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398B1 -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398B1
KR920002398B1 KR1019850001559A KR850001559A KR920002398B1 KR 920002398 B1 KR920002398 B1 KR 920002398B1 KR 1019850001559 A KR1019850001559 A KR 1019850001559A KR 850001559 A KR850001559 A KR 850001559A KR 920002398 B1 KR920002398 B1 KR 920002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film
weight
resin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499A (ko
Inventor
아끼또 하마노
가쓰아끼 구제
구니오 다께우찌
마끼 마쓰오
하지메 스즈끼
오사무 마끼무라
에이이찌 나가야스
Original Assignee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쟈다니 슈우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10406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475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1099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535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11244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554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53420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31225A/ja
Application filed by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쟈다니 슈우지로오 filed Critical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29C48/9165Electrostatic 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본 발명은 두께의 균일성이 뛰어난 폴리아미드계 필름을 고능률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계 필름은 그것이 지니는 강인성, 내충격성, 내핀호울성, 산소차단성 등의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 각종 포장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 레토로트식품의 신장과 함께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수요도 높아지고 있어 고품질이고 또한 값싼 필름의 공급이 요망되고 있다.
폴리아미드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통상 팽창법이나 T다이법에 의한 용융압출법이 행해지고 있다. T다이법에 의해 폴리아미드필름을 얻을 때,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필름은 회전냉각로울에 캐스팅된다. 이때 필름을 냉각회전로울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에어나이프에서 공기를 내뿜는 방법(이하 에어나이프법이라고 부른다), 고압전극으로부터 용융필름에 전하(電荷)를 석출시켜 정전기적으로 밀착시키는 방법(이하 정전밀착법 이라고 부른다)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에어나이프법이나 정전밀착법에 의한 캐스팅에 있어서도 인취(引取)속도가 빨라지면 회전에 의해 발생한 수반류(隨伴流)때문에 회전냉각로울과 필름의 사이에 공기가 휩쓸려 들어가서 균일한 필름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정전밀착법이란 다이와 냉각로울과의 사이에 예컨대 와이어상의 전극을 삽입하여 필름상물에 정전하를 부여하여 이 필름상물과 냉각로울을 정전기적으로 밀착시키므로써 성형되는 필름의 균후성(均厚性)이나 투명성을 개량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일본국 특공소 37-6142호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용융 압출된 필름상물이 정전기에 의해 냉각로울에 강하게 밀착되어 급냉되므로 능율적으로 열가소성수지필름을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수지의 경우 스티리이머코로나 방전상태의 코로나 방전을 행하여 용융필름에 전하를 석출시키고, 정전기적으로 회전냉각로울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중합체필름의 냉각방법이 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소 55-17559호 공보). 이 방법이 용융비저항이 6.0×106Ωcm 이하의 합성수지에 대하여 유효하다는 것도 공지이다(일본국특개소 56-105930호 공보).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도 생산능율을 높이려고 하여 냉각로울의 둘레속도를 빨리 하면 밀착력이 불충분하게 되어 시이트와 회전냉각로울과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공기가 휩쓸려 들어간다. 이와 같은 부분에서는 냉각로울과 시이트와의 사이의 열전달이 악화되어 밀착완전부와 밀착불완전부의 사이에 냉각 불균일이 생기기 때문에 제품시이트의 균후성이나 투명성이 현저하게 악화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손상된다. 더욱이 이 시이트를 계속하여 1축 또는 2축방향으로 연신할 경우에는 연신공정에서 시이트가 찢어져서 제막(製膜) 그자체가 되지 않는 가능성도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극복하여 균후성 및 투명성을 손상시킴이 없이 폴리아미드수지시이트를 고속으로 능율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는 기술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화합물을 함유하고 또한 260℃에서의 용융비저항이 1.5×1.05Ωcm 이하인 폴리아미드수지를 필름상으로 용융압출하여 이 용융압출필름을 회전냉각로울에 정전기적으로 밀착시켜 급냉고화시키므로써 폴리아미드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필름을 또한 적어도 1방향으로 1.1배 이상 연신하므로써 연신폴리아미드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두께의 균일성과 투명성이 뛰어난 폴리아미드계 필름을 능율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아미드계 수지에 대하여 적절량의 금속화합물을 함유시키므로써 260℃에서의 용융비저항을 1.5×105Ωcm 이하로 하므로써 정전밀착성이 현저하게 개선되고 두께의 균성이 뛰어난 폴리아미드 미연신 필름 및 연신필름을 능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금속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은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260℃에서의 용융비저항은 통상 나일론 6, 나일론 66, 폴리메타크실렌아디파미드로 1×105Ωcm 내지 5×105Ωcm, 나일론 12로 5× 105내지 10×105Ωcm로 특개소 56-105930호 공보로 제시되어 있는 6.0×105Ωcm 이하의 용융비 저항을 가진 열가소성 합성수지에 함유된다. 그러나 이들 본 발명의 출발원료에 사용하는 금속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은 폴리아미드수지와 비교하여 금속화합물을 함유시킨 260℃에서의 용융비저항이 1.5×105Ωcm 이하의 폴리아미드수지를 현저하게 정전밀착성이 향상하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다음에 더욱 상세히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아미드계 수지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폴리메타크실릴렌 아디파미드의 단독중합체, 공중합체등을 들수 있다. 이밖에 열가소성의 필름형성성(形成性)을 가진 폴리아미드수지도 사용 가능하다. 금속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 이들의 폴리아미드수지의 260℃에서의 용융비저항은 통상 1×105Ωcm 보다 큰 값이다. 이들의 폴리아미드수지끼리를 혼합한 것도 사용 가능하다. 또 이들의 수지에는 소량의 다른 수지, 활제, 산화방지제, 정전방지제, 착색제등의 유기 또는 무기의 물질이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의 금속화합물로서는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 알루미늄족원소 , 천이(遷移)금속의 할로겐화물, 유황의 산소산화합물, 인의 산소산화합물, 수산화물, 유기 카르복시산염, 유기술폰산염등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염화나트륨, 염화리튬,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염화알루미늄, 염화아연, 염화동, 염화코발트, 취화나트륨, 취화리튬, 취화마그네슘, 옥화칼륨, 옥화나트륨,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아연,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아인산나트륨, 차아인산나트륨, 차아인산칼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스테아린산나트륨, 스테아린산칼륨, 스테아린상마그네슘,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아연, 올레인산칼륨,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안식향산나트륨, 트우릴술폰산나트륨, 벤젠술폰산나트륨, 에틸렌계 아이오노머등을 들수 있다. 이밖에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과 같은 금속염기를 함유한 아미드 결합형성 가능한 화합물을 첨가하여 폴리아미드사슬에 직접 금속염기를 결합시켜도 좋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중에 금속화합물을 함유하고 또한 260℃에서의 용융비저항이 1.5×105Ωcm이하의 것을 사용하면 되고, 상기 금속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등의 이온화 포텐셜의 작은 금속의 경우는 단체인채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금속화합물을 폴리아미드수지에 대하여 0.0005중량 % 내지 10중량 %(금속의 양으로서는 0.0003 내지 3중량 %, 바람직하기는 0.0003 내지 0.5중량 %) 함유시키므로써 260℃에서의 용융비저항을 1.5×105Ωcm 이하로 할 수가 있다. 금속화합물 함유량이 0.005중량 %이하의 경우는 정전밀착성의 개선효과도 적다. 금속화합물 함유량이 10중량 %이상의 경우는, 필름의 물성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금속화합물 함유량의 범위 자체에 속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화합물을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중합전에 원료 모노머에 첨가하는 방법, 혹은 중합의 진행하는 도중에서 첨가하는 방법, 추출공정에서 첨가하는 방법, 펠릿을 건조할때에 첨가하는 방법,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최종적으로 용융압출된 폴리아미드수지중에 금속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으면 유효하며 본 발명은 이들의 첨가방법에 속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정전기적으로 회전냉각로울에 밀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스트리이머코로나상태의 코로나방전을 행하여 전하를 부여하는 방법(특개소 55-17559호 공보)가 유효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방법에만 속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고압하전(高壓荷電) 전극을 용융필름에 가까이하여 전하를 부여하는 장치로의 적용이나 에어나이프를 병용한 정전밀착장치로의 적용, 및 회전냉각로울을 유전체로 피복하여 고압하전전극과 반대의 부호의 전하를 회전냉각로울에 척출시키는 장치로의 적용등도 가능하다.
금속화합물을 함유하며 또한 260℃에 있어서의 용융비저항이 1.5×105Ωcm 이하인 폴리아미드수지의 경우 금속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은 폴리아미드수지에 비해, 이들의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냉각로울로의 용융수지의 정전기적 밀착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미연신 필름의 인취속도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취속도를 빨리하면 회전냉각로울과 용융필름과의 사이에 공기가 휩쓸려 들어가 획일적인 미연신필름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종래의 금속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260℃의 용융비저항이 1.5×105Ωcm 보다 큰 폴리아미드수지를 정전밀착법에 의하여 회전냉각로울에 인취하는 경우 최고 인취속도가 통상적으로10 내지 20m/분인데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 인취속도 이상에서도 회전냉각로울과 용융필름간으로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두께의 균일한 미연신필름을 얻는다. 이 미연신폴리아미드는 이대로도 식품등의 포장에 호적하다. 그러나 이 미연신폴리아미드필름을 또한 적어도 1방향으로 1.1배이상,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2방향으로 각각, 2.0 내지 5.0배 연신한 2축 연식필름으로 하면 더욱 기계적 강도나 투명성, 산소차단성이 향상되어 각종 포장필름으로서 알맞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계수지로서 나일론 6과 같은 락탐 및 아미노카르복시산을 원료로 하는 폴리아미드계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원료제조공정에서 모노머 및 올리고머의 추출공정이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는 금속화합물을 중합원료로 첨가하여 중합을 행하면 추출공정에서 금속화합물이 일부용출하여 정전밀착성이 저하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중합후에 금속화합물을 첨가하는 편이 좋다.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회전식 건조기내 등에서 폴리아미드계 수지에 직접 금속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 금속화합물을 함유한 다른 폴리아미드수지를 첨가하는 방법, 에틸렌계 아이오노머수지를 첨가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직접 금속화합물을 첨가하면 금속화합물이 편재하고 안정된 정전 밀착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금속화합물을 함유한 다른 폴리아미드수지나 에틸렌계 아이오노머수지를 첨가하는 편이 균일한 용융비저항을 얻을 수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밖에 금속염기를 폴리아미드수지의 주쇄에 화학결합하면 추출공정을 통하여도 양호한 정전밀착성이 유지되므로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계 수지중에서도 방향족 잔기를 가지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쪽이 지방족계의 폴리아미드수지보다 정전밀착성이 양호하다. 그런데 경제적으로는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6이 가장 유리하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6에 방향족의 디아민, 디카르복시산, 아미노카르복시산을 공중합하면 정전밀착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 사용하는 폴리아미드수지의 용융점도는 낮은쪽이 정전밀착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용융점도는 제품의 기계적 강도나 제막의 조업성 때문에 270℃에 있어서 250포이스 이상 4000포이스이하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400포이스 이상 1800포이스이하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특히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를 나타내므로써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260℃로 유지한 용융수지중에 스테인레스제 전극을 삽입하여 100V의 직류전압을 가하여 그때 흐르는 1초로부터 5초후의 전류치에서 비저항 ρ=(S/L)×(V/I)의 식에서 산출한 값이다. 여기서는 비저항(Ωcm), S는 전극면적 (cm2), L은 전극간거리(cm), V는 전압 (V), I는 전류(A)를 나타낸다.
본예에서의 측정에서의 S는 0.12cm2, L는 1.5cm였다. 또 실시예중의 수지의 상대점도는 수지를 96.3% 농황산에 1.0g/100ml의 농도에서 용해하고 20℃의 항온조중에서 오스트왈도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용융점도는 고화식 플로우테스터를 사용하여 전단(專斷)속도가 100 내지 200sec-1로 되도록 오리피스지름, 오리피스길이, 하중을 선택하여 270℃의 온도에서 측정한 값이다. 측정샘플은 최고 인취속도 측정직전의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때 용융점도를 구하는 계산식은 다음식을 사용하였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η[포이스]는 용융점도, a[cm]는 오리피스지름, ι[cm]는 오리피스길이, P[dyne/cm2]는 하중, Q[g/sec]는 수지의 유출량을 나타낸다.
실시예중의 최고 인취속도는 직경 90mm
Figure kpo00002
의 스크루우를 가지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T다이로부터 260 내지 280℃에서, 수지를 필름상으로 압출하여 10 내지 20℃의 회전냉각로울캬스트하며, 고압전하 전극으로부터 용융필름에 전하를 부여하여 회전냉각로울의 밀착을 행한후 회전냉각로울의 인취속도를 서서히 올려가고, 회전냉각로울과 용융필름 사이로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최고 인취속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활제로서 평균입경 3μm의 이산화규소를 0.4중량 % 함유하는 상대점도 2.6의 나일론 6펠릿에 회전식 진공건조기중에서 인산 삼나트륨의 12수염 나일론 6에 대하여 0.05중량 % 함유하도록 첨가하여 혼합건조한후, 90mm
Figure kpo00003
의 스크루우 압출기로 T다이로부터 260℃에서 수지를 필름상으로 압출하여 20℃의 회전냉각로울에 캬스트하였다. 이때 최고 인취속도가 60m/분까지 수지와 회전냉각로울 사이에 공기의 휩쓸려 들어가는 것이 일어나지 않고 두께의 불균일이 적은 투명한 미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수지의 260℃에 있어서의 용융비저항은 5.7×104Ωcm였다.
[실시예 2, 3]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취화마그네슘, 염화아연을 표중의 함유량으로 되도록 첨가하여 캬스팅테스트를 행하였던 바 각각 표중의 최고 인취속도까지 수지와 회전냉각로울 사이로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3과 같은 평균입경 3μm의 이산화규소를 0.4중량 % 함유한 상대점도 2.6의 나일론 6을 금속화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회전식 진공건조기중에서 건조한후 실시예 1과 같이 캬스팅 테스트를 행한바 인취속도가 35m/분의 곳에서 수지와 회전냉각로울 사이에 공기가 휩쓸려 들어가 종근(縱筋)이 발생하여 두께의 불균일과 불투명 개소가 생겼다. 이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1.8×105Ωcm였다.
[실시예 4]
메타크실렌디아민 440중량부, 아디핀산 470중량부에 대하여 인산삼나트륨의 12수염을 1중량부 및 물 450중량부를 가하여 중축합을 행하여 얻은 상대점도 2.1의 폴리메타크실렌 아디파미드를 실시예 1과 같이 T다이로부터 260℃에서 압출하여 캬스팅테스트를 행한바 인취속도가 65m/분 이상에서 수지와 회전냉각로울 사이에 공기의 휩쓸려 들어가는 것이 발생하지 않고 두께의 균일성과 투명성이 양호한 미연신필름을 얻었다. 이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3.9 ×104Ωcm였다.
[비교예 2]
실시예 5와 같이 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를 종축합으로 얻을 때 인산삼나트륨의 12수염을 가하지 않고 금속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상대점도 2.1의 폴리메타크실렌 아디파미드를 얻었다. 이 수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T다이로부터 260℃에서 압출하여 캐스팅 테스트를 행한바 인취속도가 40m/분의 곳에서 수지와 회전냉각로울 사이에 공기가 휩쓸려 들어가 필름에 종근상의 불균일이 발생하였다. 이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1.6×105Ωcm였다.
[표 1]
Figure kpo00004
[실시예 5 및 비교예 3]
상대점도 2.1의 나일론-12펠릿 단독, 및 이 펠릿에 금속화합물로서 스테아르산나트륨을 0.4중량 % 함유하도록 첨가하여 혼합 건조한 것을 각각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캐스팅 테스트를 행한 바 각각 표중의 최고 인취속도까지 수지와 회전냉각로울간으로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메타크실릴렌디아민 440중량부, 아디핀산 470중량부에 대하여 인산삼나트륨의 12수염을 5중량부 및 물 450중량부를 가하여 중축합을 행하여 260℃에서 용융비저항이 0.23×105Ωcm, 상대점도가 2.1의 폴리메타크실릴렌 아디파미드를 얻었다.
이어서 활제로서 평균입경 3μm이 이산화규소를 0.4중량 % 함유하는 상대점도 2.6의 폴리카프라미드의 펠릿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의 인산삼나트륨을 함유한 폴리메타크실릴렌 카프라미드의 펠릿을 10중량부 가하여 회전식 진공건조기속에서 건조 및 혼합한 펠릿을 사용하여 최고 인취속도를 구한바 55m/분까지 회전 냉각로울과 용융필름간으로의 공기의 휩쓸려 가는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5.5×105Ωcm였다.
[실시예 7]
(금속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수지의 합성)아디핀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얻은 나일론염 600중량부에 대하여 물 400중량부와 스테아린산나트륨 3중량부를 가하여 중축합을 행하고 260℃에 있어서의 용융 비저항이 0.14×105Ωcm, 상대점도가 2.6의 나일론 66을 얻었다. 이어서 활제로서 평균입경 3μm의 이산화규소를 0.4중량 % 함유하는 상대점도 2.6의 폴리카프라미드의 펠릿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의 스테아린산 나트륨을 함유한 나일론 66의 펠릿을 6중량부 가하여 회전식 진공 건조기속에서 건조 및 혼합된 펠릿을 사용하여 최고 인취속도를 구하였던바 55m/분까지 회전 냉각로울과 용융필름간에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0.54×105Ωcm 이였었다.
[비교예 4]
메타크실렌디아민 440중량부, 아디핀산 470중량부에 대하여 물 450중량부를 가하고 중축합을 행하여 260℃에 있어서의 용융비저항이 2.2×105Ωcm , 상대점도가 2.1의 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를 얻었다.
이것을 활제로서 평균입경 3μm의 이산화규소를 0.4중량 % 함유하는 상대점도 2.6의 폴리카프라미드의 펠릿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가하고, 회전식 진공건조기속에서 건조 및 혼합된 펠릿을 사용하여 최고 인취속도를 구하였던 바 37m/분의 곳에서 회전냉각 로울과 용융필름간에 공기가 휩쓸려 들어가고 종근이 발생하여 두께의 불균일과 불투명 개소가 생겼다. 이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2.0×105Ωcm 이었다.
[표 2]
Figure kpo00005
[실시예 8]
활제로서 평균입경 3μm의 이산화규소를 0.4중량 % 함유하는 상대점도 2.6의 폴리카프라미드의 펠릿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이오노머수지[미쯔이 폴리케미칼(사)제 상품명(하이미란 1605)]를 1.5중량부가하여 회전식 진공건조기속에서 건조 및 혼합된 펠릿을 사용하여 최고 인취속도를 구하였던 바 59m/분까지 회전냉각로울과 용융필름간에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수지의 용융비 저항은 5.5×104Ωcm이었다.
[실시예 9]
상대점도 2.1의 나일론-12 펠릿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이오노머수지[미쯔이 폴리케미칼(사)제 상품명(하이미란 160]를 3중량부 가하여 회전식 진공건조기 속에서 건조 및 혼합된 펠릿을 사용하여 최고 인취속도를 구하였던 바 45m/분까지 회전냉각로울과 용융필름간에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1.2×105Ωcm이었다.
[실시예 10]
입실론카프로락탐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포이소프탈산 나트륨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의 나일론 염 25중량 % 수용액을 0.5중량부 가하여 개환 중합(開環重合)을 행하여 나일론 6의 펠릿을 얻었다.
열수에 의한 잔존 락캄의 추출을 행한후 추출분 1.0중량 %이하, 260℃에 있어서의 용융비저항 5.4×104Ωcm, 상대점도 2.6의 나일론 6의 펠릿을 얻었다. 회전식 진공건조기 속에서 건조 및 혼합된 펠릿을 사용하여 최고 인취속도를 구하였던 바 57m/분까지 회전 냉각로울과 용융필름간에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었다.
[실시예 11]
입실론카프로락탐 100중량부, 술포이소프탈산나트륨의 헥사메틸렌디아민염의 25중량 % 수용액을 5중량부 가하고 개환중합을 행하여 나일론 6의 펠릿을 얻었다. 열수에 의한 잔존락탐의 추출을 행한후 추출분 1.0중량 %이하, 260℃에 있어서의 용융비저항이 0.16×105Ωcm, 상대점도가 2.6의 나일론 6 펠릿을 얻었다.
이 펠릿을 260℃에 있어서의 용융비저항이 1.9×105Ωcm, 상대점도 2.6의 나일론 6 펠릿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가하고, 회전식 진공 건조기속에서 건조 및 혼합된 펠릿을 사용하여 최고 인취속도를 구하였던 바 57m/분까지 회전냉각로울과 용융필름간에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5.3×104Ωcm이었다.
[실시예 12]
입실론카프로락탐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타크실렌디아민 6.9양부, 아디핀산 7.4양부를 14.3중량부의 열수에 용해된 나일론 염수용액을 가하고 180 내지 240℃에서 가압 중축합한후 또 240 내지 270℃에서 상압중축합을 행하여 상대점도 2.6의 공중합폴리아미드계 수지 펠릿을 얻었다.
이 펠릿을 열수에 의한 잔존 락탐 추출처리를 행한후 이 펠릿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산 3나트륨 12수염 0.05중량부 가하고 회전식 진공 건조기속에서 건조 및 혼합된 펠릿을 사용하여 최고 인취속도를 구하었던 바 59m/분의 곳에서 회전냉각로울과 용융필름간에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5.9×104Ωcm였다.
[실시예 13]
입실론카프로락탐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타크실렌디아민 13.8중량부, 아디핀산 14.8중량부를 28.6중량부의 열수에 용해된 나일론 염수용액을 가하고, 180 내지 240℃에서 가압 중축합한후 또 240 내지 270℃에서 상압중축합을 행하여 상대점도 2.6의 공중합폴리아미드수지 펠릿을 얻었다.
이 펠릿을 열수에 의한 잔존 락캄 추출처리를 행한후 이 펠릿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산 3나트륨·12수염 0.05중량 가하여 회전식 진공 건조기속에서 건조 및 혼합된 펠릿을 사용하여 최고 인취속도를 구하였던 바 62m/분까지 회전냉각로울과 용융필름간에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6.1×104Ωcm이었다.
[실시예 14]
용융점도 1400포이스의 나일론 6 펠릿에 인산 3나트륨·12수염 1중량 % 가하고, 회전식 진공 건조기속에서 건조 및 혼합된 펠릿을 2축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펠릿으로 하였다. 이 펠릿을 또 용융점도 1400포이스의 나일론 6 펠릿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가하고 회전식 진공 건조기속에서 건조 및 혼합된 펠릿을 사용하여 최고 인취속도를 구하였던 바 60m/분까지 회전냉각로울과 용융필름간에의 공기의 휩쓸림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수지의 용융비저항은 5.7×104Ωcm이었다.
[실시예 15 및 실시예 16]
용융점도 1400포이스의 나일론 6 펠릿의 대신으로 용융점도 900포이스 및 2500포이스의 나일론 6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전혀 똑같이하여 최고 인취속도를 구하였던 바 65m/분 및 53m/분까지 회전냉각로울과 용웅필름간에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었다. 수지의 용융비 저항은 5.5×104Ωcm 및 5.9×104Ωcm이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 내지 3, 6 내지 8, 10 내지 16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수지와 회전냉각로울과의 사이에 공기가 휩쓸려 들어가지 않은 두께의 균일한 미연신필름과 수지의 냉각회전로울간에 공기가 휩쓸려 들어간 종근이 있는 미연신필름 각각을 70℃로 가열된 주속이 다른 로울간에서 종방향으로 3.5배 연신한후 100의 텐터로 3.7배 횡방향으로 연신하고 또 200℃에서 열고정하여 2축연신 나일론 6 필름을 얻는 조작을 행하였던 바 공기가 휩쓸려 들어가지 않았던 미연신필름에서는 2축연신필름이 얻어졌으나 공기가 휩쓸려 들어간 미연신필름은 텐터속에서 파탄되어 2축연신필름을 얻는 것이 극히 곤란하였다. 또한 이때의 미연신필름의 두께는 150 내지 200μm이며, 2축연신후의 필름의 두께는 12 내지 16μm이었다.
[표 3]
금속염기를 함유한 폴리아미드수지의 최고인취속도와 용융비저항
[표 4]
각종방향환을 공중합한 폴리아미드수지의 고인취속도와 용융비저항
Figure kpo00007
실시예에서도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속화합물을 첨가하므로써 용융비 저항 1.5×105Ωm이라고 한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금속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은 폴리아미드계 수지에 비하여 현저하게 정전밀착성이 향상하고 회전냉각로울의 인취속도를 높여도 로울과 필름간에의 공기의 휩쓸려 들어감이 일어나지 않아 두께 균일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필름이 얻어진다. 또 이 필름을 사용하므로써 1축 및 2축 연신된 두께 균일성과 투명성이 뛰어난 연신필름을 얻을수가 있다.

Claims (7)

  1. 금속화합물을 함유하고 또한 260℃에서의 용융비 저항이 1.5×105Ωcm이하인 폴리아미드수지를 필름상으로 용융압출하여 이 용융압출필름을 회전 냉각로울에 정전기적으로 밀착시켜, 급냉고화 시키면서 인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수지가 주된 반복단위가 카프라미드인 폴리아미드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속화합물을 함유하고 260℃에서의 용융비 저항이 1.0× 105Ωcm이하의 폴리아미드수지를 0.01 내지 30중량부 배합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수지가 방향족 아미노 카르복실산 잔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및 방향족디아민 잔기가 2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이고, 또한 지방족 아미노 카르복실산 잔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및 지방족 디아민 잔기가 80중량 %이상 98중량 %이하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계수지이고, 또한 금속화합물을 함유하고 260℃에서의 용융비 저항이 1.5×105Ωcm이하인 폴리아미드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가 주쇄에 금속염기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A) 1 내지 100중량부와 260℃에서의 용융비저항이 1.5×105Ωcm 이상인 폴리아미드계 수지(B) 99 내지 0중량부를 함유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폴리아미드 수지에 0.1 내지 10중량 %의 에틸렌계 이오노머 수지를 배합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6.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가 금속화합물을 함유하고 또한 260℃에서의 용융비저항이 1.5×105Ωcm이하이며, 270℃에서의 용융점도가 250 내지 1800포이스의 폴리아미드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필름을 또한 적어도 1방향으로 1.1배 이상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KR1019850001559A 1984-05-22 1985-03-12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KR920002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04066A JPS60247540A (ja) 1984-05-22 1984-05-22 ポリアミド系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104066 1984-05-22
JP59-104066 1984-05-22
JP59109981A JPS60253524A (ja) 1984-05-30 1984-05-30 ポリアミド系フイルムの製造法
JP109981 1984-05-30
JP59112445A JPS60255413A (ja) 1984-05-31 1984-05-31 ポリアミド系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153240 1984-07-24
JP15342084A JPS6131225A (ja) 1984-07-24 1984-07-24 ポリアミド樹脂シ−ト又は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112445 1985-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499A KR850008499A (ko) 1985-12-18
KR920002398B1 true KR920002398B1 (ko) 1992-03-23

Family

ID=2746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559A KR920002398B1 (ko) 1984-05-22 1985-03-12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00889A (ko)
EP (1) EP0182910B1 (ko)
KR (1) KR920002398B1 (ko)
WO (1) WO1985005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581A (ko) * 1999-06-16 2001-01-15 홍순달 나일론 플랫사의 제조방법
US6984708B2 (en) * 2002-10-04 2006-01-10 Invista North America S.A.R.L. Spandex of a particula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4206837B2 (ja) * 2003-06-18 2009-01-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回分式加熱装置
US7902287B2 (en) * 2008-01-21 2011-03-08 Basf Aktiengesellschaft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US20130320596A1 (en) * 2012-05-29 2013-12-05 A.J. Plastic Public Company Limited Molten plastic film pi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olyamide or polylactic acid film manufacturing process
CN104540910B (zh) * 2012-07-30 2018-10-02 株式会社京都材料 涂料及被覆钢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76142B1 (ko) * 1961-05-01 1962-06-27
NL137488C (ko) * 1966-09-16
US3898200A (en) * 1972-09-06 1975-08-05 Allied Chem Cationic dyeable polyamide of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US4111625A (en) * 1974-08-07 1978-09-05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Polymeric film production
JPS5849169B2 (ja) * 1976-09-29 1983-11-02 旭化成株式会社 金属粉充填熱可塑性樹脂フイルムまたはシ−トおよびその製造法
JPS5517559A (en) * 1978-07-25 1980-02-07 Toyobo Co Ltd Method of cooling polyamide polymer sheet
JPS5923270B2 (ja) * 1978-08-02 1984-05-31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アミド系重合体延伸フイルムの製造法
US4268464A (en) * 1979-08-16 1981-05-1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Electrostatic pinning of extruded polyamide film
DE3114390A1 (de) * 1981-04-09 1982-11-04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midfolien
JPS6058830A (ja) * 1983-09-12 1985-04-05 Toyobo Co Ltd ポリアミドフイルムの製造法
JPS6061225A (ja) * 1983-09-13 1985-04-09 Toyobo Co Ltd ポリカプラミド系フイルムの製法
JPS59229314A (ja) * 1984-05-16 1984-12-22 Diafoil Co Ltd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76142A (ja) * 1993-04-20 1995-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エージェント協調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00889A (en) 1991-03-19
WO1985005315A1 (en) 1985-12-05
EP0182910A1 (en) 1986-06-04
EP0182910A4 (en) 1988-09-28
KR850008499A (ko) 1985-12-18
EP0182910B1 (en) 1991-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6830B1 (en) Antistatic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
EP1754588B1 (en) Polyamide resin film roll
CN103210021A (zh) 半芳香族聚酰胺膜及其制造方法
EP2367872A1 (en) Chrome-free method of conditioning and etching of a thermoplastic substrate for metal plating
KR920002398B1 (ko) 폴리아미드계 필름의 제조법
GB2185028A (en) Process for producing electrically conductive pressed plastics boards
JPS6241095B2 (ko)
JPH0411373B2 (ko)
JPH07268209A (ja) フィルム成形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
JPS5923270B2 (ja) ポリアミド系重合体延伸フイルムの製造法
JPS634772B2 (ko)
CN112703111B (zh) 聚酰胺系层叠膜及其制造方法
JPH0149104B2 (ko)
KR970006756B1 (ko)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5251022B2 (ja) 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12279B2 (ja) 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570575B2 (ko)
JPS60253524A (ja) ポリアミド系フイルムの製造法
JPS62104730A (ja) ポリカプラミド系フイルムの製造法
JPS6227129A (ja) ポリカプラミド系フイルムの製造法
CN1556146A (zh) 一种用于熔融调控尼龙材料结晶度的方法
JP2000271988A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S6324812B2 (ko)
JPH0573575B2 (ko)
JP3413863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二軸延伸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3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