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384B1 -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384B1
KR920006384B1 KR1019890017266A KR890017266A KR920006384B1 KR 920006384 B1 KR920006384 B1 KR 920006384B1 KR 1019890017266 A KR1019890017266 A KR 1019890017266A KR 890017266 A KR890017266 A KR 890017266A KR 920006384 B1 KR920006384 B1 KR 92000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late
flat
support
clam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207A (ko
Inventor
마사요시 우수이
카츄시 와시쥬
Original Assignee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우수이 유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992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6323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99250A external-priority patent/JP26892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3321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811189B2/ja
Application filed by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우수이 유다로오 filed Critical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73Tube joint and tube plate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Elastic joining of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Elastic joining of parts
    • Y10T29/49872Confining elastic part in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와 같은 파이프 고정 방법에 따라 고정용 요소를 사용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판형지지체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도의 선 A-A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3도는 개조된 고정용 요소가 사용되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
제4a도 및 4b도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각각 도시된 고정용 요소의 평면도.
제4c도 및 4d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형태의 고정용 요소의 평면도.
제5a도에서 제5d도까지는 제4a도 내지 제4d도의 각각 선 V-V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또다른 형태를 가지는 고정용 요소의 후방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와 같은 파이프 고정방법에 따라서 파이프가 2개의 고정용 요소에 부착되어 고정된 판형 지지체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IX-IX을 따른 단면도.
제10도는 개조된 고정용 요소가 도시되는 제9도와 유사한 도면.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을 따른 단면도.
제12a도는 제8도에 도시된 고정용 요소의 평면도.
제12b도는 제12a도의 선 XII-XII을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와 같은 파이프 고정 방법에 따라서 파이프가 개조된 형의 고정용 요소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된 판형 지지체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서 도시된 고정용 요소의 측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선 XV-XV을 따른 단면도.
제16도는 2개로 나누어진 고정용 요소로 도시하는 제15도와 유사한 도면.
제17도는 종래의 파이프 고정 방법에 따라서 금속지지체에 삽입된 파이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형 금속 지지체 2 : 클램프 구멍
3 : 조립구멍 4 : 고정용 요소
5 : 결합벽 6 : 클로
7 : 결합홈
본 발명은 판형 지지체를 사용함에 의해 비교적 작은 직경(예를들자면 약 30mm 이하)의 금속 파이프 또는 수지튜브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차량 또는 여러종류의 다른기계장치의 오일 또는 공기공급 통로로 사용된다.
이런 형태의 종래의 고정방법은 예로써 제17도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은 것이며, 금속파이프 P'는 금속지지체(11)에 드릴가공된 고정용 구멍(12)를 관통하며, 이 상태에 있어서 구멍의 안쪽 원주 부분은 금속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도록 땜질되고 수지튜브의 경우에는 이 튜브가 클럽(도시 안됨)에 의해 조여져서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땜질하는 경우, 수작업에 의해 가열시킴으로써 작업이 귀찮아지며, 국부 가열로 인해 땜질되는 부분근처 파이프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됨으로써 파이프상에 클랙(crack) 또는 손상이 발생되고 그리고 파이프 및 금속지지체에는 땜질후 부식이 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하는 작업이 필요로하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지튜브의 경우에는 튜브가 종종 축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진동력이 튜브에 가해질때 클립의 클램프 벽으로부터 튜브가 분리되거나 또는 전위 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고정방법에 포함되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귀찮은 고정작업 및 파이프가 고정되는 부분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배제하는 파이프 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미리 도금된 금속지지체 및 파이프의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며, 파이프 고정부의 진동 내성(vibration-proof property)이 향상된다. 따라서, 파이프가 변위되거나 또는 파이프상의 표면처리가 벗겨지거나 또는 금속지지체에 접촉됨에 따른 침식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리고 심지어는 파이프에 진동력이 가해질때에도 금속지지체의 클램프 구멍에 대해 파이프가 분리되거나 변위되는 가능성이 배제된다.
상술한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개념은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에 부착된 반원형탄성 고정용 요소에 있고 그리고 상기 파이프는 조립구멍을 통해 연관된 구조에 고정되는 이 조립구멍을 갖춘 판형 지지체에 드릴가공된 클램프구멍을 통해 통과된다. 탄성 고정용 요소는 대체로 평평한 바닥면을 가지고 그리고 이 요소에는 결합벽과 그리고 외측 원주의 전방 및 후방단부 각각에 결합클로(claw)가 제공되며, 이들사이에서는 결합홈이 제공된다. 파이프가 판형지지체의 클램프 구멍을 관통할때 고정용 요소의 바닥면은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에 놓여지며, 결합홈은 판형지지체 클램프 구멍의 안쪽원주와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개념은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형태와 유사한 2개의 탄성 고정용 요소에 있으며, 이 고정용 요소는 외측 원주상에 각각 대향된 2개의 평평한 부분을 갖춘 파이프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용 요소가 부착되어 있는 파이프가 상술한 판형 지지체의 클램프 구멍을 관통할때, 2개의 고정용 요소가 금속지지체의 클램프 구멍의 안쪽 원주와 꽉끼여 결합됨에 따라 파이프는 금속지지체에 고정장치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개념은 대체로 평평한 바닥면을 갖춘 C형의 두개로 나누어진 탄성 고정용 요소에 있고 그리고 이 요소에는 결합벽과 그리고 외측 원주의 전방 및 후방단부 각각에 결합클로가 제공됨으로써 이들 사이의 결합홈은 외측원주 상에 평평한 부분을 갖춘 파이프에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파이프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한 판형지지체의 클램프 구멍을 관통한다. 따라서, 고정용 요소가 판형지지체 클램프 구멍의 안쪽 원주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는 판형지지체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한편 평평한 바닥면은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과 접촉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파이프에는 외측원주상의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2개의 평평한 부분이 제공되며, 이와같은 2개의 고정용 요소는 상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파이프는 외측 원주상에 적어도 평평한 부분을 가지고 그리고 이 파이프는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에 접촉되는 평평한 바닥면을 갖춘 상술한 구조의 고정용 요소에 부착됨으로 파이프가 판형 지지체의 클램프 구멍에 삽입될때 금속 지지체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고 그리고 고정용 요소의 평평한 바닥의 전방 및 후반 단부들이 파이프의 단이진 전방 및 후방단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축방향의 운동이 방지된다.
더우기 파이프의 외측 원주와 그리고 판형지지체의 클램프 구멍 안쪽원주사이에 탄성 고정용 요소가 삽입되기 때문에, 개선된 진동 내성을 갖춘 파이프 고정 구조를 얻는 것이 용이하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은 같은 참조번호로 표시되며, 제1도 내지 제7도에서는 참조번호(1)는 조립구멍(3)을 갖춘 클램프 또는 브래킷 형태의 판형 금속 지지체를 표시한다. 이 조립구멍을 통해 파이프는 연관된 구조에 부착되고 클램프구멍(2)을 통해서는 파이프 P가 삽입된다. 참조번호(4)는 반원형의 평평한 금속 스프링, 수지 또는 고무재질 또는 이들의 조합재로 형성된 탄성 고정용 요소(4)를 나타낸다.
고정용 요소(4)의 전방단부에는 파이프 P에 대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결합벽이 제공되고 그리고 후방단부에는 결합벽(5)에 상응된 스냅 결합 클로(6)(제3도, 제4b도 및 제4c도)가 제공됨으로 이들 사이에 결합홈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클로(6)는 바닥면(4')의 후방단부 바깥쪽으로 확장된 탄성 아암(제4d도)형태가 될수 있으며, 금속지지체(1)에 파이프 P를 지지함에 있어서 최초로 고정용 요소는 외측 원주상에 평평한 부분 P1을 갖춘 파이프 P에 고정된다. 이 고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고정용요소(4)의 바닥면(4')은 파이프 P의 평평한 부분 P1에 접촉된다. 그후, 파이프 P는 금속지지체(1)의 클램프 구멍(2)을 관통하며, 따라서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은 클램프 구멍(2)의 안쪽 원주벽과 결합된다.
필요하다면 금속지지체(1) 클램프 구멍의 안쪽 원주면은 파이프P(제3도)의 축방향으로 확장되어 돌출될수 있음으로써 결합클로(6)의 상단부는 거기에서 접촉된다. 또는 원주면은 절단될수 있고 그리고 고정용 요소(4)(제6도)의 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용 요소(4)에는 결합클로(6)의 외측 원주부분 또는 기저부분에서 돌출부(7')가 제공될수 있다.
더우기, 동일한 목적을 위해 금속 지지체(1) 클램프 구멍(2)의 형상은 다각형으로 제작될수 있고 고정용요소(4) 결합홈(7)의 외측원주는 또한 상기구멍(제7도)과 맞춰질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제작될수 있다. 더우기, 파이프 P의 평평한 부분 P1의 길이는 파이프 P에 대한 금속지지체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필요에 따라 고정용 요소(44)(도시 안됨)의 맞춰지는 표면(4')의 축길이보다 크게 제작될수 있다. 또한, 금속지지체(l1)의 고정위치에 있어서, 금속지지체의 고정구멍(3)은 이 구멍의 축이 파이프 P의 축에 직각으로 놓여지거나 또는 어떠한 경사각으로 놓여질수 있도록 비틀림 가능하게 또는 구부러질수 있게 제작될수 있다.
제8도 내지 제12도에 있어서는 약간의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치더라도 상술한 것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파이프 P는 외측 원주상에 서로 대향된 관계로 2개의 평평한 부분 P1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2개의 탄성 고정용 요소(4) 각각은 고정용 요소의 바닥면이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 P1 각각에 접촉되는 파이프 P에 부착된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고정용 요소(4)는 제12도에 도시된 고정용 요소(4)와 유사하고 그리고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고정용 요소는 제4c도 및 제5c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또한, 제13도 내지 제16도에 있어서 탄성요소(4) 각각은 하부 원주부가 대체로 평평한 바닥면을(4')을 형성하는 대체로 C형태로 나누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 비슷하게 고정용 요소는 외측 원주면상에서 결합벽(5)과 그리고 결합 클로(6)를 가지며, 벽과 클로사이에 결합홈(7)영역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고정용 요소(4)는 파이프 P외측 원주상의 평평한 부분 P1에 고정되며, 그리고 이후에 파이프 P는 금속지지체(1)의 클램프 구멍(2)를 관통한다.
필요하다면 상술한 것과 같은 동일한 형태의 부가적인 고정용요소는 후자와 대향된 관계로 사용될수 있고 그리고 또다른 평평한 부분 P1은 파이프상에서 제1평평한 부분 P1과 대향되어 형성될수 있으며, 그 방법은 제16도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고정용 요소의 2개의 평평한 바닥면(4')이 파이프 P의 2개의 평평한 부분과 각각 접촉되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모든 실시예는 판형 금속 지지체에 대해 적용되나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판형지지체는 예를들자면 금속재가 아닌 플라스틱재로도 사용될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지지체 수단에 의한 파이프 고정방법은 파이프 P의 외측 원주상에 평평한 부분 P1이 있는 탄성 고정용요소(4)의 평평한 바닥면(4')의 결합과 그리고 고정용 요소(4)의 평평한 바닥면(4')의 양단부 사이의 결합과 파이프가 용이하게금속지지체에 고정되도록 축방향에서 파이프 P의 평평한 부분의 양단부에서 형성된 스텝(step)부에 의해 금속 지지체(1) 클램프구멍(2)의 안쪽 원주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이와 동시에 고정된 부분에서 파이프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우기, 금속지지체(1) 및 파이프 P는 도금이 된후 사용될수 있음으로써 파이프 및 금속지지체의 도금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된 부분에서의 파이프의 축방향 변위 및 분리 및 전위는 배제되고 그리고 탄성교정용 요소(4)의 결합홈(7)의 바닥면이 있음으로써 도금이 벗겨지거나 또는 파이프가 패이는 것이 방지되어 우수한 진동 내성을 지닌 고정이 이루어진다.

Claims (15)

  1. 판형 지지체를 사용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어시, 판형 지지체를 통해 파이프 클램프 구멍을 드릴가공하는 단계와 ; 결합홈을 제공하기 위해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 양쪽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결합벽과 결합클로 그리고 대체로 평평한 바닥면을 적어도 갖춘 탄성 고정용 요소를 외측 원주부에 형성된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에 부착시켜 상기 고정용 요소의 바닥면이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에 접촉되는 단계와 그리고 파이프상 고정용 요소의 결합홈이 파이프 클램프 구멍과 꽉끼여 접촉되도록 판형 지지체의 파이프 클램프 구멍을 통해 파이프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용 요소는 단면이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용 요소는 대체로 C형 단면형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판형 지지체의 파이프 클램프 구멍에서는 돌출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용 요소의 결합클로는 스냅작용을 가질 수 있도록 결합벽쪽 축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시, 고정용 요소의 외측 원주부는 바닥면으로 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그리고 결합홈은 결합벽과 결합클로사이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는 외측 원주상에 서로가 대향된 2개의 평평한 부분이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탄성 고정용 요소 형상과 비슷한 2개의 탄성 고정용 요소는 파이프의 2개의 평평한 부분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판형 지지체에 대한 그정용 요소의 운동이 배제되도록 판형지지체와 그리그 탄성고정용 요소사이에 잠금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판형 지지체에 드릴가공된 파이프 클램프 구멍의 안쪽 원주부에 형성된 절단부와 그리고 이 절단부와 접촉되게 결합클로상에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판형 지지체에 드릴가공된 다각형 클램프 구멍과 이 구멍과 맞추어지도록 고정용 요소상에 형성된 다각형 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외측 원주부 상에서 서로 대향된 2개의 평평한 부분을 가지도록 제작되고 그리고 대체로 핑평한 바닥면을 갖춘 2개의 탄성 고정용 요소 각각은 상기 평평한 바닥면이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에 각각 접촉되는 파이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용 요소는 금속스프링, 합성수지재 그리고 고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13. 조립구멍을 갖춘 판형 지지체를 사옹하여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조립구멍을 통해 파이프는 연관된 구조에 고정되며, 여기에서의 파이프에는 외측 원주부상에 평평한 부분이 제공되며, 반원형탄성 고정용 요소는 대체로 평평한 바닥면을 갖추고 그리고 이 요소의 외측 원주 전방 및 후방단부 각각에는 결합벽 및 결합클로가 제공되어 이들 사이에서 파이프에 부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그후 고정용 요소가 부착된 파이프는 고정용 요소의 결합홈이 판형 지지체의 파이프 클램프 구멍의 안쪽원주와 결합되도록 판형 지지체에 드릴 가공된 파이프 클램프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14. 조립구멍을 갖춘 판형 지지체를 사용하여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조립구멍을 통해 파이프는 연관된 구조에 고정되며, 여기에서의 상기 파이프에는 외측 원주상에 서로 대향된 2개의 평평한 부분과 평평한 바닥면을 각각 갖춘 2개의 반원형 탄성 고정용 요소와 그리고 고정용 요소의 평핑한 바닥면이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에 접촉되는 파이프에 부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도록 외측 원주의 전방 및 후방단부에 결합벽 및 결합클로가 제공되며, 고정용 요소가 있는 상기 파이프는 파이프 클램프 구멍의 안쪽 원주부가 탄성 고정용 요소 각각의 결합단부에 결합되도록 판형 지지체에 드릴가공된 파이프 클램프 구멍을 통해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15. 조립구멍을 갖춘 판형 지지체를 사용하여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조립구멍을 통해 파이프는 연관된 구조에 고정되며, 여기에서의 파이프는 외측원주상에 평평한 부분을 가지고 상기 판형 지지체는 파이프 클램프 구멍과 평평한 바닥면을 갖춘 C형의 나누어진 탄성 고정용 요소를 가지고 고리고 이지지체에는 파이프의 평평한 부분에 부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도륵 외측 원주상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 결합벽과 결합클로가 제공되고 그리고 고정용 요소가 있는 상기 파이프는 파이프클램프 구멍의 안쪽원주부가 탄성 고정용 요소의 결합홈과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판형 지지체의 파이프 클램프 구멍을 통해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KR1019890017266A 1988-11-26 1989-11-25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KR920006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99251A JP2632393B2 (ja) 1988-11-26 1988-11-26 支持金具による配管の固定方法
JP63-299251 1988-11-26
JP63-299250 1988-11-26
JP63299250A JP2689268B2 (ja) 1988-11-26 1988-11-26 支持金具による配管の固定方法
JP63-332183 1988-12-30
JP63332183A JP2811189B2 (ja) 1988-12-30 1988-12-30 支持金具による配管の固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207A KR900008207A (ko) 1990-06-02
KR920006384B1 true KR920006384B1 (ko) 1992-08-03

Family

ID=2733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266A KR920006384B1 (ko) 1988-11-26 1989-11-25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27495A (ko)
KR (1) KR920006384B1 (ko)
DE (1) DE3939179A1 (ko)
GB (1) GB22266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615A (en) * 1994-03-09 1995-11-21 Carrier Corporation Seal for refrigerant tubing through air conditioner partition
US6964297B1 (en) 1998-07-14 2005-11-15 L & M Radiator, Inc. Removable tube heat exchanger and header plate
AU759350B2 (en) 1999-01-29 2003-04-10 L & M Radiator Inc. Support for heat exchanger tubes
DE10133677C2 (de) * 2001-07-11 2003-06-05 Veritas Ag Rohrbefestigung
US20050242581A1 (en) * 2002-06-05 2005-11-03 Nowling Michael D Coupler
DE202005008219U1 (de) * 2005-05-25 2006-03-09 Veritas Ag Halter zur Fixierung von Leitungen und Rohr mit einem Halter
US20070031186A1 (en) * 2005-08-08 2007-02-08 Winton George R Iii Self-clinching D base
DE102005051441B4 (de) * 2005-10-27 2021-01-21 Volkswagen Ag Bremsdruckleitungssystem an Kraftfahrzeugen
DE202006004396U1 (de) * 2006-03-17 2007-05-10 Viessmann Werke Gmbh & Co Kg Wärmespeich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0758A (en) * 1919-07-22 Planookaph co
US1530617A (en) * 1922-11-13 1925-03-24 Herbert A Porter Flexible tubing fastener
US1566145A (en) * 1924-03-01 1925-12-15 Larson Martin Loom clamp
US2164547A (en) * 1938-04-30 1939-07-04 Rca Corp Electrode support
US2542442A (en) * 1945-07-23 1951-02-20 Hughes Tool Co Tube support
US2948773A (en) * 1955-04-29 1960-08-09 Applied Physics Corp Electrical terminal having insulating bushing
DE3004421C2 (de) * 1980-02-07 1981-11-26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Bremsschlauch
US4361302A (en) * 1980-09-19 1982-11-30 Square D Company Cable clamp for electrical outlet box
US4557446A (en) * 1982-12-02 1985-12-10 Barron Earl L Cable retention clip
JPS6040879U (ja) * 1983-08-29 1985-03-22 豊田合成株式会社 ホ−ス中間保持具
JPH0231658Y2 (ko) * 1986-10-28 1990-08-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26614A (en) 1990-07-04
DE3939179A1 (de) 1990-05-31
US5027495A (en) 1991-07-02
GB8926601D0 (en) 1990-01-17
KR900008207A (ko) 1990-06-02
DE3939179C2 (ko) 1992-11-26
GB2226614B (en) 199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0991B2 (en) Fixing device for hose clamp
US4550891A (en) Plastic pipe clip
KR920006384B1 (ko) 판형 지지체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JPS63502447A (ja) 取付具
JPH04157275A (ja) 細径配管固定用クランプ体
US6672547B1 (en) Holder for attachment of objects
GB2464650A (en) Clip and installation structure for automobile bumper accessory
KR101064847B1 (ko) 호스 체결용 클램프의 지지구조체
US6773040B2 (en) Spacer-less type pipe joint and packing ring used for the same
JPH0214706Y2 (ko)
JP4296882B2 (ja) ホースクランプ
JPH07222333A (ja) 線管類固定用クリップ
EP0352945B1 (en) A ball study assembly
KR930004166B1 (ko) 호스 연결부재 부착 구조
JPH02146395A (ja) 支持金具による配管の固定方法
EP1286094A1 (en) Adjustable support for securing cable bundles and similar
JPH0541093Y2 (ko)
JP2811189B2 (ja) 支持金具による配管の固定方法
JPH02146394A (ja) 支持金具による配管の固定方法
JPH01293217A (ja) 筒状部品の環状部材取付構造
JPH0243634Y2 (ko)
JPH042870Y2 (ko)
JPS6119348Y2 (ko)
KR0179738B1 (ko) 차량의 사이드 실 몰딩 조립구조
JPS5917677Y2 (ja) クリップ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