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570B1 -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570B1
KR920005570B1 KR1019890006292A KR890006292A KR920005570B1 KR 920005570 B1 KR920005570 B1 KR 920005570B1 KR 1019890006292 A KR1019890006292 A KR 1019890006292A KR 890006292 A KR890006292 A KR 890006292A KR 920005570 B1 KR920005570 B1 KR 92000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djustment
shaft
drive shaft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112A (ko
Inventor
히토시 히로세
마사히로 쿠사가야
노부미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코이토 세이사쿠쇼
마쓰우라 타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1304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40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1533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8527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코이토 세이사쿠쇼, 마쓰우라 타카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코이토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89001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제1도는 전조등 유닛의 하단부와 경동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IV-IV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V-V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6도는 케이싱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분리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경동장치의 요부를 분해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이는 요부의 단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의 경도장치의 응용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제10도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12도는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의 일예를 보이는 요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전조등 2 : 경동부재
7 : 지지부재 24 : 경동장치
26 : 케이싱 40 : 구동축
46 : 조정간 47 : (조정간의)전단부
54 : 모터 61 : 웜 기어
69 : 웜휠 73 : 검출수단
101 : 너트 49 : (조정간의) 중간부
115 : 차량용 전조등 118 : 조정간
120 : (조정간의)전단부 122 : (조정간의)중간부
123 : 차량용 전조등 128 : 경동부재
133 : 너트
본 발명은 자동차등의 차량에서 사용되는 전조등의 경동장치(till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조등의 경동부재를 경동시켜서 광빔의 조사방향을 변화시키는 경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러가지의 전조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조등은 교통 안전을 위하여 전조등의 광빔을 소정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전조등 유닛 또는 반사경과 같이 광빔의 조사방향을 설정하는 부재는 차량의 샤시에 고정된 지지 부재에 경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경동기구는 상기 경동부재를 필요에 따라 경도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전조등 유닛은 일반적으로 반사경과, 램프 본체의 램프공간에 배치된 광원과, 램프본체의 앞면개구를 덮는 렌즈로 구성된다.
광빔의 조사방향 조정은 2가지 단계, 즉 신규 생산된 차량을 사용하기 전에 그 차량에 전조등을 설치할때 또는 초기 검사과정에서 수행되는 초기 조준조정과 승객의 수 및 화물에 의한 차량의 하중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수행되는 레벨링 조정의 2가지 단계로서 이루어진다. 차량의 하중 변화는 보통 광빔의 조사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초기 조준조정은 일반적으로 수동으로 수행되고 레벨링 조정은 원격 제어되는 조작기구에 의해 수행된다.
조준조정은 광빔의 조사 방향을 수평 및 수직으로 변화시키고 조정기구는 2개의 별도지점에 제공되며 레벨링 조정을 위한 조작 기구는 수직 방향 조정을 위하여 보통 조준 조정점에 제공된다. 종래의 일부 경동 장치는 조준 조정기구와 레벨링 조정기구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제12도는 일본국 특개소 61-64548호 공보에 기재된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a는 도시하지 않은 램프하우징에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경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전조등 유닛, b는 경동장치이다.
c는 램프 하우징에 고정된 메인 케이싱, d는 이 메인 케이싱(c)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회전이 불가능하게 지지된 대략 통 모양의 구동축, e는 중간부가 상기 구동축(d)에 형성된 나사구멍(f)에 나사 맞춤되고 전단부가 전조등 유닛(a)의 하단부와 볼조인트(ball joint) 모양으로 연결되며 후단부가 메인 케이싱(c)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조정간, g는 메인 케이싱(c)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또한 구동축 d에 나사맞춤된 웜휠, h는 모터(i)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웜휠(g)과 맞물린 웜기어이다.
따라서, 조정간(e)이 그 후단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되면 이 조정간(e)는 구동축(d)에 대해 나사식으로 삽입되거나 도는 빠져 나와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전조등유닛(a)이 대략 상하방향으로 경동되어 그 조사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이것이 조준 조정이다. 또 운전석으로 부터의 원격조작에 의해 모터(i)가 회전되면, 웜휠(g)이 회전하여 구동축(d)을 조정간(e)과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이경우도 전조등 유닛(a)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경동되어 그 조사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이것이 레벨링 조정이다.
j는 메인 케이싱(c)의 하부에 고정된 서브 케이싱이며, 이 서브 케이싱 (j)에는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고정 접점을 유지한 접점 유지판(k)과, 이 접점 유지판(k)에 전방으로 부터 대향한 도시하지 않은 가동접점을 지지한 회전판(l)과, 이 회전판(l)의 주면에 구성된 기어 이빨과 맞물려지는 중간 기어(m)로 이루어진 센서(n)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중간 기어(m)는 상기 웜휠(g)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o)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웜휠(g)이 회전하면 조정간(e)이 이동하는 동시에 중간 기어(m)가 회전하여 회전판(l)을 회전시키고, 그것에 의해 조정간(e)의 위치 또는 이 동량이 검출된다. 그리고 조정간(e)의 이동량은 상기한 바와같이 동작하는 센서(n)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한 경동장치(b)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센서(n)를 메인 케이싱(c)과는 별도의 서브 케이싱(j)에 수납하고 이것을 메인 케이싱(c)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부품점수가 많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 센서(n)는 구동축(d) 및 조정간(e)과 병렬로 그리고 웜휠(g)의 아래쪽 비스듬한 후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 및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커지며, 따라서 장치 전체의 형상이 매우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구동축(d)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적게하기 위해 센서(n)를 구동축(d)과 동축으로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와 같이 하면, 전후 방향의 치수가 커져서 전체적으로 두꺼운 모양으로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빔의 방향을 규정하는 경동부재와 상기 경동부재를 경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경동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된 케이싱, 케이싱 상에 지지되는 구동축, 및 케이싱에 지지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장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웜기어, 웜기어와 맞물리고 회전시 구동축을 이동시키는 웜휠, 및 조정간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웜휠은 구동축에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검출장치는 상기 웜휠과 공축으로 배치된다.
다음에 본 발명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나타낸 경동 장치는 이른바 가동유닛 형태의 전조등(1)에 설치되고, 오목한 반사경면을 갖는 램프 본체(3), 램프 본체(3)의 앞면개구를 덮는 렌즈(4), 및 램프본체와 렌즈사이에 형성된 램프공간내에 배치된 전구(5)로 이우러진 전조등 유닛(2)은 자동차등과 같은 차량의 본체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전조등 유닛, 램프 하우징(제1도~제5도)]
2는 전조등 유닛이며, 램프본체(3)와 렌즈(4) 및 전구(5)로 이루어진다. 램프본체(3)는 전방을 향한 반사면(3a)을 가지고 있으며, 전구(5)는 반사면(3a)의 중앙정부(頂部)에 형성된 전구 부착공(3b)에 지지되며, 그리고, 전구(5)의 발광부는 램프 본체(3)의 반사면(3a)과 렌즈(4)에 의해 형성된 램프 공간(6)내에 위치하고 있다.
7은 합성수지제의 램프하우징으로서 전방으로 개구한 대략오목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차체(8)에 고정되어 있다.
A점, B점 및 C점(제2도 참조)은 전조등 유닛(2)이 램프하우징(7)에 지지되는 점이며, A점은 회동지지점이고, 이 A점에서 측방으로 이간된 B점 및 A점에서 아래쪽으로 이간된 C점은 전조등유닛(2)과 램프 하우징(7)과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점이다. 전조등유닛(2)은 이들 조정점의 조정에 의해 좌우방향(제2도에 있어서 왼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좌측으로 하고, 오른쪽으로 향하는 우측으로 한다) 또는 상하방향으로 경동되도록 되어 있다.
9는 램프 하우징(7)의 배면벽(10)의 타단부중 상기 조정점(C)과 대응한 위치에서 뒷쪽을 향해 돌출된 조작축 배치부이며, 이 조작축 배치부(9)에 후술하는 경동장치의 조준 조작축이 설치된다. 조작축 배치부(9)는 뒷쪽 끝이 폐쇄된 대략 통모양을 이루며, 그 후단벽(11)에 원형에 지지공(11a) 및 그 지지공(11a)을 둘러싸는 환상 리지(ridge)(11b)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지지 기구(제4도)]
12는 상기 회동지지점을 구성하고 있는 회동지지 기구이다. 이 기구는 램프본체(3)의 뒷면에 형성된 피지지부(supported portion)(13)와 램프 하우징(7)에 설치된 리셉터클(15)을 포함한다. 금속제의 지지축(14)은 피지지부(13)의 뒷쪽 끝부분에 고정되고 그 아래쪽 끝에 구부(球部)(1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15는 램프하우징(7)의 배면벽(10)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부착된 합성 수지제의 리셉터클이며, 그 상면에 구상요부(球狀凹部)(1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상요부는 지지축의 구부(14a)를 회동자재로 수납한다. 따라서 전조등 유닛(2)은 지지축(14)의 구부(14a)와 리셉터클(15)의 구상요홈(15a)사이에서 결합에 의해 형성된 점(A)주위에서 램프하우징(7)에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조준 조정기구(제5도)]
지점 B에서의 기구는 조준 조정기구(16)이며, 이 기구는 본질적으로 리셉터클 부재(18), 기어유닛(19), 조작간(21a) 및 조준 조정축(23)을 포함한다.
합성수지재의 리셉터클 부재(18)는 본체(3)의 후면으로 부터 후방으로 돌설된 대략 원통상의 돌기(17)의 후단에 지지된다. 리셉터클 부재(18)는 후방을 향하여 개구된 구상 요홈(18a)과 구상요홈(18a)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홈상 구멍부(18b)를 구비한다.
기어유닛(19)은 램프 하우징(7)의 배면벽(10)의 앞면에 고정 설치된 케이싱(20)과, 수직 축 주위에서 회전 자유롭게 상기 케이싱(20)에 설치된 제1베벨기어(21), 상기 제1베벨 기어(21)와 맞물리는 제2베벨 기어(22)를 포함한다. 제2베벨기어(2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조준 조정축(23)과 맞물리는 나삿니(22a)가 형성된다. 조작간(21a)은 제1베벨기어(18)에 고정되고 그 상단부는 케이싱(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조준 조정축(23)은 그 길이의 대부분에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단부에는 구부(23a)와 그 구부(23a)의 전단으로 부터 돌출한 판상돌기(23b)가 형성되어 있다. 구부(23a)는 리셉터클부재(18)의 구상 요홈(18a)에 회동자재로 수납되고 돌기(23b)는 구멍부(18b)에 미끄러짐 가능하게 수납된다. 따라서 조정축(23)은 리셉터클 부재(18)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점 B는 구부(23a)와 구상 요홈(18a)에 의해 형성된다.
제1베벨기어(21)가 조작간(21a)에 의해 회전되면, 제2베벨기어(22)가 회전되고 고정축(23)은 전후 방향으로 변위하며, 리셉터클 부재(18)는 동일 방향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전조등 유닛(2)은 점 A와 점 C를 연결하는 선 주위에서 대략 좌우 방향으로 경동되고, 광빔의 조사방향은 좌우 방향으로 변화한다. 결국, 좌우 방향으로 조준 조정이 이루어진다.
[경동장치(제1~4도, 제6~8도)]
점 C의 조정부는 조정간(46)을 갖는 레벨링 구동 기구(25)와 상기 조작간에 연결된 조준용 조작부로 이루어진 경동장치(24)로 구성된다. 이 경동장치(24)는 초기 조준 조정중에 및 레벨링 조정중에 광빔의 방향을 상하(수직)방향에서 조정한다.
[레벨링 구동기구(제1도, 제3도, 제4도, 제6~8도)]
[케이싱(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제7도)]
레벨링 구동 기구(25)의 케이싱(26)은 합성 수지재로 제조되며 분리 가능한 전반부(27)와 후반부(28)를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전반부(27)와 후반부(28)는 전후 방향으로 대략 대칭 형상을 가지며, 전후 방향에서 볼때 상기 형상은 상측의 2/3에 해당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29, 29')(이하 "상부"라고 함)과, 대략 반원형인 하측 1/3에 해당하는 부분(30, 30')(이하 "하부"라고 함)을 포함한다. 하부(30, 30')의 깊이는 상부(29, 29')의 깊이의 약 1/3~1/4이다. 상부(29, 29')의 우측 상부코너를 제외한 3개의 코너에는 각각 구멍(31, 31')이 형성되고, 상부(29, 29')의 우측상부코너의 외면에는 돌부(32, 32')가 형성되며 그 돌부에 구멍(32a, 32a')이 각각 형성된다. 전반부(27)는 그 전면벽(33)하부의 중심부(33a)가 전후 방향으로 두껍게 돌출되어 있고 그 두꺼운 부분에는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34)의 내주면에는 그 구멍의 축방향으로 계합홈(34, 34a)이 형성되어 있다(제7도).
후반부(28)는 후면벽(35)를 갖는다. 후면벽(35)의 하부 중심부에는 원형의 오목부(36)가 형성되고, 오목부(36)의 후면벽에는 조정간 삽통공(37)이 형성된다.
전반부 및 후반부(27, 28)는 그 좌측 상부코너 및 우측 하부코너에서 그 구멍(31', 31 : 31', 31)을 통하여 삽입된 볼트(38, 38)와 너트(39, 39)에 의해 개구면이 서로 인접하도록 일체적으로 결합된다(제6도).
이렇게하여 내부에 비교적 얇은 공간을 가진 케이싱(26)이 형성된다. 전반부(27)이 지지구멍(34)은 후반부(28)의 조정간 삽통공(37)과 동축상으로 정렬된다.
[구동축, 구동기어(제1도, 제7도, 제8도)]
구동축(40)은 케이싱(26)의 전반부에 형성된 구멍(34)에 미끄러짐 가능하지만 회전 불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40)은 대략 원통형이며, 대직경의 중간부(41), 중간부(41)의 외주면 상에 서로 대향하는 계합돌부(41a, 41a), 나삿니가 형성된 후방부(42) 및 원통상의 전방부를 구비한다. 중간부(41)는 지지구멍(34)에 미끄러짐 가능하게 수납되고 계합돌부(41a, 41a)는 구멍(34)의 계합홈(34a, 34a)에 미끄러짐 가능하게 결합되어 축(40)의 회전을 방지한다.
구동기어(43)는 대략 원통상의 보스부(44)와 그 보스부(44)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부(45)를 갖는다. 보스부(44)는 그 중앙에 나삿니가 형성된 개공(44a)을 구비하여 구동축(40)의 나사부(42)가 결합된다. 기어부(45)는 그 외주면에 기어이(gear teeth)가 형성된다. 기어부(45)의 앞면에는 오목부(45a)가 형성된다.
보스부(44)는 후반부(28)의 배면벽(35)의 오목부(3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오목부(45a)는 케이싱(26)의 전반부(27)의 두꺼운 부분(33a)의 후단부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정간(제1도, 제3도, 제4도, 제7도, 제8도)]
46은 대략 원형의 봉(rod)형상의 조정간을 나타낸다. 조정간(46)은 전방 1/3부분에 나삿니가 형성된 부분(47)과, 후방 1/4부분에 타원형의 연결부(48)와, 나삿니부(47)와 연결부(48)사이에 있는 중간부(49)와, 상기 중간부(49)와 상기 연결부(48) 사이에 형성된 스톱 플랜지(50)와, 나삿니부(47)와 중간부(49)사이의 환상홈(51)을 갖는다.
중간부(49)는 스톱 플랜지(50)가 구동축(40)의 후단부와 인접될때까지 구동축(40)의 지지공(52)에 삽입되고 지지공(52)의 전단부 바로 앞에 위치되는 홈(51)에는 스톱링(53)이 끼워진다. 이렇게 하여 조정간 (46)은 회전 가능하지만 구동축(40)의 축방향으로의 변위는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모터, 웜 기어, 웜휠(제1도, 제7도, 제8도)]
모터(54)는 그 축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케이싱(26)의 상부에 설치된다. 모터(54)는 그 축을 따라 볼때 대략 타원형인 케이싱(55)을 갖는다. 케이싱(55)의 양단면에 형성된 돌출부(55a, 55a)는 케이싱(26)의 후반부(28)에 돌출된 모터 지지편(56,56)과 전반부(27)의 전면벽에 의해 유지되어 모터(54)를 케이싱(26)내에 위치시킨다. 또한, 모터(54)의 축(57)의 선단부는 전반부 및 후반부(27, 28)의 인접단부 면에 형성된 반원상의 절결부(59, 59)에 지지된다. 제6도에는 후반부(28)에 형성된 절결부 (59)만이 도시되어 있다.
60은 웜부재이며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고, 웜 기어(61)와 그 웜 기어(61)의 한쪽끝에 형성된 대직경의 평기어(62)를 일체적으로 구비한다. 웜 부재(60)은 상기 모터(54)와 평행한 방향으로 그 모터(54)의 바로 아래쪽에 배치되고, 웜 부재(60)의 양단부에 돌출설치된 원통형의 보스(63, 63)는 후반부(28)로부터 돌출 설치된 웜 지지편(64)와 전반부 및 후반부(27, 28)의 인접 면에 형성된 반원형의 절결부(65, 65)에 각각 별도로 회전 자재로 지지되며, 평기어(62)는 모터(54)의 피니온 기어(58)와 맞물고 있다.
66은 후술하는 웜 휠이나 센서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이며, 케이싱(26)의 전면벽(33)과 배면벽(35)과의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가지며, 그 중앙보다 약간 뒤에 처진부분(66a)이 원주형을 이루고, 그 나머지 부분이 축방향으로 보아 거의 타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전후 양단부가 상기 전면벽(33) 및 배면벽(35)의 내면의 거의 중앙부에 형성된 베어링 오목부(67, 67')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지지축(66)은 구동축(40) 및 조정간(46)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68은 합성수지재의 회전체이며, 웜 휠(69)과 그 웜 휠(69)과 동축이며 또한 그것보다 소직경인 전달기어(70)를 일체적으로 포함한다. 웜 휠(69)의 전면에는 웜 휠(69)의 외경보다 약간 소경인 원형의 오목부(71)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지지공(72)이 형성되어 있자. 회전체(68)는 지지구멍(72)에 상기 지지축(66)의 원주부(66a)가 회전자재로 끼워지고, 웜 휠(69)은 웜 부재(60)의 웜 기어(61)에 맞물리며, 전달기어(70)는 구동기어(43)의 기어부(45)와 맞물려진다. 따라서, 웜 휠(69)은 구동축(40), 조정간(46) 및 구동기(43)와 병열로 배치된다.
모터(54)가 회전하면, 피니온기어(58)-웜 부재(60)-웜 휠(69)의 경로를 거쳐 구동기어(43)에 전달되어서 구동기어(43)가 회전되고, 구동축(40)이 조정간(46)과 일체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센서, 구조(제1도, 제8도)]
73은 조정간(46)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며, 외로 기판(74)과 접점 유지판(78)과 센서기어(94)등으로 이루어진다.
회로 기판(74)은 그 거의 중앙부에 원형의 걸어붙임구멍(75)이 형성되고, 또, 2개의 위치정하기 구멍(76, 76)이 형성되고, 또한 후면에 상기 걸어붙임 구멍(75)을 중심으로하여 거의 환상(고리모양)으로 배열된 다수의 터미널(77, 77, …)이 인쇄 형성되고 있다.
78은 거의 두꺼운 원판형을한 접점 유지판이며, 중심부에 원형의 지지공(79)이 형성되고, 그 지지공(79)을 둘러싼 환상의 위치에 배열된 다수의 접점유지공(80, 80, …)이 형성되며, 그 전면에 위치정하기 돌기(81, 81)가 형성되어 있다.
82는 회전자로서, 중앙부가 두껍게 형성된 원판부(83)와, 그 원판부(83)의 중앙부(84)로 부터 돌출하고 또한 원주형을 한 보스부(85)가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그 중심구멍(86)은 횡단면 형상으로 원판부(83)와 대응하는 부분(86a)에서 대략 타원형을 이루고 그 나머지 부분은 원형을 이루고 있다. 또 보스부(85)의 선단측 대략 3분의 1에는 축방향에는 따라서 연장된 자른홈이 설치되어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휨 탄성을 갖는 4개의 탄성편(87, 87, …)이 형성되고, 이들 탄성편(87, 87, …)의 외주면의 뒤쪽 대략 절반부분에는 축둘레 방향으로 환상의 걸어맞춤 홈(88, 88, …)이 형성되어 있다.
89는 대략 링 모양을 한 도체 지지판으로서, 그 전면에 대략 반원호 모양을한 2개의 도체(90, 90')가 형성되고, 후면이 상기 회전자(82)의 원판부(83)의 전면에 접착등의 고착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접점 유지판(78)은 회로 기판(74)의 후면, 즉, 터미널(77, 77, …)이 설치된 쪽의 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그 위치 정하기 돌기(81, 81)가 회로기판(74)의 위치 정하기 구멍(76, 76)에 끼워맞추어 짐으로서, 그 위치가 정하여 진다. 회전자(82)의 보스 부(85)는 접점 유지판(78)의 지지공(79)에 회전자재로 삽입되고 회로기판(74)의 걸어 붙임 구멍(75)의 모서리부는 보스부(85)의 걸어맞춤 홈(88, 88, …)에 회전자재로 결합된다. 따라서, 접점 유지판(78)은 회로기판(74)와 원판부(83)의 중앙부(84)와의 사이에 유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66)의 원주부(66a)와 그 전단부 사이의 부분은 회전자(82)의 중심구멍(86)에 끼워지고, 그 중심구멍의 일부(86a)는 상기한 바와같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잔(84)와 지지축(66)은 일체적으로 회전 되도록 결합된다.
접점 유지판(78)의 접점 유지공(80, 80, …)에는 구형의 접점(91, 91, …)과 도전성의 코일 스프링(92, 92, …)이 각각 수납되고 상기 접점(91, 91, …)은 도체(90, 90')가 설치되는 도체 지지판(89)의 표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된다. 코일 스프링(92, 92…)의 전단은 회로기판(74)에 형성된 터미널(77, 77…)과 영구적으로 접촉된다.
회전체(68)는 그 오목부(71)가 회전자(82)의 원판부(83) 및 도체지지판(89)을 약간 여유를 가지고 수납하도록 지지축(66)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66)는 상기와 같은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싱(26)내에 설치된다.
센서(73)은 웜 휠(69)과 동축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구동축(40)과 병렬로 배치된다.
회로기판(74)은 케이싱(26)의 전반부(27)에 형성된 돌기(93, 93)(제1도 참조)에 지지됨으로서, 케이싱(26)내에 고정된다.
[센서구동 수단(제1도, 제7도, 제8도)]
94는 얇은 평기어 모양을 한 피구동 기어이며, 지지축(66)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기어(94)는 지지축(66)의 타원형의 후방단부와 결합하는 타원형의 중심공(94a)을 가지며, 따라서 지지축(66)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95는 중간기어이며, 각각 평기어모양을 하고 또한 서로 동축에 위치한 대기어(95a)와 소기어(95b)가 일체로 형성되며, 후반부(28)에 지지된 지지축(96)에 회전자재로 지지된다. 대기어(95a)는 회전체(68)의 전달기어(70)와 맞물리고, 소기어(95b)는 상기 피구동기어(94)와 맞물린다.
따라서, 웜휠(69)이 회전하면, 그 회전이 전달기어(70), 중간기어(95) 및 피구동기어(94)를 통하여 감속되어 지지축(66)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그 지지축(66)이 회전자(82)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게된다. 그리고, 지지축(66)과 회전체(68)는 상이한 속도로 회전된다.
[센서, 기능]
상기 접점(91, 91…)은 제1극성축의 군(group) 및 제2극성측의 군의 2개의 군으로 나누어지고, 또 이들 접점(91, 91…)중에서 2개의 접점(91, 91)이 접촉하고 있는 터미널(77, 77)은 상기 모터(54)의 극성이 다른 2개의 입력단자에 각각 별도로 접속되고 다른 접점은 원격 조작부에 마련된 서로 연동하는 2개의 로터리 스위치의 피 전환접점과 각각 별도로 접속된다. 로터리 스위치는 전원 배터리와 접속된다. 이 로터리 스위치에 의해 임의의 한조의 피전환접점이 선택될때, 상기 선택된 한조의 피 전환접점에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접점(91, 91)과, 도체(90, 90')와, 모터(54)와, 전원으로 이루어진 회로가 폐성(closed)되어서 모터(54)가 특정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54)가 회전하면, 회전체(68) 및 구동기어(43)가 회전됨으로, 그 구동기어(43)가 구동축(40) 및 조정간(46)을 일체적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케하고, 이와 동시에 센서(73)의 회전자(82) 및 도체지지판(89)이 회전된다. 이들이 소정량 회전하면, 도체(90, 90')가 상기 선택된 당해 접점(91, 91)으로 부터 떨어져서 상기한 회로가 개방되고 모터(54)의 회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모터(54)의 회전량 및 회전방향은 상기 로터리 스위치로 선택된 피 전환접점에 의하여 규정되고, 또, 이 센서(73)에 의하여 조정간(46)의 위치가 검출된다.
이와같은 제어시스템은 일본국 특개소 59-209932호 공보에 설명된 것과 거의 동일하다.
램프하우징의 부착, 조정간과 전조등 유닛과의 연결(제1도, 제3도, 제4도)
이상과 같은 레벨링 구동기구(25)는, 그 케이싱(26)이 램프 하우징(7)의 배면벽(10)의 앞면에 근접위치되고 또한 조정간(46)의 연결부(48)가 램프하우징(7)에 설치된 상기 조작축 배치부(9)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 긴나사(98, 98)는 각각 램프하우징(7)의 배면벽(10)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된 부착보스(97, 97)의 도시 생량한 구멍과, 케이싱(26)에 설치된 상기 돌출부(32, 32')의 구멍(32a, 32'a)에, 그리고 전반부와 후반부(27, 28)의 3개의 구멍(31, 31, 31 ; 31', 31', 31')중의 각 1개(31, 31')에 끼워지고 너트(99, 99)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램프하우징(7)에 고정된다.
100은 전조등 유닛(2)의 램프보디(3)의 배면의 하단부에 고정된 브라켓이며, 그 브라켓(100)에는 합성수지제의 너트(101)가 그 축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조정간(46)의 나사부(47)가 상기 너트(101)에 나사맞춤되고, 이에따라, 조정간(46)과 전조등 유닛(2)이 연결된다.
조준 조작부(제1도, 제3도, 제4도, 제8도) 102는 조작부이다.
[조준 조작축]
103은 조준 조작축이며, 원주형을한 중간부(104)와, 그 중간부(104)의 후단에 형성된 헤드부(105)와, 중간부(104)의 앞쪽에 위치한 연결부(106)와, 그 연결부(106)와 중간부(104)와의 사이에 위치한 원추대 형을 한 부분(107)이 서로 동축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중간부(104)와 헤드부(105)와의 사이에는 헤드부(105)보다 대직경의 플랜지(108)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06)는 횡단면 형상으로 대략 타원형을 이루며, 연결부(106)에 인접한 부분(104)에는 환상 홈(109)이 형성되어 있다.
조준 조작축(103)은 램프 하우징(7)의 배면벽(10)에 형성된 조작축 배치부(9)에 설치되고, 중간부(104)는 상기 배치부(9)의 지지구멍(11a)에 회전자재로 끼워지며, 이로써, 조준조작축(103)의 축방향 이동이 홈(109)에 고정된 스톱링(110)과 플랜지(108)에 의해 금지된다.
그리하여, 조준 조작축(103)은 조정간(46)의 후방단부로 부터 동축으로 근접되어 있다.
조정간(46)의 이동범위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축(40)의 중간부(41)후면이 구동기어(43)의 전면에 맞닿아았을때의 위치(제1도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후퇴위치"라고 함)와 구동축(40)의 중간부(41) 전면이 케이싱(26)의 전면벽(33)내면에 맞닿아있을때의 위치(이하 "최대전진위치"라고 함)와의 사이에서 결정된다. 이로써, 구동축(40)이 후퇴위치에 있을때 조정간(46)의 후단부와 조작축(103)의 전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1)이 형성된다. 111은 조작축(103)에 끼워맞춤된 밀봉링이다.
[연결체]
112는 상기 조준 조작축(103)의 전단부와 조정간(46)의 후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이며, 축방향으로 보아 대략 타원형상의 구멍(113)의 그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대강 중간부에 멈춤 벽(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연결체(112)는 그 구멍(113)에 양단으로 부터 조준 조작축(103)의 연결부(106)와 조정간(46)의 연결부(48)가 각각 별도로 미끄러져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부 조준조작축(103)과 조정간(46)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동작]
수직방향으로의 조준 조정
초기의 조준조정은 조작축(103)을 회전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연결체(112)와 조정간(46)은 조작축(103)과 일체적으로 회전되며, 따라서 조정간(46)이 전조등 유닛(2)에 지지된 너트(101)에 대하여 나사조임 또는 풀림된다. 따라서, 경동장치(24)의 위치에서 전조등 유닛(2)과 램프 하우징(7)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고, 전조등 유닛(2)이 점 A와 점 B를 잇는 직선을 회전 축으로 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기울여 진다. 이에 따라 조사방향이 수직 방향에서 조정된다.
[레벨링 조정]
레벨링 조정을 할때에는, 모터(54)를 원격 조작에 의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구동축(40)과 조정간(46)이 일체적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 전조등유닛(2)에 지지된 너트(10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에따라, 전조등유닛(2)과 램프하우징(7)과의 간격이 변경되고, 전조등유닛(2)이 유사하게 수직방향으로 기울어진다. 모터(54)의 회전량 및 회전 방향은 센서(73)에 의해 제어된다.
연결체(112)는 조정간(46)의 후단부 및/또는 조작축(103)의 전단부에 대하여 미끄러져 움직일수 있지만,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제2실시예(제9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동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2의 실시예의 전조등 장치(115)가 상기 제1실시예의 전조등 장치(1)와 다른점은 조정간과 전조등 유닛과의 연결장치 및 그에 관련한 부분만이 있다. 따라서, 서로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116은 램프 보디(3)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117)에 지지된 합성수지제의 받침제이며, 후방을 향하여 구멍트인 구형의 오목부(116a)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40)은 조정간(119)에 맞물려지는 나사구멍(118)을 구비한다.
조정간(119)은 그 전단부에 구체(120)가 형성되고, 그 후단부(121)에 비원형부(121)를 가지며 그 나머지의 대부분이 나사축부(122)로 형성되어 있다. 나사축부(122)는 구동축(40)의 나사구멍(118)에 나사 결합되고, 그 후단부(121)가 연결체(112)를 통하여 조준 조작축(103)의 전단부(106)에 미끄러짐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120)는 상기 받침대(116)의 구형 오목부(116a)에 회전자재로 끼워맞추어져 있다.
조준 조작축(103)을 회전시키면 조정간(119)은 구동축(40)에 대하여 나사잠금 혹은 풀림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받침제(116)도 역시 동일방향으로 이동되며, 그에따라, 전조유동유닛(2)이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광빔의 조사방향이 변환된다.
레벨링 조정은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행하여진다.
[응용예(제10도, 제11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응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조등 장치(123)는 소위 반사경 가동(movable)형태의 것으로서, 반사경이 램프 보디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광빔의 방향을 규정하는 경동 부재로서 동작한다.
124는 전조등 유닛이며,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전방개구를 갖는 램프보디(125)와, 램프보디(125)의 전방 개구를 덮는 렌즈(126)와, 램프 보디(125)와 렌즈(126)사이에 형성된 램프 공간(127)내에 배치된 반사경(128)과, 반사경(128)의 뒤쪽 꼭지부에 지지된 전구(129)등을 포함한다. 램프보디(125)는 램프 하우징(7)에 고정되어 있다.
130은 램프보디(125)의 배면벽(131)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조작축 배치부이며, 상기 제1의 실시예에 보인 램프하우징의 조작축 배치부(9)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반사경(128)은 제10도에 도시한 A,B 및 C의 3개 지점에서 램프 보디(125)에 지지된다. 지점 A는 볼 조인트와 같은 회전운동지점부이며, 점 B와 C는 반사경(128)과 램프 보디(125)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이다. 점 B에서의 조정부는, 제1실시예에서 보인 조준 조정기구(16)와 유사하다.
점 C에서의 조정부는 상기한 경동장치(24)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 응용례에 있어서 레벨링 구동기구(25)는 램프보디(125)의 배면벽(131)의 안쪽에 부착되고 조정간(46)의 전단부는 반사경(128)으로부터 돌출된 브라켓 (132)에 고정된 너트(133)에 나사결합된다.
조준 조작축(103)은 램프보디(125)의 조작축 배치부(130)에 지지되고 조작축(103)과 조정간(46)은 연결체(112)를 통하여 연결된다.
반사경(128)은, B점에서 조준 조정부의 조작 부재가 조작된 때에 A점과 C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진다. 또, 경동장치(24)의 조작축(103)이 회전되거나 모터(54)가 회전되었을때 반사경(128)은 A점과 B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진다. 이와같이 하여 조사방향의 변경이 행하여진다.
[발명의 장점]
이상, 기재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웜휠과 검출수단이 동축으로 구동축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따라서 구동축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크기가 웜휠과 검출수단의 크기의 합까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의 두께를 최소로 줄일수 있으며, 램프 하우징 상에서의 설치 및 램프 하우징내에서의 배치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로 수정 및 변경할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3)

  1. 조사방향을 변경할때에 경동되는 경동부재(2)를 지지부재(7)에 경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차량용 전조등(1)의 경동장치(24)에 있어서, 지지부재(7)에 고정된 케이스(26)와, 이 케이스(26)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그동축(40)과, 이 구동축(40)에 지지되고 전단부가 경동부재(2)와 연결된 조정간(46)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26)내에 모터(54)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61)와 이 웜기어(61)와 맞물려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축(40)을 이동시키기는 웜휠(69)과 조정간(46)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73)과 웜휠(69)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고 검출수단(73)의 지지축(6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검출수단(73)을 동작시키는 피구동기어(94)가 수납되고 웜휠(69)은 구동축(40)과 병렬로 배치되며, 검출수단(73)과 피구동기어(94)은 웜휠(69)과 동축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간(46)은 그 중간부가 구동축(40)에 회전이 자유롭지만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지지되며, 전단부가 경동부재(2)에 지지된 너트(101)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조정간은 그 중간부가 구동축에 나사맞춤되고 전단부가 경동부재와 불조인트 모양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
KR1019890006292A 1988-05-10 1989-05-10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 KR920005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040 1988-05-10
JP63-113040 1988-05-10
JP63113040A JPH0834064B2 (ja) 1988-05-10 1988-05-10 車輌用前照灯の傾動装置
JP63115333A JPH01285274A (ja) 1988-05-12 1988-05-12 薬剤徐放装置
JP63-115333 1988-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112A KR890017112A (ko) 1989-12-15
KR920005570B1 true KR920005570B1 (ko) 1992-07-09

Family

ID=6799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292A KR920005570B1 (ko) 1988-05-10 1989-05-10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5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112A (ko) 198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5319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JP2001341577A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及び車両用前照灯の照射軸調整装置
JPH0436986Y2 (ko)
JPH01282045A (ja) 車輌用前照灯の傾動装置
JP2750645B2 (ja) 自動車用前照灯のエイミング調整装置
JPH0834064B2 (ja) 車輌用前照灯の傾動装置
JP2512319B2 (ja) 車輌用前照灯の傾動装置
KR920005570B1 (ko)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
US5580149A (en) Automotive headlamp
JP2517487B2 (ja) 前照灯の照射角度調整装置
KR0173817B1 (ko) 전조등의 광축조정장치
JP2517486B2 (ja) 前照灯の照射角度調整装置
JPH0229537B2 (ko)
JPS5863532A (ja) ヘツドランプ傾動装置
JPH0757508A (ja) ヘッドランプレベリング機構
JPH11339506A (ja) 車両用灯具
KR920001712B1 (ko) 차량용 전조등 장치
JPH0159131B2 (ko)
JPH0156932B2 (ko)
JPH0788150B2 (ja) 車輌用前照灯装置
JPH0226755Y2 (ko)
JP3128621B2 (ja) 車輌用前照灯
JP2668307B2 (ja) 自動車用前照灯のエイミング調整装置
JPH01282043A (ja) 車輌用前照灯の傾動装置
JPH0627477Y2 (ja) 車輌用前照灯の照射角度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