어 기구를 위한 제어 시스템은 일본국 특허출원 제209932/1984호에 의해 공개된 제어 기구와 실제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d-1-h. 램프 하우징에 레벨링 기구의 설치와, 전조등 유닛에 조정 로드의 연결(제1도, 제3도 및 제4도)
제작된 레벨링 기구(25)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된다 : 케이싱(26)은 램프 하우징(7)의 후방벽(10)의 전방 표면 가까이에 설치된다. 조정 로드(46)의 결합부(48)는 램프 하우징(7)의 상기에 설명된 축 수용 리세스(9)내에 위치되어 있다. 긴 나사(98,98)가 램프 하우징(7)의 후방벽(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장착 보스(97,97)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비도시)을 통하여 케이싱(26)의 돌출부(32,32')내에 형성된 구멍(32,32'a)과 후방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 절반부(27,28)의 구멍(31,31')에 삽입되며, 너트가 이렇게 삽입된 나사의 단부 부분에 결합된다. 그래서, 레벨링 기구(25)는 램프 하우징(7)에 고정 부착된다.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서, 참조부호 100은 램프 본체(3)의 후방벽의 하단부에 고정된 브라켓을 나타낸다. 브라켓(100)은 합성수지제의 너트(101)을 지지하고, 너트(101)의 축은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정 로드(46)의 나사부(47)가 너트(101)와 결합되어, 조정 로드(46)는 전조등 유닛(2)에 연결된다.
d-2. 지향 조작부(제1도, 제3도, 제4도 및 제8도)
제1도, 제3도, 제4도 및 제8도에서, 도면부호 102는 지향조작부를 나타낸다.
d-2-a. 지향조작축
제1도, 제3도, 제4도 및 제8도에서, 도면부호 103은 지향 조작축(103)을 지시한다. 지향 조작축(103)은 원통형 중간 부분(104), 상기 중간 부분(104)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헤드 부분(105), 상기 중간 부분(104)의 전방에서의 결합 부분(106), 그리고 결합 부분(106)과 중간 부분(104) 사이에 위치하는 테이퍼진 부분(107)을 포함한다. 104 내지 107의 도면 부호를 가진 이들 부분이 단일부를 형성하도록 동축으로 배열되어 있다. 헤드 부분(105)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108)가 중간 부분과 헤드 부분(105) 사이에 형성된다. 결합 부분(106)은 횡단면이 실제적으로 타원형이다. 중간 부분(104)은 헤드 부분(105)보다 결합 부분에 인접한 결합홈(109)을 갖는다.
지향 조작축(103)은 하기와 같이 램프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 플랜지(108)와 결합홈(109) 사이의 중간 부분(104)의 부분은 램프 하우징(7)의 후방벽(10)내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축 수용 리세스(9)의 후방 단부벽(11)내에 형성된 지지구멍(1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보유링(110)이 결합홈(109)과 결합된다. 그러므로, 지향 조작축(103)은 램프 하우징(7)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축(103)은 조작축 수용 리세스(9)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결합부분(106)이 조작축 수용 리세스(9)의 내측에 위치한다.
지향 조작부(102)는 레벨링 기구(25)의 후방에 위치된다. 지향 조작축(103)과 조정 로드(46)는 서로 동축으로 지향 조작축(103)이 후방으로부터 조정 로드(46)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조정 로드(46)의 이동 범위는 제1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43)의 전방 단부면(이하 "수축 위치"라 함)에 대하여 접하는 조정 로드(46)를 지지하는 로드 지지체(40)의 중간부(41)의 후방 단부면과,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6)의 전방벽(33)의 내부 표면(이하 "최대 전진 위치"라 함)에 대하여 인접한 로드 지지체(40)의 중간부(41)의 전방 단부면 사이이다. 조작축 수용 리세스(9), 조정 로드(46) 그리고 지향 조작축(103)의 크기는, 조정 로드(46)가 상기에 설명된 수축위치(제1도 참조)까지 이동할 때 지향 조작축(103)의 전방 단부와 조정 로드(46)의 후방 단부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존재하도록 설계된다.
도면부호 111은 조작축 수용 리세스(9)의 환형 구멍(11b)내에 결합되어 있는 방수용의 O형링을 지시한다.
d-2-b. 결합기
도면부호 112는 지향 조작축(103)을 조정 로드(46)에 결합하는 결합기를 지시한다. 결합기(112)는 원통형이며 횡단면이 실제적으로 타원형인 두개의 구멍(113)을 가지며 그 사이에 보유벽(114)을 갖는다.
지향 조작축(103)의 결합 부분(106)과 조정 로드(46)의 결합 부분(48)이 결합기(112)의 구멍(113)에 삽입되어, 지향 조작축(103)과 조정 로드(46)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조정 로드(46)와 지향 조작축(103) 사이의 거리는 조정 로드(46)가 수축 위치에 있을 때 결합기(112)의 벽(114)의 두께보다 약 두배이상 크다. 결합기(112)의 길이는, 조정 로드(46)가 최대 전진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결합기(112)의 보유벽(114)이 조정 로드(46)의 후방 단부에 대하여 맞대이고, 결합기(112)가 지향 조작축(103)에서 떨어지지 않고 앞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그러므로, 조정 로드(46)와 지향 조작축(103)은 항상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조정 로드가 이동 범위내의 어느 곳에서도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기(112)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d-3. 작동
d-3-a. 수직 평면내에서의 지향 조정
수직 평면내에서의 지향 조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첫째, 지향 조작축(103)이 회전하여, 상기 지향 조작축(103)과 일체로 결합기(112)와 조정 로드(46)가 회전한다. 그 결과, 조정 로드(46)는 축방향으로 위치의 변경없이 전조등 유닛(2)에 고정된 너트(101)로부터 나사 결합 또는 나사 분리가 되며, 따라서 너트(101)는 조정 로드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한다. 이에의해 전조등 유닛(2)과 램프 하우징(7)사이의 거리가 변화된다. 즉, 전조등 유닛(2)이 회전 지침(A)과 조절 지침(B)을 연결하는 직선에 관하여 경사 이동된다. 그러므로, 전조등의 조사 방향은 수직 평면으로 조절된다.
d-3-b. 레벨링
레벨링 조정에서, 모터(54)는 원격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모터(54)가 이러한 방법으로 작동되면, 로드 지지체(40)는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정 로드(46)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전조등 유닛(2)에 고정된 너트(101)는 전조등 유닛(2)과 램프 하우징(7)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기 위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전조등 유닛(2)은 실제로 수직 평면에서 경사 이동, 즉, 조사 방향이 수직 평면으로 조절된다.
이 작동에서, 결합기(112)는 조정 로드(46)의 결합부(48) 또는 지향 작동축(103)의 결합부(106)에 대하여 활주한다. 조정 로드의 이동량과 이동방향, 즉 모터(54)의 회전수와 회전방향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감지기(73)에 의해 제어된다.
d-4. 충격 흡수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정 로드(46)의 결합부(48)와 지향 조작축(103)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지만 이격 분리되어 지지된다. 그러므로, 충격이 후방으로부터 지향 조작축(103)에 가해지면, 충격은 결합기(112)의 보유벽(114)이 지향 조작축(103)의 전방 단부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결합기(112)를 통하여 방출되고, 결합기(112)의 벽(114)이 지향 조작축(103)의 전방 단부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지향 조작축(103)을 통하여 방출된다. 두 경우에 있어서, 충격은 조정 로드(46)에 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충격에 의하여 로드 지지체(40), 구동 기어(43), 회전자(68), 워엄 유닛(60) 그리고 피니언 기어(58)의 결합 부분에 매우 큰 힘이 가해지는 일은 없다.
지향 조작부(102)는 레벨링 기구(25)와는 따로 램프 하우징(7)에 결합되어 있다. 지향 조작부(102)를 레벨링 기구(25)가 없는 전조등에 적용하는 경우에, 조정 로드(46)는 램프 하우징(7)의 적당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결합기(112)에 의해 지향 조작축(103)에 결합된다. 이 경우에, 지향 조작부(102)는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향 조작부(102)는 레벨링 조절 기능을 갖는 전조등과 레벨링 조절 기능을 갖지 않은 전조등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은 부품 공통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제9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이동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제9도(제2실시예)에 도시된 전조등(115)은 조정 로드를 전조등 유닛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체와 그 관련부품에서 제1도(제1실시예)에 도시된 전조등(1)과는 다르다. 따라서, 제9도에서는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이들 부품에 동일 참조부호 또는 문자로 지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사한 부품에 동일참조 부호 또는 문자로 지시된 부품 지시 방법은 본 발명의 응용(하기에 설명됨)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9도에서, 참조부호 116은 합성수지제의 볼 수용부재를 나타낸다. 볼 수용부재(116)는 램프 본체(3)로부터 연장된 브라켓(117)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후방으로 개방된 구형 리세스(116a)를 갖는다.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118)이 중심축을 따라 로드 지지체(40)내에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19는 조정 로드를 나타낸다. 조정 로드(119)는 구면 부분(120)으로 형성된 전방 단부 횡단면이 실제로 타원형 부분으로 형성된 후방 단부 그리고 나사산이 형성된 나머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122)은 로드 지지체(40)의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118)과 결합되며, 결합부분(121)은 결합기(112)에 의하여 지향 조작축(103)의 결합부분(106)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면 부분(120)은 볼 수용부재(116)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지향 조작축(103)이 회전하면, 조정 로드(119)는 로드 지지체(40)로부터 축방향으로 나사 분리 또는 나사 결합되어, 볼 수용부재(116)는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전조등 유닛(2)은 수직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이동되는, 즉 조사방향이 변경된다.
[경사 이동 장치의 응용(제10도 및 제11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이동 장치의 한 응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응용예에 있어서, 소위 "반사경 가동형" 전조등(123)은 램프 본체상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반사경이 조사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램프 본체에 대하여 경사 이동된다. 이점에 있어서, 그리고 여기에 관련된 점에 있어서, 전조등(123)의 부품은 제1도에 도시된 전조등(1)과 다르다.
참조부호 124는 전조등 유닛을 지시한다. 전조등 유닛(124)은, 전방으로 개방된 합성수지제의 램프 본체(125)와, 상기 램프 본체(125)의 전방 개방부를 덮도록 램프본체(125)상에 장착된 렌즈와, 상기 램프 본체(125)와 렌즈(126)에 의해 형성된 램프 공간내에 설치된 반구형 반사경(128)과, 상기 반사경(125)의 후방단부에 고정된 전구(129)를 구비하고 있다. 램프 본체(125)는 램프 하우징(7)에 고정되어 있다.
참조부호 130은 후방으로 연장된 램프 본체의 후방벽(13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축 수용 리세스를 지시한다. 조작축 수용 리세스(130)의 구조는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의 조작축 수용 리세스(9)와 동일하다. 반사경(128)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세 지점 A, B, C에서 램프 본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A점은 상기에 설명된 회전 지점 지구(12)로 구성된 회전 지점 기구에 해당한다. B, C점은 반사경(128)과 램프 본체(12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분에 해당한다. A점의 왼쪽에 위치되어 있는 B점에 해당하는 조절부분은 상기에 설명된 제1실시예의 지향 조정 기구(16)와 유사한 조절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C점에서 조절 부분은 상기에 설명된 경사 이동 장치(24)로 구성되어 있다. 그 용융에서, 레벨링 기구(25)는 램프 본체(125)의 후방벽(13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조정 로드(46)의 전방 단부는 반사경(128)으로부터 돌출된 브라켓(132)에 고정된 너트(133)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지향 조작축(103)은 램프 본체(125)의 조작축 수용 리세스내에 지지되며, 결합기(112)에 의해 조정 로드(46)에 결합된다.
B점에서 지향 조정 부분내의 조작 부재가 작동하면, 반사경(128)은 A, C점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실제로 수평 선회되고, 경사 이동 장치(24)내의 조작축(103)이 회전 또는 모터(54)가 회전될 때 반사경(128)은 A, B점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실제로 수직 선회되므로, 이에 의해 조사 방향이 변경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는, 조사 방향을 변경할 때 경사 이동되는 경사 이동 부재를 지지부재에 경사 이동 자재로 지지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이며, 전방 단부가 경사 이동 부재에 연결된 조정 로드와 상기 조정 로드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레벨링 기구를 지지 부재에 설치하고, 지향 조작부를 상기 레벨링 기구의 후방에 배치하여, 그 출력축을 조정 로드의 후방 단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또한 동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원통형 결합기가 출력축의 전방 단부와 조정 로드의 후방 단부상에 활주 가능하나 회전은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경사 이동 장치에서, 지향 조작부를 작동시켜 얻어진 회전은 결합부를 통하여 조정 로드에 전달되고, 지향 조작부에 적용된 충격은 지향 조작부의 출력 부분과 연결기의 접합부를 통하여 방출되어 조정 로드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정 로드 또는 레벨링 기구는 조정 로드의 작동 기능을 변경시키지 않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레벨링 기구를 갖지 않은 전조등에 있어서, 초기 지향 조작부는 다음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이동 장치의 지향 조작부가 그대로 사용된다. 소정의 조정 로드의 중간 부분은 지지부재상에 지지되고, 그 후방 단부 부분은 경사 이동 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그것의 후방 단부 부분은 결합기에 의하여 지향 조작부의 출력부에 결합된다. 이것은 부품의 공통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벨링 기구와 지향 조작부의 구조는 상술된 것에 제한받지 않는다. 지향 조작부는 소위 "직각 변형 기어 유닛"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지향 조작부의 출력부는 결합기에 의하여 조정 로드에 결합된다.

Claims (3)

  1. 광선 방향을 한정하기 위해 경사 이동되는 전조등 유닛(2)과 상기 전조등 유닛(2)을 경사 이동하게 지지하는 램프 하우징(7)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7)에 고정된 케이싱(26)과, 상기 케이싱(26)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드 지지체(40)와, 상기 로드 지지체(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전방 나사부(47)가 전조등 유닛(2)에 결합된 조정 로드(46)와, 상기 조정 로드(46)를 램프 하우징(7)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43,54,60,68)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26)내에 수용된 레벨링 기구(25)와, 상기 케이싱(26)내에 수용된 모터(54)와, 상기 케이싱(26)내에 수용되며 모터(54)에 의하여 구동되는 워엄 기어(61)와, 상기 케이싱(26)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워엄 기어(61)와 로드 지지체(40)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 지지체(40)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54)에 의해 워엄 기어(61)를 통하여 회전하는 워엄 휠(69)과, 상기 레벨링 기구(25) 후방에 설치되며 그 조작축(103)이 조정 로드(46)의 결합부(48)와 조작축(103) 사이에 공간을 가지고 조정 로드(46)에 의해 동축으로 유지되는 지향조작부(102) 및, 상기 조정 로드(46)의 결합부(48)상에 그리고 상기 조작축(103)의 결합부분(106)상에 끼워지며 상기 결합부(48)와 결합부분(106)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한 원통형 결합기(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로드(46)의 나사부(47)는 전조등 유닛(2)에 고정된 너트(101)와 나사 결합되며, 그 중간부(49)는 상기 구동 수단(43,54,60,68)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로드 지지체(40)에 의해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로드(46)의 나사부(47)는 볼 죠인트 모드(18a,23a,116,120)로 전조등 유닛에 결합되고, 그 중간부(49)는 상기 구동수단(43,54,60,68)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로드지지체(40)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
KR1019890006219A 1988-05-10 1989-05-10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 KR920007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13039 1988-05-10
JP63113039A JP2512319B2 (ja) 1988-05-10 1988-05-10 車輌用前照灯の傾動装置
JP?113039 1988-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485A KR890017485A (ko) 1989-12-16
KR920007943B1 true KR920007943B1 (ko) 1992-09-19

Family

ID=1460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219A KR920007943B1 (ko) 1988-05-10 1989-05-10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512319B2 (ko)
KR (1) KR920007943B1 (ko)
DE (1) DE3915302A1 (ko)
FR (1) FR2631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2403B1 (fr) * 1990-05-25 1993-12-10 Valeo Electronique Actionneur, notamment pour la commande d'orientation d'u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IT1247773B (it) * 1990-10-31 1994-12-30 Carello Spa Proiettore anabbaglainte per veicoli
JP2663309B2 (ja) * 1991-01-16 1997-10-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前照灯の照射軸傾動装置
FR2734771B1 (fr) * 1995-05-29 1997-08-22 Valeo Vision Dispositif de commande d'une partie mobile d'u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JPH1116404A (ja) * 1997-06-25 1999-01-22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DE19756690C2 (de) * 1997-12-19 2001-09-20 Hella Kg Hueck & Co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Reflektor eines Fahrzeugscheinwerfers
WO2009037743A1 (ja) * 2007-09-19 2009-03-26 Ipf Corporation 灯具の照射方向調整装置
JP4582153B2 (ja) 2008-01-28 2010-11-1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102220808B1 (ko) * 2014-12-01 2021-03-0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0976A (en) * 1946-05-08 1949-09-06 Wellman Co Shaft coupling
JPS59145432U (ja) * 1983-03-22 1984-09-28 市光工業株式会社 ヘツドランプの光軸調整装置
EP0120442B1 (en) * 1983-03-22 1987-12-09 Ichikoh Industries Limited Devic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light axis of headlamps of a motor vehicle
DE133576T1 (de) * 1983-08-16 1985-06-05 Ichikoh Industries Ltd., Tokyo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r optischen achse eines autoscheinwerfers.
DE3469001D1 (en) * 1983-10-14 1988-03-03 Ichikoh Industries Lt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automobile headlamp
JPS6099703U (ja) * 1983-12-14 1985-07-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輛用前照灯における光軸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12319B2 (ja) 1996-07-03
DE3915302A1 (de) 1989-11-23
JPH01283701A (ja) 1989-11-15
KR890017485A (ko) 1989-12-16
FR2631295A1 (fr) 1989-11-17
FR2631295B1 (fr) 199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938B1 (ko) 차량용 램프
KR100781959B1 (ko) 차량용 등기구
KR920007943B1 (ko) 차량용 전조등의 경사 이동 장치
KR100741341B1 (ko) 차량용 등기구
US4533860A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automobile headlamp
US2919599A (en) Remote control mechanism for automotive accessories
JPS61139537A (ja) サイドミラ−駆動装置
JPH0834064B2 (ja) 車輌用前照灯の傾動装置
KR0173817B1 (ko) 전조등의 광축조정장치
JPH0788152B2 (ja) 車輌用前照灯のレベリング装置
JPS59195441A (ja) 車輌用前照灯装置
JP4518496B2 (ja) 車輌用灯具
US4250767A (en) Remotely controlled rearview mirror assembly
KR920005570B1 (ko)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
CN107883338B (zh) 车辆用前照灯
JPS61202945A (ja) 前照灯の光軸調整装置
JP2517486B2 (ja) 前照灯の照射角度調整装置
JPH0627477Y2 (ja) 車輌用前照灯の照射角度調整装置
KR0145823B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반사판 조사각 조절장치
JPH11176206A (ja) 前照灯の照射角調整装置
JPH0788150B2 (ja) 車輌用前照灯装置
GB2289120A (en) Levelling device for a vehicle head-light's reflector
KR920001712B1 (ko) 차량용 전조등 장치
EP0265973A1 (en) Adjusting device for rearview mirror
JP4518497B2 (ja) 車輌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