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571B1 - 차량용 후부 신호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부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571B1
KR920005571B1 KR1019880013727A KR880013727A KR920005571B1 KR 920005571 B1 KR920005571 B1 KR 920005571B1 KR 1019880013727 A KR1019880013727 A KR 1019880013727A KR 880013727 A KR880013727 A KR 880013727A KR 920005571 B1 KR920005571 B1 KR 920005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amp housing
light source
housing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015A (ko
Inventor
노보루 오까모또
히로시 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쯔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쯔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0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후부 신호등
제1도는 본 발명의 신규 관념에 따라서 조립된 추가로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를 통해 선 II-II를 따라 선택하고, 특히 그 속에 포함된 여러가지 부품과 함께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를 통해, 제1도의 라인 III-III을 따라서 선택하고, 그것이 설치된 차량과 관련된 부품과 함께 램프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와 유사하지만 제1도의 라인 IV-IV를 따라서 선택한 도시도.
제5도는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를 통해, 제2도의 라인 V-V를 따라서 선택하고, 특히 광원 및 반사경이 램프 하우징과 일련으로 만든 캔틸 레버중의 하나에 설치되는 방법을 확대 도시한 절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지램프 어셈블리 16 : 플라스틱 램프 하우징
24 : 개구 26 : 렌즈
30 : L형 플랜지 46 : 반사경
48, 50 : 캔틸 레버 64 : 웨브부
68 : 리세스 70 : 램프 소켓
본 발명은 점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속에 삽입된 광원에 의하여 발산된 열을 분산하기 위한 설비를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상기 특정 용도에 제한되는 것을 원치 않지만, 본 발명에 다른 램프 어셈블리는 자동차상에 추가로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로서 전형적인 응용이 있다.
보통,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 또는 램프들은 높게 그리고, 차량 후부에 설치된 정지램프 시스템을 추가하기 위하여 차량의 후부 창에 거의 안쪽으로 설치된다. 정지램프는 끼어드는 차량 또는 차량들을 통해 브레이크를 걸어 정지시키거나 감속시켜 차량 운전자의 긴장된 마음을 지시하도록 다음 차량의 운전자에게 단호한 경고 신호를 제공한다. 지나친 열은 자동차의 운전자 및 다른 승차자 또는 승차자들을 불안해 할수 있으므로 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는 지나친 열을 발산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램프 하우징이 금속보다 열 저항이 적은 플라스틱으로 만들면, 그것의 유용한 내구 연한은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램프 하우징 스스로의 과열하는 것은 역시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알고 있는한, 램프 하우징의 과열 및 그 결과 차체 내부로 열의 방사를 피하도록 잘 설계된 추가로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없이 제한되어 왔거나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광원에서 램프 하우징으로의 열 전도 및 그 결과 후자로부터 고려중에 있는 램프 어셈블리의 형으로 열의 방사를 어떻게 해서든지 최소한으로 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간단히, 그 곳에 첨부된 렌즈를 가진 플라스틱 재질의 램프 하우징을 구비한 감소된 온도 램프 어셈블리로서 간략하게 요약된다. 광원 및 반사경은 램프 하우징의 내부측 표면과 정확하게 접촉이 지속된 것과 같이, 램프 하우징 내부에서의 광원 및 금속으로된 반사경은 그와 같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반사경은 제작자에 의해 후자의 최소 한도의 광선에 대하여 광원 및 램프 하우징간에 효과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그와 같이 배치된다. 열 방출 개구는 그곳에서 가열된 공기를 통풍하기 위하여 램프 하우징내에 만든다. 되도록이면, 속이 빈 램프 스탠더드는 소정의 위치에 램프 어셈블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램프 하우징에 결합된다. 램프 스탠더드에서의 구멍은 열 방출 개구를 통하여 램프 하우징의 안쪽과 통해 있다.
따라서, 금속으로된 반사경에 의하여 광원으로부터 충분히 막아주고, 있다. 플라스틱 램프 하우징은 광원의 열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다. 반사경에서 램프 하우징으로의 열 전도는 반사경이 램프 하우징과 접속하여 지지된 것으로서 최소 한도로 감소된다. 부가적으로, 램프 하우징 내부의 가열된 공기는 램프 하우징내에 만든 열 방출 개구를 통하여 통풍되지만, 가능한한 그것과 함께 통해 있는 구멍 램프 스탠더드를 통하여 통풍한다. 추가로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로서 램프 어셈블리의 사용에 있어서, 램프 스탠더드는 램프 하우징과 그것의 내부에 전달하기 위한 구조내에서 형성된 개구와 함께 차속이 빈 구조에 대해서 적층되어 있다. 상기 광원에 의해 방사된 열은 차체의 내부 대신에 차의 속이 빈 구조 부분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대부분 방출된다. 그것은 램프 어셈블리의 하우징이 차량의 운전자 또다른 승차자에 대해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만큼 가열되지 않고, 램프 어셈블리 그 자체의 사용 수명은 상당히 연장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다른 특징 및 장점과 그들을 실현시키는 수단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하의 설명의 검토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고 발명 그 자체가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추가로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10)와 같은 용도로 적합시킨 것처럼, 본 발명의 감소된 열 램프 어셈블리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상기에 대하여, 제3도 및 제4도는 자동차(14)의 후부 창(12)의 안쪽에 위치하여 설치된 정지램프 어셈블리(10)를 나타낸 것이다. 본 정지램프 어셈블리는 램프 어셈블리(10)의 전방으로 열리거나, 또는 자동차(14)의 후방으로 열리고, 제1도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서 수평으로 연장된 대체로 상자형으로 만든 플라스틱 램프 하우징(16)을 갖는다.
제2 내지 4도로부터 언급된 바와 같이, 램프 하우징(16)은 후부 벽(20)을 포함한 주부(18) 및 램프 하우징의 정면 끝 개구(24)를 한정하는 정면부(22)를 구비하고, 차후에 방법을 설명하지만, 그것을 확장하는 쪽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주부에 세워서 결합된다. 정면 끝 개구(24)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램프 하우징(16)에 결합되거나 접착된 렌즈(26)로 닫힌다. 제3도 및 4도는 주하우징부(18)의 상부 및 하부정면 모서리가 정면 하우징부(22)의 후부 끝에 꼭 맞도록 비교적 짧은 길이 및 감소된 두께로 연장부분(28)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제2도에서 분명하게 보인 바와 같이, 정면 하우징부(22)는 주하우징부(18)의 대응 정면 모서리와 상응에 대하여 그것의 후측 모서리로부터 전후부쪽으로 사용된 한쌍의 L형 플랜지(30)를 둘러싸서 형성된다. L형 플랜지(30)는 세로 또는 세로 크기의 대략 중심으로 위치된 한쌍의 보스(32)를 가지며, 서로 확장한다. 보스는 바깥쪽으로 열린 블라인드 구멍(34)을 한정하고, 주하우징부(18)에 위쪽이 넓은 구멍(36)과 중심을 맞춘다. 한쌍의 나사못(38)이 주부(18)내의 위쪽이 넓은 구멍(36)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정면부(22)내의 블라인드 구멍(34)내에 나사상으로 맞물리게 한 것처럼 램프 하우징(16)의 주부(18) 및 정면부(22)는 서로간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정지램프 어셈블리(10)는 다른 보디 형태의 다양한 자동차상에 설치용으로 쉽게 적합되기 때문에, 랜즈(26)와 함께 정면 하우징부(22)가 쉽게 변형하여 상기 실시예에서의 주부(18) 및 정면부(22)로 램프 하우징(16)을 분리한다. 이와 같은 다른 차의 후부 창은 여러가지 반경으로 구부러지고, 다양한 각도로 경사되고, 정지램프는 상기 후부 창으로부터 다양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는 정지램프 어셈블리의 제작비가 상당히 부가되고, 또한 불필요하게 큰 저장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모든 차의 다른 모델에 대하여 다른형 및 크기의 정지램프 하우징을 만드는데는 실용적이 못된다. 주부(18) 및 정면부(22)로 램프 하우징(16)의 분리는 상기 문제점에 대하여 우수한 해결법이다. 단지 정면 하우징부(22)는 다양한 자동차에 대하여 정지램프 어셈블리(10)를 적합시키기 위한 형태 및 크기를 변경한다. 완전한 램프 하우징(16)과 비교하여 절반 크기보다 작지 않은 정면부(22)는 더구나 값싸게 제작할 수 있으며, 결코 내장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1도 및 3도는 램프 하우징(16)의 정면 상부모서리, 또는 그것의 정면부(22)는 그것에서 위쪽으로 구부러진 테두리(40)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제1도 및 2도는 역시 램프 하우징(16)의 한쌍의 정측면 테두리가 그것에서 바깥쪽 측면으로 구부러진 각각의 테두리(42)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상부 테두리(40)는 측면 테두리(42)폭 보다 휠씬 넓다. 상기 모든 테두리(40) 및 (42)는 자동차 후부 창(12)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을 차단하도록 의도된다. 안쪽에 배치된 램프하우징(16)은 전구(44) 및 그것의 후부에 금속으로 만든 반사경(46)으로 나타낸 광원이 있다. 램프 하우징(16)의 안쪽 표면과 직접 접촉에 의하여 그들의 밖으로 지탱하기 위하여 그 위에 위치가 수평적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램프 하우징(16)의 후부벽(40)상에 형성되어 있는, 그리고 그것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캔틸 레버 제1(48) 및 제2(50)가 사용된다. 상기 캔틸 레버(48) 및 (50)는 주하우징부(18)와 일련으로 만들 수 있다.
제2도 및 4도의 검토와 같이, 제1캔틸 레버(48)는 전방쪽으로 구멍이 나있는 블라인드 구멍(54)을 한정하고, 보강리브(52)로 완성시키고, 실린더 형태를 취한 것을 나타낸다. 나사못(56)은 틈새 구멍(58)을 통과하여 반사경(46)의 포물선 모양의 주부(60)내에 연장되고, 제1캔틸 레버(48)내의 구멍(54)에 나사산으로 맞물리게 한다.
제2도, 3도 및 5도는 제2캔틸 레버(50)가 제1캔틸 레버(48)보다 넓고 또한 수직적인 크기가 큰 것을 도시한다. 양단 면적으로, 제2캔틸 레버(50)는 I형이고, 그것간의 웨브부(64) 및 상부 및 하부에서 한상의 비교적 두꺼운부(62)를 갖는다. 제2캔틸 레버(50)의 두꺼운 부(62)는 전방쪽으로 구멍이 나있는 그 점에 구멍(66)을 만든다. 웨브부(64)는 그것의 정면 테두리 끼운 대체적으로 반원형의 리세스(68)를 갖는다. 제2도에서 주시된 바와 같이, 웨브부(64)의 테두리는 오른쪽 테두리로부터 왼쪽 테두리에 전방쪽으로 다소 완만하게 측면으로 경사진 반원형의 리세스(68)를 한정한다.
상기 반원형의 리세스(68)에서의 맞물림은 반사경(46)내의 반원형의 리세스(72)에 또다르게 떠받친 램프소켓(70)이다. 램프 소켓(70)은 틈새 구멍(78)을 관통하여 반사경 주부(60)의 펼친 측면 연장부(80)에 연장된 그리고 제2캔틸 레버(50)내의 구멍(66)에 나사산으로 맞물린 한쌍의 나사못(76)과 죔쇠(74)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유지한다. 이와 같이, 죔쇠(74)와 나사못(76)은 램프 소켓(70)을 죄기 위한 2중 목적을 역할하며, 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이 제2캔틸 레버(50)에 반사경(46)의 오른쪽 끝을 단단히 고정시킨다.
그와 같이 죄어진, 램프 소켓(70)은 제2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캔틸 레버(50) 및 반사경(46)내의 리세트(68) 및 (72)의 관련되는 위치때문에 오른쪽 끝으로부터 왼쪽 끝으로 연장된 것처럼 수평면에 전방으로 기울인다. 백열 전구(44)는 램프 소켓내에 움직일 수 있게 맞물린 백열전구의 베이스(82)를 갖고, 반사경 주부(60)의 정면에 그것에 의하여 정확하게 위치한다. 단지 3개의 나사못 또는 동등한 죄이는 볼트류 및 하나의 죔쇠는 램프 하우징(16) 내부에 열로 격리된 위치에 백열 전구(44) 및 반사경(46)을 설치하기 위하여 요구된 것을 이해하게 된다.
반사경(46)은 램프 하우징(16)의 상하부 벽 및 전구간에 끼우도록, 적어도 한쌍의 전방 연장부 또는 그것의 주부(60)의 상하부 끝, 또한 그것의 측면 연장부(80)로부터 전방쪽으로 연장하는 엷은 차폐부(84)를 둘러싸도록 만든다. 반사경(64)의 전방 연장부(84)는 방사에 의하여 램프 하우징(16)에 열 전도를 최소화하도록 백열 전구(44)의 크기와 비교하여 충분히 크게한다.
램프 하우징(16)의 하부(86)에서 의지하는 것은 제1도 내지 4도에서 보인, 그것의 후부 창(12) 밑에 있는 속이 빈 구조부(90)상에 램프 어셈블리(10)를 설치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잴의 속이 빈 램프 스탠더드(88)이다. 램프 스텐더드(88)는 램프 하우징(16)의 정면부(22)에 결합된다. 정면 하우징부(22)의 하부에서의 열 방출개구(92)는 램프 스탠더드(88)내의 속디 빈(94)것을 열게한다. 램프 스탠더드(88)는 그것의 하부 끝으로부터 반대 측면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 기저(96)를 갖는다. 제4도에서, 정지램프 어셈블리(10)가 차(14)의 속이 빈 구조물(90)에 설치된 볼트(100)로 떠받치기 위해 플랜지 기저(96)는 한쌍의 틈새 구멍(98)을 그곳에 만든다. 기저 덮개(102)는 한쌍으로 설치한 볼트(100)를 덮어 씌우도록 플랜지기저(96) 위에 적합하게 맞춘다.
제1도 및 3도는 속이 빈 램프 스탠더드(88)의 하부끝이 후자에서 만든 개구(108)를 통하여 속이 빈 구조부(90)로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짧은 관(106)을 가진 평평한 폐쇄 부재(104)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나타낸다. 관(106)과 부재(104)는 생략될 수 있지만, 상기 모든 것은 램프 하우징(16)이 램프 스탠더드(88)를 통해 차부(90)의 내부쪽으로 열리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가로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 어셈블리(10)의 구조물이 있으며, 램프 하우징(16)의 상부, 하부 및 후부 벽쪽으로 백열 전구(44)에 의한 열 방사는 전방 연장부(84)의 한쌍과 금속으로 된 반사경에 의해 모든 차단된다. 비록 반사경(46)이 백열전구(44)에 의해 가열되더라도, 반사경의 열은 램프 하우징(16)에 정확하게 전도되지 않지만, 단지 두개의 캔틸 레버(48) 및 (50)을 통하여 전도된다. 부가적인 장점과 같이, 램프 하우징(16) 내부의 가열된 공기는 래프 하우징의 하부재의 개구(90) 및 램프 스탠더드(88)내의 속이 빈(94)를 통하여 차(14)의 구조부(90)내의 넓은 공간으로 통풍된다. 램프 스탠더드(88)의 하부는 가열된 공기의 가장 효과적 분산하기 위해 폐쇄 부재(104)에 의해 왼쪽으로 열려있게 된다. 승용차에 대해 추가로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를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감소된 온도 램프 어셈블리를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유리는 상기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을 원치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및 응용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8)

  1. 다른 용도중에서도 자동차상에 추가로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감소된 온도 램프어셉블리(10)에 있어서, (a)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부착된 렌즈(26)를 가진 플라스틱 재질의 램프 하우징(16)과, (b) 램프 하우징(16) 내에 한정된 열 방출 개구(92)와, (c) 램프 하우징(16) 내부의 지지수단과, (d)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램프 하우징(16)의 내측표면으로부터 간격된 광원(44), 방사에 의해 램프 하우징(16)에 전달된 열의 감소를 위해 광원(44)의 적어도 상하부 및 후부를 덮는 반사경(46)과, (e) 소정의 물체에 램프 어셈블리(10)를 설치하기 위하여 램프 하우징(16)에 결합하며, 열 방출 개구(92)를 통하여 램프 하우징의 내부와 직접 통해 있는 곳에 형성된 관통 구멍(94)을 가진 램프 스탠더드(88)를 포함하며, (f) 그로써 광원(44)에 의해 내뿜어진 열이 열 방출개구(92)를 통하여 관통 구멍의 램프 스탠더드(88)로 새어나가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램프 하우징과 일련으로 형성된 한쌍의 캔틸 레버(48, 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a) 하나의 캔틸 레버(48)에 반사경(46)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볼트류(56)와, (b) 반사경(46)을 통하여 다른 캔틸 레버(50)에 광원(44)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4. 자동차의 관통 구멍 구조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추가로 감소된 발열부로 높게 설치된 정지램프에 있어서, (a) 앞면이 열린 단부(24)를 가지고, 후부 벽(20) 및 하부(86)를 구비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램플 하우징(16)과, (b) 램프 하우징(16)의 앞면 단부(24)를 폐쇄하는 렌즈(25)와, (c) 램프 하우징(16)의 하부(86)에 한정된 열 방출 개구(92)와, (d) 램프 하우징(16)의 후부 벽(20)으로부터 전방쪽으로 연장하는 캔틸 레버된 지지수단(48, 50)과, (e) 캔틸 레버된 지지수단(48, 50)에 의해 지지되고 그로써 램프 하우징(16)의 내부측 표면으로부터 간격된 광원(44)과, (f) 램프 하우징(16)의 전방쪽으로 광을 반사하기 위해 광원(44) 후부에 배치되고 또한 램프 하우징(16)의 내부측표면으로부터 간격된 위치에 캔틸 레버된 지지수단(48, 50)에 의해 지지되고, 광원(44)에 의하여 방사된 열로부터 램프 하우징(16)을 차단하기 위해 적어도 한쌍의 전방 연장부(84)를 구비하여 형성된 금속제의 반사경(46)과, (g) 램프 하우징(16)의 하부(86)로부터 매달려 있고, 열 방출 개구(92)를 통하여 램프 하우징(16)의 내부와 직접 통해 있는 곳에 형성되고, 자동차의 관통구멍 구조부(90)상에 램프를 설치하기 위해 있는 램플 스탠더스(88)를 포함하며, (h) 그로써 광원에 의해 내뿜게된 열이 램프 하우징(16)의 내부로부터 열 방출 개구(92)를 통하여 관통 구멍 램프스텐더드(88)로 새나갈 수 있고, 그리고 램프 하우징(16)에서의 최소한의 열 전도와 함께 후자에서 만든 개구를 통하여 차량의 관통 구멍 구조부(90)로 새어나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캔틸 레버된 지지수단(48, 50)이, (a) 그 곳에 고정된 반사경(46)을 갖기 위하여 램프하우징(16)과 일련으로 형성된 제1캔틸 레버(48)와, (b) 램프 하우징(16)과 일련의 형성되고 제1캔틸 레버(48)로부터 간격된 제2캔틸 레버(50)와, (c) 제2캔틸 레버(50)에 광원(44)을 고정시키며, 제2캔틸레버(50)에 반사경(46)을 고정시키기에 또한 효과적인 고정수단(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광원이 고정수단(74)에 의해 제2캔틸 레버(50)에 고정된 램프 소켓(70) 및 램프 소켓(70)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맞물린 백열 전구(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램프.
  7. 제4항에 있어서, 램프 하우징(16)이 그 자체의 앞면 종단부(24)에 형성된 테(40. 4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램프.
  8. 제4항에 있어서, 램프 하우징(16)이 후부 벽(20)을 구비하고 전방쪽으로 열린 주부(18)와, 그 곳에 부착된 렌즈(26)를 갖고 그것에 대해 전방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주부(18)에 결합된 정면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램프.
KR1019880013727A 1987-10-23 1988-10-21 차량용 후부 신호등 KR920005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67381A JPH01109142A (ja) 1987-10-23 1987-10-23 車輌用後部信号灯
JP267381 1987-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015A KR890007015A (ko) 1989-06-17
KR920005571B1 true KR920005571B1 (ko) 1992-07-09

Family

ID=1744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727A KR920005571B1 (ko) 1987-10-23 1988-10-21 차량용 후부 신호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31501A (ko)
JP (1) JPH01109142A (ko)
KR (1) KR920005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5539A (ja) * 1987-12-28 1989-07-12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ハイマウンテッドストップランプ
US5201579A (en) * 1991-08-06 1993-04-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Lamp housing mounting arrangement
US5243502A (en) * 1992-03-20 1993-09-07 Ford Motor Company High-mounted brake lamp for easy installation
FR2689828B1 (fr) * 1992-04-08 1998-04-10 Valeo Vision Feu de signalisation monte sur une plag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DE4411440A1 (de) * 1993-03-31 1994-10-06 Koito Mfg Co Ltd Holographische, hochangebrachte Bremsleuchte für Fahrzeuge
JP2981713B2 (ja) * 1995-01-10 1999-11-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EP2331366B1 (en) * 2008-08-29 2014-12-10 Illume LLC Vehicle projector lamp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8006A (en) * 1976-10-15 1978-05-01 Nippon Kokan Kk <Nkk> Tuyere for blast furnace
JPS5855143Y2 (ja) * 1978-08-09 1983-12-16 日本理化製紙株式会社 表裏異種材料からなる小袋連続体
JPS5627604U (ko) * 1979-08-06 1981-03-14
JPS60193738A (ja) * 1984-03-15 1985-10-0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照明器
JPS6166030U (ko) * 1984-10-04 1986-05-07
US4602320A (en) * 1985-02-21 1986-07-22 Redondo Investment Limited Adjustable safety lamp for vehicle windows
US4724515A (en) * 1985-04-26 1988-02-09 Nissan Motor Co., Ltd. Vehicle-use lamp fixture and braking indicator mechanism
JPH0212645Y2 (ko) * 1985-04-27 1990-04-10
US4575782A (en) * 1985-06-10 1986-03-11 General Automotive Specialty Company, Inc. Collision avoidance light
US4654757A (en) * 1985-10-29 1987-03-31 Creative Design Technologies, Ltd. Adjustable auxiliary vehicle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015A (ko) 1989-06-17
JPH01109142A (ja) 1989-04-26
JPH0459179B2 (ko) 1992-09-21
US4831501A (en) 198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6967A (en) Auxiliary lamp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 or the like
KR19990045152A (ko) 차량용 전조등
JPH01264101A (ja) ランプ一体型フロントグリル
JP2006510177A (ja) 自動車用照明ユニット
US6419382B1 (en) Headlamp for a vehicle
KR920005571B1 (ko) 차량용 후부 신호등
JPH10321009A (ja) 車両用灯具
US6450670B1 (en) Lamp assembly with heat transfer system
US6998784B2 (en) Vehicular headlamp
JP3168511B2 (ja) 車輌用灯具
KR101371563B1 (ko) 차량용 등기구
US5993035A (en) Combined light shield and heat shield for headlight
US2245755A (en) Headlight with indicator
US2748255A (en) Automotive vehicle headlight
JPH08216773A (ja) 車両のフロント部に配置された照明装置
KR100422789B1 (ko) 간접 조명방식의 차량용 램프
EP1205705B1 (en) Electric discharge lamp device
KR950029019A (ko) 자동차 전조등
JP2000062526A (ja) 車輌用前照灯
JP3122034B2 (ja) 車輌用前照灯
JP3193631B2 (ja)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CN211875920U (zh) 一种新型快拆式远近光一体化led汽车前照灯
JPH09115303A (ja) 車両用の前照灯
JP3449477B2 (ja) 車両用ランプ
JP3371742B2 (ja) 自動車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