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259B1 - 음료 추출기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259B1
KR920004259B1 KR1019890015853A KR890015853A KR920004259B1 KR 920004259 B1 KR920004259 B1 KR 920004259B1 KR 1019890015853 A KR1019890015853 A KR 1019890015853A KR 890015853 A KR890015853 A KR 890015853A KR 920004259 B1 KR920004259 B1 KR 92000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ing water
case
extraction
extraction cas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372A (ko
Inventor
요시유끼 미와
다까시 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0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2Centrifuges for producing filtered coff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료 추출기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도는 에시프레소(espresso)방식에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의 종단정면도.
제 2 도는 드립(drip)방식에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정면도.
제 3 도는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전기회로도.
제 4 도는 추출케이스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케이스 2 : 저수탱크
3 : 보틀 5 : 끓는 물 생성기구
6 : 히터 7 : 가열관
9 : 모터 15 : 에스프레소용 추출케이스
17 : 덮개 18 : 여과부
20 : 드립용 추출케이스 22 : 상승관
23 : 끓는물 공급아암 24 : 끓는물 공급통로
본 발명은 커피가루등의 원료에 끓는 물을 공급해서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음료추출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추출케이스의 바닥부에 필터를 설치해 끓는 물 생성기구에 의하여 가열된 물을 필터위의 커피가루등의 원료에 공급하고 이것을 필터로 여과해서 음료를 추출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추출케이스내에 공급된 끓는물이 필터위의 원료 퇴적층속을 아랫쪽으로 침투해서 필터로 여과되는 구성이므로 일반적으로 추출케이스내에서의 끓는물의 체류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원료에서 맛을 손상하는 성분(예를들면 쓴성분)까지도 추출되어 추출하는 음료의 맛이 손상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같은 결점은 원료의 양이 많거나 분말의 입도가 미세하면 할수록 현저해져 이런면에서의 개선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사정을 고려해 만든 것으로 그 목적은 추출되는 음료의 맛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는 음료추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음료추출기는 바깥둘레부에 음료추출용의 여과부를 갖는 추출케이스와, 이 추출케이스내에 공급되는 끓는물을 만드는 끓는물 생성기구와, 상기 추출케이스를 회전시켜 추출케이스내에 공급된 끓는물을 회전원심력으로 원료속을 통과시켜 상기 여과부에서 음료로 추출하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끓는물 생성기구에서 생성된 끓는물을 추출케이스내에 공급하기 위하여 추출케이스의 윗쪽에 끓는물 공급통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 추출케이스내에 커피가루등의 원료를 수용하고 끓는물 생성기구로 끓는물을 만들고 이 끓는물을 끓는물 공급통로를 통해 추출케이스의 윗쪽에서 추출케이스내의 원료에 공급함과 동시에 모터를 가동해서 추출케이스를 회전시킨다.
이 케이스의 회전으로 추출케이스내에 공급된 끓는물에 회전원심력을 부여해 끓는물을 원료속을 비교적 빨리 통과시켜 케이스 바깥둘레부의 여과부에서 음료로 추출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은 음료추출기의 본체케이스로, 그 좌측부에는 카트리지식의 저수탱크(2)가 설치되며 또 우측하부에는 커피액 저장용의 보틀(3)을 적재하는 가열대(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열대의 아랫면측에는 끓는물 생성기구(5)를 구성하는 히터(6)와 가열관(7)이 아울러 설치되며, 이 가열관(7)의 한단은 연결부재(8)를 통해 저수탱크(2)의 배수구(2a)와 연결되어 있다.
"9"는 저수탱크(2)와 보틀(3)사이에 설치된 종축형의 모터로 이 모터 (9)의 윗부분에는 모터상부케이스(30)의 상면에 외장케이스(10)의 하부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 외장케이스(10)의 바닥부 우측단에 형성된 배수구(11)가 보틀(3)의 윗면개구에 면해 있다.
외장케이스(10)의 하부와 모터상부케이스(30)의 상면은 접촉될 수 있고, 외장케이스(10)는 윗쪽으로 뽑아냄으로서 모터상부케이스(30)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외장케이스(10)의 바닥부중앙에 형성된 짧은 원통형의 통과공(12)에서 상기 모터(9)의 회전축(13)이 윗쪽으로 돌출되며 회전축(13)의 상단에 이음부재(14)가 고착되어 있다.
이에 반해 "15"는 외장케이스(10)내에 수용된 에스프레소(원심추출)용의 추출케이스로, 그 바닥부중앙에 아랫방향으로 설치된 대롱모양의 연결부재(16)를, 상기 회전축(13)윗단의 이음부재(14)에 탈착이 가능하게 끼워맞추어 연결함으로써 추출케이스(1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이음부재(14)는 측면에 볼록형상의 날개를 설치한 수지의 형상이며, 연결부재(16)는 상기 이음부재(14)의 볼록형상의 날개를 끼워맞춤되는 대응오목부를 설치한 주지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9)가 회전하면 회전축(13)의 끝단의 이음부재(14)가 회전하고, 이음부재(14)의 날개에 의해 연결부재(16)가 회전하여, 결과적으로 추출케이스(15)가 회전하게 된다.
이 추출케이스(15)의 내측벽은 윗측이 넓게 열리는 테이퍼면형으로 형성되며 그 윗면 개구부에는 덮개(17)가 걸어맞춤장치(도시가 안됨)를 통해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덮개(17)와 추출케이스(15)의 윗단간에는 예를들면 약 0.2mm의 틈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이 틈을 여과부(18)로 이용하고 있다.
또 덮개(17)의 중앙에는 끓는물을 통과시키는 대롱모양의 끓는 물낙하구(19)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추출케이스(15)는 에스프레소용의 것이지만 에스프레소가 아니고 드립식의 추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 2 도에 나타내는 드럼용의 추출케이스(20)로 바꾸면 된다.
이 드립용의 추출케이스(20)는 바닥면에 필터(21)를 설치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전술한 에스프레용의 추출케이스(15)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한편 가열관(7)의 출구에는 본체케이스(1)의 상부에 까지 뻗는 상승관(22)이 접속되며, 이 상승관(22)의 윗단에 끓는물 공급아암(23)이 덮개(17)의 윗쪽을 수평선회가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있다.
이 끓는물 공급아암(23)의 끓는물 출구(23a)는 덮개(17)의 끓는물 낙하구(19)의 바로위에 배치가능하게 되어 있어 그 끓는물 출구(23a)에서 토출되는 끓는물이 추출케이스(15), (20)의 덮개(17)의 윗쪽에서 끓는 물 낙하구(19)를 통해 추출케이스(15), (20)내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승관(22)과 끓는물 공급아암(23)으로 끓는물 공급통로(24)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스(1)의 윗면에는 끓는물 공급아암(23)등을 덮는 덮개(1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기회로를 나타내는 제 3 도에서 "25"는 전원스위치로 본체케이스(1)의 전면 조작패널(도시안됨)에 설치되어 있다.
"26"은 히터(6)에 직렬로 접속된 상시 폐쇄형의 서모스타트로, 이 서모스타트(26)는 가열대(4)의 히터(6) 주변에 함께 설치되어 가열관(7)내로의 물의 공급이 종료되어 히터(6)주변의 온도가 급상승한 시점에서 이 서모스타트(26)가 오프되어 히터(6)가 단전되도록 하고 있다.
또 히터(6)의 통전로중에는 릴레이구동코일(27)이 서모스타트(26)와 직렬로 설치되며, 이 릴레이구동코일(27)에 통전되고 있는 동안에는 모터(9)의 통전로중의 릴레이접점 (28)이 "온"되어 모터(9)의 통전되며, 이 릴레이구동코일(27)의 단전에 의해 릴레이접점(28)이 오프로 복귀해 모터(9)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29'는 추출방식을 「에스프레소」와 「드립」으로 변환할 수 있는 추출방식 변환스위치로 이 스위치(29)를 "온"하면 「에스프레소」로 되며 오프하면 「드립」이 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에스프레소」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에스프레소용의 추출케이스(15)내에 미세한 커피가루(A)를 수용해서 제 1 도의 상태로 세트한다.
그리고 추출방식 변환스위치(29)를 「에스프레소」로 변환해서("온"해서) 전원스위치(25)를 '온'하면 히터(6)로의 통정이 개시되어 저수탱크(2)에 가열관(7)내로 공급된 물이 가열되어 서서히 끓게 된다.
그리고 가열관(7)에서 끓는 물이 비등압에 의해 상승관(22)내를 통해 끓는 물 공급아암(23)으로 서서히 밀어올려져 그 끓는물 출구(23a)에서 끓는물이 덮개(17)의 끓는물 낙하구(19)를 통해 추출케이스(15)내에 공급된다.
이 경우 히터(6)로의 통전개시와 동시에 릴레이구동코일(27)에도 통전되며 이에 따라 릴레이 접점(28)이 "온"되어 모터(9)에도 통전되어 모터(9)가 회전한다.
이로써 추출케이스(15)가 고속회전하여 그 회전원심력에 의해 커피가루(A)가 제 1 도에 나타내듯이 추출케이스(15)의 내측벽에 달라붙게 되어 중앙부분이 빈 상태로 되며 이 빈 부분에 끓는 물이 적하되어 추출케이스(15)의 속바닥면에 담겨진다.
이 끓는 물은 추출케이스(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속바닥면을 따라 커피가루(A)내로 침수한다.
이 과정에서 끓는 물은 커피가루(A)에서 엑기스를 추출하면서 회전원심력으로 비교적 빠르게 커피가루(A)속을 통과해서 추출케이스(15)의 내측벽에 도달하며 그리고 그 내측벽의 테이퍼면을 따라 상승해 추출케이스(15)의 윗단과 덮개(17)사이의 약간의 간격 즉 여과부(18)에서 주위로 흩어져 외장케이스(10)의 내측벽에 모여진다.
이때 여과부(18)에서는 커피가루(A)가 여과되어 커피액만이 추출된다.
그리고 외장케이스(10)의 내측벽에 모인 커피액은 그 내측벽의 아랫쪽을 따라흘러 최종적으로 배수구(11)에서 보틀(3)내로 적하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저수탱크(2)내의 물이 전부 가열관(7)내에서 가열이 끝나면 히터(6)가 가열관(7)의 온도가 급상승해 서모스타트(26)가 오프되어 히터(6)가 단전됨과 아울러 릴레이구동코일(27)의 단전에 의해 릴레이 접점(28)이 오프되어 모터(9)가 정지된다.
한편 「드립」으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에스프레소용의 추출케이스(15)를 외장케이스(10)내에서 떼어내는 한편, 드립용의 추출케이스(20)내에 중간 정도로 빻은 커피가루(B)를 수용하고 이 추출케이스(20)를 외장케이스(10)내에 수용해서 제 2 도의 상태로 세트한다.
그리고 추출방식 변환스위치(29)를 「드립」으로 변환해서(오프해서) 전원스위치(25)를 '온'조작하면 히터(6)에만 통전된다.
이로써 끓는 물이 추출케이스(20)내에 공급되어 종래와 똑같은 드립방식으로 커피액이 추출된다.
이때 모터(9)에는 통전되지 않고 추출케이스(20)는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스프레소」로 추출하는 경우, 추출케이스(15)를 모터(9)로 고속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끓는물을 회전원심력으로 커피가루(A)속을 비교적 빨리 통과시켜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다.
이같은 에스프레소방식에서는 커피가루(A)의 입도가 미세하거나 양이 많아도 추출케이스(15)내에 있어서의 끓는물의 체류시간은 종래에 비해 짧아지므로 커피가루(A)로부터 본래의 향기가 높은 성분만을 추출하고 맛을 손상하는 성분이 추출되지 않게 해서 커피가루(A)의 입도, 양의 여부와 관계없이 커피액의 맛을 안정되게 잘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끓는물을 추출케이스(15)의 윗쪽에서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끓는물 생성기구(5) 및 끓는물 공급통로(24)의 구성은 종래의 커피추출기와 똑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어 이러한 면에서 제조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끓는물 공급방식을 고려하여 모터(9)의 회전축(13)의 이음부재(14)에 대해 에스프레소용이 추출케이스(15)와 드립용의 추출케이스(20)을 대체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에스프레소」「드립」을 선택할 수 있어 다양화되어가는 사용자의 기호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경우 추출방식의 변환을 추출케이스(15)(20)의 대체에 의해 이루어지며, 히터 (6)와 끓는물 공급통로(24)는 어떤 추출방식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드립추출기 구조와 에스프레소 추출기 구조를 단순히 일체화한 구성의 것과 비교하면 구성이 매우 간단해져 대폭적인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추출케이스(15)의 윗단과 덮개(17)사이에 형성된 약간의 간격을 여과부(18)로 하고 있지만 예를들면 추출케이스(15)의 측벽 전체에 걸쳐 미세한 구멍을 다수 만들어 이것을 여과부로 해도 좋다.
그외 본 발명은 커피액의 추출외에 홍차, 일본차등 음료를 적용해 실시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해졌듯이 음료의 추출시에는 추출케이스를 모터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끓는 물을 회전원심력으로 원료속을 비교적 빨리 통과시켜 음료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원료에서 본래의 향기 높은 성분만을 추출해서 맛을 손상하는 성분의 추출없이 추출하는 음료의 맛을 안정화해서 잘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끓는물을 추출케이스의 윗쪽에서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끓는물 생성기구 및 끓는물 공급통로의 구성은 종래의 커피추출기등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어 이러한 면에서 제조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바깥둘레부에 커피액추출용의 여과부(18)를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추출케이스(15)와, 커피액추출시에 추출케이스(15)내에 공급되는 끓는 물을 생성하는 끓는 물 생성기구(5)와, 이 끓는 물 생성기구(5)에서 생성된 끓는 물을 추출케이스(15)의 윗쪽에서 추출케이스내에 공급하는 끓는물 공급통로(24)와, 커피액 추출시에 추출케이스를 회전구동하는 모터(9), 로 구성되며, 커피액 추출시, 상기 케이스(15)를 회전시킴으로써 끓는물 생성기구(5)에서 끓는물 공급통로(24)를 통해 추출케이스(15)의 윗쪽에서 공급된 끓는 물을 원심력으로 커피가루속을 통과시켜 바깥둘레부의 여과부에서 여과시켜 커피액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기.
KR1019890015853A 1988-11-02 1989-11-02 음료 추출기 KR920004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78296A JP2731186B2 (ja) 1988-11-02 1988-11-02 飲料抽出器
JP63-278296 1988-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372A KR900007372A (ko) 1990-06-01
KR920004259B1 true KR920004259B1 (ko) 1992-06-01

Family

ID=1759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853A KR920004259B1 (ko) 1988-11-02 1989-11-02 음료 추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31186B2 (ko)
KR (1) KR920004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604B1 (ko) * 2007-06-05 2014-12-01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원심분리에 의하여 액체 음식을 제조하기 위한 일회용 캡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4546B2 (ja) * 1992-04-01 1998-04-28 株式会社栃本天海堂 固体抽出機
WO2006112691A1 (en) * 2005-04-22 2006-10-26 Meccano Asia Ltd. Device for preparing coffee
ES2387261T3 (es) 2007-06-05 2012-09-19 Nestec S.A.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un líquido alimenticio contenido a partir de una sustancia alimenticia contenida en un receptáculo por centrifugación
WO2008148601A1 (en) 2007-06-05 2008-12-11 Nestec S.A.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or liquid food and system using brewing centrifugal force
KR20100017635A (ko) 2007-06-05 2010-02-16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원심 분리에 의해 액체 음식을 제조하는 캡슐 및 방법
US8431175B2 (en) 2007-06-05 2013-04-30 Nestec S.A.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 liquid and system using brewing centrifugal force
PT2330953E (pt) 2008-09-02 2015-09-09 Nestec Sa Método para preparar um líquido alimentar contido numa cápsula por centrifugação e sistema adaptado para esse método
CA2734935C (en) * 2008-09-02 2015-02-10 Nestec S.A. Controll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s
US8962048B2 (en) * 2008-12-03 2015-02-24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EP2378932B1 (en) * 2008-12-09 2014-04-23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device adapted therefore
CA2745294C (en) 2008-12-09 2017-12-19 Nestec S.A. Liquid food preparation system for preparing a liquid food by centrifug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28188C3 (de) * 1973-07-09 1979-01-25 Cailliot, Serge Leon Louis, Neuillysur-Seine Kaffeemaschine mit absenkbarem Zentrifugierbehälter
JPH0420366Y2 (ko) * 1986-08-28 1992-05-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604B1 (ko) * 2007-06-05 2014-12-01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원심분리에 의하여 액체 음식을 제조하기 위한 일회용 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24111A (ja) 1990-05-11
KR900007372A (ko) 1990-06-01
JP2731186B2 (ja) 1998-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259B1 (ko) 음료 추출기
US4545296A (en) Centrifugal apparatus for making coffee
KR930004465B1 (ko) 커피 제조기
KR900007762Y1 (ko) 커피 분쇄기
JPH0632035Y2 (ja) 飲料製造機
JPH082335B2 (ja) コーヒー製造機
JPS6135131Y2 (ko)
JP2798816B2 (ja) コ−ヒ−沸し器
JPS6334585Y2 (ko)
JPS6210652B2 (ko)
JPS5855874Y2 (ja) コ−ヒ−製造器
JPS6330355Y2 (ko)
JPH06292633A (ja) コーヒーメーカ
JPS6028342Y2 (ja) 珈琲製造器
JPS58325B2 (ja) 「コ−」「ヒ−」製造機
KR900007761Y1 (ko) 커피 제조기
KR900007760Y1 (ko) 커피 제조기
USRE26463E (en) Infusion machine
JPH0117361B2 (ko)
JPS6213556Y2 (ko)
JPS5835155Y2 (ja) 「こ−」「ひ−」製造器
JPS62161330A (ja) コ−ヒ−製造機
JPS6141207B2 (ko)
JPS6142564B2 (ko)
JPS621065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