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493B1 - 판넬의 블랭킹(Blanking)가공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판넬의 블랭킹(Blanking)가공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493B1
KR920007493B1 KR1019900006115A KR900006115A KR920007493B1 KR 920007493 B1 KR920007493 B1 KR 920007493B1 KR 1019900006115 A KR1019900006115 A KR 1019900006115A KR 900006115 A KR900006115 A KR 900006115A KR 920007493 B1 KR920007493 B1 KR 92000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haft
blanking
movabl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099A (ko
Inventor
정병철
Original Assignee
정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철 filed Critical 정병철
Priority to KR1019900006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493B1/ko
Publication of KR91001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10Drives for forging presses
    • B21J9/20Control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forging press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preceding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판넬의 블랭킹(Blanking)가공 자동화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측면 배치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평면 배치도.
제4도는 제3도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일부 생략 수직 단면도.
제5a도는 제4도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5b도는 제3도의 Ⅲ-Ⅲ선 방향에 따른 일부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Ⅴ-Ⅴ선 방향에 따른 일부 생략 수직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롤러 배치 상태만을 발췌하여 표시한 것으로, 제7a도는 제6도의 A'방향에서 본 롤러의 설치도, 제7b도는 동도(同圖)의 B'방향에서 본 롤러의 설치도.
제8도는 판넬에 블랭킹 가공시 재료 손실 정도를 비교하여 표시한 것으로 제8a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블랭킹 가공을, 제8b도는 종래의 블랭킹 가공예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제9a, 9b, 9c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작업방법을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롤상판넬권회기(Uncolier) 4 : 판넬송급기(Feeding Machine)
6 : 프레스기 8 : 제어부
20, 42 : 주행레일 22 : 태차(台車)
24 : 가동축 29 : 지지아암
30, 48 : 나선축 31, 49 : 고정 브래킷
33, 62 : 나산 안내공 34, 63 : 안내 브래킷
40 : 고정롤 44 : 기체(機體)
45, 46 : 전ㆍ후방 안내롤러 45a, 46a : 전ㆍ후방 가동롤러
45b, 46b : 전ㆍ후방 고정롤러 47 : 송급롤러
47a : 송급가동롤러 47b : 송급고정롤러
52 : 이송롤 53 : 링크
54 : 받침플레이트 56 : 핀
57 : 회전축 65 : 송급가동롤러축
65' : 송급고정롤러축 66, 66' : 회전기어
C1 : 유압실린더 C2 : 지지실린더
M1, M3 : 정ㆍ역 구동모우터 M4 : 구동모우터
본 발명은 판넬의 블랭킹(Blanking)가공 자동화 시스템 즉, 팬(pan) 또는 폿트(pot)종류의 주방용품들을 제조함에 있어 기본재료로 이용되는 금속원판을 얻고져, 판넬의 공급부터 블랭킹 가공 작업까지의 모든 공정을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토록 된,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블랭킹 가공작업을 함에는, 피블랭킹판의 공급부터 시작하여 원판을 얻는 블랭킹 작업 완료시까지의 전(全)공정을 일일히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으면 안되는 수동식 작업이었다.
즉, 롤상으로 권희된 판넬을 운반하기 좋게끔 합판 형태의 낱장으로 수동에 의한 샤일(shearing) 작업을 행하는 제1공정과, 샤링된 피블랭킹 판을 블랭킹 머신(=프레스기)이 있는 장소까지 일일히 운반하는 제2공정과, 운반된 판에 블랭킹 가공을 시행하고져 블랭킹 머신내로 수동에 의한 송급을 행하는 제3공정과로 되어 있는바, 모든 공정이 수동으로 인해 작업 공정수가 많고, 각 작업 공정마다 일일히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되며, 또한 낱장의 판을 블랭킹하므로 매장마다 스크랩(Scrap) 발생율이 높아 재료 손실이 많았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생산성 향상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결점들을 해소키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피블랭킹 판의 공급부터 원판을 얻는 블랭킹 작업 완료시까지의 전공정을 제어부에 의한 제어로 자동처리되게 한 것에 의해, 각 공정마다 소요되는 숙련공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작업 공정수를 감소시키어 작업능률을 배가시킨 잇점을 제공함에 있고, 또한 피블랭킹 판을 낱장이 아닌 롤상의 판넬로 하여 공급함으로, 종래의 양단에 생기는 스크랩을 극소화하여 재료손실을 거의 없게 하였다고 하는 잇점을 제공함에 있으며, 또 전공정의 자동화 처리로 작업처리 및 칫수 정밀도를 배가시킨 잇점을 제공함에 있고, 또한 안전사고등의 발생율을 제거시킨 잇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피블랭킹 금속판넬을 프레스기 측으로 계속 공급토록 하고져, 롤상판넬을 보유하는 롤상판넬 권회기(Uncoiler)와, 그 권회기로부터 풀려나오는 판넬을 일정핏치로써 프레스기 측으로 공급하는 판넬송급기(Feeding Machine)와, 그 판넬송급기로부터 공급되는 판넬을 소정 칫수로써 블랭킹 가공작업을 실행하는 프레스기와를 사전 모든 자료를 입력시킨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재료 송급부터 주행 작동등의 모든 작업이 자동으로써 단일 공정으로 처리되게 한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술(詳述)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이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대별(大別)하여 설명하며, 제1도 및 제2, 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롤상으로 감긴 판넬(P)을 지지하여 프레스기(6)측으로 계속 공급되게 하는 판넬 권회기(2)와, 그 권회기(2)로부터 풀려나오는 판넬(P)을 프레스기(6)측으로 일정 핏치로써 송급해주는 판넬송급기(4)와, 판넬송급기(4)로부터 송급되는 판넬(P)에 블랭킹 작업을 행하는 프레스기(6)로부터 구성되며, 이들 권회기(2), 송급기(4), 프레스기(6)들은 사전에 모든 자료들을 입력시킨 제어부(8)에 있는 버튼(미도시)조작에 의해서 전(全)공정이 단일공정으로써 자동으로 작동되게 처리된다.
다음은 상기한 권회기(2), 송급기(4), 프레스기(6)순으로 각 구성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롤상판넬 권회기(2)는 레일(20)상을 주행륜(21)을 개재하여 좌, 우로 왕복동 가능하게 착설된 대차(台車)와, 그 대차(22)상에 착설된 케이싱(23)과, 그 케이싱(23)에 장착된 유압 실린더(C1)에 연결되어 진,퇴 가능하게 힌지(25) 구조로 되어 착설되며, 롯드(26)상단에는 받침편(27)이 부착되어 상기 가동축(24)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외감된 롤상판넬(P)의 권회부(5)와, 상기 롤상판넬(P)을 지지토록 그 케이싱(23)의 후방에 착설된 유압실린더(C3)의 작동롯드(28)에 일단이 고착되어 상,하로 작동되는 지지아암(29)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20)중앙으로는 기다란 나선축(30)이 배치되어, 그 나선축(30)의 일단은 레일(20)에 장착된 정ㆍ역 구동모우터(M)에 연결되며(제3도), 타단은 그 레일(20) 상면 중앙에 고착된 고정브래킷(31)내에 축수(32)를 개재하여 지지된다(제4도).
또, 대차(22)의 저면 중앙에는 나사안내공(33)을 갖는 안내브래킷(34)이 착설되며, 그 나사안내공(33) 내부로는 상기 나선축(30)이 고정브래킷(31)에 착설되기 전에 나합된다. 따라서, 상기 정ㆍ역 구동모우터(M1)가 정방향인 화살표(a)방향(제3도 및 제4도)으로 구동되면, 그 나선축(30)에 안내브래킷(34)을 개재하여 연결된 상기 대차(22)가 화살표(a') 방향으로 레일(20) 상면을 따라서 전진 주행한다.
반대로 상기 구동모우터(M1)가 역방향인 화살표(b)방향(제3도 및 제4도)으로 회전구동되면, 상기와 동일 원리에 의해 화살표(b') 방향인 역방향으로 레일(20)상면을 주행하여 왕복동이 완료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작용은 제어부(8)의 조작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가동축(24)은 유압실린더(C1)의 진ㆍ퇴 작동시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c) 또는 (c') 방향으로 진ㆍ퇴 작동하며, 상기 가동축(24)의 주위에는 고정롤(40)이 축(24) 양단으로서 키이(key)(41)(41')설치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며, 그 고정률(40)의 주위에는 롤상판넬(P)의 권회부(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권회부(5)는 고정롤(40)의 주위에 베어링(51)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원통상 이송롤(52)과, 그 이송롤(52)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연결링크(53)에 의해 상기 이송롤(52)과 연결되며, 후면부는 상기 고정롤(40)과 일체로 착설된 고정면판(54)에 접촉되는 "
Figure kpo00001
"형상의 롤상판넬(P) 받침 플레이트(55)(제4도 및 제5a도 참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 실린더(C1)에 의해 가동축(24)이 제4도의 화살표(c) 방향으로 전진 작동하며, 가동축(24)과 일치된 이송률(52) 역시 전진작동되는바, 이때 이송롤(52)과 플레이트(55)를 핀(56)으로 헐겁게 연결하고 있는 링크(53)가 옆방향으로 눕혀져서 그 각 플레이트(55)들은 이송률(52)에 대하여 제4도 및 제5도에 2점쇄선원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수축위치로 되고, 반대로 가동축(24)이 화살표(c') 방향으로 후진하면 이송롤(52) 역시 가동축(24)과 같이 후진되는바, 그 이송롤(52)이 그때까지 눕혀져 있던 링크(53)를 잡아당기는 것으로 되어, 연결링크(53)는 수직으로 기립되면서 플레이트(53)들을 밀게 되는바, 그 플레이트(55)들은 이송롤(52)에 대하여 확개된 상태로 된다(제4도 및 제5a도).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롤상판넬(P) 권회부(5)이 각 플레이트(55)에 판넬(P)을 견고하게 지지키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권회기(2)의 대차(22)상의 전방일측에는 권회부(5)의 길이에 상응하는 회전축(57)이 설치되며, 그 회전축(57)의 일단은 구동모우터(M2)에 연결된다.
다음은 송급기(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3도 및 제6도,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송급기(4)는 받침대(60) 상면에 설치된 레일(42)과, 그 레일(42) 상면에서 주행륜(43)을 개재하여 왕복동 주행하는 기체(機體)(44)와, 그 기체(44)에 착설된 각 한쌍씩의 전ㆍ후방 안내롤러(45)(46)와, 중간에의 송급롤러(47)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레일(42)의 중앙에는 나선축(48)이 배치되며, 그 나선축(48)의 일단은 레일(42)의 중앙상면에 착설된 정ㆍ역 구동모우터(M3)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일(42) 상면에 고착한 고정브래킷(49)에 축수(61)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기체(44)의 저면 중앙에는 나사공(62)를 갖는 안내브래킷(63)이 착설되며, 그 나사공(62)내로는 나선축(48)이 고정브래킷(49)에 착설되기 전에 삽입되어 나합된자(제6도). 따라서, 상기 권회기(2)에서와 마찬가지로 정ㆍ역 구동모우터(M3)가 화살표(d) 또는 (e)방향으로 구동시 기체(44) 역시 레일(42) 상면을 따라 화살표(d') 또는 (e') 방향으로 왕복 주행한다. 이 왕복 주행은 권회기(2)와 동일 핏치로 이동되도록 제어부(8)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권회기(2)와 송급기(4)는 항시 동일 속도로써 동일 주기를 왕복운동한다.
또, 기체(44)의 지지프레임(64) 전ㆍ후방에는 가동롤러(45a) 및 (46a)와 고정롤러(45b) 및 (46b)로 된 상기 안내롤러(45) 및 (46)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가동롤러(45a) 및 (46a)는 고정롤러(45b) 및 (46b)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가능케 구성된다.
또한, 기체(44)의 중앙에 착설된 상기 송급롤러(47) 역시 상부의 가동롤러(47a)와 하부의 고정롤러(47b)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롤러(47a) 역시 고정롤러(47b)에 대하여 안내롤러(45) 및 (46)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제6도). 이러한 구성은 여러가지로 채용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송급롤러(47)의 고정롤러(47b) 축(65')의 일측에는 구동모우터(M3)가 연결되며, 지지프레임(64)을 관통하여 연장된 가동롤러(47a) 및 고정롤러(47b)의 축(65) 및 (65')의 타단에는 회전기어(66) 및 (66')가 그 축(65)에 일체로 고착되어 상호 치합된 상태로 된다(제6도 및 제7b도참조).
따라서, 구동모우터(M4)가 제3도 및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f)방향으로 회전되며 회전기어(66) 및 (66')가 맞물린 상태로 가동 및 고정롤러(47a) 및 (47b)는 일체로 회전된다. 이 구동모우터(M4)의 회전지시 역시 제어부(8)에서 조절한다.
마지막으로 프레스기(6)는, 제어부(8)에 의해서 상기 권회기(2) 및 송급기(4)와 일체로 작동되게 조절되는 것 이외에는 일반 프레스기 구조와 동일하며, 별도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채용된 상기한 회전기(2), 송급기(4), 프레스기(6)를 각종 자료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한 제어부(8)에는, 사전에 상기 기기들을 지시하는 자료들이 입력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서 판(P)에 원하는 칫수로서 블랭킹 가공이 진행되며, 상기 제어부(8)에 입력되는 자료들을 얻으려고 하는 원판에 따라서 상기 기기들 즉, 권회기(2), 송급기(4), 프레스기(6)의 지시하는 자료들이 달라지는바, 그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상기 기기들은 제어부(8)에 표시된 자료입력 선택버튼 또는 스위치와 접속되어 있으므로(제1도), 모든 작업처라는 제어부(8)의 전면에 부착된 제어부의 표시된 내용에 의해, 버튼 또는 스위치를 조작하면 판넬(P)의 공급에서부터 원판을 얻는 블랭킹 작업까지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만을 알려둔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70)은 베어링을, (71)은 매인스프로켓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다음은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중앙에 구멍이 있는 롤상판넬(P) 즉, 핫 코일(Hot Coil)을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된 권회기(2)의 권회부(5)에 삽착한다.
즉, 제2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축(24)의 일단을 지지하고 있는 축지지실린더(C2)를 제어부(8) 전면의 제어반(미도시)에 있는 버튼 조작으로 축지지실린더(C2)를 제4도에 표시한 1점 쇄선 위치로 수축되게 하여, 받침편(27)을 가동축(C2)으로부터 격리되게 한다. 다음은 그 실린더(C2)를 제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눕혀지게 한다. 이는 롤상판넬(P)을 권회부(5)에 용이하게 삽착키 위해서이다.
상기 조작이 완료되면, 롤상판넬(P)을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받침플레이트(54)의 외주로 그 판넬(P)의 중앙구멍을 통하여 삽착한 후, 제어부(8)의 조작으로 평상시에는 유압실린더(C1)의 전진작동으로 가동축(24)을 1점쇄선까지 전진시키므로 인해 제4도의 롤상판넬(P) 권회부(5)의 하반부에 표시된 바와 같이, 축소상태(제5a도의 2점쇄선의 원표시위치)로 되어 있던 받침플레이트(55)들을, 재차 상기 유압실린더(C1)을 후방으로 작동되게 함과 아울러 가동축(24) 역시 후방인 화살표(c') 방향으로 수축되게 하여, 그때까지 옆으로 눕혀져 있던 연결링크(53)에 헐겁게 연결된 받침플레이트(55)들을 가동축(24)에 삽착된 이송롤(52)로부터 확장되게 하여서, 그 확장되는 플레이트(55)들이 롤상판넬(P)의 내부를 견고히 압압토록 하여 견고히 지지되게 한다(제4도 및 제5a도).
상기 연결링크(53)들은 반구상을 이루는 받침플레이트(55)들과 이송롤(52) 주위에 힌지식으로 연결핀(56)에 의해 양단이 헐겁게 연결되므로, 가동축(24)과 전ㆍ후진할 시에 자동적으로 그 링크(53)의 도복(到伏)작용에 의해 받침플레이트(55)들도 수축 및 확개된다.
롤상판넬(P)이 권회기(2)의 권회부(5)에 삽착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축지지실리더(C2)를 기립시킴과 아울러, 그 실린더(C2)를 작동시키어 지지롯드(26)의 받침편(27)의 가동축(24)의 저부를 받쳐주는 상태로 원위치시킨다(제2도 및 제4도).
또한, 유압실린더(C3)에 의해 상방으로 위치되어 있던 지지아암(29)(제2도 및 제5b도의 2점 쇄선 위치)을, 그 실린더(C3)의 수축작동으로 지지아암(29)의 일단을 잡아당기어서 그 아암(29)의 지지롤(68)이 판넬(P)의 일측면 부위를 압압토록 한다.
다음은, 권회기(2)에 위치시킨 판넬의 일단부를 손으로 당기어서 판넬송급기(4)축으로 도입되게 한다. 판넬을 손으로 당기면, 이송롤(52)이 가동축(24) 주위에 축수(51)를 개제하여 회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롤(52)이 자연적으로 회동되어져 권회부(5) 전체가 자연스럽게 회전된다.
한편, 판넬송급기(4)측으로 도입된 판넬의 일단부위는, 전ㆍ후방 안내롤러(45) 및 (46), 송급롤러(47)의 가동롤러(45a) 및 (46a), (47a)를 수조작에 의해 상방으로 위치시킨 후, 그 롤러(45) 및 (46), (47)들의 벌어진 간극 사이로 통과시키어서 프레스(6)의 다이위에 재치토록 한다(제2도).
상기 롤상판넬(P)은 그 판넬 사이마다 종이가 같이 감겨져 있는바, 이때 종이(Pa)는 권회기(2)의 회전축(57)에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권취시킨다. 이렇게 하여, 판넬(P)의 위치 설정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8)에 있는 각종 버튼 조작으로 제3도에 표시한 바처럼, 권회기(2), 송급기(4), 프레스기(6)를 작동되게 한다.
즉, 권회기(2) 및 송급기(4)에 착설된 정ㆍ역 구동모우터(M1), (M3)를 화살표(a)(d)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면, 나선축(30), (48)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대차(22) 및 기체(44)는 레일(20) 또는 (42) 상면을 따라서 화살표(a') 또는 (d')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그 대차(22) 및 기체(44)상에 재치된 판넬(P) 역시 동일 방향으로 진행되는바, 이때 상기 기기들과 똑같이 제어부(8)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프레스기(6)는, 그 프레스기(6)의 다이 상면에서 조금씩 이송되는 판넬에 블랭킹 가공을 시행하여 소정의 금속원판을 얻게 한다. 제2도에서 롤상판넬(P)로부터 풀려나오는 종이(Pa)는 회전축(59)에 구동모우터(M2)의 회전으로 감긴다. 상기에서 판넬이 이송되는 범위는 얻고져 하는 원판의 직경(d)만큼이며, 그 이송범위는 제어부(8)에 사전입력된 데이타로 하여금 정ㆍ역 구동모우터(M1) 또는 (M3)를 제어하여 구동되게 하는바, 이에 의해 권회기(2) 및 송급기(4)도 동일하게 작동된다.
한편, 판넬(P)에 블랭킹을 실시하는 천공 형태는 사전입력된 데이타들을 조작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즉,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9a도, 제9b도 또는 제9c도의 형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려면, 제어부(8)에 상기와 관련하여 표시된 버튼을 누름에 의해 프레스기(6)가 자동으로 상기 방법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가공을 행하게 된다.
이렇게하여 판넬의 한 라인에 블랭킹 가공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8)에 의해 자동으로 정ㆍ역 구동모우터(M1) 또는 (M3)가 일시 구동중지되며, 따라서 권회기(2) 및 송급기(4)의 이동이 중지됨과 아울러, 프레스기(6) 역시 펀치해머가 올라간 상태로 작동이 중지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8)에 의해 송급기(4)의 구동모우터(M4)가 한번 회전토록 지시되어 구동모우터(M4)는 제3도 및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f)방향으로 회전되는바, 그 구동모우터(M4)에 연결된 고정롤러(47b)의 축(65')회전으로 그 축(65')에 착설된 기어(66')와 치합된 기어(66) 역시 회전되며, 기어(66)와 일체로 된 축(65) 역시 회전되므로, 판넬(P)은 가동롤러(47a)와 고정롤러(47b)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되어 프레스기(6) 내측으로 송급된다. 송급되는 판넬의 번위는 제어부(8)에 사전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며, 일반적으로 블랭킹할 원판의 직경 정도가 송급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프레스기(6)가 작동되어 블랭킹 작업을 실시하면 동시에, 정ㆍ역 구동모우터(M1) 또는 (M3)가 역방향인 화살표(b) 또는 (e)방향으로 회전되어 권회기(2) 및 송급기(4)를 화살표(b') 또는 (e')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하고(제3도), 판넬 역시 동일 방향으로 조금씩 이송되게 하는바, 제8도(a) 또는 제9a, 9b, 9c도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블랭킹 작업을 하여 소망하는 금속원판을 얻도록 한다. 상기 판넬의 블랭킹 가공 왕복작업은 계속 반복작동되어 제8a도와 같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고정에 대하여 기기의 구성별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모든 공정이 제어부(8)에 의해, 단일 공정으로써 자동으로 행하여지며, 또한 얻고져 하는 원판의 직경에 따라서 제어부에 입력되는 각 기기들의 작동수치 데이타들은 얼마든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수치 입력에 의한 제어부의 작동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냄비등의 기재(基材)로 이용되는 원판을 얻기 위해서, 재료 공급에서부터 블랭킹 가공작업의 모든 공정을 자동화 함에 의해, 제8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반달모양의 스크랩(검게 칠한 부위)이 1롤에 4개 밖에는 발생되지 않는 것에 비하여, 종래의 경우에는 제8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롤상판넬을 일일히 낱장으로 샤링한 후 블랭킹 가공을 행함으로 인해, 매장마다 양단으로 4개 정도의 반달 모양 스크랩이 생기게 되는 바, 본원 발명은 종래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들인 재료손실, 많은 숙련공들의 소요, 공정수의 증가등을 해결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3)

  1. 롤상판넬을 낱장으로 샤링한 후 수동 공급으로 프레스기에 의해 원판을 얻는 블랭킹 가공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레스기(6)로 판넬을 계속 공급케하고져 롤상판넬(P)을 권회하는 권회기(Uncoiler)와, 그 권회기(2)의 전방에 배치되어 판넬을 프레스기 측에 일정 핏치로써 공급하는 판넬송급기(Feeding Machine)(4)와, 그 송급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레스기(6)와를 각각 제어부(8)에 접속하고, 제어부(8)의 사전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상기 권회기(2), 송급기(4), 프레스기(6) 일체를 자동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권회기(2)는, 주행륜(Block)(21)을 개재하여 레일(20) 상면을 따라 좌우로 왕복작동되게 한 대차(台車)(22)와, 그 대차(22)에 착설된 케이싱(23)과, 그 케이싱의 일측에 장착된 유압실린더(C1)에 일단이 연결되어 전,후진 가능하게 케이싱(23)에 축설된 가동축(24)과,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된 가동축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롤상판넬(P)의 권회부(5)와, 상기 가동축의 양단을 지지토록 대차(22)의 일측에 상, 하로 입출이 가능하게 착설된 가동축 지지실린더(C2)와, 상기 권회부(5)에 권회된 롤상판넬(P)을 지지토록 케이싱 후부에 회동가능하게 착설된 지지아암(29)과, 상기 판넬로부터 나오는 종이를 감도록 대차의 전면에 장착된 구동모우터(M2)에 일단이 연결된 회전축(57)과로부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20) 중앙으로는 나선축(30)을 길게 배치하여, 일단을 레일(20) 상면에 고착된 고정브래킷(31)에 베어링(32)을 개재하여 지지하며, 타단은 레일상에 장착된 정ㆍ역 구동모우터(M1)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22) 저면에는 나선축(30)과 나합되는 나사 안내공(33)을 갖는 안내브래킷(34)을 착설하여 대차(22)를 나선축(30)과 연결시킴에 의해 그 정ㆍ역 구동모우터(M1)의 구동시 대차가 나선축(30)을 따라서 왕복동 가능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5)는 가동축(24)에 일체로 고착된 고정롤(40)에 베어링(51)을 개재하여 외감된 이송롤(52)과, 그 이송롤에 방사상으로 되게끔 연결링크(53)로 헐겁게 연결된 "
    Figure kpo00002
    "자상 받침플레이트(55)와로 구성하여, 상기 가동축(24)이 전, 후진시 이송롤(52)도 일체로 작동되어 연결링크의 도복(倒伏)으로 상기 받침플레이트가 수축, 확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축(24)의 지지실린더(C2)의 지지롯드(26) 상단에는 받침편(27)이 착설되며, 그 실린더(C2)는 하단의 힌지(25)구조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전도(顚倒)가능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29)의 일단에는 유압 실린더(C3)를 연결하여 상, 하로 회동가능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급기(4)는, 주행륜(43)을 개재하여 레일(42) 상면을 좌, 우로 왕복동 주행하는 기체(機體)(44)와, 기체에 착설된 전, 후방 안내로울러(45), (46)와, 중간의 송급롤러(47)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42) 중앙위에는 나선축(48)을 길게 배치하여, 일단은 레일에 장착된 정ㆍ역 구동모우터(M3)에 연결하고, 타단은 레일 상면에 고착된 고정브래킷(49)에 베어링(61)을 개재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44)의 저면에는 나선축(48)과 나합되는 나사안내홈(62)을 갖는 안내브래킷(63)을 착설하여 기체(44)를 나선축에 연결시킴에 의해, 정ㆍ역 구동모우터(M3)의 구동시 기체가 나선축을 따라서 왕복동 가능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 후방 안내롤러(45)(46)와, 중간의 판네 송급롤러(47)는 상부의 상방으로 이동 가능케 구성한 가동롤러(45a), (46b) 및 (47a)와 하부의 기체프레임(64)에 완전고정되는 고정롤러(45b), (46b) 및 (47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급롤러(47)의 고정롤러(47b) 축(65') 일단에는 구동모우터(M4)를 연결하고, 상기 고정롤러(47b) 축(65')의 타단과 가동롤러(47a)의 축(65) 타단에는 회전기어(66)(66')를 착설하여, 상호 치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13. 제2항, 제3항, 제7항, 제9항, 제1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가동축 진퇴 작동 실린더(C1) 및 지지실린더(C2), 정ㆍ역 구동모우터(M1)(M3), 구동모우터(M2), (M4)들은 제어부(8)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의 블랭킹 가공 자동화 시스템.
KR1019900006115A 1990-04-30 1990-04-30 판넬의 블랭킹(Blanking)가공 자동화 시스템 KR92000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6115A KR920007493B1 (ko) 1990-04-30 1990-04-30 판넬의 블랭킹(Blanking)가공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6115A KR920007493B1 (ko) 1990-04-30 1990-04-30 판넬의 블랭킹(Blanking)가공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099A KR910018099A (ko) 1991-11-30
KR920007493B1 true KR920007493B1 (ko) 1992-09-04

Family

ID=1929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115A KR920007493B1 (ko) 1990-04-30 1990-04-30 판넬의 블랭킹(Blanking)가공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4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099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3598B1 (en) Modular multipurpose bending machine and its linear positioning system
CN110216424B (zh) 箱体焊接生产线及生产方法
KR101621064B1 (ko) 프로파일의 펀칭 및 노칭 자동가공장치
CN112828176A (zh) 一种可检测板材平整度的双边翻折钣金件加工装置
US5881591A (en) Automatic channel letter bending machine
KR20120118804A (ko) 로터리식 후샤링 패널성형 장치
EP0997260B1 (de) Einrichtung zur Ummantelung von Werkstücken
CN205701958U (zh) 多板形辊式冷轧一体机
KR100629649B1 (ko) 문틀 제조를 위한 판재 성형장치
KR920007493B1 (ko) 판넬의 블랭킹(Blanking)가공 자동화 시스템
CN206408101U (zh) 玻璃板成型系统及使用该系统的双曲面玻璃钢化设备
JPH1177170A (ja) ロールベンダー
CN203621305U (zh) 用于自动在线检测冲压设备的冲压装置
CN107775355A (zh) 一种钢带自动开卷剪切机
CN208810911U (zh) 一种轴承套管自动化生产线
CN214022841U (zh) 冰箱后背板自动化生产设备
CN113043026B (zh) 一种角钢在线切边和矫直设备及使用方法
CN212858517U (zh) 一种自动调直剪切机
CN215392768U (zh) 一种高效型薄金属板处理设备
CN107052812A (zh) 电箱自动折弯切断机
KR100321057B1 (ko) 강판의 라벨부착장치
CN201189541Y (zh) 一种钢筋自动折弯机
CN206747979U (zh) 一种电箱自动折弯切断机
CN109277444B (zh) 一种调平压筋机及其使用方法和风管生产线
CN218611290U (zh) 一种可调式角铁滚压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