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247Y1 -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247Y1
KR960007247Y1 KR2019930025543U KR930025543U KR960007247Y1 KR 960007247 Y1 KR960007247 Y1 KR 960007247Y1 KR 2019930025543 U KR2019930025543 U KR 2019930025543U KR 930025543 U KR930025543 U KR 930025543U KR 960007247 Y1 KR960007247 Y1 KR 960007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square
terminal coupl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5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704U (ko
Inventor
정진택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정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정진택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5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247Y1/ko
Publication of KR950015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2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없슴

Description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 커넥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암, 수커넥터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가)도는 숫커넥터내에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도
(나)도는 (가)도의 상태에서 보조터미널 고정구를 결합한 상태도
(다)도는 (나)도의 상태에서 암커넥터를 결합한 상태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2 : 터미널 결합부
3, 3' : 격판4, 4' : 횡격판
5, 5' : 터미널 결합공6 : 터미널
7 : 로커편8 : 단자핀 삽입공
9 : 터미널 안착단11, 16 : 걸림편
12, 19 : 로커13 : 단턱부
14 : 몸체15 : 눌림방지편
17 : 사각공18 : 보조터미널 고정구
20 : 가압편21 : 암커넥터
22 : 사각홈23 : 단자핀
24 : 걸림턱25 : 개구부
26 : 사각구멍27 : 커넥터 결착구
28, 28' : 가이드레일29 : 사각 걸림돌기
본 고안은 암, 수커넥터를 상호 결합하여 차량용 음향기기의 기판에 설치되면서 전원 접속기능을 갖도록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미널의 결속력 및 암, 수커넥터의 결속력을 극대화하여 설치 사용시 항상 심한 진동이 발생되게 되는 차량의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으로서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각종 전자기기나 음향기기의 전원 접속용등 적용대상체의 기능이나 용도 및 그 결합구조에 알맞는 여러가지 유형의 커넥터가 개발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항시 심한 진동이 수반되게 되는 차량 음향기기의 전원 접속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하도록된 특정구조의 커넥터가 안출된 바 없었던 관계로 다른 용도로서 개발되어 있는 기존의 커넥터를 차량 음향기기의 전원 접속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바, 그 결속 구조가 매우 취약하여 항시 발생되는 진동에 대처할만한 결속력을 기대할 수 없었던 관계로 전원 접속기능을 갖는 터미널의 유동이나 이탈 및 암, 수커넥터의 자체 유동이나 이탈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면서 접촉 불량에 따른 오동작이나 고장이 잦았던 폐단이 있었으며, 그에 따른 사용 수명의 단축으로 유지보수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었음은 물론 상당한 경제적인 손실까지 감수해야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 일측의 터미널 결합부에 소정 형태의 터미널을 각각 삽입하여 설치한 후에 별개의 보조 고정구로써 터미널 결합부에 삽입 설치된 터미널을 완전히 고정시켜 사용중에 터미널의 유동이나 이탈 우려를 방지하여 완전한 접속을 이루고, 다수개의 단자핀이 설치된 암커넥터와의 역삽입방지 수단 및 터미널 결합부의 상면에 설치하여 로커해제방지 수단을, 진동에 의한 암, 수커넥터가 상호 분리되는 우려나 유동 현상을 해소하여 결합을 이루므로서, 설치 사용중 심한 진동이 발생되는 차량의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주목적인 것으로, 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커넥터의 하우징 (1) 후면부에 터미널 결합부(2)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다수개의 격판(3)을 일정 간격으로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그 중앙부와 상기 다수개의 격판(3)중 일정개수의 격판(3')의 상, 하부를 절개하여 설치한 격판(3')의 상, 하부에 횡격판(4)(4')을 각각 횡설하여 상기, 터미널 결합부(2) 까지 연장 형성되게 하고, 하우징 (1)으로부터 터미널 결합부(2)까지 관통되는 상태의 터미널 결합공(5)(5')이 상, 하 2열로 횡설 되도록 하고 상, 하 각각의 터미널 결합공(5)(5')을 이루는 횡격판(4) 중앙부에는 삽입되는 터미널(6)을 1차적으로 로킹시키는 로커편(7)을 형성하고, 상기터미널 결합부(2) 내측에 위치하는 상, 하 각 결합공(5)(5')내벽에는 단자핀 삽입공(8)과 터미널 안착단(9)을 각각 형성하므로서, 일단에 전선(10)이 연결된 터미널(6)을 각각의 터미널 결합공(5)(5')에 안착시키는 것이며, 상기 터미널 결합부(2)의 중앙부의 상면에 걸림편(11)이 돌출 형성된 로커(12)를 형성하고 단턱부(13)가 형성된 몸체(14)보다 약간 높게 눌림방지 돌편(15)을 돌출 형성하여 물리적인 힘에 로커(12)가 쉽게 해제 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 (1) 내측 상, 하부의 횡격판(4')상의 일측과 타측에 걸림편(16)을 각각 돌출 형성하고, 상기 걸림편(16)의 후방에 상기 몸체(14)의 단턱부(13)에 사각공(17)을 형성하여 하우징 (1)을 이룬다.
상기, 하우징 (1)의 터미널 결합공(5)(5')에 삽입 설치되는 터미널(6)의 보조 고정수단으로서, 별개의 보조 터미널 고정구(18)를 형성하여, 하우징 (1)내에 결합설치 하도록 하되, 상기 보조 터미널 고정구(18)는 하우징 (1)내의 상, 하 횡격판(4')상의 걸림편(16)에 결합되는 2쌍의 로터(19)를 상단부에 연장 형성하고, 직하단으로는 터미널 결합공(5)(5')에 일치되어 삽입되는 일정길이의 다수개가 가압편(20)을 형성하여 터미널(6)이 삽입된 상태의 터미널 결합공(5)(5')내에 삽입 설치하면서 전선(10)이 연결된 상태의 터미널(6) 후단부에 가압편(20)끝단이 가압접촉되어 터미널(6)을 완전히 고정시켜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 (1)의 터미널 결합부(2)가 삽입결합되어 전원접속을 이루는 암커넥터(21)의 전면부에는 상기 터미널 결합부(2)의 길이만큼의 사각흠(22)을 마련하는 동시에 이의 내벽의 상, 하부에는 다수개의 단자핀(23)을 연장되게 삽설하여 이루고, 상기 사각흠(22)의 중앙부는 내측에 걸림턱(24)이 형성된 개구부(25)를 형성하고, 상기 암커넥터(21)의 좌, 우 외측면에는 암, 수컥네터의 결합이 완료되어 설치되는 커넥터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해주는 양측면에 사각구멍(26)이 형성되고 얇은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커넥터 결착구(27)가 삽입 결합되는 양측에 가이드레일(28)(28')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들의 중앙에는 사각 걸림돌기(29)를 형성하여 각각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도면 제3도의 (가) (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1)으로부터 터미널 결합부(2)까지 관통되는 상태의 상, 하 2열로 횡설된 각각의 터미널 결합공(5)(5')내에 일단에 전선(10)이 연결된 소정 형태의 터미널(6)을 삽입시키면, 상기 횡격판(4)의 중앙에 상, 하로 설치된 로커편(7)에 터미털(6)이 1차적으로 로킹되는 상태가 되는 동시에 터미널(6)의 끝단은 상기 터미널 안착단(9)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별개로 이루어진 터미널 고정구(18)를 상기 터미널 결합공(5)(5')에 삽입시키면, 터미널 구정구(18)의 2쌍의 로커(19)는 상기 하우징 (1)내의 상, 하 횡격판(4')상에 설치된 걸림편(16)에 걸리게 되고, 걸림턱(13)내에 설치된 사각공(17)내에 완전히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로커(19)의 직하단에 실치된 다수개의 가압편(20)의 끝단이 터미널(6)후단에 가압 접촉되도록 하여 터미널(6)을 2차적으로 완전하게 고정시켜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의 하우징 (1)의 터미널 결합부(2)를 암커넥터(21)의 사각흠(22)에 결합시키면 터미널 결합부(2)는 암커넥터(21)의 사각흠(22)내에 결합되는 동시에 몸체(14)의 상, 하 걸림턱(13)에 의해 더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는 동시에 사각흠(22)상, 하 내벽에 연장되어 삽설된 단자핀(23)은 터미널 결합부(2) 내벽의 단자 삽입공(8)내에 삽입되어 통과하면서 상기 터미널 결합공(5)(5')내에 설치된 터미널(6)내에 삽입되는 것이며, 동시에 터미널 결합부(2)에 형성된 상, 하 로커(12)는 상기 암커넥터(21) 개구부(25)에 삽입되어 로커(12)상면의 걸림편(11)이, 상기 개구부(25) 내측의 걸림턱(24)에 걸리게 되므로서, 암커넥터(21)내에 숫커넥터는 진동등의 물리적인 힘에 쉽게 분리 및 해제되지 않고 완전한 결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설치 대상의 기판(30)에 결합설치하므로서 전원이 통전되는 것이다.
설치 대상의 기판(30)에 결합설치후에 상기 암커넥터(21)의 좌, 우 양측 외측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레일(28)(28')에 얇은 철판으로 이루어진 커넥터 결착구(27)를 하방으로 삽입시키면 커넥터 결착구(27)의 양측면을 가이드레일(28)(28')의 내면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28)(28')의 중앙부에 형성된 사각 걸림돌기(29)내에 상기 커넥터 결착구(27)의 사각구멍(25)이 완전히 걸리게 되는 동시에 암커넥터(21) 외주연부에 밀착된 상태로 커넥터 결착구(27)는 설치되므로서, 항상 진동이 수반되는 차량의 음향기기 기판(30)에 고정 설치되는 커넥터를 완전하게 보강해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암, 수커넥터를 상호 결합하여 기판상에 결합되는 본 고안의 커넥터는 암, 수 커넥터의 결속력 및 터미널의 결속을 극대화시켜 상당히 심한 진동이 장시간에 걸쳐 지속으로 발생되더라도 유동이 발생되거나 상호 이탈되는 일이 없으며, 고도의 접속을 이루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진동이 수반되는 상태에서도 음향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고, 음향기기의 고유의 양질의 음을 들을 수 있는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숫커넥터의 하우징 (1) 후면부에 터미널 결합부(2)를 연장 형성하고, 그 내측에 십자형 격판(3')과 횡결판(4)(4')을 설치하여 상, 하의 터미널 결합공(5)(5')을 형성하며, 상기 횡격판(4')은 터미널 결합부(2)까지 연장 형성하고 상기 횡격판(4) 중앙 상, 하로는 탄력을 갖는 로커편(7)을 돌출 형성하며, 터미널 결합부(2)의 내벽에 터미널 안착단(9)과 단자핀 삽입공(8)을 형성하여 ㄱ자형 단자핀(23)이 상기 터미널 삽입공(5)(5')에 삽입되는 터미널(6)과 결합되게 하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2)의 단부에는 걸림편(11)이 형성된 로커(12)와 그의 양측부에는 상, 하에 단턱부(13)가 형성된 몸체(14) 보다 약간 높게 돌출 형성된 눌림방지편(15)을 돌출 형성하여 결합수단 해제방지 및 역삽입방지 수단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 (1)의 전면부로 부터 터미널 결합공(5)(5')에 삽입 설치되는 보조 터미널 고정구(18)는 상기 상, 하 횡격판(4')상의 걸림편(16)에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단턱부(13)에 형성된 사각공(17)내에는 로커(19)를 가진 2쌍의 가압편(20)을 가압 고정시키고, 암커넥터(21)의 전면부에 사각흠(22)을 형성하여 이의 내벽 상, 하부에 단자핀(23)이 연장되게 삽설하며, 상기 사각흠(22)의 중앙부의 내측에는 걸림턱(24)이 형성된 개구부(25)를 형성하고, 좌, 후측 외면의 양측에 가이드레일(28)(28')을 서로 대향되게 각각 설치하며, 이들의 중앙부에 커넥터 결착구(27)가 결합되는 사각걸림돌기(29)를 형성하여 구성된 상기 암커넥터(21)를 숫커넥터에 결합하여 설치되도록 구성하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음향기기의 전원 접속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28)(28')과 사각 걸림돌기(29)가 각각 형성된 암커넥터(21)의, 양측면에 사각구멍(26)이 형성된 커넥터 결착구(27)를 밀착되게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를 보호하면서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설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 커넥터.
KR2019930025543U 1993-11-30 1993-11-30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 커넥터 KR960007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543U KR960007247Y1 (ko) 1993-11-30 1993-11-30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543U KR960007247Y1 (ko) 1993-11-30 1993-11-30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704U KR950015704U (ko) 1995-06-19
KR960007247Y1 true KR960007247Y1 (ko) 1996-08-26

Family

ID=1936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5543U KR960007247Y1 (ko) 1993-11-30 1993-11-30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2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905B1 (ko) * 2001-09-08 200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역삽입 손실 방지용 커넥터 장치
KR100603708B1 (ko) * 2004-06-09 2006-07-2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의 커넥터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704U (ko) 199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850B1 (ko)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TW200635531A (en) Buckle
EP0305542A4 (en) MOBILE SEPARATION PARTITION.
KR960007247Y1 (ko) 차량 음향기기 전원 접속용 커넥터
DK0871265T3 (da) Fatning for elektroteknisk komponent
FR2315781A1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connecteur electrique et connecteur muni d'un tel dispositif
JPH07312258A (ja) モジュラーコネクター装置
KR20100119393A (ko) 전기 커넥터
JPH0119338Y2 (ko)
KR20090012591A (ko) 패널 고정식 커넥터
JPS5829568Y2 (ja) 端子台
CN210467630U (zh) 一种便于安装的开关
JP2883099B2 (ja) 電線接続装置
JP3329102B2 (ja) 電気コネクタ
JPH0311911Y2 (ko)
JPS6114135Y2 (ko)
KR100955646B1 (ko) 리어 홀더 일체형 터미널 커넥터
JP2004165045A (ja) 端子台
JPH0619159Y2 (ja) コネクター保持構造
JPH0793506B2 (ja) 基板用ガイドレール
JPH02299184A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KR920003851B1 (ko)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JPH0231818Y2 (ko)
KR880002306Y1 (ko) 전원 코오드 고정구
JPH03389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