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457B1 - 구부러진 배관 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부러진 배관 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457B1
KR920007457B1 KR1019890020650A KR890020650A KR920007457B1 KR 920007457 B1 KR920007457 B1 KR 920007457B1 KR 1019890020650 A KR1019890020650 A KR 1019890020650A KR 890020650 A KR890020650 A KR 890020650A KR 920007457 B1 KR920007457 B1 KR 920007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guide jig
ikeer
manufacturing
ike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211A (ko
Inventor
야수시 사카모토
미츄루 엔도
Original Assignee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우수이 유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우수이 유타로 filed Critical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design data to control NC machines, e.g. CAD/C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025Design and manufacture ji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Adornment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부러진 배관 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제1a도에서 제1g도에 이르는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지그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제2도는 안내지그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부품 2, 3 : 이케에르
4 : 베이스판 5 : 표준부품
본 발명은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구부러지고, 그 단부에서 아이 조인트와 같은 연결단부 부품과 부착되고, 또 차량과 같은 여러기계에서 공기나 기름 등의 유동 통로로서 사용되는 금속배관부재, 특히 상기 구부러진 배관부재의 형상을 결정하거나, 단부부품이나 클램프 등을 구부러진 배관 부재에 용접하는데에 사용되는 안내지그(Jig)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 결정과 용접을 위한 안내지그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파이프 단부 또는 중간점 수용 요소(22)는 직접 또는 포스트(23)를 통하여 지그 베이스(21)에 구부러진 배관부재(P)의 길이 및 형상과 일치하도록 고정되어, 요망되는 굴곡형상을 부여한다. 실제로, 이러한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는 표시선들이 설계 도면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지그베이스(21), 수용요소(22)와 포스트(23) 위에 표기되고, 그 다음에 상기 요소들은 그 표시선에 따라 용접되거나 볼트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배관부재(P)는 3차원의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또 각클램프, 연결단부등의 고정 각도는 각각의 결합부품과 관련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배치설계, 표기, 고정등의 작업에 오랜시간이 소모되며, 따라서 비용이 증가되고, 용접열 등으로 인하여 바람직한 정도의 정확성을 얻기 힘들다.
표기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지그베이스에 수용 요소를 정확하고 또 신뢰할 수 있게 고정할 수 있고, 따라서 제조시간과 비용을 줄려주는 안내지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 즉, 설계 도면을 기초로 하여 배관부재의 중요지점의 X-,Y-,Z-좌표, 만곡반경과 2차 또는 3차원 단부 형상을 컴퓨터에 입력하여 부재형상 데이터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부재형상 데이터를 CAD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서 형성된 배관부재의 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인조인트 또는 클램프 등과 같은 연결부품의 상을 형성시키는 단계, 배관부재와 연결부품의 상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안내지그의 기준면을 결정하는 단계, 이케에르(equerre)들 및 베이스판과 상기 안내지그의 CAD배치 설계를 기초로 하여 이케에르들 및 베이스판을 기계 가공하기 위한 NC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디스켓 유닛 등을 갖춘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 복합공작기계)를 사용하여 베이스판 및 이케에르를 가공하는 단계(성형 및 구멍뚫기 등), 표준부품들을 이케에르에 부착하는 단계, 또 이케에르를 베이스 판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이케에르에 부품 수용 핸드 바이스(hand vice)를 부착시키고 핀들을 배치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안내지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인지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AD시스템을 이용한 배관부재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얻어지는 기준면과 기준위치에 대한 배관부재의 각각의 주요 중간지점과 각각의 연결부분의 위치 및 방향을 보여주는 5축 NC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베이스 판 및 이케에르들은 디스켓 유닛을 구비한 머시닝 센터를 사용하여 기계가공된다(성형 및 구멍뚫기 등등). 표준 부품들은 상기 이케에르에 부착되고, 이케에르는 바람직하게는 노크 핀을 사용하여 정위된 후에 상기 베이스판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고, 부품 수용 헨드 바이스(아이 조인트, 클램프 등을 위한), 단부 정위 핀 등은 이케에르에 부착되고, 그 다음에, 이렇게 조립된 안내지그는 조절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비해서 지그베이스, 포스트 등의 위에 표시선을 그리고, 고정하고, 용접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한다.
제1a도에서 제1g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지그의 제조공정을 나타낸다. 제조자 등에 의해 주어지는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의 배관부재(p)를 나타내는 설계도면을 기초로하여, 배관 부재(P)의 주요지점(파이프 단부, 클램프 부착점, 각각의 구부러진 부분 주위의 두 개의 직선부의 축선들 사이에 있는 교차점과 같은 지점)의 X-,Y-,Z-좌표, 만곡 반경, 단부현상 등을 포함하는 파이프의 형상 데이터가 CAD데이터로서 컴퓨터에 입력되고, 따라서 배관부재(P)의 CAD상 (P')은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된다. CAD시스템과 그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아이 조인트상과 클램프 상과 같은 연결부품(1)의 상은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재의 상(P')의 중심선을 따라 생성되고 또 분포된다.
상기 안내지그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부재의 상(P')은 상기 안내지그의 기준면을 결정하도록 회전된다(제1C1도와 제1C2도 참조). 중간 이케에르(3)와 수용 이케에르(2)(아이조인트, 클램프, 핀 등을 지지하기 위한)의 상은 제1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재상(P')의 주요 중간지점과 단부에 분포되고, 또 베이스판(4)의 상은 제1e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케에르(2 및 3)의 상에 관련하여 배열된다. 상기 안내지그의 크기가 큰 경우에, 상기 베이스 판상은 몇 개로 분할될 수 있다. 안내지그의 CAD상이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후에 머시닝 센터를 사용하여 실제 이케이르(2와 3)와 실제 베이스(4)를 기계가공 하는 데에 사용되는 NC데이터는 플로피 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에 기록되고 또한 저장된다.
그 다음에, 상기 플로피 디스크 등에 저장된 NC 데이터는 그 디스켓 유닛을 통해 머시닝 센터에 입력되고 실제 이케에르(2와 3)과 실제 베이스판(4)등은 상기 머시닝 센터를 이용하여 기계 가공되고; 아이 조인트 리시버 및 핀 리시버 등과 같은 표준부품(5)은 제1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케에르(2와 3)에 부착되고; 상기 이케에르(2와 3)은, 바람직하게는 노크 핀을 사용하여 정위된 후, 제1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4)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유사하게, 상기 배관부재(P)를 위한 각각의 수용 요소는 요망되는 방향을 가진 각각의 선택된 이케이르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과 이케에르는 CAD시스템을 사용하여 배관부재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미리 얻어진 NC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기계가공되고, 상기 이케에르는 상기 노크 핀을 구동하여 정확하게 위치되고, 볼트를 조임으로서 상기 베이스 판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표준부품들은 노크 핀, 볼트 등을 사용하여 상기 이케에르에 부착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비하여, 베이스판과 이케에르 위에 표시선을 그리고 상기 부품들을 구분선에 따라 용접 등에 의해 부착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조시간과 공정은 획기적으로 감소되고, 제조원가도 감소되고, 또한 2차원과 3차원적으로 구부러진 배관부재용 안내지그는 매우 정확하고 믿을 만하게 제조될 수 있다.

Claims (7)

  1. 구부러진 배관부재에 대해 연결부품들을 정위시키기 위한 안내지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컴퓨터, CAD 시스템 및 NC 머시닝 센터를 이용하며, 설계도면을 기초로하여 배관부재(P)의 중요지점의 X-, Y-, Z- 좌표, 만곡반경 및 단부 형상을 컴퓨터에 입력하여 배관부재 형상 데이터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부재 형상 데이터를 CAD 시스템에 입력하여 배관부재의 상(P')을 형성시키는 단계, 배관부재의 연결부품(1)의 상을 회전시킴에 의해 안내지그의 기준면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기준면내의 연결부품들 및 배관부재의 안내지그를 위한 여러개의 이케에르(2,3)들의 상들을 CAD시스템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단계, 안내지그의 이케에르들을 지지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의 베이스판(4)의 상을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케에르 및 베이스판과 상기 안내지그의 CAD 배치설계를 기초로 하여 이케에르(2,3)와 베이스판(4)를 기계가공하기 위한 NC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표준부품(5)들을 상기 이케에르에 부착하기 위한 가공수단과 상기 이케에르를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다늘 포함하는 머시닝센터에 NC데이터를 입력시킴으로서 상기 베이스판 이케에르를 기계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판에 상기 이케에르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사용하여 가공된 이케에르를 가공된 베이스판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러진 배관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품(1)들은 아이 조인트와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러진 배관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C데이터를 플로피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러진 배관 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부품(5)들은 아이 조인트 리시버와 핀 리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러진 배관 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표준부품들이 부착된 상이 이케에르(2,3)들은 노크핀 들을 사용하여 베이스 판위에 임시로 정위된 후에 볼트를 사용하여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러진 배관 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품(1)들은 아니 조인트와 클램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러진 배관 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부품(5)들은 아이 조인트 리시버와 핀 리시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러진 배관 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KR1019890020650A 1988-12-30 1989-12-30 구부러진 배관 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KR920007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32182A JP2741226B2 (ja) 1988-12-30 1988-12-30 曲げ加工された配管部材の合せ治具の製作法
JP88-332182 1988-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211A KR900009211A (ko) 1990-07-02
KR920007457B1 true KR920007457B1 (ko) 1992-09-03

Family

ID=1825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650A KR920007457B1 (ko) 1988-12-30 1989-12-30 구부러진 배관 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81589A (ko)
JP (1) JP2741226B2 (ko)
KR (1) KR920007457B1 (ko)
DE (1) DE4000019C2 (ko)
GB (1) GB22273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2506A2 (de) 1995-05-12 1996-11-13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Verfahren zur rechnerunterstützten Herstellung von Flächenkörpern
US6088625A (en) * 1996-08-23 2000-07-11 Kellstrom, Jr.; Gary E. System for transferring assembly data and method therefor
JP4600900B2 (ja) * 1999-10-15 2010-12-22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金属管の曲げ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669682B2 (en) * 2007-01-17 2010-03-02 Polaris Industries Inc. Rear suspension for a two wheeled vehicle
CN103192216B (zh) * 2013-04-10 2014-12-24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骑式摩托车尾管总成加工夹具及其加工方法
CN103192220B (zh) * 2013-04-22 2015-01-14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后体中主管组合焊接工装
CN104874954A (zh) * 2015-05-18 2015-09-02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一种横跨梁托组装定位装置
DE102016116159B4 (de) * 2016-08-30 2018-08-09 Dengler Tube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strangförmigen Werkstücken
JP6533200B2 (ja) 2016-09-20 2019-06-19 平田機工株式会社 部品支持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09807526B (zh) * 2019-02-12 2021-08-13 广西艾盛创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二次开发的柔性化焊接夹具快速设计方法
CN109773398A (zh) * 2019-02-28 2019-05-21 广东南海昌和模具有限公司 用于异形弯管焊接的夹持装置
CN110116382A (zh) * 2019-05-08 2019-08-13 上海航天设备制造总厂有限公司 一种管路组件空间位置装配定位装置
CN113351704B (zh) * 2021-04-21 2022-09-16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弯管机器人轨迹控制及成形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29708A (en) * 1969-12-31 1973-09-12 Secr Defence Making pipes from master pipes
JPS57211604A (en) * 1981-06-22 1982-12-25 Fanuc Ltd Numerical controlling method
JPS60191365A (ja) * 1984-03-13 1985-09-28 Okuma Mach Works Ltd 自動プログラミング機能における形状入力方式
JPS6162106A (ja) * 1984-09-03 1986-03-31 Fanuc Ltd Ncデ−タ作成方法
US4675825A (en) * 1984-10-30 1987-06-23 Dementhon Daniel F Computer-controlled peripheral shaping system
US4697240A (en) * 1985-05-28 1987-09-29 Modern Engineering Service Company Method for making models using simultaneous construction and CAD/CAM techniques
JPH0756678B2 (ja) * 1985-11-01 1995-06-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対話形形状モデリングシステム
US4937768A (en) * 1987-04-14 1990-06-26 Northrop Corporation Integrated assembly system
US4945488A (en) * 1987-04-14 1990-07-31 Northrop Corporation Integrated aircraft manufactu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80542A (ja) 1990-07-13
DE4000019A1 (de) 1990-07-05
KR900009211A (ko) 1990-07-02
JP2741226B2 (ja) 1998-04-15
US5081589A (en) 1992-01-14
GB8929349D0 (en) 1990-02-28
GB2227337B (en) 1993-07-14
GB2227337A (en) 1990-07-25
DE4000019C2 (de) 1994-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457B1 (ko) 구부러진 배관 부재용 안내지그의 제조방법
EP1230124B1 (en) Aircraft assembly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A1178047A (en) Pipe fitter's combination instrument
US5181809A (en) Benchmark device for a plane face, and a machining system implementing it
CN112935727B (zh) 一种分体式下环加工方法
US5017056A (en) Positioner for accurately drilling a hole in a tool ball pad
US20020166220A1 (en) Process for repairing a structure
US6470586B2 (en) Pipe fitters lay out tool
US5278953A (en) Machine tool fixture computer aided setup
US6661930B1 (en) Method for nesting a computer model of a part with a computer model of a fixture
US4419828A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the junction contour for intersecting pipes
US4536962A (en) Datum point location apparatus
Wu et al. Automated generation of dedicated fixture design
JPH04256550A (ja) 切削工具刃先検出装置
JP3171509B2 (ja) ロボットへの教示方法
JP3486830B2 (ja) ワーク仕上げ加工装置
JPH11183171A (ja) 曲げ管の切断位置設定方法
JP2712540B2 (ja) ロボットの教示方法
JP2002036003A (ja) 開先加工装置
CN213676879U (zh) 一种转向系统高精度壳体
JP2813908B2 (ja) 治具の製作方法
JP2002243424A (ja) 配管寸法測定システム
US4961266A (en) Auto body repair gauge assembly
JPH04135186A (ja) 産業用走行ロボットの基準位置決め方法と装置
Patil et al. Cycle Time Reduct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by Designing a Milling Fixture: A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