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850B1 -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850B1
KR920003850B1 KR1019860004753A KR860004753A KR920003850B1 KR 920003850 B1 KR920003850 B1 KR 920003850B1 KR 1019860004753 A KR1019860004753 A KR 1019860004753A KR 860004753 A KR860004753 A KR 860004753A KR 920003850 B1 KR920003850 B1 KR 92000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ngaging
vehicle
engagement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207A (ko
Inventor
노부히코 카와사키
코우이치 이케다
시니치 키무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사에끼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3264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502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3893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364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38939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46242U/ja
Priority claimed from JP140215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5219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4460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7824Y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사에끼 아끼라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207A/ko
Priority to KR101991001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851B1/ko
Priority to KR1019920000574A priority patent/KR920004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75Holders with resilient means for protecting apparatu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S403/01Magn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10T403/602Biased catch or latch by separate spring
    • Y10T403/604Radially sliding catch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의한 차량탑재기기의 전원 접속장치를 표시한 정면도.
제 2 도와 제 3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 있어 차체측의 접속부를 표시한 정면도와 좌측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장치를 실시한 에어폿트 설치 상태도.
제 5 도는 제 4 도 에어폿트의 탄성지지장치를 표시한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한 카폿트등의 차량탑재용기구 계합장치의 피계합돌부에 대한 횡단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 계합장치의 계합요부 횡단단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의 계합장치의 계합요부와 피계합돌부가 계합된 상태의 횡단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표시한 카폿트등의 차량탑재용기구 계합장치의 피계합돌부에 대한 횡단단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 계합장치의 계합요부와 피계합돌부가 계합한 상태의 횡단단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표시한 차량탑재용기구의 요부 횡단단면도.
제 12 도는 제 11 도 차량탑재용기구의 자성제의 착설상태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
제 13 도는 제 12 도 착설판의 횡단단면도.
제 14 도는 제 11 도 차량탑재용기구와 착설판과의 계합상태를 표시한 횡단단면도.
제 15 도 내지 제 17 도는 전극단자와 전극삽입부와의 관계도.
제 18 도는 2 선식 배선도.
제 19 도는 3 선식 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에어폿트 4 : 탄성지지장치
8 : 소음재 9 : 스프링
10 : 지지체 11 : 크램프핀
13 : 기기축 접속기 14 : 전극판
15 : 차체측 접속기 19 : 지지금구
21 : 연결구 22 : 전원코오드
101, 201 : 차체 104, 204 : 계합요부
105, 205 : 피계합돌부 111 : 케이스
206 : 자성체 207 : 강판
208 : 장공 210 : 지지공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전기폿트등의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탑재용기기의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폿트등의 차량탑재용기구는 차량탑재용기구를 자체에 나사등으로 고정하는 형식의 것, 또는 전혀 자체에는 고정하지 않고 좌석시트상에 방치하거나 창문틀에 걸어서 사용하는 형식의 것들이 주로 있었다. 그러나 차량탑재용기구를 이동시키거나, 어떠한 위치나 방향에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서는 나사를 매번 풀을 필요가 있어서 매우 번거로웠다.
또한 시트위에 방치하거나하면 안전성 바람직하지 않고, 차량탑재용기구를 분실하는 사례도 있다. 또한 창문틀에 걸어 사용하는 형식의 것은 차체의 진동에 의하여 벚겨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탑재용기구와 그 착설장치와의 접속부가 차체의 격심한 횡방향진동에 의하여 마모되어 기구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결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폿트등의 기기에 있어서는 물의 보급등을 고려하여 차체의 적당한 위치에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하게 되지만 착탈을 고려하고 설치한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중 차체와 기기와는 상이한 진동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기기측 접속기와 차체측 접속기를 다같이 고정상태로 설치한 경우에는 차량주행 중 양접속기가 서로 상이한 진동상태가 되기 때문에 양접속부의 파괴, 나아가서는 양접속기 자체가 파괴되게되어 실용화에 있어서는 진동에 대하여 충분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더우기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원접속장치가 요구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동에 의하여 파괴되는 일 없이 장기에 걸쳐 안정된 접속상태를 발휘할 수 있는 차량탑재용기기의 접원접속장치를 제공하고 용이하게 실용화할 수 있게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진동에 대한 내진성이 있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카폿트등의 차량탑재용기기의 계합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1은 차체(2)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한 기대, 3은 물끓이기와 보온기능을 가진 에어폿트이고, 상기 폿트(3)는 기대(1)상에 탄성지지장치(4)에 의하여 착탈자재하게 설치한다.
상기 탄성지지장치(4)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1)상에 입설한 볼트등의 축(5)과 이 축(5)에 상하동자재하게 감삽하고 외주에 계합용의 돌조(7)를 형성한 계합보스(6)와, 이 계합보스(6)와, 축(5)의 외주면이 계합보스(6)에 내장되어 보스(6)를 항상 하방으로 압압하는 스프링(9)과 저면요소에 내설한 환상의 지지체(10)와, 지지체(10)의 내주에 출몰자재하게 설치되어 주위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복수개의 크램프핀(11)과, 지지체(10)내에 있고 크램프핀(11)을 항시 돌출방향으로 압압하는 스프링(12)으로 구성되어 있고, 에어폿트(3)는 저부의 지지체(10)를 계합보스(6)의 외주에 감합하고 각 크램프(11)을 돌조(7)에 계합시키므로서 기대(1)상에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에어폿트(3)는 소음재(8) 및 스프링(9)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 상태가 된다.
더우기 에어폿트(3)를 큰 힘으로 상측으로 들어올리게되면 크램프(11)이 스프링(12)에 반하고 후퇴하여 계합보스(6)의 돌조(7)와의 계합을 해제하게 되고 에어폿트(3)는 해탈할 수 있게 된다.
13은 에어폿트(3)의 저부에 고설된 기기측 접속기로서, 한쌍의 전극판(14)을 보유하고 있다.
15는 전극판(14)이 끼워지는 요구(16)를 형성하고 이 요구(16)의 내측에 전극받이(17)를 설치판 차체측 접속기로서, 기대(1)상에 가동자체하게 지지된다.
18은 차체측 접속기(15)의 양측양단부에 형성한 요부, 19는 기대(1)상에 입설한 지지금구로서, 그 선단의 절곡편(20)을 요부(18)내에 삽입하고 이 요부(18)에 의하여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상하, 좌우, 전후에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게 차체측 접속기(15)를 지지하고 있다.
21은 차체측 접속기(15)의 양측면에 착설한 연결구로서 탄성재로 구성되고, 기기측 접속기(13)의 양측면에 괘착한다.
22은 전원코오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에어폿트(3)의 지지체(10)를 기대(10)상의 계합보스(6)의 외주에 끼워 마추면 기기측 접속기(13)의 전극판(14)이 차체측 접속기(15)의 요구(16)에 끼워져 그 내측의 전극받이(17)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에어폿트(3)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한편 연결구(21)는 기기측 접속기(13)의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계착하여 접속기(13)를 협착하므로서 접속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차체(2)측의 기대(1)와 에어폿트(3)는 상이한 진동상태를 나타내지만, 차체측 접속기(15)는 기대(1)에 대하여 어느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기기측 접속기(13)와 일체적으로 진동하게 되어 진동의 차이에 의하여 양접속기(13), (15)가 파괴된다는 염려가 없게 되는 동시에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체측 접속기를 가동자재하게 하고 있지만, 기기측 접속기를 가동자재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연결구는 기기측 접속기에 설치하여도 같은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진동에 의하여 파괴되는 일 없이 장기간 안정된 접속상태를 발휘할 수 있는 전원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서 실지 실시함에 있어서 매우 유익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 2 의 실시예를 제 6 도 내지 제 8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카폿트등의 차량 탑재용기구의 계합장치는 차체(101)의 일부(도어의 내측등)에 차량탑재용기구(102)를 지지하기 위하여 착설판(103)이 나사(103a)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며 이 차량탑재용기구(102)와 착설판(103)중의 일방에 계납요부 (104)가 형성되고, 이 차량탑재용기구(102)와 착설판(103)중 탁측에 전기계합요부(104)에 계합하는 피계합돌부(105)가 형성되며, 이 계합요부(104)와 피계합돌부(105)는 스프링(106)에 지지된 계합핀(107)에 의하여 계탈자재하게 계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계합요부(104)는 상기 차량탑재용기구(102)에 상기의 피계합돌부(105)는 상기의 착설판(103)에 설치되었다.
상기의 착설판(103)은 상기의 차체(101)에 고정되는 고정판(103b)과. 상기의 차체(101)에서 돌출하며 당해 차체(101)와 착설판(103)사이에 간극(108)을 형성하는 돌판(103c)과 이 돌판(103c)과 상기의 고정판(103b)에 일체로 형성되는 입상판(103d)으로 형성되며, 상기의 돌판(103c)의 표면의 실질적인 중앙부에 상기의 피계합돌부(105)가 돌설되었다. 그리고 이 피계합돌부(105)는 경질의 합성수지제로서 이 피계합돌부(105)는 그 선단이 도면에 d1칫수로 형성되며 최대지름이 d2칫수가 되어 이 피계합돌부(105)를 상기의 계합요부(104)에 계합할 때, 상기의 스프링(106)에 지지된 계합편(107)을 압압하는 우산형의 제 1 사면(105a)과, 이 피계합돌부(105)를 상기의 계합요부(104)에 계합한 때에 이 피계합돌부(105)와 계합요부(104)의 해탈방지지 기능을 달성하는 상기의 제 1 사면(105a)과 반대경사의 제 2 사면(105b)과, 이 제 2 사면(105b)에 연속하는 도면중 d3칫수의 지름을 가진 목부분(105c)에 의하여 제 6, 8 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버섯형으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이 제 2 사면(105b)은 상기의 제 1 사면(105a)보다도 급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피계합돌부(105)는 대략 중앙을 관통하는 착설나사(109)에 의하여 상기의 돌판(103c)에 고정된다.
또한 착설나사(109)는 돌판(103c)을 관통하여 하단에 너트(109a)가 나합되고, 또한 착설나사(109)의 큰 지름 머리부(109c)는 피계합돌부(105)의 중앙요부(105e)의 저면에 맞다아 이 머리부(109c) 및 너트(109a)에 의하여 상기의 피계합돌부(105)는 착설판(103)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의 계합요부(104)는 상기의 피계합돌부(105)가 계합요부(104)에 계합한 경우에 이 피계합돌부(105)의 선단일부가 끼워지는 개입공간(110)이 연설되었다. 그리고 상기의 계합요부(104)의 내주벽 4개소에 케이스(111)가 고정되고, 이 케이스(111)의 관통공(111a)에서 계합요부(104)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상기의 계합편(107)이 관통돌출하고, 이 계합편(107)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편(107a)이 케이스(111)에 내장되고, 이 지지편(107a)과 케이스(111)의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의 계합편(107)을 계합요부(104)의 중심방향으로 압압하는 스프링(106)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의 계합편(107)은 상기의 피계합돌부(105)가 계합시에 상기의 피계합돌부(105)의 제 1사면(105a) 및 제 2 사면(105b)에 밀어부쳐서 이 제 2 사면(105b)에 계합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의 계합요부(104)의 좌우폭은 상기의 피계합요부(105)의 최대지름 d2과 대략 동등한 폭으로 형성되면 상기의 개입공간(110) 좌우폭은 상기의 피계합돌부(105)의 선단칫수 d1보다 약간크게 형성되었다.
다음에서 작용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차량탑재용기구(102)의 적당한 부분을 잡고 피계합돌부(105)에 계합요부(104)를 끼우도록하여 계합한다.
이때 피계합돌부(105)에 형성된 제 1 사면(105a)이 계합편(107)을 압압하면서 계합요부(104)가 들어간다.
이것은 계합편(107)을 지지하는 지지편(107a)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차량탑재용기구(102)를 밀어서 보다 깊게 계합하면 계합편(107)은 스프링(106)의 탄발력에 의하여 제 1 사면(105a)을 타넘고 제 2 사면(105b)에 계합하여 계합요부(104)가 피계합돌부(105)에 완전히 끼워진다.
따라서 차체(101)의 진동에 대하여 계합편(107)은 제 2 사면(105b)에 계합하고 있으므로 차량탑재용기구(102)가 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계합요부의 좌우폭은 돌부(105)의 최대지름 d2와 대략 같은 폭이므로 계합편(107)이 제 1 경사벽(105a)를 타넘었을때 계합편(107)의 전부가 케이스(111)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차량탑재용기구(102)를 착설판(103)에서 해탈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차량탑재용기구(102)의 적당한 부분을 잡고 잡아때는 것같이 하면, 계합편(107)이 제 2 사면(105b)을 타넘기 때문에 쉽게 해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요부를 차량탑재용기구에, 또한 피계합돌부를 착설판측에 배치하였으나 반대로 계합요부를 착설판측에 피계합돌부를 차량탑재용기구측에 배치하여도 된다.
다시 계합편을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계합요부에 배치하는 대신 피계합돌부에 배치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설명에 의하여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 일부에 차량탑재용기구와 착설판 중의 일방에 계합요부가 형성되며, 이 차량탑재용기구와 착설판중의 타방에 전기계합요부에 계합하는 피계합돌부가 헝성되며,이 계합요부와 피계합돌부는 스프링에 지지된 계합편에 의하여 계탈자재하게 계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기구의 계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계합요부가 스프링에 의하여 피계합돌부에 계합하므로서 차체의 진동에 대하여 강하고 또한 해탈도 용이하게 되므로 카폿트등의 차량탑재용기구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제 9 도 내지 제 10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제 6 도∼제 8 도)의 부재와 동일한 것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차량탑재용기구(102)에 계합요부(104)가 형성되며 착설판(103)에는 상기의 계합요부(104)에 계합하는 피계합돌부(105)가 돌설되고, 이 피계합돌부(105)와 이것을 지지하는 상기의 착설판(103)간에 제 1 스프링 A 가 장치되며, 이 계합요부(104)와 피계합돌부(105)는 제 2스프링(106)에 지지된 계합편(107)에 의하여 계탈 자재하게 계합된 것이다.
제 1 사면(105a)의 하단 최대지름이 d2칫수로 헝성되고, 목부분(105c)은 d3칫수로 형성된다.
상기의 피계합돌부(105)는 그 대략 중앙을 관통하는 착설나사(109)에 의하여 상기의 돌판(103c)에 고정된다. 또한 착설나사(109)는 돌판(103c)을 관통하여 하단에 너트(109a)가 나합되며, 또한 착설나사(109)의 큰 지름 두부(109c)와 피계합돌부(105)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중앙요부(105e)의 저면과의 사이에 전기 제 1 스프링 A가 장착되고 이 두부(109c) 및 너트(109a)에 의하여 전기피계합돌부(105)는 착설판(103)에 고정된다.
또한 이 피계합돌부(105)와 전기돌판(103c)의 표면간에 완충기능을 가진 흡음재(109d)가 장치되었다. 여기서 차체(101)의 진동이 심하지 않을 경우 차량탑재용기구(102)는 돌판(103c)에 안정되게 착설되어 있지만 진동이 격심하게 되면 제 10 도와 같이 차량탑재용기구(102)는 돌판(103c)에서 떨어진다.
그러나 이때 피계합돌부(105)는 제 1 스프링 A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제 1 스프링 A가 완충기능을 달성하고 차량탑재용기구(102)가 떨어지더라도 직시에 계합요부(104)와 피계합돌부(105)가 해탈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제 1 도∼제 3 도에서 설명한 전원장치에 의하여 차량주행중 차체(2)측의 착설판(1)과 차량탑재용기구(3)와는 상이한 진동상태를 나타내지만 차체측 접속기 (15)는 착설판(1)에 대하여 어느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기기측 접속기(13)와 일체적으로 진동하게되어 진동의 차이에 의하여 양접속기(13), (15)가 파괴된다는 염려가 없게 됨과 동시에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요부를 차량탑재용기구에 또는 피계합돌부를 착설판측에 배치하였지만, 반대로 계합 요부를 착설판측에 피계합돌부를 차량탑재용기구측에 배치하여도 된다. 다시 계합편을 상기 실시예와 같이 계합요부에 배치하는 대신 피계합돌부에 배치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설명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체일부에 차량탑재용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착설판이 설치되며, 이 차량탑재용기구와 착설판중 어느 일방에 계합요부가 형성되고 이 차량탑재용기구와 착설판중의 타방에 전기계합요부에 계합하는 피계합돌부가 돌설되고 이 피계합돌부 또는 계합요부에 차체의 진동에 의한 차량탑재용기구의 진동을 완충하는 제 1 스프링이 설치되고, 전기계합요부의 피계합돌부와는 제 2 스프링에 지지된 계합편에 의하여 계탈자재하게 계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기구의 계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계합요부가 스프링에 의하여 피계합돌부에 계합하므로서 차체의 진동에 대하여 강하고 또한 해탈하기도 용이하므로서 카폿트등의 차량탑재용기구는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제 11 도 내지 제 14 도에 따라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카폿트등의 차량탑재용기구의 계합장치는 차체(201)의 일부(문짝등의 내면)에 차량탑재용기구(202)(카폿트)를 지지하기 위한 철재등의 금속재 착설판(203)이 나사(203a)로 고정설치되고, 이 차량탑재용기구(202)와 착설판(203)중의 일방에 계 합요부(204)가 형성되고, 이 차량탑재용기구(202)와 착설판(203)중의 타방에 상기의 계합요부(204)에 계탈 자재하게 계합하는 피계합돌부(206)가 돌설되고 상기의 계합요부(204)의 저부에 직방제의 자성체(206)가 한쌍의 강판(207)에 흡착하는 철재등의 흡착성재료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착설판(203)은 상기의 차체(201)의 내측에 돌출한 돌출상면판(203b)과 상기의 차체(201)에 나사 (203a)로 고정되는 고정판(203c)과 이 양판(203b) (203c)에 걸쳐질 돌출경사벽(203d)이 프레스가공 또는 조임가공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용접등으로 타의 부품을 고착시켜도 된다).
상기의 피계합돌부(205)는 상기의 돌출부상면판(203b)과 돌출부경사벽 (203d)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계합요부(204)는 상기 차량탑재용기구(202)의 저면에 형성된 요부저판(202a)과 상기의 고정판(203c)에 이착좌(離着座)하는 이착판(202b)과 이양판(202a) (202b)에 걸쳐지는 요부경사벽 (202c)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요부저판(202a)의 좌우각부에는 한쌍의 장공(208)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의 계합요부(204) 의 상측에 상기의 강판(207)을 지지하는 판상의 제1지지체(209)가 설치되며 이 제 1 지지체(209)에는 지지공(210)이 형성되고, 상기의 강판(207)은 상기의 장공(208)과 지지공(210)을 관통하여 착설되어있다.
즉 한쌍의 강판(208)의 중앙에 자성체(206)가 끼워져있고 강판의 상부양측에 절단부분(207a)이 형성되며 이 절단부분(207a)에 의하여 상기의 강판(207)의 상단양측부에 상기의 지지체(209)에 계합하는 계합편(207b)이 형성된다.
일방지지공(210)은 장공부(210A)와 그 중앙부에서 좌우양측에 형성된 소공부(210B)에 의하여 +자형으로 형성되고 장공부(210A)의 전장 A는 상기의 강판(207)의 2판의 두께보다도 크게되며, 또한 지지공(210) 의 소공부(210B)는 전장 C가 상기의 강판(207)의 절단부(207a)의 폭과 같은 칫수로 된다.
그리고 상기의 강판(207)은 그 계합편(207b)이 상기의 지지체(209)의 소공부(210B)의 공벽(210a)에 계합된다. 상기의 제 1 지지체(209)는 상기의 계합요부(204)의 측부에 형성된 제 2 지지체(211)에 지지된다.
다음은 작용을 설명하면, 착설판(203)에 형성된 피계합돌부(205)를 차량탑재용기구(202)에 형성된 계합요부(204)에 끼워지게 계합한다. 이때 강판(207)에 형성된 제 1 돌편(207a)이 돌출부상면판(203b)에 압착된다. 이것은 자성체(206)의 자력이 강판(207)을 통하여 금속제의 돌출부 상면판(203b)을 흡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자성체(206)에 의한 흡착력은 미끄러지는 방향(제 14 도의 D방향)에 대하여서는 약하므로 미끄러지는 방향의 함이 차량탑재용기구(202)에 걸렸을 때(예를들면 차량정지시의 관성력이 작용한 때), 차량탑재용기구(202)에 착설된 강판(207)이 돌출부 상면판(203b)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피계합돌부(205)와 계합 요부(204)의 양 경사벽(202c), (203d)이 맞물림하여 방지하여 준다. 이것에 의하여 차체의 상하, 좌우의 진동에 대한 흡착 유지력을 크게할 수 있다.
또한 요철의 형상이 차량탑재용기구(202)를 착설판(203)에 상측방향에서 재치할 때에 위치맞추기의 가이드역활도 한다. 차량탑재용기구(202)를 이동하고져 할때에는 사용자가 차량탑재용기구(202)를 잡고 자성체 (206)의 흡착력보다도 큰 힘으로 착설판(203)에서 해탈하면 된다.
또한 조립공정에 있어서는 강판(207)을 지지공(210)에 계합할 경우 한쌍의 강판(207)의 판면을 맞추고 지지공(210)의 장공부(210A)에서 관통하고 그후 양 강판(210)사이를 떼어놓고 각 강판(207)에 형성된 절단부(207a)를 소공부(210B)에 끼워서 계합편(207b)을 소공부(210B)의 공벽(210a)에 계합하고, 그후 양강판(207)으로 자성체(206)를 협지하여 강판(207)을 자성체(206)로 흡착한다.
그리고 지지체(209)에 지지된 강판(207)의 하단을 계합요부(204)의 장공(208)에서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그후 제 1 지지체(209)와 제 2 지지체(211)를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요부를 차량탑재용기구에, 피계합돌부를 착설판측에 배치하였지만, 반대로 계합요부를 착설판측에 피계합돌부를 차량탑재용기구측에 배치하여도 된다.
더우기 이 강판의 선단의 위치는 차량탑재용기구(202) 저부의 가장돌출한 외곽위치에서 칫수(h)만큼 요입된 위치이지만 동일한 면 또는 반대로 돌출한 위치에 있으면 차량탑재용기구(202)를 방치한 장소에서 철 계통의 이물질을 강판(207)에 흡착하여 실제로 차체측의 착설판(203)에 계합시킬때 이물질이 장애가 되어 정규한 위치에 계합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체일부에 차량탑재용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착설판이 설치되어 차량탑재용기구와 착설판중 일방에 계합요부가 형성되고 차량탑재용기구와 착설판 중 타방에 상기의 계합요부에 계탈자재하게 계합하는 피계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의 계합요부의 저부에 자성체가 착설되고, 상기의 피계합돌부는 상기의 자성체에 흡착되는 흡착성재료로 되었음을 특징으로 한 차량탑재용기구의 계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성체의 흡착력으로 차량탑재용기구가 착설판에 착탈자재하게 착설되므로 이동을 필요로 할경우 그 해탈이 용이하고 또한 자성체의 흡착력과 피계합요부와 계합돌부의 계합에 의하여 차체의 진동에 대하여 강하고 차량탑재용기구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차량탑재용기기의 전원접속장치에 있어서는 한쌍의 전극판(14)이 설치되어있다. 이 한쌍의 전극판(14)의 각각의 길이는 동일하여도 되지만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2 매의 전극판으로 하지않고 3매의 전극판으로 하여도 된다. 보통 차량탑재용기기에 관한 배선구성은 전기용량에 의하여 2선식과 3선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배선구성을 제 18 도 및 제 19 도에 도시한다. 제 18 도에 표시한 2선식의 것은 전원선 a'와 어스선 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9 도에 도시한 3선식의 것은 전기용량이 큰때에 채용되는 것으로 전원선 c', 어스선 d' 및 콘트롤선 e'로 구성되고, 릴레이 f'를 통하여 전원선 c'의 통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었다.
제 15 도 및 제 16 도는 3선식의 배선구성을 가진 전기기구의 각 전극단자와 각 전극삽입부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제 15 도는 전기기구(301)의 하부에 설치된 각 전극단자(321), (322), (323)중 중앙에 위치한 콘트롤회로의 전극단자(322)의 길이를 그 양측에 위치한 전원회로의 각 전극단자(321), (322), (323)에 대응하는 기판(302)상의 각 전극 삽입부(331), (332), (333)은 동일형상, 동일높이로 형성한 것이다.
즉 콘트롤회로의 전극단자(322)를 전원회로의 전극단자(321), (323)보다 길이 12만큼 짧게하고 있다. 이 경우 전기기구(301)를 반(203)상에 임시 재치한 상태에서는 양측의 전극단자(321), (323)가 이들에 대응하는 기판(302)상의 전극삽입부(331), (333)에 각각 접촉하고 중앙전극단자(322)가 이것에 대응하는 전극삽입부 (332)와 비 접속상태가 된다.
또한 제 16 도는 전기기구(301)의 하부에 설치된 각 전극단자(324), (325), (326)의 길이를 각각 상이하게 한 것으로서, 좌측의 전원회로의 전극단자(324)를 가장 길게하고 중앙의 콘트롤회로의 전극단자(325)를 가장 짧게 형성한 것이다.
즉 좌측의 전극단자(324)에 대하여 우측의 전극단자(326)를 길이 14만큼 많게하고, 우측의 전극단자(326)에 대하여 중앙의 전극단자(325)를 길이 13만큼 짧게한 것이다.
이 경우 전기기구(301)를 기반(302)상에 임시로 재치한 상태에서는 좌측의 전기단자(324)만의 것에 대응한 기판(302)상의 전극삽입부(334)에 접촉하거나, 또는 양측의 전극단자(324), (326)가 이들에 대응한 기판(302)상의 각 전극삽입부(334), (336)에 각각 접촉하게되고 적어도 중앙의 전극단자(325)와 이것에 대응한 전극삽입부(335)가 비 접속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전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7 도는 2선식 배선구성을 가진 전기기구(301)의 양전극단자(327), (328)와 기반(302)상에 설치된 양전극 삽입부(337), (338)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고, 전원회로의 일방의 전극단자(328)와 길이를 전원회로의 타방의 전극단자(327)의 길이보다 길이 15만큼 짧게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 전기기구(301)를 기판(302)상에 임시 재치한 상태에서는 일방의 전극단자(328)와 이것에 대응하는 기반(302)상의 전극삽입부(338)가 비 접촉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전기기구(301)가 기반(302)상에 임시재치한 상태가 되었다하여도, 전원회로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아니하므로 불안정한 접속상태라 할지라도 아아크가 발생하지 않고 전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상기한 어느 경우(제 15 도 내지 제 17 도)에 있어서도 짧게 형성한 전극단자는 전기기구(301)를 기반(302)상에 확실하게 계합고정시킨때 전극삽입부에 확실하게 삽입되는 길이일것은 당연한 것이다.
더우기 상기 각 실시예(제 15 도 내지 제 17 도)에서는 전극단자의 길이를 다르게 하므로서 목적을 달성하고 있지만 전극단자의 길이는 동일하게 하고 전극삽입부의 칫수를 다르게 하므로서 또는 기반(305)의 상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전극삽입부가 설정되는 높이의 위치를 다르게 하므로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여도 된 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기구의 전원접속곡구조에 의하면 전기기구가 기판상에 확실하게 계합고정되지 않은 임시 재치한 상태에서의 접촉불량에 의한 아아크의 발생 및 이것에 의한 전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폿트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의 차량탑재용기기에 본 발명이 사용되어도 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많는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진동하는 구조의 일부이고 또는 진동하는 구조에 부착할 수 있는 지지체(1)와, 이 지지체(1)에 착설되는 전기장치(3)의 사이에 있는 전기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와 상기 전기장치(3)상에 각각 상호적으로 계합가능한 전기접속기(13, 15)를 구비하여, 상기의 지지체와 전기장치 중 하나에 설치된 상기의 전기접속기는 상기의 지지체와 전기장치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된 전기접속기가 제한된 자유이동되게 계합되어, 계합된 상기 전기접속기(13, 15)가 일체적으로 진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치(3) 및 상기 지지체(1)를 기계적으로 계합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부가 하되, 이 지지수단은 상기 전기장치(3)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체(1)에 부착된 착설판(103)과, 상기 전기장치(3) 또는 상기 착설판(103)에 형성된 계합요부(104)와, 상기 전기장치(3) 및 상기 착설판(103)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계합요부(104)와 용이하게 계합되고 아울러 이탈될 수 있는 피계합돌부(105)와, 상기 계합요부(104)의 저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피계합돌부(105)를 끌어당기는 자성체(20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치(3)와 상기 지지체(1)를 기계적으로 계합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부가하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전기장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대에 부착된 착설판(103)과, 상기 전기장치 또는 상기 착설판(103) 중 하나에 형성된 계합요부(104)와, 상기 전기장치 또는 상기 착설판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계합요부(104)와 계합되는 피계합돌부(105)와, 상기 계합요부(104) 및 상기 피계합돌부(105)가 서로 용이하게 계합되고 아울러 이탈되게 하기 위하여 스프링수단(106)에 지지되는 계합편(10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합돌부(105)가 상기 계합요부(104)에 계합된 경우 상기 지지체(1)에 대하여 상기 전기장치(3)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완충 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합돌부(105)는 상기 계합요부(104)에 계합되고 아울러 상기 전기장치 및 지지체 중 하나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완충 수단의 부세에 대항하여 치환되게 하기 위해 장착되는 착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기(13, 15) 중 하나에는 다른 전기접속기에 설치된 복수의 전극삽입부(331∼338)와의 접속을 위해 복수의 전극단자(321∼328)을 구비하여, 상기 전극삽입부는 상기 전극단자와 대응하게 계합되고, 상기 전극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것보다 상대적으로 짧고, 또는 상기 전극삽입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것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는 차체의 일부이고 또는 차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KR1019860004753A 1985-06-18 1986-06-16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KR920003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3895A KR920003851B1 (ko) 1985-06-18 1991-08-12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KR1019920000574A KR920004732B1 (ko) 1985-06-18 1992-01-16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93264 1985-04-30
JP9326485U JPH0535022Y2 (ko) 1985-06-18 1985-06-18
JP60-138939 1985-09-10
JP60-138938 1985-09-10
JP1985138938U JPH0513649Y2 (ko) 1985-09-10 1985-09-10
JP1985138939U JPS6246242U (ko) 1985-09-10 1985-09-10
JP14021585U JPH0352196Y2 (ko) 1985-09-12 1985-09-12
JP60-140215 1985-09-12
JP61-44604 1986-03-25
JP1986044604U JPH0517824Y2 (ko) 1986-03-25 1986-03-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895A Division KR920003851B1 (ko) 1985-06-18 1991-08-12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KR1019920000574A Division KR920004732B1 (ko) 1985-06-18 1992-01-16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207A KR870000207A (ko) 1987-02-17
KR920003850B1 true KR920003850B1 (ko) 1992-05-15

Family

ID=2752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753A KR920003850B1 (ko) 1985-06-18 1986-06-16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4767337A (ko)
KR (1) KR920003850B1 (ko)
GB (2) GB2177267B (ko)
HK (3) HK1020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6748A (en) * 1988-12-23 1990-07-11 Ronald William Donohoe Electric safety kettle
US5028809A (en) * 1989-03-07 1991-07-02 Hewlett-Packard Company Computer bus structure permitting replacement of modules during operation
IL90382A (en) * 1989-05-23 1992-08-18 Yahav Shimon Cooking system
GB9020308D0 (en) * 1990-09-17 1990-10-31 Strix Ltd Cordless electrical appliances
GB9319159D0 (en) 1993-09-16 1993-11-03 Strix Ltd Cordless electrical appliances and connectors therefor
GB2307362B (en) * 1996-10-29 1997-10-08 Dualit Ltd Cordless electric kettle
GB2303977B (en) * 1996-10-29 1997-07-23 Dualit Ltd Cordless electric kettle
US6176738B1 (en) 1998-01-30 2001-01-23 The Whitaker Corporation Blind matable panel mount connector system
AUPP247798A0 (en) * 1998-03-18 1998-04-23 Rudduck, Dickory Fixing and release systems
US6030242A (en) * 1998-08-21 2000-02-29 The Whitaker Corporation Self-centering panel-mounted connector assembly
AUPQ861300A0 (en) * 2000-07-06 2000-08-03 Telezygology Pty Limited Mulit-function tool
JP3524521B2 (ja) * 2001-07-03 2004-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ンバーチブルトップ用リヤーガラスにおける通線保護ケース構造
US7600301B2 (en) * 2002-06-19 2009-10-13 Telezygology, Inc. Fixing and release systems and fastener networks
GB0216448D0 (en) * 2002-07-16 2002-08-21 Mcleish Graham Connector
US20080216962A1 (en) * 2007-03-09 2008-09-11 Steinke Richard A Bead alignment clip and system for its use for locating and maintaining a tire bead positioning onto a tire core build man-drel in forming a core for manufacturing an elastomeric tire
US8348678B2 (en) * 2010-01-11 2013-01-08 Automotive Industrial Marketing Corp. Magnetic cable connector systems
CN201766193U (zh) * 2010-07-01 2011-03-16 阿波罗电子集团有限公司 具有磁力连接器的车载电子产品及其安装支架
US8454186B2 (en) 2010-09-23 2013-06-04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lighted tree with trunk electical connectors
US8298633B1 (en) 2011-05-20 2012-10-30 Willis Electric Co., Ltd. Multi-positional, locking artificial tree trunk
US8569960B2 (en) 2011-11-14 2013-10-29 Willis Electric Co., Ltd Conformal power adapter for lighted artificial tree
US9157587B2 (en) 2011-11-14 2015-10-13 Willis Electric Co., Ltd. Conformal power adapter for lighted artificial tree
US8876321B2 (en) 2011-12-09 2014-11-04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lighted artificial tree
US9179793B2 (en) 2012-05-08 2015-11-10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rotation-lock electrical connectors
US10206530B2 (en) 2012-05-08 2019-02-19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locking trunk
US9044056B2 (en) 2012-05-08 2015-06-02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electrical connector
US9572446B2 (en) 2012-05-08 2017-02-21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locking trunk and locking electrical connectors
US9439528B2 (en) 2013-03-13 2016-09-13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locking trunk and locking electrical connectors
US9671074B2 (en) 2013-03-13 2017-06-06 Willis Electric Co., Ltd. Modular tree with trunk connectors
US8944826B1 (en) * 2013-07-16 2015-02-03 Curbell Medical Products, Inc. Magnetic connection for cable assembly of electronic device
US9894949B1 (en) 2013-11-27 2018-02-20 Willis Electric Co., Ltd. Lighted artificial tree with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s
US8870404B1 (en) 2013-12-03 2014-10-28 Willis Electric Co., Ltd. Dual-voltage lighted artificial tree
CN103637694B (zh) * 2013-12-06 2017-03-15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电耦合结构及电热水壶
US9883566B1 (en) 2014-05-01 2018-01-30 Willis Electric Co., Ltd. Control of modular lighted artificial trees
CN107611708A (zh) * 2017-09-06 2018-01-19 詹胜超 一种水杯
US10683974B1 (en) 2017-12-11 2020-06-16 Willis Electric Co., Ltd. Decorative lighting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8851A (en) * 1924-06-06 1927-02-22 Thunberg Ernst Josef Detachable coupling for lifting ropes and the like
GB281366A (en) * 1926-08-28 1927-11-28 George Hamer Schole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plug-and-socket couplings or connectors and switches
GB398538A (en) * 1932-03-16 1933-09-18 Marconi Internat Marine Comm 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olders for thermionic valves and the like
US2220610A (en) * 1939-04-03 1940-11-05 Ellsworth S Miller Motion picture reel mounting
US2489864A (en) * 1948-08-17 1949-11-29 Pittsburgh Plate Glass Co Automatic coupling
GB724667A (en) * 1953-01-30 1955-02-23 Adolph Paschal Buquor Improvements in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ors
GB812854A (en) * 1956-02-24 1959-05-06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Electrical equipment mounting arrangement
CH374845A (de) * 1959-11-10 1964-01-31 Matzinger Walter Dr Med Knopf zum Verbinden von textilen Flächengebilden, z. B. Kleidungs- und Wäschestücken
NL266688A (ko) * 1960-07-08
GB993419A (en) * 1961-09-07 1965-05-26 Illinois Tool Works Anchor device for a strike pin
GB1088148A (en) * 1965-07-09 1967-10-25 Wilkes Berger Ltd Improvements in door catches
GB1176167A (en) * 1966-06-21 1970-01-01 Bisbell Engineering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a Connector for Electric Welding
US3494657A (en) * 1966-10-07 1970-02-10 Fruehauf Corp Duct for the power supply conduits of a trailer carried in the trailer floor
GB1232922A (ko) * 1968-04-04 1971-05-26
US3600025A (en) * 1969-01-27 1971-08-17 Maurice W Brainard Releasable magnetic latch
AT312729B (de) * 1969-06-20 1974-01-10 Lacrex Brevetti Sa Lösbare Verbindung
GB1315466A (en) * 1970-02-25 1973-05-02 Highfield N S Retaining device for plugs for sanitary fittings
US3707303A (en) * 1971-03-10 1972-12-26 Petri Johnson Inc Means for securing an insert to a base piece
US3698748A (en) * 1972-02-28 1972-10-17 Nello J Petri Means for securing an insert to a base piece
GB1383179A (en) * 1972-08-19 1975-02-05 Tunnicliffe Ae A J Magnetic sheet-holding devices
GB1403093A (en) * 1972-10-06 1975-08-13 Thorn Electrical Ind Ltd Electric lead coupling
US3808577A (en) * 1973-03-05 1974-04-30 W Mathauser Magnetic self-aligning quick-disconnect for a telephone or other communications equipment
US3926532A (en) * 1974-08-05 1975-12-16 Safeguard Automotive Corp Quick releasable coupling
GB1503313A (en) * 1975-05-05 1978-03-08 Murrell N Electrical edge connector
JPS5519122Y2 (ko) * 1975-08-19 1980-05-07
US4113179A (en) * 1976-10-29 1978-09-12 Trw Inc. Connector constructions and attaching means therefor
US4146286A (en) * 1978-04-17 1979-03-27 Ford Motor Company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SE415219B (sv) * 1978-10-25 1980-09-15 Ellemtel Utvecklings Ab Anordning for anslutning av en stromforbrukare till ledarna i en matarkabel
US4265503A (en) * 1979-12-20 1981-05-05 Automation Industries, Inc. Aircraft/pylon multi-contact electrical connector
US4455719A (en) * 1981-01-07 1984-06-26 Tamao Morita Stopper using a magnet
US4394096A (en) * 1981-08-27 1983-07-19 Menasha Corporation Attachment system for plastic liners
US4453449A (en) * 1981-09-10 1984-06-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Holding apparatus
DE3334550A1 (de) * 1982-09-29 1984-03-29 Automatic Connector, Inc., Commack, N.Y.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4494270A (en) * 1983-03-25 1985-01-22 Electrolux Corporation Vacuum cleaner wand
GB2162071B (en) * 1985-01-22 1989-10-18 Lawrence Charles Practice track
US4647129A (en) * 1985-12-20 1987-03-03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614794D0 (en) 1986-07-23
HK101893A (en) 1993-10-08
GB2209891B (en) 1990-03-07
US4767337A (en) 1988-08-30
KR870000207A (ko) 1987-02-17
GB2177267B (en) 1990-01-17
HK102093A (en) 1993-10-08
GB2177267A (en) 1987-01-14
GB8826094D0 (en) 1988-12-14
US4921426A (en) 1990-05-01
GB2209891A (en) 1989-05-24
HK101993A (en) 199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850B1 (ko)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KR100332454B1 (ko) 단자 접속 장치
JPH0665100B2 (ja) コネクタ
EP0123910B1 (en) Wire connection terminal stage for electric apparatus
KR102105469B1 (ko) 누전 차단기
KR920003851B1 (ko)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CN216698763U (zh) 一种新型的接线端子台
KR920004732B1 (ko)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JPH10302862A (ja) 電気コネクタ
EP0618760A1 (en) Clip for attaching a print circuit board
GB2209892A (en) Anti-vibration, connector for mounting a water heater in a car
JPH0722085A (ja) 端子台装置
KR960007247Y1 (ko)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 커넥터
JPS6015255Y2 (ja) 端子台
JPS6114135Y2 (ko)
JPH088532Y2 (ja) 中継用端子台
JPS5812466Y2 (ja) 電気機器における電気部品のホルダ
JP2000241691A (ja) 光ファイバーコードの連結装置
KR200209709Y1 (ko) 휴즈홀더 고정대
JPH0512898Y2 (ko)
JPH037888Y2 (ko)
JPH0216522Y2 (ko)
KR930008010Y1 (ko) 전지의 고정장치
KR960001992Y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용 탄성돌편이 형성된 가이드레일
KR100334262B1 (ko) 자동차의 콘넥터 고정용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