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131B1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131B1
KR920007131B1 KR1019890013462A KR890013462A KR920007131B1 KR 920007131 B1 KR920007131 B1 KR 920007131B1 KR 1019890013462 A KR1019890013462 A KR 1019890013462A KR 890013462 A KR890013462 A KR 890013462A KR 920007131 B1 KR920007131 B1 KR 92000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electrode unit
insulating lay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544A (ko
Inventor
가쯔요시 다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Publication of KR90000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9Optical or photographic arrangements structurally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the vessel
    • H01J29/896Anti-reflection means, e.g. eliminating glare due to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8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8Coatings
    • H01J2229/882Coating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resistive or conductive propertie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의 일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반사방지층의 2가지 형태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음극선관의 동작을 설명하는 등가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음극선관의 전극유니트에 나타난 전압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도시한 그래프.
제5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음극선관이 동작하기 시작할때 각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도시한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14인치 음극선관을 도시한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의 일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절연층 2 : 투명도전막(ITO 막)
3 : 반사방지층 4 : 전극유니트
5 : 보강밴드 6 : 도전성접착테이프
7 : 패널부 8 : 접착제(수지)층
9 : 퍼넬부 10 : 외장흑연
11 : 보호테이프 20 : 투명도전막
21 : 투명절연층, V0: 전원전압
R0: 전원의 내부 저항 C1, C2, C3: 콘덴서
R1: 저항 R2: 누설저항
S : 스위치
본 발명은, 예를들면 텔레비젼수상기의 수상관, 컴퓨우터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오실로스코우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되는 음극선관의 표시전부(表示前部)의 외표면에서 일어나는 바람직스럽지 않은 대전의 억제에 관한 것이다.
전자비임으로 글라스벌브(glass bulb)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면(금속배막)을 주사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형광면을 고압의 양극전위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글라스벌브의 패널부의 외표면이 대전되고 고전위로되어 사용자 또는 관찰자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주거나 음극선관 근처에 있는 전자기기의 오동작을 야기시키는 방전등과 같은 여러가지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종래부터 여러가지 대책이 제안되었다.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62-131356호(1987년 8월 19일공개) 및 실개소 63-19755호(1988년 2월 9일 공개)에는 음극선관 패널부의 외표면에 전면 유리층이 형성된 형태의 음극선과이 기재되어 있다. 이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패널부에 대향하는 전면유리층 또는 패널부의 외표면에 투명도전막을 형성하고 접지시켜서 음극선관의 표시전부의 외표면이 고전위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들면 반사방지막으로써 작동하는 투명한 도전성절연층이 패널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절연층의 외표면에 대전으로 인한 고전압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는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측면에 의하면, 투명한 도전막이 음극선관의 글라스벌브의 외표면에 대하여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에 대하여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다"라는 내용은 도전막이 패널부의 외표면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투명한 도전성절연층(예를들면 유리층)을 개재하여 패널부의 외표면 상부에 형성되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반사방지층으로써 작용하는 투명한 도전성절연층이 도전막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 도전막상에 형성된 도전성절연층상에는 전극유니트가 형성된다. 이 전극유니트는 관찰자의 화상관찰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고, 음극선관의 양극전압용 공통전위선에 접속된다. 이렇게하여, 전극유니트, 도전막 그리고 이들 사이의 절연층의 결합은 콘덴서를 형성한다. 양극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쪽에서보면, 이 콘덴서는 도전막과, 그 밑에 있은 패널부를 포함한 절연층과, 양극(금속배층)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다른 콘덴서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의 콘덴서용량을 후자의 콘덴서 용량보다 충분히 크게하면, 패널부의 외표면 또는 음극선관의 표시전부에 나타나는 바람직스럽지 않은 대전을 억제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반사방지층이 형성된 음극선관의 패널부와 그 주변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1도에서, 투명절연층(예를들면 유리층)(1)이 음극선관의 글라스벌브의 패널부(7)의 외표면에 접착제(수지)층(8)에 의해 접착되어 있고, 투명도전막(예를들면, ITO 막, 즉 산화인듐-산화주석막)(2)이 도전막(1)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반사방지층(3)이 도전막(2)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 사용자 또는 관찰자의 화상의 관찰을 방해하지 않는 반사방지층(3)상의 위치에 전극유니트(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밴드(5)가 패널부(7)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고, 도전성접착테이프(6)로 전극유니트(4)를 접지선등의 공통전위선과 접속시킨다. 보강밴드(5)는 보통 도전성이 있고 접지선등의 공통전위선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성 접착테이프(6)는 전극유니트(4)와 보강밴드(5)에 모두 접착되도록 형성되어 그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9)는 글라스벌브의 퍼넬(funnel)부이고, (10)은 퍼넬부(9)의 외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외장흑연이다. 도시한 배열에 있어서는, 보강밴드(5)와 외장흑연(10)이 모두 접지되어 있다. 음극선관이 동작하는 동안, 양극전압과 대체로 같은 전압이 패널부(7)의 내표면상에 형성된 형광면(도시하지 않음)내의 금속배층에 인가된다. 수지층(8)과 투명한 절연층(1)은 본 발명의 음극선관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제3도에는 제1도에 도시한 음극선관의 주요부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제3도에서, (V0)는 양극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전압이고, (R0)는 전원의 내부 저항이다. 그리고, (C1)은 ITO 막(산화인듐-산화주석막)과 양극사이에 형성된 콘덴서이고, (R0)은 ITO 막(2)의 저항이며 이 저항(R1)은 콘덴서(C1)와 직결로 접속되어 전류(i2)가 이 직렬로 접속된 큰덴서(C1)와 저항(R1)을 통해 흐른다.
(C2)는 ITO 막(2)과 전극유니트(4)사이에 형성된 콘덴서이고, 전압(V0)을 갖는 전원측에서 볼때, 이 콘덴서(C2)는 콘덴서(C1)와 전기적으로 직렬접속되어있다. (R2)는 ITO 막(2)과 전극유니트(4)사이의 누설저항이고, 이 누설저항(R2)은 콘덴서 (C2)와 전기적으로 병렬접속되어 있다. (C3)는 외장흑연(10)의 콘덴서이고, 이 콘덴서(C3)는 고압정류회로의 일부를 이룬다.
ITO 막(2)과 전극유니트(4)에 의해 형성된 콘덴서(C2)에 인가된 전압(V2)는 사용자 또는 관찰자에제 전기적 충격을 주는 전압에 해당한다. 이 전압(V2)가 과다하게 높으면, ITO 막(2)과 전극유니트(4)사이의 반사방지층(3)에 절연파괴가 일어나는 동시에 ITO 막도 파괴된다. 제3도의 등가회로에서, 콘덴서(C2)와 저항(R2)이외의 요소는 음극선관과 음극선관이 사용되는 텔레비젼세트 양쪽 모두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콘덴서(C2)와 저항(R2)의 값 모두를 알맞게 선정하여 전압(V2)의 피크치를 가능한 낮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3도에서 스위치(S)를 닫을때(즉, 음극선관이 작동을 시작할때) 일어나는 과도현상을 다음과 같이 V2에 대해서 풀면,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시간 t=0에서의 초기조건은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상기 식을 매개변수인 (C2)와 (R2)의 값을 변화시켜 가면서 풀었다.
제4도는 전압(V2)(음극선관의 표시전부의 외표면에 나타나는 전압)이 시간에 대해서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나타낸다. 저항(R2)은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ITO 막(2)과 전극유니트(4)사이의 누설저항이다. 그러므로, 이 누설저항(R2)은 비교적 적지는 않고, 일반적으로 2×1010Ω 정도이다. 비교하기 위하여, 이 저항 (R2)의 최소치는 200Ω으로 설정되고, 다른 상수는 14인치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제4도에서, 곡선(I)은 전극유니트(4)가 제거되고 도전성접착테이프(6)가 직접반사방지층(3)상태 접착 된 경우이다. 반면에, 곡선(Ⅱ) 및 (Ⅲ)은 전극유니트(4)가 흑연으로 형성되고, 도전성접착테이프(6)를 전극유니트(4)에 부착한 경우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덴서(C2)는 특히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전압(V2)의 피크치는 거의 콘덴서(C2)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저항(R2)은 충전된 콘덴서(C2)가 서서히 방전하여 전압(V2)이 0으로 될때까지 경과한 시간을 규정한다. 콘덴서(C2)가 충분히 크면 전위(V2)는 충분히 낮아지기 때문에 저항(R2)이 무한대(∞)로 되어도 실용상 아무런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V2)의 값은 전원전압(V0)을 콘덴서(C1) 및 (C2)의 직렬접속에 의해 분압할 때의 값과 동일하다. 즉, (V2)의 값은
Figure kpo00006
로 주어지고, 콘덴서(C1)와 비교하여 콘덴서(C2)의 값이 커지면 (V2)의 값은 그만큼 더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V2의 값은 반사방지층(3)와 절연파괴전압보다 더 작아질 필요가 있다. 예를들면, 반사방지층(3)의 두께가 3000Å인 경우, 반사방지층(3)의 절연파괴개시전압은 약 120V이다.
그러므로, 콘덴서(C2)의 값은 V2의 값이 상기 절연파괴 개시전압의 레벨을 초과하지 않도록 콘덴서(C2)의 값을 증가시킨다. 즉, 반사방지층(3)에 접촉되는 전극유니트(4)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또, 누설저항(R2)이 충분히 적으면, V2의 피크치를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강하시킬 수 있다.
반사방지층(3)의 파괴개시전압은 직류전압이 인가될때는 상술한 바와같이 120V의 값이다. 한편, 파괴개시유효전압을 빠르게 변화하는 대전방지전류에 대하여 상승한다. 예를들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조건하에서 절연파괴개시유효전압을 120V 값의 수십배정도까지 상승하여 약 1200V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 커패시터(C1) 및 (C2)사이의 비율은 적어도 1 : 20 정도로 설정된다.
제5도는 스위치(S)를 닫을때 음극선관의 표시전부의 외표면의 대전을 일으키는 전류(i1)가 어떻게 변화 하는가를 도시하고 있다. 제5도에서 흑연을 전극유니트(4)로 사용한 전형적인 예에서 (C2)와 (R2)의 값은 C2=0.1㎌ 및 R2=20KΩ으로 선정된다. 제5도로부터, 전류(i2)의 대부분이 콘덴서(C2)를 통해 흐르고, 저항(R2)은 콘덴서(C2)에 충전된 후 그것을 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원전압(V0)의 전원에서 볼때 전극유니트(4)와 ITO 막(2)사이의 콘덴서(C2)와 이들사이의 누설저항(R2)으로 구성되는 병렬회로가 콘덴서(C1)와 직렬로 접속되면, 음극선관의 외표면의 대전의 원인이 되는 전하의 방전로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콘덴서(C2)는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2a도는 반사방지층 구조의 한형태를 도시한다. 제2a도의 형태에 있어서는,두께와 굴절률이 서로 다른 4개의 층(31)∼(34)이 적층되어 있다. 각층의 주성분 및 두께는 다음의 예와 같다.
Figure kpo00007
제2b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반사방지층(3)의 구조의 한형태이다. 제2b도에 도시한 층 (3)은 상기 3개의 층(32), (33), (34)을 적층하여 형성하고, 이들 층(32), (33), (34)의 두께는 제2a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과 같다.
ITO 막(2)의 두께는 층(34)의 두께와 같게하여도 된다. ITO 막(2)은 반사방지층(3)과 함께 광반사방지의 작용을 한다.
ITO 막(2)과 함께 콘덴서(C2)을 형성하는 전극유니트(4)의 재료로써는, 반사방지층(3)과 밀착할 만큼 충분한 친화성 또는 습윤성을 가지고, 필요한 용량을 주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예를들면, 재료로써는 흑연페이스트(Paste)(예를들면, 1㎛ 이하의 입자직경을 갖는 흑연입자를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실리콘수지, 아크릴겐수지등에 분산시킨 것), 은페이스트(예를들면, 5 또는 6㎛의 입자직경을 갖는 은입자를 유기수지에 분산시킨 것), 알루미늄 페이스트(예를들면, 5 또는 6㎛의 입자크기를 갖는 알루미늄입자를 유기수지에 분산시킨것)등과 같은 것중 어느것이어도 좋다. 이들 도전성 페이스트에 함유되는 도전성물질을 입자일 필요는 없고 미세한 섬유이어도 된다. 상기 페이스트중 입자직경이 다른것보다 더 작은 혹연입자가 함유된 흑연페이스트를 사용하는 것은 흑연입작가 반사방지층(3)의 핀호울로 스며들어 ITO 막(2)과 도통하고, 이에 의해 콘덴서(C2)와 병렬접속되는 누설저항(R2)을 형성하여 콘덴서(C2)에 축적되는 전하를 성공적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누설저항을 형성하기 위한 흑연입자와 ITO 막(2)사이의 전기접촉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은 콘덴서(C2)의 용량값이 콘덴서(C1)에 비해 충분히 커야한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콘덴서(C2)의 용량값은 콘덴서(C1)의 20배 이상이어도 된다. 전극유니트(4)를 투명절연층(1), ITO 막(2) 및 반사방지층(3)을 일체화하여 형성한 조립체상에 형성하고, 전극유니트(4)가 형성된 이 조립체를 음극선관의 글라스벌브의 패널부(7)에 형성하여도 좋지만, 투명절연층(1), ITO 막(2) 및 반사방지층(3)으로된 조립체를 음극선관의 패널부(7)에 수지(8)로 접착하는 가열공정에서 상기 전극유니트 (4)를 동시에 형성하여도 된다. 그러나, 조립체를 음극선관의 패널부(7)에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지(8)는 보통 열경화전에는 점도가 낮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전극유니트(4)를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 수지(8)가 전극유니트(4)를 형성하는 도전페이스트와 혼합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조립체가 패널부(7)에 고착되기 전에, 전극유니트(4)를 도전페이스트를 도포, 건조,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방지층(3)에 형성된 전극유니트(4)는 이 전극유니트(4)를 공통전위선에 접속된 보강밴드(5)에 접속시키므로서 공통전위선(접지됨)과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극유니트(4)를 보강밴드(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는 도전성 접착테이프(6)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접착테이프(6)는 도전성접착제가 도포된 동박형태의 테이프, 도전성접착제가 도포된 알루미늄박 형태의 테이프, 가열되면 접착성을 나타내는 도전성테이프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또,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프(6)를 보호하기 위해 도전성접착테이프(6)를 덮는 보호테이프(11)를 접착하여도 된다. 예를들면, 3M사 제품의 도전성 절연접착테이프 No 10을 이 보호테이프로써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대체로 투명절연층(예를들면, 유리층)(1)이 형성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선관에도 똑같이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14인치 음극선관의 정면도이다. 제6도에 도시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전극 유니트(4)는 패널부 외표면의 짧은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2개의 전극을 가진다. 그러나, 전극유니트(4)는 긴쪽의 가장자리, 4모서리 또는 모든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전극을 가질 수 있다.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흑연을 사용할 경우에, 그 두께는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또 외형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적절하게 선정 한다. 이러한 흑연전극의 형성시에는, 막두께와 막표면을 모두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외형에 따라서 프린트법에 의해 흑연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의 패널부와 그 인접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1도의 변형예인 제7도에 의하면, 거치른 표면을 가지는 투명한 도전막(20)이 형성되어 음극선관의 패럴부 (7)의 외표면 전체를 덮고 있다. 예를들면, 이 투명한 도전막(20)은 패널부(7)의 외표면에 89.99wt%의 에틸알코올, 0.01wt%의 염산, 7.5wt%의 순수한 물등이 혼합되고, 50Å∼100Å의 입자직경을 갖는 1.52wt%의 SnO2와 0.08wt%의 Sb2O3의 미세한 입자가 분산되어 함유된 용액을 스프레이하여 형성한다. 도전막(20)은 1000Å∼5000Å의 두께를 가지며, 그 시이트저항은 109Ω? 이하이고, 전형적으로는 약 106∼109Ω/?이다. 도전막(20)위에는 거치른 표면을 가진 투명한 절연층(21)이 형성된다. 예를들면, 이 절연층(21)은 도전막(20)에 7.51wt%의 에틸규산염, 74.07wt%의 에틸알코올, 0.89wt%의 질산, 8.43wt%의 이소프로필알코올, 1.39wt%의 메틸에틸케톤(CH3CH2C0CH3), 순수한물등의 혼합물 용액을 스프레이하여 형성한다. 이 절연층(21)은 1000Å∼5000Å의 두께를 가지며, 그 시이트저항은 1010Ω/? 이상이고, 전형적으로는 약 1010∼1014Ω/?이다. 도전막(20) 및 절연충(21)을 각각 형성하는 용액을 스프레이한다음에, 도포된 용액을 약 60분간 약 160℃가 될때까지 가열하면, 용매가 기화하고, 그 결과 도전막(20)은 SnO2또는 Sb203와 SiO2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반면에 절연층(21)은 SiO2만으로 구성된다.
제1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전극유니트(4), 도전성접착테이프(6)(그리고, 필요에 따라 보호테이프(11)가 절연층(21)상에 형성되므로, 전극유니트(4) 및 도전성접착테이프(6)(그리고 보호테이프(11))의 구성 및 재료는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동일하다.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거치른 표면을 갖는 도전막(20)과 또한 거치른 표면을 갖는 절연층(21)이 결합해서 빛의 반사방지기능을 수행하지만, 도전막(20)의 표면은 반드시 거칠어야 될 필요는 없다.

Claims (23)

  1. 작동중 고전압이 인가되는 양극을 구비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패널부(7)를 가지는 글라스벌브와, 상기 패널부의 외표면에 대해 고정된 투명도전막(2)가, 상기 도전막상에 형성된 투명절연층(3)과,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되어 상기 고전압의 공통전위선에 접속된 전극유니트(4)로 구성되고, 음극선관의 표시전부의 외표면에 나타나는 전압(V2)이 콘덴서(C2)의 절연파괴전압보다 낮도록, 상기 전극유니트,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막이 콘덴서(C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니트(4), 상기 절연층(3) 및 상기 도전막(2)은 상기 콘덴서(C2)에 병렬로 접속된 저항(R2)을 부가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니트(4)는 상기 큰덴서(C2)의 용량을 가능한 최대가 되도록 접촉면적을 최대로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층(3)에 대해 친화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선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니트의 재료는 도전성 입자 또는 미세한 섬유를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는 흑연입자를 분산시킨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실리콘수지 또는 아클릴수지로 이루어지므로서, 상기 입자가 핀호울을 통해 상기 절연층에 침투하여 상기 저항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니트의 재료는 유기수지와 은입자 또는 알루미늄입자가 분산하여, 함유된 도전성페이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니트와 상기 고전압의 공통전위선을 접속시키는 수단(5)을 부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니트접속수단(6)은 도전성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니트(4)는 도전성 페이스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니트 접속수단(6)을 덮는 보호테이프(11)를 부가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3) 및 상기 도전막(2)은 반사방지층으로써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진 다수의 투명막의 적층체(31)∼(3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거치른 표면을 가지는 투명한 절연층(2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도전막(20)이 거치른 표면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7)와 상기 투명한 도전막(2)사이에 다른 투명한 절연층(1)이 부가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의 전원에서 볼때, 상기 투명한 도전막(2)과 상기 양극사이에 형성된 콘덴서(C1)는 상기 전극유니트,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막으로 형성된 콘덴서(C2)와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니트,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막으로 형성된 상기 콘덴서(C2)의 용량은 상기 투명한 도전막(2)과 상기 양극사이에 형성된 콘덴서(C1)의 용량에 적어도 2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의 스커어트 주변에 설치된 보강밴드(5)를 부가하여 구성하고, 상기 전극유니트는 이 보강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9. 작동중 고전압이 인가되는 양극을 구비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패널부(7)를 가지는 글라스벌브와, 상기 패널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제1의 투명한 절연층(1)과,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된 투명한 도전막(2)과, 상기 도전막상에 형성된 제2의 절연층(3)과, 상기 제 2절연층상에 형성된 전극유니트(4)와, 상기 패널부의 스커어트주변에 형성된 보강밴드(5)와, 상기 전극유니트와 상기 보강밴드상에 접착되고 상기 고전압의 공통 전위선과 접속된 도전성접착테이프(6)로 구성되고, 음극선관의 표시전부의 외표면에 나타나는 전압(V2)이 콘덴서(C2)의 절연파괴전압보다 낮도록, 상기 전극유니트, 상기 제2의 절연층 및 상기 도전막이 콘덴서(C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0. 작동중 고전압이 인가되는 양극을 구비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패널부(7)를 가지는 글라스벌브와, 상기 패널부의 표면에 형성된 투명한 도전막(20)과, 상기 도전막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반사방지를 위해 거치른 표면을 가지는 투명한 절연층(21)과, 상기 반사방지층에 형성된 전극유니트(4)와, 상기 패널부의 스커어 트주변에 형성된 보강밴드(5)와, 상기 전극유니트와 상기 보강밴드상에 접착되고, 고전압의 공통전위선과 직렬로 접속된 도전성 접착테이프(6)로 구성되고, 음극선관의 표시전부의 외표면에 나타나는 전압(V2)이 콘덴서의 절연파괴전압보다 낮도록, 상기 반사방지층과 상기 도전막이 큰덴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접착테이프(6)를 덮는 보호테이프를 부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의 시이트저항은 109Ω/square 이하이고, 상기 절연층의 시이트저항은 1010Ω/square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접착테이프(6)를 덮는 보호테이프를 부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19890013462A 1988-09-19 1989-09-19 음극선관 KR920007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32301A JP2804049B2 (ja) 1988-09-19 1988-09-19 陰極線管
JP63-232301 198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544A KR900005544A (ko) 1990-04-14
KR920007131B1 true KR920007131B1 (ko) 1992-08-27

Family

ID=1693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462A KR920007131B1 (ko) 1988-09-19 1989-09-19 음극선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25490A (ko)
JP (1) JP2804049B2 (ko)
KR (1) KR920007131B1 (ko)
CN (1) CN102304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6340A (ja) * 1990-03-16 1991-11-27 Hitachi Ltd Crtデイスプレイ装置
US5176280A (en) * 1991-04-04 1993-01-05 Robbins Edward S Iii Basket and frame assembly for supporting a thin walled container
FR2663486B1 (fr) * 1990-06-15 1997-01-2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Dispositif de visualisation ou de projection d'images ou analogues.
GB2255441B (en) * 1991-04-18 1995-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Cathode-ray tube having alternating electric field reduction device
US5660876A (en) * 1991-06-07 1997-08-26 Sony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cathode ray tube with a nonglare multi-layered film
JP3219450B2 (ja) * 1992-01-24 2001-10-15 旭硝子株式会社 導電膜の製造方法、低反射導電膜とその製造方法
JPH05225932A (ja) * 1992-02-17 1993-09-03 Sony Corp 透過型扁平陰極線管
JP3223261B2 (ja) * 1992-06-04 2001-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198729A (en) * 1992-07-02 1993-03-30 Display Technologies, Inc. CRT monitor with elimination of unwanted time variable electric field
JP3180461B2 (ja) * 1992-09-09 2001-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陰極線管装置
JP2847003B2 (ja) * 1992-10-20 1999-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機能性フィルム付陰極線管
US5757117A (en) * 1995-08-29 1998-05-26 Hitachi, Ltd. Cathode ray tube with conductive silicon adhesive
CN1153253C (zh) 1997-03-21 2004-06-09 佳能株式会社 图象形成装置
US6211628B1 (en) 1997-08-02 2001-04-03 Corning Incorporate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n electron beam in a cathode ray tube and method thereof
JP3397680B2 (ja) * 1998-03-23 2003-04-21 株式会社東芝 導電性反射防止膜の製造方法と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2000243320A (ja) 1999-02-24 2000-09-08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陰極線管
KR100274883B1 (ko) * 1999-03-19 2000-12-15 김순택 음극선관
KR100346547B1 (ko) * 1999-11-26 2002-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상 표시장치
KR100348702B1 (ko) * 1999-12-28 2002-08-13 주식회사 루밴틱스 급속 열처리 방법에 의한 도전성 투명 박막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전성 투명 박막
US6566803B2 (en) 2001-01-05 2003-05-20 Samsung Sdi Co., Ltd. Cathode ray tube whose panel provides increased protection from electric shock and reduc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US6856080B2 (en) * 2001-08-28 2005-02-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Carbonized resin coated anode
KR20030027215A (ko) * 2001-09-14 2003-04-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764580B2 (en) * 2001-11-15 2004-07-20 Chungwa Picture Tubes, Ltd. Application of multi-layer antistatic/antireflective coating to video display screen by sputtering
US6656331B2 (en) 2002-04-30 2003-12-02 Chunghwa Picture Tubes, Ltd. Application of antistatic/antireflective coating to a video display screen
US6590352B1 (en) 2002-04-30 2003-07-08 Chunghwa Picture Tubes, Ltd. Electrical grounding of CRT antistatic/antireflective coating
JP2011129487A (ja) * 2009-12-21 2011-06-30 Canon Inc 表示装置
KR102221907B1 (ko) * 2013-07-11 2021-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필름 어셈블리,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6491A (en) * 1974-08-26 1976-12-07 Gte Sylvania Incorporated External connective means for a cathode ray tube
JPS5521264Y2 (ko) * 1974-12-17 1980-05-22
JPS62131356A (ja) * 1985-12-03 1987-06-13 Nec Corp マイクロプロセツサシステムの周辺制御回路
JPS6319755A (ja) * 1986-07-11 1988-01-27 Nec Corp シ−ル形据置蓄電池の床下設置方式
DE3629996A1 (de) * 1986-09-03 1988-03-17 Flachglas Ag Vorsatzaggregat fuer die kathodenstrahlroehre von monitoren, fernsehapparaten und derglei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47C (zh) 1993-12-08
KR900005544A (ko) 1990-04-14
JPH0282434A (ja) 1990-03-23
US5025490A (en) 1991-06-18
JP2804049B2 (ja) 1998-09-24
CN1041479A (zh) 1990-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131B1 (ko) 음극선관
US6797876B2 (en) Image display device
US6255778B1 (en) Plasma display panel hav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attached to front surface of display
JPH1128236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ー
KR970007528B1 (ko) 음극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1297722A (ja) 表示装置
US5757117A (en) Cathode ray tube with conductive silicon adhesive
JP2848388B2 (ja) 陰極線管
JP2848389B2 (ja) 陰極線管
KR100274883B1 (ko) 음극선관
US6628064B1 (en) Cathode-ray tube
NL1012493C2 (nl) Geleidend kleefband en kathodestraalbuis die dat benut,
EP0568702A1 (en) Cathode-ray tube
KR100354823B1 (ko) 투명 절연층을 이용한 후막형 전계 발광 소자
KR100303791B1 (ko) 후막형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1053B1 (ko) 대전 방지 및 전자파 차폐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JP2607543B2 (ja) 帯電防止プレートガラスを有する陰極線管
JP2000182544A (ja) 陰極線管
JP2002006106A (ja) プラズマデイスプレイパネル用フイルタおよびプラズマデイ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
JP2002064764A (ja) 表示装置
US6566803B2 (en) Cathode ray tube whose panel provides increased protection from electric shock and reduc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JPH0679469B2 (ja) 近接型イメージインテンシファイア
GB2081965A (en) Image intensifier tubes
JPH02211493A (ja) デイスプレイ用電磁波シールド材
JPH10241607A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