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821B1 -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821B1
KR920006821B1 KR1019850001859A KR850001859A KR920006821B1 KR 920006821 B1 KR920006821 B1 KR 920006821B1 KR 1019850001859 A KR1019850001859 A KR 1019850001859A KR 850001859 A KR850001859 A KR 850001859A KR 920006821 B1 KR920006821 B1 KR 920006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pressing plate
document
lif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525A (ko
Inventor
요시히로 오오쓰까
Original Assignee
가또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또오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05391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967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420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2013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또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또오 히데오 filed Critical 가또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7/00Apparatus for directly duplicating from hectographic originals, i.e. for obtaining copies in mirror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07Holders for the original in copying cameras
    • G03B27/6221Transparent copy platens
    • G03B27/6228Platen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02Exposure apparatus for contact pri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2도는 다른 종래기술을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또다른 종래기술을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6도는 입체적인 원고의 경우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동(同)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7도는 원고 압착판을 연 상태에서의 동 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8도는 다른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9도는 동 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10도는 입체적인 원고의 경우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동 장치의 일부단면 측면도.
제11도는 또다른 실시태양을 도시하는 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12도는 리프트부재만을 들어올려서 본 동 장치의 평면도.
제13도는 원고 압착판을 열어서 본 동 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14도는 입체적인 원고의 경우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동 장치의 일부단면 측면도.
제15도는 걸림부재의 사시도.
제16도는 또다른 실시태양을 도시하는 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17도는 동 장치의 평면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A-A선 단면도.
제19도는 원고압착판을 열어서 본 동 장치의 측단면도.
제20도는 입체적인 원고의 경우의 사용예를 표시하는 동 장치의 일부단면 측면도.
제21도는 또다른 실시태양을 표시하는 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22도는 동 장치의 측단면도.
제23도는 원고 압착판을 열어서 본 동 장치의 측단면도.
제24도는 입체적인 원고의 경우의 사용예를 표시하는 동 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 8, 12, 22, 36, 47, 60 : 부착부재
3, 6, 9, 13, 25, 38, 50, 61 : 지지부재
7, 10, 18, 31, 44, 51, 63 : 리프트부재
A, C, E, G, I, L, O, M : 복사기본체
B, D, F, H, J, K, N, P : 원고압착판
본 발명은 예컨대 복사기나 인쇄기등에 있어서 원고압착판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등의 원고 압착판에는, 가요성이 풍부한 예컨대 고무제의 연질성의 것과, 합성수지제의 경질성의 것이 있다.
전자는 원고가 책과 같이 두꺼운 입체적인 원고라도 그 상면을 능란하게 덮을 수가 있으므로, 외부의 빛이 복사가 본체 내부의 광학계내로 침입하여 선명한 복사기 이루어지는 것을 저해할 염려가 적다는 이점이 있으나, 이 원고압착판을 다른 도움없이는 중간 열립각도로 유지하지 못하고, 원고교환등의 경우의 조작성에 결함이 있다는 결점이 있으므로, 근년에는 개폐장치로서 이것을 중간 열림각도로 유지할 수 있는 후자의 경질성의 것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 경우 이 후자의 것은 원고가 책과 같은 두꺼운 입체적인 원고의 경우에는 다른 보조수단이 없이 원고압착판을 닫으면 이 원고압착판은 원고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고, 원고를 균일한 압력으로 콘택트 글라스의 위에서 누를 수가 없고 또한 외부의 빛이 광학계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이와 같은 경질의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의 닫힌때에 이 원고압착판이 입체적인 원고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되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 수단을 갖추고 있다.
그러한 리프트 수단중에서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복사기 본체(A)의 상부에 부착한 부착부재(1)에 요동가능하게 부착한 요동부재(2)에 지지부재(3)를 축고정시켜 이 지지부재(3)로부터 연장설치한 지지틀(4)에 원고압착판(B)의 양측부 대략 중간부를 피봇으로 지지시킨 것은, 장치가 크게 되는 것과 동시에, 개폐시에 원고압착판(B)이 좌우로 흔들리어 불안정하게 되어 버린다는 결점이 있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복사기 본체(C)의 상부에 부착한 부착부재(5)에 지지부재(6)를 축고정시켜, 이 지지부재(6)의 선단에 이 지지부재(6)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리프트부재(7)를 부착, 이 리프트부재(7)에 원고압착판(D)의 일단부를 부착해놓은 것은, 리프트부재(7)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원고압착판(D)의 개폐조작시에 있어서 조작성에 난점이 있고, 또한 원고압착판(D)을 연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 시킬수가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복사기 본체(E)에 부착한 부착부재(8)에 지지부재(9)를 원고압착판(F)의 개폐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축고정시키고, 이 지지부재(9)의 자유단측에 원고압착판(F)을 지지하는 리프트부재(10)를 축고정시키고, 지지부재(9)의 자유단측을 자석(11)으로 복사 기본체(E) 측에 자력흡착 시키도록 구성해놓은 것은, 이 자력흡착력이 너무 강하면 원고압착판(F)으로 입체적인 원고위를 수평으로 덮기 위해 지지부재(9)를 반전시키는데 어느정도의 힘을 필요로 하고, 약하면 약간의 힘으로도 지지부재가 반전되어서, 불안정하게 된다는 결점이 있는 동시에, 자석(11)은 상당한 강도가 있는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제작단가가 높게드는 외에 자석(11)이 깨지기 쉬운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결점을 감안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조작성이 극히 좋고, 또한 원고압착판이 개폐시에 불안정하게 되는 일 없이, 입체적인 원고에 대하여 원고압착판이 대략 수평으로 되어서, 그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한 원고압착판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저은 원고압착판이 일정범위의 열림각도에서 들어올려져서 반전되도록 구성한 원고압착판의 개폐장치를 제공코저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하나의 목적은 원고 압착판이 입체적인 원고에 맞닿은 경우에는 열림각도에 관계없이 이것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성한 원고압착판의 개폐장치를 제공코저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기술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4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 복사기본체(G)의 뒷부분 어퍼플레이트(g) 상에 부착되어 있는 것은 부착부재(12)이며, 이 부착부재(12)는 기판(12a)과 이 기판(12a)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세워서 설치한 양측판(12b, 12b)과 기판(12a)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세워서 설치한 제어편(12c)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부착부재(12)는 복사기본체(g)와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고, 별개로 구성한 부착단추 그밖의 수단에 의하여 복사기본체상에 대하여 붙이고 떼는 것이 가능하게 부착되어도 좋다. 이 부착부재(12)의 양측판(12b, 12b)에는 지지부재(13)가 그의 양측판(13a, 13a)의 일측단측에서 제1힌지핀(14)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재(13)의 양측판(13a, 13a) 사이에는, 걸림부재(15)가 스프링(16)에 의하여 한방향으로 밀려서 회전되며, 힌지핀(14)과는 다른 위치에서 핀(17)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어 있다. 이 걸림부재(15)에는 그 지점(支點)너머 일측양단에 한쌍의 걸림핀(15a, 15a)(한쪽만을 표시)을 돌출되게 설치하는 동시에, 지점너머 타측단부에는 수압핀(15b)을 부착하였다. 걸림부재(15)의 양단에 함께 돌출되게 설치된 스토퍼핀(15c, 15c)은,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걸림부재(15)가 제어편(12c)에 의한 제지로부터 해제되어 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해서 회전한때에, 양측판(13a, 13a)의 상단가장자리에 맞닿아서 걸림부재(15)가 그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재(13)의 양측판(13a, 13a)의 자유단측에는, 리프트부재(18)의 양측판(18a, 18a)의 단부가 제2힌지핀(1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어 있으며, 이 리프트부재(18)의 양측판(18a, 18a)의 자유단측에는 한쌍의 걸림편(18b, 18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프트부재(18)에 원고압착판(H)의 일단부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지금 조작자가 원고의 복사를 행하기 위해 원고압착판(H)의 자유단을 윗쪽으로 들어올리면, 이 원고압착판(H)은 지지부재(13) 및 리프트부재(18)와 함께 제1힌지핀(14)을 지점으로하여 시계방향을 회전하여 열린다. 원고압착판(H)이 일정 열림각도(실시예에서는 35°)까지 열리면 특히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편(12c)에 의한 걸어맞춤이 해체된 걸림부재(15)는 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해서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핀(15a, 15a)으로 리프트부재(18)의 걸림편(18b, 18b)을 걸림한다.
여기서는 원고압착판(H)이 어느 일정각도까지 열리지 않으면 걸림핀(15a, 15a)은 리프트부재(18)의 걸림편(18a, 18a)을 걸림하지 않으나, 이 열림각도내에서는, 원고압착판(H)을 닫을때에는 그 중량에 의해서 자연낙하하여, 원고압착판(H)이 앞으로 기울게 되어 지도록 하여 그 조작상에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은, 원고압착판(H)을 열때에는, 그의 단부를 부착한 리프트부재(18)가 지지부재(13)의 등부분에 맞닿아서 이 지지부재(13)와 함께 제1힌지핀(14)을 지점으로 회전하여, 원고압착판(H)의 덮개를 여는 동작을 허용하나, 일정각도로 열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편(12c)에 의한 누르는 힘이 해제된 걸림부재(15)는 스프링(16)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핀(15a, 15a)이 리프트부재(18)의 자유단측의 걸림핀(18b, 18b)에 걸리게 되므로, 원고압착판(H)을 닫을 때에, 이 원고압착판(H)이 리프트부재(18)와 동시에 제2힌지핀(19)을 지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반대로 회전해 버리는 일없이 원활하게 닫힌다. 또한 일정각도(약 35°)까지 닫히면, 걸림부재(15)가 리프트부재(18)를 걸림하지 않아도 원고압착판(H)의 중량에 의해서 자연낙하하여 닫혀져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원고압착판(H)의 덮개를 닫는 동시에 하등 지장이 생기는 것은 아니고, 또 조작상에도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다음에 원고가 책과 같은 두꺼운 입체적인 원고(20)인 경우에는, 원고압착판(H)을 열어서 이 입체적인 원고(20)를 복사기본체(G)의 콘택트그라스(21)위에 올려놓은후 이 원고압착판(H)을 닫으면, 이미 걸림부재(15)의 수압핀(15b)은 제어편(12c)에 맞닿아서 스프링(16)의 탄력에 대해 버티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핀(15a, 15a)에 의한 걸림편(18b, 18b)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이 원고압착판(H)은 입체적인 원고(20)의 모서리에 맞닿은 부분을 작용점으로 하여 리프트부재(18)의 제2힌지핀(19)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입체적인 원고(20)에 대하여 대략 수평하게 되어서, 그 상면을 덮는다. 따라서 노광(露光)이 외부로 새어나가거나 또는 외부의 빛이 복사기본체(G)내의 광학계로 침입하여 불선명한 화상이 되는 것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외에도 입체적인 원고(20)를 콘택트그라스(21)상에서 균일하게 누를수가 있다. 걸림부재(15)에 의한 리프트부재(18)에 대한 걸림 및 풀림이 약 35°전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면 거의 어떤 모양의 두꺼운 책에 대하여도 충분하게 대처할 수 있다.
제8도 내지 제10도는 다른 실시태양을 표시하며, 도면에 의하면, 복사기본체(I)의 뒷부분 어퍼플레이트(i) 상에 부착된, 기판(22a)과 제어편(22c)을 가지는 부착부재(22)의 양측판(22b, 22b) 사이에는 캠부재(23)가 제1힌지핀(24)을 관통시키면서 고정부착되어 있어, 이 제1힌지핀(24)에 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축고정시킨 지지부재(25)의 양측판(25a, 25a) 사이에는, 걸림핀(26a, 26a)(한쪽만을 표시)과 수압핀(26b) 및 스토퍼핀(26c, 26c)을 가지며, 스프링(27)에 의해서 한방향으로 밀려서 회전된 걸림부재(26)외에, 평면 U자 형상의 미끄럼부재(28)가 그 양단 양측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한 핀(28a, 28a, 28b, 28b)이 양측판(25a, 25a)에 설치된 폭이 큰 구멍(25b, 25b, 25b, 25b)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미끄럼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미끄럼부재(28)의 일단부측에는 제어핀(29)이 부착되어 캠부재(23)와 맞닿은 동시에, 이 미끄럼부재(28)의 핀(28a, 28a)과 제1힌지핀(24) 사이에는 인장코일스프링(30, 30)이 인장설치되어, 미끄럼부재(28)를 항상 캠부재(23)측으로 견인시키고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5)의 양측판(25a, 25a)의 자유단측에는 리프트부재(31)가 제2힌지핀(32)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이 리프트부재(31)에 원고압착판(J)의 후단부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걸림부재(26)의 기능은 앞서의 실시태양에서의 것과 같으나, 이 실시태양에서는, 캠부재(23)와, 캠부재(23)와 맞닿도록 미끄럼부재(28)에 부착된 제어핀(29)을 누르는 인장코일 스프링(30, 30)에 의하여, 원고압착판(J)은 일정 열림각도 이상으로 자연낙하함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또한 일정 열림각도 이하에서 반대로 덮개를 닫는 방향으로 밀려서 회전되어 원고를 콘택트 그라스상에 누를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일정 열림각도 이하에 있어서는, 앞서의 실시태양에서의 것과 같이 걸림부재(26)의 걸림핀(26a, 26a)에 의한 리프트부재(31)의 걸림편(31a, 31a)에 대한 걸림은 풀려지므로, 특히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입체적인 원고(33)에 대하여 원고압착판(J)은 대략 수평으로 되도록 반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정 열림각도 이하에서는 원고압착판(J)의 자중과 인장코일 스프링(30, 30)과 캠부재(23) 및 미끄럼부재(28)에 의하여, 원고압착판(J)은 덮개를 닫는 방향으로 밀려서 회전되므로, 걸림부재(26)의 걸림핀(26a, 26a)에 의한 리프트부재(31)의 걸림편(31a, 31a)에 대한 걸림이 풀려도, 덮개를 닫을때의 조작성에는 하등의 지장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그밖의 실시태양으로서는 걸림부재(26)는 리프트부재(31)의 양측판의 어느것인가 한쪽 혹은 상대방의 외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제11도 내지 제15도는 또다른 실시태양을 표시하며, 도면에 의하면, 복사기 본체(L)의 뒷부분 어퍼플레이트(l)상에 부착된 부착부재(36)의 양측판(36a, 36a)사이에는 제1힌지핀(37a)과 고정핀(37b)에 의하여 캠부재(39)가 고정되어 있으며, 제1힌지핀(37a)에는 지지부재(38)가 회전가능하게 그 일단부를 축고정시키고 있다. 이 지지부재(38)의 양측판(38a, 38a)사이에는 미끄럼부재(40)가 미끄럼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미끄럼부재(40)와 지지부재(38)의 윗판(38b)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41)이 탄력설치되는 동시에, 미끄럼부재(40)에 부착된 수압핀(40a)은 캠부재(39)의 제1캠부(39a)와 가압 접촉되어 있다. 지지부재(38)의 제1힌지핀(37a)에 대한 축고정측의 양측판(38a, 38a)에는, 한쌍의 핀(43)을 통하여 걸림부재(35)가 축고정이 되어있고, 이 핀(43)에는 고리형상으로 감긴 비틀림(torsion)코일스프링(34)이 이 걸림부재(35)와 지지부재(38)의 한쪽의 측판(38a)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부재(35)는 한쌍의 걸림핀(35a, 35a)과 캠부재(39)의 제2캠부(39b)와 맞닿는 수압핀(35b)을 가지며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밀려서 회전되어 있다.
지지부재(38)의 자유단측에는, 자유단측에 한쌍의 걸림편(44a, 44a)을 가지는 리프트부재(44)가 제2힌지핀(46)에 의하여 이 지지부재(38)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축고정이 되어 있으며, 이 리프트부재(44)의 등부분에 원고압착판(K)의 후단부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원고압착판(K)은 캠부재(39)와 이 캠부재(39)의 캠부(39a)에 압축코일스프링(41)을 통하여 수압핀(40a)을 누르게 되는 미끄럼부재(40)에 의해서, 일정 열림각도 이상에서 손을 떼어도 자연 낙하함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일정 열림각도 이하에서 원고를 콘택트그라스(42)위로 누르도록 밀려서 회전된다.
그리하여 걸림부재(35)는 원고압착판(K)과 동시에 회전하는 지지부재(38)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지지부재와 동시에 회전하며 캠부재(39)의 제2캠부(39b)와 맞닿아 있는 수압핀(35b)에 의해서 핀(43)을 지점으로 그 자신이 회전하여, 그의 걸림핀(35a, 35a)으로써 원고압착판(K)의 일정 열림각도 이상에서는 리프트부재(44)의 자유단축에 설치한 걸림편(44a, 44a)을 걸림하고, 일정 열림각도 이하에서는 이것을 풀게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입체적인 원고(45)의 경우에는, 원고압착판(K)을 그의 상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이 되도록 반전시킬 수가 있고, 또 일정 열림각도 이하에 있어서는, 원고압착판(K)의 자중과 캠부재(39)와 압축코일스프링(41)의 탄력 및 미끄럼부재(40)에 의해서 이 원고압착판(K)은 덮개를 닫는 방향으로 밀려서 회전되므로, 걸림부재(35)의 걸림핀(35a, 35a)에 의한 리프트부재(44)의 걸림편(44a, 44a)에 대한 걸림이 풀려지더라도, 원고압착판(K)은 원활하게 닫히고, 원고압착판(K)이 앞으로 기울게되거나 하여 조작성에 하등의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이상 어느 실시태양에 있어서도, 걸림부재를 한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키는 수단은 스프링에 의하지 않고 중량 배런스의 변화에 의해 이것을 대신하여도 좋다.
또 걸림부재에 대체하여 지지부재를 리프트부재측으로 밀어서 회전시키는 스프링으로 하여도 좋고, 혹은 지지부재 자유단측을 리프트부재에도 흡착시키는 자력흡착수단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이 양자를 포함하여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 양자를 포함하여 제어수단이라 한다. 부착부재는 복사기본체와, 리프트부재는 원고압착판과 각각 일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은 이와 같은 경우를 상정(想定)한 것이며, 거기에는 부착부재나 리프트부재가 독립된 부재인 경우와, 각각에 복사기본체와 원고압착판과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가 포함된다.
제16도 내지 제20도는 또다른 실시태양을 표시하며 도면에 의하면 복사기 본체(M)의 뒷부분 어퍼플레이트(m) 상에는 양측판(47a, 47a)을 가지는 부착부재(47)가 부착단추(48)를 통하여 부착하고 떼는 것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부착부재(47)는 어퍼플레이트(m) 상에 스크류등에 의해서 고정부착되어도 좋고 또 뒷부분 어퍼플레이트(m)와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부착부재(47)의 일측에는 제1힌지핀(49)을 통하여 지지부재(50)가 그 양측판(50a, 50a)의 일측단을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50)의 자유단측에는, 양측에 부착판(51b, 51b)이 설치된, 단면이 볼록한 형상인 리프트부재(51)가 양측판(51a, 51a)을 한쌍의 제2힌지핀(52, 5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축고정시키고 있으며, 이 리프트부재(51)의 부착판(51b, 51b)에 원고압착판(N)의 후단부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리프트부재(51)는 원고압착판(N)과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리프트부재(51)의 축 고정측에는 크랭크부재(53, 53)가 한쌍의 핀(54, 54)에 의하여 축 고정되는 동시에 이 크랭크부재(53, 53)는 제2힌지핀(52, 52)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부재(53, 53)는 리프트부재(51), 혹은 원고압착판(N)과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크랭크부재(53)의 지점너머쪽에 부착된 한쌍의 수압핀(55, 55)과 부착부재(47)쪽에 설치된 고정핀(50)과의 사이에는 신축가능하게 구성된 가이드부재(57)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가이드부재(57)를 고리형상으로 감은 압축 코일스프링(58)이 수압핀(55, 55)과 고정핀(56)과의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금 원고압착판(N)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 특히 제16도 내지 제1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50)와 리프트부재(51)는 부착부재(47)에 대하여 서로 꺽어 접혀진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원고압착판(N)을 열면 리프트부재(51)의 등부분은 지지부재(50)의 등부분에 맞닿으므로 원고압착판(N)은 지지부재(50)와 동시에 제1힌지핀(49)을 지점으로하여 열린다.
이 덮개를 여는 동작에 따라서 고정핀(56)과 수압핀(55, 55)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여 길어지게되므로, 가이드부재(57)가 길이방향으로 신장하여,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58)의 탄력이 변화하여, 손을 뗀떼에 원고압착판(N)이 제1힌지핀(49)의 주위에 생기게 하는 회전 토오크와, 이것을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코일스프링(58)의 탄력이 평형을 이루었을 때 정지하며, 특히 제1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자연 낙하함이 없이 유지된다. 이 중간 열림각도에 있어서 원고압착판(N)에 대한 안정유지의 허용범위는 부착부재(47) 및 지지부재(50)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서로 맞닿는 부위에 마찰이 발생하도록 하면 그만큼 증대하는 것이다.
열린 원고압착판(N)으로부터 손을 떼면, 이 원고압착판(N)은 리프트부재(51)와 동시에 제2힌지핀(52, 52)을 지점으로 하여 반전하는 것같이 보이나, 이 리프트부재(51)와 동시에 회전하는 크랭크부재(53, 53)의 지점너머 일측부에 설치된 수압핀(55, 55)에 작용하는 압축코일스프링(58)의 탄력에 의해서, 리프트부재(51)와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밀려서 회전하고 있으므로, 반전함이 없이 지지부재(50)와의 일체성을 유지한다.
원고압착판(N)이 열림에 따라서 이 원고압착판(N)에 의해, 제1힌지핀(49)의 주위에 생기는 회전토오크가 감소하므로, 압축코일스프링(58)에 의한 토오크가 원고압착판(N)에 의한 토오크보다 더 커지기 시작하여, 일정열림각도 이상에서는 원고압착판(N)을 튕겨 올리므로, 90°가까이로 부터는 압축코일 스프링(58)의 탄력이 0으로 되도록 연구하고 있다.
원고압착판(N)을 닫으면 압축코일스프링(58)이 압축되므로 원고압착판(N)은 리프트부재(51)와 동시에 힌지핀(52, 52)을 지점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려는 힘을 받는다. 그런데 원고압착판(N)을 완전개방 위치로부터 닫는 방향으로 누르면 최초에는 압축코일스프링(58)의 탄력이 약하므로, 원고압착판(N)은 리프트부재(51)와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나, 곧 압축코일스프링(58)의 탄력에 의해서 크랭크부재(53, 53)를 통해 밀려서 원래위치로 복귀되어, 지지부재(50)와 일체적으로 닫혀지는 것이다.
다음에, 제2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원고가 책과 같이 두꺼운 입체적인 원고(59)와 같은 경우에는, 원고압착판(N)이 닫히면, 그 일부가 최초에는 이 입체원고(59)의 모서리에 맞닿으나, 그 후에 약간 힘을 가하여 원고압착판(N)의 자유단측을 밀어내리면, 지레의 원리에 의해서 원고압착판(N)은 압축코일스프링(58)의 탄력을 버티면서 입체적인 원고에 맞닿은 부분을 작용점으로하여 리프트부재(51)와 동시에 제2힌지핀(52, 52)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입체적인 원고(59)에 대하여 수평으로 되어서 그 상부를 덮으므로, 노광이 밖으로 새거나, 외부의 빛이 복사기 본체(M)의 광학계내에 침입하여, 선명한 화상을 얻는 것을 저해하는 것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반전허용범위는 입체적인 원고(59)의 두께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원고압착판(N)은 그 자유단측을 밀어내리는 힘을 제거하거나 입체적인 원고(59)를 제거하면, 압축코일스프링(58)의 탄력에 의하여 크랭크부재(53)가 시계방향으로 밀려서 회전되어 있으므로, 리프트부재(51)와 동시에 원고압착판(N)은 같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꺽어 접혀져서 지지부재(50)와 겹쳐서 원래위치로 복귀한다.
제21도 내지 제24도는 다시 다른 실시태양을 표시하며 도면에 의하면 복사기본체(0)의 뒷부분 어퍼플레이트(0) 위에 고정부착된 부착부재(60)에는 지지부재(61)가 제1힌지핀(6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그 지지부재(61)의 자유단축에는 리프트부재(63)가 제2힌지핀(6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리프트부재(63)에 설치한 부착판(63a)에는 원고압착판(P)으로부터 돌출시켜 설치한 부착돌기(p, p)가 스크류(65, 65)에 의하여 고정부착되어 있다. 제2힌지핀(64)에는 크랭크부재(66)가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어 있어,이 크랭크부재(66)의 지점너머쪽은 리프트부재(63)와 고정핀(67)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 리프트부재(63)와 동시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크랭크부재(66)에 설치된 캠부(66a)와, 부착부재(60)에 힌지핀(62)과는 위치를 바꾸어 부착된 수압핀(68)과의 사이에는 신축가능하게 구성한 가이드부재(69)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가이드부재(69)에 고리형상으로 감긴 압축 코일스프링(70)이 부착부재(60)와 지지부재(61)와의 사이에 탄성설치되어있다. 또한 크랭크부재(66)에 고리형상으로 감겨진 비틀림 코일스프링(71)이 지지부재(61)의 꼭대기판(61a)과 리프트부재(63)에 고정부착된 고정핀(67)과의 사이에 탄성설치되어 원고압착판(P)을 리프트부재(63)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 실시태양에 관한 것은 제21도 내지 제2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원고압착판(P)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이 원고압착판(P)의 중량과 압축코일스프링(70)의 작용축선이 제2힌지핀(64)보다 하방으로 이행(移行)되고 있는 것의 상승효과에 따라서 원고압착판(P)이 콘택트 그라스(72)위에서 눌려져 있다.
원고압착판(P)을 열어가면, 수압핀(68)과 크랭크부재(66)의 캠부(66a) 사이가 떨어져가므로 압축코일스프링(70)의 탄력은 약해져가나, 원고압착판(P)이 지지부재(61)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토오크로 약해지므로, 양자의 힘이 평형으로 된곳에서 유지되며, 원고압착판(P)에서 손을 떼어도 자연히 닫히지는 아니한다.
원고압착판(P)을 더욱 열어가면 압축코일스프링(70)의 탄력에 의한 토오크가 원고압착판(P)에 의한 토오크보다 더 커지기 시작하여 원고압착판(P)을 자동적으로 퉁겨 올린다.
한편, 원고압착판(P)이 압축코일스프링의 탄력과 평형을 이루는 곳에서 손을 놓아도, 이 압축코일스프링(70)의 작용선이 제2힌지핀(64)의 축중심보다 아래쪽을 지나고 있는 것과, 제2힌지핀(64)에 끼워 붙인 크랭크부재(66)에 고리형상으로 감겨서 지지부재(61)와 리프트부재(63)와의 사이에 탄력설치된 비틀림 코일스프링(71)의 탄력에 의해서, 원고압착판(P)이 반전하여 버리는 일이 없다. 그리고 이 사실은 열린 원고압착판(P)의 전단부에 손을 걸어도 닫기 위해서 밀어내려도 마찬가지로 반전하여 버리는 일은 없다.
그러나 원고가 책과 같은 두꺼운 입체적인 원고(73)이면, 원고압착판(P)을 닫은때에 입체적인 원고(73)의 단부에 원고압착판(P)이 맞닿으므로, 이것을 다시 약간 힘을 가하여 아래로 밀면, 원고압착판(P)은 맞닿은 부분을 작용점으로 하여, 지레의 원리에 의해 압축코일스프링(70) 및 비틀림 코일스프링(71)의 탄력을 버티면서 반전하여, 제2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입체원고(73)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되어 그 상부를 덮으므로 노광이 외부로 세거나 혹은 외부의 빛이 광학계 내부로 침입하여 선명한 화상을 얻는 것을 저해하는 것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대략 수평으로 된 원고압착판(P)은 일체적으로 원고(73)를 제거하거나 혹은 손을 떼면 비틀림 코일스프링(71)의 탄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21도 내지 제22도나 혹은 제2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태양에 관한 것은, 압축코일스프링(70)으로써 크랭크부재(66)를 통하여 리프트부재(63)를 시계방향으로 미는 수단을 배제하여 비틀림 코일스프링(71)만의 힘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구조가 더욱더 간단해 진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복사기 본체(O, M) 측에 부착된 부착부재(47, 60)와, 이 부착부재(47, 6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지지부재(50, 61)와, 이 지지부재(50, 61)의 자유단측에 이 지지부재(50, 6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축고정된 리프트부재(51, 63)와, 이 리프트부재(51, 63)에 그의 후단부를 부착한 원고압착판(N.P)과, 상기 부착부재(47, 60)와 지지부재(50, 61)와의 사이에 설치된 지지부재(50, 61)의 회전토오크를 제어하는 탄성수단(58, 70)과, 상기 지지부재(50, 61)와 리프트부재(51, 63)와의 사이에 설치된 이 리프트부재(51, 63)의 반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상기 지지부재(13, 25, 38)에 설치된 걸림부재(15, 26, 35)이며, 이 걸림부재(15, 26, 35)를 상기 원고압착판(H.J.K)의 개폐각도에 따라서 이 원고압착판(H.J.K)을 걸림, 풀림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상기 원고압착판(N, P)을 상기 지지부재(50, 61)에 맞닿도록 밀어서 회전시키는 탄성수단(58, 7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상기 원고압착판(H, J, K, N, P)과 상기 지지부재(13, 25, 38, 50, 61)와의 사이에 설치된 자력 흡차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50, 61)에 원고압착판(N, P)의 회전토오크를 제어하기 위한 탄성수단(58, 70)에 의한 작용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지지부재(50, 61)에 피봇지지시킨 원고압착판(N.P)의 지점너머쪽에 한쪽의 작용점(55, 66a)을 설치해 놓은, 상기 지지부재(50, 61)의 회전토오크를 제어시키는 탄성수단(58,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을 상기 지지부재(50, 61)에 피봇지지시킨 원고압착판(N, P)의 지점너머쪽에 한쪽의 작용점(55, 66A)을 설치해 놓은 상기 지지부재(50, 61)의 회전 토오크를 제어시키는 탄성수단(58, 70)과, 상기 지지부재(50, 61)와 상기 원고압착판(N, P)과의 사이에 이 원고압착판(N, P)을 지지부재(50, 61)측에 밀어서 회전시키는 탄성수단(58, 71)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KR1019850001859A 1984-03-21 1985-03-21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 KR920006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53917A JPS60196746A (ja) 1984-03-21 1984-03-21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9-53917 1984-03-21
JP59-242082 1984-11-15
JP59242082A JPS61120137A (ja) 1984-11-15 1984-11-15 原稿圧着板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525A KR850006525A (ko) 1985-10-14
KR920006821B1 true KR920006821B1 (ko) 1992-08-20

Family

ID=2639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859A KR920006821B1 (ko) 1984-03-21 1985-03-21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588290A (ko)
KR (1) KR920006821B1 (ko)
DE (1) DE3509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3750A (en) * 1987-02-26 1989-08-01 Sharp Kabushiki Kaisha Document holder for a copier and hinge mechanism therefor
JP2709967B2 (ja) * 1989-11-28 1998-02-04 三田工業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JP3266426B2 (ja) * 1994-10-11 2002-03-18 株式会社リコー 複写機の原稿押え装置
JP3641357B2 (ja) * 1997-09-24 2005-04-20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923636B2 (ja) * 1997-12-25 2007-06-06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728385B2 (ja) * 1998-12-11 2005-12-21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798921B2 (ja) * 1999-04-14 2006-07-1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装置の開閉装置
JP3727502B2 (ja) * 1999-12-01 2005-12-14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TWI262241B (en) * 2004-09-22 2006-09-21 Asia Optical Co Inc Knuckle arm
JP3962746B2 (ja) * 2004-12-28 2007-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FR2942743A1 (fr) * 2009-03-09 2010-09-10 Sagem Comm Dispositif de maintien en position d'un premier element et d'un deuxieme element et appareil de traitement de feuilles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JP6999155B2 (ja) * 2017-08-29 2022-01-1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88954B (it) * 1973-06-12 1975-04-30 Olivetti & Co Spa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fissare e coprire originali sul piano di illuminazione di una macchina riprografica
JPS5330324A (en) * 1976-09-01 1978-03-22 Canon Inc Original thrusting device
US4097145A (en) * 1977-01-03 1978-06-27 Pitney-Bowes, Inc. Means for self-positioning platen covers
US4172660A (en) * 1978-01-03 1979-10-30 Pitney-Bowes, Inc. Copying apparatus cover
EP0062798B1 (en) * 1981-03-31 1986-07-30 Mita Industrial Co. Ltd. Improvement i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JPS5938734A (ja) * 1982-08-30 1984-03-02 Kato Denki Kk 原稿圧着板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88290A (en) 1986-05-13
DE3509748A1 (de) 1986-07-17
KR850006525A (ko) 198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821B1 (ko)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
JP4672570B2 (ja) 開閉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408161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information process apparatus
TW201318883A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事務機器
US7512362B2 (en) Photosensitive drum with improved shutter struc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0510123Y2 (ko)
US7907312B2 (en) Locking mechanism on hinge fixture of vertically set image reading apparatus
JPH0374371B2 (ko)
TW201708927A (zh) 開闔支撐裝置及具備此開闔支撐裝置的設備
JPH04258481A (ja) 開閉装置
US4926214A (en) Original-holding cover
JP3948109B2 (ja) 画像読取装置
JP3194632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H0532845Y2 (ko)
JP3948108B2 (ja) 画像読取装置
JPH0142094Y2 (ko)
TWI796847B (zh) 鉸鏈及使用此鉸鏈的事務機器
JPH0418287B2 (ko)
JP3202814B2 (ja) 複写機の原稿押え装置
JP3497042B2 (ja) 複写機の原稿圧板
JPH0516588Y2 (ko)
KR0125531Y1 (ko) 원고압착판의 개폐장치 및 이 개폐장치를 부착한 복사기
JP3235083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S644107Y2 (ko)
JPH04195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